자기조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기조절은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통제하는 능력으로, 고대 철학부터 현대 심리학까지 중요한 덕목으로 여겨진다. 철학에서는 절제와 자제력으로, 기독교에서는 죄를 이기는 수단으로 강조되었으며, 현대 심리학에서는 개인의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능력으로 연구된다. 자기조절은 인간의 자기 개념, 자존감, 자기효능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뇌의 전전두피질 영역의 활동과 관련이 있다. 앨버트 반두라, 로이 바우마이스터 등의 학자들이 자기조절에 대한 이론을 발전시켰으며, 조절초점이론, 자기조절학습이론 등 다양한 이론이 존재한다. 자기조절은 연애, 직장, 건강, 학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마시멜로 실험과 같은 연구를 통해 그 중요성이 입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예 - 의형제
의형제는 문화적, 역사적으로 동맹, 우정, 형제애를 맺는 의식이나 행위를 통해 형성되는 특수한 관계를 의미하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혈액 의식, 맹세 등을 통해 맺어지고, 부족 간 동맹, 정치적 목적, 개인 간 유대 관계를 위해 활용된다. - 명예 - 푸자
푸자는 힌두교에서 신에게 경의를 표하고 숭배하는 중요한 의례로, 가정이나 사원에서 다양한 형태로 행해지며, 일상생활, 축제 등 여러 상황에서 다양한 종류로 진행된다. - 정의 - 국가 (플라톤)
플라톤의 『국가』는 정의로운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생산자, 수호자, 철인 통치자로 구성된 삼분된 계급 사회를 제시하며, 철학자 왕의 통치를 통해 정의를 실현하는 방안을 탐구한다. - 정의 - 정의론
정의론은 존 롤스가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이라는 개념을 통해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를 위한 정의의 원칙을 제시하며, 최대 자유 평등 원칙, 차등 원칙 및 기회균등 원칙을 포함하는 사회 정의 이론으로, 자유주의적 평등주의 이념의 핵심으로 평가되어 사회 개혁 논의에 철학적 기반을 제공한다. - 자주권 - 자치령
자치령은 웨스트민스터 법령 이전 영국 제국 및 영연방에서 자치권을 인정받은 반독립국으로, 독자적인 정부와 자치권을 가졌으나 영국 국왕을 국가 원수로 두고 영국 정부에서 파견한 총독을 두었으며, 밸푸어 선언과 웨스트민스터 법령을 통해 영국과 동등한 지위를 인정받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연방 왕국이라는 용어로 대체되었다. - 자주권 - 자치
자치는 외부 간섭 없이 개인이나 집단이 스스로 결정하고 행동하는 것으로, 철학적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자기 규제, 공동체 운영, 자결권과 관련되고,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다.
| 자기조절 | |
|---|---|
| 기본 정보 | |
![]() | |
| 정의 | 자신의 행동, 감정, 충동을 조절하는 능력 |
| 관련 개념 | 억제 통제 실행 기능 목표 지향적 행동 |
| 심리학적 관점 | |
| 중요성 | 개인의 성공, 건강, 행복에 기여 |
| 구성 요소 | 충동 억제 주의 집중 감정 조절 |
| 발달 | 아동기에 발달하며, 성인기까지 지속적으로 향상 가능 |
| 측정 방법 | 자기 보고식 설문 행동 실험 신경심리학적 검사 |
| 자기 통제력 강화 방법 | |
| 전략 | 목표 설정 및 계획 수립 유혹 회피 스트레스 관리 규칙적인 생활 습관 연습과 훈련 |
| 자원 고갈 모델 | 자기 통제는 제한된 자원을 사용하며, 고갈될 수 있음 |
| 근육 비유 | 자기 통제는 근육처럼 훈련을 통해 강화될 수 있음 |
| 신경 과학적 관점 | |
| 관련 뇌 영역 | 전전두피질 전대상피질 기저핵 |
| 신경 전달 물질 | 도파민 세로토닌 |
| 사회적 영향 | |
| 사회적 행동 | 자기 통제는 사회적 관계, 협력, 규범 준수에 영향 |
| 문화적 차이 | 자기 통제에 대한 문화적 기대와 가치가 다를 수 있음 |
| 문제 행동과의 관련성 | |
| 낮은 자기 통제 | 범죄 중독 비만 충동적인 소비 |
| 관련 이론 | 범죄의 일반 이론 (Gottfredson & Hirschi) |
| 기타 | |
| 연구 동향 | 자기 통제의 신경학적,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연구 진행 중 |
2. 덕목
고대부터 현대까지 철학자와 종교 사상가들은 자기조절을 중요한 덕목으로 강조해왔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절제(sophrosyne|소프로쉬네grc)를 통해 욕망을 조절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11] 아리스토텔레스는 절제가 부족하면 자기 탐닉에 빠지고, 지나치면 무감각해진다고 보았다.[11]
자기조절 개념은 앨버트 반두라가 3단계 과정으로 나누어 설명하면서 발전되었으며, 데일 슝크, 배리 짐머만, 로이 바우마이스터 등 여러 학자들이 연구해 왔다.[1]
인간은 자기개념을 통해 자신을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존재로 인식한다. 자기개념은 시대, 사회경제적 계층, 문화에 따라 다르며, 자존감, 자기효능감, 자기관찰성은 자기개념을 논의할 때 변함없이 언급되는 세 가지 주제이다.[148] 자존감은 자신에 대한 가치에 대한 신념이며, 자기효능감은 특정 과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할 가능성에 대한 신념이다. 자기관찰성은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상황에 맞추는 정도를 의미한다.[148]
앨버트 반두라는 자기조절을 3단계 과정으로 설명하면서 자기조절 개념 발전에 기여했다. 데일 슝크, 배리 짐머만, 로이 바우마이스터 등 여러 학자들이 자기조절을 연구해왔다.[149] 자기조절이론은 자신의 사고, 행동, 감정을 조절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이다.
기독교에서는 영과 육체의 싸움에서 자기조절을 통해 죄를 이겨내는 것을 강조했다. 예수는 "마음은 원하지만 육신이 약하다"고 말하며 자기조절의 어려움을 표현했다.[8] 사도 바울은 자신이 원하는 선을 행하지 못하고 싫어하는 악을 행하는 것에 대해 한탄했다.[9] 아우구스티누스는 『고백록』에서 젊었을 때 순결과 절제를 원했지만, 당장은 아니라고 기도했다고 고백했다.[10]
3. 자기조절이론의 역사
최근 인사 관리 및 조직행동 측면에서 개인의 정서 안정성, 성취 등 개인적 요소가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자기조절에 대한 관심도 역시 더욱 높아지고 있다.[2] 또한 ‘자기조절’과 ‘학업성취’의 관련성이 대두되며 자기조절 학습에 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2]
4. 인간과 자기조절
인간은 본능적 충동이나 자극-반응을 넘어, "마음이 그 마음의 기능과 상태 및 내적 과정들에 통제력을 행사하는 과정"인 자기조절을 통해 넓은 범위의 행동을 선택할 수 있다.[149] 자기조절은 목표나 표준과 일치하는 상태를 이루기 위한 의식적, 무의식적 노력이며, 인간 내부의 동물적 성질을 문화적, 인격적 모습으로 바꾸는 데 필수적이다.[150] 자기조절은 심리적 자기에 의한 조절 시도가 핵심이며,[150] 타인과 구분되고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개념을 표현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행동으로 옮기고, 자신의 행동을 수정하거나 외부를 변화시켜 자기개념과 개인적 목표에 합치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심적 및 행동적 과정이다.[151]
언어 능력과 자기조절 사이에는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침팬지 대상 실험을 통해 추론되었다.[25] 인간의 자기조절 연구는 토큰 경제 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델링되기도 한다.[26]
Logue[29]는 자기조절에 대한 연구에서 소년들이 소녀들보다 자기조절 능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하지만, 성인이 되면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 능력은 대부분 동일해진다고 말한다. 이는 인간이 성숙하고 충동성과 관련된 결과를 인식하면서 더 많은 자기조절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자기조절은 측정 가능한 변수로 이론화되었으며, 이를 측정하는 다양한 테스트와 수단이 존재한다.[30] 자기조절과 회복력이 높은 사람들은 빈곤, 열악한 학교 교육, 안전하지 않은 지역 사회와 같은 역경에 맞설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갖는다.
5. 자기조절이론
# 자기 관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판단하여 목표 달성을 위한 동기를 부여하고 행동을 개선하는 과정이다.[152]
# 자기 판단: 자신의 행동이 기준에 부합하는지 비교하는 과정이다.[152]
# 자가 반응: 기준 부합 여부에 따라 스스로 보상이나 처벌을 하는 것이다. (예: 시험 후 자신에게 선물)[152]
앨버트 반두라의 3단계를 확장하여 자기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교육적 변수를 연구했다. 특정 전략이 개인의 학습 과정을 향상시키고, 이것이 자기조절과 성취 과정을 지향하는 방식을 연구했다. 성취 과정에 자기 관찰, 자기 평가, 자가 반응 외에 자기 효능감을 포함시켰다.[153]
자아고갈 개념을 통해 한정된 능력 안에서 자기조절이 가능함을 설명했다. 자기조절의 네 가지 요소(기준, 동기, 감시, 의지)가 상호작용하며 복잡하고 다면적인 과정을 거친다고 주장했다.[152]
| 요소 | 설명 |
|---|---|
| 기준 | 바람직한 행동의 기준 |
| 동기 | 기준에 도달하기 위한 동기 |
| 감시 | 기준에 어긋나는 상황과 생각을 감시 |
| 의지 | 자기 통제를 위한 내적인 의지 |
이 네 가지 요소는 서로 대체될 수 있다. (예: 동기가 부족해도 의지가 강하면 자기조절 성공)
- 자기조절의 과정 (바움에이스터):
# 생성 단계: 의사결정 이전에 대안들을 창출하는 단계. 목표는 있지만 방법을 모를 때, 또는 내/외부 단서에 직면할 때 시작된다.
# 평가 단계: 의사결정 시 각 대안의 이해득실을 확인하고, 최상의 대안을 선택하는 단계.
# 학습 단계: 의사결정 이후, 선택의 실행과 목표 달성 정도를 관찰하고, 성공/실패를 학습하는 단계. 자기조절 능력은 실수로부터 학습하는 능력에 달려있다.
6. 자기조절학습이론
자기조절 학습 이론의 연구 배경은, 일상생활에서의 인간의 자기통제(Self-control), 자기조절(self-regulation)에 대한 연구로부터 출발하였다.[154] 1960~70년대 미국 교육개혁과 관련하여, 심리학 분야에서 앨버트 반두라를 중심으로 자기 효능감(self efficacy), 자기통제(self-regulation)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이러한 개념들은 비교적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그 지위를 확고히 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학습에 있어서 ‘자기 조절’과 ‘학업성취’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배리 짐머만은 ‘학습자가 어떻게 자신의 학습을 조절해나가는가?’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를 거듭하며, 자기조절학습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그는 자기 조절 학습의 주요 특징을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분류하였다.
# 자기 관찰 (Self-observation): 자신의 행동을 감시함,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 여김
# 자기 판단(Self-judgement):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평가함
# 자가 반응(Self-reactions): 자신의 행동의 결과에 대한 반응
짐머만은 이러한 3가지의 특징을 바탕으로, 자기 조절학습에서 개인은 주인의식과 학습 동기를 갖고 학업의 성취를 촉진하는 실제적 촉진자라는 견해를 강조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이란 특히 학습자가 주도가 되는 통제 환경에서, 학습에 대한 동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스스로 자신의 학습과정을 관리해 나가며 능동적으로 정보를 처리해 나가야 하는 학습 방법이다. 특히 자기조절 학습은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단순한 정보의 습득이 아닌, 학습자 자신에게 의미 있는 지식을 획득하는 것을 강조한다.[155]
학자들의 ‘자기조절 학습’에 대한 정의를 요약하면, ‘학습자들이 학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인지, 행동, 정의적 특성을 가동하고 유지하는 과정’이다.[156] 나아가, ‘학습자가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사고, 감정, 그리고 행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과정’이라고도 정의하였다.
학습자가 상위 인지, 전략적 행동(계획, 감시, 평가), 동기 등을 바탕으로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는 것이다. 자신의 배움과 행동을 스스로 평가하고 감시하며 학습을 실천한다. 자기 조절 학습 이론의 핵심은 학습자가 스스로 주체가 되어 배움에 참여하려는 의식적이고 의도적인 노력을 수반한다는 것이다. 많은 학자들이 자기 주도 학습의 정도를 독립적인 주체로서의 척도로 여기기도 한다. 또한 자기 주도 학습은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서 나아질 수 있고, 이는 독립적인 주체로서의 성숙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자신감은 자기 조절 학습의 순기능이다. 자기 조절 학습에서의 성공은 학습자의 자신감을 고취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목표에 접근하는 전략적인 방법과 성과 달성을 향한 하나하나의 단계가 학습자를 성숙한 독립적 주체로 성장시킨다. 자기조절학습, 자기규제학습, 자기조절적 인지능력 등으로 혼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1980년대
- 코르노와 맨디나치(Corno & Mandinach, 1983): 자기조절 학습이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에 대해 책임을 지고 학습에 필요한 전략을 스스로 활용해서 학습목표에 도달하려는 능력으로 학습자의 의도적인 사전 계획과 사후 점검 등이 포함된 노력 이라고 하였다.
- 슈미트와 뉴비(Schmitt & Newby, 1986): 자기조절학습을 메타인지(metacognition)로 정의하였다. 메타인지는 자신의 인지적 활동에 대한 지식과 조절을 의미하는 것으로, 내가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에 대해 아는 것에서부터 자신이 모르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계획과 그 계획의 실행과정을 평가하는 것에 이르는 전반을 의미한다. 자기조절은 자신의 인지과정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1990년대 이후
- 1990년대 이후에는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개인의 동기 차원에서의 연구가 시작되었다. 국내에서는 신민희(1998)가 자기조절학습의 중요한 동기적 요소로 ‘통제인식’과 ‘자기효능감’을 들었다.
최근 동향
- 최근의 ‘자기 조절 학습’은 개인의 인지적, 동기적 측면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외부 행동조절, 학습환경의 통제와 활용을 다루는 통합적인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특히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현업에서 e-러닝과 현장학습이 강조되면서 자기조절학습은 중요한 학습지원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공통적인 정의
- 자기조절학습자는 자신의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위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전략을 체계적으로 사용한다. 또, 자기조절학습자는 학습 중에 학습의 효과를 알기 위해 자기 지향적인 피드백을 사용한다.
- 자기조절학습의 구성 요인은 크게 인지조절 차원, 동기조절 차원, 행동조절 차원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157]
- 학습전략적 측면: 인지적, 초인지적 전략
- 동기적 측면: 자기통제, 자기효능감 등 정의적 영역
- 구성 요인
- 인지조절 차원: 인지전략, 메타인지 전략
- 동기조절 차원: 숙달목적 지향성,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 행동조절 차원: 행동통제, 학업시간의 관리, 도움구하기


- 코르노와 맨디나치의 모형 (1983): 자기조절학습의 특성을 학습내용의 습득과 변형이라는 두 가지 인지적 수준으로 나누고 자기조절학습을 다음의 표와 같이 5요소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학습자가 정보습득과 정보변형의 두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의 활동을 수행하는가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 짐머만과 마르티네즈-폰즈 (Zimmerman & Martinez-Pons, 1986): 자기조절학습전략을 14가지로 범주화하였다.
| 전략의 범주 | 정 의 |
|---|---|
| 자기평가 | 자신의 학습의 질 또는 진행에 있어서 학습자 스스로 평가하는 것 |
| 정보의 조직과 변형 | 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수자료들을 여러 가지 형태로 재배열하는 것 |
| 목표 설정과 계획 | 교육 목적이나 목표를 설정하고, 그러한 목적과 관련된 활동들을 나열하고 시간을 조정하고, 완성하는 것 |
| 정보탐색 | 과제를 수행할 때, 교실 밖의 학습 장면으로부터 더 많은 학습과제 정보를 찾으려고 노력하는 것 |
| 계속적인 기록과 관찰 | 학습 내용이나 학습 결과를 기록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
| 환경 구조화 | 학습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물리적 환경을 선택하거나 정리하려고 노력하는 것 |
| 자기 보상 및 처벌 | 학습의 성공이나 실패에 따라 보상이나 벌을 스스로에게 제공하는 것 |
| 정보의 반복과 기억 | 학습 자료를 기억하기 위해 내, 외적으로 반복해서 연습하려고 노력하는 것 |
| 사회적 도움 | 동료, 교사, 성인으로부터 도움을 얻고자 노력하는 것 |
| 복습 | 수업이나 시험을 잘 보기 위하여 시험지, 공책, 교과서를 다시 읽어보려고 노력하는 것 |
- 임철일(2001, 2002): 웹 기반 자기조절학습 환경에 있어서 학습자가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이 있고 자신의 삶과 밀접한 관련 속에서 더욱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다. 즉,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적극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학습 환경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7. 조절초점이론
조절초점이론(Regulatory focus theory)은 인간의 동기와 정서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이 개인의 조절 초점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컬럼비아 대학교 심리학과 및 경영대학원 교수 토리 히긴스(Tory Higgins)가 자기차이이론을 수정, 보완하여 제시하였다.
히긴스는 인간의 동기를 쾌락을 추구하는 접근 심리(향상 초점)와 고통을 피하려는 회피 심리(예방 초점)로 구분했다. 조절초점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발달 과정에서 한 쪽으로 우세해진 조절 초점에 따라 목표 달성을 위한 행동 전략이 달라진다.
조절 부합도조절 부합도는 자기조절 초점의 대표적인 현상으로, 목표와 활동 사이의 조절 초점의 어울림을 의미한다. 향상 초점이 우세하면 접근 전략을, 예방 초점이 우세하면 회피 전략을 사용하는데, 이 둘의 부합을 조절 부합도(regulatory fit)라고 한다. 조절 부합도가 이루어지면 동기 수준이 높아지고, 몰입도가 증가하며, 긍정적인 정서와 조절 행동의 난이도를 쉽게 느끼게 된다.[159]
조절 부합도 연구에 따르면, 만성적인 조절 초점 경향과 건강 행동의 특성이 부합되면 건강 관리 행동이 촉진된다. 예를 들어, 예방 초점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암 예방 활동에 몰입하는 반면, 향상 초점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신체적 약점 극복에 집중한다.[159]
히긴스는 조절 초점과 부합되는 조절 전략을 사용할 때 행동의 지각된 가치가 올라간다고 주장했다. 즉, 조절 초점과 부합되는 전략을 사용하면 목표에 대한 동기가 상승하고 긍정적인 평가를 하게 된다.[160]
조절 일치조절 일치는 의사 결정 과정에서 개인의 목적 지향(향상 또는 예방 초점)과 목적 지향 유지에 유리한 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조절 일치는 의사 결정 관여도 증가, 흥미 유발, 결과물에 대한 높은 가치 지각 등의 효과를 보인다. 히긴스는 이러한 효과의 원인을 "올바른 느낌"이라는 메타인지에서 찾았다. 즉, 조절 일치가 발생하면 자신이 하는 일이 옳고 바람직하다는 느낌을 받는다는 것이다.
조절 초점 연구들은 향상 초점과 예방 초점 중 어떤 동기적 지향성이 자기 조절 개시 또는 유지에 더 효과적인지를 탐구해 왔다. 한 연구에 따르면, 향상 초점 사람들은 획득 의미의 목표를, 예방 초점 사람들은 유지 의미의 목표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161]
조절초점이론은 인간이 추구하는 이상적 상태를 보상과 비처벌로 구분하고, 각각의 상태에 도달하는 데 서로 다른 자기조절 시스템이 작동한다고 주장한다.
8. 자기조절의 적용
개인적 차원에서는, 자신과 상대방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이 사랑과 연애에 도움이 된다. 획득에 초점을 맞추는 성취지향형은 사랑할 때 '해변가에서의 다정한 포옹' 같은 이상적인 장면을 꿈꾸며 열정과 만족감 등을 적극적으로 구한다. 반면에 안정지향적 사고방식을 지닌 사람들은 사랑에서 안도감과 안정감을 얻기 원한다. 모호한 관계에 대처하는 방식도 다를 수밖에 없다. 성취지향은 다양한 가능성에 마음을 열어두고 열린 관계를 즐기는 반면 안정지향의 사람은 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것을 못 견뎌 한다. 이런 차이가 오해와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162]
하지만 관계가 일정 단계에 들어서면 성취-안정 커플은 그 어느 유형보다 '환상의 콤비'가 될 수 있다. 성취-성취 조합은 불 같은 사랑을 하는 대신 열정의 진도가 맞지 않을 경우 깨지기 쉽고, 안정-안정 조합은 친밀감을 쌓는 속도가 느려 관계 자체가 형성되기 힘들다. 반면에 성취-안정 조합은 한쪽에서 속도를 내면 상대방에서 브레이크를 거는 식으로 관계를 유지해 간다. 토리 히긴스(Tori Higgins) 교수는 "성향이 같은 부부에 비해 성향이 혼합된 부부의 관계 만족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커플이 공동의 목표를 갖고 있다면 각자 자신에게 맞는 일을 책임지고 나머지는 상대방에게 맡기는 식으로 균형을 맞출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162]
조직적 차원에서는, 조절초점이론은 두 가지 성향을 갖춘 사람이 팀을 이뤄 일할 때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 추정한다. 축구에 비유하면 '한 골을 넣기 위해' 뛰는 선수와 '한 골을 막기 위해' 움직이는 선수가 모두 필요하다는 말이다. 이것은 결국 어떤 메시지를 던지는가의 문제이다. 한때 항공기 회사 보잉에서 비행기의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한 사람에게 인센티브를 주겠다고 공약한 적이 있다. 그런데 아무 성과가 없었다. 안전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인센티브보다 규범이나 의무, 예방 등 안정지향적 메시지에 반응한다. 이들에게는 안전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입게 될 손실을 강조하는 편이 낫다. 마케팅에서도 중요하다. 의약품을 광고할 때 '당신의 건강을 증진시킵니다'(성취지향)와 '당신의 건강을 지켜드립니다'(안정지향) 중 어느 카피를 선택할 지 결정해야 한다. 타깃이 어떤 성향인가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메시지를 던져야 한다.
9. 자기조절의 사례
자기조절의 사례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 향상 초점과 예방 초점:
- 향상 초점: 이상, 성취, 성장 등 긍정적 결과를 추구하며,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행동을 유도한다. 예를 들어, 판매원이 향상 초점을 가진 매니저의 지원을 받으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더 많이 생산하고 고객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여 기업 이익에 기여할 수 있다.[163]
- 예방 초점: 안전, 책임, 의무 등 부정적 결과를 회피하는 데 초점을 맞추며, 소극적이고 회피적인 전략을 사용하게 한다. 예를 들어, 예방 초점이 낮은 위탁 소년들은 비행 횟수가 더 많고, 피해자 특정 비행, 이익 목적 비행, 작위 비행, 합의 불가능한 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다.[165] 예방 초점이 높은 사람들은 안전 행동 수준이 더 높기 때문에, 안전이 중요한 사업장에서는 채용 시 예방 초점이 높은 사람을 우선적으로 선발하고, 구성원들에게 보수적, 안전 중심의 지속적인 교육 훈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166]
- 마케팅 및 서비스 분야:
- 고객 경험 관리가 중요해지면서, 판매사원의 창의성이 강조된다. 향상 동기가 강한 판매사원은 매니저의 지원을 통해 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할 수 있다.[163]
- 서비스 직종에서는 고객 위주의 판촉 전략이 중요하며, 종사자는 사람 만나기를 좋아하고 남을 돕는 성격 특성이 적합해야 한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는 창의력이 중요하며, CEO의 의지, 창조적인 기업 문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시스템 등이 필요하다.[163]
- 리더십:
- 개인의 향상 초점은 이슈 리더십과 리더 호감 간의 관계를 조절한다. 향상 초점이 높은 사람들은 리더의 새로운 아이디어와 실행에 더 큰 영향을 받아 리더에 대한 정서적 매력을 더 느낀다.[164]
- 비행 청소년:
- 비행 청소년들은 예방 초점이 부족하여 충동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에게는 예방 초점을 향상시키고 미래 비전을 심어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165]
- 안전 문화:
- 예방 초점은 안전 문화 구성 요소에 대한 지각과 안전 행동 사이의 관계를 조절한다. 경영진의 안전 문화 향상 노력은 예방 초점이 낮은 사람들에게 더 중요할 수 있다.[166]
- 욕구와 유혹:
- 욕구는 특정 대상, 사람 또는 활동에 대한 정서적 동기이며, 유혹은 욕망이 자기 조절 목표와 상충될 때 발생한다.[13][14]
- 자기 통제 딜레마는 장기적인 목표와 단기적인 결과가 충돌할 때 발생하며, 반작용적 자기 통제 이론은 이러한 상황에서 즉각적인 보상의 중요성을 줄이고 전반적인 가치의 중요성을 증가시킨다고 설명한다.[16]
- 음식 섭취와 관련하여, 포만감은 자기 통제력과 음식의 건강함 사이의 상호 작용에 따라 달라진다. 자기 통제력이 높은 사람들은 건강하지 않은 음식에 대한 욕구가 더 빠르게 감소한다.[22]
10. 뇌 과학적 관점
기능적 뇌 영상 연구에 따르면, 자기 조절은 전두엽의 일부인 배외측 전전두피질(dlPFC) 영역의 활동과 관련이 있다.[121] 이 영역은 의도적인 행동을 만들거나, 의도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여러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과 관련된 영역과는 다르다. 자기 조절은 운동전야에 대한 상향식 억제를 통해 이루어진다.[122] 즉, 감정이나 감각 경험(하향식)이 행동을 통제하는 대신, 지각과 정신적 노력을 사용하여 행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자기 조절의 메커니즘과 작동 방식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감각 경험과 즉각적인 자극에 의존하는 하향식 접근 방식이 자기 조절 행동을 유발한다고 믿었다. 보상적인 자극에 대해 오래 생각할수록 그 자극에 대한 욕구를 더 크게 느낄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정보는 작업 기억을 통제하며, 이를 통해 상향식 메커니즘으로 처리될 수 있다.[123] 그러나 증거에 따르면 상향식 처리가 자기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향식 처리는 하향식 주의 메커니즘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참가자들에게 중립적이거나 부정적인 그림을 보여준 다음, 수학 문제를 풀거나 아무 작업도 하지 않게 하여 작업 기억과 주의 분산의 관계를 연구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아무 작업도 하지 않은 그룹보다 수학 문제를 푼 후에 부정적인 기분을 덜 느꼈다고 보고했으며, 이는 작업 기억 용량에 미치는 영향 때문이라고 보았다.[84][124]
많은 연구자들이 자기 조절과 관련된 뇌 영역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여러 영역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기 조절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뇌의 보상 중추는 외부 자극, 내부 요구 상태, 개인의 학습 이력을 비교한다.[84][125] 생물학적 수준에서 통제력 상실은 의사 결정 메커니즘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뇌가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지에 대한 연구 대부분은 지각 학습과 신경 영상 증거를 결합한 것을 바탕으로 하며, 전전두피질이 사람들이 선택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뇌 피질, 특히 전전두피질이 자기 조절과 관련이 있다는 데 널리 합의가 이루어져 있다. 자기 조절에 대한 기계론적 설명은 설명적 가치와 임상적 적용 가능성이 매우 클 수 있다. 다음은 자기 조절과 관련된 뇌 영역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문헌 조사 결과이다.
전전두피질은 뇌의 전두엽 가장 앞쪽에 위치한다. 인간의 경우 피질의 더 큰 부분을 형성하며, 피질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다른 동물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126] 전전두피질의 수상돌기는 다른 피질 영역의 뉴런보다 최대 16배 많은 수상돌기 가시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전전두피질은 많은 양의 정보를 통합한다.[126] 안와전두피질 세포는 자기 조절에 중요하다. 만약 개인이 즉각적인 보상과 나중에 받을 수 있는 더 가치 있는 보상 사이에서 선택해야 한다면, 덜 가치 있는 즉각적인 보상을 받으려는 충동을 억제하려고 할 것이다. 만약 그 개인이 손상된 안와전두피질을 가지고 있다면, 이러한 충동 조절은 그다지 강하지 않을 것이며, 즉각적인 강화를 받을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아동의 충동 조절 부족은 전전두피질이 느리게 발달한다는 사실 때문일 수 있다.
토드 A. 헤어(Todd A. Hare) 외 연구진은 기능적 MRI 기법을 사용하여 복내측 전전두피질(vmPFC)과 배외측 전전두피질(DLPFC)이 자기 조절 발휘에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vmPFC가 쾌락적이지만 궁극적으로 자기 파괴적인 행동에 부여된 가치와 장기적인 목표에 부여된 가치를 부호화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 다른 발견은 자기 조절 발휘에 DLPFC에 의한 vmPFC의 조절이 필요하다는 사실이었다. 연구 결과 자기 조절 부족은 DLPFC의 활동 감소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의 연구는 자기 조절 관련 문헌에 특히 중요한데, 이는 자기 조절 부진의 중요한 원인이 결함 있는 DLPFC라는 것을 시사하기 때문이다.[127]
11. 마시멜로 실험
월터 미셸은 1960년대에 마시멜로 실험을 통해 네 살짜리 아이들의 자기 조절 능력을 테스트했다. 아이들 각자에게 마시멜로를 하나씩 주고, 언제든지 먹고 싶으면 먹어도 되지만 15분 동안 기다리면 마시멜로를 하나 더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실험의 결과는 아이들이 훗날 더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이는 등 삶의 성공 수준과 연관되어 있었다.[62]
마시멜로 실험에서는 대상의 "뜨거운" 특징 또는 "차가운" 특징에 집중하는 전략이 사용되었다. 아이들은 솜 뭉치나 구름에 비유하며 마시멜로의 모양과 질감 같은 "차가운 특징"에 대해 생각하도록 격려받았다. 마시멜로의 "뜨거운 특징"은 달콤하고 끈적한 맛이었는데, 이러한 뜨거운 특징은 만족 지연을 더 어렵게 만든다. 차가운 특징에 집중함으로써, 마음은 마시멜로의 매력적인 측면에서 벗어나 자기 통제를 더 쉽게 할 수 있게 된다.[63]
몇 년 후, 미셸은 당시 40대가 된 연구 참가자들에게 연락했다. 그는 초기 연구에서 마시멜로를 바로 먹어 자기 통제력을 덜 보인 사람들이 나중에 관계, 스트레스, 약물 남용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미셸은 자기 통제 과정에서 뇌의 어떤 부분이 활성화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다시 수행했다. 참가자들은 뇌 활동을 보여주는 자기공명영상(MRI) 스캔을 받았다. 그 결과 자기 통제력이 낮은 사람들은 긍정적인 보상과 관련된 영역인 복측선조체에서 더 높은 뇌 활동을 보였다.[64]
12. 자아 고갈
자아 고갈은 자기 통제에 에너지와 집중력이 필요하며, 장기간의 자기 통제 요구가 있을 경우 이 에너지와 집중력이 피로해질 수 있다는 이론이다.[67] 자아 고갈을 완화하는 방법으로는 휴식과 이완이 있다. 또한 자기 인식 훈련[67]과 같은 특정 행동을 통해 자기 통제를 훈련하는 것은 개인의 자기 통제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동기 부여 인센티브와 포도당 보충도 도움이 될 수 있다.[68] 자세 개선 및 식습관 관리와 같은 자기 통제 과제 훈련은 충동에 굴복하려는 유혹을 이겨내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그렇지 않으면 충동을 제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특히 효과적일 수 있다.[69]
그러나 자아 고갈이 실제 효과인지에 대한 상반된 증거가 있으며, 메타 분석 결과 이 효과가 존재한다는 증거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자세한 내용은 자아 고갈 페이지를 참조.
참조
[1]
논문
Executive functions
[2]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deficits and hoarding: a multimethod investigation across three samples
2013-02
[3]
논문
Executive functions
[4]
논문
Self-regulation and depletion of limited resources: Does self-control resemble a muscle?
http://doi.apa.org/g[...]
2000
[5]
논문
Longitudinal Improvement of Self-Regulation Through Practice: Building Self-Control Strength Through Repeated Exercise
1999-08
[6]
서적
A General Theory of Crime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7]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Self-Control: Assessing Self-Control with the ASEBA Self-Control Scale
2018-03
[8]
성경
Matthew
[9]
성경
Romans
[10]
서적
Confessions (Augustine)
[11]
서적
Nicomachean Ethics
[12]
논문
Imaginary relish and exquisite torture: the elaborated intrusion theory of desire
http://eprints.white[...]
2024-03-15
[13]
논문
Everyday temptations: an experience sampling study of desire, conflict, and self-control
2012-06
[14]
논문
Desire: The new hot spot in self-control research
[15]
논문
What people desire, feel conflicted about, and try to resist in everyday life
2012-06
[16]
논문
Counteractive self-control in overcoming temptation.
http://doi.apa.org/g[...]
2000
[17]
논문
Counteractive self-control
2009-02
[18]
서적
Handbook of motivation science
Guilford Press
2008
[19]
논문
Self-Rationing Efficiency of Repeated Eating-Out Expenses
2017-01-11
[20]
논문
Healthful choices depend on the latency and rate of information accumulation
http://dx.doi.org/10[...]
2021-07-05
[21]
논문
If it's good it must be bad: the indirect effect of temptation strength on self-control through perceived unhealthiness
2013-12
[22]
논문
Associations Between Movement Behaviors and Emotional Changes in Toddlers and Preschoolers During Early Stages of the COVID-19 Pandemic in Chile
[23]
서적
A Distinctive Approach to psychological research: the influence of Stanley Schacter
Earlbaum
1987
[24]
논문
Moving beyond deliberative control of impulses: the effect of construal levels on evaluative associations in self-control conflicts
2009-07
[25]
논문
Responses to quantity: perceptual versus cognitive mechanisms in chimpanzees (Pan troglodytes)
https://animalstudie[...]
2019-08-28
[25]
논문
Delay of gratification in chimpanzees (Pan troglodytes)
1999-03
[26]
서적
Behavior modification: What it is and how to do it
[27]
논문
Exchange delays and impulsive choice in adult humans
1994-09
[28]
논문
Token reinforcement, choice, and self-control in pigeons
1996-07
[29]
서적
Self-control: Waiting until tomorrow for what you want today.
Prentice-Hall, Inc
1995
[30]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convergent validity of self-control measures
2011-06
[31]
논문
Self-control forecasts better psychosocial outcomes but faster epigenetic aging in low-SES youth
2015-08
[32]
논문
Can childhood self-control compensate for the health impact of social disadvantage? Results from two cohorts
https://www.ehps.net[...]
2023-09-28
[33]
뉴스
The Paradox of Effort
https://www.theatlan[...]
2015-07-16
[34]
간행물
Be Good For Goodness' Sake
https://think.kera.o[...]
KERA-FM Think!
2022-06-11
[34]
서적
Emotional Success: The Power of Gratitude, Compassion, and Pride
Eamon Dolan Books Paper
[35]
논문
The Kantian Capacity for Moral Self-Control: Abstraction at Two Levels
https://www.degruyte[...]
2024-06-11
[36]
논문
The Kantian Capacity for Moral Self-Control: Abstraction at Two Levels
[37]
서적
Science and Human Behavior
Simon and Schuster
1965
[38]
논문
Images of desire: cognitive models of craving
2004-07
[39]
서적
The Psychology of BF Skinner
[40]
논문
Imaginary relish and exquisite torture: the elaborated intrusion theory of desire
http://eprints.white[...]
2024-03-15
[41]
서적
The Psychology of BF Skinner
[42]
논문
Work or Fun? How Task Construal and Completion Influence Regulatory Behavior
[43]
논문
Cooling the heat of temptation: Mental self-control and the automatic evaluation of tempting stimuli
[44]
논문
Prescription Stimulants' Effects on Healthy Inhibitory Control, Working Memory, and Episodic Memory: A Meta-analysis
2015-06
[45]
서적
"Chapter 13: Higher Cognitive Function and Behavioral Control"
McGraw-Hill Medical
2009
[46]
간행물
Psychostimulants and cognition: a continuum of behavioral and cognitive activation
2014-01
[47]
웹사이트
Is alcohol a stimulant or depressant? Definition and more
https://www.medicaln[...]
2022-10-07
[48]
서적
Walden Two.
Hackett Publishing
1948
[49]
논문
To do or not to do: the neural signature of self-control
2007-08
[50]
논문
Intentional inhibition: how the "veto-area" exerts control
2009-09
[51]
논문
Fundamental components of attention
2005-11
[52]
논문
Clearing the mind: a working memory model of distraction from negative mood
https://research.vu.[...]
2024-03-15
[53]
논문
Impulse and Self-Control From a Dual-Systems Perspective
2009-03
[54]
논문
Perceptual Learning and Decision-Making in Human Medial Frontal Cortex
null
2011-05
[55]
간행물
Impulse Control Disorder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03-14
[56]
서적
Biological Psychology
[57]
논문
Self-control in decision-making involves modulation of the vmPFC valuation system
https://resolver.cal[...]
2024-03-15
[58]
논문
Effective Counseling Methods for High-Risk College Freshmen
West Virginia University
1975
[59]
논문
The physiology of willpower: linking blood glucose to self-control
http://carlo-hamalai[...]
2007-11
[60]
논문
Self-control relies on glucose as a limited energy source: willpower is more than a metaphor
2007-02
[61]
논문
The role of glucose in self-control: another look at the evidence and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2012-05
[62]
논문
Revisiting the Marshmallow Test: A Conceptual Replication Investigating Links Between Early Delay of Gratification and Later Outcomes
2018-07
[63]
논문
Study Reveals Brain Biology of Self-Control
2011-09-21
[64]
뉴스
At the Vortex of Self-Control: [The Arts/Cultural Desk]
2011-09-22
[65]
논문
Individual differences in ego depletion: The role of sociotropy-autonomy
[66]
서적
Cognitive Case Conceptualization: A Guidebook for Practitioner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67]
논문
Fighting self-control failure: Overcoming ego depletion by increasing self-awareness
https://cris.maastri[...]
2011-01
[68]
논문
Ego depletion and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a meta-analysis
2010-07
[69]
논문
Self-control training decreases anger and aggression in response to provocation in aggressive individuals.
[70]
논문
Executive functions
[71]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deficits and hoarding: a multimethod investigation across three samples
2013-02
[72]
논문
Executive functions
[73]
논문
Self-regulation and depletion of limited resources: Does self-control resemble a muscle?
http://doi.apa.org/g[...]
2000
[74]
논문
Longitudinal Improvement of Self-Regulation Through Practice: Building Self-Control Strength Through Repeated Exercise
http://www.tandfonli[...]
1999-08
[75]
논문
On the Meanings of Self-Regulation: Digital Humanities in Service of Conceptual Clarity
[76]
서적
A General Theory of Crime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77]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Self-Control: Assessing Self-Control with the ASEBA Self-Control Scale
2018-03
[78]
Bibleverse
Matthew 26:40–43
[79]
Bibleverse
Romans 7:14–20
[80]
서적
告白
[81]
서적
ニコマコス倫理学
[82]
논문
Imaginary relish and exquisite torture: the elaborated intrusion theory of desire
2005-04
[83]
논문
Everyday temptations: an experience sampling study of desire, conflict, and self-control
2012-06
[84]
논문
Desire: The new hot spot in self-control research
[85]
논문
What people desire, feel conflicted about, and try to resist in everyday life
2012-06
[86]
논문
Counteractive self-control in overcoming temptation.
http://doi.apa.org/g[...]
2000
[87]
논문
Counteractive self-control
2009-02
[88]
서적
Handbook of motivation science
Guilford Press
2008
[89]
논문
Self-Rationing Efficiency of Repeated Eating-Out Expenses
2017-01-11
[90]
논문
If it's good it must be bad: the indirect effect of temptation strength on self-control through perceived unhealthiness
2013-12
[91]
논문
Associations Between Movement Behaviors and Emotional Changes in Toddlers and Preschoolers During Early Stages of the COVID-19 Pandemic in Chile
[92]
서적
A Distinctive Approach to psychological research: the influence of Stanley Schacter
Earlbaum
1987
[93]
논문
Moving beyond deliberative control of impulses: the effect of construal levels on evaluative associations in self-control conflicts
2009-07
[94]
문서
en:Template:multiref2
[95]
서적
Behavior modification: What it is and how to do it
[96]
논문
Exchange delays and impulsive choice in adult humans
1994-09
[97]
논문
Token reinforcement, choice, and self-control in pigeons
1996-07
[98]
서적
Self-control: Waiting until tomorrow for what you want today.
Prentice-Hall, Inc
1995
[99]
논문
Self-control forecasts better psychosocial outcomes but faster epigenetic aging in low-SES youth
2015-08
[100]
논문
Can childhood self-control compensate for the health impact of social disadvantage? Results from two cohorts
https://www.ehps.net[...]
2017-12-31
[101]
논문
The Paradox of Effort
https://www.theatlan[...]
2017-04-06
[102]
문서
en:Template:multiref2
[103]
논문
The Kantian Capacity for Moral Self-Control: Abstraction at Two Levels
[104]
서적
意志力の科学
インターシフト
2013
[105]
서적
Losing control : how and why people fail at self-regulation
https://www.worldcat[...]
Academic Press
1994
[106]
논문
Personality as a Predictor of College Performance
http://journals.sage[...]
1995-04
[107]
논문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https://www.ncbi.nlm[...]
2004-04
[108]
논문
A gradient of childhood self-control predicts health, wealth, and public safety
http://www.pnas.org/[...]
2011-02-15
[109]
웹사이트
" 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BPD)"
https://www.msdmanua[...]
2024-01-02
[110]
서적
Science and Human Behavior
Simon and Schuster
1965
[111]
논문
Images of desire: cognitive models of craving
2004-07
[112]
서적
The Psychology of BF Skinner
[113]
논문
Imaginary relish and exquisite torture: the elaborated intrusion theory of desire
2005-04
[114]
서적
The Psychology of BF Skinner
[115]
논문
Work or Fun? How Task Construal and Completion Influence Regulatory Behavior
[116]
논문
Cooling the heat of temptation: Mental self-control and the automatic evaluation of tempting stimuli
[117]
문서
en:Template:multiref2
[118]
웹사이트
Depressants
https://www.drugfree[...]
2024-03-12
[119]
웹사이트
Is alcohol a stimulant or depressant? Definition and more
https://www.medicaln[...]
2023-11-21
[120]
서적
Walden Two.
Hackett Publishing
1948
[121]
논문
To do or not to do: the neural signature of self-control
2007-08
[122]
논문
Intentional inhibition: how the "veto-area" exerts control
2009-09
[123]
문서
en:Template:multiref2
[124]
논문
Clearing the mind: a working memory model of distraction from negative mood
2007-11
[125]
논문
Impulse and Self-Control From a Dual-Systems Perspective
2009-03
[126]
서적
Biological Psychology
[127]
논문
Self-control in decision-making involves modulation of the vmPFC valuation system
2009-05
[128]
문서
en:Template:multiref2
[129]
논문
The physiology of willpower: linking blood glucose to self-control
http://carlo-hamalai[...]
2007-11
[130]
논문
Self-control relies on glucose as a limited energy source: willpower is more than a metaphor
2007-02
[131]
논문
The role of glucose in self-control: another look at the evidence and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2012-05
[132]
문서
en:Template:multiref2
[133]
문서
en:Template:multiref2
[134]
뉴스
At the Vortex of Self-Control: [The Arts/Cultural Desk]
2011-09-22
[135]
논문
Individual differences in ego depletion: The role of sociotropy-autonomy
[136]
서적
Cognitive Case Conceptualization: A Guidebook for Practitioner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37]
논문
Running on empty: neural signals for self-control failure
https://www.ncbi.nlm[...]
2007-11
[138]
논문
Ego depletion and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a meta-analysis
2010-07
[139]
논문
Self-control training decreases anger and aggression in response to provocation in aggressive individuals.
[140]
서적
Chapter 10: Low Self-Control Is a Brain-Based Disorder
http://knowledge.sag[...]
SAGE Publications Ltd
2014
[141]
논문
Executive functions
[142]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deficits and hoarding: a multimethod investigation across three samples
2013-02
[143]
논문
On the Meanings of Self-Regulation: Digital Humanities in Service of Conceptual Clarity
[144]
논문
Violence restrained: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its depletion on aggression
2007-01-01
[145]
논문
Longitudinal improvement of self-regulation through practice: building self-control strength through repeated exercise
1999-08
[146]
서적
A General Theory of Crime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147]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Self-Control: Assessing Self-Control with the ASEBA Self-Control Scale
2018-03
[148]
서적
조직행동
[149]
서적
The self
McGraw-Hill Press
[150]
문서
Carver & Scheier, 1998; 김교헌, 2006에서 재인용
[151]
문서
Fiske & Tayor, 1991; 김교헌, 2006에서 재인용
[152]
웹인용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ion
http://www.uky.edu/~[...]
1991
[153]
웹인용
Self-Efficacy and Social Cognitive Theories
https://wikispaces.p[...]
2015-10-11
[154]
문서
(전성연 외 2인, 2000; Zimmerman & Schunk, 1989)
[155]
문서
Schunk & Zimmerman, 1994
[156]
문서
Schunk, 2000
[157]
문서
신민희, 1998; 이재경, 1999
[158]
문서
자기차이와 조절초점
[159]
문서
조절초점-해석수준 부합에 따른 자기조절 유지 효과성
성균관대학원
[160]
문서
행위 실행과 중지의 조절 초점 부합에 따른 자기-조절 효과성
성균관대학원
[161]
문서
조절초점-해석수준 부합에 따른 자기조절 유지 효과성
성균관대학원
[162]
뉴스
"[인문학 속으로] 미국인 65% 성취지향형 한국인 65% 안정지향형"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6-04-23
[163]
간행물
매니저-판매사원간 향상초점 부합이 판매사원의 창의적 행동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164]
간행물
시나리오 실험법을 통한 이슈리더십과 리더호감 간의 향상초점의 조절효과 검증
[165]
간행물
소년 비행유형과 조절초점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 대학원
[166]
간행물
안전문화 지각과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예방초점 및 운명주의의 조절효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