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완흉상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완흉상어는 흉상어과에 속하는 상어의 일종으로,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한다. 길고 날개 모양의 가슴지느러미와 등지느러미가 특징이며, 최대 4미터까지 성장한다. 다른 상어들보다 큰 지느러미와 흰 반점이 특징이다. 장완흉상어는 먹이를 가리지 않는 기회주의적 포식자이며, 다랑어, 오징어, 경골어류 등을 먹는다. 난태생으로, 1~1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이들은 상업적 어업의 대상이 되며, 샥스핀을 얻기 위한 남획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여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의 물고기 - 고래상어
    고래상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어류로 플랑크톤 등을 먹으며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지만, 혼획, 선박 충돌,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이스라엘의 물고기 - 황소상어
    황소상어는 전 세계 열대, 아열대 해역, 기수역, 담수에서 서식하며, 4m까지 자라는 크고 뚱뚱한 체형에 짧고 둥근 주둥이를 가진 상어로, 뛰어난 삼투압 조절 능력으로 담수 생존이 가능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어획과 서식지 파괴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다.
  • 흉상어과 - 황소상어
    황소상어는 전 세계 열대, 아열대 해역, 기수역, 담수에서 서식하며, 4m까지 자라는 크고 뚱뚱한 체형에 짧고 둥근 주둥이를 가진 상어로, 뛰어난 삼투압 조절 능력으로 담수 생존이 가능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어획과 서식지 파괴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다.
  • 흉상어과 - 레몬상어
    레몬상어는 아열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노란색을 띤 회색의 체색과 짧고 넓은 주둥이를 가진 사회적인 야행성 육식 동물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난태생으로 번식하지만, 어업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장완흉상어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요고레 (일본어)
영어 이름Oceanic whitetip shark (대양 흰팁 상어)
암컷 개체, 홍해에서 촬영, [[Pilot fish|길잡이고기]] 떼와 함께
암컷 개체, 길잡이고기 떼와 함께 헤엄치는 모습 (홍해)
학명Carcharhinus longimanus
명명자Poey, 1861
이명Squalus maou (Lesson, 1831)
Squalus longimanus (Poey, 1861)
Pterolamiops longimanus (Poey, 1861)
Carcharhinus obtusus (Garman, 1881)
Carcharhinus insularum (Snyder, 1904)
Pterolamiops magnipinnis (Smith, 1958)
Pterolamiops budkeri (Fourmanoir, 1961)
Carcharhinus maou (Lesson, 1831)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연골어강
흉상어목
흉상어과
흉상어속
보존 상태
IUCNCR (위급)
CITES부속서 II
분포
분포 지역
참고 문헌

2. 분류

장완흉상어는 1831년 르네프림베르 레송이 처음 기술했으며, 당시 학명은 ''Squalus maou''였다.[68] 레송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투아모투 제도에서 발견된 두 표본을 바탕으로 이 상어에게 폴리네시아어로 상어를 뜻하는 "maou"를 붙였다.[68] 그러나 레송의 설명과 이름은 얼마 동안 잊혀졌다.[68]

1861년 쿠바의 펠리페 포에이가 ''Squalus longimanus''라는 학명으로 다시 기술했다.[68] 종소명 ''longimanus''는 라틴어로 "긴 팔"을 의미하며, 가슴지느러미가 긴 데에서 유래한다.[47] ''Pterolamiops longimanus''라는 학명이 사용되기도 했다.[3]

국제동물명명규약에 따르면, 처음 학명을 붙인 사람에게 우선순위가 주어지기 때문에 장완흉상어의 유효한 학명은 ''Carcharhinus maou''여야 한다.[70] 하지만 레송의 학명은 너무 오랫동안 잊혀져 ''Carcharhinus longimanus''가 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70] 동물명명법국제심의회의 Official Lists and Indexes of Names in Zoology에서도 ''Carcharhinus longimanus''가 인정받고 있다.[49]

3. 분포 및 서식지

장완흉상어는 북위 45도에서 남위 43도 사이의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걸쳐 분포한다.[68][71] 2004년에는 스웨덴 서해안에서 장완흉상어 사체가 발견되어, 분포 최북단 한계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더 넓다는 것이 밝혀졌다.[72]

이들은 주로 20°C에서 28°C 사이의 따뜻한 바다를 선호하며,[70] 18°C 이상의 깊은 원양에서 발견된다.[71] 연안보다는 수심 150m 이상의 깊은 외양을 선호한다.[71] 육지에서 멀어질수록 개체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69] 하와이대륙붕이 좁은 지역에서는 수심 37m 정도의 얕은 바다에서 발견되기도 한다.[70]

4. 형태

장완흉상어는 다른 상어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외형을 가지고 있다. 가장 큰 특징은 길고 둥근 가슴지느러미등지느러미이며, 이 지느러미들의 끝에는 흰색 반점이 있다. 이러한 흰색 반점은 경계가 불분명하여 얼룩처럼 보이기도 한다. 어린 개체의 경우 흰색 반점이 없거나 검은색 반점이 있기도 하다. 첫째와 둘째 등지느러미 사이에는 안장 모양의 무늬가 있을 수 있다.[69]

장완흉상어의 턱


몸은 유선형이며, 등 쪽은 회색, 갈색, 또는 올리브색을 띠고 배 쪽은 흰색이다.[50] 주둥이는 평평하고 굽어 있다.[50]

최대 몸길이는 4m에 달하지만, 보통 3m를 넘지 않는다.[69] 최대 몸무게는 170kg이다.[69] 암컷이 수컷보다 10cm 정도 더 크다.[69][70]

4. 1. 이빨

장완흉상어의 양쪽 턱 이빨은 서로 다른 형태(이형)이다. 위턱의 이빨은 폭이 넓은 삼각형 모양이며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진다. 아래턱의 이빨은 가늘고 삼각형 모양이며, 끝 부분 근처에만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진다. 모든 이빨은 끝이 하나인 단첨두이다.[50]

5. 생태

장완흉상어는 보통 혼자서 느리게 헤엄쳐 다니며, 수면 가까이에서 넓은 지역을 관찰하면서 먹이를 찾는다.[69] 16세기 전까지는[75] 바닷사람들에게 '바다개'로 알려졌으며,[76] 배를 따라다니는 가장 흔한 상어였다.[70] 먹이로 보이는 물체가 나타나면 개와 같이 신중하고 빠르게 접근한다. 빠른 상어는 아니지만 순간 가속은 빠른 편이다. 미흑점상어와 먹이를 두고 경쟁할 때는 느린 속도를 공격적인 행동으로 보완한다.[70]

먹이를 찾아 동족이 모여들면 무리가 형성되기도 하며, 이때는 "피딩프렌지"를 보이기도 한다. 이는 해수의 피보다는 먹이에 대한 집착 때문이다 (먹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힘을 보존한다). 경쟁적이며, 쉽게 먹이를 잡는 것보다 직접 공을 들여서 얻는 것을 선호한다.[70]

다른 종과 달리 성과 크기에 따라 구분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다랑어나 오징어 무리를 따르며, 돌고래들쇠고래를 따라다니기도 하는데, 이는 오랜 기간 동안 굳어진 습성이며 선박을 따라다니게 된 원인이기도 하다. 열대 해양에서 고래잡이를 할 때 떠다니는 포획물을 훼손시키던 주범이기도 하다.[70]

5. 1. 먹이

장완흉상어는 먹이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먹이를 먹는 기회주의적 포식자이다. 주로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 창고기, 뱀장어, 바라쿠다, 전갱이, 만새기, 황새치, 참치, 고등어와 같은 경골어류를 먹지만,[6] 녹새치, 청새치, 다랑어를 먹기도 한다.[70]

폴리센트루스, 가오리, 바다거북, 조류, 부족류(소라, 고둥류), 갑각류, 고래의 시체, 해양 포유류 사체, 심지어 선박에서 버린 쓰레기를 먹기도 한다.[70][6]

먹이를 먹을 때는 물고기 무리를 물어뜯거나 입을 벌려 돌격하는 방식을 사용하며,[70] 흥분한 참치 떼 속을 입을 벌리고 헤엄쳐 들어가 물고기가 안으로 들어오기를 기다린 다음 물어뜯기도 한다.[5] 다른 종과 경쟁할 때는 난폭해지기도 한다.[70] 죠스의 작가 피터 벤츠리는 장완흉상어가 들쇠고래와 같이 헤엄치면서 변을 받아먹는 것을 목격했다고 한다.[74]

꼬치고기, 만새기, 빨판상어가 이 상어를 따를 수 있으며,[4] 하와이 근해에서 촬영된 개체의 피부에 있는 빨판 자국 형태의 증거는 이 종이 대왕오징어와 싸울 만큼 깊이 잠수할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13]

5. 2. 번식

장완흉상어는 난태생으로, 기초적인 태반이 있어 배 안의 새끼에게 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임신 기간은 1년 정도이다.[67] 한 번에 1~15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갓 태어난 새끼의 몸길이는 60cm 정도이다.[67]

번식기는 북서 대서양과 남서 인도양에서는 이른 여름이지만, 태평양에서 잡힌 암컷은 연중 새끼를 배고 있어 이 지역에서는 번식기가 더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70]

수컷은 1.7~1.9m, 암컷은 1.8~2.0m 정도 자라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성숙 연령은 4~5세라는 보고도 있다.

6. 인간과의 관계

장완흉상어는 상업적 어업의 대상이며, 지느러미는 샥스핀으로, 고기는 훈제하거나 말려서 식용으로, 가죽은 피혁 제품으로 이용된다.[70] 과거에는 샥스핀을 얻기 위한 남획이 심각했으나, 현재는 참치 연승어업 등에서 혼획되는 경우가 많다.[70]

1969년, Lineaweaver와 Backus는 장완흉상어를 "지구상에서 100파운드(45kg)가 넘는 가장 흔한 대형 동물일 것이다"라고 기록했다.[32] 그러나 195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미국 원양 롱라인 조사 자료와 관찰 자료를 종합한 결과, 북서 대서양과 멕시코만 지역에서 개체수가 99.3%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었다.[7] 2021년 1월 네이처지에 게재된 연구에서는 공해상 상어와 가오리류 31종의 개체수가 약 50년 만에 71% 감소했으며, 장완흉상어도 여기에 포함되었다.[34][35]

2019년 기준, IUCN 적색 목록은 장완흉상어를 심각한 위기종으로 등재했다. 이는 모든 서식 해역에서 개체수가 감소했기 때문이며, "3세대 길이(61.2년)에 걸쳐 80% 이상 감소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약 98%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1]

일본에서는 매년 14톤 정도가 어획되며, 대부분 참치 연승어업에 의한 혼획이다.[52] 자원량 감소 추세에 따라 대서양 참치류 보존 국제 위원회(ICCAT), 전미 열대 참치류 위원회(IATTC), 중서부 태평양 참치류 위원회(WCPFC)의 규제 대상이다.

2013년 3월, 장완흉상어는 CITES 부속서 II에 추가되어 국제 거래를 위해 CITES 허가가 필요하다.[38] 2018년 1월 30일,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장완흉상어를 미국 멸종 위기 종 보호법(ESA)에 따라 위협 종으로 지정했다.[39] 2013년 1월 3일부터 뉴질랜드 영해에서 장완흉상어는 야생동물 보호법 1953에 따라 완전히 보호받고 있다.[40][41] 뉴질랜드 자연보존부는 장완흉상어를 뉴질랜드 위협 분류 시스템에 따라 "이주"종으로 분류하고 "해외 안정"이라는 수식어를 사용했다.[42]

6. 1. 위험성

장완흉상어는 잠재적으로 인간에게 위험한 종으로 간주된다. 특히 외양에서 조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장완흉상어에게 공격받은 사례가 다수 보고되었다.[70][64][65]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침몰한 선박의 생존자들이 장완흉상어에게 공격받은 사례는 널리 알려져 있다.[64][65]

유명한 해양생물학자인 자크 쿠스토는 장완흉상어를 상어 중 가장 위험한 종으로 설명했다.[77][21][54] 백상아리를 비롯하여 해안에 접근하는 다른 상어들이 저지른 인간에 대한 공격보다 훨씬 더 많은 사건을 일으켰으며, 이는 침몰된 선박이나 추락한 항공기의 승무원과 승객을 해쳤기 때문이다.[70]

일례로 1945년 7월 30일 USS 인디애나폴리스 침몰 사건에서는 최소 60명에서 80명의 선원이 상어에게 희생된 것으로 나타났다.[64] 이 사건에는 뱀상어 또한 연루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인된 바는 없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노바스코샤 여객선이 독일 잠수함에 공격받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근에서 침몰했을 때, 탑승객 1,000명 중 192명만이 생존했으며, 사망자 대다수는 장완흉상어 때문이었다.[65][26]

2010년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 인근 홍해에서는 장완흉상어 한 마리가 관광객들을 여러 차례 공격하여 1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상어는 사람 손으로 먹이를 주는 것에 익숙해진 것으로 밝혀졌다.[28][29]

장완흉상어는 해안이나 내해에서는 인간에게 큰 위협이 되지 않지만, 대양에서는 위협적일 수 있다. 포악하고 인간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64] 잠수부들이 피해 없이 헤엄치는 경우도 있다. 접근 시에는 주의가 필요하며, 주변에서 물고기를 작살로 잡는 행위는 피해야 하고, 상어가 접근하면 신속히 피하는 것이 좋다. 잠수부를 밀기 시작할 때 주둥이, 아가미, 눈을 치는 것이 대책으로 제시되지만, 장완흉상어에게는 효과가 덜하다는 경험담도 있다.[70]

인디애나폴리스 승무원 생존자들은 "수일간의 음료수 부족이 문제였으며, 상어는 거의 신경 쓰이지 않았다"라고 증언하여, 실제 위험성이 과장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6. 2. 사육

장완흉상어는 사육이 어려운 종이지만, 몇몇 수족관에서 사육에 성공한 사례가 있다. 기록된 5마리의 포획된 장완흉상어 중 시간 기록이 있는 3마리는 모두 1년 이상 생존했다. 이 중 몬터레이 베이 수족관의 아우터 베이 전시관에 있던 암컷은 2003년 사망하기 전까지 3년 이상 살았으며, 그 동안 0.3m 성장했다.[30][31] 나머지 두 마리는 시간 기록이 없지만, 포획 기간 동안 약 0.5m 성장했다.[30]

1992년 9월 21일, 미국 해양 어업국이 적도 부근 해역에서 잡은 수컷 치어를 와이키키 수족관으로 옮겨 사육했으나, 주둥이 끝의 상처가 낫지 않아 약 1년 3개월 후에 사망했다.[57] 바하마의 수족관 시설 코랄 월드에서는 1989년 5월에 잡은 귀상어를 전시 수조에 반입하여 검은꼬리상어나 간호상어와 함께 사육했지만, 1년 후 방류되었다.[57]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아쿠아리움에서는 1m의 귀상어를 2일간 수송하여 1.5m가 될 때까지 사육했다. 몬터레이 베이 수족관에서는 2000년 10월에 잡은 암컷 귀상어를 2003년 12월 22일 감염증으로 사망할 때까지 사육했다.[57]

일본에서는 1988년 이전에 국영 오키나와 기념공원 수족관이 "쿠로시오의 바다" 수조(1,100t)에서 전시에 성공하여 약 7개월 동안 사육했지만, 함께 있던 황소상어에게 잡아먹혔다.[58]

이처럼 장완흉상어는 청상아리백상아리보다는 사육 환경에 적응하기 쉽지만, 여전히 장기간 사육에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 보존 노력

장완흉상어는 남획과 혼획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여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 목록에 '위급(Critically Endangered)' 종으로 등재되었다.[1] 전 세계 총 개체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3세대 길이(61.2년)에 걸쳐 80% 이상 감소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약 98%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1] 1969년, Lineaweaver와 Backus는 장완흉상어에 대해 "지구상에서 100파운드(45kg)가 넘는 가장 흔한 대형 동물일 것이다"라고 썼지만,[32] 2021년 1월 네이처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공해에서 발견되는 31종의 상어와 가오리류의 수가 약 50년 만에 71% 감소했으며, 장완흉상어도 이 연구에 포함되었다.[34][35]

멕시코만에서 이루어진 연구에 따르면 195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 개체수가 99.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79] 자료수집 방법과 어획법의 변화가 고려되지 않아 추정치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80]

장완흉상어는 주로 어업에 의해 위협받으며, 롱라인, 낚싯줄, 자망, 트롤에 의해 희생된다.[1][5] 이들은 지느러미(샥스핀)와 고기를 위해 사용되며,[1][5] 신선, 훈제, 건조, 염장하여 먹거나 가죽을 만들기도 한다.[5]

1995년 유엔의 동의에 의하면 연안어업과 어획국은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하였지만, 현재까지 이에 대한 진척은 거의 없다.[67] 2013년 3월, 장완흉상어는 CITES 부속서 II에 추가되어 국제 거래를 위해 CITES 허가를 받아야 한다.[38]

일본에서는 매년 14톤 정도가 어획되며, 대부분 참치 연승어업에 의한 혼획이다.[52] 자원량은 감소 추세에 있으며, 대서양 참치류 보존 국제 위원회(ICCAT), 전미 열대 참치류 위원회(IATTC), 중서부 태평양 참치류 위원회(WCPFC)의 규제 대상이다. 2010년 CITES 제15차 당사국 회의에서는 부속서 II 등재가 제안되었으나 부결되었다.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장완흉상어의 보호를 위해 샥스핀 소비를 줄이고, 혼획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참조

[1] 간행물 "''Carcharhinus longimanus''" 2019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웹사이트 2008-08-18
[4] 웹사이트 Oceanic Whitetip Shark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6-07-22
[5]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2-09-24
[6] FishBase
[7] 논문 Shifting baselines and the decline of pelagic sharks in the Gulf of Mexico http://www.fmap.ca/r[...]
[8] 논문 Temperature and the vertical movements of oceanic whitetip sharks, Carcharhinus longimanus 2018-05-29
[9] 서적 Sharks of the Shallows: Coastal Species in Florida and the Bahamas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17-08-31
[10] 웹사이트 Consideration of Proposals for Amendment of Appendices I and II (CoP15 Prop. 16) http://www.cites.org[...]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CITES) 2010-03
[11] 논문 Temperature and the vertical movements of oceanic whitetip sharks, ''Carcharhinus longimanus''
[12] 논문 Optimal swimming strategies and behavioral plasticity of oceanic whitetip sharks
[13] 웹사이트 This shark fought off a deep-sea squid, first-ever picture reveals https://www.national[...] 2020-06-05
[14] 서적 The History of Underwater Exploration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2016-07-15
[15] 논문 Diet shift and site-fidelity of oceanic whitetip sharks ''Carcharhinus longimanus'' along the Great Bahama Bank
[16] 서적 The Biology and Ecology of the Oceanic Whitetip Shark, ''Carcharhinus Longimanus'' Blackwell Publishing Ltd
[17] 논문 Age, Growth and Reproduction of the Oceanic Whitetip Shark from the Pacific Ocean
[18] 논문 Age, growth and stock structure of the oceanic whitetip shark, ''Carcharhinus longimanus'', from the southwestern equatorial Atlantic
[19] 논문 Reproductive aspects of the oceanic whitetip shark, ''Carcharhinus longimanus'' (Elasmobranchii: Carcharhinidae), in the equatorial and southwestern Atlantic Ocean
[20] 웹사이트 Carcharhinus longimanus summary page https://www.fishbase[...] 2024-11-18
[21] 서적 The Shark: Splendid Savage of the Sea Doubleday & Company, Inc.
[22] 웹사이트 Hemingway's Sharks https://seahistory.o[...] National Maritime Historical Society 2022-12-09
[23] 서적 In Harm's Way: The Sinking of the USS Indianapolis and the Extraordinary Story of Its Survivors H. Holt
[24] 웹사이트 Elasmo Research http://www.elasmo-re[...] ReefQuest 2006-02-06
[25] 서적 Shark! Unpredictable Killer of the Sea Collier Books 1969
[26] 서적 Sharks of the east coast of southern Africa. 1. The genus Carcharhinus (Carcharhinidae) http://www.saambr.or[...] Oceanographic Research Institute
[27] 논문 Suspected predatory bites on a snorkeler by an oceanic whitetip shark ''Carcharhinus longimanus'' off Moorea island (French Polynesia)
[28] 뉴스 Egypt: German tourist killed in fourth Sharm el-Sheikh shark attack in a week https://www.telegrap[...] telegraph.co.uk 2010-12-05
[29] 뉴스 US Experts Head to Egypt to Probe Shark Attacks http://www.cbsnews.c[...] CBS News 2010-12-07
[30] 웹사이트 Oceanic Whitetip Shark Carcharhinus longimanus (Poey, 1861) in Captivity http://elasmollet.or[...] H. F. Mollet 2014-05-15
[31] 웹사이트 Monterey aquarium whitetip shark dies after three years https://napavalleyre[...] 2003-12-24
[32]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Sharks https://archive.org/[...] Lippincott
[33] 논문 Robust estimates of decline for pelagic shark populations in the northwest Atlantic and Gulf of Mexico
[34] 뉴스 Extinction: 'Time is running out' to save sharks and rays https://www.bbc.com/[...] 2021-01-28
[35] 뉴스 Shark, ray populations have declined by 'alarming' 70 per cent since 1970s, study finds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1-01-27
[36] 논문 Vulnerability of the oceanic whitetip shark to pelagic longline fisheries
[37] 논문 Elevated accumulation of the toxic metal mercury in the Critically Endangered oceanic whitetip shark ''Carcharhinus longimanus'' from the northwestern Atlantic Ocean
[38] 웹사이트 'Historic' day for shark protection https://www.bbc.co.u[...] 2013-03-11
[39] 웹사이트 Home page of NOAA Fisheries Service – Pacific Islands Regional Office http://www.fpir.noaa[...] 2018-06-21
[40] 웹사이트 Endangered whitetip sharks to be protected https://www.doc.govt[...] New Zealand Government 2012-09-27
[41] 웹사이트 Wildlife (Oceanic Whitetip Shark) Order 2012 http://www.legislati[...] New Zealand government gazette 2012-12-06
[42] 서적 Conservation status of New Zealand chondrichthyans (chimaeras, sharks and rays), 2016 https://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19-01-17
[43] 간행물 Carcharhinus longimanus
[44] 문서 "佐藤隆平・仲谷一宏・長谷部明石.1987.原色魚類図鑑-気仙沼市魚市場に水揚げされる魚類 改訂版.野崎印刷紙業株式会社,気仙沼市.Pp.19。[http://ggt.or.jp/lib/fisheryguide_sharks_2020.pdf 国営沖縄記念公園水族館 (1988)] - 水族館動物図鑑 沖縄の海の生きもの. 財団法人 海洋博覧会記念公園管理財団. pp. 125。下瀬(2021)「沖縄さかな図鑑」,沖縄県"
[45] 웹사이트 Catalog of Fishes Search→Squalus maou http://www.itis.gov/[...] 2014-12-10
[46] 간행물 2008-08-18
[47] 웹사이트 Oceanic Whitetip Shark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6-07-22
[48]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49] 웹사이트 Official Lists and Indexes of Names in Zoology http://iczn.org/site[...] 2014-12-10
[50] URL https://www.floridamuseum.ufl.edu/discover-fish/species-profiles/carcharhinus-longimanus/
[51] URL Biological Profiles: Oceanic whitetip shark http://www.flmnh.ufl[...]
[52] URL 平成24年度国際漁業資源の現況 No.41 その他外洋性サメ類 http://kokushi.job.a[...] 水産庁・独立行政法人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53] URL Introduction to the 5 Most Dangerous Sharks http://animal.discov[...] Animal Planet
[54] 웹사이트 Shark attack: the resort killer with chilling echoes of Jaws http://www.telegraph[...] デイリー・テレグラフ 2010-12-05
[55] 웹사이트 Oceanic whitetip shark: ten facts http://www.telegraph[...] Telegraph 2010-12-06
[56] 웹사이트 What made the Red Sea sharks attack?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10-12-07
[57] 웹사이트 Ocianic whitetip shark (Carcharhinus longimanus) in Captivity http://elasmollet.or[...] 2019-11
[58] 서적 水族館動物図鑑 沖縄の海の生きもの 財団法人 海洋博覧会記念公園管理財団
[59] 논문 바하마 상어 http://www.nationalg[...] 2008-11-18
[60] 웹인용 장완흉상어 http://www.encyber.c[...] 엔싸이버 2008-11-18
[61] 웹인용 장완흉상어 (Carcharhinus longimanus) http://www.iucnredli[...] 국제자연보호연맹 2008-10-27
[62] 웹인용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63] 서적 상어들 Firefly Guide
[64] 웹인용 Elasmo Research http://www.elasmo-re[...] ReefQuest 2006-02-06
[65] 문서 Bass, A.J., J.D. D'Aubrey & N. Kistnasamy. 1973. "Sharks of the east coast of southern Africa. 1. The genus Carcharhinus (Carcharhinidae)." Invest. Rep. Oceanogr. Res. Inst., Durban, no. 33, 168 pp.
[66] 문서 Baum, J.K. and Myers, R.A. 2004. Shifting baselines and the decline of pelagic sharks in the Gulf of Mexico. Ecology Letters. 7(3): 135–45.
[67] 웹인용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Carcharhinus longimanus http://www.iucnredli[...] 2006-07-18
[68] 웹인용 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Carcharhinus longimanus http://www.itis.gov/[...] 2008-08-18
[69] 웹인용 장완흉상어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6-07-22
[70] 서적 전 세계의 상어: 지금까지 알려진 상어에 대한 설명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71] 웹인용 Carcharhinus longimanus(장완흉상어의 학명) http://www.fishbase.[...] FishBase 2006-02-06
[72] 웹인용 Fishwatcher https://web.archive.[...] Fishwatcher 2011-09-16
[73] 서적 상어:사진가의 이야기 Sierra Club Books
[74] 서적 상어 문제 Random House
[75] 웹인용 온라인 어원 사전 http://www.etymonlin[...] 2006-08-08
[76] 서적 심해탐사의 역사 Courier Dover Publications
[77] 서적 상어들: 화려하면서 사나운 바다물고기 Doubleday & Company, Inc
[78] 서적 상어의 역사 Lippincourt
[79] 논문 Shifting baselines and the decline of pelagic sharks in the Gulf of Mexico
[80] 논문 Robust estimates of decline for pelagic shark populations in the northwest Atlantic and Gulf of Mexi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