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이토 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차 이토 내각은 1898년 1월 12일부터 1898년 6월 30일까지 이토 히로부미가 총리대신을 맡아 구성된 일본의 내각이다. 이토는 정당과의 연립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의회 기반 없이 내각을 출범시켰다. 조슈벌이 우세한 내각 구성 하에, 대외적으로는 청나라 분할 위기에 대한 국외 중립 외교를 펼쳤고, 국내적으로는 궁중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제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 의회 운영의 어려움과 반발 세력의 반발로 인해 총사퇴했다. 제3차 이토 내각은 5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존속하며 뚜렷한 성과를 남기지는 못했지만, 입헌정우회 창설을 통해 일본 정당 정치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8년 일본 - 이토시마 지진
- 1898년 일본 - 제2차 마쓰카타 내각
마쓰카타 마사요시가 내각총리대신과 대장대신을 겸임하며 출범한 제2차 마쓰카타 내각은 진보당과의 연립, 금본위제 확립 등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당과의 갈등과 연립 실패, 중의원 해산 후 총사퇴로 막을 내리며 번벌 정치에 영향을 주었다. - 메이지 시대의 내각 - 제2차 마쓰카타 내각
마쓰카타 마사요시가 내각총리대신과 대장대신을 겸임하며 출범한 제2차 마쓰카타 내각은 진보당과의 연립, 금본위제 확립 등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당과의 갈등과 연립 실패, 중의원 해산 후 총사퇴로 막을 내리며 번벌 정치에 영향을 주었다. - 메이지 시대의 내각 - 제1차 오쿠마 내각
오쿠마 시게노부가 총리대신과 외무대신을 겸임하며 출범한 제1차 오쿠마 내각은 일본 최초의 정당 내각이라는 역사적 의의를 지니나, 헌정당 내부 갈등으로 단명했으며 대한제국에 대한 영향력 확대 정책을 추진했다. - 이토 히로부미 - 안중근
안중근은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동양 평화를 주장하며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이다. - 이토 히로부미 - 입헌정우회
입헌정우회는 1900년 이토 히로부미가 창당한 일본 정당으로, 게이엔 시대를 거치며 원내 제1당 지위를 유지하고 하라 다카시 시대에는 정당 내각을 구성하는 등 전성기를 맞았으나, 이후 분열과 군부 영향력 확대로 1940년 해산되었다.
제3차 이토 내각 | |
---|---|
내각 정보 | |
내각 이름 | 제3차 이토 내각 |
일본어 표기 | 第3次伊藤内閣 (だいさんじ いとうないかく) |
대수 | 7대 |
수상 이름 | 이토 히로부미 |
수상 전직 | 원로, 백작 |
성립 연도 | 1898년 |
성립 날짜 | 1월 12일 |
종료 연도 | 1898년 |
종료 날짜 | 6월 30일 |
여당 | 번벌 내각 |
선거 | 제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해산 | 1898년 6월 10일 |
총리대신 | 이토 히로부미 |
![]() | |
상세 정보 | |
존속 기간 | 1898년 1월 - 1898년 6월 |
천황 | 메이지 |
전임 | 제2차 마쓰카타 내각 |
후임 | 제1차 오쿠마 내각 |
총 의원 수 | 해당 정보 없음 |
이전 의원 수 | 해당 정보 없음 |
정당 | 해당 정보 없음 |
의회 상태 | 해당 정보 없음 |
야당 내각 | 해당 정보 없음 |
야당 | 해당 정보 없음 |
야당 지도자 | 해당 정보 없음 |
선거 | 1898년 3월 총선거 |
임기 | 1894년 9월–1898년 3월 1898년 3월–1898년 8월 |
2. 내각 구성 및 성립 배경
제2차 마쓰카타 내각은 지조 증징 문제로 의회와 대립하다 1897년 12월 25일 중의원 해산 후 총사퇴했다. 마쓰카타 마사요시의 후임으로 1898년 1월 12일, 이토 히로부미가 세 번째로 총리대신에 취임했다.[2]
이토는 안정적인 정권 운영을 위해 자유당, 진보당과의 대연립을 추진했으나, 내무대신직 등을 둘러싼 갈등으로 실패했다. 결국 정당의 협력을 얻지 못한 채 초연 내각을 구성할 수밖에 없었다. 이토 히로부미 계열의 사이온지 긴모치(문부대신), 이토 미요지(농상무대신), 스에마쓰 겐초(체신대신)와 야마가타 아리토모 계열의 요시카와 아키마사(내무대신), 가쓰라 다로(육군대신), 소네 아라스케(사법대신) 등이 내각을 구성했다.
직위 | 대신 | 정당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내각총리대신 | 이토 히로부미 | 무소속 | 1898년 1월 12일 | 1898년 6월 30일 |
외무대신 | 니시 도쿠지로 | 무소속 | 1898년 1월 12일 | 1898년 6월 30일 |
내무대신 | 요시카와 아키마사 | 무소속 | 1898년 1월 12일 | 1898년 6월 30일 |
대장대신 | 이노우에 가오루 | 무소속 | 1898년 1월 12일 | 1898년 6월 30일 |
육군대신 | 가쓰라 다로 | 육군 | 1898년 1월 12일 | 1898년 6월 30일 |
해군대신 | 사이고 주도 | 국민협회 | 1898년 1월 12일 | 1898년 6월 30일 |
사법대신 | 소네 아라스케 | 무소속 | 1898년 1월 12일 | 1898년 6월 30일 |
문부대신 | 사이온지 긴모치 | 무소속 | 1898년 1월 12일 | 1898년 4월 30일 |
도야마 마사카즈 | 무소속 | 1898년 4월 30일 | 1898년 6월 30일 | |
농상무대신 | 이토 미요지 | 무소속 | 1898년 1월 12일 | 1898년 4월 26일 |
가네코 겐타로 | 무소속 | 1898년 4월 26일 | 1898년 6월 30일 | |
체신대신 | 스에마쓰 겐초 | 무소속 | 1898년 1월 12일 | 1898년 6월 30일 |
무임소대신 | 구로다 기요타카 | 육군 | 1898년 1월 12일 | 1898년 6월 27일 |
2. 1. 국무대신
백작
남작

자작

백작

자작
(육군중장→)육군대장

국민협회 회두
백작
해군대장
육군중장


귀족원
후작

귀족원

남작

귀족원
남작

남작

백작
육군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