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주의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국주의론은 블라디미르 레닌을 중심으로 한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로 규정한 제국주의를 분석한 이론이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레닌은 전쟁을 자본주의 열강의 식민지 쟁탈전으로 규정하고, 카를 카우츠키의 초제국주의론을 비판하며 제국주의 전쟁이 자본주의의 필연적인 결과라고 주장했다. 레닌은 제국주의를 생산과 자본의 독점, 금융 자본의 형성, 자본 수출, 세계 분할, 그리고 자본주의의 기생성과 부패로 특징지었다. 그는 제국주의가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극복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제국주의와 탈식민주의 간의 투쟁이 인류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갈등이라고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국주의를 소재로 한 책 - 제국의 시대
《제국의 시대》는 에릭 홉스봄이 쓴 역사서로, 1880년대부터 1914년까지의 시기를 다루며, 경제 공황 이후 자본주의 세계 경제의 회복, 제국주의의 확산, 사회주의의 등장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19세기 후반의 사회상을 종합적으로 조명한다. - 제국주의를 소재로 한 책 - 자본의 시대
자본의 시대는 1848년부터 1870년대 중반까지 유럽의 혁명, 경제 호황, 기술 발전, 사회 변화, 식민지 지배 강화, 사회주의 사상 확산 등을 다루는 역사적 개념이다. - 1916년 책 - 일반언어학 강의
일반언어학 강의는 소쉬르의 제자들이 그의 강의 노트를 바탕으로 편집하여 출간한 책으로, 랑그와 빠롤, 기표와 기의, 공시태와 통시태 등의 개념을 제시하며 현대 언어학의 기초를 다지고 구조주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내용 정확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 1916년 책 - 왜 사람들은 싸우는가
왜 사람들은 싸우는가는 사회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책으로, 국가, 전쟁, 재산, 교육, 결혼과 인구 문제, 종교와 교회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개인과 사회의 역할을 강조한다. - 1917년 책 - 마이크로프트 홈즈
마이크로프트 홈즈는 아서 코난 도일의 소설 속 인물로, 탐정 셜록 홈즈의 형이며 뛰어난 추리력을 지녔지만 직접 사건 해결보다는 조언을 선호하고 영국 정부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인물로 묘사되며, 다양한 미디어에서 묘사되었다. - 1917년 책 - 국가와 혁명
《국가와 혁명》은 블라디미르 레닌이 1917년에 저술한 책으로,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국가의 역할과 혁명 이후 국가 소멸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며,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거쳐 국가가 소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제국주의론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서지 정보 | |
제목 |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고단계 |
로마자 표기 | Imperializm, kak vysshaya stadiya kapitalizma |
다른 표기 | (출판 당시 표기) |
저자 | 블라디미르 레닌 |
국가 | 러시아 공화국 |
언어 | 러시아어 |
장르 | 정치경제학, 경제 이론, 사회 비평 |
출판일 | 1917년 |
위키문헌 | 레닌의 저작 |
![]() |
2. 역사적 배경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당시 멘셰비키와 개량주의자들을 포함한 다수의 각국 사회주의자들은 '조국 방위'라는 명분으로 전쟁을 지지했다. 그러나 블라디미르 레닌을 주축으로 한 볼셰비키는 이 전쟁을 자본주의의 전형적인 제국주의 전쟁이라고 반대했다. 레닌은 《제국주의론》을 통해 당시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자본주의와 제국주의 간의 불가분 관계, 자본주의의 모순, 그리고 사회주의 혁명의 필연성을 마르크스주의 철학과 경제학을 바탕으로 연구했다.
레닌은 제1차 세계 대전이 제국주의 국가 간의 "병합, 약탈, 강탈 전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본주의가 국내 시장에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 은행과 산업 카르텔의 합병으로 금융 자본주의가 발생하고, 자본을 미개발 및 개발도상국으로 수출하고 투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금융 행위는 결과적으로 세계를 독점 기업으로 나누고, 미개발 국가를 식민지화하면서 기업과 정부는 세계 인구 대부분의 노동 착취를 놓고 지정학적 갈등을 벌이게 된다고 보았다.
레닌은 존 A. 홉슨의 ''제국주의: 연구''(1902)와 루돌프 힐퍼딩의 ''금융 자본''(1910)에서 제국주의에 대한 분석을 차용하여, 유럽 제국 간의 제국주의적 경쟁으로 인해 발생한 제1차 세계 대전의 지정학적 상황에 적용했다. 그는 카를 카우츠키가 주장한 초제국주의론, 즉 제국 열강들이 연합하여 민족주의적, 경제적 대립을 초제국주의 체제로 흡수하여 미개발 세계에 대한 식민주의적 착취를 공동으로 수행한다는 이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반박했다.
레닌은 유럽 제국 간의 국제 관계에서의 세력 균형이 끊임없이 변화하여 초제국주의의 정치적 통일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그러한 정치적 불안정이 협력보다는 경쟁과 갈등을 유발한다고 주장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 인터내셔널의 붕괴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멘셰비키와 개량주의자들을 포함한 다수의 각국 사회주의자들은 '조국 방위'라는 명분으로 전쟁을 지지했다. 이는 1912년 제2 인터내셔널에서 전쟁에 반대하는 결의(바젤 선언)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일어난 일이었으며, 이로 인해 제2 인터내셔널은 사실상 붕괴되었다.[14]독일 사회민주당의 지도자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권위자였던 카를 카우츠키는 전쟁 지지파와 블라디미르 레닌 등 전쟁 반대파 사이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며 양측의 융합을 시도했다. 그는 제국주의 열강이 공동으로 세계를 착취하는 초제국주의의 출현 가능성을 언급하며, 제국주의는 열강이 취하는 정책 중 하나일 뿐 필연적인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14]
레닌은 '조국 옹호'를 내세운 전쟁 찬성파와 카우츠키의 주장에 반박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는 제국주의 전쟁이 열강의 정책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며 절대적으로 피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전쟁 지지파가 노동 운동과 사회주의 운동 내에서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초과 이윤에 의한 노동 귀족의 배양'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14]
2. 2. 레닌과 볼셰비키의 입장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멘셰비키와 개량주의자들을 포함한 다수의 각국 사회주의자들은 조국방위라는 명분으로 전쟁을 지지했다. 그러나 블라디미르 레닌을 주축으로 한 볼셰비키는 이 전쟁을 자본주의의 전형적인 제국주의 전쟁이라고 반대했다.[9] 레닌은 제1차 세계 대전이 제국 간의 "병합, 약탈, 강탈 전쟁"이며, 자본주의 열강들의 식민지 쟁탈전이고 노동자 계급에게는 아무런 이익이 없다고 주장했다.레닌은 유럽 제국 간의 국제 관계에서의 세력 균형이 끊임없이 변화하여 초제국주의의 정치적 통일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그러한 정치적 불안정이 협력보다는 경쟁과 갈등을 유발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레닌은 자본주의적 세계 시스템에 대한 반란은 서유럽의 산업화된 사회의 도시 노동자가 아닌, 식민지와 반식민지(제국주의 시스템의 약점)의 "10억 명"의 사람들에 의해 실현될 것이라고 제안했다.[11] 그 혁명은 그와 볼셰비키가 1917년 10월 혁명에서 정치적 지휘권을 성공적으로 획득한 차르 러시아와 같은 미개발 국가에서 선진(산업) 자본주의 국가로 확대될 것이었다.[10] 레닌은 제3 인터내셔널 (1919–1943)을 통해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의 이론을 실현할 것을 기대했다.[12]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직전인 1914년, 제2 인터내셔널에 모였던 사회주의자들은 전쟁에 반대하는 결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쟁이 시작되자 그 주류는 자국의 전쟁을 지지하는 "조국 옹호"의 태도를 취했고, 제2 인터내셔널은 사실상 붕괴되었다.
독일 사회민주당의 지도자이며, 당시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권위자였던 카를 카우츠키는 "조국 옹호"를 외친 전쟁 지지파와 레닌 등 전쟁 반대파의 중간인 "중간파"에 위치하며, 양자의 융합을 꾀하려 했다. 또한 이론적으로는, 제국주의 열강이 공동으로 세계를 착취하는 의 출현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며, 제국주의는 열강이 취하는 "정책" 중 하나이며, 반드시 불가피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레닌은, 이 "조국 옹호"를 내세운 전쟁 찬성파의 논의와 함께, 카우츠키의 논의에 반론을 제기할 필요성을 절감했고, 제국주의 전쟁은 열강의 "정책" 중 하나가 아니라,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에서 필연적인 현상이며, 절대적으로 불가피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2. 3. 카우츠키의 '초제국주의론' 비판
카를 카우츠키는 "조국 옹호"를 외친 전쟁 지지파와 레닌 등 전쟁 반대파의 중간인 "중간파"에 위치하며, 양자의 융합을 꾀했다. 또한 이론적으로는, 제국주의 열강이 공동으로 세계를 착취하는 초제국주의의 출현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며, 제국주의는 열강이 취하는 "정책" 중 하나이며, 반드시 불가피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14]레닌은 카우츠키의 주장에 대해 제국주의 전쟁은 열강의 "정책" 중 하나가 아니라,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에서 필연적인 현상이며, 절대적으로 불가피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또한, 이러한 전쟁 지지파가 왜 노동 운동이나 사회주의 운동 안에서 발생하는지에 대한 해명의 필요성에도 직면하여, "초과 이윤에 의한 노동 귀족의 배양"이라는 개념에 도달했다.[14] 레닌은 금융 자본과 트러스트가 실제로 세계 경제의 서로 다른 부분 간의 성장률 불균등을 증가시키며, 이는 제국주의 열강 간의 전쟁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9]
레닌은 카우츠키에게 반박하며 유럽 제국 간의 국제 관계에서의 세력 균형이 끊임없이 변화하여 초제국주의의 정치적 통일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그러한 정치적 불안정이 협력보다는 경쟁과 갈등을 유발한다고 주장했다.
3. 제국주의의 주요 특징
레닌은 제국주의를 자본주의의 특수한 단계로 규정하고,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주요 특징을 제시했다.[7]
1. 생산과 자본의 집적이 고도로 발전하여 경제생활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는 독점체를 창출한다.
2. 은행 자본과 산업 자본이 융합하여 '금융 자본'이 형성되고, 이를 바탕으로 금융 과두제가 등장한다.
3. 상품 수출보다 자본 수출이 특별히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4. 세계를 분할하는 자본가들의 국제적 독점 단체들이 형성된다.
5. 자본주의 열강들이 지구 영토 분할을 완료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자본주의 발전의 최고 단계로서 제국주의의 본질을 보여준다.
3. 1. 생산의 집적과 독점
자유 경쟁 단계의 자본주의에서는 생산의 집적이 일어나 독점체가 나타난다.[1] 이는 소수의 대기업이 시장을 지배하는 현상으로, 자본주의 발전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한다.3. 2. 은행과 그 새로운 역할
은행은 단순한 중개자를 넘어 산업과 금융에 대한 통제력을 행사하며, 독점적인 지위를 획득한다.[2] 은행 독점체는 자금 융통 등을 통해 산업을 지배하고, 경제 전반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2]3. 3. 금융 자본과 금융 과두제
은행 자본과 산업 자본이 결합하여 금융 자본이 형성된다.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자본은 경제와 정부를 통제하는 금융 과두제를 출현시킨다.[3] 금융 과두제는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와 사회 전반을 지배한다.[4]레닌은 제국주의의 특징으로 다섯 가지를 제시했는데, 그중 하나가 은행 자본과 산업 자본의 융합으로 금융 자본과 금융 과두제가 성립하는 것이다.[7]
3. 4. 자본 수출
자유 경쟁 단계의 자본주의에서는 생산의 집적이 일어나 독점체가 생겨난다. 은행은 단순 중개자에서 벗어나 산업을 지배하는 독점체가 된다. 은행 독점체와 산업 독점체가 융합, 유착하여 금융 자본이 성립하고, 이는 금융 과두제로 이어진다. 국내 대중은 빈곤한 상태에 놓이고, "과잉 자본"은 더 높은 이윤을 얻기 위해 국외로 수출된다. 이러한 자본 수출은 제국주의 국가 간의 식민지 쟁탈전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된다.[4]3. 5. 세계 분할
레닌은 자본가 단체들 간의 세계 분할과 열강 간의 영토 분할이 제국주의의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주장한다. 영토와 자원 통제를 위한 투쟁은 자본주의 열강 간의 경쟁과 갈등을 심화시킨다. 1876년부터 1900년까지 제국주의 열강은 식민지 확장을 통해 특정 지역의 원자재와 노동력 공급원에 대한 지배권을 독점하려 했다.[1] 그러나 세계 분할은 불균형하게 이루어져, 기존의 자본주의 열강은 정체된 반면, 새롭게 떠오르는 열강은 빠르게 성장했다. 레닌은 이러한 경제 발전과 식민지 소유 간의 불균형은 열강 간의 재분할 전쟁을 통해서만 해결될 수 있다고 보았다.[1] 19세기 말, 영국과 프랑스 등이 대부분의 식민지를 차지했으며, 특히 독일은 이 과정에 뒤늦게 참여했다.[1]세계 분할이 완료되면서 세계에는 더 이상 주인이 없는 땅(무주지)이 없어지게 되었다.[2] 이는 자본주의 국가 간의 경쟁과 갈등을 더욱 격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새롭게 성장하는 독점 자본주의 국가들은 기존 독점 자본주의 국가들의 이권을 빼앗기 위해 재분할 투쟁을 벌이게 되고, 이는 제국주의 전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2]
4. 자본주의의 기생성과 부패
레닌은 제국주의 단계에서 자본주의가 기생성과 부패의 경향을 보인다고 주장한다. 이 단계에서는 생산의 사회화가 극에 달하지만, 자본주의는 실질적인 부의 생산보다는 금융 사기나 독점 이윤에 의존하게 된다. 이는 자본주의가 다음 단계인 사회주의로 대체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한다.[1]
레닌은 제국주의 국가들이 자본 수출을 통해 얻은 초과 이윤으로 자국의 노동 귀족을 매수한다고 보았다. 또한, 해외 대규모 투자에서 얻은 배당금으로 생활하는 인구가 늘면서, 독점 가격은 기술 개선 투자를 저해하고 이는 정체와 쇠퇴 경향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한다.[2]
4. 1. 노동 귀족의 매수
제국주의 국가들은 자본 수출을 통해 얻은 초과 이윤으로 자국의 노동 귀족을 매수한다. 이러한 매수는 노동 운동 및 사회주의 운동이 자본가 계급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도록 하며, 노동자 계급의 이익을 배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1]4. 2. 기술 발전의 정체
레닌은 제국주의가 선진 제국주의 국가에서 심화되는 기생 현상을 초래한다고 설명한다. 해외 대규모 투자에서 얻은 배당금으로 생활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독점 가격은 기술 개선 투자를 저해하고 이는 정체와 쇠퇴 경향으로 이어진다. 소수의 부유한 국가가 얻는 막대한 독점 이윤은 노동계급 상층부를 매수하는 데 사용된다.[2]5. 제국주의 비판
레닌은 제국주의에 대한 다양한 비판들을 분석하고, 그 한계를 지적한다. 그는 부르주아적 비판은 제국주의의 폭력적인 측면을 개혁하려는 시도일 뿐, 제국주의 자체를 부정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또한, 자유, 민주주의, 경쟁을 제국주의의 대안으로 제시하는 소부르주아 민주주의적 반제국주의 운동은 과거로 돌아가는 것이며, 사회주의만이 유일한 대안이라고 주장했다.[3][1]
5. 1. 부르주아적 비판의 한계
레닌은 유산 계급이 제국주의를 지지하며, 심지어 부르주아 비판가들조차 제국주의의 가장 폭력적인 측면을 개혁할 것을 요구할 뿐, 제국주의 자체에 반대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레닌은 이러한 부르주아적 비판이 제국주의의 본질을 은폐하고 문제 해결을 어렵게 만든다고 비판한다.[3]5. 2. 소부르주아 민주주의적 반제국주의 운동의 한계
레닌은 자유, 민주주의, 경쟁을 제국주의의 대안으로 제시하는 소부르주아 민주주의적 반제국주의 운동을 비판한다. 레닌은 노동자 운동이 자유 경쟁으로 회귀하는 것은 과거로 돌아가는 것이며, 제국주의의 유일한 대안은 사회주의라고 주장한다.[1]5. 3. 사회주의의 필연성
레닌은 노동자 운동이 자유 경쟁으로 돌아가는 것을 목표로 삼아서는 안 되며, 제국주의의 유일한 대안인 사회주의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제국주의 단계에서 생산의 사회화가 극에 달해 자본주의는 금융 사기나 독점의 이득으로 이윤을 올리는 기생적이고 부패한 체제가 되며, 결국 사회주의로 대체될 수밖에 없다고 보았다. 레닌은 생산 수단의 사회화를 통해 제국주의의 모순을 극복하고, 진정한 평화와 번영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한다.6. 제국주의의 역사적 위치
레닌은 존 A. 홉슨의 ''제국주의: 연구''(1902)와 루돌프 힐퍼딩의 ''금융 자본''(1910)을 종합하여 제국주의를 분석하고, 이를 제1차 세계 대전의 지정학적 상황에 적용했다.[9]
카를 카우츠키의 초제국주의론에 대해 레닌은 유럽 제국 간의 국제 관계에서의 세력 균형 변화로 인해 정치적 통일이 불가능하며, 경쟁과 갈등을 유발한다고 반박했다.
레닌은 제국주의가 자본주의의 최종 단계이며, 사회주의 혁명으로 이행하는 과도기라고 주장했다. 그는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1918)과 베르사유 조약(1919)을 통해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제국과 패권임을 확인했다.[10] 또한, 식민지와 반식민지에서 혁명이 시작될 것이라고 예측했다.[11]
6. 1. 불균등 발전 법칙
레닌은 자본주의 국가들의 발전이 고르지 않게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19세기 말, 영국, 프랑스와 같은 나라들은 이미 많은 식민지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독일과 같은 신흥 강국들은 뒤늦게 식민지 경쟁에 뛰어들었다.[7][8] 이러한 불균등 발전은 제국주의 국가들 간의 갈등을 낳았다.신흥 제국주의 국가들은 기존 제국주의 국가들이 차지한 이권에 도전했고, 이는 결국 세계를 다시 나누기 위한 전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레닌은 주장했다. 그는 자본주의의 발전이 각국마다 불균등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재분할을 둘러싼 제국주의 전쟁은 필연적이라고 보았다.[7]
6. 2. 사회주의 혁명의 가능성
레닌은 제국주의의 모순이 심화되면서 사회주의 혁명의 객관적 조건이 성숙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제국주의의 '약한 고리'인 식민지, 반식민지 국가에서 혁명이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될 수 있다고 보았다.[11] 그는 1917년 10월 혁명에서 정치적 지휘권을 성공적으로 획득한 볼셰비키처럼, 혁명이 차르 러시아와 같은 미개발 국가에서 선진(산업) 자본주의 국가로 확대될 것이라고 생각했다.[10]레닌은 제1차 세계 대전의 경제적 동기가 민족주의가 아닌 제국과 패권임을 증명하는 것으로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1918)과 베르사유 조약(1919)을 간주했다.[10] 그는 자본주의적 세계 시스템에 대한 반란은 서유럽의 산업화된 사회의 도시 노동자가 아닌, 식민지와 반식민지(제국주의 시스템의 약점)의 "10억 명"의 사람들에 의해 실현될 것이라고 제안했다.[11]
레닌은 1920년 7월과 8월 회의에서 지적으로, 정치적으로 지배했던 제3 인터내셔널 (1919–1943)을 통해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의 이론을 실현할 것을 기대했다.[12]
레닌은 카를 카우츠키의 초제국주의론에 반박하며, 유럽 제국 간의 국제 관계에서의 세력 균형이 끊임없이 변화하여 초제국주의의 정치적 통일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그러한 정치적 불안정이 협력보다는 경쟁과 갈등을 유발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제국주의로 발전한 자본주의는 사회주의로 대체될 수밖에 없다고 보았다.
7. 한국과 제국주의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영어에서 블라디미르 레닌은 자본주의 국가들이 국내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시장, 자원, 투자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 해외로 확장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제국주의적 팽창은 필연적으로 국가 간의 갈등과 전쟁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한국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이러한 제국주의 열강들의 각축장이 되었다.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 제국은 1910년 대한제국을 강제로 병합하여 식민지로 삼았다. 이는 한국 역사에서 일제 강점기의 시작이었다.
참조
[1]
논문
The New Imperialism of Globalized Monopoly-Finance Capital: An Introduction
https://monthlyrevie[...]
2022-09-20
[2]
서적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OUP
[3]
간행물
Imperialism and Capitalism
http://www.fordham.e[...]
Communist International
1921-10
[4]
문서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
http://www.fordham.e[...]
1917-04-26
[5]
서적
Capitalism
Pearson
[6]
웹사이트
Lenin: 1916/imp-hsc: III. FINANCE CAPITAL AND THE FINANCIAL OLIGARCHY
https://www.marxists[...]
[7]
논문
Lenin, Imperialism, and the Stages of Capitalist Development
https://www.jstor.or[...]
1995
[8]
웹사이트
Commanding Heights : Lenin's Critique of Global Capitalism on PBS
https://www.pbs.org/[...]
2023-03-03
[9]
문서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
http://www.marxists.[...]
[10]
서적
Lenin
Routledge
[11]
서적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
[12]
서적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
Leftword Books
[13]
서적
Debating the African Condition Ali Mazrui and His Critics · Volume 2
Africa World Press
2004
[14]
서적
Political Sociology
Basic Books
1971
[15]
서적
Revolution at the Gates: Selected Writings of Lenin from 1917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1-08
[16]
서적
Maxim Gorky: A Political Biograph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999-10-30
[17]
서적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
LeftWord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