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너럴 매니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너럴 매니저(General Manager, GM)는 기업, 단체, 스포츠 구단 등에서 매니저의 상위 직책으로, 조직 전체의 경영 활동을 총괄하는 역할을 한다. 기업에서는 부장 직급에 해당하며 손익 책임을 지고, 스포츠 구단에서는 선수 영입, 계약, 팀 운영 전반을 책임진다. 특히 미국의 프로 스포츠에서는 팀의 핵심 결정 권한을 가지며, 대한민국에서는 단장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호텔 산업에서는 호텔 시설의 운영 및 재정적 수익성을 책임지는 최고 경영자를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 관련 직업 - 스트롱맨 (스포츠)
    스트롱맨은 엄청난 힘을 겨루는 스포츠로, 데드리프트, 스쿼트, 아틀라스 스톤 등 다양한 종목을 통해 순수한 힘을 시험하며, 전신 근력 강화 훈련과 특수 장비 사용, 고강도 식단을 포함한다.
  • 스포츠 관련 직업 - 야구 코치
    야구 코치는 야구팀에서 선수들을 지도 및 훈련하고 감독을 보좌하며, 타격, 투구, 수비, 주루 등 각 분야별 전문성을 바탕으로 선수들의 기량 향상을 돕고 팀 전력 강화를 위해 전략 및 전술 수립에 참여하는 지도자를 말한다.
  • 경영직 - 교장
    교장은 학교 교육 활동을 총괄하고 교직원을 감독하며 학교 운영 전반을 책임지는 교육직 공무원의 최고 직위로, 국가와 학교 규모에 따라 역할과 임용 방식, 자격 요건이 다르다.
  • 경영직 - 최고경영자
    최고경영자는 이사회에서 권한을 위임받아 전략 경영, 주요 정책 결정, 조직 운영을 총괄하는 최고 경영 책임자로서, 역할은 조직 구조와 법률에 따라 다르며, 임명과 해임은 이사회의 권한이다.
제너럴 매니저
기본 정보
사업 총괄 매니저
사업 총괄 매니저
직업 분야경영
역할조직의 일상적인 운영 감독
다른 이름총괄 이사
국가 이사
지역 이사
사업부 이사
운영 이사
최고 운영 책임자 (COO)
개요
설명사업 총괄 매니저는 회사의 일상적인 사업 운영을 감독한다.
책임전략적 계획 개발 및 실행
운영 정책 및 절차 관리
재무 성과 감독
직원 관리 및 개발
이해 관계자와의 관계 구축 및 유지
관련 직책최고 경영자 (CEO)
최고 재무 책임자 (CFO)
최고 정보 책임자 (CIO)
기타 고위 경영진
역사
기원조직의 성장과 함께 필요한 역할
발전과거: 사장
현재: 통괄부장
기술 및 자격
요구 기술리더십
전략적 사고
의사 소통
문제 해결
재무 관리
교육일반적으로 비즈니스, 경영 또는 관련 분야의 학사 학위 이상
경험경영 또는 리더십 역할에서 수년간의 경험
추가 정보
관련 단체경영자 협회
산업별 협회

2. 기업

제너럴 매니저는 기업에서 최고 경영진의 일원으로서, 조직 전체의 경영 활동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들은 매니저(지배인)보다 상위 직책으로, 기업의 전반적인 성과에 대한 책임을 진다.[2]

영연방 국가에서는 회사법에 따라 매니저(manager)를 회사의 임원(officer)으로 규정하며, 제너럴 매니저(총지배인)가 일본 회사에서 말하는 집행 임원에 해당하기도 한다. 홍콩에서는 제너럴 매니저(general manager)가 이사를 겸임하지 않는 총경리의 영어 표기로 사용된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등 일부 주에서는 정관에 별도 규정이 없는 한 이사장 또는 사장(president) (또는 회장(chairman of the board))이 제너럴 매니저(총지배인) 및 최고 경영자(CEO)가 된다고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일본 기업에서는 제너럴 매니저를 정식 직위로 하고, 기존의 과장, 부장과 같은 직책을 그 별칭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사장이나 CEO가 겸임하는 경우에는 제너럴 매니저 대신 총지배인으로 칭하기도 한다.

2. 1. 종합관리

종합관리(general management)는 경영 조직의 최상층부에서 전반적인 경영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하며, '전반관리'라고도 한다. 현대 경영 조직은 기능별, 지역별 등으로 전문화되어 있으며, 제너럴 매니저는 이러한 분화된 직무들을 조직 전체의 목표에 맞게 종합하고 조정한다. 종합관리는 하부에서 상부로의 보고 및 통제뿐만 아니라, 상부에서 하부로의 지시 및 명령을 통해 효과적인 관리를 수행한다.

2. 1. 1. 경영목표의 설정

종합관리의 출발점은 명확한 경영 목표 설정에 있다. 경영 목표가 없다면 다수인의 노동이 성립되지 않고, 노동에 방향을 제시할 수 없다. 여러 사람이 함께 일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적이 있어야 하며, 이것이 바로 조직 또는 기업이다. 여기서 말하는 목적은 단순히 자본에 대한 이익(이윤)을 높이는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어떤 종류의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자본이나 설비를 사용하여 경영활동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것이어야 한다.

경영 전체의 목적이 설정되면, 이에 따라 자본 조달, 생산, 판매, 인사, 연구 개발 등 모든 기능에 필요한 수단이 선택된다. 각 부문에는 하위 목적이 주어지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수단이 다시 선택되는 식으로, 전 조직적인 것에서 구체적이고 부분적인 것으로의 목적-수단의 연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목적-수단의 연쇄 정점에 있는 것이 종합관리에 있어서의 목적 설정이며, 이는 일종의 의사 결정이다.

의사 결정은 주어진 목적에서 직접 도출되는 것이 아니라, 환경 조건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다. C. I. 바너드는 환경 조건 중 작용을 가해 변화시킬 수 있고 조직 목적 달성에 유용한 것을 전략적 요인이라 칭하고, 이를 올바르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종합관리에서의 의사 결정, 즉 목적 설정은 경영자 스스로 가치 전제를 선정하고, 불확정한 사실 전제를 다뤄야 하므로 특히 어렵다.

최근처럼 경영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경영자는 적시에 과감한 의사 결정을 통해 조직을 환경에 적응시켜야 하며, 필요에 따라 목표를 수정해야 한다. 종합관리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이처럼 환경에 대한 시기적절하고 창조적인 적응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목적 설정은 부문관리 이하에서 계획되고 종합되어 장기 및 단기 경영계획으로 나타난다.

2. 1. 2. 종합조정

경영관리는 전사적 목표와 계획을 결정하고 지시하는 것 외에도, 실행 결과를 보고받아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합조정은 각 부문의 활동을 경영 전체의 목표에 맞게 조정하는 최종적인 의사 결정 과정이다.[2] 근대적 대기업에서는 분권적 관리 방식이 채택되어 많은 부분 기능이 조직 하부에 위임되지만, 자본 구조, 특히 투자 계획이나 상층부 인사(상층부 인사)와 같은 문제는 최고 경영진(톱 매니지먼트)에 유보된다. 이는 이러한 문제들이 경영 전체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의사결정이기 때문이다.

2. 1. 3. 경영의 통일성과 연속성

경영은 보통 여러 사람이 협력하는 조직을 통해 이루어진다. 조직은 사람들이 협력하는 시스템으로, 통일성을 갖는 것이 이상적이다. 하지만 때로는 내부 갈등과 경쟁으로 인해 통일성이 깨지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저항력과 적응력이 약해진다. 즉,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 공통된 의식이나 가치 기준을 가질 때 조직은 변화에 더 잘 대응하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이러한 조직의 통일성을 위해 조직의 도덕 준칙을 만들고, 경영 이념을 세우는 것을 강조한 학자가 바너드(Barnard)이다. 셀즈니크(Selznick)는 바너드의 영향을 받아 이를 사회학적으로 발전시켰다.

일반적으로 집단이 상호작용을 할 때, 공식적이든 비공식적이든 어떤 행동 기준을 갖게 된다. 따라서 경영자는 공식 조직의 유지와 발전에 도움이 되는 행동 기준(도덕 기준)을 적극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즉, 개인의 이익보다 조직의 목표를 우선시하고, 조직 구성원들이 납득할 수 있는 행동의 일반적인 기준과 가치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행동 기준이나 가치 체계는 보통 경영 이념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가치 체계가 확립되어 몸에 배면, 조직 구성원들이 서로 다른 역할을 맡고 있더라도 행동에 일정한 방향이 생겨 조직의 통일성이 유지되기 쉽다. 그리고 변화에 대한 적응력도 높아진다. 셀즈니크는 이러한 상태를 조직이 제도화되었다고 표현한다. 경영 이념의 확립과 철저화는 종합 관리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경영자 개인의 생명은 유한하다. 경영의 영속성을 유지하려면 현재의 경영자가 경영 이념을 확립할 뿐만 아니라, 후계자나 후보자를 육성하여 이념의 연속성을 보존해야 한다. 따라서 후계자에게 종합 관리 기능을 가르치고 경영 이념을 체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2]

3. 스포츠

스포츠 분야에서 제너럴 매니저(GM)는 선수단 운영의 핵심 책임자로서, 선수 영입, 계약 협상, 선수 방출 등의 권한을 가진다.[7]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단장'으로 번역되며, 팀의 성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직책이다.

과거에는 감독이 제너럴 매니저의 역할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닛폰햄 파이터즈 감독이었던 오사와 케이지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에나츠 유타카를 영입하기 위해 직접 마츠다 코헤이 구단주 자택에 찾아가 협상하여 트레이드 이적을 성사시킨 적도 있다.[8] 이처럼 감독이 팀 편성에 큰 권한을 가지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오사와는 감독 퇴임 후 1984년부터 1992년까지 구단 상무 이사로서 팀 편성을 담당하기도 했다.[9]

그러나 현대 프로 스포츠에서는 전문화된 제너럴 매니저가 선수단 운영을 전담하는 추세이다. 네모토 리쿠오는 세이부 라이온즈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에서 "구계의 웅변가"라는 별명을 얻으며 GM 역할을 수행하여 팀 전력 향상에 큰 업적을 남겼다.

3. 1. 프로 스포츠에서의 GM

프로 스포츠에서 GM(제너럴 매니저)은 선수 인력 확보, 계약 협상, 선수 재할당 또는 해고, 감독 선임 및 해임 등의 책임을 맡는다.[7] GM은 선수 드래프트에서 선수를 선발하고, 코칭 스태프 및 스카우트와 협력하여 팀을 구성한다.

유럽 축구에서는 '감독' 또는 '코치' 직책이 관리/코칭 역할을 수행하며, '축구 디렉터'가 GM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GM은 서구, 특히 미국의 프로 스포츠에서 중요한 직책이다. 팀의 대부분의 권한은 GM이 가지고 있으며, 팀의 편성 및 방침 결정, 선수 및 에이전트와의 계약 협상, 트레이드나 드래프트 등의 신인 획득 시 누구를 영입・방출할지, 누구를 마이너 리그 등의 하부 조직에서 승격시킬지 등 다방면에 걸쳐 구단주가 마련한 예산 범위 내에서 처리한다.[7] 감독은 GM이 결정한 방침을 충실히 실행하는 중간 관리직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

GM의 유능함 여부가 팀의 전력을 크게 좌우하므로, 유능한 GM은 다른 팀으로 스카우트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GM은 다양한 회견에서 적극적으로 미디어에 등장하는 구단의 얼굴이기도 하며, 구단을 통솔하는 카리스마, 경영 감각, 계약 갱신 및 트레이드에서의 협상력, 선수의 능력을 간파하는 안목, 각종 데이터를 분석하는 통계학적 센스 등 종합적인 능력이 요구된다.

3. 2. 대한민국 프로 스포츠에서의 GM

대한민국 프로 스포츠에서는 야구, 축구, 농구 등 다양한 종목에서 GM(General Manager, 단장)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3. 2. 1. 프로 야구 (KBO)

일본 야구 기구(NPB)의 프로 야구에서는 과거에 '총감독' 직책이 팀 편성에 관여하는 경우가 있었다. 미하라 오사무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현대에는 메이저 리그 스타일의 구단 관리 방식이 주목받으면서, 퍼시픽 리그 구단을 중심으로 제너럴 매니저(GM) 제도가 도입되고 있다.

NPB에서 "제너럴 매니저" 직함을 처음 사용한 것은 1995년지바 롯데 마린스의 GM으로 취임한 히로오카 타츠로이다. 하지만 당시에는 GM의 업무 범위가 명확하지 않았고, 감독, 선수, 프런트와의 의견 불일치 및 대립으로 인해 2년 만에 퇴단했다.[7]

주니치, 한신, 라쿠텐의 감독을 역임한 호시노 센이치는 한신 감독 퇴임 후 2004년부터 2009년까지 구단 오너 부속 시니어 디렉터로서 GM에 가까운 활동을 했다. 2011년부터 소속된 라쿠텐에서는 감독, 시니어 디렉터를 거쳐 2015년 9월 7일 구단 이사 부회장에 취임하여, 구단 편성, 드래프트 전략, 경영에 관여하는 현장 총 책임자로서 GM을 뛰어넘는 역할을 담당했다. (2018년 1월 4일 사망)[10]

2012년 8월, 한신의 감독과 오릭스의 GM, 감독을 역임한 나카무라 카츠히로가 한신 구단 최초의 GM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2015년 9월 23일 급사하여, 같은 해 10월 1일 자로 당분간 GM직이 폐지되었다.[11]

주니치에서는 선수, 감독으로 재적했던 오치아이 히로미츠가 2014년 시즌부터 GM을 맡았지만, 2017년 1월에 퇴단하면서 GM직도 폐지되었다.[12]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는 2004년 키요타케 히데토시가 GM을 맡아 육성 선수 제도 확충 등에 힘썼으나, 2011년 11월 해임되었다. 이후 하라사와 아츠시, 츠츠미 타츠요시, 카토리 요시타카가 GM을 맡았지만, 모두 성적 부진으로 퇴임했다.

구단 | 기간 | 비고 |
히로오카 타츠로 | 지바 롯데 마린스 | 1995년 - 1996년 | |
호시노 센이치 | 한신 타이거스 | 2005년 - 2010년 | 구단주 시니어 디렉터 |
나카무라 카츠히로 | 한신 타이거스 | 2012년 9월 - 2015년 9월 23일 | |
오치아이 히로미츠 | 주니치 드래건스 | 2013년 10월 - 2017년 1월 | |
키요타케 히데토시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004년 8월 - 2011년 11월 | |
하라사와 아츠시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011년 11월 - 2015년 5월 | |
츠츠미 타츠요시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015년 5월 - 2017년 6월 12일 | |
시카토리 요시타카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017년 6월 13일 - 2018년 10월 11일 | |
타카다 시게루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2011년 12월 - 2018년 10월 | |
무라카미 타다노리 |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 2006년 10월 - 2009년 10월 | |
마티 키나트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2004년 10월 - 2005년 4월 29일 | |
야마다 마사오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2008년 - 2014년 12월 | |
오카다 아키노부 | 오릭스 버팔로스 | 2009년 10월 13일 - 2012년 9월 25일 | |
요시무라 히로시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2015년 1월 - 2021년 10월 | |
이시이 카즈히사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2018년 8월 - 2022년 12월 | |
이나바 아츠노리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2021년 10월 - 2023년 11월 | |


3. 2. 2. 프로 축구 (K리그)

1991년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의 오쿠데라 야스히코가 대한민국 프로 축구 최초의 GM으로 취임했다.[3]

1993년 J리그 개막 후, 산프레체 히로시마가 우승하면서 이 팀의 선수 구성을 전담했던 이마니시 카즈오가 '제너럴 매니저'로 주목받았다.[3][4][5] 이마니시는 모리야스 하지메를 발탁한 일화로도 유명하다.[6]

1999년부터 K리그는 제너럴 매니저 강좌를 개설하여 조직적인 GM 양성을 추진하고 있다.

3. 2. 3. 프로 농구 (KBL)

1996년 일본 농구계에서는 폐부된 마쓰다 앤피니 도쿄의 후계 클럽 팀인 사이타마 브론코스(현: 사이타마 브론코스)에서 마쓰다 앤피니 도쿄 출신 선수이자 홍보 담당이었던 나리타 토시히코가 대한민국 프로 농구 최초의 GM으로 취임했다.[13]

2000년 일본 최초의 프로 농구 클럽인 니가타 알비렉스 BB가 발족되었을 때, 전 남자 일본 대표팀 헤드 코치 가와치 토시미츠가 사장 겸임 형태로 GM에 취임했다.

2005년 사이타마와 니가타는 농구 일본 리그 기구(구 JBL) 및 일본 농구 협회를 탈퇴하고 일본 프로 농구 리그(bj 리그)를 설립했다. 이 리그에 참가한 많은 구단이 GM직을 설치했다. 가와치 토시미츠는 니가타 GM을 사임하고 커미셔너로 취임했으며, 이후 니가타 GM은 역대 사장이 겸임하다가 2015년 나카무라 카즈오가 헤드 코치 겸임 형태로 취임했다. bj 리그 참가 팀 중 하나였던 도쿄 아파치에서는 2006-07 시즌에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인 히가시오 오사무를 GM으로 영입했다.

bj 리그에 대항하기 위해 구 JBL을 재편하여 설립된 일본 농구 리그(신 JBL)에서는 전 미국 미식축구 선수 야마야 타쿠시가 링크 토치기 브렉스 초대 GM을 맡았으며, 2008년부터 2년 연속 일본 톱 리그 연계 기구 가맹 리그 GM 등에게 수여되는 톱 리그 트로피를 수상했다. 야마야 타쿠시는 JBL의 후신인 내셔널 농구 리그 (NBL) 발족 시 전무 이사 겸 COO로 취임했다.

2016년 bj 리그와 NBL을 통합하여 발족된 재팬 프로페셔널 농구 리그(B 리그)에서는 많은 클럽이 GM 또는 이에 준하는 직책을 설치했지만, 사장이나 HC 겸임, 단독 GM, 팀 총괄 등이 GM 역할을 하는 등 클럽마다 다양하다. GM 다음 직책으로 어시스턴트 GM을 설치하는 클럽도 있다. 가고시마 레브나이즈에서는 2017년 경영 위기 당시 선수 겸 GM 하야시 료타가 선수 대표로서 가고시마에 레브나이즈를 남기는 회의 대표를 맡는 등[13], 클럽 경영 측 직책이어야 할 GM이 노동자 측 선수회 대표를 맡는 체제가 되는 등 B 리그에서 GM의 정의는 모호하다.

4. 기타 산업

호텔, 서비스업 등 다른 산업에서도 제너럴 매니저(GM)는 해당 사업체의 전반적인 운영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 역할을 수행한다.

4. 1. 호텔 산업

호텔 산업에서 제너럴 매니저(총지배인)는 개별 호텔 시설의 전반적인 운영, 특히 재정적 수익성에 대한 책임을 지는 최고 경영자이다. 제너럴 매니저는 호텔 운영에 대한 최종적인 관리 권한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지역 부사장, 본사, 호텔 소유주/투자자에게 직접 보고한다.[1]

제너럴 매니저의 일반적인 직무는 다음과 같다.[1]

  • 개별 부서장을 포함하는 임원진의 채용관리
  • 예산 책정 및 재무 관리
  • 호텔 사업 목표 및 목표 수립 및 시행
  • 영업 관리, 마케팅 관리, 수익 관리
  • 프로젝트 관리, 계약 관리
  • 고객, 직원 또는 시설과 관련된 비상 사태 및 기타 주요 문제 처리
  • 홍보, 노사 관계, 지방 정부 관계, 비즈니스 파트너십 유지


개별 호텔 제너럴 매니저의 직무 범위는 호텔 규모 및 회사 조직에 따라 크게 다르다. 예를 들어, 소규모 부티크형 호텔의 제너럴 매니저는 회계, 인적 자원, 급여, 구매 및 대규모 호텔 운영에서 다른 하위 관리자 또는 전체 부서가 일반적으로 처리하는 기타 업무와 같은 추가적인 행정 업무를 직접 담당할 수 있다.[1]

참조

[1] 서적 Leadership https://archive.org/[...] McGraw-Hill, Inc
[2] 웹사이트 エグゼクティブのキャリア進化論 これからの時代をリードするゼネラル・マネージャーの条件とは? https://doda.jp/exec[...] デューダ 2024-12-26
[3] 웹사이트 今西 和男ゼネラルマネージャー就任のお知らせ|最新情報|FC岐阜 https://archive.md/c[...]
[4] 간행물 サッカー批評 双葉社 2009-09-10
[5] 뉴스 戦争特集 腕にケロイド残り「やけどこぼれ」とバカにされたJ1広島の元総監督、新ホーム「Eピース」の熱狂に思い新た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24-12-25
[6] 웹사이트 注目の人 直撃インタビュー 森保監督の生みの親・今西和男氏「彼は今の時代に合っている指導者」 https://www.nikkan-g[...] 日刊現代 2022-10-31
[7] 간행물 《おふれこ球談》 ゼネラルマネージャーへの道はけわし!! 三原、水原、鶴岡三大監督の前途 産業経済新聞社
[8] 웹사이트 大沢 啓二|プロ野球チームをつくろう!ONLINE 2 https://archive.md/U[...]
[9] 문서
[10] 뉴스 星野仙一氏が副会長就任…GMではなく、それ以上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09-07
[11] 뉴스 阪神が中村勝広GMの死去に伴いGM制を廃止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09-30
[12] 뉴스 中日・落合GM、来年1月末で退任…チーム低迷、好結果につながらず https://web.archive.[...] サンケイスポーツ 2016-12-20
[13] 웹사이트 財政難でチーム消滅危機!存続へ向けた最後の挑戦に力をください - クラウドファンディング READYFOR (レディーフォー) https://readyfor.jp/[...] 2021-02-17
[14] 문서
[15] 뉴스 巨人、鹿取義隆GMが退任 編成トップに大塚淳弘氏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8-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