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하바라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하바라타는 쿠루 왕국의 판다바 형제들과 카우라바 형제 간의 전쟁을 중심으로 하는 고대 인도의 대서사시이다. 이 이야기에는 다르마와 카르마에 대한 등장인물들의 이야기와 게송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판다바 형제들과 카우라바 형제들은 쿠루 왕국의 왕위를 두고 대립하며, 쿠루크셰트라 전쟁으로 이어진다. 마하바라타는 전쟁 전개 과정과 그 속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상세히 묘사하며, 바가바드 기타를 포함한 다양한 철학적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서사시는 인도 문학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판본과 번역본, 그리고 연극, 영화, 만화 등 다양한 형태로 재해석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스크리트어 서사시 - 라마야나
라마야나는 고대 인도의 서사시로 라마 왕자의 여정을 중심으로 이상적인 인물과 관계의 의무를 묘사하며, 다양한 종교적 맥락에서 변형되어 전승되고 인도 아대륙과 동남아시아의 예술,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산스크리트어 서사시 - 붓다차리타
《붓다차리타》는 아슈바고샤가 산스크리트어로 지은 석가모니의 생애를 묘사한 서사시로, 불교의 핵심 교리를 담아 불전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고, 특히 한역본인 《불소행찬》은 한국 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힌두 문학 - 다르마샤스트라
다르마샤스트라는 고대 인도 법전 문학으로, 넓게는 기원전 2천년기부터 기원후 12세기까지의 법전을 포괄하고 좁게는 특정 시기의 산스크리트 운문 법전을 지칭하며, 다르마(의무, 윤리, 법)에 관한 규범과 관습, 사법 절차, 속죄 등의 영역을 다루고 역사적, 법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힌두 문학 - 마누 법전
마누 법전은 기원후 1~3세기에 집필된 고대 인도의 법전으로, 네 계급의 의무와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여러 지역의 법 체계에 영향을 미쳤으나, 진정성과 역사적 중요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국민서사시 - 칼레발라
칼레발라는 핀란드의 국민 서사시로, 핀란드 민족의 기원과 영웅들의 활약, 자연과 삶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담고 핀란드 문화와 예술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국민서사시 - 제왕운기
《제왕운기》는 고려 후기 이승휴가 지은 역사서로, 상권은 중국, 하권은 한국 역사를 시로 읊었으며, 단군을 한민족의 시조로, 발해를 한국사로 인식하여 민족의식과 자주성을 강조했다.
마하바라타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마하바라타 |
로마자 표기 | Mahābhāratam |
언어 | 산스크리트어 |
창작 시기 | 기원전 3세기 – 서기 4세기 |
종교 | 힌두교 |
저자 | 비야사 |
장 | 18 파르바 |
구절 수 | 200,000 |
인도 신화 | |
관련 신화 | 힌두교 신화 |
주요 출처 | 이티하사 |
주요 내용 | |
주요 등장인물 | 바라타 크리슈나 카우라바 판다바 |
주요 사건 | 쿠루크셰트라 전쟁 |
문화적 의미 | |
문화적 영향 | 인도 문화 |
관련 작품 | 라마야나 |
관련 정보 | |
위키소스 | 마하바라탐 |
관련 문서 | 마하바라타 (텔레비전 드라마) |
2. 내용
쿠루 왕국의 왕 산타누의 후손인 판다바 형제들과 두료다나 형제간의 전쟁이 주요 줄거리이다. 등장인물에 얽힌 이야기와 등장인물들이 다르마와 카르마에 대해 노래하는 게송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 판다바와 카우라바 ==
쿠루 왕국의 왕 산타누의 후손인 판다바 형제들과 두료다나 형제간의 전쟁이 주요 줄거리이다. 등장인물에 얽힌 이야기와 등장인물들이 다르마와 카르마에 대해 노래하는 게송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판두 왕의 아들들인 판다바 형제들과 드리타라슈트라 왕의 아들들인 카우라바 형제들은 쿠루 왕국의 왕위를 두고 대립한다.
드리타라슈트라는 장님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왕위를 판두에게 물려준다. 판두는 쿤티와 마드리와 결혼한다. 드리타라슈트라는 간다리와 결혼하는데, 간다리는 남편이 느끼는 고통을 함께 느끼기 위해 평생 눈가리개를 한다.
쿤티는 현자에게 받은 특별한 주문으로 다르마, 바유, 인드라에게서 유디슈티라, 비마, 아르주나를 낳는다. 쿤티는 마드리와 주문을 공유하고, 마드리는 아슈빈 쌍둥이에게서 쌍둥이 나쿨라와 사하데바를 낳는다. 이들이 판다바 형제이다.
드리타라슈트라는 간다리를 통해 백 명의 아들과 한 명의 딸을 낳는데, 이들이 카우라바 형제들이다. 장남은 두료다나이고 차남은 두샤사나이다. 판다바 형제들과 카우라바 형제들 사이의 갈등은 쿠룩셰트라 전쟁으로 이어진다.
== 쿠루크셰트라 전쟁 ==
쿠루 왕국의 왕 산타누의 후손인 판다바 형제들과 두료다나 형제들 간에 벌어진 쿠루크셰트라 전쟁은 18일간 지속되었다.[69]
전쟁이 선포되기 전, 발라마는 갈등에 불만을 품고 순례를 떠나 전투에 불참했다. 크리슈나는 아르주나의 전차 수레꾼(사라티)으로 참전했다.
전투 직전, 아르주나는 적군에 조부 비슈마와 스승 드로나를 포함한 친족들이 있음을 알고 절망하여 싸우기를 거부한다. 크리슈나는 바가바드 기타에서 의로운 대의를 위해 싸워야 할 크샤트리아의 의무를 상기시킨다.
처음에는 기사도 정신을 따랐지만, 양측 모두 불명예스러운 전술을 채택한다. 18일간의 전투 후 판다바, 사탸키, 크리파, 아슈왓타마, 크리타바르마, 유유츠, 크리슈나만이 살아남았다.
《마하바라타》는 최초의 '다르마유다(dharmayuddha)' 이론 중 하나를 제시하며, '균형', '정당한 수단', '정당한 이유', 포로와 부상자에 대한 공정한 대우 등의 기준을 확립했다.[69]
판다바 측에는 유디슈티라, 비마, 아르주나, 나쿨라, 사하데바 (다섯 왕자), 크리슈나[126], 드루파다, 드리슈타듀무나, 시칸딘, 가토트카차, 아비마뉴 등이 있었다. 카우라바 측에는 두르요다나, 두샤사나 외 백 명의 왕자, 드리타라슈트라[127], 비슈마, 드로나, 아슈바타만, 카르나, 크리파, 샤쿤니 등이 있었다.
제6권 23장~40장에는 『바가바드 기타』가 포함되어 있다.
== 부가적인 이야기 ==
쿠루 왕국의 왕 산타누의 후손인 판다바 형제들과 두료다나 형제간의 전쟁이 주요 줄거리이다. 등장인물에 얽힌 이야기와 등장인물들이 다르마와 카르마에 대해 노래하는 게송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주된 줄거리 외에도 제1권 62장~69장에는 『샤쿤탈라 이야기』, 제3권 50장~78장에는 『나라왕 이야기』, 제3권 111장~113장에는 『리샤슈링가(사슴뿔 선인) 이야기』, 제3권 257장~276장에는 『라마야나』, 제3권 277장~283장에는 『사르비트리 이야기』 등 유명한 설화가 수록되어 있다.
자이나교 버전의 ''마하바라타''는 ''하리밤사'' 등 다양한 자이나교 경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자이나교 우주론에 따르면 발라마, 크리슈나, 자라산다는 아홉 번째이자 마지막 발라데바, 바수데바, 프라티바수데바 집합체이다. 주요 전투는 마하바라타가 아니라 크리슈나와 자라산다 간의 싸움이다. 궁극적으로 판다바와 발라마는 자이나 승려로서 출가하고 천국에 태어나는 반면, 크리슈나는 자라산다와 함께 지옥에 태어난다. 업의 법칙에 따라 크리슈나는 자신의 악행으로 인해, 자라산다는 악행으로 인해 지옥에 태어난다. 자이나교 경전은 크리슈나가 다음 반 시간 주기 동안 자이나교 티르탄카라로 다시 태어나 해탈을 얻을 것이라고 예언한다. 크리슈나와 발라마는 22번째 티르탄카라인 네미나타의 동시대인이자 사촌으로 묘사된다.
2. 1. 판다바와 카우라바
쿠루 왕국의 왕 산타누의 후손인 판다바 형제들과 두료다나 형제간의 전쟁이 주요 줄거리이다. 등장인물에 얽힌 이야기와 등장인물들이 다르마와 카르마에 대해 노래하는 게송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판두 왕의 아들들인 판다바 형제들과 드리타라슈트라 왕의 아들들인 카우라바 형제들은 쿠루 왕국의 왕위를 두고 대립한다.비치트라비르야가 상속인 없이 어린 나이에 죽자, 사탸바티는 현자 파라샤라와의 이전 연합에서 낳은 첫째 아들 비아사에게 자녀를 낳게 해달라고 부탁한다. 장녀 암비카는 그를 보자 눈을 감았고, 그래서 그녀의 아들 드리타라슈트라는 눈이 멀게 태어났다. 암발리카는 그를 보고 창백해지고 피를 흘렸고, 그래서 그녀의 아들 판두는 창백하고 허약하게 태어났다 (판두라는 용어는 '황달'을 의미하기도 한다[58]). 처음 두 아이의 신체적 문제 때문에 사탸바티는 비야사에게 다시 한번 시도해 달라고 부탁한다. 그러나 암비카와 암발리카는 대신 그들의 하녀를 비야사의 방으로 보낸다. 비야사는 하녀에게서 세 번째 아들 비두라를 낳는다. 그는 건강하게 태어나 마하바라타에서 가장 현명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성장한다. 그는 판두왕과 드리타라슈트라왕의 총리(마하만트리 또는 마하트마)로 봉직한다.
왕자들이 성장하자, 드리타라슈트라가 비슈마에 의해 왕으로 즉위하려는 순간 비두라가 개입하여 자신의 정치적 지식을 이용하여 눈먼 사람이 왕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는 눈먼 사람이 자신의 백성을 통제하고 보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드리타라슈트라의 시각 장애로 인해 왕위는 판두에게 주어진다. 판두는 쿤티와 마드리와 두 번 결혼한다. 드리타라슈트라는 간다리와 결혼하는데, 간다리는 남편이 느끼는 고통을 함께 느끼기 위해 평생 눈가리개를 한다. 그녀의 오빠 샤쿠니는 이에 분노하여 쿠루 가문에 복수할 것을 맹세한다. 어느 날, 판두가 숲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 야생 동물의 소리를 듣는다. 그는 소리가 나는 쪽으로 화살을 쏜다. 그러나 화살은 사슴으로 변장한 채 성행위를 하고 있던 킨다마(Kindama)라는 현자에게 명중한다. 그는 판두에게 성행위를 하면 죽을 것이라는 저주를 내린다. 판두는 두 아내와 함께 숲으로 은퇴하고, 그 후 그의 형 드리타라슈트라가 시각 장애에도 불구하고 통치한다.
그러나 판두의 장녀 쿤티는 현자 두르바사(Durvasa)로부터 특별한 주문을 사용하여 어떤 신이든 부를 수 있는 축복을 받았다. 쿤티는 이 축복을 사용하여 정의의 신인 다르마, 바람의 신인 바유, 하늘의 주인인 인드라에게 아들들을 청한다. 그녀는 이러한 신들을 통해 세 아들 유디슈티라, 비마, 아르주나를 낳는다. 쿤티는 그녀의 주문을 젊은 왕비 마드리와 공유하고, 마드리는 아슈빈 쌍둥이를 통해 쌍둥이 나쿨라와 사하데바를 낳는다. 그러나 판두와 마드리는 사랑을 나누고, 판두는 죽는다. 마드리는 후회로 자살한다. 쿤티는 다섯 형제를 키우는데, 그들은 그때부터 판다바 형제로 불린다.
드리타라슈트라는 간다리를 통해 백 명의 아들과 한 명의 딸인 두할라(Duhsala)를 낳는데,[59] 모두 유디슈티라가 태어난 후에 태어났다. 이들은 카우라바 형제들인데, 장남은 두료다나이고 차남은 두샤사나이다. 다른 카우라바 형제들로는 비카르나와 수카르나가 있다. 그들과 판다바 형제들 사이의 라이벌 관계와 적개심은 그들의 젊은 시절부터 장년기에 이르기까지 쿠룩셰트라 전쟁으로 이어진다.
판두 왕의 아들인 다섯 왕자(판다바)와 그 사촌인 쿠루국의 백 명의 왕자(카우라바) 사이의 오랜 불화와 쿠루국의 계승을 둘러싼 쿠룩셰트라 전투를 주된 줄거리로 한다. 18일간의 끔찍한 전투 끝에 판다바가 승리했지만, 양측 모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대전 당시 양 진영의 주요 전사 구성은 다음과 같다.
《판다바측》
유디슈티라,비마,아르주나,나쿨라,사하데바(이상 다섯 왕자),크리슈나[126],드루파다 왕,드리슈타듀무나, 시칸딘, 가토트카차, 아비마뉴 등.
《카우라바측》
두료다나,두샤사나 외(백 명의 왕자),드리타라슈트라 왕[127],비슈마,드로나,아슈바타만,카르나,크리파,샤쿤니 등.
2. 2. 쿠루크셰트라 전쟁
쿠루 왕국의 왕 산타누의 후손인 판다바 형제들과 두료다나 형제들 간에 벌어진 쿠루크셰트라 전쟁은 18일간 지속되었다.[69] 양측은 대규모 군대를 소집했으며, 빤찰라, 드와라카, 카시, 케카야, 마가다, 맛샤, 체디, 판디야, 텔링가, 마투라의 야두족, 파라마 캄보자 등이 판다바와 동맹을 맺었다.[66][67] 카우라바 측에는 프라그조티샤, 앙가, 케카야, 싱두데사(싱두스, 사우비라스, 시비스 포함), 마히슈마티, 마디야데사의 아반티, 마드라, 간다라, 바흘리카 족, 캄보자 등이 합류했다.[66][67]전쟁이 선포되기 전, 발라마는 갈등에 불만을 품고 순례를 떠나 전투에 불참했다. 크리슈나는 아르주나의 전차 수레꾼(사라티)으로 참전했고, 아비라 고파스로 구성된 나라야니 세나는 카우라바 측에서 싸웠다.[66][67]
전투 직전, 아르주나는 적군에 조부 비슈마와 스승 드로나를 포함한 친족들이 있음을 알고 절망하여 싸우기를 거부한다. 크리슈나는 바가바드 기타에서 의로운 대의를 위해 싸워야 할 크샤트리아의 의무를 상기시킨다.
처음에는 기사도 정신을 따랐지만, 양측 모두 불명예스러운 전술을 채택한다. 18일간의 전투 후 판다바, 사탸키, 크리파, 아슈왓타마, 크리타바르마, 유유츠, 크리슈나만이 살아남았다. 유디슈티라가 하스티나푸르의 왕이 되었고, 전사자들은 모두 스와르가로 갔다.
《마하바라타》는 최초의 '다르마유다(dharmayuddha)' 이론 중 하나를 제시하며, '균형', '정당한 수단', '정당한 이유', 포로와 부상자에 대한 공정한 대우 등의 기준을 확립했다.[69]
판다바 측에는 유디슈티라, 비마, 아르주나, 나쿨라, 사하데바 (다섯 왕자), 크리슈나[126], 드루파다, 드리슈타듀무나, 시칸딘, 가토트카차, 아비마뉴 등이 있었다. 카우라바 측에는 두르요다나, 두샤사나 외 백 명의 왕자, 드리타라슈트라[127], 비슈마, 드로나, 아슈바타만, 카르나, 크리파, 샤쿤니 등이 있었다.
제6권 23장~40장에는 『바가바드 기타』가 포함되어 있다.
2. 3. 부가적인 이야기
쿠루 왕국의 왕 산타누의 후손인 판다바 형제들과 두료다나 형제간의 전쟁이 주요 줄거리이다. 등장인물에 얽힌 이야기와 등장인물들이 다르마와 카르마에 대해 노래하는 게송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126][127] 주된 줄거리 외에도 제1권 62장~69장에는 『샤쿤탈라 이야기』, 제3권 50장~78장에는 『나라왕 이야기』, 제3권 111장~113장에는 『리샤슈링가(사슴뿔 선인) 이야기』, 제3권 257장~276장에는 『라마야나』, 제3권 277장~283장에는 『사르비트리 이야기』 등 유명한 설화가 수록되어 있다.[126][127]자이나교 버전의 ''마하바라타''는 ''하리밤사푸라나''(하리밤사 이야기), ''트리사스티살라카푸루샤 차리트라''(63명의 위대한 인물들의 전기), ''판다바차리트라''(판다바들의 삶), ''판다바푸라나''(판다바들의 이야기)와 같은 다양한 자이나교 경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108] 초기 경전인 ''안타크르다샤''(8번째 경전)와 ''브리슈니다사''(부속 경전 또는 이차 경전)에는 네미나타(22번째 티르탄카라), 크리슈나, 발라마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109] 파드마나브 자이니 교수는 힌두교 푸라나와 달리 자이나교 푸라나에서는 발라데바와 바수데바라는 이름이 발라마와 크리슈나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대신 이 이름들은 서로 다른 두 계급의 강력한 형제들의 이름으로 사용되며, 자이나교 우주론의 각 반 시간 주기마다 아홉 번씩 나타나 반 짜크라바르틴으로서 지구의 절반을 통치한다. 자이니는 이 형제들의 목록의 기원을 바드라바후 스와미(기원전 4세기~3세기)의 지나차리트라로 거슬러 올라간다.[110] 자이나교 우주론에 따르면 발라마, 크리슈나, 자라산다가 아홉 번째이자 마지막 발라데바, 바수데바, 프라티바수데바 집합체이다.[111] 주요 전투는 마하바라타가 아니라 크리슈나와 자라산다(바수데바가 프라티바수데바를 죽이는 것처럼 크리슈나에게 죽임을 당함) 간의 싸움이다. 궁극적으로 판다바와 발라마는 자이나 승려로서 출가하고 천국에 태어나는 반면, 크리슈나는 자라산다와 함께 지옥에 태어난다.[112] 업의 법칙에 따라 크리슈나는 자신의 악행(성적이고 폭력적인 행위)으로 인해, 자라산다는 악행으로 인해 지옥에 태어난다. 자이니 교수는 아마도 크리슈나의 인기 때문에 자이나교 저자들이 크리슈나를 재평가하려고 했을 가능성을 인정한다. 자이나교 경전은 그의 업이 지옥에서 끝난 후 다음 반 시간 주기 동안 크리슈나가 자이나교 티르탄카라로 다시 태어나 해탈을 얻을 것이라고 예언한다. 크리슈나와 발라마는 22번째 티르탄카라인 네미나타의 동시대인이자 사촌으로 묘사된다.[113]
3. 구성
사우티가 나이미샤라냐에 모인 리쉬들에게 마하바라타를 이야기하게 된 경위와 자나메자야의 뱀 제사에서 바이삼파야나가 탁실라에서 낭송한 후의 이야기가 1권 ''아디 파르바''(시작의 책)에 서술되어 있다.[12] ''아디 파르바''에는 바라타 족과 브리구 족의 역사와 계보, 쿠루 왕자들의 탄생과 초기 생애가 기록되어 있으며, 판다바의 탄생, 유년 시절, 교육, 결혼, 음모로 인한 고난, 그리고 영광스러운 업적을 묘사한다.[12]
자나메자야 왕의 조상인 하스티나푸라(Hastinapura)의 왕 샤탄투(Shantanu)는 갠가(Ganga) 여신과 아들 데바브라타(Devavrata, 후에 위대한 전사 비슈마(Bhishma)라 불림)를 낳고 짧은 결혼 생활을 한다.[12] 그는 왕위 계승자가 되지만, 훗날 사티아바티(Satyavati)와의 결혼을 위해 왕위를 포기하고 평생 독신 서약을 한다.[12] 샤탄투와 사티아바티 사이에서 치트랑가다(Chitrāngada)와 비치트라비르야(Vichitravirya) 두 아들이 태어난다.[12] 샤탄투가 죽은 뒤 치트랑가다가 왕이 되지만 곧 죽고, 비치트라비르야가 하스티나푸라를 다스린다.[12] 비슈마는 비치트라비르야와의 결혼을 위해 암바(Amba (Mahabharata)), 암비카(Ambika (Mahabharata)), 암발리카(Ambalika) 세 공주를 납치한다.[12] 암바는 샬바 왕과 결혼하려 하지만, 비슈마에게 당한 굴욕 때문에 거절당하고, 결국 비슈마에게 복수하기 위해 드루파다(Drupada) 왕으로 환생하여 시칸디(Shikhandi)(또는 시칸디니(Shikhandini))가 되어 쿠루크셰트라 전투에서 아르주나(Arjuna)의 도움으로 비슈마를 몰락시킨다.[12]
어머니(마드리)와 아버지(판두)가 돌아가신 후, 판다바 형제들과 어머니 쿤티는 하스티나푸르 궁전으로 돌아오고, 유디슈티라 왕자는 왕세자로 책봉된다.[12] 그러나 드리타라슈트라는 자신의 아들 두리요다나를 왕으로 만들고 싶어했다.[12] 샤쿠니, 두리요다나, 두샤사나는 판다바 형제들을 제거하기 위한 음모를 꾸며 푸로차나에게 가연성 물질로 궁전을 짓게 하고 불을 지르려 하지만, 판다바 형제들은 비두라의 도움으로 터널을 통해 탈출한다.[60] 이 기간 동안 비마는 여자 악마 히딤비와 결혼하여 가토트카차라는 아들을 낳는다.[60]
숨어 지내던 중 판다바들은 빤찰라 공주 드라우파디의 결혼식(스와얌바라) 소식을 듣고 브라만으로 변장하여 참석한다.[12] 크리슈나는 드라우파디에게 아르주나를 찾아보라고 말하며, 아르주나는 과제를 통과하여 드라우파디와 결혼한다.[12] 쿤티의 오해로 드라우파디는 다섯 형제 모두의 아내가 된다.[12]
결혼 후, 판다바 형제는 하스티나푸라로 초대받고, 왕국 분할 협상을 통해 황량한 숲을 얻어 인드라프라스타(Indraprastha)라는 새로운 수도를 건설한다.[12] 아르주나는 크리슈나의 누이인 수바드라(Subhadra)와 결혼하고, 유디슈티라는 라자수야 야냐(rājasūya yagna) 의식을 거행하여 왕들 중 가장 탁월한 자로 인정받는다.[12] 판다바들은 마야수라(Mayasura)라는 다나바(Danava)가 지은 새로운 궁전을 갖게 되고,[64] 카우라바 사촌들을 인드라프라스타로 초대한다. 두리요다나는 궁전에서 실수를 하고 판다바들에게 모욕을 당하자[65] 질투심을 느껴 샤쿠니와 주사위 게임을 계획한다.[12]
2권 ''사바 파르바''(의회장의 책)는 마야 다나바가 인드라프라스타에 궁전과 궁정(사바)을 건설하는 내용과 유디슈티라의 라자수야 제사, 인드라프라스타 통치, 그리고 음모와 모욕을 서술한다.[12]
주사위 게임에서 유디슈티라는 모든 재산, 왕국, 형제들, 자신, 그리고 아내까지 잃는다.[12] 카우라바들은 판다바들을 모욕하고 드라우파디의 옷을 벗기려 하지만, 크리슈나가 기적적으로 막는다.[12] 드리타라슈트라는 판다바들에게 12년 동안 유배 생활을 하고 13년째에는 숨어 지낼 것을 요구한다.[12]
3권 ''바나 파르바''(숲의 책)는 숲(아라냐)에서 보낸 12년간의 유배 생활과 판다바들의 고난과 힘의 결집을 묘사한다.[12]
4권 ''비라타 파르바''(비라타의 책)는 비라타 왕궁에서 익명으로 보낸 1년을 다룬다. 아르주나는 카르나, 비슈마, 드로나, 아슈와타마 등 쿠루 군대 전체를 물리치고 비라타 왕국의 소들을 되찾는다.[41]
5권 ''우디오가 파르바''(노력의 책)는 전쟁 준비와 카우라바와 판다바 사이의 평화를 위한 노력이 실패로 끝나는 과정을 보여준다.[12]
3. 1. 1권~5권
사우티가 나이미샤라냐에 모인 리쉬들에게 마하바라타를 이야기하게 된 경위와 자나메자야의 뱀 제사에서 바이삼파야나가 탁실라에서 낭송한 후의 이야기가 1권 ''아디 파르바''(시작의 책)에 서술되어 있다. ''아디 파르바''에는 바라타 족과 브리구 족의 역사와 계보, 쿠루 왕자들의 탄생과 초기 생애가 기록되어 있으며, 판다바의 탄생, 유년 시절, 교육, 결혼, 음모로 인한 고난, 그리고 영광스러운 업적을 묘사한다.자나메자야 왕의 조상인 하스티나푸라(Hastinapura)의 왕 샤탄투(Shantanu)는 갠가(Ganga) 여신과 아들 데바브라타(Devavrata, 후에 위대한 전사 비슈마(Bhishma)라 불림)를 낳고 짧은 결혼 생활을 한다. 그는 왕위 계승자가 되지만, 훗날 사티아바티(Satyavati)와의 결혼을 위해 왕위를 포기하고 평생 독신 서약을 한다. 샤탄투와 사티아바티 사이에서 치트랑가다(Chitrāngada)와 비치트라비르야(Vichitravirya) 두 아들이 태어난다. 샤탄투가 죽은 뒤 치트랑가다가 왕이 되지만 곧 죽고, 비치트라비르야가 하스티나푸라를 다스린다. 비슈마는 비치트라비르야와의 결혼을 위해 암바(Amba (Mahabharata)), 암비카(Ambika (Mahabharata)), 암발리카(Ambalika) 세 공주를 납치한다. 암바는 샬바 왕과 결혼하려 하지만, 비슈마에게 당한 굴욕 때문에 거절당하고, 결국 비슈마에게 복수하기 위해 드루파다(Drupada) 왕으로 환생하여 시칸디(Shikhandi)(또는 시칸디니(Shikhandini))가 되어 쿠루크셰트라 전투에서 아르주나(Arjuna)의 도움으로 비슈마를 몰락시킨다.
어머니(마드리)와 아버지(판두)가 돌아가신 후, 판다바 형제들과 어머니 쿤티는 하스티나푸르 궁전으로 돌아오고, 유디슈티라 왕자는 왕세자로 책봉된다. 그러나 드리타라슈트라는 자신의 아들 두리요다나를 왕으로 만들고 싶어했다. 샤쿠니, 두리요다나, 두샤사나는 판다바 형제들을 제거하기 위한 음모를 꾸며 푸로차나에게 가연성 물질로 궁전을 짓게 하고 불을 지르려 하지만, 판다바 형제들은 비두라의 도움으로 터널을 통해 탈출한다.[60] 이 기간 동안 비마는 여자 악마 히딤비와 결혼하여 가토트카차라는 아들을 낳는다.[60]
숨어 지내던 중 판다바들은 빤찰라 공주 드라우파디의 결혼식(스와얌바라) 소식을 듣고 브라만으로 변장하여 참석한다. 크리슈나는 드라우파디에게 아르주나를 찾아보라고 말하며, 아르주나는 과제를 통과하여 드라우파디와 결혼한다. 쿤티의 오해로 드라우파디는 다섯 형제 모두의 아내가 된다.
결혼 후, 판다바 형제는 하스티나푸라로 초대받고, 왕국 분할 협상을 통해 황량한 숲을 얻어 인드라프라스타(Indraprastha)라는 새로운 수도를 건설한다. 아르주나는 크리슈나의 누이인 수바드라(Subhadra)와 결혼하고, 유디슈티라는 라자수야 야냐(rājasūya yagna) 의식을 거행하여 왕들 중 가장 탁월한 자로 인정받는다. 판다바들은 마야수라(Mayasura)라는 다나바(Danava)가 지은 새로운 궁전을 갖게 되고,[64] 카우라바 사촌들을 인드라프라스타로 초대한다. 두리요다나는 궁전에서 실수를 하고 판다바들에게 모욕을 당하자[65] 질투심을 느껴 샤쿠니와 주사위 게임을 계획한다.
2권 ''사바 파르바''(의회장의 책)는 마야 다나바가 인드라프라스타에 궁전과 궁정(사바)을 건설하는 내용과 유디슈티라의 라자수야 제사, 인드라프라스타 통치, 그리고 음모와 모욕을 서술한다.
주사위 게임에서 유디슈티라는 모든 재산, 왕국, 형제들, 자신, 그리고 아내까지 잃는다. 카우라바들은 판다바들을 모욕하고 드라우파디의 옷을 벗기려 하지만, 크리슈나가 기적적으로 막는다. 드리타라슈트라는 판다바들에게 12년 동안 유배 생활을 하고 13년째에는 숨어 지낼 것을 요구한다.
3권 ''바나 파르바''(숲의 책)는 숲(아라냐)에서 보낸 12년간의 유배 생활과 판다바들의 고난과 힘의 결집을 묘사한다.
4권 ''비라타 파르바''(비라타의 책)는 비라타 왕궁에서 익명으로 보낸 1년을 다룬다. 아르주나는 카르나, 비슈마, 드로나, 아슈와타마 등 쿠루 군대 전체를 물리치고 비라타 왕국의 소들을 되찾는다.[41]
5권 ''우디오가 파르바''(노력의 책)는 전쟁 준비와 카우라바와 판다바 사이의 평화를 위한 노력이 실패로 끝나는 과정을 보여준다.
3. 2. 6권~10권
쿠루크셰트라 전쟁의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는 6권~10권은 주요 전투와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룬다.[42][43]6권 ''비슈마 파르바''는 카우라바의 지휘관인 비슈마가 전투를 이끌고, 그가 화살침대에 눕게 되는 과정을 서술한다. 특히, 이 권에는 크리슈나가 아르주나에게 의무와 다르마(정의)에 대해 가르치는 ''바가바드 기타''가 포함되어 있다.[42][43] 아르주나는 적군에 자신의 친족들이 포함된 것을 보고 절망하여 싸움을 망설이지만, 크리슈나는 크샤트리아로서의 의무를 강조하며 그를 설득한다.
7권 ''드로나 파르바''는 드로나가 카우라바 군대의 지휘관이 되어 전투를 계속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권은 전쟁의 주요 서술 부분으로, 양측의 많은 전사들이 죽는 격렬한 전투가 벌어진다.
8권 ''카르나 파르바''는 카르나가 카우라바 군대의 지휘관이 되어 전투를 이어간다.
9권 ''샬리아 파르바''는 샬리아가 지휘관이 되어 전투의 마지막 날을 이끈다. 발라마는 전쟁에 불만을 품고 순례를 떠났다가 돌아와 사라스와티 강 유역을 순례한다. 이 권에서는 비마와 두료다나 사이의 곤봉 싸움이 벌어지고, 비마가 두료다나의 허벅지를 쳐서 죽임으로써 전쟁이 끝난다.
10권 ''사웁티카 파르바''는 아슈와타마, 크리파, 크리타바르마가 잠든 판다바 군대를 학살하는 비극적인 사건을 다룬다. 이로써 판다바 측에는 7명, 카우라바 측에는 3명의 전사만 살아남게 된다.
전쟁 전, 판다바는 빤찰라, 드와라카, 카시, 케카야, 마가다, 맛샤, 체디, 판디야, 텔링가, 마투라의 야두족, 파라마 캄보자 등과 동맹을 맺었다.[66][67] 카우라바는 프라그조티샤, 앙가, 케카야, 싱두데사(싱두스, 사우비라스, 시비스 포함), 마히슈마티, 마디야데사의 아반티, 마드라, 간다라, 바흘리카 족, 캄보자 등과 동맹을 맺었다.[66][67] 크리슈나는 아르주나의 전차 수레꾼(사라티)으로 참전했고, 아비라 고파스로 구성된 나라야니 세나는 카우라바 측에 가담했다.[66][67]
전쟁 초기에는 기사도 정신이 유지되었으나, 점차 양측 모두 비열한 전술을 사용하게 된다. 18일간의 전투 후, 유디슈티라가 하스티나푸르의 왕이 되고, 쿠루크셰트라 전투에서 사망한 모든 전사들은 스와르가로 가게 된다.
3. 3. 11권~18권
스트리 파르바(여성들의 책)는 간다리와 카우라바, 판다바 여성들이 죽은 자들을 애도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간다리가 대규모 파괴와 카우라바의 멸망에 대해 크리슈나를 저주하는 내용이 포함된다.샨티 파르바(평화의 책)는 유디슈티라가 하스티나푸라의 왕으로 즉위하고, 비슈마가 새로 즉위한 왕에게 사회, 경제, 정치에 대한 가르침을 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마하바라타''에서 가장 긴 책이다. 아누샤사나 파르바(가르침의 책)는 비슈마의 마지막 가르침을 담고 있으며, 비슈마의 마지막 날과 다가오는 황제 유디슈티라에게 대한 그의 조언과 지혜가 담겨 있다.
아슈바메디카 파르바(말 제사의 책)는 유디슈티라가 거행한 아슈바메다 (말 제사)의 왕실 의식과 아르주나의 세계 정복에 대해 다룬다. 또한, 크리슈나가 아르주나에게 아누기타를 이야기한다.
아슈라마바시카 파르바(은둔처의 책)는 히말라야 산맥의 은둔처에서 살던 드리타라슈트라, 간다리, 군티가 산불로 죽게 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비두라는 그들보다 먼저 사망하고, 산자야는 드리타라슈트라의 명령에 따라 히말라야 산맥의 높은 곳으로 가서 산다.

마우살라 파르바(곤봉의 책)는 간다리의 저주, 즉 곤봉(''마우살라'')을 사용한 야다바들 사이의 내분과 야다바들의 최종 멸망이 실현되는 과정을 묘사한다.
마하프라스타니카 파르바(위대한 여정의 책)는 유디슈티라, 그의 형제들, 그리고 그의 아내 드라우파디의 전국을 횡단하는 위대한 여정과 마지막으로 그들이 히말라야 산맥에 오르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유디슈티라를 제외한 모든 판다바 형제들은 죽는다.
스바르가로하나 파르바(천국으로의 승천의 책)는 유디슈티라의 최종 시험과 판다바들의 영적 세계(''스바르가'')로의 귀환을 다룬다.
대학살을 "목격"한 후, 모든 아들을 잃은 간다리는 신성하고 전쟁을 막을 수 있었음에도 그렇게 하지 않은 크리슈나에게 그의 가족과 비슷한 멸망을 목격하게 될 것이라는 저주를 내린다. 크리슈나는 그 저주를 받아들이고, 36년 후 그 저주는 실현된다.
그동안 왕국을 다스렸던 판다바들은 모든 것을 버리기로 결정한다. 가죽과 누더기를 걸친 채 히말라야로 은퇴하여 육체적인 모습으로 천국으로 향한다. 길 잃은 개 한 마리가 그들과 함께 여행한다. 형제들과 드라우파디는 하나씩 쓰러진다. 각자가 쓰러질 때마다 유디슈티라가 나머지 사람들에게 그들이 쓰러진 이유를 알려준다(드라우파디는 아르주나를 편애했고, 나쿨라와 사하데바는 허영심이 많았고 자신의 외모에 자부심을 가졌으며, 빔마와 아르주나는 각각 자신의 힘과 궁술 기술에 자부심을 가졌습니다). 대학살을 막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였던 유디슈티라와 개만 남는다. 그 개는 야마 신(야마 다르마라자로도 알려짐)임을 드러내고 그를 지옥으로 데려가 그의 형제들과 아내를 보여준다. 시험의 성격을 설명한 후, 야마는 유디슈티라를 천국으로 데려다주고 (Rajyante narakam dhruvam) 통치자는 적어도 한 번은 지옥을 방문해야 한다는 이유로 그를 지옥에 데려가야 했음을 설명한다. 그런 다음 야마는 그의 형제들과 아내가 자신의 악덕에 따라 일정 시간 지옥에 있은 후 천국에서 그와 합류할 것이라고 확신시켜 준다.
마하바라타는 카르나, 판다바 형제들, 드라우파디, 그리고 드리타라슈트라의 아들들이 결국 스바르가에 올라 "신들의 경지에 도달"했고, "고요하고 분노 없이" 하나가 되었다고 언급한다.[68]
3. 4. 12권~13권
4. 철학
마하바라타에는 힌두교 철학의 다양한 학파들의 사상이 반영되어 있다.
4. 1. 육파 철학
4. 2. 바가바드 기타
5. 역사적 배경
마하바라타의 쿠루크셰트라 전쟁은 역사적 사실 여부가 불분명하다.[45] 많은 역사가들은 이 전쟁을 기원전 10세기의 철기 시대 인도로 추정한다.[45] 이 서사시의 배경은 철기 시대(베다 시대) 인도에서 쿠루 왕국이 기원전 1200년에서 800년 사이에 정치적 중심지였다는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한다.[46]
푸라나 문헌은 마하바라타 이야기와 관련된 계보 목록을 제시한다. 파릭시트(아르주나의 손자)의 탄생과 마하파드마 난다(기원전 400~329년)의 즉위 사이에 1,015년(또는 1,050년)이 있었다는 기록에 따르면[47], 바라타 전투는 기원전 1400년경에 일어났다고 추정할수 있다.[47] 그러나 이는 왕들의 평균 재위 기간이 비현실적으로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48] 다른 분석에 따르면 아디시마크리슈나(파릭시트의 증손자)와 마하파드마 난다 시대 사이는 26세대로, 평균 재위 기간을 18년으로 가정하면 아디시마크리슈나는 기원전 850년, 바라타 전투는 기원전 950년경으로 추정된다.[49]
B. B.랄(고고학자)은 회색 채색 토기(PGW) 유적지의 고고학적 증거와 서사시에 언급된 장소들 사이의 강한 연관성을 바탕으로 기원전 836년으로 추정했다.[50]
마하바라타에 기록된 천문 현상들을 분석하여 쿠루크셰트라 전쟁 등 서사시에 등장하는 사건들의 연대를 추정하려는 시도가 있었다.[52]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어떤 구절을 선택하고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기원전 4천년 후반에서 기원전 2천년 중반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52]
인도 전통에서는 아리아바타(6세기)가 계산한 기원전 3102년 2월 18일을 마하바라타 전쟁 시기로 널리 받아들인다.[53] 일부 자료에서는 이 날짜를 크리슈나가 세상을 떠난 날로 표시하기도 한다.[53] 풀라케신 2세의 아이홀 비문(기원후 634년)은 바라타 전투 이후 3,735년이 지났다고 주장하며, 마하바라타 전쟁 시기를 기원전 3137년으로 추정한다.[54][55]
반면 브리다 가르가, 바라하미히라, 칼하나 등의 천문학자 및 역사가들은 바라타 전쟁을 칼리 유가 시대 이후 653년, 즉 기원전 2449년으로 추정한다.[56] 바라하미히라는 브리하트 삼히타(6세기)에서 유디슈티라가 기원후 78년에 시작되는 샤카 시대보다 2,526년 앞서 살았다고 기록하여, 유디슈티라(및 마하바라타 전쟁)의 시기를 기원전 2448~2449년경으로 추정한다.[57] 칼하나의 라자타랑기니(11세기)는 바라하미히라의 견해를 따르며, 판다바들이 칼리 유가 시작 후 653년에 번성했다고 언급한다. 칼하나는 바라타 전쟁이 드바파라 유가 말에 일어났다고 믿는 사람들은 어리석다고 덧붙였다.[57]
5. 1. 고고학적 증거
마하바라타의 쿠르크셰트라 전쟁은 역사적 사실 여부가 불분명하다.[45] 많은 역사가들은 이 전쟁을 기원전 10세기의 철기 시대 인도로 추정한다.[45] 이 서사시의 배경은 철기 시대(베다 시대) 인도에서 쿠루 왕국이 기원전 1200년에서 800년 사이에 정치적 중심지였다는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한다.[46]푸라나 문헌은 마하바라타 이야기와 관련된 계보 목록을 제시한다. 파릭시트(아르주나의 손자)의 탄생과 마하파드마 난다(기원전 400~329년)의 즉위 사이에 1,015년(또는 1,050년)이 있었다는 기록에 따르면[47], 바라타 전투는 기원전 1400년경에 일어났다고 추정할수 있다.[47] 그러나 이는 왕들의 평균 재위 기간이 비현실적으로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48] 다른 분석에 따르면 아디시마크리슈나(파릭시트의 증손자)와 마하파드마 난다 시대 사이는 26세대로, 평균 재위 기간을 18년으로 가정하면 아디시마크리슈나는 기원전 850년, 바라타 전투는 기원전 950년경으로 추정된다.[49]
B. B.랄(고고학자)은 회색 채색 토기(PGW) 유적지의 고고학적 증거와 서사시에 언급된 장소들 사이의 강한 연관성을 바탕으로 기원전 836년으로 추정했다.[50]
고고천문학적 방법을 사용한 연대 측정 시도는, 선택하는 구절과 해석에 따라 기원전 4천년 후반에서 2천년 중반까지의 추정치를 산출했다.[52] 아리아바타(6세기)는 행성 합에 기반한 칼리 유가 시대 계산으로 마하바라타 전쟁을 기원전 3102년 2월 18일로 계산했다.[53] 풀라케신 2세의 아이홀 비문은 바라타 전투 이후 3,735년이 경과했다고 주장하며, 마하바라타 전쟁 시기를 기원전 3137년으로 추정한다.[54][55] 브리다 가르가, 바라하미히라, 칼하나가 대표하는 학파는 바라타 전쟁을 기원전 2449년으로 추정한다.[56]
5. 2. 천문학적 기록
마하바라타에 기록된 천문 현상들을 분석하여 쿠루크셰트라 전쟁 등 서사시에 등장하는 사건들의 연대를 추정하려는 시도가 있었다.[52]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어떤 구절을 선택하고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기원전 4천년 후반에서 기원전 2천년 중반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52]인도 전통에서는 아리아바타(6세기)가 계산한 기원전 3102년 2월 18일을 마하바라타 전쟁 시기로 널리 받아들인다.[53] 일부 자료에서는 이 날짜를 크리슈나가 세상을 떠난 날로 표시하기도 한다.[53] 풀라케신 2세의 아이홀 비문(기원후 634년)은 바라타 전투 이후 3,735년이 지났다고 주장하며, 마하바라타 전쟁 시기를 기원전 3137년으로 추정한다.[54][55]
반면 브리다 가르가, 바라하미히라, 칼하나 등의 천문학자 및 역사가들은 바라타 전쟁을 칼리 유가 시대 이후 653년, 즉 기원전 2449년으로 추정한다.[56] 바라하미히라는 브리하트 삼히타(6세기)에서 유디슈티라가 기원후 78년에 시작되는 샤카 시대보다 2,526년 앞서 살았다고 기록하여, 유디슈티라(및 마하바라타 전쟁)의 시기를 기원전 2448~2449년경으로 추정한다.[57] 칼하나의 라자타랑기니(11세기)는 바라하미히라의 견해를 따르며, 판다바들이 칼리 유가 시작 후 653년에 번성했다고 언급한다. 칼하나는 바라타 전쟁이 드바파라 유가 말에 일어났다고 믿는 사람들은 어리석다고 덧붙였다.[57]
6. 판본
1919년부터 1966년까지 푸네의 반다르카르 동양 연구소 학자들은 인도 및 전 세계의 다양한 마하바라타 사본들을 비교, 분석하여 13,000페이지에 달하는 19권의 '''비평판'''(Critical Edition)을 완성했다.[89] 이후 2권의 '''하리반샤'''(Harivamsha)와 6권의 색인이 추가로 출판되었다. 이 판본은 현재 마하바라타 연구의 표준 텍스트로 사용된다.[89][128] 비평판 이전에는 1834년에서 1839년 사이에 캘커타 판이, 1862년부터 1863년까지는 니라칸타의 주석이 붙은 봄베이 판이 간행되었다.[129]
1925년, V. S. 숙탄카르(V. S. Sukthankar)의 주도로 비평판 편찬 프로젝트가 시작되어, 1933년부터 1966년까지 총 19권이 간행되었다. 숙탄카르는 이 판본의 목적이 “입수 가능한 여러 사본을 바탕으로 구성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형태를 재구성하는 것”이라고 밝혔다.[130] 이러한 편찬 방침에 따라, 성립 시기가 새로운 것으로 보이는 부분은 본문에서 제외되고 부록(Appendix)으로 처리되었기 때문에, 봄베이 판이나 캘커타 판보다 간결하고 텍스트가 짧다.
마하바라타 자체(1.1.61)는 24,000구절의 핵심 부분인 바라타(Bhārata)를 구분하고, 그르햐 수트라(Grhya Sutras) 아슈발라야나 그리햐수트라(Ashvalayana Grihyasutra)(3.4.4)도 비슷한 구분을 한다. 일반적으로 텍스트의 세 가지 편집본이 인정되는데, 8,800구절의 자야(Jaya, 승리), 24,000구절의 바라타(Bharata),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그라슈라바 사우티(Ugrasrava Sauti)가 낭송한 100,000구절이 넘는 마하바라타이다.[26][27] 그러나 존 브로킹턴(John Brockington)과 같은 일부 학자들은 자야와 바라타가 같은 텍스트를 가리키는 것이며, 8,800구절의 자야 이론은 아디 파르바(Adi Parva)(1.1.81)의 구절 오독으로 인한 것이라고 주장한다.[28]
이 방대한 텍스트의 편집은 공식적인 원칙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18[29]과 12라는 숫자를 강조했다. 가장 최근 부분의 추가는 스피처 사본(The Spitzer manuscript)에서 아누샤사나 파르바(Anushasana Parva)와 비라타 파르바(Virata Parva)가 없다는 점으로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30]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산스크리트어 텍스트는 쿠샨 제국 시대(200년경)로 거슬러 올라간다.[31]
마하바라타의 첫 번째 부분은 비야사의 구술에 따라 가네샤(Ganesha)가 본문을 기록했다고 명시하지만, 이것은 학자들에 의해 서사시에 나중에 삽입된 것으로 간주되며, "비평판"에는 가네샤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17]
이 서사시는 여러 인도 종교 및 비종교 작품에서 인기 있는 이야기 속의 이야기 구조, 즉 프레임테일(frametales)을 사용한다. 처음에는 비야사의 제자인 바이삼파야나(Vaisampayana) 현자가 탁샤실라(Takshashila)에서 판다바(Pandava) 왕자 아르주나(Arjuna)의 증손자인 자나메자야 2세(Janamejaya II) 왕에게 낭송했다.[18][19] 그 후 수년 후, 우그라슈라바 사우티(Ugrashrava Sauti)라는 전문적인 이야기꾼이 나이미샤 숲(Naimisha Forest)에서 사우나카 쿨라파티(Saunaka Kulapati) 왕을 위한 12년간의 제사를 지내는 현자들에게 다시 낭송했다.
아디 파르바는 자나메자야 2세(Janamejaya II)의 뱀 제사(sarpasattra)를 포함하여 그 동기를 설명하고, 왜 존재하는 모든 뱀을 파괴하려고 했는지,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여전히 뱀이 존재하는지 자세히 설명한다. 이 사르파삿라 자료는 종종 "주제적 매력"(Minkowski 1991)에 의해 마하바라타 버전에 추가된 독립적인 이야기로 간주되었으며, 베다 산스크리트어(Vedic Sanskrit)(브라흐마나(Brahmana)) 문헌과 특히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판차빔샤 브라흐마나(Panchavimsha Brahmana)(25.15.3에서)는 사르파삿라의 집전 사제들을 열거하는데, 그중 마하바라타의 사르파삿라의 주요 인물인 드리타라슈트라(Dhritarashtra)와 자나메자야, 그리고 마하바라타의 뱀인 탁사카(Takshaka)의 이름이 나타난다.[33]
6. 1. 비판 교정판
1919년부터 1966년까지 푸네의 반다르카르 동양 연구소 학자들은 인도 및 전 세계의 다양한 마하바라타 사본들을 비교, 분석하여 13,000페이지에 달하는 19권의 '''비평판'''(Critical Edition)을 완성했다.[89] 이 판본은 현재 마하바라타 연구의 표준 텍스트로 사용된다.[89][128] 비평판 이전에는 1834년에서 1839년 사이에 캘커타 판이, 1862년부터 1863년까지는 니라칸타의 주석이 붙은 봄베이 판이 간행되었다.[129]1925년, V. S. 숙탄카르(V. S. Sukthankar)의 주도로 비평판 편찬 프로젝트가 시작되어, 1933년부터 1966년까지 총 19권이 간행되었다. 숙탄카르는 이 판본의 목적이 “입수 가능한 여러 사본을 바탕으로 구성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형태를 재구성하는 것”이라고 밝혔다.[130] 이러한 편찬 방침에 따라, 성립 시기가 새로운 것으로 보이는 부분은 본문에서 제외되고 부록(Appendix)으로 처리되었기 때문에, 봄베이 판이나 캘커타 판보다 간결하고 텍스트가 짧다. 마하바라타 자체(1.1.61)는 24,000구절의 핵심 부분인 바라타(Bhārata)를 구분하고, 그르햐 수트라(Grhya Sutras) 아슈발라야나 그리햐수트라(Ashvalayana Grihyasutra)(3.4.4)도 비슷한 구분을 한다. 일반적으로 텍스트의 세 가지 편집본이 인정되는데, 8,800구절의 자야(Jaya), 24,000구절의 바라타, 100,000구절이 넘는 마하바라타이다.[26][27]
6. 2. 캘커타 판과 봄베이 판
비판 교정판이 나오기 전에는 캘커타 판과 봄베이 판이 마하바라타의 판본으로 널리 사용되었다.[25] 그러나 이 판본들은 비판 교정판에 비해 후대에 추가된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30][31] 비슈누 수칸타카(Vishnu Sukthankar)는 이용 가능한 사본 자료를 바탕으로 '달성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텍스트 형태'를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25]7. 번역
키사리 모한 강굴리는 빅토리아 시대에 마하바라타를 산문으로 완역하여 영어로 번역하였다.[74] 1883년부터 1896년 사이에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출판되었고, 만마타 나트 닷트(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에 의해서도 출판되었다.[75][76] 로메시 춘더 닷트는 1898년에 '''마하바라타'''의 주요 주제를 영시로 요약한 초기 시 번역본을 출판했다.[77] 시인 P. 랄은 영어로 완전한 서사시를 시로 옮기는 작업을 했고, 사후에 그의 제자가 완성하여 라이터스 워크숍(콜카타)에서 출판되었다.[78]
클레이 산스크리트 도서관은 2005년부터 다양한 사람들이 번역한 완전한 서사시를 영어 산문으로 번역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뉴욕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하기 시작했다. 이 번역은 주석가 닐라칸타에게 알려진 판본을 기반으로 하며, 현재는 예상되는 32권 중 15권이 출시되었다. 인도 경제학자 비벡 데브로이도 10권으로 된 완전한 영어 번역본을 저술했다. 1권: 아디 파르바는 2010년 3월에 출판되었고, 마지막 두 권은 2014년 12월에 출판되었다.[81]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에서는 비평판을 바탕으로 한 완전한 서사시의 또 다른 영어 산문 번역을 진행 중이다. 인도학자 J. A. B. 반 부이테넨(1~5권)이 시작했으며, 반 부이테넨의 사망으로 20년간 중단된 후 여러 학자들이 계속하고 있다.[87][88]
7. 1. 한국어 번역
한국어 번역은 현재까지 없으며, 다음은 일본어 번역본 목록이다.- 야마기시 스오 『마하바라타』 산이치쇼보(전9권), 1991-98년
:* 캘커타 판을 저본으로 한 M. N. Dutt의 영역을 중역한 전역.
- 우에무라 카쓰히코 『원전역 마하바라타』 치쿠마쇼보 〈치쿠마가쿠게이분코〉(1~8권), 2002-05년
:* 비판 교정판을 저본으로 한 축어역(逐語訳)으로 일반 독자들에게도 크게 호평받았으나, 역자의 급서로 제8권 중간에서 미완(전11권 예정이었음). 제1권에 역자의 상세한 해설이 있다.[132]
- 갑순(鎧淳) 『마하바라타 나라왕 이야기: 다마얀티 공주의 기구한 일생』(나라왕 이야기), 이와나미쇼텐(岩波書店) 〈이와나미문고(岩波文庫)〉, 1989년
- 나카무라 료쇼(中村了昭) 『마하바라타의 철학 - 해탈법품 원전 해명』(상・하), 헤이라쿠지쇼텐(平楽寺書店), 1998년
- 야마기시 스오(山際素男) 『마하바라타 인도 천일야화』 코분샤신쇼(光文社新書), 2002년 (위, 산일판의 발췌서)
- 야마기시 스오(山際素男) 『춤추는 마하바라타 어리석고 사랑스러운 이야기』 코분샤(光文社) 신쇼, 2006년, 전과 같음
- 마에다 시코(前田式子) 역 「샤르비트리 이야기 마하바라타」
:* 각・츠지 나오시로(辻直四郎) 편, 츠쿠마쇼보(筑摩書房) 『인도집 세계문학대계 4』1959년, 신편 『츠쿠마 세계문학대계 9』, 1974년
- 키타가와 히데노리(北川秀則)・히시다 쿠니오(菱田邦男) 역 『나라왕 이야기와 샤르비트리 공주 이야기』 산키보붓쇼린(山喜房佛書林), 1999년
'''바가바드 기타'''는 많은 번역서・논고가 있다.
7. 2. 영어 번역
키사리 모한 강굴리는 빅토리아 시대에 마하바라타를 산문으로 완역하여 영어로 번역하였다.[74] 1883년부터 1896년 사이에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출판되었고, 만마타 나트 닷트(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에 의해서도 출판되었다.[75][76] 로메시 춘더 닷트는 1898년에 '''마하바라타'''의 주요 주제를 영시로 요약한 초기 시 번역본을 출판했다.[77] 시인 P. 랄은 영어로 완전한 서사시를 시로 옮기는 작업을 했고, 사후에 그의 제자가 완성하여 라이터스 워크숍(콜카타)에서 출판되었다.[78]클레이 산스크리트 도서관은 2005년부터 다양한 사람들이 번역한 완전한 서사시를 영어 산문으로 번역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뉴욕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하기 시작했다. 이 번역은 주석가 닐라칸타에게 알려진 판본을 기반으로 하며, 현재는 예상되는 32권 중 15권이 출시되었다. 인도 경제학자 비벡 데브로이도 10권으로 된 완전한 영어 번역본을 저술했다. 1권: 아디 파르바는 2010년 3월에 출판되었고, 마지막 두 권은 2014년 12월에 출판되었다.[81]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에서는 비평판을 바탕으로 한 완전한 서사시의 또 다른 영어 산문 번역을 진행 중이다. 인도학자 J. A. B. 반 부이테넨(1~5권)이 시작했으며, 반 부이테넨의 사망으로 20년간 중단된 후 여러 학자들이 계속하고 있다.[87][88]
8. 영향
마하바라타는 이후 인도의 문학과 문화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인도 사람들은 흔히 "세상의 모든 것이 마하바라타에 있고, 마하바라타에 없는 것은 세상에도 없다"고 말한다. 비야사는 왕들과 영웅들의 이야기에 인도의 신화를 함께 엮어 넣었으며 이야기의 전개를 통해 힌두교의 기본 교의인 다르마(법)와 카마(감각적 쾌락), 아르타(세속적욕망), 모크샤(해탈) 등의 의미를 설명한다. 이 때문에 마하바르타는 영웅 서사시의 면모와 함께 경전으로서 지위를 갖는다.[116][117]
《바가바드 기타》에서 크리슈나는 아르주나에게 전사이자 왕자로서의 그의 의무를 설명하고, 여러 가지 요가 및 베단타 철학을 예시와 비유를 들어 자세히 설명한다. 이로 인해 《기타》는 종종 간결한 힌두교 철학 안내서이자 실용적이고 독립적인 삶의 안내서로 묘사된다. 현대에 들어서는 비베카난다 스와미, 네타지 수바스 찬드라 보스, 발 갱가다르 틸락, 마하트마 간디 등 많은 사람들이 이 경전을 이용하여 인도 독립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118][119]
또한, 카르나와 그의 갈등을 중심으로 한 《마하바라타》를 재해석한 람다리 싱 디n카르의 《라슈미라티》와 같이 현대 힌디어 문학의 여러 작품에도 영감을 주었다. 1952년에 쓰여진 이 작품은 1972년에 권위 있는 냐나피타 상을 수상했다.
매년 우타라칸드주 가르왈 지역의 마을 주민들은 춤, 노래, 낭송을 통해 마하바라타의 에피소드를 의식적으로 재현하는 ''판다브 릴라''를 공연한다.[107] 릴라는 그 해의 문화적 하이라이트이며 보통 11월부터 2월 사이에 공연된다.[107] 이 지역의 민속 악기인 돌, 다마우, 그리고 두 개의 긴 나팔인 판코레가 공연에 함께한다.[107] 아마추어 배우들은 마하바라타 인물의 영혼에 "사로잡히면" 종종 즉흥적인 춤을 추곤 한다.[107]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각색되어 상연 및 출판되었다.
- 『마하바라타』 장 클로드 카리에르, 오이타 카츠히로, 키노시타 나가히로 공역, 하쿠스이샤 1987년
- 『젊은 아비마뉴의 죽음』 희곡집 『가면의 소리』에 수록, 엔도 타쿠로 신주쿠쇼보 1988년
- 『극첨 인도전 마하바라타 전기』 아오키 고 각본, 미야기 사토시 연출의 신작 가부키
- 『마하바라타 1』『마하바라타 2』『마하바라타 3』『싸움은 끝났다 - 마하바라타에서』『환제 전야 - 마하바라타에서』
동남아시아에서 마하바라타는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지역적 변형이 생겨났는데, 대부분 사소한 세부 사항만 다르거나, 구절이나 부수적인 이야기가 추가된 정도이다. 타밀 문화의 거리극인 테루쿠투(terukkuttu)와 카타이쿠투(kattaikkuttu)는 마하바라타의 타밀어 버전 주제를 사용하며, 드라우파디(Draupadi)에 초점을 맞춘다.[90]

인도네시아 자바에서는 11세기에 드르마왕사(Dharmawangsa, 990–1016) 왕의 후원하에 카카윈 바라타유드하(Kakawin Bhāratayuddha)라는 버전이 만들어졌다.[91] 이는 인근 발리 섬으로 퍼져나가 자바 문학, 춤극(와양 웡(wayang wong)), 와양(wayang) 그림자 인형극의 비옥한 원천이 되었다. 자바 버전의 마하바라타는 원본 인도 버전과 약간 다른데, 예를 들어 드라우파디(Draupadi)는 유디슈티라(Yudhishthira)와만 결혼한다. 아르주나(Arjuna)는 수바드라(Subhadra) 외에도 많은 아내와 첩을 둔 것으로 묘사되며, 시칸디니(Shikhandi)는 성별을 바꾸지 않고 여성으로 남아 아르주나와 결혼하고 전쟁 중 여전사의 역할을 한다. 간다리(Gandhari (character))는 판두(Pandu)를 사랑했지만 그의 눈먼 형과 결혼하게 되어 판다바들을 증오하는 적대적인 인물로 묘사된다. 주요 인물들의 광대 하인인 푸나카완(Punakawan) (세마르(Semar), 페트룩(Petruk), 가렝(Gareng), 바공(Bagong))이 포함된 것도 주목할 만한 차이점이다. 18개의 파르바(parvas) 중 8개가 남아 있는 마하바라타의 카위어(Kawi language) 버전은 발리 섬에서 발견되며, I. 구스티 푸투 팔구나디(I. Gusti Putu Phalgunadi) 박사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92]
동남아시아에서는 인도의 두 대서사시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 모두 왕권(크루족을 조상으로 하는 왕가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각색되어 지배 계급뿐 아니라 민중 사이에서도 친숙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베트남(참파)의 비문이나 인도네시아(자와, 발리)의 고전 문학 및 와양 쿨릿에서는 크루족 두 왕가 중 카우라바 쪽에 대한 공감이 보인다. 7세기 참파 비문에 따르면 참파와 캄보디아의 왕은 카우라바의 아슈바타만 왕자(드로나의 창을 계승한 자)의 후손이다. 자와에서의 각색(고대 자와어 문학(카위 문학))에서는 판다바 쪽 혈통이면서 카우라바 쪽에 붙었던 카르나(자와어 카르노)가 아르주나(자와어 아르주노)와 함께 두 주인공으로 여겨지며, 카르나는 마음은 판다바에 있으면서 카우라바를 멸망시키기 위해 카우라바에 붙었다고 변경되어 있다.
바사(Bhasa)는 2세기 또는 3세기경의 산스크리트 극작가로, ''마하바라타''의 에피소드를 다룬 두 편의 희곡을 남겼다. 우루바항가(Urubhanga, '부러진 넓적다리')는 두료다나(Duryodhana)와 비마(Bhima)의 싸움을 다루고 있으며, 마드야마바요가(Madhyamavyayoga, '중간의 것')는 비마(Bhima)와 그의 아들 가토트카차(Ghatotkacha)를 중심으로 한 이야기이다. 20세기 최초의 중요한 희곡은 다람비르 바라티(Dharamvir Bharati)의 ''안다 유그''(Andha Yug, '맹인 시대')로, 1955년에 발표되었으며, ''마하바라타''에서 현대적 딜레마와 불만의 이상적인 원천이자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93] 이브라힘 알카지(Ebrahim Alkazi)를 시작으로 수많은 연출가에 의해 상연되었다. V. S. 칸데카르(V. S. Khandekar)의 마라티 소설 ''야야티''(Yayati, 1960)와 기리시 카르나드(Girish Karnad)의 데뷔작 ''야야티''(Yayati, 1961)는 ''마하바라타''에 나오는 야야티(Yayati) 왕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93] 벵골의 작가이자 극작가인 부다데바 보세(Buddhadeva Bose)는 ''마하바라타''를 배경으로 한 세 편의 희곡, ''아남니 안가나'', ''프라탐 파르타'', ''칼산드야''를 썼다.[94]
프라티바 레이(Pratibha Ray)는 1984년에 드라우파디(Draupadi)의 관점에서 쓴 수상작 소설 야즈나세니(Yajnaseni)를 발표했다. 후에 치트라 바네르지 디바카루니(Chitra Banerjee Divakaruni)는 2008년에 유사한 소설인 ''환상의 궁전: 한 소설''(The Palace of Illusions: A Novel)을 썼다. 구자라트의 시인 치누 모디(Chinu Modi)는 바후카(Bahuka)라는 인물을 바탕으로 한 장편 서사시 ''바후크''(Bahuk)를 썼다.[95]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인도 작가 크리슈나 우다야상카르(Krishna Udayasankar)는 특히 아리아바르타 연대기 시리즈(Aryavarta Chronicles Series)를 비롯하여 서사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여러 소설을 썼다. 수만 포크렐(Suman Pokhrel)은 드라우파디(Draupadi)를 단독으로 등장시켜 개인화함으로써 레이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독막극을 썼다.
아마르 치트라 카타(Amar Chitra Katha)는 1260쪽 분량의 ''마하바라타'' 만화책을 출판했다.[96]

인도 영화에서는 1920년대부터 마하바라타를 다룬 여러 영화 버전이 제작되었다. ''마하바라타''는 샤얌 베네갈 감독의 ''칼리유그''에서 재해석되기도 했다.[97] 프라카시 자 감독의 2010년 영화 라즈니티는 부분적으로 ''마하바라타''에서 영감을 받았다.[98] 2013년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마하바라타는 인도에서 가장 비싼 애니메이션 영화 기록을 가지고 있다.[99]
1988년, B. R. 초프라는 ''마하바라타''라는 제목의 텔레비전 시리즈를 제작했다. 라비 초프라가 감독을 맡았으며,[100] 인도의 국영 방송국인 도르더르샨에서 방영되었다. ''마하바라타''가 도르더르샨에서 방영되던 같은 해, 샤얌 베네갈 감독의 또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바라트 엑 코즈''에서도 노래, 춤, 무대 공연 등 다양한 해석을 바탕으로 한 ''마하바라타''의 2부작 요약 버전을 방영했다. 서구 세계에서는 피터 브룩의 9시간짜리 연극이 잘 알려져 있는데, 1985년 아비뇽에서 초연되었고, 5시간 분량의 영화 버전인 ''마하바라타''도 제작되었다.[101] 2013년 후반에는 ''마하바라타''가 STAR Plus에서 방영되었다. 스와스틱 프로덕션 사가 제작했다.
지 TV의 텔레비전 시리즈는 2001년 10월 26일부터 2002년 7월 26일까지 방영되었으며, 시라즈 무스타파 칸이 크리슈나 역을, 수닐 마투가 유디슈티라 역을 맡았다.[102][103][104]
''마하바라타''에 대한 미완성 프로젝트로는 라즈쿠마르 산토시의 프로젝트[105]와 사티야지트 레이가 계획했던 극장 공연 버전이 있다.[106]
8. 1. 인도 문학과 예술
매년 우타라칸드주 가르왈 지역의 마을 주민들은 춤, 노래, 낭송을 통해 마하바라타의 에피소드를 의식적으로 재현하는 ''판다브 릴라''를 공연한다.[107] 릴라는 그 해의 문화적 하이라이트이며 보통 11월부터 2월 사이에 공연된다.[107] 이 지역의 민속 악기인 돌, 다마우, 그리고 두 개의 긴 나팔인 판코레가 공연에 함께한다.[107] 아마추어 배우들은 마하바라타 인물의 영혼에 "사로잡히면" 종종 즉흥적인 춤을 추곤 한다.[107]《바가바드 기타》에서 크리슈나는 아르주나에게 전사이자 왕자로서의 그의 의무를 설명하고, 여러 가지 요가[116] 및 베단타 철학을 예시와 비유를 들어 자세히 설명한다. 이로 인해 《기타》는 종종 간결한 힌두교 철학 안내서이자 실용적이고 독립적인 삶의 안내서로 묘사된다.[117] 현대에 들어서는 비베카난다 스와미, 네타지 수바스 찬드라 보스, 발 갱가다르 틸락, 마하트마 간디 등 많은 사람들이 이 경전을 이용하여 인도 독립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118][119]
카르나와 그의 갈등을 중심으로 한 《마하바라타》를 재해석한 람다리 싱 디n카르의 《라슈미라티》와 같이 현대 힌디어 문학의 여러 작품에도 영감을 주었다. 1952년에 쓰여진 이 작품은 1972년에 권위 있는 냐나피타 상을 수상했다.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각색되어 상연 및 출판되었다.
- 『마하바라타』 장 클로드 카리에르, 오이타 카츠히로, 키노시타 나가히로 공역, 하쿠스이샤 1987년
- 『젊은 아비마뉴의 죽음』 희곡집 『가면의 소리』에 수록, 엔도 타쿠로 신주쿠쇼보 1988년
- 『극첨 인도전 마하바라타 전기』 아오키 고 각본, 미야기 사토시 연출의 신작 가부키
- 『마하바라타 1』『마하바라타 2』『마하바라타 3』『싸움은 끝났다 - 마하바라타에서』『환제 전야 - 마하바라타에서』
8. 2. 동남아시아의 수용
동남아시아에서 마하바라타는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지역적 변형이 생겨났는데, 대부분 사소한 세부 사항만 다르거나, 구절이나 부수적인 이야기가 추가된 정도이다. 타밀 문화의 거리극인 테루쿠투(terukkuttu)와 카타이쿠투(kattaikkuttu)는 마하바라타의 타밀어 버전 주제를 사용하며, 드라우파디(Draupadi)에 초점을 맞춘다.[90]인도네시아 자바에서는 11세기에 드르마왕사(Dharmawangsa, 990–1016) 왕의 후원하에 카카윈 바라타유드하(Kakawin Bhāratayuddha)라는 버전이 만들어졌다.[91] 이는 인근 발리 섬으로 퍼져나가 자바 문학, 춤극(와양 웡(wayang wong)), 와양(wayang) 그림자 인형극의 비옥한 원천이 되었다. 자바 버전의 마하바라타는 원본 인도 버전과 약간 다른데, 예를 들어 드라우파디(Draupadi)는 유디슈티라(Yudhishthira)와만 결혼한다. 아르주나(Arjuna)는 수바드라(Subhadra) 외에도 많은 아내와 첩을 둔 것으로 묘사되며, 시칸디니(Shikhandi)는 성별을 바꾸지 않고 여성으로 남아 아르주나와 결혼하고 전쟁 중 여전사의 역할을 한다. 간다리(Gandhari (character))는 판두(Pandu)를 사랑했지만 그의 눈먼 형과 결혼하게 되어 판다바들을 증오하는 적대적인 인물로 묘사된다. 주요 인물들의 광대 하인인 푸나카완(Punakawan) (세마르(Semar), 페트룩(Petruk), 가렝(Gareng), 바공(Bagong))이 포함된 것도 주목할 만한 차이점이다. 18개의 파르바(parvas) 중 8개가 남아 있는 마하바라타의 카위어(Kawi language) 버전은 발리 섬에서 발견되며, I. 구스티 푸투 팔구나디(I. Gusti Putu Phalgunadi) 박사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92]
동남아시아에서는 인도의 두 대서사시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 모두 왕권(크루족을 조상으로 하는 왕가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각색되어 지배 계급뿐 아니라 민중 사이에서도 친숙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베트남(참파)의 비문이나 인도네시아(자와, 발리)의 고전 문학 및 와양 쿨릿에서는 크루족 두 왕가 중 카우라바 쪽에 대한 공감이 보인다. 7세기 참파 비문에 따르면 참파와 캄보디아의 왕은 카우라바의 아슈바타만 왕자(드로나의 창을 계승한 자)의 후손이다. 자와에서의 각색(고대 자와어 문학(카위 문학))에서는 판다바 쪽 혈통이면서 카우라바 쪽에 붙었던 카르나(자와어 카르노)가 아르주나(자와어 아르주노)와 함께 두 주인공으로 여겨지며, 카르나는 마음은 판다바에 있으면서 카우라바를 멸망시키기 위해 카우라바에 붙었다고 변경되어 있다.
8. 3. 현대의 재해석
바사(Bhasa)는 2세기 또는 3세기경의 산스크리트 극작가로, ''마하바라타''의 에피소드를 다룬 두 편의 희곡을 남겼다. 우루바항가(Urubhanga, '부러진 넓적다리')는 두료다나(Duryodhana)와 비마(Bhima)의 싸움을 다루고 있으며, 마드야마바요가(Madhyamavyayoga, '중간의 것')는 비마(Bhima)와 그의 아들 가토트카차(Ghatotkacha)를 중심으로 한 이야기이다. 20세기 최초의 중요한 희곡은 다람비르 바라티(Dharamvir Bharati)의 ''안다 유그''(Andha Yug, '맹인 시대')로, 1955년에 발표되었으며, ''마하바라타''에서 현대적 딜레마와 불만의 이상적인 원천이자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93] 이브라힘 알카지(Ebrahim Alkazi)를 시작으로 수많은 연출가에 의해 상연되었다. V. S. 칸데카르(V. S. Khandekar)의 마라티 소설 ''야야티''(Yayati, 1960)와 기리시 카르나드(Girish Karnad)의 데뷔작 ''야야티''(Yayati, 1961)는 ''마하바라타''에 나오는 야야티(Yayati) 왕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93] 벵골의 작가이자 극작가인 부다데바 보세(Buddhadeva Bose)는 ''마하바라타''를 배경으로 한 세 편의 희곡, ''아남니 안가나'', ''프라탐 파르타'', ''칼산드야''를 썼다.[94]프라티바 레이(Pratibha Ray)는 1984년에 드라우파디(Draupadi)의 관점에서 쓴 수상작 소설 야즈나세니(Yajnaseni)를 발표했다. 후에 치트라 바네르지 디바카루니(Chitra Banerjee Divakaruni)는 2008년에 유사한 소설인 ''환상의 궁전: 한 소설''(The Palace of Illusions: A Novel)을 썼다. 구자라트의 시인 치누 모디(Chinu Modi)는 바후카(Bahuka)라는 인물을 바탕으로 한 장편 서사시 ''바후크''(Bahuk)를 썼다.[95]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인도 작가 크리슈나 우다야상카르(Krishna Udayasankar)는 특히 아리아바르타 연대기 시리즈(Aryavarta Chronicles Series)를 비롯하여 서사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여러 소설을 썼다. 수만 포크렐(Suman Pokhrel)은 드라우파디(Draupadi)를 단독으로 등장시켜 개인화함으로써 레이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독막극을 썼다.
아마르 치트라 카타(Amar Chitra Katha)는 1260쪽 분량의 ''마하바라타'' 만화책을 출판했다.[96]
인도 영화에서는 1920년대부터 마하바라타를 다룬 여러 영화 버전이 제작되었다. ''마하바라타''는 샤얌 베네갈 감독의 ''칼리유그''에서 재해석되기도 했다.[97] 프라카시 자 감독의 2010년 영화 라즈니티는 부분적으로 ''마하바라타''에서 영감을 받았다.[98] 2013년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마하바라타는 인도에서 가장 비싼 애니메이션 영화 기록을 가지고 있다.[99]
1988년, B. R. 초프라는 ''마하바라타''라는 제목의 텔레비전 시리즈를 제작했다. 라비 초프라가 감독을 맡았으며,[100] 인도의 국영 방송국인 도르더르샨에서 방영되었다. ''마하바라타''가 도르더르샨에서 방영되던 같은 해, 샤얌 베네갈 감독의 또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바라트 엑 코즈''에서도 노래, 춤, 무대 공연 등 다양한 해석을 바탕으로 한 ''마하바라타''의 2부작 요약 버전을 방영했다. 서구 세계에서는 피터 브룩의 9시간짜리 연극이 잘 알려져 있는데, 1985년 아비뇽에서 초연되었고, 5시간 분량의 영화 버전인 ''마하바라타''도 제작되었다.[101] 2013년 후반에는 ''마하바라타''가 STAR Plus에서 방영되었다. 스와스틱 프로덕션 사가 제작했다.
지 TV의 텔레비전 시리즈는 2001년 10월 26일부터 2002년 7월 26일까지 방영되었으며, 시라즈 무스타파 칸이 크리슈나 역을, 수닐 마투가 유디슈티라 역을 맡았다.[102][103][104]
''마하바라타''에 대한 미완성 프로젝트로는 라즈쿠마르 산토시의 프로젝트[105]와 사티야지트 레이가 계획했던 극장 공연 버전이 있다.[106]
매년 우타라칸드주 가르왈 지역의 마을 주민들은 춤, 노래, 낭송을 통해 마하바라타의 에피소드를 의식적으로 재현하는 ''판다브 릴라''를 공연합니다. 릴라는 그 해의 문화적 하이라이트이며 보통 11월부터 2월 사이에 공연됩니다. 이 지역의 민속 악기인 돌, 다마우, 그리고 두 개의 긴 나팔인 판코레가 공연에 함께합니다. 아마추어 배우들은 마하바라타 인물의 영혼에 "사로잡히면" 종종 즉흥적인 춤을 추곤 합니다.[107]
일본에서는 기요시마 요시노리(清水義範)가 『세계문학전집』 (슈에이샤(集英社), 1992년 7월, ISBN 978-4-08-772860-6) 및 신판 『보급판 세계문학전집 제1기』 (슈에이샤 문고, 1995년 8월, ISBN 978-4-08-748369-7)에 패스티슈(パースティッシュ) 소설 「마하바라타」를 수록했다. 저자가 인도 체류 중 시청한 텔레비전 드라마판에 대한 언급도 있다(문고판 pp. 44-46).
인도에서는 여러 번 무대화되었으며, 일본 국내에서 상연·출판된 것으로는 『마하바라타』 (장 클로드 카리에르, 오이타 카츠히로, 키노시타 나가히로 공역, 하쿠스이샤 1987년)가 있다. 이는 피터 브룩 연출에 의한 연극 상연을 위해 상연 가능한 형태로 각색한 것으로, 상연 시간은 9시간이다. 『젊은 아비마뉴의 죽음』 (희곡집 『가면의 소리』에 수록, 엔도 타쿠로 신주쿠쇼보 1988년)은 마츠모토 료 『속 자와 그림자극 효 마하바라타의 그림자에』를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한 삽화를 발췌하여 희곡화한 것이다. 『극첨 인도전 마하바라타 전기』 (아오키 고 각본, 미야기 사토시 연출)는 2017년 10월, 가부키좌에서 일·인 우호 교류년 기념으로 상연된 신작 가부키이다.[133] 고이케 히로후미가 연출하는 『고이케 히로후미 브리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마하바라타 1』, 『마하바라타 2』, 『마하바라타 3』, 『싸움은 끝났다 - 마하바라타에서』, 『환제 전야 - 마하바라타에서』가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전편 무대화될 계획이다.[134]
영화로는 『마하바라타』 (장 클로드 카리에르, 피터 브룩 각본, 피터 브룩 감독, 1989년, 극장 미개봉, 비디오 발매, 420분)와 『마하바라타』 (1988년 10월부터 1990년 6월까지 인도의 방송국 DD National에서 방영되어 큰 히트를 친 텔레비전 드라마)가 있다.
9. 한국과의 관계
《마하바라타》는 힌두교 철학 안내서이자 실용적이고 독립적인 삶의 안내서로 묘사되기도 한다.[117] 현대에는 비베카난다 스와미, 네타지 수바스 찬드라 보스, 발 갱가다르 틸락, 마하트마 간디 등 많은 사람들이 이 경전을 이용하여 인도 독립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118][119]
9. 1. 불교 경전
9. 2. 전통 연희
10. 관련 항목
참조
[1]
서적
The Chambers Dictionary
Chambers
[2]
서적
Collins English Dictionary
HarperCollins
[3]
웹사이트
Mahabharata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Mahabharata
http://dictionary.re[...]
2016-03-04
[5]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Volume Two) (Devraj to Jyoti)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2006-01-01
[6]
서적
Pradyumna: Lover, Magician, and Son of the Avata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7]
서적
The Sanskrit epics, Part 2
[8]
웹사이트
How did the 'Ramayana' and 'Mahabharata' come to be (and what has 'dharma' got to do with it)?
https://scroll.in/ar[...]
2018-12-13
[9]
서적
The Mahabharata – 1; The Book of the Beginning. Introduction (Authorship and Date)
[10]
뉴스
India's epic struggle
https://www.theguard[...]
2007-08-16
[11]
웹사이트
Mahabharata
https://vedicwisdoma[...]
2021-05-16
[12]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A-M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13]
서적
Ancient Indian Literature: An Anthology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4]
서적
The World's History
Pearson Education
[15]
서적
The Argumentative Indian. Writings on Indian Culture, History and Identity
Penguin Books
[16]
학술지
India's Fifth Veda: The Mahabharata's Presentation of Itself
[17]
서적
Mahābhārata
[18]
서적
The "Bhagavad Gita":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19]
서적
Kurukshetra: Political and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B.R. Publishing Corporation
1978
[20]
서적
Das Mahabharata: seine Entstehung, sein Inhalt, seine Form
Vandenhoeck & Ruprecht
[21]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http://www.harekrsna[...]
2006-11-06
[22]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2023-04-06
[23]
서적
[24]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How an oral narrative of the bards became a text of the Brahmins
http://scroll.in/art[...]
2017-01-16
[25]
서적
Prolegomena
[26]
서적
Mahabharata, Critical Edition
[27]
서적
[28]
서적
The Sanskrit epics, Part 2
https://books.google[...]
BRILL
[29]
문서
18 books, 18 chapters of the Bhagavadgita and the Narayaniya each, corresponding to the 18 days of the battle and the 18 armies (Mbh. 5.152.23)
[30]
문서
The Spitzer Manuscript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31]
학술지
The Oldest Extant Parvan-List of the Mahābhārata
[32]
웹사이트
Vyasa, can you hear us now?
https://indianexpres[...]
2015-11-21
[33]
서적
Mahābhārata, Volume 1
[34]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ume 1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5]
서적
Indian Serpent-lore: Or, The Nāgas in Hindu Legend and Art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36]
웹사이트
Pāṇini Research Tool, Sanskrit Dictionary
http://sanskritdicti[...]
2021-09-30
[37]
서적
How the Brahmins Won. From Alexander to the Guptas
Brill
[38]
서적
Discourses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39]
서적
The History of Antiquity
https://books.google[...]
(London 1880)
[40]
웹사이트
Maharashtra builds up a case for providing quotas to Marathas
https://www.livemint[...]
2016-10-10
[41]
웹사이트
SECTION XXVI (Go-harana Parva)
http://www.sacred-te[...]
2021-11-30
[42]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6: Bhishma Parva: Bhagavat-Gita Parva: Section XXV (Bhagavad Gita Chapter I)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2-08-03
[43]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6: Bhishma Parva: Bhagavat-Gita Parva: Section XLII (Bhagavad Gita, Chapter XVIII)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2-08-03
[44]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http://www.harekrsna[...]
2006-11-06
[45]
문서
[46]
서적
Early Sanskritization: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Kuru state
EJVS vol.1 no.4
[47]
서적
History and Culture of the Indian People
[48]
서적
Ancient Indian Historical Tradition
[49]
서적
[50]
서적
Mahabharata and Archaeology
Gupta and Ramachandran
[51]
웹사이트
India: A History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2024-09-22
[52]
문서
[53]
웹사이트
Lord Krishna lived for 125 years | India News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04-09-08
[54]
웹사이트
5151 years of Gita
http://www.mid-day.c[...]
2014-01-19
[55]
문서
[56]
문서
[57]
웹사이트
Varāhamihira and His Times
https://books.google[...]
Kusumanjali
2023-03-22
[58]
웹사이트
Sanskrit, Tamil and Pahlavi Dictionaries
http://webapps.uni-k[...]
Webapps.uni-koeln.de
2003-02-11
[59]
서적
Puranic Encyclopaedia: A Comprehensive Dictionar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pic and Puranic Literature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60]
웹사이트
Book 1: Adi Parva: Jatugriha Parva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0-09-01
[61]
웹사이트
THE MAHABHARATHA
https://archive.org/[...]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POONA
2018-03-11
[62]
웹사이트
The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 Mahabharata Project
http://www.bori.ac.i[...]
2019-11-03
[63]
웹사이트
Interpolations in the Mahabharata
https://archive.org/[...]
2001-01-01
[64]
웹사이트
Book 2: Sabha Parva: Sabhakriya Parva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0-09-01
[65]
웹사이트
Sabha parva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5-07-13
[66]
서적
The Cattle and the Stick An Ethnographic Profile of the Raut of Chhattisgarh
Anthropological Survey of India
[67]
서적
Krishna Charitra: The Essence of Bankim Chandra
Pustak Mahal
[68]
서적
Mahabharata
https://archive.org/[...]
Bharatiya Vidya Bhavan
[69]
서적
Just War in Comparative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Ashgate
2015-10-02
[70]
웹사이트
picture details
http://www.plantcult[...]
Plant Cultures
2010-09-01
[71]
Banglapedia
[72]
뉴스
বাংলা সাহিত্যে সিলেট
https://thikana.us/%[...]
2022-10-31
[73]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ndu world, Volume 1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74]
문서
Kisari Mohan Ganguli translation of the Mahabharata
[75]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of Krishna-Dwaipayana Vyasa translated by Kisari Mohan Ganguli
http://www.sacred-te[...]
[76]
저널
Kisari Mohan Ganguli and Pratap Chandra Roy
http://mahabharata-r[...]
2013-09-09
[77]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of Krishna-Dwaipayana Vyasa translated by Romesh Chunder Dutt
http://www.gutenberg[...]
[78]
웹사이트
Mahabharata in English verse : The art of translation
https://www.indiatod[...]
2024-01-12
[79]
웹사이트
Review : Bibek DebRoy: The Mahabharata, volume 7
https://pradipbhatta[...]
2021-05-31
[80]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of Vyasa – WritersWorkshopIndia.com
https://www.writersw[...]
[81]
웹사이트
Book review: 'The Mahabharata' Volume 10 translated by Bibek Debroy
https://www.dnaindia[...]
2015-04-12
[82]
웹사이트
Indian Artwork – Buddha Statues & Hindu Books – Exotic India Art
https://www.exoticin[...]
[83]
서적
ಮಹಾಭಾರತದ ಬೆಳವಣಿಗೆ
Kavyalaya Publishers
[84]
서적
Mahabharata with Hindi Translation – SD Satwalekar
http://archive.org/d[...]
Sanskrit eBooks
[85]
문서
Sadwalekar's Hindi translations of BORI CE
[86]
웹사이트
Review: The Mahabharata: Volume 5
https://www.hindusta[...]
2012-07-20
[87]
웹사이트
Reading Suggestions for Getting Started
https://www.brown.ed[...]
2009
[88]
웹사이트
Frederick M. Smith
https://clas.uiowa.e[...]
[89]
웹사이트
Bhandarkar Institute, Pune
http://www.virtualpu[...]
[90]
서적
Landscapes of Urban Memory
Orient Longman
[91]
서적
The Javanization of the Mahābhārata, Chapter 15. Indic Transformation: The Sanskritization of Jawa and the Javanization of the Bharata
http://press.anu.edu[...]
ANU Press
[92]
웹사이트
Indonesian Ramayana: The Uttarakanda by Dr. I Gusti Putu Phalgunadi: Sundeep Prakashan, New Delhi 9788175740532 Hardcover, First edition.
https://www.abebooks[...]
[93]
서적
The World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Theatre: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94]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as Theatre
http://www.boloji.co[...]
2004-06-13
[95]
백과사전
Bahuk
Gujarati Sahitya Parishad
[96]
서적
Amar Chitra Katha Mahabharata
Amar Chitra Katha
[97]
웹사이트
What makes Shyam special
http://www.hinduonne[...]
Hinduonnet.com
2003-01-17
[98]
뉴스
Fact of the matter
http://www.thehindu.[...]
2010-05-27
[99]
웹사이트
Mahabharat: Theatrical Trailer (Animated Film)
http://www.indiatime[...]
2013-11-19
[100]
IMDb
Mahabharat
[101]
IMDb
The Mahabharata
[102]
웹사이트
Zee TV to launch two mythological serials
https://www.exchange[...]
2001-12-25
[103]
웹사이트
Good Lord!
https://www.tribunei[...]
2002-01-13
[104]
웹사이트
Sanjay Khan excited about Maha Kavya Mahabharat
https://timesofindia[...]
2001-10-21
[105]
뉴스
In brief: Mahabharat will be most expensive Indian movie ever
https://www.theguard[...]
2003-02-24
[106]
웹사이트
IndiaStar book review: Satyajit Ray by Surabhi Banerjee
http://www.indiastar[...]
2009-05-31
[107]
서적
Dancing the Self: Personhood and Performance in the Pāṇḍava Līlā of Garhwal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08]
서적
Collected Papers on Jaina Studies
Motilal Banarsidass Publ.
[109]
서적
Jainism: The World of Conquerors
Sussex Academy Press
[110]
서적
Collected Papers on Jaina Studies
Motilal Banarsidass Publ.
[111]
서적
The Jaina Path of Purification
Motilal Banarsidass
[112]
서적
Collected Papers on Jaina Studies
Motilal Banarsidass Publ.
[113]
서적
A history of the Jainas
Gitanjali Pub. House
[114]
서적
Trisastiśalākāpurusacaritra of Hemacandra: The Jain Saga
Oriental Institute
[115]
웹사이트
How different are the Jain Ramayana and Jain Mahabharata from Hindu narrations?
http://devdutt.com/a[...]
2017-03-02
[116]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Bhagavad Gita
http://yoga.about.co[...]
Yoga.about.com
2010-09-01
[117]
서적
On the Bhagavad Gita: A New Translation and Commentary with Sanskrit Text
[118]
서적
Tilak and the Bhagavadgita's Doctrine of Karmayoga
[119]
서적
Gandhi and the Bhagavadgita
[120]
서적
The Sanskrit Epics
Brill
[121]
서적
The Mahabharata
The University Chicago Press
[122]
문서
第1巻56章13偈
[123]
서적
原典訳 マハーバーラタ
ちくま学芸文庫
[124]
문서
100巻区分の内容は第1巻2章34-70偈に収録。こちらの区分では『ハリ・ヴァンシャ』も含む。
[125]
문서
第1巻56章33偈
[126]
문서
戦闘には加わらないが、アルジュナの御者として参戦。
[127]
문서
盲目のため不参戦。
[128]
서적
The Mahābhārata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129]
서적
The Sanskrit Epics
Brill
[130]
서적
[131]
서적
古代インド核戦争の謎と大魔神シヴァ
学習研究社
[132]
서적
始まりはインドから
筑摩書房
[133]
웹사이트
極付印度伝 マハーバーラタ戦記
http://www.kabuki-bi[...]
[134]
웹사이트
http://kikh.com/ja/p[...]
[135]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