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긍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긍하는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테너 성악가, 피아니스트, 사진작가, 영화감독, 영화 평론가, 음악 평론가, 소설가, 영화 제작자이다. 도쿄 데이고쿠 음악학교에서 성악을 전공하고, 1940년 성악가로 데뷔하여 활동하다 사진, 영화 분야로 전향했다. 1952년 영화 《베일 부인》으로 영화감독으로 데뷔하여 《황진이》, 《곰》 등 여러 작품을 연출했으며, 1968년 소설 《세월이 흘러가면》을 발표하며 소설가로도 활동했다. 1978년 이후 영화계에서 은퇴했으며, 그의 아들 조동진과 조동익, 딸 조동희도 음악가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피아노 연주자 - 홍난파
    홍난파는 <봉선화>, <고향의 봄> 등 다수의 가곡과 동요를 작곡하고 한국 최초의 바이올린 독주회를 열었으며, 수양동우회 사건 연루와 친일 행적으로 인해 논란이 된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소설가, 언론인이다.
  • 일제강점기의 피아노 연주자 - 이봉룡
    이봉룡은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 이후까지 활동하며 '낙화유수' 등의 히트곡을 작곡한 한국의 작곡가로, 군국가요 작곡에 참여한 친일 논란이 있으며 한국 전쟁 중 부인 실종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작곡 활동을 이어갔다.
  • 일제강점기의 성악가 - 현제명
    현제명은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의 음악가로, 서양음악계에 영향을 끼치고 대한민국 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나, 친일 행적으로 논란이 있으며, 대표작으로 〈고향생각〉, 오페라 〈춘향전〉 등이 있다.
  • 일제강점기의 성악가 - 윤심덕
    윤심덕은 일제강점기 한국 최초의 소프라노 가수이자 배우로, 극작가 김우진과의 비극적인 동반 자살과 함께 발매된 '사의 찬미'로 유명하며, 그녀의 삶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구니타치 음악대학 동문 - 시노하라 에미
    시노하라 에미는 1986년 데뷔하여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시리즈의 세일러 주피터 역 등으로 활약한 일본의 성우이자 가수로, 세 장의 앨범을 발매하고 특촬 배우 와타리 요시와 결혼했으나 2024년 사망했다.
  • 구니타치 음악대학 동문 - 시미즈 리사 (성우)
    시미즈 리사는 국립음악대학 성악과를 졸업하고, 1999년 애니메이션 더빙을 시작으로 성우, 배우, 가수로서 애니메이션,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조긍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조긍하
원어명趙肯夏
본명조중하 (趙重夏)
출생일1919년 08월 16일
출생지일제강점기 경상북도 대구부
사망일1982년 01월 28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형제자매5남 3녀 중 여섯째(5남)
부모부: 조병관(1883년생~1956년졸, 1901년 혼인.)
모: 홍애덕(1892년생~1973년졸, 풍산 홍씨, 1901년 혼인.)
친척장필순(넷째 며느리)
홍가영(배다른 이모)
조태영(친할아버지)
홍획(외할아버지)
어윤업(이복 이모부)
어춘선(외척 이종형)
어약선(외척 이종형)
국적대한민국
직업테너 성악가
피아노 연주자
사진 작가
영화감독
영화평론
음악평론가
투자가
영화 제작자
영화기획가
뮤지컬 감독
영화 편집감독
영화각색가
영화각본가
소설가
활동 기간1940년 ~ 1978년
학력일본 도쿄 데이고쿠 음악학교 성악학과 학사(1943년 3월)
배우자양예원(재혼)
자녀5남 3녀
장남 조동완(1945년생)
차남 조동진(음악가)
4남 조동익(음악가)
3녀 조동희(음악가)
웹사이트조긍하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2. 생애

조긍하는 경상북도 대구 출신으로 본관은 풍양이며 본명은 조중하(趙重夏)이다.[1] 1938년 경북 대구에서 중등교육을 마치고, 1939년 일본 도쿄로 건너가 1943년 도쿄 데이고쿠 음악학교 성악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1] 1940년 늦가을 테너 성악가데뷔하여 테너 성악가피아노 연주자로 활동하다 은퇴하고 사진 촬영과 영화 분야로 전향하였다.

1944년 테너 성악가와 피아니스트를 모두 그만두고 사진 작가로 데뷔하였다. 1952년 《베일부인》으로 영화감독 데뷔를 하였으며, 《황진이》(1956년), 《곰》, 《육체의 길》(1959년), 《인간만세》, 《과부》(1960년) 등의 영화를 감독하고 시나리오도 직접 썼다.[2] 1960년대 말에는 《상해임시정부》, 《인천상륙작전》과 같이 애국지사들의 일대기를 다룬 작품들을 제작했다.[2] 1978년 이후 사실상 은퇴하였다.[3]

1982년 1월 28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경상북도 대구 출신으로 본관은 풍양이며 본명은 '''조중하'''(趙重夏)이다.[1] 1938년 3월, 일제강점기 경북 대구에서 중등교육을 모두 마치고, 1939년 일본(도쿄)으로 건너가 1943년 3월, 일본 도쿄 데이고쿠 음악학교 성악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 그는 1940년 늦가을 테너 성악가데뷔하여 테너 성악가피아노 연주자로 활동하다가 은퇴하고 사진 촬영과 영화 분야로 전향하였다.

2. 2. 음악 활동 및 사진작가 데뷔

1940년 늦가을, 테너 성악가데뷔하였고, 이후 테너 성악가피아노 연주자로 활동하다가 은퇴하고 사진 촬영과 영화 분야로 전향하였다.[1] 1944년에는 테너 성악가와 피아니스트를 모두 그만두고 사진 작가로 데뷔하였다.

연도내용
1940년테너 성악가데뷔.
1942년피아니스트 데뷔.
1944년테너 성악가 겸 피아니스트를 모두 단념하고 사진 작가 데뷔.


2. 3. 영화감독 데뷔 및 활동

조긍하는 사진작가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조감독 수련 없이 바로 영화감독이 되었다. 1952년 《베일부인》을 시작으로, 《황진이》(1956년), 《곰》, 《육체의 길》(1959년), 《인간만세》, 《과부》(1960년) 등의 영화를 감독하고 시나리오도 직접 썼다.[2] 1960년대 말에는 《상해임시정부》, 《인천상륙작전》과 같이 애국지사들의 일대기를 다룬 작품들을 제작했다.[2] 1978년 이후 사실상 은퇴하였다.[3]

영화감독 데뷔 및 활동 이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52년외가친척 어약선 감독 등과 함께 《베일 부인(베일의 비밀)》으로 영화감독 데뷔.[2]
1954년영화 평론가 등단.
1956년《황진이》 감독 및 영화 각본가 데뷔.[2]
1959년《곰》 감독 및 영화 편집감독 데뷔.[2]
1960년《과부》 감독 및 영화 각색가 데뷔.[2]
1961년《쟌 발쟌(Jean Valjean)》 감독, 각색 및 영화 기획가 데뷔.
1962년《인간만세》 감독 및 영화제작자 데뷔.[2]
1969년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세월이 흘러가면》 감독.
1978년영화 분야에서 은퇴.[3]


2. 4. 애국지사 영화 제작 및 은퇴

1960년대 말, 그는 《상해임시정부》, 《인천상륙작전》 등 애국지사들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들을 제작했다.[2]

1978년부터 사실상 은퇴했으며, 1982년 1월 28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3]

2. 5. 가족 관계

구분이름비고
아들조동진[4]
아들조동익[4]
조동희[4]


3. 작품 활동

조긍하는 영화 감독으로 1952년 《베일부인》을 시작으로, 1957년 《황진이》, 1959년 《곰》, 《육체의 길》, 《인간만세》, 1960년 《과부》, 1969년 《상해 임시정부》 등을 감독했다.

3. 1. 영화

조긍하는 영화 감독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1952년 《베일부인》을 시작으로, 1957년 《황진이》, 1959년 《곰》, 《육체의 길》, 《인간만세》, 1960년 《과부》, 1969년 《상해 임시정부》 등의 작품을 감독했다.

3. 1. 1. 감독

4. 학력

5. 경력

연도활동
1940년테너 성악가데뷔.
1942년피아니스트 데뷔.
1944년테너 성악가 겸 피아니스트를 모두 단념하고 사진 작가 데뷔.
1952년외가친척 어약선 감독 등과 의기상투하여, 영화 《베일 부인(베일의 비밀)》으로 영화감독 데뷔.
1954년영화평론가 등단.
1955년음악평론가 등단.
1956년영화 《황진이》를 감독, 이 영화로 함께 영화 각본가 데뷔.
1959년영화 《곰》을 감독, 이 영화영화 편집감독 데뷔.
1960년영화 《과부》를 감독, 이 영화영화 각색가 데뷔.
1961년영화 《쟌 발쟌(Jean Valjean)》을 감독 및 각색, 이 영화영화 기획가 데뷔.
1962년영화 《인간만세》를 감독, 이 영화영화제작자 데뷔.
1968년자작 소설 《세월이 흘러가면》으로 소설가 데뷔.
1969년자신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영화 《세월이 흘러가면》을 감독.
1978년이후부터 사실상 영화 분야에서 모두 은퇴.


참조

[1] 웹사이트 조긍하 -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
[2] 뉴스 故(고) 趙肯夏(조긍하)감독의 人間(인간)과 作品(작품)세계 고지식하면서도 유머풍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2-01-30
[3] 뉴스 영화감독 趙肯夏(조긍하)씨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2-01-28
[4] 웹인용 <슈퍼스타> 조동희 음악감독, 포크음악 대부 조동진 친동생 http://news.maxmovie[...] 맥스뉴스 2012-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