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약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약선은 일제강점기에 연극배우로 데뷔하여 영화 평론가로 활동했으며, 교사로 재직했다. 광복 직전 친일 영화 시나리오를 썼고, 광복 후 월남하여 1952년 영화 감독으로 데뷔, 《베일부인》과 《창수만세》를 연출했다. 서라벌예술학교 특임교수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성사범학교 동문 - 이병린
    이병린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변호사로 활동하며 서울변호사회 부회장, 대한변호사협회 회장을 역임했고, 6.3 사태 당시 비상계엄 해제를 요구하며 구속되었으며,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공동대표와 유신헌법 철폐 운동을 주도하며 인권 운동에도 힘썼고, 법치주의 확립과 사법권 독립을 강조하며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인물이다.
  • 경성사범학교 동문 - 박두진
    박두진은 일제강점기 안성 출생의 청록파 시인으로, 자연을 소재로 한 서정시와 시대적 저항시를 썼으며, 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고, 후기에는 종교적 성찰과 사회 비판을 담은 작품을 남겼다.
  • 일제강점기의 영화 평론가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일제강점기의 영화 평론가 - 현철 (1891년)
    현철은 일제강점기에 연극, 영화, 야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연극 관련 저술과 번역 활동을 하고 조선배우학교를 설립하여 배우를 양성하는 등 한국 연극계 발전에 기여했으며, 광복 후 서울시 문화위원회 연극분과위원장을 지냈다.
  • 일제강점기의 영화 각본가 - 안석주
    안석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삽화가, 만화가, 영화감독, 작사가로, 미술, 영화, 문학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시사만화 연재와 영화감독으로 이름을 알렸으나, 친일 행적과 광복 후 우익 언론 활동, 〈우리의 소원〉 작사 등의 행적을 남겼다.
  • 일제강점기의 영화 각본가 - 이규환 (영화 감독)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활동한 이규환은 《임자 없는 나룻배》로 데뷔하여 문예봉을 스타덤에 올리고, 해방 후에는 《춘향전》을 연출하여 전후 한국 영화 부흥을 이끈 영화 감독으로, 그의 영화는 민족주의, 서정적 리얼리즘, 향토색 등의 특징을 지닌다.
어약선 - [인물]에 관한 문서
어약선 정보
이름어약선
출생일1914년 9월 6일
출생지일제강점기 황해도 해주부
사망일1959년 7월 31일?
국적대한민국
활동 기간1931년 ~ 1958년
직업배우
영화 평론 작가
감독
시나리오 각본 집필 작가
대학 교수
투자가
학력경성양정고등보통학교 졸(1933년 3월)
경성사범학교 강습과 속성과정 졸(1935년 3월)
부모부: 어윤업(1876년생~1941년졸, 1888년 혼인)
모: 홍가영(1878년생~1949년졸, 풍산 홍씨, 1888년 혼인)
친척어창우(친할아버지)
홍획(외할아버지)
어윤익(이복 큰아버지)
어윤적(동복 큰아버지)
어대선(친가 사촌형)
어광선(친가 사촌형)
어징선(친가 사촌형)
홍애덕(배다른 이모)
조병관(이복 이모부)
조긍하(외척 이종제)
어명능(친가 증조할아버지)
어약우(이복 적출 큰종조부)
어현중(이복 서얼 작은종조부)
어윤중(친가 종백부)
어윤희(친가 종고모)
조동완(친척 조카뻘)
조동진(친척 조카뻘)
조동익(친척 조카뻘)
장필순(친척 조카며느리뻘)
조동희(친척 조카딸뻘)
조태영(윗사돈댁 할아버님뻘)
형제자매2남 4녀 중 막내 (형 어춘선)
배우자충주 지씨 부인 (1942년 춘4월 사별)
자녀없음
웹사이트

2. 생애

본관함종(咸從)이다. 1931년 연극배우로 데뷔하였고, 1934년에는 영화 평론가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경기도 수원경성의 보통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였으며, 교사로 재직하던 중 1938년 결혼했으나 1942년 부인과 사별하였다. 1945년 3월 교직을 그만두었으며, 같은 해 태평양 전쟁 말기에는 일제강점기 국책 친일 영화인 《피와 땀(血と汚일본어)》과 《감격의 일기(感激の日記일본어)》의 시나리오를 집필하는 친일 행위에 가담하였다.

1945년 8월 광복을 경기도 개성에서 맞이하였으나, 38선 설치로 인해 약 1년 4개월간 개성에 머물다가 1946년 11월 미군정 하의 서울월남하였다. 광복 이후 1952년, 외가 친척인 조긍하 감독 등과 함께 자신이 직접 시나리오를 쓴 영화 《베일부인》을 감독하며 영화 감독으로 데뷔하였다.[1] 1954년에는 직접 기획까지 맡아 어린이 대상의 반공 영화인 《창수만세》를 연출하였다. 영화 감독으로서는 총 두 편의 연출작을 남겼다.

1959년 45세의 나이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자세한 사망 경위나 말년의 행적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2. 1. 일제강점기 활동

본관함종(咸從)이다. 1931년 연극배우로 데뷔하였고, 1934년 영화 평론가로 등단하였다. 1935년부터 1937년까지 경기도 수원의 남수보통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했으며, 1937년부터 1945년 3월까지 경성 매동국민학교 교사로 재직했다. 재직 중이던 1938년 2월 충주 지씨 부인과 결혼했으나 1942년 4월 사별하였다.

1945년 3월, 교원직을 사임하였다. 태평양 전쟁 종전 직전인 1945년, 일제강점기 당시 국책 영화 두 편의 시나리오를 집필하는 친일 행위를 하였다. 해당 작품은 신경균 감독이 연출한 《피와 땀(血と汚일본어)》과 《감격의 일기(感激の日記일본어)》이다. 이 영화들은 독은기, 김신재, 최운봉, 김소영 등이 출연한 대표적인 친일 영화로 평가받는다. 특히 《감격의 일기》는 태평양 전쟁일본 본토에 징용한국인 노무자들을 위문하는 무용단의 이야기를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그려 조선총독부의 전쟁 협력 정책을 선전하였다.

2. 2. 광복 이후 활동

1945년 7월 중순 평안남도 평양 방문 후 경성(현 서울)으로 돌아오던 중, 같은 해 8월 15일 경기도 개성에서 광복을 맞이하였다. 그러나 38선 설치로 인해 약 1년 4개월간 개성에 머물다가 1946년 11월 중순, 삼팔도선 남쪽으로 탈출하여 미군정 하의 서울월남하였다.

광복 이후 1952년, 외가 친척인 조긍하 감독 등과 함께 자신이 직접 시나리오를 쓴 영화 《베일부인》을 감독하며 영화 감독으로 데뷔하였다. 이 영화는 한국 전쟁으로 인해 부모 형제를 잃은 주인공이 결국 거리의 여인이 되어 몸을 팔다가 양심의 가책을 느껴 자살한다는 계몽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1] 1954년에는 직접 기획까지 맡아 어린이 대상의 반공 영화인 《창수만세》를 연출하였다.

어약선은 영화 감독으로서 총 두 편의 연출작을 남겼다. 1959년 향년 45세의 나이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자세한 사망 경위나 말년의 행적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2. 3. 학력 및 기타 경력

1955년 2월부터 같은 해 8월까지 서라벌예술학교 특임교수를 지냈다.

2. 4. 사망

1959년 45세의 나이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자세한 내용은 불분명하다.

3. 주요 작품

어약선은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하며 여러 작품을 남겼다. 태평양 전쟁 말기에는 국책 영화인 "피와 땀", "감격의 일기"의 시나리오를 썼으며, 광복 후에는 직접 감독으로 데뷔하여 "베일 부인", "창수 만세" 등을 연출했다.

3. 1. 감독


  • 베일 부인 (1952년)
  • 창수 만세 (1954년)
  • 홍수 만세 (1954년)

3. 2. 시나리오

태평양 전쟁 종전 직전인 1945년에 국책 영화 두 편의 시나리오를 썼다. 신경균 감독이 연출한 "피와 땀"과 "감격의 일기"이다. 이 영화들은 독은기, 김신재, 최운봉, 김소영 등이 출연하였으며, 당시 시대 상황을 반영한 친일 영화로 평가받는다. 특히 "감격의 일기"는 태평양 전쟁 중 일본 본토에 징용된 한국인 노동자를 위문하는 무용단의 이야기를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그린 작품이다.

광복 후에는 1952년 자신이 직접 시나리오를 쓴 영화 "베일 부인"으로 영화 감독 데뷔를 하였다. 이 영화는 한국 전쟁으로 인해 비극적인 삶을 살게 된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여, 전쟁의 상처와 개인의 고뇌를 다룬 계몽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이후 1954년에는 어린이용 반공 영화인 "창수만세"의 시나리오를 쓰고 연출하였으며, 이 작품의 기획까지 담당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