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앙 (위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앙은 후한 말 천수군 출신으로, 위강이 마초에게 항복하려 할 때 간언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후 마초에게 협박당해 아들이 볼모로 잡혔지만, 아내 왕이의 도움으로 마초의 신임을 얻어 마초를 몰아내는 데 기여했다. 조조에게 후작위를 받았으며, 익주 자사에 임명되었으나 유비의 세력 하에 있어 실제 직무는 수행하지 못했다. 조앙은 익주 자사 조옹과 동일 인물로 추정되며, 아내 왕이와 아들 조월, 딸 조영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 삼국 시대 사람 - 위유
    위유는 후한 말 유우의 동조연으로, 유우가 공손찬을 공격하려 할 때 만류했으며 이민족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정책을 건의했으나 193년에 병사한 인물이다.
  • 중국 삼국 시대 사람 - 위자 (삼국지)
    위자는 후한 말 장막의 부장으로, 조조를 알아보고 동탁 토벌을 지원했으며, 서영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조앙 (위장)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조앙
본관톈수이, 간쑤성
위장 (偉章/偉璋)
배우자왕이
자녀조영
조월
다른 두 아들
관직
관직명익주자사 (명목상)
임기 시작?
임기 종료?
군주헌제
승상조조
생애
출생알 수 없음
사망알 수 없음 / 219년ZY
직업정치가

2. 사적

젊어서는 같은 고향 출신인 양부(楊阜) 및 윤봉(尹奉)과 함께 명성이 있었으며, 나란히 양주종사(凉州從事)가 되었다.[24] 이후 강도령(羌道令)을 지냈다.[25]

건안(建安) 17년(212년), 동관 전투에서 패배했던 마초가 강(羌) 등 서융(西戎)의 지지를 바탕으로 농상(隴上) 지역을 침공했다. 당시 기(冀)[27]를 제외한 양주의 모든 군현이 마초에게 넘어가자, 조앙은 양주자사(凉州刺史) 위강(韋康) 등과 함께 기성(冀城)에서 농성하며 마초군에 맞섰다. 그러나 8개월간의 포위에도 구원군이 오지 않자 위강은 항복을 고려했고, 조앙은 끝까지 싸울 것을 간언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위강은 마초와 화의를 맺고 성문을 열었지만, 마초는 약속을 어기고 위강을 비롯한 관리들을 살해했다.[26][25][28]

이후 조앙은 마초의 협박으로 아들 조월(趙月)을 인질로 보내야 했으며, 아내 왕이의 기지로 마초의 신임을 얻어 그의 밑에서 기회를 엿보게 되었다.[25] 조앙은 양부, 윤봉 등과 함께 마초를 몰아낼 계획에 동참하여 윤봉과 함께 기산(祁山)을 점거하고 수비했다. 마초는 장로에게서 병력을 빌려와 기산을 30여 일간 포위 공격했지만, 조앙은 하후연이 보낸 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성을 지켜냈다. 마초는 원군이 오자 퇴각하면서 인질로 잡고 있던 조앙의 아들 조월을 살해했다.[25][26][28]

이후의 행적은 명확하지 않으나 익주자사(益州刺史)를 역임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4][25] 건안 24년(219년) 정군산 전투에서 유비(劉備)가 하후연과 함께 익주자사 조옹(趙顒)을 죽였다는 기록이 있는데,[29] 이 조옹이 조앙과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2. 1. 초기 생애 및 경력

천수군(현재의 톈수이시, 간쑤성) 출신이다.[1] 젊은 시절, 같은 고향 출신인 양부(楊阜) · 윤봉(尹奉)과 함께 명성이 있었으며, 나란히 양주종사(凉州從事)로 임명되어 복무했다.[24][1][2][19] 이후 강도현(羌道縣; 현재의 주취현, 간쑤성 부근)의 현령(令)을 역임했다.[25][18]

강도현령 재직 중, 양상(梁雙)이라는 인물이 현에서 반란을 일으켜 조앙의 가족들이 살고 있던 서(西) 지구를 점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혼란 속에서 조앙의 두 아들은 살해당했고, 그의 아내 왕이와 딸 조영(趙英|자오잉중국어)은 양상에게 인질로 잡혔다. 다행히 모녀는 살아남았고, 양상이 지방 당국과 화의를 맺은 후 조앙과 재회할 수 있었다.[3]

건안 연간에는 참군사(參軍事)로 전임되어 기현(冀縣)으로 이주했다.

건안 17년(212년)[27] 혹은 18년(213년), 동관 전투에서 패배했던 마초가 강(羌) 등 서융 세력의 지지를 바탕으로 세력을 회복하여 농상(隴上) 지역을 침공했다. 당시 기현[27]을 제외한 양주의 모든 군현이 마초에게 호응하자, 양주자사(凉州刺史) 위강과 다른 지방 관리들은 기성(冀城)에서 농성하며 마초군에 맞섰다.[26]

약 8개월간의 포위에도 구원군이 도착하지 않자, 위강은 성 안의 백성들과 관리들의 희생을 안타깝게 여겨 마초에게 항복할 것을 고려했다. 조앙과 양부는 항복을 강력히 반대하며 간언했지만, 위강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결국 마초와 강화를 맺은 뒤 성문을 열었다.[26][25][28] 그러나 마초는 화의 약속을 깨고 위강을 비롯한 항복한 관리들을 살해하는 배신 행위를 저질렀다.[26]

조앙은 마초의 협박으로 인해 아들 조월(趙月)을 남정에 있는 장로에게 인질로 보내야 했다.[25] 마초는 조앙을 자신의 수하로 삼으려 했으나 그를 완전히 신뢰하지는 않았다. 이에 조앙의 아내 왕이가 기지를 발휘하여 마초의 아내 양씨를 만나 남편의 충성심을 설득했고, 그 결과 조앙은 마초의 신임을 얻어 등용될 수 있었다.[25]

건안 19년(214년), 양부가 자신의 외척인 강서(姜敍)와 함께 마초를 타도할 계획을 세우고 조앙과 윤봉 등에게 사람을 보내 협력을 요청하자, 이들은 모두 계획에 동참했다.[25] 조앙은 윤봉과 함께 기산(祁山)을 수비하는 임무를 맡았고, 강서는 양부와 함께 노성(鹵城)에서 거병했다. 마초가 강서를 공격하기 위해 출정한 사이, 기성에 남아 있던 양관(梁寬)과 조구(趙衢) 등이 성을 점거하고 마초의 처자식을 살해했다.[25][20]

상황이 불리해진 마초는 일단 한중의 장로에게로 달아났다가, 그의 병력을 빌려 돌아와 기산을 30여 일간 맹렬히 포위 공격했다. 조앙은 아내 왕이와 함께 기성을 굳건히 지켰는데, 이 과정에서 왕이가 아홉 가지 기묘한 계책을 내어 수성에 크게 기여했다고 전해진다.[25][26][28] 마침내 하후연이 보낸 장합이 이끄는 구원군이 도착하자 마초는 포위를 풀고 달아났으며, 퇴각하는 길에 인질로 잡고 있던 조앙의 아들 조월을 살해했다.[25][26][28]

롱우(隴右) 지역이 평정된 후, 조앙은 마초와의 싸움에서 세운 공로를 인정받아 조조로부터 다른 10명의 공신과 함께 후작(侯爵) 작위를 받았다. 이후 익주자사(益州刺史)를 역임했다.[24][25] 건안 24년(219년) 유비(劉備)가 한중을 공격하여 하후연과 익주자사 조옹(趙顒) 등을 죽였는데,[29] 일부에서는 이 조옹을 조앙과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한다.

2. 2. 계성 공방전

건안 연간(196년 ~ 220년) 중 군 참모(參軍事)로 임명된 조앙은 양주의 주도인 기성(冀城, 현재의 간구현, 간쑤성)으로 부임했다.[4]

211년 동관 전투에서 조조에게 패배한 마초212년 강족 등 서융 세력의 지원을 받아 세력을 회복하고 농상(隴上) 지역을 침공했다.[24][26] 기성을 제외한 양주의 모든 군현이 마초에게 호응하자, 양주자사(凉州刺史) 위강과 조앙 등 지방 관리들은 기성에서 농성하며 마초에게 저항했다.[26][25][28]

마초의 군대는 8개월 동안 기성을 포위했다.[26] 성 안의 물자가 고갈되고 구원군이 오지 않자, 위강은 백성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마초에게 항복하려 했다.[26][5] 조앙은 양부와 함께 항복을 강력히 반대하며 끝까지 싸울 것을 간언했으나,[26] 위강은 이를 듣지 않았다. 조앙의 아내 왕이 역시 남편에게 계속 싸울 것을 독려했다.[5] 그러나 위강은 결국 마초와 화의를 맺고 성문을 열었다.[26][25][28][5]

하지만 마초는 약속을 어기고 위강을 비롯한 성 안의 관리들을 살해했다.[26][20] 조앙은 마초의 협박을 받았고, 아들 조월이 마초에게 인질로 잡혔다.[25][20] 마초는 조앙을 부하로 삼으려 했으나 완전히 신뢰하지는 못했다. 이때 조앙의 아내 왕이가 기지를 발휘하여 마초의 신임을 얻도록 도왔고, 조앙은 마초 밑에서 기회를 엿볼 수 있었다.[25][20]

214년, 양부강서, 윤봉 등과 함께 마초에게 반격할 계획을 세우고 비밀리에 조앙에게 연락했다. 조앙도 이 계획에 동참하여 윤봉과 함께 기산(祁山)을 점거하고 수비에 들어갔다.[25][20] 양부와 강서가 노성(鹵城)에서 거병하자 마초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노성을 공격했다. 그 사이 양관과 조구 등은 기성을 점령하고 마초의 처자를 살해했다.[25]

상황이 불리해진 마초는 일단 한중으로 물러났다가 장로에게서 병력을 지원받아 돌아와 기산을 포위했다.[25][26][28] 조앙과 윤봉은 왕이의 도움과 계책을 활용하며[20] 약 30일 동안 마초의 맹렬한 공격을 막아냈다.[25][20] 마침내 하후연이 보낸 조조의 구원군 선봉 장합 군이 도착하자 마초는 포위를 풀고 달아났다.[25][26][28][20] 그러나 퇴각하는 과정에서 마초는 조앙의 아들 조월을 살해했다.[25][20]

이후 농우(隴右) 지역이 평정되자, 조조는 마초에 맞서 싸운 조앙을 포함한 11명에게 후작 작위를 수여하며 공을 치하했다.[20]

2. 3. 마초 축출

건안(建安) 17년(212년), 마초동관 전투에서 패배한 후 강(羌) 등 서융(西戎)의 지지를 얻어 세력을 회복하고 농상(隴上) 지역을 공격했다. 당시 기(冀)[27]를 제외한 모든 군현이 마초에게 호응하자, 양주자사(凉州刺史) 위강과 지방 관리들은 기성(冀城)에서 농성하며 저항했다. 그러나 8개월간의 포위에도 구원군이 오지 않자, 위강은 백성과 관리들의 피해를 우려하여 항복을 고려했다. 조앙은 항복에 반대하며 간언했으나, 위강은 이를 듣지 않고 결국 마초와 강화를 맺고 성문을 열었다.[26][25][28]

하지만 마초는 약속을 어기고 위강을 비롯한 지방 관리들을 살해했다.[26] 조앙 역시 마초에게 사로잡혔고, 아들 조월(趙月)은 남정(南鄭)에 인질로 보내졌다.[25][6] 마초는 조앙을 자신의 휘하에 두려 했으나 완전히 신뢰하지는 못했다. 이때 조앙의 아내 왕이가 마초의 아내 양씨(楊氏)에게 접근하여 남편이 충성하고 있다고 설득함으로써 마초의 의심을 점차 풀게 했다.[25][6]

이후 조앙은 양부, 윤봉, 강서 등과 비밀리에 공모하여 위강의 원수를 갚고 마초를 양주에서 몰아낼 계획을 세웠다.[25][7] 그는 인질로 잡힌 아들 조월의 안위가 걱정되었지만, 아내 왕이와 상의하여 대의를 위해 아들을 희생하기로 결정했다.[7]

건안 19년(214년), 계획이 실행되었다. 양부와 강서는 노성(鹵城, 현재 중국 간쑤성 동남부)에서 마초에 대항하여 거병했고, 조앙과 윤봉은 기산(祁山, 현재 간쑤성 리지현 부근 산악 지역)을 점거하고 수비했다.[25][8] 마초가 노성의 반란을 진압하러 출정한 사이, 기성에 남아있던 양관(梁寬)과 조구(趙衢) 등은 성을 점거하고 마초의 처자를 살해했다.[25][8] 노성 공략에 실패하고 돌아온 마초는 기성마저 빼앗기자 한중군으로 후퇴했다.[8]

마초는 장로에게 군사를 빌려 다시 양주를 공격했고, 조앙과 왕이가 지키는 기산을 약 30일간 포위하며 맹렬히 공격했다.[25][9] 조앙 부부는 하후연장합이 이끄는 조조의 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기산을 성공적으로 방어해냈다.[25][9] 원군이 도착하자 마초는 결국 패퇴했으며, 이 과정에서 인질로 잡고 있던 조앙의 아들 조월을 살해했다.[25][9] 기성 방어부터 기산 전투에 이르기까지, 조앙은 아내 왕이의 조력을 받아 아홉 차례의 기책(奇計)을 펼쳐 마초에 맞섰다고 전해진다.[9]

이후 농우(隴右) 지역이 평정되자, 조조는 마초에 맞서 싸운 공로를 인정하여 조앙을 포함한 11명에게 후작(侯爵) 작위를 수여했다.

2. 4. 익주자사 부임과 최후

마초와의 싸움 이후 시기는 불명확하나, 익주(益州) 자사(刺史|자사중국어)에 임명되었다.[24][25][10] 그러나 당시 익주는 조조의 주요 경쟁자 중 한 명인 군벌 유비의 통치하에 있었기 때문에, 조앙이 실제로 익주(현재의 쓰촨성충칭시 포함)에 부임하여 자사의 직무를 수행하지는 못했다.

건안 24년(219년), 유비한중을 점령하기 위해 벌인 정군산 전투에서 유비의 장수 황충조조의 장수 하후연과 익주자사 조옹(趙顒|조옹중국어)을 격파하고 죽였다.[29][11]

이 기록에 등장하는 '조옹'은 조앙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12][13][14][15]

  • 첫째, 이름에 사용된 한자 '옹'(顒)과 '앙'(昂)은 '들다/올리다'(舉)라는 비슷한 의미를 가진다.
  • 둘째, 후한 시대 중국어 발음으로 '옹'(顒, *ŋuoŋ*)과 '앙'(昂, *ŋɑŋ*)은 매우 유사했다.[16][17]
  • 셋째, 두 인물 모두 익주자사라는 같은 직책을 가졌고 같은 시대를 살았다.


이러한 근거들을 바탕으로, 사서에 '조앙'의 이름이 '조옹'으로 잘못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3. 가족 관계

4. 명칭 논란

조앙의 이름 표기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에서 차이가 나타나 논란이 있다. 황보밀의 『열녀전』과 어환의 『위략』에서는 조앙의 자(字)로 추정되는 '위장'의 표기가 각각 '위장'(偉璋|위장중국어)과 '위장'(偉章|위장중국어)으로 다르게 나타난다.[1] 또한, 219년 정군산 전투에서 하후연과 함께 전사한 익주 자사의 이름이 일부 기록에는 '조앙'(趙昂|조앙중국어)으로,[21] 다른 기록에는 '조옹'(趙顒|조옹중국어)으로[11] 기록되어 있어 동일 인물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다. 이러한 명칭의 차이는 기록 과정에서의 오류 또는 다른 이유로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4. 1. 위장(偉璋)과 위장(偉章)

황보밀의 『열녀전』에는 "조앙의 아내 왕이는 익주 자사 천수의 조위장(趙偉璋)의 아내"라고 기록되어 있다.[1] 반면, 『위략』에는 "양부는 젊은 시절, 같은 군의 윤봉, 차증과 조앙, 위장(趙昂偉章)과 함께 이름을 떨쳤다"라고 기재되어 있다.[1]

조앙천수 출신이며, '장'(璋)과 '장'(章) 두 글자는 음이 같다.[1] 따라서 『열녀전』의 '조위장'(趙偉璋)과 『위략』의 '조앙위장'(趙昂偉章)은 동일 인물을 가리킬 가능성이 높다.[1] 이 때문에 '위장'(偉璋)과 '위장'(偉章) 중 어느 한쪽이 잘못 기록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1]

4. 2. 조앙(趙昂)과 조옹(趙顒)

조앙은 익주(현재의 쓰촨성충칭시 포함)의 자사(刺史|자사중국어) 지위에 올랐지만,[10] 당시 익주는 조조의 주요 경쟁자 중 한 명인 군벌 유비가 통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실제로는 직무를 수행하지 못했다.

219년, 한중을 둘러싼 정군산 전투에서 유비의 장수 황충법정의 도움을 받아 조조의 장수 하후연과 함께 익주 자사 한 명을 죽였다.[21] 일부 기록에는 이때 죽은 익주 자사가 조옹(趙顒|조옹중국어)이라고 되어 있고,[11] 다른 기록에는 조앙(趙昂|조앙중국어)이라고 되어 있다.[21]

이 '조옹'은 조앙과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높은데, 여러 근거가 이를 뒷받침한다.

첫째, 조앙과 조옹 모두 익주 자사라는 같은 직책에 임명되었다.

둘째, 두 사람은 같은 조씨 성을 가졌으며, 활동 시기와 거점으로 삼았던 지역이 유사하다.

셋째, 이름에 쓰인 한자 '앙'(昂|앙중국어)과 '옹'(顒|옹중국어)은 '들다/올리다'라는 비슷한 의미를 지닌다.[12][13][14][15] 실제로 이 두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 '앙옹'(昂顒|앙옹중국어)도 존재한다.[22][23]

넷째, 후한 시대 중국어에서 '앙'(昂|앙중국어, 당시 발음 추정: *ŋɑŋ*)과 '옹'(顒|옹중국어, 당시 발음 추정: *ŋuoŋ*)의 발음이 매우 유사했다.[16][17]

이러한 공통점들을 고려할 때, '조옹'은 '조앙'을 잘못 기록한 이름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참조

[1] 서적 Sanguozhi
[2] 서적 Weilue
[3] 서적 Lie Nü Zhuan
[4] 서적 Lie Nü Zhuan
[5] 서적 Lie Nü Zhuan
[6] 서적 Lie Nü Zhuan
[7] 서적 Lie Nü Zhuan
[8] 서적 Sanguozhi
[9] 서적 Lie Nü Zhuan
[10] 서적 Lie Nü Zhuan
[11] 서적 Sanguozhi
[12] 서적 Shuowen Jiezi https://ctext.org/sh[...]
[13] 서적 Guangyun https://ctext.org/te[...]
[14] 서적 Guangyun https://ctext.org/te[...]
[15] 서적 SWJZ https://ctext.org/sh[...]
[16] 서적 Minimal Old Chinese and Later Han Chinese University of Hawai'i 2009
[17] 간행물 《臺語之古老與古典》 The Antiquities and Classics of Taiwanese https://web.archive.[...]
[18] 서적 三国志
[19] 서적 三国志
[20] 서적 三国志
[21] 서적 三国志
[22] 시 詩経
[23] 웹사이트 "「顒」「昂」古同音" http://www.taigu.org[...]
[24] 서적 위략(魏略)
[25] 서적 열녀전(列女傳)
[26] 서적 삼국지(三國志)
[27] 문서 한양군(漢陽郡)의 속현
[28] 서적 삼국지
[29] 서적 삼국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