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후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후연은 패국 초현 출신으로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활약했다. 그는 조조가 동탁 토벌을 위해 군사를 일으켰을 때 합류하여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관도 전투, 황건적 토벌, 서황과 함께 태원에서의 반란 진압 등에서 활약했다. 특히 군수 물자 수송을 제때 수행하여 군대의 사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관중 전투와 한중 공방전에서도 활약했으나, 219년 정군산 전투에서 황충에게 패하여 전사했다. 하후연은 용맹함으로 칭찬받았지만, 조조는 그의 자만을 경계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군 하후씨 - 하후무
    하후무는 위나라의 무장으로 하후돈의 아들이며 조조의 사위였고, 조비의 총애를 받아 안서장군에 임명되어 관중을 방어했으나 군사적 재능은 부족하다는 평을 받았으며, 제갈량의 북벌 당시 탄핵을 받았지만 복귀하여 진동장군에 이르렀다.
  • 초군 하후씨 - 하후돈
    하후돈은 후한 말기부터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조조의 사촌이자 그의 거병 때부터 종군하여 많은 공을 세웠으며, 연주 전투에서 왼쪽 눈을 잃어 "애꾸눈 하후"라는 별명을 얻었고, 군사적 능력과 청렴한 성품으로 조조의 신임을 받아 사후 조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 보저우시 출신 - 장자
    장자는 중국 전국 시대의 철학자로, 《장자》를 저술하여 개인의 자유와 무위자연의 삶을 추구했으며 노장사상으로 도교에 영향을 미쳤다.
  • 보저우시 출신 - 조조
    후한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사가, 시인이었던 조조는 뛰어난 능력으로 위나라의 기반을 다졌으나, 잔혹한 행위와 권력욕으로 인해 후대 평가에서 논쟁적인 인물이다.
  • 후한의 군인 - 조안민
    조안민은 후한 말 장수의 부하로 조조에게 항복했으나 장수의 습격을 받아 조앙과 함께 전사했으며,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조조의 형 조포의 아들로 등장한다.
  • 후한의 군인 - 태사자
    태사자는 후한 말기의 무장으로, 자는 자의이며, 젊어서 학문을 좋아하고 뛰어난 무예와 용맹을 떨쳤으며, 공융을 구원하고 손책에게 귀순하여 그의 휘하에서 활약하다 손책 사후에는 손권 밑에서 오나라의 장수로 공을 세웠다.
하후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하후연의 청나라 시대 삽화
하후연의 청나라 시대 삽화
이름하후연
로마자 표기Hahu Yeon
자(字)묘재(妙才)
로마자 표기Myojae
시호민후(愍侯)
로마자 표기Minhu
관직
작위박창정후(博昌亭侯)
직위정도호장군(征西將軍)
임기 시작216년
임기 종료219년
군주헌제
승상조조
기타 직위도호장군 (都護將軍, 대행)
임기 시작215년
임기 종료216년
군주헌제
승상조조
기타 직위호군장군 (護軍將軍, 대행)
임기 시작?
임기 종료215년
군주헌제
승상조조
개인 정보
출생지예주패국 초현
사망일219년 1월 (음력) 또는 219년 2월 (양력)
사망지한중군 정군산
사인전사
가족하후돈(사촌)
하후씨(조카딸)
자녀하후형
하후패
하후징
하후위
하후융
하후휘
하후화
기타 정보
별명백지장군(白地將軍)
관련 활동동관 전투
농우 평정
한중 공방전
주요 적수마초
황충
소속조조

2. 생애

조조가 고향에서 죄를 지었을 때, 하후연이 이를 대신 짊어지려 했으나 조조가 용서를 빌어 면하게 되었다. 조조가 거병하자 별부사마와 기도위가 되어 그를 따랐으며, 진류태수영천태수를 지냈다.[2] 연주예주에 기근이 발생했을 때, 하후연의 가족도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죽은 남동생의 고아 딸을 위해 자신의 막내 아들을 희생하기로 결정했다.[3]

190년, 조조가 동탁 토벌전에 참여하기 위해 군대를 일으켰을 때, 하후연은 조조에 합류하여 별부사마와 기도위를 지냈다. 이후 진류군영천군의 태수로 임명되었다.[4]

관도 전투에서 하후연은 독군교위로서 연주, 예주, 서주로부터 군량을 조달하는 임무를 맡았다.[5] 당시 조조군은 식량 보급이 부족했지만, 하후연은 제때 물자를 전달하여 군대의 사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201년, 장료와 함께 동해군창희를 포위 공격했으나 몇 달간 함락시키지 못하고 군량이 부족해졌다. 회군하기 전에 장료가 창희와 단둘이 만나 설득하여 항복을 받아냈다.[43] 206년[44] 창희가 다시 반기를 들자 우금과 함께 진압하고 전군교위가 되었다.[6] 하후연은 전투에서 부대를 빠르게 움직여 적을 기습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조조군에는 "육군 정돈사 하후연은 3일 만에 500 리를 가고 6일 만에 1,000 리를 간다."라는 말이 있었다.[7]

207년, 황건적 서화(徐和)와 사마구(司馬俱)가 제남낙안을 공격하자, 태산, , 평원의 군사를 동원하여 토벌하고 그 식량을 확보하였다.[8]

209년, 행령군에 임명되어 여강뇌서를 격파했다.[9]

211년, 정서호군을 맡아 서황을 지휘하여 태원의 도적 상요(商曜)를 죽였다. 그해 3월(음력), 조조는 종요와 하후연에게 한중의 장로를 정벌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마초한수관중 지역의 세력들은 조조가 자신들을 노린다고 판단하여 동관(潼關)으로 진격했다(동관 전투).[45] 하후연은 위남(渭南)에서 이들과 싸웠고, 서황,[46] 주령과 함께 유미현(隃麋縣)과 견현(汧縣)의 저족을 격파했다. 10월에는 안정에서 조조를 만나 양추를 포위하여 항복을 받아냈다.[10]

212년, 조조가 으로 돌아가면서 하후연을 호군장군으로 삼아 장합,[47] 서황,[45] 주령, 노초와 함께 장안에 주둔시켰다. 하후연은 남산(南山)에서 유웅(劉雄)을, 부(鄜)[48]에서 양흥을 격파하고 박창정후에 봉해졌다.[11]

마초가 기(冀)성을 포위하자, 하후연은 구원하러 갔지만 제때 도착하지 못하여 양주자사 위강이 항전하다가 죽었다(8월(음력)).[49] 마초가 200여 리를 나와 요격하고 견저까지 합세했기에 하후연은 퇴각하였다.[12] 214년, 마초가 다시 기산(祁山)을 포위하자, 강서 등이 급히 구원을 청하였다. 9월, 조구(趙衢)와 윤봉 등이 마초를 몰아낼 계획을 세웠고, 이에 동참한 강서(姜敍)가 노성(鹵城)에서 군사를 일으켰다. 마초가 출군한 사이 조구 등이 기성을 닫아걸고 그 처자를 살해하였다. 갈 곳이 없어진 마초는 한중으로 달아났다.[50] 여러 장수가 조조의 지시를 기다리자고 했지만, 하후연은 업과의 왕복 거리가 4,000리이니 필히 늦을 것이라며 바로 출진하였다. 장합에게 5,000명으로 선봉을 맡기고 자신도 뒤따랐다. 마초는 이를 보고 싸우지도 않고 물러났다.[14]

하후연은 현친현(顯親縣)에 있던 한수를 잡고자 약양성(略陽城)까지 추격하였다. 장수들은 한수 아니면 흥국(興國)의 저 중 하나를 이대로 치자고 하였다. 하후연은 둘 다 공성으로는 이기기 어렵다 보고 장리(長離)를 공격하여 한수를 야전으로 꾀어냈다. 한수에 호응한 강족들의 가족이 있는 장리를 공격하면 그 강족들이 각자의 가족을 구하러 갈 것이었다. 경무장한 군대로 장리를 습격하니 과연 한수도 흩어지려는 강족을 도와 장리로 나왔다. 그 숫자에 진지를 구축하여 대적하자는 안도 있었지만 1,000리에 걸쳐 거듭 싸워온 병사들이 더 피폐해질 것이라며 바로 싸워서 대승을 거두고 약양과 흥국마저 휩쓸었다. 흥국저 아귀(阿貴)는 죽고 한수는 서평으로,[45] 백항저왕(白項―) 천만(千萬)은 파촉으로 도주하고 남은 자들은 항복하였다.[51] 고평(高平)의 저각(屠各)까지 무찌르고 그 양곡, , 들을 거두었다. 이러한 공로로 가절을 받았다.[15]

10월(음력),[45] 자칭 하수평한왕(河首平漢王) 송건이 30여 년 동안 다스리던 부한현(枹罕縣)[52]을 1달 만에 함락하고 그와 그 관원들을 참수했다. 장합을 하관(河關)을 경유하여 소황중(小湟中)[53]으로 보내니 하서의 강족들이 모두 투항하였다. 이로써 농우가 평정되었다.[16] 215년[54] 식읍 300호를 더해 모두 800호가 되었다.

216년, 한나라 조정은 하후연에게 그의 제후령에 과세 대상 가구 300가구를 추가로 하사하여 총 800가구가 되었다.[18] 이후 하후연은 무도와 강 부족을 공격하여 하변(下辯)에서 10만 석 이상의 곡물을 빼앗았다.[17] 조조가 군대를 이끌고 군벌 장로를 공격하기 위해 한중군으로 진격했을 때, 하후연은 양주의 모든 무관과 귀족들을 이끌고 휴정(休亭)에서 조조를 만났는데, 강족과 부족 수장들은 조조와의 회의에 참석할 때마다 하후연을 두려워했다.[17]

장로는 양평 전투에서 패배한 후 조조에게 항복했다. 하후연은 임시 도호장군으로 임명되었고, 장합서황의 도움을 받아 파군을 평정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조조는 나중에 (현재의 한단시, 허베이성)로 돌아갔고, 하후연 등을 남겨 새로 정복한 한중군을 방어하게 했으며, 하후연은 정서장군에 임명되었다.[18]

217년, 유비는 215년에 익주 (현재의 쓰촨성충칭시)를 장악하고, 한중을 조조로부터 빼앗기 위해 공세를 시작했다. 유비의 군대가 양평관(陽平關, 현재의 닝창현, 산시성)에 이르자, 하후연은 병사들을 이끌고 적에게 저항했고, 양측은 거의 1년 동안 교착 상태에 빠졌다.[19]

219년 2월 또는 3월의 어느 날 밤, 유비는 하후연의 진영 주변에 설치된 가시 울타리에 불을 질렀다. 이에 하후연은 장합을 보내 진영 동쪽을 방어하게 하고, 자신은 소수의 군대를 이끌고 남쪽을 방어했다.[20] 장합은 유비에게 공격받았지만 적을 제압하는 데 실패했고, 하후연은 자신의 병력 일부를 장합에게 보냈다. 유비의 장군 황충은 하후연의 군대보다 전투 경험이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하후연에게 맹렬한 공격을 가했고, 하후연은 전투 중 사망했다.[21][22]

하후연은 시호 "민후"(愍侯)를 받았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동정심 있는 후작"을 의미한다.[23]

2. 1. 초기 생애와 경력

조조가 고향에 있을 때 저지른 죄를 대신 짊어지려 했는데, 조조가 용서를 빌어 면하였다. 조조가 거병하자 별부사마(別部司馬)와 기도위가 되어 따랐고, 진류태수·영천태수를 지냈다.[2] 연주예주에 기근이 발생했을 때 하후연의 가족도 큰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죽은 남동생의 고아 딸을 위해 자신의 막내 아들을 희생하기로 결정했다.[3]

190년, 조조가 동탁 토벌전에 참여하기 위해 군대를 일으켰을 때, 하후연은 조조에 합류하여 별부사마와 기도위를 지냈다. 이후 진류군(현재의 허난성 카이펑시 일대)과 영천군(현재 허난성 중부)의 태수로 임명되었다.[4]

관도 전투에서는 독군교위(督軍校尉)로서 연주·예주·서주로부터 군량을 조달하였다.

2. 2. 관도 대전과 후방 지원

조조가 관도 전투에서 원소와 격돌했을 때, 하후연은 독군교위(督軍校尉)로서 연주, 예주, 서주로부터 군량을 조달하였다.[5] 당시 조조군은 식량 보급이 부족했지만, 하후연은 제때 물자를 전달하여 군대의 사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201년 (건안 6년),[42] 장료와 함께 동해군창희포위 공격했으나 몇 달간 함락시키지 못하고 군량이 다 떨어졌다. 회군하기 전에 장료가 창희와 단둘이 만나 설득하니 투항하였다.[43]

206년[44] 창희가 다시 반기를 들어 우금과 같이 진압하고 전군교위(典軍校尉)가 되었다.[6] 하후연은 전투에서 부대의 신속한 움직임으로 유명했으며, 종종 적을 기습했다. 조조의 군대에는 이를 묘사하는 말이 있었다. "육군 정돈사 하후연은 3일 만에 500 ''리''를 가고 6일 만에 1,000 ''리''를 간다."[7]

207년, 황건적 서화(徐和)와 사마구(司馬俱)가 제남낙안을 치므로 태산, , 평원의 군사를 동원하여 토벌하고 그 식량을 확보하였다.[8]

209년, 행령군(行領軍)에 임명되어 여강뇌서를 격파했다.[9]

2. 3. 창희 토벌

조조가 거병하자 별부사마(別部司馬)와 기도위가 되어 따랐으며, 진류태수·영천태수를 지냈다.[42] 관도 전투에서는 독군교위(督軍校尉)로서 연주·예주·서주로부터 군량을 조달하였다.[5]

201년(건안 6년), 장료와 함께 동해군창희포위 공격했으나 몇 달간 함락시키지 못하고 군량이 다 떨어졌다. 회군하기 전에 장료가 창희와 단둘이 만나 설득하니 투항하였다.[43] 206년[44] 창희가 다시 반기를 들어 우금과 같이 진압하고 전군교위(典軍校尉)가 되었다.[6]

황건적 서화(徐和)와 사마구(司馬俱)가 제남낙안을 공격하자, 태산·제군·평원의 군사를 동원하여 토벌하고 그 식량을 확보하였다.[8] 209년 행령군(行領軍)에 임명되어 여강뇌서를 격파했다.[9]

하후연은 전투에서 부대의 신속한 움직임으로 유명했으며, 종종 적을 기습했다. 조조의 군대에는 "육군 정돈사 하후연은 3일 만에 500 ''리''를 가고 6일 만에 1,000 ''리''를 간다."라는 말이 있었다.[7]

2. 4. 황건적 토벌

206년, 창희(昌狶중국어)가 반란을 일으키자, 조조우금에게 군대를 이끌고 진압하도록 명령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조조는 하후연에게 우금과 함께 다시 창희를 공격하도록 명령했고, 이들은 반란군을 격파하고 10개 이상의 적 수비대를 점령했으며, 창희는 우금에게 항복했다. 하후연은 이 공으로 전군교위로 임명되었다.[6] 하후연은 빠른 부대 이동으로 유명했으며, 적을 기습하는 데 능했다. 당시 조조군에는 "전군교위 하후연은 3일 만에 500 리를 가고 6일 만에 1,000 리를 간다"는 말이 있었다.[7]

207년, 황건적 잔당이 제남(현재의 장추시 산둥성 인근)과 낙안(현재의 산둥성)에서 서화(徐和중국어)와 사마구(司馬俱중국어)의 지휘 아래 도시를 공격하고 관리들을 살해했다. 하후연은 태산(태산 인근), , 평원의 군대를 이끌고 반란군을 공격하여 격파하고 서화를 죽였으며, 이 지역의 여러 현을 평정했다. 그는 또한 적의 식량을 징발하여 자신의 부대에 분배했다.[8]

2. 5. 여강 평정

209년, 적벽 전투에서 손권유비의 연합군에게 패배하고 돌아온 조조는 하후연에게 안후이성 여강군에서 반란을 일으킨 뇌서를 공격하라고 명령했다.[9] 뇌서를 격파한 후, 하후연은 임시 정서호군(征西護軍)으로 임명되었고, 서황과 함께 태원군에서 반란군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9] 그들은 20개 이상의 적 진영을 정복하고 반란 수장 상요(商曜)를 죽였으며, 반란 기지에서 인구를 학살했다.[9]

2. 6. 관중 전투와 서방 평정

211년, 하후연은 정서호군(征西護軍)을 맡아 서황을 지휘하여 태원의 도적 상요(商曜)를 죽였다. 그해 3월(음력), 조조는 종요와 하후연에게 한중의 장로를 정벌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마초한수관중 지역의 세력들은 조조가 자신들을 노린다고 판단하여 동관(潼關)으로 진격했다(동관 전투).[45] 하후연은 위남(渭南)에서 이들과 싸웠고, 서황,[46] 주령과 함께 유미현(隃麋縣)과 견현(汧縣)의 저족을 격파했다. 10월에는 안정에서 조조를 만나 양추를 포위하여 항복을 받아냈다.[10]

212년, 조조가 으로 돌아가면서 하후연을 호군장군(護軍將軍)으로 삼아 장합,[47] 서황,[45] 주령, 노초와 함께 장안에 주둔시켰다. 하후연은 남산(南山)에서 유웅(劉雄)을, 부(鄜)[48]에서 양흥을 격파하고 박창정후(博昌亭侯)에 봉해졌다.[11]

마초가 기(冀)성을 포위하자, 하후연은 구원하러 갔지만 제때 도착하지 못하여 양주자사 위강이 항전하다가 죽었다(8월(음력)).[49] 마초가 200여 리를 나와 요격하고 견저까지 합세했기에 하후연은 퇴각하였다.[12] 214년, 마초가 다시 기산(祁山)을 포위하자, 강서 등이 급히 구원을 청하였다. 9월, 조구(趙衢)와 윤봉 등이 마초를 몰아낼 계획을 세웠고, 이에 동참한 강서(姜敍)가 노성(鹵城)에서 군사를 일으켰다. 마초가 출군한 사이 조구 등이 기성을 닫아걸고 그 처자를 살해하였다. 갈 곳이 없어진 마초는 한중으로 달아났다.[50] 여러 장수가 조조의 지시를 기다리자고 했지만, 하후연은 업과의 왕복 거리가 4,000리이니 필히 늦을 것이라며 바로 출진하였다. 장합에게 5,000명으로 선봉을 맡기고 자신도 뒤따랐다. 마초는 이를 보고 싸우지도 않고 물러났다.[14]

하후연은 현친현(顯親縣)에 있던 한수를 잡고자 약양성(略陽城)까지 추격하였다. 장수들은 한수 아니면 흥국(興國)의 저 중 하나를 이대로 치자고 하였다. 하후연은 둘 다 공성으로는 이기기 어렵다 보고 장리(長離)를 공격하여 한수를 야전으로 꾀어냈다. 한수에 호응한 강족들의 가족이 있는 장리를 공격하면 그 강족들이 각자의 가족을 구하러 갈 것이었다. 경무장한 군대로 장리를 습격하니 과연 한수도 흩어지려는 강족을 도와 장리로 나왔다. 그 숫자에 진지를 구축하여 대적하자는 안도 있었지만 1,000리에 걸쳐 거듭 싸워온 병사들이 더 피폐해질 것이라며 바로 싸워서 대승을 거두고 약양과 흥국마저 휩쓸었다. 흥국저 아귀(阿貴)는 죽고 한수는 서평으로,[45] 백항저왕(白項―) 천만(千萬)은 파촉으로 도주하고 남은 자들은 항복하였다.[51] 고평(高平)의 저각(屠各)까지 무찌르고 그 양곡, , 들을 거두었다. 이러한 공로로 가절(假節)을 받았다.[15]

10월(음력),[45] 자칭 하수평한왕(河首平漢王) 송건이 30여 년 동안 다스리던 부한현(枹罕縣)[52]을 1달 만에 함락하고 그와 그 관원들을 참수했다. 장합을 하관(河關)을 경유하여 소황중(小湟中)[53]으로 보내니 하서의 강족들이 모두 투항하였다. 이로써 농우가 평정되었다.[16] 215년[54] 식읍 300호를 더해 모두 800호가 되었다.

2. 7. 한중 공방전과 정군산 전투

216년, 한나라 조정은 하후연에게 그의 제후령에 과세 대상 가구 300가구를 추가로 하사하여 총 800가구가 되었다.[18] 이후 하후연은 무도와 강 부족을 공격하여 하변(下辯)에서 10만 석 이상의 곡물을 빼앗았다.[17] 조조가 군대를 이끌고 군벌 장로를 공격하기 위해 한중군으로 진격했을 때, 하후연은 양주의 모든 무관과 귀족들을 이끌고 휴정(休亭)에서 조조를 만났는데, 강족과 부족 수장들은 조조와의 회의에 참석할 때마다 하후연을 두려워했다.[17]

장로는 양평 전투에서 패배한 후 조조에게 항복했다. 하후연은 임시 도호장군(都護將軍)으로 임명되었고, 장합서황의 도움을 받아 파군을 평정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조조는 나중에 (현재의 한단시, 허베이성)로 돌아갔고, 하후연 등을 남겨 새로 정복한 한중군을 방어하게 했으며, 하후연은 정서장군에 임명되었다.[18]

217년, 조조의 경쟁자였던 유비는 215년에 익주 (현재의 쓰촨성충칭시)를 장악하고, 한중을 조조로부터 빼앗기 위해 공세를 시작했다. 유비의 군대가 양평관(陽平關, 현재의 닝창현, 산시성)에 이르자, 하후연은 병사들을 이끌고 적에게 저항했고, 양측은 거의 1년 동안 교착 상태에 빠졌다.[19]

219년 2월 또는 3월의 어느 날 밤, 유비는 하후연의 진영 주변에 설치된 가시 울타리에 불을 질렀다. 이에 하후연은 장합을 보내 진영 동쪽을 방어하게 하고, 자신은 소수의 군대를 이끌고 남쪽을 방어했다.[20] 장합은 유비에게 공격받았지만 적을 제압하는 데 실패했고, 하후연은 자신의 병력 일부를 장합에게 보냈다. 유비의 장군 황충은 하후연의 군대보다 전투 경험이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하후연에게 맹렬한 공격을 가했고, 하후연은 전투 중 사망했다.[21][22]

하후연은 시호 "민후"(愍侯)를 받았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동정심 있는 후작"을 의미한다.[23]

3. 평가

하후연은 매우 빠르게 진군하여 언제나 적이 예상치 못한 곳에서 나타났기 때문에 군중에서는 '사흘에 5백 , 엿새에 1천 리를 간다.'는 소문이 돌았다.[58] 조조는 농우를 평정했을 때 "송건을 단번에 멸하고 관서를 호랑이처럼 내달려 앞을 가로막는 것이 아무것도 없으니 공자안회가 더 낫다고 했다."라며 자신보다 낫다고 칭찬하였다. 그러나 '장군이라면 겁을 먹고 약해져야 할 때도 있다. 용맹만을 믿어서는 안 된다. 물론 용맹함이 기본이기는 하지만 지략을 가지고 행해야 한다. 오직 패기만으로는 일개 필부만을 상대할 수 있을 뿐이다.'며 항상 주의도 주었다. 하후연은 본래 용병에 능하지 못하여 군중에서도 백지장군(白地―)이라 불렸다. 총대장이 최전방에서 직접 적과 싸우는 것도 부당한데, 결국 녹채를 보수하다 전사하였다.[59] 유비 역시 장합은 꺼린 반면 하후연은 쉽게 여겼다. 유비는 총대장인 하후연을 죽였음에도 "마땅히 우두머리를 잡아야 하지만 이는 무슨 쓸모가 있는가?"라고 하였다.[60]

4. 가족 관계

부인조조의 처제[25]
장남하후형 - 조조의 아우 해양애후의 과 결혼하였다. 아버지 사후 작위를 계승했다가 안녕정후로 이봉됐다.[26]
장남 슬하 손자하후적, 하후포
차남하후패[27]
삼남하후칭[28]
사남하후위[28]
사남 슬하 손자하후준, 하후장
오남하후영[28]
육남하후혜[29]
칠남하후화[29]
조카딸하후씨 부인 - 장비의 처. 하후패의 사촌 여동생으로, 200년 당시 13세였다. 땔감을 구하러 나갔다가 장비에게 붙잡혀 그의 아내가 되었다.[31] 그녀는 두 딸을 낳았는데, 두 딸 모두 유선과 결혼하여 각각 경애황후와 장황후가 되었다.[31]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소설삼국지연의》에서 하후연은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용장으로 등장한다. 조조동작대를 완공한 기념으로 연 연회에서 조휴, 문빙, 조홍, 장합과 함께 솜씨를 뽐냈다.[32] 장로를 정벌할 때 선봉으로 가던 중 양앙양임의 기습에 패하기도 했으나,[32] 다시 안개 속에서 습격하여 양평관 점령에 공을 세우고 창기와 양임을 베었다.[32] 정군산 전투에서는 장합의 만류에도 직접 출전했다가 황충법정의 계략에 전사한다.[32]

하후연은 코에이(Koei)의 비디오 게임 ''진・삼국무쌍''과 ''무쌍 오로치''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한다.[32] 게임에서 그는 하후돈의 형제로 등장하며, 다소 어리숙하지만 강력하고 충성스러운 인물로 묘사된다.[32] 또한 코에이가 제작한 전략 게임 시리즈인 ''삼국지''의 모든 시리즈와 실시간 전략 게임 ''결전 2''에도 등장한다.[32]

''토탈 워: 삼국''에서도 하후연은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하며, 조조의 휘하 장수로 게임에 중요하게 등장한다.[32]

참조

[1] 문서 Xiahou Yuan died in the 1st month of the 24th year of the ''Jian'an'' era. The month corresponds to 3 Feb to 3 Mar 219 in the Julian calendar.
[2] 문서 (夏侯淵字妙才,惇族弟也。太祖居家,曾有縣官事,淵代引重罪,太祖營救之,得免。) ''Sanguozhi'' vol. 9.
[3] 문서 (魏略曰:時兖、豫大亂,淵以饑乏,棄其幼子,而活亡弟孤女。) ''Weilue'' annotation in ''Sanguozhi'' vol. 9.
[4] 문서 (太祖起兵,以別部司馬、騎都尉從,遷陳留、潁川太守。) ''Sanguozhi'' vol. 9.
[5] 문서 (及與袁紹戰於官渡,行督軍校尉。紹破,使督兖、豫、徐州軍糧;時軍食少,淵傳饋相繼,軍以復振。) ''Sanguozhi'' vol. 9.
[6] 문서 (昌狶反,遣于禁擊之,未拔,復遣淵與禁并力,遂擊狶,降其十餘屯,狶詣禁降。淵還,拜典軍校尉。) ''Sanguozhi'' vol. 9.
[7] 문서 (魏書曰:淵為將,赴急疾,常出敵之不意,故軍中為之語曰:「典軍校尉夏侯淵,三日五百,六日一千。」) ''Wei Sh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9.
[8] 문서 (濟南、樂安黃巾徐和、司馬俱等攻城,殺長吏,淵將泰山、齊、平原郡兵擊,大破之,斬和,平諸縣,收其糧穀以給軍士。) ''Sanguozhi'' vol. 9.
[9] 문서 (十四年,以淵為行領軍。太祖征孫權還,使淵督諸將擊廬江叛者雷緒,緒破,又行征西護軍,督徐晃擊太原賊,攻下二十餘屯,斬賊帥商曜,屠其城。) ''Sanguozhi'' vol. 9.
[10] 문서 (從征韓遂等,戰於渭南。又督朱靈平隃糜、汧氐。與太祖會安定,降楊秋。) ''Sanguozhi'' vol. 9.
[11] 문서 (十七年,太祖乃還鄴,以淵行護軍將軍,督朱靈、路招等屯長安,擊破南山賊劉雄,降其衆。圍遂、超餘黨梁興於鄠,拔之,斬興,封博昌亭侯。) ''Sanguozhi'' vol. 9.
[12] 문서 (馬超圍涼州刺史韋康於兾,淵救康,未到,康敗。去兾二百餘里,超來逆戰,軍不利。汧氐反,淵引軍還。) ''Sanguozhi'' vol. 9.
[13] 문서 (十九年,趙衢、尹奉等謀討超,姜叙起兵鹵城以應之。衢等譎說超,使出擊叙,於後盡殺超妻子。) ''Sanguozhi'' vol. 9.
[14] 문서 (超奔漢中,還圍祁山。叙等急求救,諸將議者欲須太祖節度。淵曰:「公在鄴,反覆四千里,比報,叙等必敗,非救急也。」遂行,使張郃督步騎五千在前,從陳倉狹道入,淵自督糧在後。郃至渭水上,超將氐羌數千逆郃。未戰,超走,郃進軍收超軍器械。淵到,諸縣皆已降。) ''Sanguozhi'' vol. 9.
[15] 문서 (韓遂在顯親,淵欲襲取之,遂走。淵收遂軍糧,追至略陽城,去遂二十餘里,諸將欲攻之,或言當攻興國氐。淵以為遂兵精,興國城固,攻不可卒拔,不如擊長離諸羌。長離諸羌多在遂軍,必歸救其家。若捨羌獨守則孤,救長離則官兵得與野戰,可必虜也。淵乃留督將守輜重,輕兵步騎到長離,攻燒羌屯,斬獲甚衆。諸羌在遂軍者,各還種落。遂果救長離,與淵軍對陣。諸將見遂衆,惡之,欲結營作塹乃與戰。淵曰:「我轉鬬千里,今復作營塹,則士衆罷弊,不可乆。賊雖衆,易與耳。」乃鼔之,大破遂軍,得其旌麾,還略陽,進軍圍興國。氐王千萬逃奔馬超,餘衆降。轉擊高平屠各,皆散走,收其糧穀牛馬。乃假淵節。) ''Sanguozhi'' vol. 9.
[16] 문서 (初,枹罕宋建因涼州亂,自號河首平漢王。太祖使淵帥諸將討建。淵至,圍枹罕,月餘拔之,斬建及所置丞相已下。淵別遣張郃等平河關,渡河入小湟中,河西諸羌盡降,隴右平。太祖下令曰:「宋建造為亂逆三十餘年,淵一舉滅之,虎步關右,所向無前。仲尼有言:『吾與爾不如也。』」) ''Sanguozhi'' vol. 9.
[17] 문서 (二十一年,增封三百戶,并前八百戶。還擊武都氐羌下辯,收氐穀十餘萬斛。太祖西征張魯,淵等將涼州諸將侯王已下,與太祖會休亭。太祖每引見羌、胡,以淵畏之。) ''Sanguozhi'' vol. 9.
[18] 문서 (會魯降,漢中平,以淵行都護將軍,督張郃、徐晃等平巴郡。太祖還鄴,留淵守漢中,即拜淵征西將軍。) ''Sanguozhi'' vol. 9.
[19] 문서 ([建安]二十三年,劉備軍陽平關,淵率諸將拒之,相守連年。) ''Sanguozhi'' vol. 9.
[20] 문서 ([建安]二十四年正月,備夜燒圍鹿角。淵使張郃護東圍,自將輕兵護南圍。) ''Sanguozhi'' vol. 9.
[21] 문서 (備挑郃戰,郃軍不利。淵分所將兵半助郃,為備所襲,淵遂戰死。) ''Sanguozhi'' vol. 9.
[22] 문서 (建安二十四年,於漢中定軍山擊夏侯淵。淵衆甚精,忠推鋒必進,勸率士卒,金鼓振天,歡聲動谷,一戰斬淵,淵軍大敗。) ''Sanguozhi'' vol. 36.
[23] 문서 (謚曰愍侯。) ''Sanguozhi'' vol. 9.
[24] 문서 (初,淵雖數戰勝,太祖常戒曰:「為將當有怯弱時,不可但恃勇也。將當以勇為本,行之以智計;但知任勇,一匹夫敵耳。」) ''Sanguozhi'' vol. 9.
[25] 문서 (淵妻,太祖內妹。) ''Sanguozhi'' vol. 9.
[26] 문서 (長子衡,尚太祖弟海陽哀侯女,恩寵特隆。衡襲爵,轉封安寧亭侯。) ''Sanguozhi'' vol. 9.
[27] 문서 (黃初中,賜中子霸,太和中,賜霸四弟爵皆關內侯。霸,正始中為討蜀護軍右將軍,進封愽昌亭侯,素為曹爽所厚。聞爽誅,自疑,亡入蜀。以淵舊勳赦霸子,徙樂浪郡。) ''Sanguozhi'' vol. 9.
[28] 문서 (世語曰: ... 淵弟三子稱,弟五子榮。) ''Shiy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9.
[29] 문서 (霸弟威,官至兖州刺史。 ... 威弟惠,樂安太守。 ... 惠弟和,河南尹。) ''Sanguozhi'' vol. 9.
[30] 문서 (从孙湛为其〈序〉曰:[稱]弟荣,字幼权。...。汉中之败,荣年十三,左右提之走,不肯,曰:‘君亲在难,焉所逃死!’乃奋剑而战,遂没阵。”) ''Wei Jin Shiyu'' annotation (citing Xiahou Zhan, grandson of [[Xiahou Wei]]) in ''Sanguozhi'', vol.9
[31] 문서 (初,建安五年,時霸從妹年十三四,在本郡,出行樵採,為張飛所得。飛知其良家女,遂以為妻,產息女,為劉禪皇后。) ''Weilue'' annotation in ''Sanguozhi'' vol. 9.
[32] 웹사이트 TOTAL WAR: THREE KINGDOMS WARLORD LEGENDS – CAO CAO https://www.totalwar[...] 2018-10-26
[33] 문서 「魏武軍策令」
[34] 문서 「武帝紀」214年正月
[35] 문서 「武帝紀」214年冬10月
[36] 사서 武帝紀 0215-03-01
[37] 사서 武帝紀 0000-11-01
[38] 사서 武帝紀 0000-12-01
[39] 사서 黄忠伝
[40] 사서 張既伝
[41] 사서 軍策令
[42] 사서 자치통감
[43] 사서 삼국지
[44] 사서 자치통감
[45] 사서 삼국지
[46] 사서 삼국지
[47] 사서 삼국지
[48] 사서 삼국지
[49] 사서 후한서
[50] 사서 삼국지
[51] 사서 위략
[52] 사서 후한서
[53] 사서 자치통감
[54] 사서 삼국지
[55] 사서 삼국지
[56] 사서 위무군책령
[57] 사서 삼국지
[58] 사서 위서
[59] 사서 위무군책령
[60] 사서 위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