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아담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아담스키는 독일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민 간 인물로, 1950년대 초 비행접시와의 만남을 주장하며 UFO 연구와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금성인과의 만남을 주장하며 사진을 공개하고, 여러 권의 저서를 출간하며 전 세계적으로 강연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과학적 근거 부족, 사진 조작 의혹, FBI 조사 등을 통해 비판받았으며, 그의 UFO 사진은 1930년대 랜턴을 이용한 조작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아담스키는 '콘택티' 운동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그의 이야기는 소설, 음악,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구나비치 출신 - 스티브 배넌
스티브 배넌은 미국의 미디어 경영자, 정치 전략가, 전 투자 은행가로, 골드만삭스 투자은행가, 브레이트바트 뉴스 회장을 거쳐 트럼프 대통령 캠프 최고경영자 및 백악관 수석 전략가 겸 대통령 고문으로 활동했으나 사임 후 브레이트바이트 뉴스로 복귀, 사기 혐의로 기소 후 사면, 의회 모독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러구나비치 출신 - 그레이엄 필립스
그레이엄 필립스는 영화, 드라마, 뮤지컬에서 활동하는 미국의 배우, 가수, 감독, 제작자로, 《에반 올마이티》, 《굿 와이프》 등에 출연했고 브로드웨이 데뷔 후 영화 감독 및 제작자로도 활동하며, 최근에는 《마블 스파이더맨 2》에서 해리 오스본 역을 맡았다. - 멕시코 혁명 관련자 - 에밀리아노 사파타
에밀리아노 사파타는 1879년 멕시코에서 태어나 농민들의 토지 권리를 위해 멕시코 혁명에 참여하여 남부 해방군을 이끌었고, 농민 자치 정부를 수립했으나 1919년 암살당했으며 멕시코 국민 영웅으로 존경받는다. - 멕시코 혁명 관련자 - 판초 비야
판초 비야는 멕시코 혁명의 주요 지도자이자 군인으로, 혁명에 참여하여 멕시코 북부를 장악하며 민중의 영웅으로 떠올랐으나, 이후 내전과 미국과의 무력 충돌, 암살 등으로 영웅과 악당 사이의 평가를 받는다. - 알링턴 국립묘지의 매장자 - 존 포스터 덜레스
존 포스터 덜레스는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국무장관을 지낸 미국의 변호사이자 외교관으로, 반공 정책을 추진하고 NATO 등 반공 동맹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강경한 외교 정책은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지만 국제 협력에도 기여했다. - 알링턴 국립묘지의 매장자 - 코트니 휘트니
코트니 휘트니는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참모 및 연합군 최고사령부 민정국장으로 활동하며 일본국 헌법 초안 작성에 참여한 인물이다.
조지 아담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예지 아담스키 |
출생 | 1891년 4월 17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브롬베르크(현 폴란드 비드고슈치) |
사망 | 1965년 4월 23일 |
사망지 | 미국 메릴랜드주 실버 스프링 |
안장지 | 알링턴 국립묘지 |
직업 | 자칭 "떠돌이 교사", 유에프오 연구가, 컨택티 |
알려진 이유 | 외계인과의 조우 주장 |
소속 단체 | 로열 오더 오브 티베트, 조지 아담스키 재단 |
배우자 | 메리 심버스키 (1917년 결혼, 1954년 사별) |
자녀 | 없음 |
참고 자료 | |
타임지 기사 | The Queen & the Saucers |
유튜브 영상 | Why do Japanese UFOs look so different? |
2. 초기 생애 및 배경
조지 아담스키는 어린 시절 폴란드계 이민자 가정에서 성장하여 미국으로 이주한 후, 다양한 직업을 거치며 성장했다. 1913년부터 1916년까지 군 복무를 했으며, 이후 여러 직업을 전전했다. 1917년에는 결혼을 하였으나, 자녀는 없었다. 1920년대부터 신지학 등의 오컬트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1930년대 초, 남부 캘리포니아에 거주하면서 라구나 비치에 "티베트 왕립 훈장"을 설립하고, "과학 철학 사원"에서 회의를 열었다.[7] 아담스키는 사원에서 "철학자"이자 교사로 활동했다.[10] "티베트 왕립 훈장"은 금주법 기간 동안 "종교적 목적"으로 와인을 제조하도록 정부 허가를 받았다. 그는 이 사업으로 많은 돈을 벌었으나, 1933년 금주법 폐지와 함께 사업은 쇠퇴했다.
1940년, 아담스키는 가족 및 친구들과 팔로마 산 근처 목장으로 이주하여 종교, 철학, 농업 연구에 전념했다. 1944년, 팔로마 산 기슭에 토지를 구입, 캠프장 '팔로마 가든스'와 식당을 지었다.[3][6][7] 이곳에서 그는 학생, 추종자, 관광객들에게 동양 철학과 종교를 강의했다.[11] 6인치 망원경을 보관하기 위한 천문대를 지었는데, 이 때문에 방문객들은 그를 팔로마 천문대 소속 천문학자로 오해하기도 했다.[12] 그는 "교수"로 불렸고, 학위를 소지한 것처럼 행동했으나, 실제로는 3학년 교육만 받았다.[14]
아담스키는 1899년부터 1903년까지(8세-12세) 티베트에서 달라이 라마에게 가르침을 받았다고 주장했다.[63] 그러나 토학회 운영 위원 미나카미 류타로는 당시 쇄국 정책을 펴던 티베트에 외국인, 특히 어린 아담스키가 입국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고 지적한다.[63]
2. 1. 폴란드 이민자 가정
조지 아담스키는 1891년 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의 브롬베르크에서 폴란드계 부모인 유제프 아담스키(1867–1937)와 프란치스카 아담스카(1862–1946) 사이에서 태어난 5명의 형제자매 중 한 명이었다.[6] 폴란드 이름은 '''예지 아담스키'''이다. 폴란드어의 "예지"는 영어의 "조지"에 해당한다.1893년, 아담스키가 두 살 때 그의 가족은 미국으로 이민하여 뉴욕주 덩커크에 정착했다.[6]
2. 2. 군 복무와 초기 경력
1913년부터 1916년까지 아담스키는 판초 비야 원정 중 미국-멕시코 국경에서 싸운 제13 미국 기병대 연대(K 부대)의 군인이었다.[6] 1917년, 아담스키는 메리 심버스키와 결혼했으나, 1954년 그녀가 사망할 때까지 자녀는 없었다.[8] 결혼 후 아담스키는 서부로 이주하여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유지 보수 작업을 하고, 오리건의 제분소와 캘리포니아의 콘크리트 공장에서 일했다.[6]2. 3. 신지학 및 오컬트와의 만남
1920년대에 아담스키는 신지학과 신신지학이라는 오컬트 종교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9] 1930년까지 아담스키는 캘리포니아 오컬트계에서 작은 인물이었으며, 기독교와 동양 종교를 개인적으로 혼합한 "보편적 진보적 기독교"와 "보편적 법칙"을 가르쳤다.3. UFO와의 만남
1946년 10월 9일, 유성우가 내리는 동안 아담스키와 그의 친구들은 팔로마 가든 캠프장에서 거대한 모선 형태의 물체를 목격했다고 주장했다.[6] 1947년 초, 아담스키는 팔로마 가든 상공에서 달을 가로지르는 담배 모양의 "모선" 사진을 찍었다고 주장했다.[6] 1947년 여름, 미국에서 처음으로 널리 알려진 UFO 목격담이 나온 후, 아담스키는 어느 날 저녁 팔로마 가든 상공을 184대의 UFO가 지나가는 것을 보았다고 주장했다.[15][16]
1949년, 아담스키는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UFO 강연을 시작했으며, "정부와 과학은 2년 전에 달 반대편에서 700피트 길이의 우주선을 레이더로 추적하여 UFO의 존재를 확인했다", "모든 행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다", "화성 사진은 화성의 운하가 지구상의 어떤 인간보다 훨씬 더 뛰어난 지능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것을 증명했다"는 등의 주장을 했다. 그러나 UFO 역사가들은 1950년대 초 아담스키의 주장이 과학적 증거에 반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17]
1950년 5월 29일, 아담스키는 하늘에서 편대 비행을 하는 6개의 미확인 물체를 찍은 사진을 찍었다고 주장했다. 이 사진은 1978년 그레나다에서 발행된 기념 우표에 묘사되었다.[6][18]
1952년 11월 20일, 아담스키는 모하비 사막에서 금성인 오르톤을 만나 텔레파시로 대화했으며, 핵실험에 대한 우려를 들었다고 주장했다. 1962년, 아담스키는 자신이 토성에서 열리는 행성 간 회의에 참석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 1963년에는 교황 요한 23세와 비밀 면담을 가졌고, "명예 황금 훈장"을 받았다고 주장했으나,[44] 이는 밀라노의 한 회사에서 만든 흔한 관광 기념품이었다.[45] 아담스키는 외계인들의 요청으로 교황을 만났으며, 교황의 장염을 치료하기 위해 액체 물질을 제공했다고 주장했다.[46] 이후에도 아담스키는 화성인과 토성인 등 다른 우주인을 만났다고 주장했다.
3. 1. 최초의 UFO 목격
1946년 10월 9일, 유성우가 내리는 동안 아담스키와 그의 친구들은 팔로마 가든 캠프장에서 거대한 모선 형태의 물체를 목격했다고 주장했다.[6] 1947년 초, 아담스키는 1946년에 팔로마 가든 상공에서 달을 가로지르는 담배 모양의 "모선" 사진을 찍었다고 주장했다.[6]3. 2. 금성인 오르손과의 만남
1952년 11월 20일, 아담스키는 친구들과 함께 캘리포니아 사막의 캘리포니아주 데저트센터 근처에서 하늘에 떠 있는 거대한 잠수함 모양의 물체를 보았다고 주장했다.[19] 그는 그 배가 자신을 찾고 있다고 믿고 친구들을 떠나 주요 도로에서 벗어났다. 얼마 후, 반투명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정찰선이 그에게 가까이 착륙했고, 오르톤[19]이라는 금성인이 내려 그를 찾았다고 한다. 아담스키와 함께 있던 사람들도 금성인 우주선을 보았으며, 그들 중 몇몇은 아담스키가 사막에서 누군가를 만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고 진술했다.[20][16]아담스키는 오르톤을 긴 금발과 구릿빛 피부를 가진 중간 키의 인간형으로 묘사했으며, 붉은 갈색 신발을 신고 있었다고 한다. 그는 오르톤이 텔레파시와 손짓을 통해 그와 소통했다고 말했다.[1][6][20][21]
대화 중에 오르톤은 핵전쟁의 위험에 대해 경고했으며, 아담스키는 "이 금성인의 존재는 큰 사랑과 이해의 지혜의 따뜻한 포옹과 같았다"고 썼다.[22] 아담스키는 오르톤이 사진 촬영을 거부하고 대신 빈 사진 판을 제공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아담스키는 오르톤에게 그것을 주었다고 주장했다.[6] 조지 헌트 윌리엄슨 (콘택티이자 아담스키의 동료) 또한 오르톤이 떠난 후 오르톤의 신발 자국 석고 주형을 만들 수 있었다고 주장했는데, 그 자국에는 오르톤의 메시지라고 아담스키가 말한 신비한 상징이 담겨 있었다.[23]
오르톤은 1952년 12월 13일에 아담스키에게 사진 판을 돌려주었고, 현상했을 때 이상한 새로운 상징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6][24] 이 만남에서 아담스키는 망원경을 사용하여 오르톤의 금성 정찰선 사진을 찍었다고 한다.
아담스키는 1952년 11월 20일 친구들, 조지 헌트 윌리엄슨[65] 부부와 함께 모하비 사막에서 거대한 원통형 비행체를 목격했다. 그는 비행체가 자신을 찾는다고 느껴 차를 몰아 인적이 드문 곳으로 이동했고, 은색 원반이 착륙했다고 한다. 아담스키는 혼자 걷다가 금성인 오르톤을 만나 몸짓과 텔레파시로 대화했으며, 핵실험에 대한 우려를 들었다. 윌리엄슨은 금성인의 발자국을 석고로 떴다.
1952년 12월 13일, 아담스키는 원반 사진 촬영에 성공했다. 이 비행접시는 "아담스키형"으로 불리며, 이후 전 세계에서 목격되고 사진이 촬영되었다.
3. 3. 아담스키형 UFO
아담스키가 UFO라고 주장하는 물체의 사진은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1952년에 그가 공개한 사진은 병아리 부화기 상단이나 가로등으로 다양하게 확인되었다.[51]아담스키는 영화 감독 세실 B. 드밀의 특수 효과 사진 작가인 페버렐 말리가 자신의 UFO 사진을 검토하고 그 안에서 "우주인"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말리 본인은 아담스키의 사진이 가짜라면 자신이 본 것 중 최고라고 말했다. 영국에서는 J. 아서 랭크 컴퍼니의 전문가 14명이 촬영된 물체가 진짜거나 실제 크기의 모형이라고 결론지었다.[52]
그러나 1955년 제임스 W. 모즐리는 말리와의 인터뷰에서 말리가 사진을 확대한 적도 없고, "우주인"을 발견한 적도 없으며, 그런 사람을 아는 사람도 없다고 밝혔다. 모즐리는 독일 로켓 과학자 발터 요하네스 리델과도 인터뷰했는데, 리델은 아담스키의 UFO 사진이 조작된 것이라고 말했다.[53] 리델은 UFO의 "착륙 지지대"가 100와트 GE 전구였으며, 그 위에 인쇄된 "GE" 로고를 보았다고 말했다.[53] 2012년, UFO 연구자 조엘 카펜터는 1930년대 가압 가스 랜턴의 반사갓이 아담스키의 접시 모양 물체의 주요 부분과 시각적으로 일치한다고 밝혔다.[54]

모즐리는 아담스키의 이야기에서 다른 결함들도 발견했다. 그는 아담스키가 1952년 11월 20일에 오르톤과 처음 만났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인터뷰했고, 이 증인들이 아담스키의 주장과 모순된다는 것을 발견했다.[55] 앨 베일리는 UFO를 보거나 아담스키가 묘사한 외계인을 보지 못했다고 부인했다. 제럴드 베이커는 아담스키가 오르톤과 만났다고 주장하는 날 며칠 전 "사막에서 일어날 일"에 대한 녹음된 이야기를 엿들었다고 말하며, 아담스키의 만남이 "계획된 작전"이라고 말했다. 베이커는 아담스키가 UFO 강의 수수료를 청구하여 돈을 벌 수 있다고 말하면서 사기를 폭로하지 않도록 설득하려 했다고 덧붙였다.
모즐리는 또 다른 접촉자인 조지 헌트 윌리엄슨이 UFO나 아담스키의 오르톤과의 만남을 목격하지 못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르마 베이커가 거짓말을 했다고 비난하자, 윌리엄슨은 "가끔 입장을 얻기 위해서는 뒷문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모즐리는 보고서에서 아담스키의 이야기가 진실성과 진정성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할 만큼 충분한 결함을 포함하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56]
3. 4. 다른 행성에서 온 외계인들
1952년 11월 20일, 아담스키는 친구들과 모하비 사막에 있었다. 그곳에서 거대한 원통형 비행체가 나타났고, 거기에서 발진한 은색 원반이 착륙했다. 아담스키는 혼자 걷다가 한 인간과 조우했는데, 몸짓과 텔레파시로 그가 금성인이며, 핵실험에 대한 우려를 전한다는 것을 이해했다.[65] 이때 동료 조지 H. 윌리엄슨은 금성인의 발자국을 석고로 떴다.[65]1952년 12월 13일 아담스키는 원반 사진 촬영에 성공했다.[66] 이때 촬영된 비행접시는 "아담스키형"으로 불린다.
이후에도 아담스키는 화성인과 토성인 등 다른 우주인을 만났다고 주장했다.
4. 저술 및 강연 활동
조지 아담스키는 1953년 『비행접시 실견기』를 발표하여 비행접시를 만났고 사진을 촬영했다고 주장하며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다. 이후에도 『비행접시 동승기』(1955년), 『비행접시의 진상』(1961년) 등을 발표하며 전 세계를 돌며 강연 활동을 펼쳤다.[43]
1949년에는 우주 여행을 다룬 SF 소설 『우주의 파이어니어』를 출판했는데, SF 작가 야마모토 히로는 이 소설의 내용이 1955년에 발표한 『비행접시 동승기』의 스토리와 매우 흡사하다고 지적하며, 아담스키의 체험담이 팔리지 않은 SF 소설의 재탕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아담스키의 지지자인 쿠보타 하치로는 아담스키가 예지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상한 일이 아니라고 옹호했다.
1959년에는 국제적인 그룹 활동(GAP)을 창시했다. GAP는 전 세계 사람들이 UFO의 진상에 대해 알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관점에 기초하여 창시되었다. 일본에서도 쿠보타 하치로에 의해 "일본 GAP"이 설립되어 활동이 이루어졌다.
1959년 5월, 아담스키는 율리아나 여왕의 초대를 받아 여왕과 만남을 가졌다. 이 만남은 유나이티드 프레스 인터내셔널 및 로이터 통신과 같은 통신사들을 통해 전 세계 신문에 보도되었다.[43] 네덜란드 항공 협회 회장 코르넬리스 콜프는 "여왕은 이 모든 주제에 대해 놀라운 관심을 보였다"고 말했지만, 네덜란드 왕립 공군 참모총장 하예 샤퍼 중장은 "그 남자는 병적인 환자다"라고 비판했다.[3] 잡지 ''타임''은 암스테르담 신문 ''데 폴스크란트''의 보도를 인용하여 "율리아나 여왕의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약점 때문에 다시 헤드라인에 올랐다"고 보도했다.[42]
아담스키는 루나 3호가 촬영한 달의 뒷면 사진을 조작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4. 1. 주요 저서
조지 아담스키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보이지 않는 바다(The Invisible Ocean)》 (1932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출판되었다.
- 《질의 응답(Questions and Answers)》 (1936년): 티베트 왕립 협회에서 편집하고 G. 아담스키 교수가 엮었으며, 라구나 비치에서 출판되었다. '극동의 거장들의 지혜(Wisdom of the Masters of the Far East)' 시리즈의 제1권이다.
- 《우주의 선구자: 달, 화성, 금성 여행(Pioneers of Space: A Trip to the Moon, Mars and Venus)》 (1949년): 레너드-프리필드(Leonard-Freefield)에서 출판한 첫 번째 판본이다.
- 《비행접시가 착륙했다(Flying Saucers Have Landed)》 (1953년): 데스몬드 레슬리와 공저. 뉴욕의 브리티시 북 센터(British Book Centre)에서 출판되었다. 1970년에는 개정 및 확대판이 런던의 네빌 스피어맨(Neville Spearman)에서 출판되었다.
- 《우주선 내부(Inside the Space Ships)》 (1955년): 뉴욕의 아벨라드-슈만(Abelard-Schuman)에서 출판되었다. 1967년에는 《비행접시 내부(Inside the Flying Saucers)》라는 제목으로 페이퍼백 라이브러리(Paperback Library)에서 재출판되었다.
- 《비행접시 작별(Flying Saucers Farewell)》 (1961년): 뉴욕의 아벨라드-슈만(Abelard-Schuman)에서 출판되었다. 1967년에는 《비행접시 미스터리의 배후(Behind the Flying Saucer Mystery)》라는 제목으로 페이퍼백 라이브러리(Paperback Library)에서 재출판되었다.
- 《우주 철학(Cosmic Philosophy)》 (1972년): 원래 1961년에 G. 아담스키가 출판했으며, 1972년에 프리먼의 파인 힐 프레스(Pine Hill Press)에서 재출판되었다.
다음은 일본어로 번역된 조지 아담스키의 주요 저서 목록이다.
원제 | 번역 제목 | 출판 연도 | 출판사 | 시리즈 | ISBN |
---|---|---|---|---|---|
Pioneers of space | 地球人よ、ひとつになって宇宙へ目を向けなさい! UFO基本教書 | 2011년 8월 | 徳間書店 | 「超知」ライブラリー 069 | 978-4-19-863233-5 |
Inside the space ships | 空飛ぶ円盤同乗記 | 1957년 | 高文社 | ベスト・セラーズ・シリーズ | |
UFO同乗記 | 1975년 | 角川書店 | 角川文庫 | ||
空飛ぶ円盤同乗記 | 1998년 6월 | 角川春樹事務所 | ボーダーランド文庫 26 | 4-89456-420-3 | |
精神感応――宇宙語の理論と応用 | 1960년 | 宇宙友好協会 | 宇宙シリーズ 第1期 第1巻 | ||
Flying Saucer Farewell | 空飛ぶ円盤の真相 | 1962년 | 高文社 | ||
精神感応 無言の会話術 | 1963년 | 文久書林 | |||
空飛ぶ円盤とアダムスキ 死と空間を越えて | 1969년 | 高文社 | |||
rowspan="2" | | 生命の科学 | 1970년 | 文久書林 | ||
宇宙からの訪問者 偉大な惑星人との会見記 | 1976년 | ユニバース出版社 | ユニバースUFOシリーズ | ||
宇宙からの訪問者 偉大な惑星人との会見記 | 1981년 5월 | ユニバース出版社 | 4-89665-003-4 | ||
rowspan="2" | | 宇宙哲学 | 1976년 | たま出版 | ||
アダムスキーの宇宙哲学 空飛ぶ円盤の惑星文明とは | 1984년 11월 | たま出版 | 4-88481-003-1 | ||
アダムスキーの宇宙維新 | 1991년 2월 | たま出版 | 4-88481-239-5 | ||
UFOコンタクティー ジョージ・アダムスキー | 2010년 12월 | 中央アート出版社 | 978-4-8136-0618-5 |
구 아담스키 전집 (분큐 쇼린, 1983년 ~ 1984년)
권수 | 제목 | 출판 연월 | ISBN |
---|---|---|---|
1 | 宇宙からの訪問者 | 1983년 6월 | 4-89337-803-1 |
2 | UFO 問題の真相 | 1983년 9월 | 4-89337-804-X |
3 | UFO와 아담스키 | 1983년 11월 | 4-89337-805-8 |
4 | 宇宙 철학 | 1983년 12월 | 4-89337-806-6 |
5 | 텔레파시 개발법 | 1984년 1월 | 4-89337-801-5 |
6 | 생명의 과학 | 1984년 4월 | 4-89337-802-3 |
7 | 아담스키 논설집 | 1984년 4월 | 4-89337-807-4 |
신 아담스키 전집 (중앙 아트 출판사, 1990년 ~ 2004년)
권수 | 제목 | 출판 연월 | ISBN |
---|---|---|---|
1 | 제2혹성으로부터의 지구 방문자 | 1990년 4월 | 4-88639-584-8 |
제2혹성으로부터의 지구 방문자 (개정판) | 1991년 7월 | 4-88639-584-8 | |
2 | 초능력 개발법 | 1990년 5월 | 4-88639-585-6 |
3 | 21세기/생명의 과학 | 1990년 6월 | 4-88639-586-4 |
4 | UFO 문답 100 | 1990년 8월 | 4-88639-587-2 |
5 | 금성·토성 탐방기 | 1990년 10월 | 4-88639-588-0 |
6 | UFO의 수수께끼 | 1990년 11월 | 4-88639-589-9 |
7 | 21세기의 우주 철학 | 1990년 12월 | 4-88639-590-2 |
8 | UFO·인간·우주 | 1991년 1월 | 4-88639-591-0 |
9 | UFO의 진상 | 1991년 4월 | 4-88639-610-0 |
10 | 초인 조지 아담스키 | 1991년 8월 | 4-88639-611-9 |
11 | 육체를 넘어 대우주와 일체화하는 방법 | 1997년 8월 | 4-88639-811-1 |
12 | 우주의 법칙 | 2004년 12월 | 4-8136-0256-8 |
별권 | UFO――우주로부터의 완전한 증거 | 1991년 7월 | 4-88639-612-7 |
4. 2. 전 세계 순회 강연
조지 아담스키는 전 세계를 순회하며 강연을 진행했다. 강연 내용은 주로 그가 주장하는 UFO 목격담과 외계인과의 만남에 대한 것이었다. 그의 강연은 많은 청중의 관심을 끌었으며, 일부는 열광적인 지지를 보내기도 했다. 언론 또한 그의 강연에 주목했으며, 관련 보도가 이어졌다.4. 3. 네덜란드 율리아나 여왕과의 만남
1959년 5월, 네덜란드의 율리아나 여왕은 아담스키를 헤이그 궁전으로 초대하여 자신의 비행접시 경험에 대해 논의하도록 했다.[1] 이 만남은 언론에 대서특필되었으며, 여왕의 아담스키 초청은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1] 암스테르담에서 발행되는 《데 폴크스크란트》는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De redactie van het weekblad, dat overigens in deze aangelegenheid volkomen achter de Koningin staat, is van mening, dat het beter ware geweest, wanneer Hare Majesteit geen audiëntie had verleend aan deze fantast, die met zijn praatjes en zijn boeken reeds zovelen in verwarring heeft gebracht. Wij betreuren het ten zeerste, dat aan deze onzin een schijn van geloofwaardigheid is gegeven, doordat de heer Adamski audiëntie heeft gekregen bij de Koningin.||본지의 편집진은 이 문제에 관해 전적으로 여왕 폐하의 입장을 지지하지만, 폐하께서 이 허풍선이이자 이미 많은 사람들을 혼란에 빠뜨린 책과 이야기로 유명한 이 자에게 알현을 허락하지 않으셨더라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담스키 씨가 여왕 폐하를 알현함으로써 이 터무니없는 이야기에 신빙성이 부여된 것처럼 보이는 상황이 매우 유감스럽습니다.nl
네덜란드 UFO 연구 단체 회장은 여왕과의 만남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고, 아담스키는 여왕의 초청을 받았다는 사실에 대해 일부에서는 그가 "잘 선별된" 인물이었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1] 런던 주재 네덜란드 대사관 대변인은 "여왕은 UFO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UFO를 믿는 사람들에게 관심이 있다"라고 말하며 상황을 진화하려 했다.[1]
영국 왕실도 아담스키와 관련된 논란에 휘말렸다. 1954년, 영국 왕실의 에드워드 8세는 아담스키의 책을 읽고 그와 만나고 싶어했지만, 영국 정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 루이스 마운트배튼 경은 개인 비서에게 아담스키와 비밀리에 만날 수 있는지 문의했지만, 결국 만나지 못했다.[1]
5. 비판과 논란
조지 아담스키의 주장은 여러 면에서 비판과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그의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고, 사진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다.
아담스키는 금성인, 화성인, 토성인 등과 만났으며, 달의 뒷면에는 도시, 계곡, 초원 등이 있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1959년 소련의 루나 3호가 촬영한 달 뒷면 사진을 조작이라고 비난했다.[49] 그러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아폴로 계획과 여러 탐사 결과는 달에 생명체나 대기가 없음을 보여주었고, 금성 역시 생명체가 살 수 없는 환경임이 밝혀졌다. 그의 "태양 표면은 뜨겁지 않다" 등의 발언 역시 현대 과학의 관측 결과와 다르다.
1952년 11월 20일, 아담스키는 모하비 사막에서 금성인과 조우했다고 주장하며, 동료 조지 헌트 윌리엄슨이 금성인의 발자국을 석고로 떴다고 했다. 하지만 석고 세트를 소지한 경위 등 의문점이 많았다. 다음 달인 12월 13일에는 "아담스키형"으로 불리는 원반 사진을 촬영했다고 주장했지만, 이 사진은 반사 망원경 렌즈로 촬영되어 주변부가 흐릿하고, 일부 서적에서는 수정(보정)된 흔적이 발견되어 논란이 되었다.
1965년 메릴랜드주에서 촬영한 8mm 영상은 코닥사의 광학물리학자 윌리엄 셔우드에 의해 실제 촬영 영상으로 감정되었지만[66], 아담스키가 촬영했다고 주장하는 다른 UFO 사진들은 병아리 부화기 상단이나 가로등으로 확인되었다.[51] 또한, UFO 연구가 마시코 유지는 1965년 8mm 필름 속 원반이 비스듬히 반으로 자른 모형을 투명판에 붙여 촬영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담스키가 우주인과 만났을 때 다른 목격자들은 우주인을 확인하지 못했고, 원반도 빛으로만 보였다. 제롤드 베이커는 자신이 원반 사진을 촬영하지 않았다고 증언했으며,[67] 아담스키는 베이커에게 사진 덕분에 유명해질 수 있다고 설득했지만 거절당했다. 아담스키의 비서 루시 맥기니스는 그런 대화가 없었다고 부정했지만, 베이커는 아담스키가 우주인 접촉 계획을 말하는 소리가 녹음된 테이프를 들었다고 주장했다.
1952년 아담스키가 촬영한 원반 사진은 1930년대 미국 Sears사가 판매한 랜턴 (Model L46S)을 이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랜턴의 걸쇠를 부착하는 사각형 구멍과 원반 선체의 구멍 모양과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는 등 다수의 일치점이 발견되었다.
5. 1. 과학적 근거 부족
1950년대 초, 아담스키가 금성, 화성 등 태양계 행성들의 표면 상태와 거주 가능성에 대해 주장했을 때, 이는 이미 과학적 증거와 상반되는 것이었다.[17] '주류' UFO 연구가들은 아담스키의 주장을 사기라고 여겼으며, 그의 이야기가 진지한 UFO 연구를 방해한다고 비판했다.[17]아담스키는 자신이 만난 외계인들이 금성, 화성, 토성 등 지구 태양계 행성에서 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가 언급한 행성들은 열악한 환경 조건 때문에 인간이 생존할 수 없다. 특히 아담스키가 처음 만났다고 주장한 금성은 표면 기압이 지구의 92배에 달하고, 황산으로 추정되는 독성 물질이 비처럼 내리며, 대기는 거의 이산화탄소로 구성되어 산소는 거의 없고, 평균 표면 온도는 464°C에 이른다.
아담스키는 달의 뒷면을 비행접시로 여행하며 도시, 나무, 눈 덮인 산을 보았다고 주장했고,[49] 1959년 소련의 달 탐사선 루나 3호가 촬영한 사진이 조작되었다고 주장했다.[49] 그러나 과학적 증거와 미국 우주 비행사들의 달 탐사 결과는 달에 생명체와 대기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아담스키는 자신의 저서에서 금성, 화성 등 태양계 행성들을 여행했으며, 그곳에 모두 휴머노이드 생명체가 살고 있다고 주장했다. UFO 역사학자 제롬 클라크는 아담스키 지지자들이 다른 태양계 행성에 대한 암호라고 주장했지만, 아담스키의 저술에는 이를 뒷받침할 내용이 없고 반대 증언이 많다고 지적했다.
아담스키의 1955년 저서 ''우주선 내부''는 UFO를 타고 태양계를 여행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는데, 일부 비평가들은[50] 1949년 과학 소설 작가 루시 맥기니스가 쓴 ''우주의 개척자들''을 "리메이크"한 것으로 본다.[45] 비평가들은 ''우주의 개척자들''이 ''우주선 내부''에서 묘사된 우주 여행과 매우 유사한 가상의 태양계 여행을 묘사한다고 지적했다.[45]
아담스키는 1899년부터 1903년까지(8세~12세) 혼자 티베트에 유학하여 달라이 라마에게 가르침을 받았다고 주장했다.[63] 그러나 토학회 운영 위원 미나카미 류타로는 당시 티베트가 쇄국 정책을 펴 외국인 입국이 어려웠고, 1900년 티베트에 입국한 가와구치 에카이의 『티베트 여행기』에도 백인 소년 유학 기록이 없다고 지적했다.[63] 가와구치 에카이조차 티베트어 습득 후 티베트 승려로 위장해 입국했지만, 여러 번 조난당할 뻔했기에 8세 백인 소년의 단독 티베트 입국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63]
아담스키는 1936년 ''Wisdom of the masters of the Far East''(직역: 극동 현자의 지혜)라는 책을 출판했다. 미나카미는 이 책이 동양 철학이나 티베트 불교 관련 책으로 보이지만, 내용에 티베트 불교 고유 신 이름이 없고, 예수 관련 질문이 있어 『극동 현자의 지혜』로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64]
1952년11월 20일, 아담스키는 모하비 사막에서 금성인과 조우했다고 주장했다. 동료 조지 헌트 윌리엄슨은 금성인 발자국을 석고로 떴지만, 석고 세트 소지 경위 등 의문이 많다.
1952년12월 13일, 아담스키는 원반 사진 촬영에 성공했고, 이 비행접시는 "아담스키형"으로 불리며 전 세계에서 목격되었다. 그러나 촬영 사진은 수정(보정) 흔적이 있어 논란이 되었다. 1965년 메릴랜드주에서 촬영된 8mm 영상은 코닥사 광학물리학자 윌리엄 셔우드에 의해 실제 촬영 영상으로 감정되었다.[66]
아담스키가 우주인과 회견했을 때, 다른 목격자들은 우주인을 확인하지 못했고, 원반도 빛으로만 보였다. 제롤드 베이커는 자신이 원반 사진을 촬영하지 않았다고 증언했다.[67] 아담스키는 베이커에게 사진 덕에 유명해질 수 있다고 설득했지만, 베이커는 거부했다. 아담스키와 비서 루시 맥기니스는 그런 대화가 없었다고 부정했다. 베이커는 아담스키가 사막에서 우주인 접촉 전 계획을 말하는 소리가 녹음된 테이프를 들었다고 주장했지만, 아담스키는 베이커가 접촉 후에 처음 왔다고 반박했다. 맥기니스는 베이커가 사진을 촬영했다고 증언했다.
아담스키는 금성인, 화성인, 토성인 등 다른 우주인을 만났다고 주장했다. 달을 일주하며 계곡, 도시, 초원을 달리는 동물을 보았고, 금성에서 자신의 옛 아내의 환생한 소녀를 만났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아폴로 계획과 소련, 유럽의 달 탐사에서 달 뒷면 도시는 발견되지 않았고, 금성 문명 존재도 부정되었다. "태양 표면은 뜨겁지 않다", "우주 공간에서 유성이 날아다닌다", "우주에서 지구는 하얗게 빛난다" 등의 발언은 NASA 등의 발표 및 현대 과학 관측 결과와 다르다.
5. 2. 사진 조작 의혹
아담스키가 UFO라고 주장하는 물체의 사진은 많은 조사를 받았다. 1952년에 그가 자주 공개했던 사진은 병아리 부화기 상단이나 가로등으로 다양하게 확인되었다.[51] 아담스키는 영화 감독 세실 B. 드밀의 최고의 특수 효과 사진 작가인 J. 페버렐 말리가 자신의 UFO 사진을 검토하고 그 안에서 "우주인"을 발견했다고 주장했지만, 말리 본인은 아담스키의 사진이 가짜라면 자신이 본 것 중 최고라고 선언했을 뿐, 사진을 분석하거나 "우주인"을 발견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53]1955년, 제임스 W. 모즐리는 독일 로켓 과학자 발터 요하네스 리델과 인터뷰했는데, 리델은 아담스키의 UFO 사진을 분석한 결과 조작된 것이라고 말했다.[53] 리델은 UFO의 "착륙 지지대"가 100와트 GE 전구였으며, 그 위에 인쇄된 "GE" 로고를 보았다고 증언했다.[53] 2012년, UFO 연구자 조엘 카펜터는 1930년대 가압 가스 랜턴의 반사갓이 아담스키의 접시 모양 물체의 주요 부분과 시각적으로 일치한다고 밝혔다.[54]
모즐리는 아담스키의 주장에 대한 조사에서 다른 결함들도 발견했다. 아담스키가 1952년 11월 20일에 오르톤과 처음 만났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인터뷰한 결과, 증언들이 아담스키의 주장과 모순된다는 것을 확인했다.[55] 앨 베일리는 UFO를 보거나 아담스키가 묘사한 외계인을 보지 못했다고 부인했다. 제럴드 베이커는 아담스키가 오르톤과 만났다고 주장하는 날 며칠 전에 "사막에서 일어날 일"에 대한 녹음을 엿들었고, 아담스키의 만남이 "계획된 작전"이라고 말했다.
조지 헌트 윌리엄슨은 UFO나 아담스키의 오르톤과의 만남을 목격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르마 베이커가 거짓말을 했다고 비난하자, 윌리엄슨은 "가끔 입장을 얻기 위해서는 뒷문으로 가야 한다"는 수수께끼 같은 말로 답했다. 모즐리는 보고서에서 아담스키의 이야기가 진실성과 진정성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할 만큼 충분한 결함을 포함하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56]
1952년 12월 13일 아담스키는 원반 사진 촬영에 성공했는데, 이때 촬영된 비행접시는 "아담스키형"으로 불리며 전 세계에서 목격 및 촬영되었다. 그러나 이 사진은 반사 망원경 렌즈로 직접 촬영한 것이라 주변부가 흐릿하고, 영국판과 일본판 서적에 게재된 사진은 수정 흔적이 있어 논란이 되었다. 1965년 메릴랜드주에서 촬영된 아담스키의 우주선 8mm 영상은 코닥사의 광학물리학자 윌리엄 셔우드에 의해 8미터 정도의 물체를 실제로 촬영한 영상으로 감정되었다.[66]
하지만, 제롤드 베이커는 자신이 아담스키의 집에서 원반 사진을 촬영했다는 주장에 대해 "마음대로 이름을 사용했다. 원반 같은 건 촬영하지 않았다"고 증언했다.[67] 아담스키는 베이커에게 편지를 보내, 사진 덕분에 유명해지고 강연을 할 수 있다고 설득하려 했지만, 베이커는 거부했다.[68]
아담스키가 1952년에 촬영한 원반 사진은 1930년대에 미국 Sears사가 판매한 랜턴 (Model L46S)을 이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랜턴의 걸쇠를 부착하는 사각형 구멍과 원반 선체의 구멍 모양과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는 등 다수의 일치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1965년에 촬영된 8mm 필름의 원반 역시 비스듬히 반으로 자른 모형을 투명판에 붙여 촬영한 것이라고 UFO 연구가 마시코 유지가 지적했다.
6. 아담스키의 유산과 영향
조지 아담스키는 UFO 연구와 콘택티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1950년대부터 자신이 외계인과 접촉하고 UFO를 타고 우주여행을 했다고 주장하며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의 주장은 당시 대중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UFO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아담스키는 1965년 심장 마비로 사망하여 알링턴 국립묘지에 묻혔다.[6][47][48] 그는 죽기 전까지 강연과 저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알리고 UFO의 진실을 밝히려 했다. TIME지는 그를 "캘리포니아의 괴짜(a crackpot from California)"라고까지 말했지만,[47] 전 세계의 비행 접시 신봉자들에게 많은 지지를 받았다.
아담스키의 활동은 UFO 연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의 주장은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지만, UFO 현상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관련 연구를 촉진하는 역할을 했다. 또한, 그는 콘택티 운동의 선구자로서, 외계인과의 접촉을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의 사후에도 영향력은 계속되었다. 1959년 그가 창시한 GAP()은 전 세계 사람들이 UFO의 진상에 대해 알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관점에 기초하여 창시되었다. 일본에서도 아담스키를 신봉하는 쿠보타 하치로에 의해 "일본 GAP"이 설립되어 기관지 발행이나 시찰 여행을 비롯한 활동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아담스키는 루나 3호가 달의 뒷면 사진을 처음 촬영했을 때, 조작된 사진이라고 비난하는 등 논란이 있었다.
6. 1. 콘택티 운동의 선구자
아담스키의 주장은 수십 년 동안 많은 비평가와 회의론자들에 의해 조사되었다. 아담스키는 1950년대에 자신이 만난 외계인들을 "다른 세계에서 온 인간"으로 묘사했으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피부가 희고 머리색이 밝은 휴머노이드로, 이후 노르딕 외계인으로 불리게 되었다. 아담스키는 자신의 저서에서 이 "외계인 인간"들이 금성, 화성, 그리고 지구 태양계의 다른 행성들에서 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가 언급한 행성들은 열악한 환경 조건 때문에 인간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곳이다. 아담스키가 처음 만났다고 주장한 외계인은 금성에서 왔지만, 금성의 표면 기압은 지구의 92배이고, 황산으로 추정되는 유독 물질이 비처럼 내리는 구름이 있으며, 대기는 거의 전부 이산화탄소로 구성되어 있고, 산소는 거의 없으며, 금성의 평균 표면 온도는 464°C이다. 그의 책 중 하나에서 아담스키는 비행접시를 타고 달의 뒷면으로 여행을 갔으며, 도시, 나무, 눈 덮인 산을 보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1959년 소련의 달 탐사선 루나 3호가 촬영한 달 뒷면의 첫 번째 사진이, 그가 본 것을 숨기기 위해 생명이 없고 황량한 표면을 묘사하도록 조작되었다고 주장했다.[49] 그러나 모든 과학적 증거와 이후 미국 우주 비행사들의 달 탐사 결과는 달 전체 표면이 생명체가 없고 대기가 없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었다.아담스키는 자신의 저서에서 금성, 화성, 그리고 지구 태양계의 다른 행성들을 여행했으며, 그들이 모두 휴머노이드 생명체를 지탱할 수 있다고 분명히 밝혔다. UFO 역사학자 제롬 클라크는 "일부 아담스키 지지자들은 금성, 화성, 토성 등이 다른 태양계의 행성에 대한 암호라고 주장했지만, 아담스키의 공개 저술에는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할 만한 내용이 없고, 반대되는 증언이 상당하다"고 언급했다.
아담스키의 1955년 저서 ''우주선 내부''는 그가 UFO를 타고 지구 태양계를 여행했다고 주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일부 비평가들은[50] 그가 1949년에 과학 소설 작가 고스트라이터인 루시 맥기니스가 아담스키를 위해 썼던 ''우주의 개척자들''을 "리메이크"한 것으로 간주한다. 비평가들은 이 책이 아담스키가 ''우주선 내부''에서 묘사한 우주 여행과 매우 유사한 가상의 태양계 여행을 묘사한다고 지적했다.[45]
6. 2. UFO 신드롬과 대중문화
아서 C. 클라크는 자신의 소설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3001》에서 UFO 연구가들을 '아담스키 병'을 앓는다고 언급했다.[1] 아담스키는 데이비드 하인과 셰이키 케인의 작품인 《방탄 관 - 발굴》 4호에 잠깐 등장한다.[2] 음악가 아담스키는 UFO 애호가였던 아담스키의 성을 예명으로 사용했다.[3]이외에도 아담스키의 이름이나 그가 주장했던 UFO의 형태는 여러 대중문화에서 소재로 사용되었다.
- 롤플레잉 게임 《헌터: 더 비질》에서, 테스크 포스 VALKYRIE는 외계인 및 기타 "초자연적인 존재"에 대한 허위 정보를 생산하고 유포하여 그러한 존재의 존재를 숨기는 데 전념하는 Operation ADAMSKI라는 하위 그룹을 포함한다.[4]
- 《별의 커비》에서 플레이어 캐릭터는 아담스키식 UFO와 유사한 형태로 변신할 수 있다.[5]
- 《록맨 9》에는 아담스키라는 이름의 작은 UFO 기반 적이 등장한다.[6]
- 게임 《마계전기 디스가이아》의 선택적 "프리니 해설 모드"에서 해설자는 아담스키 UFO를 언급한다.[7]
- 《트랜스포머》 장난감 라인에서 트랜스포머 코스모스 (트랜스포머)는 아담스키 스타일의 하우네부 접시 모양으로 변신한다. 일본 장난감은 심지어 "Adams"를 이름으로 사용한다.[8]
- 타워 디펜스 게임 《냥코 대전쟁》에서 지역 22의 외계인 테마 레벨은 "아담스키 타입"이라고 불린다.[9]
- 아담스키는 스쿠터의 앨범 《The Ultimate Aural Orgasm》의 "U.F.O. 현상"이라는 노래에서 언급된다.[10]
- 조지 아담스키의 대역인 찰스 칸딘스키는 J. G. 발라드의 1963년 단편 소설 《금성 사냥꾼》에 등장하며, 이는 컬트적 신념의 전이를 묘사한다.[11]
7.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조지 아담스키의 주장은 대한민국에도 소개되어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1959년, 아담스키를 신봉하던 쿠보타 하치로에 의해 "일본 GAP"이 설립되었는데, 이는 "알리는 운동"이라는 의미의 세계적인 그룹 활동(GAP, International Get Acquainted Program영어)의 일환이었다. GAP는 전 세계 사람들이 UFO의 진상에 대해 알아야 한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창시되었다.[1] 일본 GAP는 기관지를 발행하고 시찰 여행을 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1]
쿠보타 하치로는 아담스키의 SF 소설 『우주의 파이어니어』와 그의 체험담을 담은 『비행 접시 동승기』의 내용이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아담스키가 예지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상한 일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아담스키를 옹호했다.[1] 이러한 주장은 한국 사회에 UFO 신드롬을 불러일으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
참조
[1]
문서
Zinsstag & Good 1983
[2]
문서
Peebles
[3]
간행물
The Queen & the Saucers
https://web.archive.[...]
2007-04-27
[4]
웹사이트
Profile
https://www.gutenber[...]
2017-06-08
[5]
웹사이트
Why do Japanese UFOs look so different?
https://www.youtube.[...]
2021-04-10
[6]
뉴스
Palomar campground expanding its universe
https://web.archive.[...]
2007-04-27
[7]
문서
Solomon 1998
[8]
문서
Clark
[9]
웹사이트
George Adamski
https://web2.ph.utex[...]
[10]
문서
Peebles
[11]
문서
Peebles
[12]
문서
Moseley
[13]
문서
Moseley
[14]
문서
Peebles
[15]
문서
Clark
[16]
웹사이트
George Adamski Got Famous Sharing His UFO Photos and Alien 'Encounters'
https://www.history.[...]
2024-01-09
[17]
문서
Clark
[18]
웹사이트
Grenadas UFO Stamps
http://ufo_stamps.tr[...]
2007-04-28
[19]
문서
Peebles
[20]
뉴스
Common sense abducted
https://www.telegrap[...]
2007-04-27
[21]
문서
Laycock, et al. 1989
[22]
문서
Clark
[23]
문서
Peebles
[24]
웹사이트
George Adamski and the Flying Saucers from Venus
https://archive.toda[...]
2007-04-27
[25]
뉴스
Sir Patrick Moore's Irish UFO film identified - BBC News
https://www.bbc.com/[...]
2015-12-21
[26]
Youtube
Hesemann, Michael
https://www.youtube.[...]
2017-07-02
[27]
서적
Desmond Leslie: The Biography of an Irish Gentleman
Lilliput Press
[28]
서적
The Flyingsaucerers: A Social History of UFOlogy
Alternative Albion
[29]
웹사이트
Desmond Leslie
https://www.telegrap[...]
2001-03-20
[30]
Obituary
Desmond Leslie
https://www.telegrap[...]
2013-10-25
[31]
문서
Peebles
[32]
문서
Peebles
[33]
문서
Peebles
[34]
문서
Clark
[35]
문서
Peebles
[36]
웹사이트
Gray Barker Papers
http://www.debunker.[...]
[37]
문서
Moseley & Pflock
[38]
문서
Moseley & Pflock
[39]
문서
Peebles
[40]
문서
Peebles
[41]
문서
Peebles
[42]
잡지
The Netherlands: The Queen & the Saucers
http://www.time.com/[...]
1959-06-01
[43]
문서
Peebles
[44]
웹사이트
About George Adamski
http://www.gafintl-a[...]
George Adamski Foundation
2007-05-01
[45]
웹사이트
Why I can say that Adamski was a Liar - SkepticReport
http://www.skepticre[...]
2013-10-25
[46]
웹사이트
The Omega Secret
http://www.ufodigest[...]
Dirk Vander Ploeg
2007-04-30
[47]
문서
Clark
[48]
웹사이트
Arlington National Cemetery
https://ancexplorer.[...]
[49]
웹사이트
Spirits in the Sky
http://www.nationalr[...]
National Review
2003-01-17
[50]
간행물
Why I can say that Adamski was a Liar
http://www.skepticre[...]
Claus Flodin Larsen
2005-05-01
[51]
문서
Wilhelmsen 2008
[52]
문서
Zinsstag & Good 1983
[53]
문서
Moseley & Pflock
[54]
웹사이트
Preliminary Notes on the Adamski Scout Ship Photos
http://www.beamsinve[...]
2017-06-08
[55]
문서
Peebles
[56]
문서
Peebles
[57]
문서
後の未確認飛行物体
[58]
문서
皆神
[59]
문서
ピーブルズ
[60]
문서
と学会
[61]
문서
SF小説
[62]
문서
英語版wikipediaより
[63]
문서
皆神
[64]
문서
皆神
[65]
문서
後に『宇宙語、宇宙人』を書いたコンタクティー。
[66]
문서
Zinsstag
[67]
문서
ピーブルズ
[68]
문서
ピーブルズ
[69]
잡지
The Queen & the Saucers
http://www.time.com/[...]
1959-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