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플램스티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플램스티드는 1646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천문학자로, 초대 왕실천문관으로 임명되어 그리니치 천문대 설립에 기여했다. 그는 방대한 별 목록을 작성하고 플램스티드 명칭을 고안했으며, 천왕성을 최초로 관측한 기록을 남겼다. 플램스티드는 아이작 뉴턴과의 갈등으로 인해 생전에 자신의 관측 기록을 담은 『천구도보』를 완성하지 못했지만, 사후에 부인에 의해 출판되어 항해와 측량의 기초가 되었다.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분화구와 소행성, 천문학회 등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실천문관 - 마틴 리스
    마틴 리스는 퀘이사 연구와 우주 미세조정 연구, 존재적 위험에 대한 경고 등으로 알려진 영국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로,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 왕립학회 회장, 영국 상원 의원을 역임하며 과학 발전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폭넓은 관심을 보여왔다.
  • 왕실천문관 - 제임스 브래들리
    제임스 브래들리는 광행차와 지구 자전축 장동을 발견하여 천문학 발전에 기여한 영국의 천문학자로, 왕립 천문학자를 역임하며 그리니치 천문대에서 천문학 자료를 축적했고,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2634에 그의 이름이 붙었다.
  • 1719년 사망 - 파루크시야르
    파루크시야르는 1713년부터 1719년까지 무굴 제국의 황제였으며, 사이이드 형제의 지원으로 황제가 되었으나, 그의 통치 기간은 반란과 내부 갈등, 그리고 제국 쇠퇴를 가속화시킨 정책 결정으로 특징지어진다.
  • 1719년 사망 - 조지프 애디슨
    조지프 애디슨은 18세기 영국의 수필가, 극작가, 정치가로서, 《태틀러》와 《스펙테이터》를 창간하여 영국 수필 문학의 황금기를 열었으며, 《카토》 등의 희곡을 발표한 영향력 있는 인물이다.
  • 1646년 출생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 1646년 출생 - 앙투안 갈랑
    프랑스의 동양학자이자 고고학자인 앙투안 갈랑은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히브리어와 아랍어를 배우고 중동 지역을 탐험하며 여러 언어를 익혔으며, 왕립 도서관에서 동양어 사본 목록 작성에 참여하고 『동방 도서관』 집필을 완성했을 뿐만 아니라 『천일야화』를 최초로 프랑스어 및 유럽어로 번역하여 유럽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존 플램스티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토마스 깁슨이 그린 존 플램스티드의 초상화, 1712년
토마스 깁슨이 그린 초상화, 1712년
존 플램스티드John Flamsteed
출생1646년 8월 19일 (율리우스력)
출생지덴비, 더비셔, 잉글랜드
사망1719년 12월 31일 (73세)
사망지버스트우, 서리, 잉글랜드
배우자마거릿 쿠크
분야천문학
근무 기관해당사항 없음
모교예수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학문적 조언자해당사항 없음
주목할 만한 학생해당사항 없음
알려진 업적초대 왕실 천문학자
명예 칭호영국 왕립 학회 회원
업적
알려진 업적1666년과 1668년에 일어난 일식을 정확하게 예언
주요 업적천구도보 편찬

2. 생애

잉글랜드 더비셔 주의 작은 마을 덴비 출신으로, 어린 시절부터 수학천문학에 재능을 보였다. 건강 문제로 케임브리지 대학교 진학이 늦어졌으나, 독학으로 천문학 지식을 쌓았고 특히 제러마이아 호록스의 저작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1][27] 1666년과 1668년의 일식을 정확히 예측하며 능력을 인정받았다.

1675년 3월 4일, 잉글랜드의 찰스 2세에 의해 연봉 100GBP를 받는 초대 왕립 천문학자(당시 명칭은 The King's Astronomical Observator영어)로 임명되었다.[4] 이는 항해술 발전을 위한 경도 측정법 개선이라는 국가적 목표에 따른 것이었다.[4] 같은 해 그리니치 천문대 건설이 시작되었고, 플램스티드는 8월 10일 초석을 놓는 등 설립 과정에 참여했다.[5][29] 1676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25] 완공된 천문대로 이주하여 본격적인 관측 활동을 시작했으나, 관측 기구는 자비로 마련해야 했다.

아이작 뉴턴이 『프린키피아』 저술을 위해 관측 기록을 요구하면서 갈등이 시작되었다. 플램스티드는 뉴턴의 이론과 자신의 관측 결과가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해 신중한 입장이었으나, 뉴턴과 에드먼드 핼리는 플램스티드의 작업이 더디다고 판단하여 1712년 그의 허락 없이 미완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천구도보』(Historiae coelestis libri duola)를 출판했다. 플램스티드는 이에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했고, 왕립 학회판 서적을 회수하여 소각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했다. 이 사건으로 뉴턴과의 관계는 완전히 틀어졌다.

이후 플램스티드는 자비로 자신의 관측 결과를 정리한 『천구도보』(Historia Coelestis Britannica|히스토리아 코일레스티스 브리타니카la) 출판을 추진했으나, 생전에 완성하지 못하고 1719년 그리니치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작은 사후 부인 마가렛과 조수 Joseph Crosthwait|조셉 크로스웨이트영어의 노력으로 1725년 『천구도보』 3권이, 1729년에는 성도인 『천구도』(Atlas Coelestis|아틀라스 코일레스티스la)가 간행되어 후대 천문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서리주 버스토에 묻혔다.[7]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646-1670)

영국 더비셔 주의 작은 마을 덴비에서 스티븐 플램스티드와 그의 첫 아내 메리 스패드먼의 외아들로 태어났다.[1][27] 그는 더비의 자유 학교와 더비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662년 5월까지 라틴어역사를 공부했다.[1][27]

더비 학교 교장의 추천으로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지저스 칼리지에 진학할 예정이었으나, 만성적인 건강 문제로 인해 몇 년간 진학을 미루어야 했다.[1] 이 기간 동안 플램스티드는 집에 머물며 아버지의 사업을 도왔고, 아버지로부터 산술분수 사용법을 배우며 수학천문학에 대한 강한 관심을 키워나갔다.[1]

1662년 7월, 그는 13세기 천문학자 요하네스 데 사크로보스코의 저서 ''천구론''(De sphaera mundila)을 읽고 크게 감명받았으며,[1][27] 같은 해 9월 12일에는 생애 처음으로 부분 일식을 관찰하는 경험을 했다.[1][27] 1663년 초에는 토머스 페일(Thomas Fale)의 저서 ''Horologiographia: The Art of Dialling''을 통해 해시계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해 여름에는 윙게이트(Wingate)의 ''Canon'', 윌리엄 오트레드의 ''Canon'', 그리고 토머스 스터럽(Thomas Stirrup)의 ''Art of Dialling'' 등 다양한 서적을 탐독했다.[1][27] 또한 토머스 스트리트의 ''Astronomia Carolina, or A New Theory of the Celestial Motions''('캐롤라인 표')를 공부하며 천문학 지식을 넓혔다.[1][27] 그는 천문학에 관심 있는 지역 신사들과 교류하며 제러마이아 호록스의 천문표가 포함된 저서를 접할 기회를 가졌고, 이는 훗날 아이작 뉴턴과 마찬가지로 그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1][27]

19세가 되던 1665년 8월, 플램스티드는 친구 리치포드를 위해 ''Mathematical Essays''라는 제목의 첫 번째 천문학 논문을 작성했다. 이 논문은 천문 관측용 사분원의 설계, 제작, 사용법과 더불어 더비 지역에서의 관측 결과를 담고 있었다.[1][27]

수년간 건강 문제로 미뤄졌던 대학 진학은 1670년 9월에 이루어졌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방문하여 지저스 칼리지에 학부생으로 정식 등록했다.[2][28]

2. 2. 왕실천문관 임명 및 그리니치 천문대 설립 (1675-1684)

사제로 임명되어 더비셔에서 생활을 준비하던 플램스티드는 측량감사관 조너스 무어의 초청으로 런던으로 가게 되었다. 당시 무어는 왕립 학회에 천문대 설립 비용을 지원하겠다고 제안한 상태였다. 그러나 이 계획은 잉글랜드의 찰스 2세가 그의 정부였던 포츠머스 공작부인 루이즈 드 케루알의 설득으로, 달의 위치를 이용해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프랑스인 르 시에르 드 생 피에르(Le Sieur de St. Pierre)의 제안에 관심을 보이면서 잠시 보류되었다. 찰스 2세는 1674년 12월, 브라운커 자작, 세스 워드 주교, 사무엘 모어랜드, 크리스토퍼 렌, 실리우스 티투스, 존 펠, 로버트 훅 등으로 구성된 왕립 위원회를 임명하여 생 피에르의 주장을 검토하도록 지시했다.

1675년 2월 런던에 도착한 플램스티드는 런던 타워에서 조너스 무어와 함께 지내면서, 위원회 위원이었던 티투스의 도움으로 국왕을 만날 기회를 얻었다. 그는 왕립 위원회의 공식 조력자로 참여하여 생 피에르의 주장을 검증하기 위한 관측 자료를 제공했고, 그의 날카로운 질문은 생 피에르의 천문학 지식이 부족함을 드러냈다.[29] 플램스티드가 제공한 정보를 바탕으로 위원회는 생 피에르의 주장이 가치가 없으며, 당시에는 경도를 측정할 간단한 방법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위원회는 국왕에게 더 정확한 천문 지도 작성과 항해술에 필요한 정밀도로 달의 움직임을 기록하기 위해 천문대를 설립하고 책임자를 임명할 것을 권고했다.[3]

플램스티드의 능력을 알아본 조너스 무어의 강력한 지원에 힘입어, 1675년 3월 4일 플램스티드는 28세의 나이로 "왕의 천문 관측자"로 임명되었다. 이는 영국 최초의 왕립 천문학자 직책이었으며, 연봉은 100GBP였다.[4] 왕의 영장에는 그의 임무가 "천체의 움직임과 고정된 별들의 위치에 대한 표를 수정하여 항해술의 발전을 위해 그렇게 원하는 장소의 경도를 알아내는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었다.[4]

같은 해 6월 22일(다른 자료에서는 6월), 찰스 2세는 '완벽한 항해술과 천문학을 위해 특정 위치의 경도를 찾기 위한 목적'으로 그리니치 천문대 설립을 명하는 또 다른 영장을 발표했다. 천문대는 그리니치의 왕실 영지에 세워지기로 했으며, 건설 비용으로 520GBP가 지원되었다.[29] 천문대 건물 설계는 크리스토퍼 렌이 맡았고, 1675년 8월 10일에 열린 시공식에서는 플램스티드가 직접 초석을 놓았다.[5]

1676년 2월, 플램스티드는 왕립 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고,[25] 같은 해 7월 완공된 그리니치 천문대로 이사하여 본격적인 관측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1684년까지 이곳에 머물며 천문 연구에 매진했다.

2. 3. 왕립학회와의 갈등과 『천구도보』 출판 (1684-1719)

1684년, 플램스티드는 그리니치로 이주했다. 이후 아이작 뉴턴은 자신의 저서 ''프린키피아''(1687년) 출판에 앞서 플램스티드에게 관측 기록을 요청했다. 플램스티드는 기록을 제공했지만, 뉴턴은 이 기록이 자신의 이론과 맞지 않자 플램스티드가 자료 제출을 늦추고 고의로 잘못된 기록을 보냈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지구의 관계는 뉴턴이 생각했던 것처럼 단순한 두 질점 간의 관계로 설명될 수 없으며, 더 복잡한 요소들이 작용한다는 사실이 뉴턴 사후에 밝혀졌다.

플램스티드는 자신의 관측 기록을 모아 ''천구도보''(Historia Coelestis Britannica)로 출판하려 했으나, 뉴턴과 에드먼드 핼리는 플램스티드의 작업이 더디고 완성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그들은 플램스티드가 제공한 오래되고 부정확한 기록을 바탕으로, 플램스티드의 동의 없이 1712년 왕립 학회 판 ''천구도보''(Historiae coelestis libri duo)를 출판했다. 이는 사실상 해적판 출판이었다.

이에 플램스티드는 법적 대응에 나서 재판에서 승소했다. 판결에 따라 왕립 학회판 ''천구도보''의 남은 재고는 모두 플램스티드에게 넘겨졌고, 그는 그리니치 천문대에서 이를 직접 소각했다. 또한 이미 시중에 유통된 해적판도 가능한 한 회수하여 소각했다. 이 사건으로 뉴턴과의 관계는 완전히 틀어졌고, 뉴턴은 ''프린키피아'' 제2판에서 플램스티드의 이름을 대부분 삭제하며 앙갚음했다.

왕립 학회의 지원을 기대할 수 없게 된 플램스티드는 자비로 ''천구도보'' 출판을 계속 추진했지만, 생전에 완성하지 못하고 1719년 그리니치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작은 사후 플램스티드의 부인과 조수 등에 의해 1725년 ''천구도보''(Historia Coelestis Britannica) 3권이 출판되었고, 이어 1729년에는 성도인 ''천구도''(Atlas Coelestis)가 간행되었다.

2. 4. 사망 및 유산

1719년 그리니치에서 사망했고,[1] 1720년 서리주 버스토에 묻혔다.[7] 그가 목사로 있던 버스트로 교회에는 그를 기리는 기념물이 남아 있다. 교회 동쪽 창문이 그에게 헌정되었고,[7] 그의 미망인 마가렛은 유언으로 남편과 같은 무덤에 묻히고 남편을 기리는 라틴어 비문이 새겨진 대리석 기념비 설치를 요청했지만[8] 실행되지는 않았다. 약 200년 후, 그의 매장 위치를 알리는 플래크가 교회 성가대석에 설치되었다.[8]

존 플램스티드와 그의 아내의 묘비를 표시한 버스트로의 세인트 바돌로뮤 교회의 성가대석에 있는 플래크


사망 후 그의 논문과 과학 기구는 미망인 마가렛에게 넘어갔다. 논문은 수년 후 왕립 학회에 반환되었으나, 플램스티드가 자비로 마련했던 관측 기구들은 끝내 찾을 수 없었다.[9]

플램스티드의 방대한 관측 기록은 후대 천문학 발전에 중요한 자료가 되었지만, 이를 둘러싼 갈등도 있었다. 아이작 뉴턴은 자신의 이론 연구, 특히 『프린키피아』 저술을 위해 플램스티드에게 관측 기록을 요구했다. 플램스티드는 일부 기록을 제공했지만, 뉴턴은 기록 제공이 늦고 부정확하다며 플램스티드를 비난했다. 하지만 이는 달의 운동처럼 복잡한 천체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당시 뉴턴의 이론만으로는 부족했던 점도 원인이었다.

플램스티드는 자신의 관측 결과를 정리하여 『천구도보』(Historia Coelestis Britannica|히스토리아 코일레스티스 브리타니카la)를 출판하고자 했으나, 작업이 더디다고 판단한 뉴턴과 에드먼드 핼리1712년 플램스티드의 허락 없이 그의 미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왕립 학회판 『천구도보』를 출판했다. 이에 플램스티드는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했고, 왕립 학회판 서적의 재고를 넘겨받아 그리니치 천문대에서 직접 불태웠다. 이 사건으로 뉴턴과의 관계는 완전히 틀어졌으며, 뉴턴은 『프린키피아』 제2판에서 플램스티드에 대한 언급을 대부분 삭제했다.

왕립 학회의 지원을 기대할 수 없게 된 플램스티드는 자비로 『천구도보』 출판을 계속 추진했지만, 생전에 완성하지 못했다. 그의 사후 1725년부터 1729년에 걸쳐 부인 마가렛과 조수 조셉 크로스웨이트(Joseph Crosthwait)의 노력으로 마침내 출판되었다. 이 자료는 이후 천문학 연구에 귀중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었다.

3. 과학적 업적

존 플램스티드는 영국의 초대 왕립 천문학자로서, 그리니치 천문대의 설립을 주도하고[5] 체계적인 천문 관측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이다. 그의 과학적 업적은 주로 정밀하고 꾸준한 천체 관측과 이를 바탕으로 한 방대한 항성 목록 제작에 집중되어 있다. 그는 일식의 정확한 예측[1], 화성의 일주 시차 측정을 통한 천문 단위 추정 시도[1], 혜성의 궤도에 대한 이해를 높인 관측[1], 그리고 당시에는 항성으로 오인되었던 천왕성의 초기 기록[1] 등 다양한 천문 현상을 면밀히 관찰하고 기록했다.

플램스티드의 가장 중요한 기여는 약 40년에 걸쳐 축적한 방대한 관측 자료를 집대성한 작업이다. 비록 아이작 뉴턴 등과의 갈등으로 인해 생전에는 완성하지 못했지만[1], 그의 사후 부인 마거릿과 조수들에 의해 『Historia Coelestis Britannica』(1725)와 『Atlas Coelestis』(1729)가 출판되었다. 이 성표들은 이전의 어떤 목록보다 훨씬 많은 수의 별(약 3,000개)을 더 높은 정확도로 수록했으며[1], 별의 위치를 별자리 내에서 서쪽부터 동쪽 순으로 번호를 매기는 독창적인 플램스티드 명칭 체계를 도입했다. 플램스티드의 이러한 정밀한 관측과 성표 제작은 당대 항해술 발전에 필수적인 정확한 항성 위치 정보를 제공했으며, 특히 해상에서 경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를 다지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4]

3. 1. 일식 및 혜성 관측

플램스티드는 1666년과 1668년에 발생한 일식의 시기를 정확하게 계산해냈다.

또한 그는 1680년 대혜성을 관측한 중요한 기록을 남겼다. 1680년 11월과 12월에 나타난 두 천체를 관측한 플램스티드는 이들이 별개의 혜성이 아니라, 태양을 향해 접근했다가 다시 멀어지는 하나의 동일한 혜성이라고 주장했다. 처음에 아이작 뉴턴은 플램스티드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으나, 이후 플램스티드의 관측 결과를 받아들였다. 뉴턴은 이를 바탕으로 혜성이 행성처럼 태양 주위를 타원 궤도로 공전한다는 이론을 발전시켰다. 이처럼 플램스티드의 정밀한 혜성 관측은 뉴턴의 이론 정립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3. 2. 행성 관측 및 천문 단위 측정

1672년 10월 화성이 충의 위치에 왔을 때, 플램스티드는 조명이 켜진 마이크로미터 십자선이 있는 접안 렌즈를 사용하여 화성의 일주 시차를 측정함으로써 화성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천문 단위(AU)의 값을 추정했다. 이를 위해 그는 밤 동안 다른 별들에 비해 화성의 겉보기 이동을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이 이동은 별들 사이에서 화성의 겉보기 밤마다의 경로에 겹쳐 나타났다.

또한 플램스티드는 행성 천왕성을 최초로 관측하고 기록한 인물 중 한 명이다. 1690년 12월에 이루어진 그의 관측은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천왕성 관측 기록으로 남아 있다. 하지만 당시 그는 천왕성행성이 아닌 항성으로 잘못 판단하여 '황소자리 34번 별(34 Tauri)'이라는 플램스티드 명칭을 부여했다. 이후 천왕성행성으로 밝혀지면서 이 번호는 현재 결번으로 처리되었다.

3. 3. 별 목록 및 플램스티드 명칭

그리니치 천문대 박물관에 있는 존 플램스티드의 흉상


왕립 천문학자로서 플램스티드는 약 40년 동안 방대한 별 목록 작성을 위해 꾸준히 관측하고 세심하게 기록을 남겼다. 그의 목표는 티코 브라헤의 기존 목록보다 훨씬 더 포괄적이고 정확한 목록을 만드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아직 검증되지 않은 데이터를 성급하게 공개하여 자신의 학문적 명성을 훼손할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려 했고, 완성되지 않은 기록들을 그리니치에 보관하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이러한 플램스티드의 신중함은 아이작 뉴턴, 에드먼드 핼리와의 갈등으로 이어졌다. 당시 왕립 학회 회장이었던 뉴턴은 자신의 연구, 특히 『프린키피아』의 개정 작업을 위해 플램스티드의 최신 관측 데이터가 필요했다. 플램스티드가 데이터 제공을 주저하자, 뉴턴과 핼리는 1712년 플램스티드의 허락 없이 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Historia Coelestis Britannica라는 제목의 별 목록을 무단으로 출판했다. 이 책에는 플램스티드의 오래되고 부정확한 기록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자신의 연구 결과가 왜곡되어 출판된 것에 격분한 플램스티드는 법적 조치를 통해 출판된 400부 중 300부를 회수하여 그리니치 천문대에서 직접 불태웠다. 그는 조수 에이브러햄 샤프에게 보낸 편지에서 "만약 I.N.(아이작 뉴턴) 경이 그것을 이해한다면, 나는 그와 핼리 박사에게 큰 호의를 베푼 것입니다."라고 적으며 불쾌감을 숨기지 않았다. 이 사건으로 뉴턴과의 관계는 완전히 틀어졌고, 뉴턴은 『프린키피아』 제2판에서 플램스티드에 대한 언급을 대부분 삭제했다.

플램스티드는 왕립 학회의 지원 없이 자비로 자신의 별 목록 출판을 준비했지만, 생전에 완성하지 못하고 1719년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작인 Historia Coelestis Britannica는 아내 마거릿 플램스티드와 조수 조셉 크로스웨이트, 에이브러햄 샤프의 노력으로 1725년에 마침내 출판되었다. 이 목록에는 플램스티드가 40여 년간 관측한 결과가 담겨 있으며, 이전의 어떤 목록보다 훨씬 정확한 2,935개의 별을 수록했다. 이는 그리니치 천문대의 첫 번째 중요한 학문적 기여로 평가받는다.

Historia Coelestis Britannica에 실린 별 목록에는 플램스티드가 고안한 독특한 번호 체계가 사용되었다. 이는 각 별자리 내에서 가장 서쪽에 있는 별부터 동쪽으로 순서대로 번호를 매기는 방식으로, 플램스티드 명칭(Flamsteed designation) 또는 플램스티드 번호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오리온자리의 밝은 별 베텔게우스(α Orionis)는 플램스티드 명칭으로 '오리온자리 58번 별'(58 Orionis)이다. 이 명칭 체계는 이후 프랑스어판 목록에서 공식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오늘날에도 바이어 명명법과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플램스티드의 관측 기록 중에는 흥미로운 사례들도 있다. 그는 1690년 12월을 포함하여 여러 차례 천왕성을 관측했지만, 이를 행성이 아닌 항성으로 착각하여 '황소자리 34번 별'(34 Tauri)로 기록했다. 이 때문에 황소자리 34번은 현재 결번으로 남아있다. 또한, 1680년 8월 16일에 관측하여 '카시오페이아자리 3번 별'(3 Cassiopeiae)로 기록한 천체는 후대 천문학자들이 그 위치에서 별을 찾을 수 없어 논란이 되었다. 미국의 천문학사학자 윌리엄 애쉬워스는 이것이 우리 은하에서 가장 최근에 폭발한 초신성(카시오페이아자리 A)의 관측 기록일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기록된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고 폭발 추정 연대(1667년경)와도 차이가 있어, 단순히 플램스티드가 다른 별의 위치를 잘못 기록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플램스티드의 별 목록은 출판 이후 오랫동안 항해와 측량 분야에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었다. 그의 정확한 별 위치 정보는 선박이 해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지도 제작자들이 정확한 지도를 만드는 데 필수적이었다. 특히, 그의 목록과 그리니치 천문대에서의 관측은 경도 측정의 기준을 세우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이는 훗날 그리니치 천문대가 본초 자오선의 기준으로 결정되는 데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4. 현대의 평가 및 기념

존 플램스티드의 업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이름은 여러 천문학 관련 명칭과 교육 기관 등에서 기려지고 있다.

플램스티드가 제작한 『천구도보』는 오랫동안 항해와 측량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었으며, 일본에서도 1943년에 재판될 정도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았다. 이 천구도보를 통해 그리니치 천문대와의 경도, 위도 차이를 쉽게 알 수 있게 되면서, 천문 및 측량 분야에서 그리니치 천문대는 자연스럽게 기준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는 훗날 본초 자오선을 결정할 때 기준점을 그리니치 천문대로 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또한, 플램스티드 천구도보에 사용된 별 표기법은 그의 이름을 따 플램스티드 명칭(또는 플램스티드 번호)으로 불리며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이 방식은 각 별자리의 서쪽 끝에서부터 동쪽으로 별에 순서대로 번호를 매기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오리온자리베텔게우스는 '오리온자리 58번 별'로 표기된다. 그의 천구도에서는 별자리의 모양을 이전의 천구도와 달리 지구에서 보이는 모습 그대로 묘사했다는 특징도 있다.

플램스티드는 관측 중 천왕성항성으로 잘못 인식하여 '황소자리 34번 별'이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했는데, 이 때문에 현재 황소자리 34번 별은 결번으로 남아 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명칭과 기관에서 그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존 플램스티드를 기리는 명칭 및 기관
분류명칭/기관비고
학회 회원왕립 학회 회원1677년 선출[16]
천문학회플램스티드 천문학회그리니치 천문대에 기반[17]
천체의 플램스티드 분화구[18]
천체소행성 4987 플램스티드[19]
학교 건물/명칭존 포트 스펜서 아카데미 과학 건물더비셔 소재[20]
학교덴비의 존 플램스티드 커뮤니티 스쿨[2]
학교 건물/명칭더필드의 에클스번 학교 플램스티드 하우스[21]
기념물더비 퀸 스트리트 블루 플라크구 시계 공장 위치, 더비의 조셉 라이트도 함께 기림[22]


참조

[1] 서적 John Flamsteed, the first Astronomer Royal Avon Books 1999
[2] acad
[3] 서적 Greenwich Time and the Longitude https://archive.org/[...] Philip Wilson 1997
[4] 서적 Flamsteed's Stars: New Perspectives on the Life and Work of the First Astronomer Royal, 1646–1719 The Boydell Press 1997
[5] 서적 Greenwich Time and Longitude https://archive.org/[...] Philip Wilson 1997
[6] 웹사이트 The Life of John Flamsteed: Britain's First Royal Astronomer http://info.amberval[...] Amber Valley Borough Council 2017-05-02
[7]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County of Surrey: Volume 3. Parishes: Burstow https://www.british-[...] British History Online 2013-06-14
[8] 웹사이트 The Grave of John Flamsteed http://blogs.greenwi[...] Greenwich.co.uk Blogs 2018-03-03
[9] 서적 Parallax: The Race to Measure the Cosmos https://archive.org/[...] Henry Holt and Co 2001
[10] 서적 Measuring the universe: cosmic dimensions from Aristarchus to Halle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11] 논문 A Probable Flamsteed Observation of the Cassiopeia – A Supernova 1980
[12] 논문 Edmond Halley, Scientist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1985-08
[13] 웹사이트 A Point of View: Crowd-sourcing comets https://www.bbc.co.u[...] BBC News 2013-05-20
[14] 서적 Longitude: The True Story of a Lone Genius Who Solved the Greatest Scientific Problem of His Time Walker & Company 1995
[15] 웹사이트 Flamsteed numbers – where they really came from http://www.ianridpat[...] 2012-01-08
[16] 웹사이트 List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1660 – 2007 https://royalsociety[...] The Royal Society 2018-03-03
[17]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flamstee[...] Flamsteed Astronomical Society 2018-03-03
[18] 웹사이트 Planetary Names: Crater, craters: Flamsteed on Moon https://planetarynam[...]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8-03-03
[19] 웹사이트 IAU Minor Planet Center (4987) Flamsteed = 1980 FH12 = 1983 BV = 1990 D https://minorplanetc[...]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8-03-03
[20] 웹사이트 BBC – Derby – People – John Flamsteed: Astro Genius https://www.bbc.co.u[...] BBC 2018-03-03
[21] 웹사이트 Flamsteed http://www.ecclesbou[...] Ecclesbourne School 2018-03-03
[22] 웹사이트 John Flamsteed – Derby Blue Plaques http://derbyblueplaq[...] 2018-03-03
[23] 백과사전 John Flamsteed British astronomer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4] Venn
[25] FRS Flamsteed; John (1646 - 1719) 2011-12-11
[26] 서적 Chambers Book of Days 1864
[27] 서적 John Flamsteed, the first Astronomer Royal Avon Books 1999
[28] 웹사이트 Flamsteed, John (FLMT670J) http://venn.lib.cam.[...] University of Cambridge
[29] 서적 독재자 뉴턴 몸과마음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