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비행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이비행기는 종이를 접거나 조립하여 만든 장난감으로, 약 2000년 전 중국에서 연을 만들면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 중반부터 제작법이 알려졌으며, 1930년 잭 노스롭이 실제 비행기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종이비행기를 활용하면서 디자인 개선이 이루어졌다. 종이비행기는 접는 방식(오리가미 비행기)과 조립식으로 나뉘며, 비행 원리는 추력, 양력, 중력, 공기 저항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세계 기록으로는 실내 비행 거리와 시간 기록이 있으며, 현대에는 대회 개최, 우주 비행, 문화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종이로 장난감을 만드는 것은 연을 발명한 약 2000년 전 중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지지만,[20] 종이비행기의 발상지를 정확하게 설명할 수는 없다. 조립식 종이비행기는 목재나 대나무 등을 사용한 (날개 등에 종이를 붙이는 경우도 있다) 모형 항공기는 유인 동력 비행기 이전에 만들어졌으며, 실제 항공기의 참고 자료나 시제품으로 사용되었지만, 종이비행기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종이비행기는 크게 접기 방식과 조립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2. 역사
독일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으로 군용기뿐만 아니라 동력기 제작이 제한되었던 시기에, He 111이나 Ju 88 등의 원형(민간기로 설계)과 같은 중요한 계획에서 기본 성능과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종이 모형을 사용하기도 했다.
2. 1. 초기 역사
종이 비행기는 19세기 중반, 1864년에 종이 비행기 제작법을 설명한 미국의 아동 도서를 바탕으로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1859년 영국에서 출판된 어린이 놀이에 관한 책에는 "PAPER DART(한 장의 종이를 접어 만들어서 과녁을 맞추거나 남자아이들이 전쟁 놀이에서 던지는 장난감)"에 대한 기사가 있어,[21] 종이 접기 비행기가 보편적인 장난감이었음을 보여준다.
종이비행기 제작이 알려진 가장 오래된 연대는 1909년이라고 하지만, 가장 널리 인정받는 것은 1930년 노스롭 사의 잭 노스롭이 만든 것이다. 노스롭은 실제 비행기의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종이비행기를 테스트로 사용했다.
1924년 국제 이론 및 응용 역학 연합의 연회에서 루드비히 프란들이 종이 비행기를 제작한 것을 테오도어 폰 카르만은 예술성 없는 연습으로 치부했다.[3]
2. 2. 발전 과정
1924년 국제 이론 및 응용 역학 연합 연회에서 루드비히 프란들이 종이 비행기를 만든 일화가 있다. 테오도어 폰 카르만은 이를 두고 예술성 없는 연습이라 평가했다.[3]
> 프란들은 다소 충동적인 면이 있었다. 델프트에서 열린 컨퍼런스 후 매우 품위 있는 저녁 식사 자리에서, 그와 테이블 옆에 앉았던 내 여동생이 그에게 비행 역학에 대한 질문을 했다. 그는 설명을 시작했고, 그 과정에서 종이 메뉴를 집어 들고 작은 모형 비행기를 만들었는데, 어디에 떨어질지 생각하지도 않았다. 그것은 프랑스 교육부 장관의 셔츠 앞부분에 떨어졌고, 여동생과 연회에 참석한 다른 사람들을 매우 당황하게 만들었다.
이후 수년에 걸쳐 속도, 양력, 추진[4], 스타일 및 유행을 포함한 많은 디자인 개선이 이루어졌다.
1930년부터 1988년까지 종이 비행기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로 발전했다.
같은 기간 동안 접거나 오리가미 방식으로 만든 글라이더 역시 비슷한 정교함을 보였으며, 다음과 같은 제작 기법이 추가되었다.
첨단 종이 비행기 제작 기술의 보급을 가능하게 한 기술은 다음과 같다.[5]3. 종류
일본의 종이비행기 중에는 옛날에 '톤비'라고 불리는 것과, 체공 시간이 긴 '배꼽 비행기', 똑바로 멀리 날아가는 '창 비행기', 선미익 풍의 날개가 있는 '오징어 비행기', 공중제비가 특기인 '제비 비행기' 등이 있다.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는 약 800종류의 종이비행기가 전시된 "종이 비행기 박물관"이 있다. 매주 토요일에만 개관하지만, 전문가가 상주하며 잘 날아가는 종이 비행기 접는 법을 배울 수 있다. 같은 현 진세키코겐정의 요네미야산 산 정상 공원에는 "토요마츠 종이 비행기 타워"가 있어, 지상 15m의 전망대에서 직접 접은 종이 비행기를 날릴 수 있다.
종이 비행기를 날려 기록을 깨려는 시도는 여러 해 동안 있었다. 켄 블랙번은 13년 동안 (1983–1996) 기네스 세계 기록을 보유했으며 1998년 10월에 종이 비행기를 27.6초 동안 공중에 유지하여 기록을 되찾았다. 타쿠오 토다는 2010년 12월 19일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서 29.2초로 가장 오랫동안 공중에 머무는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23년 2월 현재 최장 거리 기록은 2022년 12월 2일 미국 인디애나주 크라운 포인트에서 디론 루블이 네이서니얼 에릭슨과 개럿 젠슨의 지원을 받아 달성한 88.318m이다.
3. 1. 오리가미 비행기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대개 백은비 또는 황금비 정도)의 종이를 접어 만드는 방식으로, 종이접기의 일종이다. 손으로 던져 날리며, 다양한 형태와 비행 특성을 가진 비행기를 만들 수 있다. 일본에서는 톤비, 배꼽 비행기, 창 비행기, 오징어 비행기, 제비 비행기 등 다양한 종류의 오리가미 비행기가 알려져 있다.
정확하고 강한 중심선은 좌우 균형을 잡고 직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많은 비행기에서는 기수 쪽을 삼각형으로 접어 무게중심을 앞쪽으로 둔다. 일반적으로 기수가 올라가면 양력이 커지고, 내려가면 작아지기 때문에, 무게중심을 공력 중심의 약간 앞에 두면 받음각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효과(풍향 안정)를 기대할 수 있다.
3. 2. 조립식 종이비행기
주로 켄트지에 선을 긋고 오려내어 붙여 조립하는 방식이다. 잘 만들어진 기체는 수십 초 동안 활공할 수 있다. "오려내기 책"으로 인쇄된 켄트지를 제본한 서적도 존재한다.
이 구조는 핸드 런치 기에 많이 사용되지만, 일부 프로필 기에도 채용되기도 한다. 동체는 전개도를 입체로 조립하여 형태를 만든다. 핸드 런치 기의 주 날개에는 스파(spar, 가로대)가 들어있는 경우가 많으며, 스파는 주로 얇게 자른 종이를 5장 정도 적층하여 만든다.
저명한 일본인 설계자로는 니노미야 야스아키가 있다. 그의 대표적인 모델은 화이트 윙스가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E.H 매튜스 교수는 페이퍼 파일럿을 개발했다.
3. 2. 1. 화이트 윙스
니노미야 야스아키가 1960년대 후반에 개발한 종이비행기 시리즈이다. 화이트 윙스(White Wings)는 동체와 날개를 종이 템플릿을 잘라 붙여 만드는 것이 특징이며, 저속 공기역학적 설계 원리를 이용한다.[6] 켄트지(Kent paper)라는 종류의 드로잉 종이로 제작된다.
초기 모델은 손으로 직접 그렸지만, 1980년대부터는 C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부품 도면을 제작했다. 니노미야의 디자인에는 종이 모형 최초로 기류에 의해 작동하는 프로펠러가 포함되었으며, F-4 팬텀 II 모델은 종이 클립 없이도 즉시 비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초기 화이트 윙스는 종이로만 제작되어 높은 수준의 제작 기술이 필요했지만, 이후 발사 나무 동체를 사용하고 미리 재단된 형태로 판매되어 제작이 쉬워졌다. 사용된 익형은 괴팅겐 801 (곡선 판)이다.
3. 2. 2. 페이퍼 파일럿
E.H. 매튜스는 페이퍼콥터(Papercopter)라고 알려진 비행 안정성이 있는 종이 모형 헬리콥터를 개발했다. 이 헬리콥터는 링 형태의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링의 안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플랩을 사용하여 비행 안정성을 조절한다. 이것은 엄밀히 말해 오토자이로는 아니지만, 이 종이 모형 항공기 종류는 종이 모형 헬리콥터의 일반적인 설계에 속하며, 전진 비행 중에 양력을 생성하는 회전 비행 요소를 가지고 있다. 매튜스 교수가 페이퍼콥터라고 명명한 이 헬리콥터는 종이 모형 회전익기 중에서 다른 모든 종류보다 훨씬 뛰어난 비행 거리와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매우 빠르게 날 수 있고 10m~15m 사이의 거리를 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가장 긴 비행 시간은 27.9초이다.[8]
3. 3. 기타
1967년에 출판된 "The Great International Paper Airplane Book"에는 리처드 K. 뉴가 제작한 세계 최초의 종이 오토자이로(무동력 헬리콥터)가 등장했다. 이것은 날개가 중앙 밸러스트 샤프트 주위를 원을 그리며 수직으로 내려오는 형태이다.[7]
제임스 종커는 회전하는 날개로 들어 올려지는, 앞으로 나아가는 동체를 가진 세계 최초의 앞을 향해 활공하는 종이 오토자이로를 제작했다. 이 종이 오토자이로는 1985년에 Science Magazine에서 출판한 "The Paper Airplane Book: The Official Book of the Second Great International Paper Airplane Contest"의 53페이지에 실렸다.
E.H. 매튜스는 Papercopter라고 알려진 비행 안정성이 있는 종이 모형 헬리콥터를 개발했다. 이것은 링 형태의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링의 안쪽 가장자리에 있는 플랩을 사용하여 비행 안정성을 조절한다. 매튜스 교수가 Papercopters라고 명명한 이 헬리콥터는 종이 모형 회전익기 중에서 다른 모든 종류보다 훨씬 뛰어난 비행 거리와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매우 빠르게 날 수 있고 10m~15m 사이의 거리를 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가장 긴 비행 시간은 27.9초이다.[8]
종이 비행기를 날려 기록을 깨려는 시도는 여러 해 동안 있었다. 켄 블랙번은 13년 동안 (1983–1996) 기네스 세계 기록을 보유했으며 1998년 10월에 종이 비행기를 27.6초 동안 공중에 유지하여 기록을 되찾았다. 타쿠오 토다(일본)는 2010년 12월 19일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서 29.2초로 가장 오랫동안 공중에 머무는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23년 2월 현재 최장 거리 기록은 2022년 12월 2일 미국 인디애나주 크라운 포인트에서 디론 루블(미국)이 네이서니얼 에릭슨과 개럿 젠슨(둘 다 미국)의 지원을 받아 달성한 88.318m이다.
4. 제작 방법
종이비행기 제작 방법에는 크게 종이를 접는 오리가미 방식과 종이를 오리고 붙이는 조립 방식이 있다.
4. 1. 오리가미 비행기 제작
정확하고 강한 중심선을 만드는 것이 좌우 균형과 직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이후의 접는 방법은 좌우 대칭으로 진행된다). 많은 종이비행기에서는 기수 쪽을 삼각형으로 접어 넣는데, 이는 무게중심을 앞쪽으로 두기 위해서이다. 일반적으로 기수가 올라가면 양력이 커지고, 내려가면 작아지기 때문에, 무게중심을 공력 중심의 약간 앞에 두면 받음각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효과(풍향 안정)를 기대할 수 있다. 충분한 면적을 가지고, 뒤틀림이 없는 날개를 만들고, 공중에서 수평으로 펼쳐지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면, 도중에 어떤 접는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어떻게든 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4. 2. 조립식 종이비행기 제작
입체 구조 또는 적층 구조로 기체를 제작한다. 동체와 주익을 조립하고, 수평 꼬리 날개와 수직 꼬리 날개를 부착한다.니노미야 야스아키가 설계한 화이트 윙스(White Wings)는 동체와 날개가 종이 템플릿을 잘라 붙여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종이비행기와 큰 차이를 보인다.[6] 켄트지에 선을 긋고 오려내어 붙여 조립하며, 잘 만들어진 기체는 수십 초 동안 활공한다.
기체의 동체, 주익 모두 종이를 적층하여 제작한다. 핸드 런치 기의 주 날개에는 스파(spar, 가로대)가 들어있는 경우가 많으며, 스파는 주로 얇게 자른 종이를 5장 정도 적층하여 만든다.
조립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동체 조립 |
---|
부품 1의 양쪽에 부품 2와 3을 붙인다. |
(1)의 양쪽에 부품 4와 5를 붙인다. |
(2)의 양쪽에 부품 6과 7을 붙인다. |
2. 주익 조립 |
부품 8의 뒷면에 부품 9를 붙인다. |
주익을 약간 굽은 형태(캠버)로 만든다. |
3. 전체 조립 |
동체에 부품 10(수평 꼬리 날개)을 붙인다. |
동체에 주익(부품 8 + 9)을 붙인다. |
5. 비행 원리 및 조정
수정되지 않은 종이 비행기는 활공비율이 매우 낮아, 제작과 재료에 따라 7.5:1을 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종이 글라이더를 수정하면 무게가 증가하고 공기역학적 및/또는 구조적 타협이 이루어지지만, 비행 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종이접기와 접착, 테이핑을 혼합하여 제작하면 날개 하중이 증가하여 날개 표면의 층류 흐름이 방해받을 수 있다.
1960년대 후반과 1980년대에 니노미야 교수와 매튜스 교수는 보다 체계적인 설계 전략을 개발했다. 이전에는 종이 모형 항공기를 비행 성능에 중점을 두지 않고 설계했다. 두 교수는 공기역학적 설계와 유체 역학을 사용하여 이전 비행 성능 기준을 훨씬 뛰어넘는 모델을 설계할 수 있었으며, 비행 거리는 일반적인 10미터 이상에서 발사 시 글라이더에 가해지는 에너지 입력에 따라 85미터 이상으로 증가했다. 현재, 두 교수의 연구는 종이 모형 글라이더의 비행 성능 향상에 대한 마지막 진지한 연구로 남아 있다. 온라인 포럼 및 개인 웹사이트를 통해 애호가들이 협력하여 얻은 결과는 대부분 이러한 원본 글라이더 유형의 발전이다.
축척 모형 설계 분야에서는 현재 고급 설계를 위한 많은 가능성이 있다. 프로파일 글라이더는 일반적으로 곡선형 판 에어포일인 날개 유형에 따라 비행 성능 향상에 제한이 있다. 또한 동체는 발사-종이 또는 종이 라미네이트로 제작되어 매우 짧은 시간 안에 휘거나 파손되기 쉽다. 성능 향상은 층류 흐름을 촉진하는 3차원 동체를 모델링하고, 클라크 Y 또는 NACA 4 또는 6 시리즈와 같이 높은 양력을 위한 내부 보강 날개와 같은 고양력 에어포일 프로파일을 가짐으로써 가능하다.
1960년대 후반 일본에서 니노미야 야스아키 교수는 ''제트 시대 축제''(1966) 와 ''공중의 올스타''(1967)라는 두 권의 저서를 통해 고급 종이비행기 디자인을 발표했다. 이 책들의 디자인은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화이트 윙스(White Wings)' 종이 글라이더 팩 시리즈로 판매되었다.[6]
화이트 윙스는 전통적인 종이 비행기와는 달리, 동체와 날개가 종이 템플릿을 잘라 붙여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들은 저속 공기역학적 엔지니어링 설계 원리를 이용하여 설계되었다. 초기 모델들은 손으로 직접 그려졌지만, 1980년대에 이르러서는 C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부품 도면이 제작되었다.
니노미야의 디자인에는 종이 모형으로는 처음으로 기류에 의해 작동하는 프로펠러도 포함되었으며, 특히 1967년의 세스나 스카이마스터와 피아지오 P.136의 프로파일 스케일 모델에 적용되었다. 또한 그의 F-4 팬텀 II 모델은 종이 클립 등의 도움 없이 즉시 비행할 수 있도록 글라이더를 세심하게 설계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고성능 글라이더는 종이 부품에 접착된 발사 동체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동체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초기 화이트 윙스는 순전히 종이로 제작되었으며, 인내와 기술을 필요로 했다. 하지만 이후에는 발사 나무 동체가 사용되었고, 화이트 윙스는 "미리 재단"되어 판매되어 제작이 더 쉬워졌다. 사용된 익형은 괴팅겐 801 (곡선 판)이며, 각 키트의 컷아웃 부품으로 패턴이 제공된다.
모형의 날개 단면은 종류에 따라 다양하며, 캠버 역시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레이놀즈 수(Re)가 낮을수록 캠버가 커진다.
5. 1. 비행 원리
종이비행기는 추력, 양력, 중력, 공기 저항의 네 가지 공기역학적 힘의 영향을 받으며 비행한다.[13] 이러한 힘들은 상호작용하여 난류를 생성하고, 종이비행기 표면의 작은 변화를 증폭시킨다.[13]- 추력: 비행기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이다.
- 양력: 수평면에 작용하여 비행기를 위로 들어 올리는 힘이다.
- 중력: 양력에 반작용하여 비행기를 아래로 당기는 힘이다.
- 공기 저항: 추력에 반작용하여 비행기의 전진 속도를 감소시키는 힘이다.[13]
종이비행기는 날개 뒷부분과 꼬리(있는 경우)를 구부리거나, 휘게 하거나, 작게 잘라 수정하여 비행을 조절할 수 있다.[13] 보조익, 승강타, 방향타를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13]
종이비행기는 일반 비행기와 다른 레이놀즈 수 영역에서 비행한다. 레이놀즈 수는 유체의 흐름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종이비행기는 매우 낮은 레이놀즈 수 영역에서 비행한다.[13]
종이비행기의 레이놀즈 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종류 | 레이놀즈 수 (Re) 범위 |
---|---|
오리가미 비행기 | 2,000–12,000 |
복합 오리가미 (접착제와 공기역학적 개선 포함) | 4,000–16,900 |
프로파일 성능 (화이트 윙스, 페이퍼 파일럿 등) | 9,000–39,000 |
스케일 성능 (화이트 윙스, 페이퍼 파일럿 등) | 19,200–56,000 |
스케일 모형 (복잡한 구조) | 22,000–93,000 |
낮은 레이놀즈 수에서는 공기의 점성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 일반 비행기와는 다른 공기역학적 특성을 보인다. 대부분의 오리가미 종이비행기는 난류 내에서 비행하며, 이는 곤충 날개와 같이 자연에서 발견되는 낮은 Re 양력 표면과 유사하다.
종이비행기 날개 단면은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 오리가미: 괭팅겐 평판, 또는 접힌 앞전을 위한 예델스키 형태.
- 복합 오리가미: 오리가미와 동일하지만, 종종 가장자리가 밀봉되어 Cd가 45% 향상.
- 프로파일 성능: 괭팅겐 곡면판, 괭팅겐 801과 유사한 프로파일.
- 스케일 성능: 괭팅겐 801 또는 다른 날개 에어포일
- 스케일 모형: 모형 유형에 따라 다름.
캠버 또한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Re가 낮을수록 캠버가 커진다.
5. 2. 비행 조정
- 기체의 전체적인 균형을 본다. 주된 손으로 기체를 잡고 한쪽 눈으로 기수 쪽에서 본다. 먼저 동체의 휨을 보고 휘어져 있다면 똑바로 펴준다.
- 수평 꼬리 날개의 휨을 수평이 되도록 수정하고, 수직 꼬리 날개도 똑바르게 수정한다.
- 주 날개의 좌우 균형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비틀려 있거나 캠버(날개의 굽은 정도)의 크기가 좌우 날개에서 다를 경우 상승 시 기체가 회전하거나 활공 시 스파이럴 강하가 되어 제대로 날지 않으므로 수정해야 한다. 특히 주 날개의 좌우 양력 차이는 알아차리기 어려우며, 자주 저지르기 쉬운 실수이므로 주의해야 한다.[15]
- 활공 시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선회하면 다시 주 날개, 수직 꼬리 날개, 수평 꼬리 날개의 비틀림을 확인한다. 기수를 내리고 강하하는 경우 수평 꼬리 날개가 아래쪽으로 휜 것은 아닌지 확인한다. 그래도 수정되지 않으면 추(납판이나 클립 등)의 양을 줄여본다. 이 두 가지 조작을 해도 안 되면 수평 꼬리 날개의 뒷부분(특히 끝부분)을 기수의 처짐 정도에 따라 올린다.
- 반대로 기수가 올라가는 경우 수평 꼬리 날개가 위쪽으로 휜 것은 아닌지 확인한다. 그래도 수정되지 않으면 기수에 추를 더한다. 이 두 가지 조작을 해도 안 되면 수평 꼬리 날개의 뒷부분(특히 끝부분)을 기수의 들림 정도에 따라 내린다.
- 이러한 조작을 통해 기체가 직선으로 활공하면 활공 조절은 완료된다.
- 마지막으로 수평 꼬리 날개를 기울여 놓는다. 이것을 스터브 틸트라고 하며, 기체를 선회시키는 데 필요한 조작이다. 좌선회를 시키고 싶을 경우 오른쪽 날개를 아래로 기울인다(기울기를 크게 하면 선회 반경이 작아진다). 우선회의 경우 반대 조작을 한다. 선회를 위해 에일러론, 러더,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것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기체의 균형을 크게 무너뜨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16]
6. 발사 방법
종이비행기 발사 방법에는 크게 손으로 던지는 방식(핸드 런치 글라이더, HLG)과 새총을 이용하는 방식(파칭코 런치 글라이더, PLG)이 있다.[1]
각 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을 참고.
6. 1. 손 던지기 방식
손 던지기 방식에는 "야구 던지기"와 "사이드암 런치(SAL)" 두 가지가 있다. 손 던지기 방식의 종이비행기는 동체나 주익이 "접착 구조"에서 "중공 구조"로 진화하여, 활공 성능이 더 높은 대형기(날개 폭 약 250mm 이상)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핸드 런치는 새총과는 달리, 사람의 몸 움직임이나 생각 방식 등에 따라 던지는 방식에 차이가 나타나기 쉽기 때문에, 이 항목에 쓰여진 내용은 참고로 읽어야 한다.- 야구 던지기
기체를 잡는 방식은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을 펴서 주익 뒤쪽에 걸고, 동체를 엄지와 약지로 잡는다. 던지는 방법은 사람이나 기체에 따라 다르지만, 주요 던지는 방법으로는 기체를 45도에서 60도로 기울여 오른쪽 위로 던져 올린다. 왼손으로 던지는 경우는 동작이 반대가 된다.
- 사이드암 런치
주로 날개 폭이 300mm를 넘는 기체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오른손잡이의 경우 왼쪽 날개의 날개 끝 또는 날개 끝에 붙어있는 "페그"라는 돌기를 잡고, 야구의 사이드 스로우와 같은 움직임으로 기체를 던진다. 기체가 손에서 떨어지는 순간, 기체의 롤 축, 피치 축의 각도가 수평이 되도록 주의한다. 꼬리 날개 설계도 중요하며, 안정성이 뛰어난 Y자 꼬리 날개가 자주 사용된다. 야구 던지기용 기체와는 달리, SAL용 기체에는 던져 올릴 때 후부 동체에 큰 부하가 걸리므로, 동체는 강성을 더 높일 필요가 있다.
6. 2. 새총 발사 방식
새총 발사 방식은 지지대 끝에 연결된 고무를 기체의 고리에 걸어 늘어난 고무가 수축하는 에너지로 기체를 발사하는 방식이다. 상승 궤도에 따라 "나선형 상승"과 "수직 상승"으로 나눌 수 있다.- 나선형 상승: 미리 왼쪽으로 선회하도록 조정한 기체를 오른쪽으로 45도~60도로 기울여 지면에 대해 30도~45도 각도로 발사하는 방식이다. 기체는 크게 오른쪽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고, 그 후 왼쪽으로 선회하면서 하강한다(오른손잡이의 경우). 기체 무게가 큰 기체(프로필 기)는 상승과 활공 모두 오른쪽으로 선회하는 것이 좋다.
- 수직 상승: 지면에 대해 80도~90도 각도로 기체를 발사한다. 기체를 공중제비 없이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독특한 기체 설계와 고도의 기체 조정 기술이 필요하다.
- 기체의 크기: 전일본 종이비행기 선수권 대회에서는 2009년까지 진행되었던 종목에 전폭 185mm 이상이라는 경기 규정이 있었다.
7. 세계 기록
종이비행기의 비행 거리 및 시간 기록은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어 관리되고 있다. 오랫동안 종이 비행기를 날려 기록을 깨려는 시도가 여러 번 있었다. 켄 블랙번은 1983년부터 1996년까지 13년 동안 기네스 세계 기록을 보유했으며, 1998년 10월에는 종이 비행기를 27.6초 동안 공중에 유지하여 자신의 기록을 되찾았다.
2022년 12월 2일에는 디론 루블이 네이서니얼 에릭슨과 개럿 젠슨의 도움을 받아 미국 인디애나주 크라운 포인트에서 88.318m(약 88.09m 약 22.86cm)의 비행 거리로 새로운 세계 기록을 세웠다.
실내 비행 시간 기록은 2009년 (헤이세이 21년) 4월 11일, 일본 종이접기 비행기 협회(현 종이접기 비행기 협회) 회장인 토다 타쿠오일본어가 히로시마현후쿠야마시에 있는 히로시마현립 후쿠야마 산업 교류관(빅 로즈)의 실내 환경(무풍 환경)에서 A5 용지 크기의 사탕수수 가공 종이를 자르지 않고 만든 종이비행기 (종이접기 비행기)를 사용하여 27.9초를 기록하며 갱신했다.[24]
7. 1. 실내 비행 거리 기록
2012년 2월 26일, 전 미식축구 선수인 미국인 조 에이보|Joe Ayoob영어는 미국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맥클레란 공군 기지|McClellan Air Force Base영어의 실내(무풍) 환경에서 A4 용지 크기의 종이를 자르지 않고 만든 종이비행기(종이접기 비행기, 디자인: 존 M. 콜린스)를 사용하여 69.1388m(약 68.88m 약 25.40cm)의 비행 거리를 기록하며, 기네스 세계 기록을 갱신했다[22][23]. 갱신 전 세계 기록은 스티븐 크리거가 2003년에 기록한 63.1952m(약 63.09m 약 10.16cm)이었다[23].7. 2. 실내 비행 시간 기록
2010년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서 토다 타쿠오일본어(戸田拓夫)가 세운 종이비행기 실내 비행 시간 최고 기록은 29.2초이다.[22] 이 기록은 2021년까지 깨지지 않고 있다.8. 현대적 응용 및 확장
현대에는 종이비행기가 단순한 장난감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 우주 비행 ===
JAXA는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종이비행기를 발사하는 것을 고려했으나, 비행기가 지구로 돌아오는 일주일 동안 추적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시도를 연기했다.[17]
2011년 2월, 독일 상공 약 37.01km 높이의 기상 관측 기구 아래에서 200대의 종이비행기가 발사되었다. 이 비행기들은 시속 100mph의 강풍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비행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유럽, 캐나다, 인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 등지에서 발견되었다.[18]
2015년 6월 24일, 영국 케스그레이브 고등학교의 한 동아리가 종이비행기 발사 최고 고도 세계 기록(35043m)을 달성했다.[19]
=== 문화 콘텐츠 ===
- AKB48의 노래 365일의 종이비행기 (2015년)
- 닌텐도의 컴퓨터 게임 종이 비행기 (2008년)
8. 1. 우주 비행
JAXA는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종이비행기를 발사하는 것을 고려했으나, 비행기가 지구로 돌아오는 일주일 동안 추적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시도를 연기했다.[17] 개발자들은 중국이나 러시아가 이 프로젝트를 지원해주기를 바라고 있다.[17]2011년 2월, 독일 상공 약 37.01km 높이의 기상 관측 기구 아래에서 200대의 종이비행기가 발사되었다. 이 비행기들은 시속 100mph의 강풍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비행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유럽, 캐나다, 인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 등지에서 발견되었다.[18]
2015년 6월 24일, 영국 케스그레이브 고등학교의 한 동아리가 종이비행기 발사 최고 고도 세계 기록(35043m)을 달성했다.[19]
8. 2. 문화 콘텐츠
- AKB48의 노래 365일의 종이비행기 (2015년)
- 닌텐도의 컴퓨터 게임 종이 비행기 (2008년)
참조
[1]
서적
Paper Airplanes: Models to Build and Fly
https://books.google[...]
Lerner Publications
2011-08-01
[2]
웹사이트
Did people fly paper airplanes before real airplanes were invented?
https://www.vox.com/[...]
2024-01-06
[3]
서적
The Wind and Beyond
Little, Brown and Company
1967
[4]
서적
Fantastic flight
10 Speed Press
[5]
웹사이트
Creating precision architectural drawings with CAD drafting software
https://www.3ds.com/[...]
2024-12-17
[6]
뉴스
LIGHT FLIGHT
1988-09-23
[7]
서적
The Great International Paper Airplane Book
1967
[8]
뉴스
Japanese man sets record for paper plane flight
https://www.telegrap[...]
2009-05-18
[9]
웹사이트
Paper Airplanes
http://www.paperplan[...]
Paperplane.org
2009-06-22
[10]
뉴스
Engineer's record-breaking hopes sail on paper wings – October 8, 1998
http://www.cnn.com/U[...]
CNN
2009-06-22
[11]
웹사이트
Longest flying paper aircraft- duration
https://www.guinness[...]
2023-03-03
[12]
웹사이트
Farthest flight by a paper aircraft
https://www.guinness[...]
2023-02-27
[13]
웹사이트
Paper Airplane: The World's Best Paper Airplane is the Paperang
http://paperang.com/
Paperang.com
2009-06-22
[14]
웹사이트
The Paper Airplane Flight Simulator: Workman Publishing
http://www.workman.c[...]
Workman.com
2009-06-22
[15]
서적
Fantastic flight
10 Speed Press
[16]
서적
Build and Pilot Your Own Walkalong Gliders
http://www.walkalong[...]
McGraw-Hill
[17]
뉴스
Paper plane enthusiast sets flight record
https://www.theguard[...]
guardian.co.uk
2009-12-31
[18]
뉴스
Paper Airplanes Launched From Space, Soar Back to Germany, Australia, Canada
http://www.foxnews.c[...]
2012-02-29
[19]
웹사이트
Highest altitude paper plane launch
http://www.guinnessw[...]
[20]
웹사이트
Lesson: Take Off with Paper Airplanes
https://www.teacheng[...]
TeachEngineering
2019-07-25
[21]
서적
Games and sports for young boys
https://books.google[...]
ROUTLEDGE, WARNE, AND ROUTLEDGE
1859
[22]
웹사이트
今週のギネス世界記録【8月27日~8月31日】
http://japangenki.co[...]
ギネス・ワールド・レコーズ 地域活性化委員会
2012-09-13
[23]
웹사이트
Joe Ayoob sets paper airplane record
http://espn.go.com/e[...]
ESPN
2012-09-14
[24]
웹사이트
速報! ギネス記録更新!
http://www.oriplane.[...]
日本折り紙ヒコーキ協会
2012-09-14
[25]
웹사이트
Ken Blackburn's Paper Airplanes
http://www.paperplan[...]
Ken Blackburn
2012-09-13
[26]
서적
Paper Airplanes: Models to Build and Fly
https://books.google[...]
Lerner Publications
2011-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