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이끼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뿔이끼류는 잎 모양의 배우체와 뿔 모양의 포자체를 특징으로 하는 식물군이다. 배우체는 남세균과 공생하며, 엽록체 내에 피레노이드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에 특화되어 있다. 포자체는 분열 조직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포자를 방출한다. 뿔이끼류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뿔이끼식물문으로 분류된다. 계통 분류는 다양하게 제시되었으나, 현재는 우산이끼류, 선태식물과 함께 단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 세계적으로 약 150종이 있으며, 한국에는 6속 17종이 보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각태식물 - 덴드로케로스과
덴드로케로스과는 태류 식물 분류군이며, Phaeomegacerotoideae와 Dendrocerotoideae의 두 아과로 구성된다. - 각태식물 - 레이오스포로케로스 둣시
- 식물의 문 - 이끼
이끼는 선태식물에 속하는 작은 크기의 식물로, 전 세계 육상 서식지에 널리 분포하며, 광합성을 통해 영양을 공급하고 포자를 통해 번식하며, 정원, 건축, 의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식물의 문 - 마황문
마황문은 마황속, 구네툼속, 웰위치아속을 포함하는 종자식물 분류군으로, 은행나무목과 BEG 그룹을 형성하며, 독특한 잎과 생식 기관 형태, 그리고 도관을 가지는 등 형태적 다양성을 보이고, 초기 백악기부터 현재 건조 지역, 열대 우림, 나미브 사막에 분포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뿔이끼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계 | 식물계 |
아계 | 녹색식물아계 |
아계 계급 없음 | 스트렙토식물 |
상문 계급 없음 | 육상식물 |
문 | 뿔이끼식물문 |
학명 | Anthocerotophyta |
명명자 | Stotler & Stotl.-Crand. |
발표 연도 | 1977년 |
이명 | Anthocerotae |
영어 이름 | hornworts, anthocerotes |
하위 분류 | |
하위 분류 | 본문 참조 |
수업 및 목 | |
이미지 | |
![]() |
2. 특징
뿔이끼류는 배우체와 포자체 모두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뿔이끼류의 배우체는 잎 모양으로 기어나가며, 원사체 및 헛뿌리는 선류와 같다. 엽상체의 세포는 1개 또는 몇 개의 큰 엽록체를 가지고 있지만, 지방 입자와 선모는 존재하지 않는다. 포자체는 밑부분에 분열 조직이 있어서 생장을 계속하는데, 매우 튼튼하며 포자를 살포하면서 끝에서부터 말라죽는다. 꼬투리자루는 없고 꼬투리에는 기둥축과 기공은 있으나, 선개·연치는 없다. 포자는 꼬투리벽이 비틀어지거나 탄사 또는 헛탄사의 운동에 의해서 방출된다. 헛탄사는 탄사와 달리 몇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포막에는 나선 모양의 비후가 없다.
2. 1. 배우체
뿔이끼류의 배우체는 잎 모양으로 기어나가며, 원사체 및 헛뿌리는 선류와 같다. 엽상체의 세포는 1개 또는 몇 개의 큰 엽록체를 가지고 있지만, 지방 입자와 선모는 존재하지 않는다.[3] 엽상체 내에는 점액질로 채워진 세포 간극(mucilage canal, mucilage chamber)이 존재한다.[37][36][39][38] 이 안에는 종종 '''질소 고정 능력을 가진 남세균(돌김속)이 세포 외 공생'''을 하고 있다.[37][36][39][38] 남세균은 엽상체 복면의 공에서 침입하여 간극 내에서 증식한다. 줄기뿔이끼속에서는 엽상체 축을 따라 얇은 선 모양의 간극이 형성되고, 여기에 남세균이 공생한다.[49] 이는 뿔이끼류만의 독특한 특징이다.세포 안에는 보통 '''1개의 큰 엽록체'''가 존재하며, 엽록체 안에는 루비스코(광합성에서 이산화 탄소를 고정하는 효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백질 덩어리인 '''피레노이드'''가 존재한다.[37][39][38][44] 이는 육상 식물 중에서 특이한 현상이며, 많은 녹조류와 유사하다. 다른 육상 식물에서는 피레노이드가 없는 원반 모양 엽록체가 하나의 세포 안에 다수 존재한다. 피레노이드는 광합성에서의 이산화 탄소 농축 기구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45]
2. 2. 포자체
포자체는 밑부분에 분열 조직이 있어서 생장을 계속하며, 매우 튼튼하고 포자를 살포하면서 끝에서부터 말라죽는다.[12] 꼬투리자루는 없고 꼬투리에는 기둥축과 기공은 있으나, 선개·연치는 없다. 포자는 꼬투리벽이 비틀어지거나 탄사 또는 헛탄사의 운동에 의해서 방출된다. 헛탄사는 탄사와 달리 몇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포막에는 나선 모양의 비후가 없다.[13][14]포자낭(삭)은 가늘고 긴 뿔 모양이며, 기부는 배우체 유래의 구조인 포막(involucre)으로 둘러싸여 있다.[37][36][39][38] 배우체와 달리, 포자낭의 표피 세포는 보통 엽록체를 갖지 않는다. 또한 표피에는 보통 2개의 공변 세포로 둘러싸인 '''기공이 존재'''하며, 공변 세포는 엽록체를 포함한다.[39] 뿔이끼류의 기공은 기본적으로 개폐 능력이 없어, 포자낭을 건조시키는 것이 주요 기능이라고 생각된다.[47] 키노보리뿔이끼아과나 뿔이끼모속의 포자체는 기공을 갖지 않는다.[47] 표피 안쪽에는 엽록체를 포함하는 동화 조직(assimilatory tissue)이 존재하고, 그 안쪽에 포자를 형성하는 세포, 중앙에 '''축주''' (columella)가 있다.[37][36][39][38] 포자낭은 선단에서 차례로 성숙하고, '''선단에서 2개의 세로 열로 갈라져 포자와 유사 탄사'''(pseudoelater)를 방출한다.[47] 태류의 탄사와 달리, 뿔이끼류의 유사 탄사는 보통 명료한 세포벽의 나선형 비후를 갖지 않으며, 종종 여러 세포로 구성된다.
3. 생활사
뿔이끼류의 생활사는 반수체 포자에서 시작하여 배우체와 포자체를 거치는 세대 교번을 한다.[18][19]
배우체는 보통 자웅동주이지만, 자웅이주인 종도 있다.[37][36][39] 배우자낭 (장정기, 장란기)은 배우체의 뒷면에 묻힌 상태로 형성된다. 장란기는 복부와 경부로 이루어진 플라스크 모양이지만, 배우체 뒷면에 거의 묻혀있다.[36][39][38] 이 특징은 다른 선태식물과 달리 관다발식물과 유사하다.
배우체 뒷면의 함입부(장정기강) 바닥에 1~80개의 장정기가 형성된다.[39] 정자는 가늘고 꼬여 있지만, 다른 선태식물의 정자와 달리 세포 구조는 좌우 대칭이며 꼬이는 방향이 반대이다.[39][46] 방출된 정자는 장란기에 도달하여 수정한다.
접합자(수정란)는 장란기 안에 머물며 포자체로 성장한다.[37][36][39][38] '''접합자의 첫 번째 분열은 종 방향으로 일어난다''' (우산이끼류나 선류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분열).[39] 처음에는 발이 형성되고, 그 윗부분의 분열 조직에서 포자낭(삭)이 차례로 형성되어 간다.[39] 발생 초기 포자낭은 배우체에서 유래하는 포막에 싸여 있다.
포자낭은 보통 선단부에서부터 차례로 성숙하여 포자와 가짜 탄사(偽弾糸)를 형성한다.[39] 포자는 감수 분열에 의해 형성되는 단상의 구조이지만, 가짜 탄사는 복상의 구조이다. 가짜 탄사는 건습 운동(수분량 변화에 의해 변형)을 하여 포자의 효과적인 산포에 기여한다고 생각된다.[39] 포자낭은 선단부에서 2개로 세로로 갈라져 포자와 가짜 탄사를 방출한다.[37][36][39][38]
포자 중에는 두껍고 흑갈색의 세포벽을 가지고 20년 이상 휴면 가능한 것도 있고, 얇고 투명한 세포벽을 가지고 단명한 것도 있다.[39] 포자는 발아하여 판상 또는 짧은 실 모양의 원사체를 형성한다. 원사체는 그다지 발달하지 않고 단일의 엽상체를 형성한다.[37][36][39][38]
다른 선태식물과 마찬가지로 뿔이끼류에서도 무성 생식이 널리 관찰된다.[39]
4. 생태
뿔이끼류는 전 세계의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널리 분포하며, 대부분 습한 나지에서 자란다.[38] 또한, 계류 주변의 암반이나 살아있는 나무의 수간에 착생하는 경우도 있다.[37][38]
뿔이끼류의 엽상체 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질소 고정 능력을 가진 남세균의 네마주름속이 공생하고 있다.[37][39][38][49] 이 공생 남세균은 뿔이끼류와 상리 공생 관계를 맺고 있으며, 고정된 질소 화합물을 뿔이끼류에 제공하고 뿔이끼류로부터 생육 환경을 제공받는다.
뿔이끼류의 배우체에는 보통 글로무스류 또는 아츠기케곰팡이류에 속하는 균근균이 공생하고 있다.[47][50] 두 균류가 동시에 공생하는 경우도 많다. 한편, 키노보리뿔이끼속 등은 균근균을 가지지 않는다.
5. 진화
뿔이끼류는 육상 식물 중에서 초기 육상 식물 조상의 가장 초기에 분화된 계통 중 하나로, 데본기 이전에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21] 뿔이끼류와 선태식물(이끼류와 우산이끼류) 사이의 분기는 4억 7900만 년 전에서 4억 5000만 년 전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23] 현존하는 뿔이끼류의 마지막 공통 조상은 약 2억 7500만 년 전 중기 페름기에 살았다.[24] 최근 연구에 따르면, 뿔이끼류는 선태식물 중에서 가장 먼저 분기했으며, 우산이끼류와 선태식물이 뿔이끼류보다 서로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25]
현생군 뿔이끼류의 화석 기록은 상부 백악기에 이르러서야 시작되지만, 하부 데본기의 ''Horneophyton''은 지붕에 부착되지 않은 중앙의 포자낭 기둥을 가지고 있어 분지군의 조상으로 여겨질 수 있다.[21] 그러나, 동일한 형태의 기둥은 Sphagnopsida 및 Andreaeopsida와 같은 기저 이끼 그룹의 특징이기도 하며, 기공을 가진 모든 초기 육상 식물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해석되어 왔다.[22]
다른 육상 식물과 달리 뿔이끼류 게놈은 일부 조류 종에서도 발견되는 낮은 이산화 탄소(CO2) 유도성 B 유전자 (LCIB)를 가지고 있다. 이산화탄소의 확산 속도는 물보다 공기 중에서 10,000배 더 높기 때문에 수생 조류는 광합성 RuBisCo 단백질이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엽록체에 CO2를 농축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LCIB는 이러한 CO2 농축 메커니즘의 한 구성 요소이다.[26]
뿔이끼류는 녹조류적인 특징 (피레노이드를 포함하는 1개의 엽록체 등), 우산이끼류적인 특징 (조정기의 발생 양식 등), 선태식물적인 특징 (축주를 가진 포자낭 등), 관다발식물적인 특징 (매몰된 장란기 등)을 함께 가지고 있어, 그 계통 위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었다.[39][51] 또한 분자 계통 분석에서도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었다.
| | | | | |
2000년대 중반 이후, 현생 육상 식물 중에서, 우산이끼류가 먼저 분기하고, 다음에 선태식물이 분기, 그리고 뿔이끼류와 관다발식물이 자매군이 된다는 관계 (위 표의 '''3''')가 비교적 널리 받아들여지게 되었다.[55][56][57] 이 관계에서는, 뿔이끼류와 관다발식물에 공통되는 형질 (매몰된 장란기, 포자체에 항구적인 분열 조직, 세포벽에 자일란이 포함) 은, 양자의 공유 파생 형질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58]
그러나 2010년대 중반 이후, 보다 상세한 분자 계통 분석에 근거하여, 선태식물의 3군 (우산이끼류, 선태식물, 뿔이끼류) 이 단계통군을 구성하고 있다는 가설이 지지받게 되었다.[59][60] 선태식물 3군 중에서는 뿔이끼류가 가장 먼저 분기하고, 우산이끼류와 선태식물이 자매군이 된다. 이 경우, 뿔이끼류와 관다발식물에 공통되는 형질은 현생 육상 식물 전체의 공통 조상의 형질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6. 계통 분류
뿔이끼류는 녹조류, 우산이끼류, 선태식물, 관다발식물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어, 그 계통 위치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있었다.[39][51] 분자 계통 분석에서도 여러 가설이 제기되었다.
caption=2. 선태식물 + 관다발식물의 자매군[53] | align=center | width= | clades={{clade| style=font-size:80%;line-height:100% | label1=육상 식물 | 1={{Clade | 1=우산이끼류 | 2={{Clade | 1=뿔이끼류 | 2={{Clade | 1=선태식물 | 2=관다발식물 | | | caption=3. 관다발식물의 자매군[55] | align=center | width= | clades={{clade| style=font-size:80%;line-height:100% | label1=육상 식물 | 1={{Clade | 1=우산이끼류 | 2={{Clade | 1=선태식물 | 2={{Clade | 1=뿔이끼류 | 2=관다발식물 | | | caption=4. 우산이끼류+선태식물의 자매군[59][54] | align=center | width= | clades={{clade| style=font-size:80%;line-height:100% | label1=육상 식물 | 1={{Clade | 1={{Clade | 1={{Clade | 1=우산이끼류 | 2=선태식물 | 2=뿔이끼류 | 2=관다발식물 |
2000년대 중반 이후, 현생 육상 식물 중에서 우산이끼류가 먼저 분기하고, 선태식물이 그 다음, 뿔이끼류와 관다발식물이 자매군이 된다는 관계 (위 그림 '''3''')가 널리 받아들여졌다.[55][56][57] 이 경우 뿔이끼류와 관다발식물에 공통되는 형질(매몰된 장란기, 포자체에 항구적인 분열 조직, 세포벽에 자일란 포함)은 양쪽의 공유 파생 형질로 볼 수 있다.[58]
그러나 2010년대 중반 이후, 더 자세한 분자 계통 분석을 통해 선태식물의 3군 (우산이끼류, 선태식물, 뿔이끼류)이 단계통군을 이룬다는 가설이 지지를 받았다.[59][60] (위 그림 '''4'''). 이 경우 뿔이끼류가 선태식물 3군 중 가장 먼저 분기하고, 우산이끼류와 선태식물이 자매군이 된다. 뿔이끼류와 관다발식물에 공통되는 형질은 현생 육상 식물 전체의 공통 조상 형질일 가능성이 있다.
뿔이끼류는 초기 육상 식물 조상의 가장 초기에 분화된 계통 중 하나로 데본기 이전에, 이끼류 및 우산이끼류와 비슷한 시기에 기원했다.[25]
다음은 유배식물의 계통 분류이다.[75][76][77][78][79][80][81]
{{분지군| style=font-size:85%; line-height:85%
|분류1=유배식물
|1={{분지군
|분류1=선태식물
|1={{분지군
|1=뿔이끼문
|2={{분지군
|1=선태식물문
|2=우산이끼문
}}
}}
|분류2=다포자낭식물
|2={{분지군
|1=?† Taeniocradales
|2=† 호르네오피톤강
|3={{분지군
|1=† ''Aglaophyton''
|분류2=관다발식물
|2={{분지군
|1=?† Yarraviales
|2=† Rhyniopsida
|분류3=Eutracheophytes
|3={{분지군
|1=?† Cooksoniales
|2=?† Renaliaceae
|3=석송문
|분류4=진엽식물
|4={{분지군
|1=† Eophyllophyton
|2={{분지군
|1=† Trimerophytopsida
|2={{분지군
|분류1=Moniliformopses
|1=양치류
|분류2=Radiatopses
|2={{분지군
|1=† ''Pertica''
|분류2=목질식물
|2={{분지군
|1=?† Cecropsidales
|2=?† Noeggerathiopsida
|3=† Aneurophytopsida
|분류4=Metalignophytes
|4={{분지군
|1=† 고양치류
|2={{분지군
|1=† Protopityales
|2=종자식물
}}
}}
}}
}}
}}
}}
}}
}}
}}
}}
}}
뿔이끼류의 분류에 사용된 구조적 특징은 엽록체의 해부학적 구조와 세포 내 엽록체 수, 피레노이드의 존재, 웅성기 내의 수정기 수, 수정기의 자켓 세포 배열 등이다.[29]
아래의 표는 뿔이끼강의 현재 계통수 및 구성을 나타낸다.[30][32][33][34]
style="background:#fff; padding:2.5px; font-size:85%" | | {{clade| style=font-size:100%;line-height:100% | 1={{clade | label1=라이오스포로케로토프시다 | 1={{clade | label1=라이오스포로케로탈레스 | 1={{clade | label1=라이오스포로케로스과 | 1=라이오스포로케로스 | label2=안토케로토프시다 | 2={{clade | 1={{clade | label1=안토케로탈레스 | 1={{clade | label1=안토케로스과 | 1={{clade | 1=폴리오케로스 | 2={{clade | 1=스파에로스포로케로스 | 2=안토케로스 | 2={{clade | 1={{clade | label1=노토틸라달레스 | 1={{clade | label1=노토틸라과 | 1={{clade | 1=노토틸라스 | 2=파이오케로스 | 2={{clade | label1=피마토케로탈레스 | sublabel1=피마토케로스과 | 1={{clade | 1=피마토케로스 | label2=덴드로케로탈레스 | sublabel2=덴드로케로스과 | 2={{clade | label1=파이오메가케로스아과 | 1=파이오메가케로스 | label2=덴드로케로스아과 | 2={{clade | 1=노토케로스 | 2={{clade | 1=메가케로스 | 2=덴드로케로스 |
6. 1. 하위 분류
뿔이끼류는 전통적으로 선태식물문(Bryophyta) 내의 강(class)으로 간주되었다. 이후 선태식물은 분류학적 관계가 불완전한 그룹으로 간주되었고, 뿔이끼류는 자체적인 문인 '''Anthocerotophyta'''를 부여받았다. 그러나 최근의 계통발생학적 증거는 선태식물의 단계를 강하게 지지하며,[27] 뿔이끼류가 원래의 강인 '''Anthocerotopsida'''로 재분류되어야 한다는 제안이 있었다.[28]
전통적으로 뿔이끼류에는 Anthocerotopsida 또는 더 오래된 '''Anthocerotae'''라는 단일 강이 있었다. 최근에는 매우 특이한 종인 ''Leiosporoceros dussii''를 위해 두 번째 강인 Leiosporocertotopsida가 분리되었다. 다른 모든 뿔이끼류는 Anthocerotopsida 강에 남아 있다. 이 두 강은 5개의 목으로 더 나뉘며, 각 목은 단일 과를 포함한다.
최근의 분자, 미세 구조 및 형태학적 데이터 연구를 통해 뿔이끼류의 새로운 분류가 이루어졌다.[30][31]
강 | 목 | 과 | 속 | 종 수 |
---|---|---|---|---|
라이오스포로케로토프시다 | 라이오스포로케로탈레스 | 라이오스포로케로스과 | 라이오스포로케로스 | 1종 |
안토케로토프시다 | 안토케로탈레스 | 안토케로스과 | 안토케로스 | 약 83종 |
폴리오케로스 | 17종 | |||
스파에로스포로케로스 | 2종 | |||
노토틸라달레스 | 노토틸라과 | 노토틸라스 | 21종 | |
파이오케로스 | 약 41종 | |||
파라피마토케로스 | 1-2종 | |||
핫토리오케로스 | 1종 | |||
메소케로스 | 2종 | |||
피마토케로탈레스 | 피마토케로스과 | 피마토케로스 | 2종 | |
덴드로케로탈레스 | 덴드로케로스과 | 덴드로케로스 | 43종 | |
메가케로스 | 8종 | |||
노토케로스 | 7종 | |||
파이오메가케로스 | 7종 |
전 세계에서 약 300~400종이 보고되었지만, 실제 종 수는 이보다 적어 약 150종 정도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39][61] 일본에서는 6속 17종이 보고되었다.[62]
20세기 중에는 뿔이끼류는 보통 5~6속 정도로 분류되었다.[47] 모든 종을 뿔이끼목 뿔이끼과에 분류하거나,[67] 1목 2과 (뿔이끼과와 뿔이끼붙이과),[68] 2목 3과 (뿔이끼목 뿔이끼과와 키노보리뿔이끼과, 뿔이끼붙이목・과),[69] 4목 5과 (뿔이끼목 뿔이끼과와 뿔이끼붙이과, 미야베뿔이끼목・과, 수지뿔이끼목・과, 키노보리뿔이끼목・과)로 분류하는[70] 등 다양한 분류 체계가 제안되었다.
이후 21세기에 들어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뿔이끼류 내의 계통 관계가 점차 밝혀졌다.[71] 그 결과, 기존의 속이 분할되어 다수의 속이 제안되었고, 2019년 현재에는 14속 정도로 나뉘는 경우가 많다.[39][73] 또한, 그 계통 관계에 기초하여, 뿔이끼류를 2강 5목 5과로 분류하는 체계가 제안되었다 (아래 표).
뿔이끼식물문 | ||||||||||||||||
---|---|---|---|---|---|---|---|---|---|---|---|---|---|---|---|---|
수지뿔이끼강 | ||||||||||||||||
* 수지뿔이끼목 | * 수지뿔이끼과 | * 수지뿔이끼속 | * 엽상체 축을 따라 튜브 모양의 틈새에 남세균이 공생 (줄처럼 보임). 엽록체는 1세포당 1개, 피레노이드는 없음. 조정기는 틈새 내에 다수 (–80개), 조정기 재킷은 세포가 4열. 포자체에 기공 있음. 정원 조직은 두꺼운 층 (6–9층). 포자는 황색, 매끄럽고, Y자형 또는 단조 홈 있음. 가짜 탄사(偽彈絲)는 길고, 보통 단세포, 두꺼운 벽. | |||||||||||||
뿔이끼강 | ||||||||||||||||
* 뿔이끼아강 (or ) | * 뿔이끼목 | * 뿔이끼과 | * 나가사키뿔이끼속 (뿔이끼속) | * 엽상체는 점액으로 채워진 큰 세포 간극을 가짐. 엽록체는 1(–4)개, 피레노이드를 가짐. 조정기는 틈새 내에 다수 (–45개), 조정기 재킷은 세포가 4열. 포자체에 기공 있음. 포자는 회색~흑색, Y자 홈과 가시를 가짐. 가짜 탄사는 얇은 벽. | * 미야베뿔이끼속 | * 엽상체는 점액으로 채워진 큰 세포 간극을 가짐. 엽록체는 1(–2)개, 때로는 피레노이드가 없음. 조정기는 틈새 내에 다수 (–60개), 조정기 재킷은 세포가 4열. 포자체는 때로는 기공이 없음. 포자는 회색~흑색, Y자 홈이 없음. 가짜 탄사는 두꺼운 벽, 가늘고 김. | * | * 엽상체는 점액으로 채워진 큰 세포 간극을 가짐. 엽록체는 1개, 피레노이드를 가짐. 포자체에 기공을 가짐. 포자는 짙은 갈색~흑색, Y자 홈은 퇴화됨. 가짜 탄사는 얇은 벽. | ||||||||
* 뿔이끼붙이아강 | * 뿔이끼붙이목 | * 뿔이끼붙이과 | * 뿔이끼붙이아과 | * 뿔이끼붙이속 | * 엽상체는 큰 간극을 갖지 않음. 엽록체는 1(–3)개, 때로는 피레노이드가 없음. 조정기는 간극 내에 2–4(–6)개. 포자체는 짧고 옆으로 향하며, 대부분 포막에 둘러싸여 있고, 기공이 없음. 때로는 중축을 잃음. 포자는 황색에서 흑색, 적도면의 환대를 가짐. 가짜 탄사는 퇴화되어 때로는 없음. | * 니와뿔이끼아과 | * 니와뿔이끼속 | * 엽상체는 큰 간극을 갖지 않음. 때로는 무성아를 가짐. 엽록체는 1(–2)개, 때로는 피레노이드가 없음. 조정기는 간극 내에 (1–)2–6(–8)개. 포자체는 기공을 가짐. 포자는 황색에서 갈색, 적도면의 환대를 가짐. 가짜 탄사는 얇은 벽. | * | * 엽상체는 큰 간극을 갖지 않음. 무성아를 가짐. 엽록체는 1(–2)개, 피레노이드가 없음. 조정기는 간극 내에 2–5개. 포자체는 기공을 가짐. 포자는 황색에서 흑갈색. 가짜 탄사는 단세포 또는 4세포. | * | * 엽상체는 큰 간극을 갖지 않음. 엽록체나 조정기에 관해서는 불명. 포자체는 기공을 가짐. 포자는 황색에서 갈색, Y자 홈이 없음. 가짜 탄사는 불규칙하게 비후. | * | * 엽상체는 큰 간극을 갖지 않음. 엽록체의 형태는 불명. 조정기는 간극 내에 2–3개. 포자체는 기공을 가짐. 포자는 짙은 갈색, Y자 홈이 없음. 가짜 탄사는 얇은 벽, 약간 비후. | ||
* 키노보리뿔이끼아강 | * 나가이모뿔이끼목 | * 나가이모뿔이끼과 | * 나가이모뿔이끼속 | * 엽상체는 큰 간극을 갖지 않음. 때로는 무성아를 가짐. 엽록체는 1(–2)개, 때로는 피레노이드가 없음. 조정기는 간극 내에 1–3(–4)개. 포자체는 기공을 가짐. 포자는 황색에서 갈색. 가짜 탄사는 얇은 벽. | * 키노보리뿔이끼목 | * 키노보리뿔이끼과 | * 미나미뿔이끼아과 | * 미나미뿔이끼속 | * 엽상체는 큰 간극을 갖지 않음. 계문상으로 세포벽이 비후된 세포가 존재. 엽록체는 1–2개, 피레노이드가 없음. 조정기는 간극 내에 보통 1개. 포자체는 기공을 가짐. 포자는 황색에서 갈색. 가짜 탄사는 얇은 벽 또는 불규칙하게 비후. | * 키노보리뿔이끼아과 | * | * 엽상체는 큰 간극을 갖지 않음. 중륵 있음 또는 우상 분지. 계문상으로 세포벽이 비후된 세포가 존재. 엽록체는 1–2(–8)개, 때로는 피레노이드가 없음. 조정기는 간극 내에 1(–2)개. 포자체는 기공이 없음. 포자벽은 무색에서 담황색이지만, 발달된 엽록체를 가져 녹색으로 보임. 가짜 탄사는 나선형의 비후를 가짐. | * 키노보리뿔이끼속 | * 수간에 착생. 엽상체는 때로는 큰 간극을 가짐. 명확한 중륵을 가짐. 계문상으로 세포벽이 비후된 세포가 존재. 엽록체는 1개, 피레노이드를 가짐. 조정기는 간극 내에 1개. 포자체는 기공이 없음. 포자는 다세포성 (포자 내 발아). 포자벽은 무색에서 담황색이지만, 발달된 엽록체를 가져 녹색으로 보임. 가짜 탄사는 나선형의 비후를 가짐. | * 아나나시뿔이끼속 | * 엽상체는 큰 간극을 갖지 않음. 계문상으로 세포벽이 비후된 세포가 존재. 엽록체는 1–8(–12)개, 피레노이드가 없음. 조정기는 간극 내에 1(–2)개. 포자체는 기공이 없음. 포자는 무색에서 담황색. 가짜 탄사는 나선형의 비후를 가짐. |
참조
[1]
논문
A checklist of the liverworts and hornworts of North America
American Bryological and Lichenological Society
[2]
웹사이트
What is a hornwort?
https://www.anbg.gov[...]
Australian National Botanic Gardens
2012-09-12
[3]
논문
Loss of Plastid Developmental Genes Coincides with a Reversion to Monoplastidy in Hornworts
2022
[4]
웹사이트
Hornworts: An Overlooked Window into Carbon-Concentrating Mechanisms - Villarreal Lab
https://villarreal-l[...]
[5]
논문
Hornwort pyrenoids, carbon-concentrating structures, evolved and were lost at least five times during the last 100 million years
2012-11-13
[6]
논문
Will an algal CO2-concentrating mechanism work in higher plants?
[7]
논문
Hornwort pyrenoids, carbon-concentrating structures, evolved and were lost at least five times during the last 100 million years
2012-11-13
[8]
뉴스
BTI researchers unlocking hornworts' secrets | EurekAlert! Science News
https://www.eurekale[...]
[9]
논문
The Evolution of Flavonoid Biosynthesis: A Bryophyte Perspective
2020
[10]
논문
Symbiosis between nitrogen-fixing cyanobacteria and plants
1998
[11]
서적
Stress Biology of Cyanobacteria: Molecular Mechanisms to Cellular Respons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12]
논문
How was apical growth regulated in the ancestral land plant? Insights from the development of non-seed plants
https://academic.oup[...]
2022-08-29
[13]
논문
Hornwort Stomata: Architecture and Fate Shared with 400-Million-Year-Old Fossil Plants without Leaves
2017
[14]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the Phylum Anthocerotophyta Stotl. & Crand.-Stotl.
https://bryology.uco[...]
[15]
논문
The deepest divergences in land plants inferred from phylogenomic evidence
2006-10-17
[16]
서적
The Evolution of Plant Physiology
Elsevier
[17]
논문
The evolution of plant development
Botanical Society of America (Wiley)
[18]
웹사이트
Bryophyte Biology
https://www.bfa.fcny[...]
[19]
웹사이트
NEW CLASSIFICATION OF ANTHOCEROTAE - J-Stage
https://www.jstage.j[...]
[20]
서적
Biology of Bryophytes
John Wiley & Sons
[21]
논문
The deepest divergences in land plants inferred from phylogenomic evidence
[22]
서적
The Origin and Early Diversification of Land Plants: A Cladistic Study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23]
논문
Divergent evolutionary trajectories of bryophytes and tracheophytes from a complex common ancestor of land plants
[24]
논문
The hornwort genome and early land plant evolution
[25]
논문
Anthoceros genomes illuminate the origin of land plants and the unique biology of hornworts
2020
[26]
논문
The hornworts: morphology, evolution and development
2021-01
[27]
논문
Large-Scale Phylogenomic Analyses Reveal the Monophyly of Bryophytes and Neoproterozoic Origin of Land Plants
[28]
논문
Nuclear protein phylogenies support the monophyly of the three bryophyte groups (Bryophyta Schimp.)
https://research-inf[...]
[29]
간행물
Generic concepts within hornworts: Historical review, contemporary insights and future directions
[30]
논문
Progress and challenges toward a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hornworts
[31]
웹사이트
Bryophyte phylogeny poster: systematics and Characteristics of Nonvascular Land Plants (Mosses, Liverworts, Hornworts)
https://www.research[...]
2022-12-06
[32]
논문
A synthesis of hornwort diversity: Patterns, causes and future work
http://mapress.com/p[...]
[33]
논문
Phylogenetic and morphological infrageneric classification of the genus Dendroceros (Dendrocerotaceae; Anthocerotophyta), with the addition of two new subgenera
https://doi.org/10.1[...]
[34]
웹사이트
The Bryophyte Nomenclator
https://www.bryoname[...]
2022-12-07
[35]
문서
英名の hornwort は被子植物のマツモ科 (マツモ目マツモ科) を意味することもある。
[36]
웹사이트
Phylum Anthocerotophyta
http://blogs.ubc.ca/[...]
Introduction to Bryophytes. Biology 321,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19-12-20
[37]
서적
日本の野生植物 コケ
平凡社
[38]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2) 植物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39]
서적
Bryophyte Biology.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논문
Taxonomic studies on Asian Anthocerotae III. Asian species of ''Megaceros''
[41]
논문
Physiological evaluation of the nutritional autonomy of a hornwort sporophyte
[42]
서적
Morphology of Plants and Fungi
Harper & Row, Publishers, Inc., New York, NY
[43]
논문
Antheridial plants of ''Megaceros aenigmaticus'' in the southern Appalachians: anatomy, ultrastructure and population distribution
[44]
논문
The anthocerote chloroplast: A review
[45]
논문
Variability of the pyrenoid-based CO2 concentrating mechanism in hornworts (Anthocerotophyta)
[46]
논문
Bryophyte phylogeny: advancing the molecular and morphological frontiers. The bryologist
[47]
논문
The hornworts: important advancements in early land plant evolution
[48]
논문
Horizontal gene transfer of a chimeric photoreceptor, neochrome, from bryophytes to ferns
[49]
논문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Nostoc'' strands in ''Leiosporoceros dussii'' (Anthocerotophyta): a novel symbiosis in land plants
[50]
논문
Fungal symbioses in hornworts: a chequered history
[51]
서적
Bryophyte Biology. 1st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논문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among bryophytes and tracheophytes based on combined data of plastid coded genes and the 18S rRNA gene
[53]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green algae" and" bryophytes"
[54]
논문
Chloroplast phylogeny indicates that bryophytes are monophyletic
[55]
논문
The deepest divergences in land plants inferred from phylogenomic evidence
[56]
논문
Complete plastome sequences of ''Equisetum arvense'' and Isoetes flaccida: implications for phylogeny and plastid genome evolution of early land plant lineages
[57]
논문
Inferring the higher-order phylogeny of mosses (Bryophyta) and relatives using a large, multigene plastid data set
[58]
웹사이트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http://www.mobot.org[...]
2017-07
[59]
논문
Conflicting phylogenies for early land plants are caused by composition biases among synonymous substitutions
[60]
논문
A phylotranscriptomic analysis of the origin and early diversi- fication of land plants
[61]
논문
日本産ツノゴケ類 (Anthocerotae) の検索表
[62]
논문
Checklist of Japanese liverworts and hornworts, 2018
[63]
문서
現在では、ツノゴケ綱はスジツノゴケ以外のツノゴケ類をまとめたグループに対する分類群名として用いられることが多い
[64]
문서
ただし上記のように、2019年現在ではコケ植物の3群が単系統群を構成しているとする考えが有力視されている。
[65]
서적
植物の系統と進化
裳華房
[66]
서적
Bryophyte Biology. 1st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서적
The Hepaticae and Anthocerotae of North America
East of the Hundredth Meridian
[68]
논문
New classification of Anthocerotae
[69]
논문
Cladistic analysis of the hornworts (Anthocerotophyta)
[70]
논문
A proposal for a new classification of the genera within the Anthocerotophyta
[71]
논문
Progress and challenges toward developing a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hornworts
[72]
논문
A synthesis of hornwort diversity: Patterns, causes and future work
[73]
서적
新しい植物分類学II
講談社
[74]
웹인용
Species 2000 & ITIS Catalogue of Life: 2014 Annual Checklist.
http://www.catalogue[...]
Species 2000: Reading, UK.
2015-09-24
[75]
간행물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76]
간행물
Brief history of the gymnosperms: classification, biodiversity, phytogeography and ecology
SANBI
[77]
간행물
Empire biota: taxonomy and evolution 2nd ed
Lulu.com
[78]
서적
The Tree of Life: A Phylogenetic Classifica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79]
간행물
The Interrelationships of Land Plants and the Nature of the Ancestral Embryophyte
http://linkinghub.el[...]
2018
[80]
간행물
Chloroplast Phylogeny Indicates that Bryophytes Are Monophyletic
https://academic.oup[...]
2004-10-01
[81]
간행물
Plastid phylogenomic analysis of green plants: A billion years of evolutionary history
https://doi.org/10.1[...]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