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준사관은 군대에서 장교와 부사관 사이의 계급으로,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을 갖춘 인력에게 부여된다. 준사관 제도는 영국 해군에서 시작되었으며, 초창기에는 항해, 경리, 군의 등 전문 분야의 민간인에게 국가가 인가장을 부여하여 일반 병사들과 다른 대우를 제공하면서 시작되었다. 국가별로 준사관의 지위와 역할, 계급 체계는 상이하며, 미국은 고도의 기술을 가진 단일 전문 분야의 장교로,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장교에 준하는 권한과 예우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준사관 | |
---|---|
계급 정보 | |
분류 | 준사관 |
영어 명칭 | Warrant Officer |
약자 | WO |
개요 | |
역할 | 부사관과 위관 장교의 중간 계급으로, 특정 분야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군대를 지원하는 역할 수행 |
대한민국 국군 | |
계급 | 준위 |
역할 | 항공기 정비 헬리콥터 조종 통번역 정보 분석 의무 법무 군악 등 |
임관 | 부사관으로 장기 복무 후 준사관 시험에 합격하거나, 민간에서 특수 기술/자격증을 가진 사람을 선발하여 양성 |
미군 | |
계급 | Warrant Officer 1 (WO1) Chief Warrant Officer 2 (CW2) Chief Warrant Officer 3 (CW3) Chief Warrant Officer 4 (CW4) Chief Warrant Officer 5 (CW5) |
역할 | 기술 전문가 지휘관 자문 특수 임무 수행 |
특징 | 위임된 장교이지만, 일반적인 장교와는 다른 역할 수행 |
기타 국가 | |
영국군 | Warrant Officer Class 1, Warrant Officer Class 2 계급 존재 |
캐나다군 | Warrant Officer (WO) 계급 존재 |
호주군 | Warrant Officer (WO) 계급 존재 |
싱가포르군 | Warrant Officer (WO) 계급 존재 |
2. 역사
근대 군대 창설기에 장교는 귀족이나 사족 출신으로 구성되어, 일반 하사관이 장교로 진급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따라 하사관 중 공로가 있는 자에게는 특별한 대우가 필요했는데, 장교도 하사관도 아닌 장교 상당의 대우를 제공하기 위해 준사관 제도가 마련되었다.[57][58]
영국과 미국의 Warrant Officer영어 (미국식으로는 워런트 오피서, 영국식으로는 워런트 오피서)라는 명칭과 계급은 초기 영국 해군에서 유래했다. 당시 귀족 출신 군인이 함장(captain)이나 부위(lieutenant)가 되어 왕이나 국가로부터 위임(commission])을 받은 장교(commissioned officer)로서 민간 배에 탑승하여 지휘했다. 이들은 배나 항해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여 배의 선장(master)이나 선원에게 기술적인 부분을 의존했다.
원래 군 지휘 계통은 아니었지만, 배의 상급 직책인 항해사, 경리관, 군의관, 종군 성직자, 수부장, 직인장 등에게 일반 수병이나 병사와 다른 대우와 권한을 주기 위해 왕 또는 국가로부터 인가장(warrant)을 부여했고, 이것이 워런트 오피서(준사관)가 되었다.[57][58] 미국의 warrant officer는 현재도 이러한 직능에 기반한 독립된 계급이다. 영국 해군에서 warrant officer의 역할, 직책, 계급, 명칭은 병기나 장비의 진보, 군의 시스템 변화 등으로 인해 장교와 하사관에게 각각 흡수되거나 사라졌다. 서유럽 여러 국가에서는 준사관을 더욱 세분화하는 경우가 많다.
2. 1. 기원
준사관 제도는 1546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초기 영국 해군에서 시작되었다.[1] 당시 군사 경험이 있는 귀족들이 신생 해군을 지휘하며 소위와 대위 계급을 채택했다. 이 장교들은 배에서의 삶, 특히 항해 방법에 대해 전혀 모르는 경우가 많았고, 배 운영의 기술적인 측면을 관리하는 선장과 다른 선원들의 전문성에 의존했다. 대포가 사용되면서 사격 전문가도 필요해졌고, 16세기에 전문적인 포수가 나타나면서 준사관 지위를 받았다.[2]대부분의 준사관은 읽고 쓸 수 있었는데, 이는 일반 선원들과 구별되는 요소였다. 해군본부 규정에 따르면 "저장품을 관리하는 직책에 임명되는 사람은 읽고 쓸 수 있고, 저장품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을 정도로 산술에 충분히 능숙해야 한다"라고 되어 있었다. 모든 준사관은 저장품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문맹자는 배제되었다.[3]
근대적 군대 창설기에 장교는 귀족, 사족 등의 계층 출신으로 구성되어 일반 하사관이 장교로 승진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하사관 중 공로가 있어 특별 대우해야 할 자에게 장교도 아니고 하사관도 아닌 장교 상당의 대우를 줄 필요가 생겼다. 그래서 마련된 것이 준사관 제도이다.
영국과 미국의 Warrant Officer영어 (미식으로는 워런트 오피서, 영식으로는 워런트 오피서)라는 명칭과 계급은 초기 영국 왕립 해군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귀족 출신 군인이 함장(captain)이나 부위(lieutenant)가 되어 왕 또는 국가로부터 위임(commission)을 받은 장교(commissioned officer)로서 민간에서 빌린 배에 탑승하여 지휘를 맡았다. 이들은 배나 항해 등에 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여 배의 선장(master)이나 선원에게 항해나 조종 등의 기술을 의존했다.
따라서 원래 군의 지휘 계통은 아니지만, 배의 상급 직책인 항해사, 경리관, 군의관, 종군 성직자, 수부장, 직인장 등에게 일반 수부나 병사와는 다른 대우와 권한을 주기 위해 왕 또는 국가로부터 인가장(warrant)이 주어졌고, 이것이 warrant officer(준사관)가 되었다.[57][58] 미국의 warrant officer는 현재도 이러한 직능에 기반한 독립된 계급이다. 영국 해군에서 warrant officer의 역할, 직책, 계급, 명칭은 병기나 장비의 진보, 군의 시스템 변화 등으로 인해 장교와 하사관에게 각각 흡수되거나 사라졌다. 서유럽 여러 국가에서는 준사관을 더욱 여러 등급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육군 준사관은 1875년 (메이지 8년) 9월 24일 육군 무관 관등표를 개정했을 때 포병과 공병에 상등감호(上等監護)를 두고, 군악부를 설치하여 악장(楽長)을 두었으며, 그 관등은 상등감호, 악장을 15등 중 열 등으로 하여 이를 준사관으로 한 것이 시작이다.[59] [60] [61]
이때 준사관은 전문 기술과 관련된 여러 기관 및 군악부에 배치되었으며, 이에 앞서 1874년 (메이지 7년) 11월에 공병 방면을 정하고 각 경영부를 폐지했으며,[66] 1875년(메이지 8년) 2월에 조병사·무고사의 양 사를 폐지하고,[68] 대신 포병 본 지창을 설치하는 등[69] 전문 기술과 관련된 여러 기관을 재편하고 있다.
포병과의 상등감호는 포병 방면 동 본 지창에 배치하고, 포창 제리에 직속하는 본국의 과를 각각 상등감호 1인에게 전담하게 했다.[72] 제1과는 본성 및 지창과의 왕복 및 근위· 여러 진대· 육군성 소속의 여러 아문과의 통보 사무를 주관하고, 본 지창 내 단속, 수문·사용 및 껴안은 인부 등의 감시를 관장했다.[72] 제2과는 본창·지창·속창의 제조, 경리·공정 진척·공임 지불·궁부 증감 등을 관리했다.[72] 제3과는 방면 내 여러 부에 대한 지급을 주관하고, 본창에서 지창으로 교부하거나 지창·속창에서 본창으로 수납하는 등의 여러 색의 건수를 기재하고, 그 운반 사무를 관리했다.[74]
공병과의 상등감호는 공병 방면에 배치하여 공역장의 등급에 이어, 방면 제리 및 원구장에 속하여 서무를 처리했다.[75] 상등감호의 급수는 조장 아래 부관 위에 있어서 곧바로 소위에 이르는 것으로 했다.[75] 상등감호는 제리 혹은 원구장에 속하여 장부 기재와 비용 회계, 사양 설계안·예산안을 작성하여 결재를 받았다.[77]
1875년 (메이지 8년) 11월 24일에 육군 무관 복제를 개정하여 준사관의 복제를 정했으며,[80] 준사관의 악장 및 포·공병과 상등감호의 복제는 소위에 준했다.[81]
2. 2. 18세기 영국 해군의 준사관
준사관 제도는 1546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초기 영국 해군에서 시작되었다.[1] 당시 군사 경험이 있는 귀족들이 신생 해군을 지휘하며 소위와 대위 계급을 사용했다. 이 장교들은 배에서의 삶, 특히 항해 방법에 대해 전혀 모르는 경우가 많았고, 배 운영의 기술적인 측면을 관리하는 선장과 다른 선원들의 전문성에 의존했다. 대포가 사용되면서 사격 전문가도 필요하게 되었고, 전문적인 포수는 16세기에 나타나기 시작해 준사관 지위를 받았다.[2]대부분의 준사관은 읽고 쓸 수 있었으며, 이는 일반 선원들과 구별되는 요소였다. 해군본부 규정에 따르면 "저장품을 관리하는 직책에 임명되는 사람은 읽고 쓸 수 있고, 저장품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을 정도로 산술에 충분히 능숙해야 한다"라고 되어 있었다. 모든 준사관은 저장품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문맹자는 배제되었다.[3]
준사관은 원래 전문 지식을 갖춘 전문가였으며, 그들의 전문성과 권위는 공식적인 인정을 요구했다.[3] 18세기에는 준사관은 두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선실과 갑판에서 장교들과 특권을 공유하는 준사관과 함선의 하위 계급 구성원들과 동등한 준사관이 있었다.[4] 이 둘 사이에는 상주 준사관이 있었는데, 이들은 함선이 운행을 중단했을 때(예: 수리, 재장착, 보급, 정박)에도 함선에 남아 있었기 때문에 주목할 만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들은 왕립 조선소의 급여와 감독을 받았다.
사관실에서 장교들과 함께 생활한 준사관은 다음과 같다.
- 항해사: 선임 준사관으로서, 숙련된 항해사이자 경험 많은 선원으로 돛을 조정하고, 선박 일지를 관리하며, 선박과 승무원의 안전성에 대해 함장에게 조언했다.
- 군의관: 환자와 부상자를 치료하고 건강 문제에 관해 함장에게 조언했다.
- 군수관: 승무원의 보급품, 식량, 급여를 담당했다.
19세기 초에는 해군 군목들도 사관실에서 함께 생활했는데, 이들 역시 준사관 신분이었으며 (다만 보통 더 큰 함선에만 배치되었다).
상근 부사관은 다음과 같다.[4]
- 갑판장: 선박의 보트, 돛, 돛대, 닻, 케이블의 유지 관리를 담당한다.
- 목수: 선박의 선체와 돛대의 유지를 담당한다.
- 포술장: 선박의 대포와 화약의 관리 및 유지를 담당한다.
그 외의 준사관으로는 군의관 보조, 뱃사공 보조, 목수 보조, 돛 제작자, 무기 담당관, 교사(배의 소년, 사관후보생 등을 교육하는 역할), 서기가 있었다. 선임 무장 장교는 이전에 함내 소화기 비치를 감독했지만, 이 시점에는 규율에 대한 책임을 맡게 되었다.
19세기 말까지, 계급 구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었다(준사관은 밑줄로 표시):

2. 3. 영국 해군 준사관 제도의 변화
1843년, 사관실 워런트 장교들은 위관 신분을 부여받았고, 1853년에는 하위 계급의 워런트 장교들이 새로운 계급인 주임상사로 흡수되어, 두 계급 모두 워런트 장교 신분을 잃게 되었다.[2] 1864년 7월 9일, 정규 워런트 장교는 워런트 장교와 주임 워런트 장교 (또는 "위관 워런트 장교", 1920년에 "워런트 계급에서 진급한 위관 장교"로 대체되었지만, 공식 문서에서도 여전히 "위관 워런트 장교"로 불렸다)의 두 계급으로 나뉘었다.[2]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왕립 해군에서 현대 기술을 채택하면서 이들의 계급은 통신사, 전기 기술자, 선거 기술자, 엔지니어, 기술자 등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2] 워런트 장교와 위관 워런트 장교는 모두 사관실이 아닌 워런트 장교의 식당에서 식사했다 (다만, 워런트 장교 식당이 없을 정도로 작은 함선에서는 사관실에서 식사했다).[2] 또한 워런트 장교와 위관 워런트 장교는 검을 휴대했고, 수병들에게 경례를 받았으며, 소위와 사관후보생 사이에 위치했다.[2]
1949년, 워런트 장교와 위관 워런트 장교의 계급은 "위관 장교"와 "선임 위관 장교"로 변경되었으며, 후자는 중위 계급과 동급이지만 그 다음이었고, 사관실에 입성하여 워런트 장교 식당은 문을 닫았다.[2] 이 장교들은 통칭 "분과 장교"로 불렸으며, 1956년에는 "특수 임무" 장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1998년, 특수 임무 목록은 왕립 해군의 일반 장교 목록과 통합되어, 모든 장교가 이제 최고 위관 계급에 도달할 수 있는 동일한 기회를 갖게 되었다.[2]
3. 국가별 현황
대한민국 국군과 미군의 준사관은 장교로 간주된다. 대한민국 국군의 준사관은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장교에 "준"하는 권한과 대우를 받는다. 반면, 유럽 군대, 영연방 국가 군대, 자위대 등에서는 준사관을 부사관/병사와 함께 사병으로 보거나, 일부 계급만 장교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들 국가에서는 부사관에서 별도의 신분 전환 없이 부사관 계급에 이어서 준사관으로 진급한다. 유럽 군대와 자위대의 준위는 미군의 상급 부사관에 해당한다. 유럽 군대와 영연방 국가 군대 (캐나다군, 호주군, 뉴질랜드군)에서는 준위가 한국군의 주임원사에 해당하는 주임준위 보직을 맡기도 하며, 자위대 역시 이와 동일하다.
국가마다 다른 대우로 인해 NATO 군의 공용 계급에서도 이는 다르게 취급된다. 유럽군의 준사관은 OR-7~OR-8, 즉 미군의 E-8~E-9인 주임원사급 대우를 받는 반면, 미군 준사관은 장교 대우이기 때문에 유럽군의 준사관을 포함한 모든 사병 인원들('OR계급')에게 장교로서 경례를 받으며 별도의 'WO계급' 분류로 구분된다.[36]
미군에서는 2014년 처음으로 주임준위를 신설했다. 육군의 경우 해당 보직의 공식 명칭은 육군선임준사관참모(Army Staff Senior Warrant Officer, ARSTAF SWO)이다.
아르헨티나군의 경우는 특이하게 이 계급이 별도의 군인 분류가 아니라, 장교와 완전히 통합되어 있다. 때문에 아르헨티나의 사관학교를 졸업하면 소위가 아닌 준위로 임관한다.
1877년 (메이지 10년) 2월 2일부터 육군 각 부대의 하부관에 재직 중인 조장은 준사관으로 처우하게 되었다.[84][85] 하부관의 설치는 준사관보다 오래되었으며 메이지 2년 무렵에는 총향도가 후일의 하부관과 같았다.[86] 반적봉환 이후 1870년 10월 26일 (메이지 3년 10월 2일)에 육군은 프랑스 방식을 참작하여 상비병을 편성하는 방침을 제시하고 각 번의 병도 육군은 프랑스 방식에 따라 점차 개정 편성해 갔을 때,[87] 보병 대대 등의 편성상 직무로서 하부관을 두고 있다.[88] 메이지 3, 4, 5년 무렵에 조장은 하부관의 직무를 맡는다고 하였으며,[89] 폐번치현 이후 1871년 (메이지 4년 8월) 이후 육군에서는 메이지 6년의 육군 무관 봉급표에서는 조장의 직무로서 하부관에게 증급이 있었다.[91][92] 메이지 8년의 육군 무관 복제에서는 하부관은 조장의 직무의 일부이지만, 하부관 조장의 소매장은 금선 1조에 내기 3조로 다른 조장보다 내기 1조를 더하여 구별했다.[93] 이후, 하부관에 재직 중인 조장은 준사관으로 처우하게 되었으므로, 1877년 (메이지 10년) 2월 26일에 육군 무관 복제를 추가 및 개정하여, 제병 하부관의 복제는 상등 감호와 마찬가지로 준사관의 것으로 개정되었다.[94]
1877년 (메이지 10년) 1월에 관등을 17등으로 증가시켰지만,[95] 1879년 (메이지 12년) 10월 10일 육군 무관 관등표에서는 준사관은 계속 10등으로 하였으며, 이 때 관명에 각 병과의 명칭을 붙이기로 하고, 종전의 상등 감호는 각각 포병 상등 감호, 공병 상등 감호가 되었다.[96]
1877년 (메이지 10년) 1월 29일부터 9월 24일에 걸쳐 서남 전쟁이 있었다.
1878년 (메이지 11년) 3월 13일에 육군 소위 시보 및 회계 군리 시보, 군의 시보, 마의 시보의 서열에 대해서는, 시보관이 준사관의 차석이 되어서는 직무상 그 적절성을 얻을 수 없으므로, 시보관을 준사관의 상석으로 정했다.[97][98]
1881년 (메이지 14년) 4월 28일에 개정된 육군 무관 진급 조례에서는, 포병, 공병 및 군악부의 준사관의 진급에 관한 규정을 두었다.[99]
1883년 (메이지 16년) 5월 4일 태정관 제21호 달로 육군 무관 관등표를 개정했다.[100] 장관 및 상당관 외에는 모두 관명에서 육군의 두 글자를 제외했다.[100][102] 군악부는 악장을 군악장으로 개정했다.[100][98]
1885년 (메이지 18년) 5월 5일 태정관 제17호 달에 의해 육군 무관 관등표를 개정하여 군악장의 관등을 고쳐 9등에 1등 군악장을 두고 군악부 장교로 하였으며, 10등에 2등 군악장을 두고 군악부 준사관으로 했다.
1920년 (다이쇼 9년) 8월 10일에 다이쇼 9년 칙령 제241호를 시행하여 육군 무관 관등표를 개정하고, 각 병과 위관(사관)란의 육군 보병, 기병, 포병, 공병, 수송병 준위를 삭제하고, 경리부 준사관란의 상등 계수 다음에 상등 봉공장, 상등 화공장을 더했으며, 위생부 준사관란의 상등 간호장 다음에 상등 마공장을 더했다.[147] 이 때, 고등관 관등 봉급령의 별표 제1표(문무 고등관 관등표)의 육군성의 부에서 육군 준위를 삭제했다.[147] 준위를 폐지했을 때, 소위 후보자 제도를 도입하여 현역 준사관에서 소위를 보충할 수 있도록 개정했다.
각 병과 위관 | 육군 보병 소위 | 육군 기병 소위 | 육군 포병 소위 | 육군 공병 소위 | 육군 수송병 소위 |
---|
경리부 준사관 | 육군 상등 계수 | 육군 상등 봉공장 | 육군 상등 화공장 | 위생부 준사관 | 육군 상등 간호장 | 육군 상등 마공장 |
---|
1922년 (다이쇼 11년) 10월에 시베리아에서 철병했다.
1925년 (다이쇼 14년) 5월 1일에 다이쇼 14년 칙령 제160호를 시행하여 육군 무관 관등표를 개정하고, 항공병을 독립된 병과로 하여, 육군 공병 대좌 항의 다음에 육군 항공병 대좌부터 육군 항공병 병장까지를 더했다.[149]
1931년 (쇼와 6년) 9월 18일에 만주 사변이 일어났다. 1932년 (쇼와 7년) 1월 28일에 제1차 상하이 사변이 일어났다. 1932년 (쇼와 7년) 3월 1일부터 일소 국경 분쟁이 시작되었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의 준사관은 기본 명칭에서 알 수 있듯 장교에 "준"하는 권한과 예우를 받는다. 미군의 경우 CWO-2 계급부터 공식적으로 미합중국 대통령의 명에 따라 사관들과 똑같이 장교 선서식을 거쳐 임관하게 되며, 위관급 장교와 동등한 권한을 보장받는다. 또한 사관과 마찬가지로 준사관부터는 사병들에게 경례를 받게 되고, 호칭 또한 Sergeant가 아닌 Sir 또는 Chief, Mr.로 바뀐다. 해군의 경우 CWO-2 이상부터 장교와 동일한 정모와 근무모 모표를 지급받는다.- '''육군 : '''특기참모(자신의 주특기 분야의 참모직으로 일한다.), 특전사 각종 교관, 기갑 정비과장, 항공 헬기 조종사(오직 헬기 조종만 담당하며 다른 업무는 일절 하지 않는다.)
3. 2. 미국
미국군에서 준사관(계급 W-1 ~ W-5)은 O-1 (NATO OF-1)보다 낮은 계급의 장교이다. 모든 준사관은 자신보다 하위 계급인 부사관 계급으로부터 경례를 받는다. 준사관은 고도의 기술을 가진 단일 전문 분야의 장교이며, 의회에서 이 계급을 승인했지만 각 군은 준사관을 약간씩 다른 방식으로 선발, 관리 및 활용한다. 준사관(W-1) 임명은 일반적으로 해당 군 참모총장이 영장을 승인한다. 그러나 이 계급에 대한 임명은 대통령의 임명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는 드문 경우이다. 선임 준사관 계급(CW-2 ~ CW-5)의 경우, 이 준사관들은 대통령의 임명을 받는다. 준사관과 선임 준사관은 정규 장교 (O-1 ~ O-10)와 동일한 선서를 한다.[36]소수의 준사관은 분견대, 부대, 활동, 함정, 항공기, 장갑차를 지휘하고, 부하들을 이끌고, 코칭하며, 훈련하고, 조언한다. 그러나 준사관의 주된 임무는 기술 전문가로서, 특정 분야의 사령관과 조직에 귀중한 기술, 지침 및 전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다.[36]
미국 우주군을 제외한 모든 미군에서 준사관 계급을 사용한다. 미국 공군은 기술적으로는 여전히 허가되었지만, 1959년에 새로운 준사관 임명을 중단하고, 1992년 공군 예비군에서 마지막 선임 준사관을 퇴역시켰다. 우주군은 공군으로부터 준사관 부족을 물려받았지만, 2021년 1월 인터뷰에서 초대 최고 부사관장인 로저 A. 토우버먼은 우주군이 이 문제를 연구하고 준사관을 도입할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년 2월, 미 공군 참모총장 데이비드 W. 앨빈 장군은 정보 기술 및 사이버 분야에서 기술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 공군이 준사관 계급을 다시 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78명의 미래 준사관으로 구성된 첫 번째 기수는 8월에 선발되었으며 2024년 10월 앨라배마주 맥스웰 공군 기지에서 훈련을 시작했다.[37][38]
미 육군은 준사관을 매우 많이 활용하며, 이를 항공병과 기술병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육군 항공 준사관은 회전익기와 고정익기를 모두 조종하며 육군 준사관의 가장 큰 그룹을 대표한다. 육군 기술 준사관은 정보, 군수, 보급, 헌병 또는 특수 부대와 같은 단일 병과 기술 분야를 전문으로 하며 사령관에게 조언과 지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헌병 장교와 정보 장교는 모두 자신의 분야에서 병과 자격을 갖추고 해당 직업의 전체 범위를 관리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광범위한 분야 내에서 준사관은 CID 특별 요원(헌병 내의 매우 구체적인 트랙) 및 방첩대 특별 요원(정보 내의 매우 구체적인 트랙)과 같은 전문가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 준사관은 (부사관과 같이) 전문 지식을 갖춘 병사를 허용하지만, 장교의 권한을 갖는다. 기술 준사관과 항공 준사관 모두 육군 준사관 후보 학교(WOCS)에서 초기 훈련과 병과 임무를 거친 후 병과별 훈련 및 교육 과정을 거친다. 기술 준사관은 일반적으로 부사관 계급(일반적으로 E-6 ~ E-9)에서 선발된다. 항공 준사관 후보는 주니어 사병 및 이전 복무 경험이 없는 민간인을 포함하여 모든 병과에서 지원할 수 있다(항공 준사관은 준사관 비행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입대한다).
미 해군과 미국 해안 경비대는 1975년에 W-1 계급을 폐지하고, 모든 신규 입대자를 선임 준사관 2급(급여 등급 W-2, 계급 약어 CWO2)으로 임명하고 임관시켰다. 이는 모든 해군 선임 준사관이 선임 하사관 급여 등급(E-7 ~ E-9)에서 엄격하게 선발되기 때문에 입대자가 받을 수 있는 급여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해안 경비대는 E-6 계급의 인원이 선임 준사관 계급에 지원할 수 있도록 허용하지만, E-7으로 진급하기 위한 연례 자격 목록에서 상위 50%에 들어 기술 능력을 입증한 후에만 가능하다. 2018년에 미 해군은 준사관 프로그램을 확장하여 사이버 준사관을 위해 W-1 급여 등급을 재실시하고 2019 회계 연도에 3명의 새로운 WO1을 수용했다.[39] 이는 2020년에 해군이 공중 차량 조종사(AVP) 프로그램을 도입하면서 더욱 확대되었다. AVP로 임관하는 인원은 W-1 계급을 수여받을 것이다.[40]
육군에서 준사관 1급(WO1) 계급을 가진 준사관은 공식적으로 "[성] 씨"로 호칭된다. 선임 준사관 2급으로 진급하면 "Chief"가 추가적인 호칭으로 허용된다. WO1은 또한 많은 병사들에게 비공식적으로 "Chief"로 불린다. 해군에서 준사관은 일반적으로 "[성] 씨", "선임 준사관" 또는 비공식적으로 계급에 관계없이 "Warrant"로 호칭된다.
미국 해사청(USMS)은 46 U.S. Code § 51701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교통부 해사청의 권한하에 있으며 준사관을 임명할 수 있다. 46 U.S. Code § 51701에 따라 USMS 계급 구조는 미국 해안 경비대와 동일해야 하며, 착용하는 제복은 USMS의 독특한 표식과 장치를 가진 미국 해군의 제복이어야 한다. USMS는 제2차 세계 대전 중과 이후에 다양한 전문 분야의 준사관을 임명했다.[41][42]
준사관 계급은 또한 사령관이 아닌 특정 선임 전문 장교, 예를 들어 선임 기술자 또는 헬리콥터 조종사에게 지위와 급여를 부여하기 위해 법 집행 기관에서 가끔 사용된다. 군대와 마찬가지로 이들은 상사보다 상위 계급이지만 소위보다 하위 계급이다. 예를 들어, 노스캐롤라이나주 고속도로 순찰대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여러 준사관 헬리콥터 조종사 직책을 가지고 있었다. WO 표식은 중앙에 검은색 사각형이 있는 은색 막대였다. WO 계급은 항공 프로그램이 확장되어 거의 20개의 기동대 조종사 직책이 만들어지면서 폐지되었다. 뉴욕주 경찰의 기술 소위 계급은 광범위한 기술 전문 지식을 갖춘 부사관에게 장교 권한을 부여하는 데 사용된다는 점에서 준사관 계급과 유사하다.
군 | CW5 또는 CWO5 | CW4 또는 CWO4 | CW3 또는 CWO3 | CW2 또는 CWO2 | WO1 |
---|---|---|---|---|---|
육군 | |||||
공군 | |||||
해병대 | |||||
해군 | |||||
해안 경비대 | 1994년에 설립되었으며, 아직 시행되지 않음 | 1975년에 폐지됨 |
3. 3. 기타 국가
국가마다 준사관에 대한 대우는 다양하다. 유럽 군대, 영연방 국가 군대, 자위대 등에서는 대한민국 국군이나 미군과 달리 준사관을 부사관/병사와 함께 사병으로 보거나, 일부 계급만 장교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들 국가에서는 부사관에서 별도의 신분 전환 없이 부사관 계급에 이어서 준사관으로 진급한다. 유럽 군대와 자위대의 준위는 미군의 상급 부사관에 해당한다. 유럽 군대와 영연방 국가 군대(캐나다군, 호주군, 뉴질랜드군)에서는 준위가 한국군의 주임원사에 해당하는 주임준위 보직을 맡기도 한다.NATO 군의 공용 계급에서도 이러한 차이가 반영된다. 유럽군의 준사관은 OR-7~OR-8, 즉 미군의 E-8~E-9인 주임원사급 대우를 받는다. 반면 미군 준사관은 장교 대우이므로, 유럽군의 준사관을 포함한 모든 사병 인원들('OR계급')에게 장교로서 경례를 받으며 별도의 'WO계급'으로 분류된다.
미군에서는 2014년에 처음으로 주임준위를 신설했다. 육군의 경우 해당 보직의 공식 명칭은 육군선임준사관참모(Army Staff Senior Warrant Officer, ARSTAF SWO)이다.
아르헨티나군은 준사관 계급이 별도의 군인 분류가 아니라 장교와 완전히 통합되어 있다. 따라서 아르헨티나의 사관학교를 졸업하면 소위가 아닌 준위로 임관한다.
근대적 군대 창설 초기에는 장교는 귀족, 사족 등의 계층 출신으로 구성되었고, 일반 하사관이 장교로 승진하는 것은 어려웠다. 따라서 하사관 중 공로가 있어 특별히 대우해야 할 사람에게 장교도 아니고 하사관도 아닌 장교 상당의 대우를 제공할 필요가 있었고, 이에 따라 준사관 제도가 마련되었다. 영국과 미국의 Warrant Officer영어 (미식으로는 워런트 오피서, 영식으로는 워런트 오피서)라는 명칭과 계급은 초기 영국 왕립 해군과 함께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군인인 귀족이 함장(captain)이나 부위(lieutenant)가 되어 왕 또는 국가로부터 위임(commission)을 받은 장교(commissioned officer)로서 민간에서 빌린 배에 탑승하여 지휘를 맡았다. 이러한 장교들은 배나 항해 등에 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여, 배의 선장(master)이나 선원에게 항해나 조종 등의 기술을 의존했다. 따라서 원래 군의 지휘 계통은 아니지만, 배의 상급 직책인 항해사, 경리관, 군의관, 종군 성직자, 수부장, 직인장 등에게 일반 수부나 병사와는 다른 대우와 권한을 주기 위해 왕 또는 국가로부터 인가장(warrant)이 주어졌고, 이것이 warrant officer(준사관)가 되었다.[57][58] 미국 warrant officer는 현재도 이러한 직능에 기반한 독립된 계급이다. 영국 해군에서 warrant officer의 역할, 직책, 계급, 명칭은 병기나 장비의 진보, 군의 시스템 변화 등으로 인해 장교와 하사관에게 각각 흡수되거나 사라졌다. 서유럽 여러 국가에서는 준사관을 더욱 여러 등급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NATO군 군인 계급 부호에서는 WO-1부터 WO-5까지의 부호가 부여되어 있지만, 각국에서 정의하는 준사관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준사관 제도의 형태는 국가에 따라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상급 하사관형
: 준사관 계급은 하사관으로 분류된다. 상급 하사관에게 장교에 준하는 대우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현재''' 영국군의 준사관 제도가 여기에 해당한다.
; 장교 상당관형
: 준사관 계급은 장교로 분류된다. 1960년대까지의 영국 해군의 준사관 제도는 준사관이 소위 상당관이었다. 1915년 12월 2일 이후의 일본 해군의 특무 장교도 이 유형으로 볼 수 있다.
; 독립 계급 제도형
: 준사관 계급은 장교, 하사관 어느 쪽에도 분류되지 않는다. 이러한 준사관 제도의 경우, NATO 군인 계급 부호에서 WO-1부터 WO-5의 부호가 사용된다. 미국군의 준사관 제도는 전투 지휘를 맡는 장교가 아니라, 군무상 필요한 특수 기능을 가진 자를 "상명하달형"의 계급에서 분리한 독립 계급 제도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미국군의 경우, NATO 군인 계급 부호 OR-5 이상의 하사관은 상급 하사관으로 승진하는 대신 준사관으로 전관할 수 있다.
; 직책형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에서는 "준위"는 계급이 아니라 직책이었으며, 상급의 짬장이 임명되었다. 반면 동시기의 무장 친위대에는 "SS 준위"가 계급으로 존재했다.
1877년 (메이지 10년) 2월 2일부터 육군 각 부대의 하부관에 재직 중인 조장은 준사관으로 처우하게 되었다.[84][85] 하부관의 설치는 준사관보다 오래되었으며 메이지 2년 무렵에는 총향도가 후일의 하부관과 같았다.[86] 반적봉환 이후 1870년 10월 26일 (메이지 3년 10월 2일)에 육군은 프랑스 방식을 참작하여 상비병을 편성하는 방침을 제시하고 각 번의 병도 육군은 프랑스 방식에 따라 점차 개정 편성해 갔을 때,[87] 보병 대대 등의 편성상 직무로서 하부관을 두고 있다.[88] 메이지 3, 4, 5년 무렵에 조장은 하부관의 직무를 맡는다고 하였으며,[89] 폐번치현 이후 1871년 (메이지 4년 8월) 이후 육군에서는 메이지 6년의 육군 무관 봉급표에서는 조장의 직무로서 하부관에게 증급이 있었으며,[91][92] 메이지 8년의 육군 무관 복제에서는 하부관은 조장의 직무의 일부이지만, 하부관 조장의 소매장은 금선 1조에 내기 3조로 다른 조장보다 내기 1조를 더하여 구별했다.[93] 이후, 하부관에 재직 중인 조장은 준사관으로 처우하게 되었으므로, 1877년 (메이지 10년) 2월 26일에 육군 무관 복제를 추가 및 개정하여, 제병 하부관의 복제는 상등 감호와 마찬가지로 준사관의 것으로 개정되었다.[94]
1877년 (메이지 10년) 1월에 관등을 17등으로 증가시켰지만,[95] 1879년 (메이지 12년) 10월 10일 육군 무관 관등표에서는 준사관은 계속 10등으로 하였으며, 이 때 관명에 각 병과의 명칭을 붙이기로 하고, 종전의 상등 감호는 각각 포병 상등 감호, 공병 상등 감호가 되었다.[96]
1877년 (메이지 10년) 1월 29일부터 9월 24일에 걸쳐 서남 전쟁이 있었다.
1878년 (메이지 11년) 3월 13일에 육군 소위 시보 및 회계 군리 시보, 군의 시보, 마의 시보의 서열에 대해서는, 시보관이 준사관의 차석이 되어서는 직무상 그 적절성을 얻을 수 없으므로, 시보관을 준사관의 상석으로 정했다.[97][98]
1881년 (메이지 14년) 4월 28일에 개정된 육군 무관 진급 조례에서는, 포병, 공병 및 군악부의 준사관의 진급에 관한 규정을 두었다.[99]
1883년 (메이지 16년) 5월 4일 태정관 제21호 달로 육군 무관 관등표를 개정했다.[100] 장관 및 상당관 외에는 모두 관명에서 육군의 두 글자를 제외했다.[100][102] 군악부는 악장을 군악장으로 개정했다.[100][98]
1885년 (메이지 18년) 5월 5일 태정관 제17호 달에 의해 육군 무관 관등표를 개정하여 군악장의 관등을 고쳐 9등에 1등 군악장을 두고 군악부 장교로 하였으며, 10등에 2등 군악장을 두고 군악부 준사관으로 했다.
1920년 (다이쇼 9년) 8월 10일에 다이쇼 9년 칙령 제241호를 시행하여 육군 무관 관등표를 개정하고, 각 병과 위관(사관)란의 육군 보병, 기병, 포병, 공병, 수송병 준위를 삭제하고, 경리부 준사관란의 상등 계수 다음에 상등 봉공장, 상등 화공장을 더했으며, 위생부 준사관란의 상등 간호장 다음에 상등 마공장을 더했다.[147] 이 때, 고등관 관등 봉급령의 별표 제1표(문무 고등관 관등표)의 육군성의 부에서 육군 준위를 삭제했다.[147] 준위를 폐지했을 때, 소위 후보자 제도를 도입하여 현역 준사관에서 소위를 보충할 수 있도록 개정했다.
각 병과 위관 | 육군 보병 소위 | 육군 기병 소위 | 육군 포병 소위 | 육군 공병 소위 | 육군 수송병 소위 |
---|
경리부 준사관 | 육군 상등 계수 | 육군 상등 봉공장 | 육군 상등 화공장 | 위생부 준사관 | 육군 상등 간호장 | 육군 상등 마공장 |
---|
1922년 (다이쇼 11년) 10월에 시베리아에서 철병했다.
1925년 (다이쇼 14년) 5월 1일에 다이쇼 14년 칙령 제160호를 시행하여 육군 무관 관등표를 개정하고, 항공병을 독립된 병과로 하여, 육군 공병 대좌 항의 다음에 육군 항공병 대좌부터 육군 항공병 병장까지를 더했다.[149]
1931년 (쇼와 6년) 9월 18일에 만주 사변이 일어났다. 1932년 (쇼와 7년) 1월 28일에 제1차 상하이 사변이 일어났다. 1932년 (쇼와 7년) 3월 1일부터 일소 국경 분쟁이 시작되었다.
4. 계급장
| | 계급 | 계급장 | |||||
---|---|---|---|---|---|---|---|
준사관 | 육군 (포제 정장) | 육군 (포제 견장) | 육군 (금속제) | 해군 | 해병대 | 공군 | |
준위 | ![]() | ![]() |
5. 더 보기
1940년 9월 15일, 쇼와 15년 칙령 제580호 시행으로 육군 무관 관등표가 개정되어 병과 구분이 폐지되고 기술부가 신설되었다. 부칙에 따라 기존 관등에 있던 자들은 별도 사령 없이 해당 관등으로 임명되었고, 관련 법령도 적용되었다.[153] 이때 문무 판임관 등급령도 개정되었다.[154]
구분 | 병과 | 기술부 | 경리부 | 위생부 | 수의부 | 군악부 | |||||||||
---|---|---|---|---|---|---|---|---|---|---|---|---|---|---|---|
준사관 | 육군 준위 | 육군 헌병 준위 | 육군 병기 준위 | 육군 항기 준위 | 육군 주계 준위 | 육군 봉공 준위 | 육군 장공 준위 | colspan=3 | | 육군 위생 준위 | 육군 료공 준위 | 육군 수의무 준위 | 육군 군악 준위 |
육군 보병 준위(조장, 군조, 오장) | 육군 기병 준위(조장, 군조, 오장) | 육군 포병 준위(조장, 군조, 오장) | 육군 공병 준위(조장, 군조, 오장) | 육군 항공병 준위(조장, 군조, 오장) | 육군 수송병 준위(조장, 군조, 오장) | 육군 포병 기술 준위 | 육군 공병 기술 준위 |
육군 준위(조장, 군조, 오장) | 육군 병기 준위 |
헌병과 준사관, 하사관 | 보병과 준사관, 하사관 | 기병과 준사관, 하사관 | 포병과 준사관, 하사관 | 공병과 준사관, 하사관 | 항공병과 준사관, 하사관 | 수송병과 준사관, 하사관 | 각 병과 준사관, 하사관 | 포, 공병 기술 준사관, 하사관 |
헌병 준사관, 하사관 | 병과 준사관, 하사관 | 병기 준사관, 하사관 |
1941년 12월 말레이 작전을 시작으로 태평양 전쟁이 발발했다.
1942년 4월 1일, 쇼와 17년 칙령 제297호 시행으로 육군 무관 관등표가 개정되어 육군 법무관, 건축 관계 기사 및 기술자가 무관이 되었다. 부칙에 따라 봉, 장공 준위는 경기 준위로 임명되었고, 관련 법령도 적용되었다.[155]
구분 | 경리부 | 위생부 | 수의부 | 법무부 | 군악부 | |||||||
---|---|---|---|---|---|---|---|---|---|---|---|---|
준사관 | 육군 주계 준위 | 육군 경기 준위 | 육군 건기 준위 | colspan=3 | | 육군 위생 준위 | 육군 료공 준위 | 육군 수의무 준위 | 육군 군악 준위 |
1944년 8월 10일, 쇼와 19년 칙령 제448호 시행으로 육군 무관 관등표 등이 개정되어 병기 및 항기 구분이 철폐되었다. 부칙에 따라 기존 관등에 있던 자들은 별도 사령 없이 해당 관등으로 임명되었고, 관련 법령도 적용되었다.[156]
1945년 6월 1일, 쇼와 20년 칙령 제295호 시행으로 육군 무관 관등표 등이 개정되어 육군 법무부 준사관 제도가 신설되었다.[159] [157]
참조
[1]
서적
Warrant: The Legacy of Leadership as a Warrant Officer
https://books.google[...]
Turner Publishing Company
2006
[2]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Warrant Rank in the Royal Navy
http://www.naval-his[...]
2010-04-07
[3]
서적
Nelson's Navy: The Ships, Men and Organization
https://archive.org/[...]
Naval Institute Press
[4]
웹사이트
Information sheet no 096: Naval Ranks
http://www.royalnava[...]
[5]
서적
Nelson's Navy: The Ships, Men and Organization
https://archive.org/[...]
Naval Institute Press
[6]
웹사이트
Australian Defence Force Badges of Rank and Special Insignia
http://www.defence.g[...]
2007-03-19
[7]
웹사이트
Defence Force Regulations 1952
http://www.comlaw.go[...]
2012-06-04
[8]
웹사이트
Rank Categories
https://www.army.mil[...]
Bangladesh Army
2019-09-24
[9]
웹사이트
BAF Ranks
https://www.baf.mil.[...]
Bangladesh Army
2019-09-24
[10]
웹사이트
For Airmen
http://careerairforc[...]
Indian Air Force
2021-09-23
[11]
웹사이트
Kategori Pangkat
https://army.mod.gov[...]
Malaysian Army
2021-07-10
[12]
웹사이트
RMN other ranks
http://www.navy.mil.[...]
Royal Malaysian Navy
2021-07-11
[13]
웹사이트
National Civil Defence Cadet Corps (NCDCC) / National Civil Defence Cadet Corps (NCDCC)
http://www.uniformin[...]
2018-11-20
[14]
간행물
History Snippets, 1992 – The SAF Warrant Officer School
http://www.mindef.go[...]
MINDEF
2007-01-07
[15]
웹사이트
CMPB {{!}} Ranks and drill commands
https://www.cmpb.gov[...]
2018-11-26
[16]
뉴스
Minister approves new ranks for Warrant Officers
http://www.dod.mil.z[...]
SA Department of Defence
2008-09
[17]
웹사이트
The Executive Warrant Officer
http://www.royalnavy[...]
2013-10-04
[18]
웹사이트
The Command Warrant Officer (Cwo)
http://www.royalnavy[...]
2013-10-04
[19]
뉴스
Warrant Officer in a class of his own
http://www.royalnavy[...]
2013-04-24
[20]
뉴스
New Base Warrant Officer at Culdrose
http://www.fleetaira[...]
2013-10-02
[21]
웹사이트
The Semaphore Circular May 2020
http://docplayer.net[...]
Royal Navyal Association
2020-07-18
[22]
웹사이트
Navy News March 2020
https://www.royalnav[...]
Navy News
2020-07-18
[23]
웹사이트
Command Warrant Officers
https://www.whatdoth[...]
whatdotheyknow
2020-08-22
[24]
간행물
Single rate for warrant officers
https://www.royalnav[...]
2020-02-29
[25]
트윗
Good afternoon the WO2 rank was kept in Service for the Royal Marines and Submariner engineers. However as part of Royal Navy Transformation the WO2 Rank has now been introduced across the Service. The first recipients were notified on 18 Jan 21 and others have now been selected.
[26]
서적
The Sinking of the Lisbon Maru: Britain's Forgotten Wartime Tragedy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6
[27]
뉴스
Army
https://www.thegazet[...]
2023-05-26
[28]
뉴스
Royal army medical corps
https://www.thegazet[...]
2023-05-26
[29]
뉴스
CGS outlines new British Army senior posts amid culling of generals
http://www.janes.com[...]
2015-02-01
[30]
웹사이트
NAVY—THE ROYAL MARINES—SER GEANTS.—QUESTION.
https://api.parliame[...]
2017-08-01
[31]
웹사이트
London Gazette, 2 December 1881
http://www.gazettes-[...]
2017-08-01
[32]
웹사이트
London Gazette, 12 November 1915
http://www.gazettes-[...]
2017-08-01
[33]
웹사이트
The London Gazette, 3 February 1920
http://www.london-ga[...]
2023-05-26
[34]
웹사이트
London Gazette, 15 November 1910
http://www.gazettes-[...]
2017-08-01
[35]
웹사이트
London Gazette, 15 June 1917
http://www.gazettes-[...]
2017-08-01
[36]
웹사이트
Warrant Officer History
http://usawocc.army.[...]
U.S. Army Warrant Officer Career Center
2007-03-18
[37]
웹사이트
Space Force Senior Enlisted Advisor Talks Future of Enlisted Force
https://www.defense.[...]
2022-07-04
[38]
웹사이트
Air Force to re-introduce warrant officer rank, other major changes
https://www.af.mil/N[...]
2024-02-14
[39]
웹사이트
Navy Expands Cyber Warrant Program
https://www.navy.mil[...]
[40]
웹사이트
NAVADMIN 315/20
https://www.mynavyhr[...]
2020
[41]
문서
46 U.S. Code § 51701 (c) Ranks, Grades, and Ratings.— The ranks, grades, and ratings for personnel of the Service shall be the same as those prescribed for personnel of the Coast Guard.
[42]
웹사이트
United States Maritime Service Insignia of Rank and Distinctive Devices and Uniforms
http://www.usmm.org/[...]
2017-08-01
[43]
웹사이트
Ranks & insignia
https://joinbanglade[...]
2020-10-11
[44]
웹사이트
Ranks and appointment
https://www.canada.c[...]
Government of Canada
2021-05-28
[45]
서적
Nigeri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1
[46]
웹사이트
RAF Ranks
https://www.raf.mod.[...]
Royal Air Force
2021-09-21
[47]
웹사이트
Paratus
http://abdf.gov.ag/w[...]
Regional Publications Ltd.
2020-03-02
[48]
웹사이트
Ranks
http://www.gov.bw/en[...]
Government of Botswana
2016-09-22
[49]
웹사이트
KDF Ranks
https://mod.go.ke/kd[...]
Ministry of Defence - Kenya
2022-12-09
[50]
웹사이트
Ranks in the Army
http://www.ldf.gov.l[...]
Lesotho Defence Force
2021-05-05
[51]
간행물
Government Notice
http://www.lac.org.n[...]
2021-12-20
[52]
웹사이트
RDF Insignia
https://www.mod.gov.[...]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Rwanda
2021-06-12
[53]
웹사이트
Rank structure
https://www.spdf.sc/[...]
Seychelles People's Defence Forces
2021-06-04
[54]
웹사이트
Uniform: Rank insignia
http://www.army.mil.[...]
Department of Defence (South Africa)
2021-05-29
[55]
journal
Uganda Peoples' Defence Forces Act
https://www.updf.go.[...]
Uganda Printing and Publishing Corporation
2021-05-29
[56]
URL
http://www.clearing.mod.go.jp/hakusho_data/2004/2004/html/1651c1.html
http://www.clearing.[...]
[57]
서적
Warrant: The Legacy of Leadership as a Warrant Officer
https://books.google[...]
Turner Publishing Company
2006
[58]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Warrant Rank in the Royal Navy
http://www.naval-his[...]
2010-04-07
[59]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24100-015
[60]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24100-015
[61]
Wikiref
JACAR-A04017112800
[62]
문서
陸軍省条例中砲兵本廠並砲工兵方面職司及軍属職名改訂
[63]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26100-034
[64]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26100-019
[65]
문서
喇叭楽隊等級ヲ定ム
[66]
문서
工兵方面ヲ定メ各経営部ヲ廃ス
[67]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26100-034
[68]
문서
陸軍省中造兵武庫両司ヲ廃ス
[69]
문서
砲兵本支廠設置
[70]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26100-019
[71]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26100-019
[72]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26100-019
[73]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26100-019
[74]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26100-019
[75]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26100-034
[76]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26100-034
[77]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26100-034
[78]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24100-015
[79]
Wikiref
JACAR-A07090185400
[80]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51100-001
[81]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53100-001
[82]
journal
『五国対照兵語字書』の研究
北海道大学
2014-12-25
[83]
book
五国対照兵語字書
参謀本部
1881-02
[84]
문서
陸軍各隊ノ下副官ハ准士官ヲ以テ所遇ス
国立公文書館
[85]
Wikiref
JACAR-A04017112800
[86]
문서
明治ノ初年各種ノ名義ヲ以テ軍隊官衙等ニ奉職セシ者軍人トシテ恩給年ニ算入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7]
문서
常備兵員海軍ハ英式陸軍ハ仏式ヲ斟酌シ之ヲ編制ス因テ各藩ノ兵モ陸軍ハ仏式ニ基キ漸次改正編制セシ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8]
문서
兵官人員調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9]
문서
明治ノ初年各種ノ名義ヲ以テ軍隊官衙等ニ奉職セシ者軍人トシテ恩給年ニ算入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90]
Wikiref
JACAR-A15110505000
[91]
문서
陸軍武官俸給表
国立公文書館
[92]
문서
二等曹長ヲ以テ下副官ニ充ツル時ハ上級ノ職務代理ト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93]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53100-001
[94]
Wikiref
国立公文書館-太00451100-001
[95]
문서
四等官以下等級改定
国立公文書館
[96]
문서
陸軍職制制定陸軍省職制事務章程及武官官等表改正
国立公文書館
[97]
문서
陸軍試補官ヲ準士官ノ上席ト定ム
国立公文書館
[98]
Wikiref
JACAR-A04017112800
[99]
문서
陸軍武官進級条例
国立公文書館
[100]
Wikiref
JACAR-A15110464100
[101]
문서
武官官記及職記式改定・二条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2]
Wikiref
JACAR-A04017112800
[103]
문서
屯田兵大佐以下ヲ置キ軍楽長ノ官等ヲ改メ且屯田兵条例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4]
문서
御署名原本・明治十九年・勅令第四号・陸軍武官官等表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5]
문서
陸軍武官々等表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6]
문서
「自今陸軍各兵科武官ヘ文官ヨリ転スルヲ得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7]
문서
「陸軍武官進級条例ヲ改定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8]
문서
「高等官官等俸給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9]
문서
「判任官官等俸給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0]
문서
「陸軍海軍武官ノ官等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1]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三年・勅令第六十七号・陸軍給与令」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2]
문서
「陸軍戸山学校条例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3]
문서
「鎮台条例ヲ廃止シ師団司令部条例ヲ制定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4]
문서
「判任官官等俸給令中改正追加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5]
문서
「高等官任命及俸給令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6]
문서
「判任官俸給令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7]
문서
「文武高等官々職等級表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8]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四年・勅令第二百四十九号・文武判任官等級表」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9]
문서
「文武判任官等級表の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20]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七年・勅令第四十三号・文武判任官等級表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21]
문서
「陸軍各兵曹長ニシテ監視区長タル者ハ監視区長在職中其身分ヲ准士官ト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22]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23]
문서
「陸軍武官々等表中追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24]
문서
「陸軍各兵特務曹長及監視区長服制々定并陸軍将校服制同戸山学校教官補服制及陸軍将校馬具制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25]
문서
「陸軍定員令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26]
문서
「陸軍定員令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27]
문서
「陸軍准士官ノ身分取扱並予備後備服役ニ関スル件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28]
문서
「陸軍給与令及屯田兵給与令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29]
문서
「憲兵条例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30]
문서
「陸軍給与令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31]
문서
「憲兵上等伍長ノ服制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32]
문서
「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33]
문서
「憲兵条例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34]
문서
「陸軍武官官等表〇文武判任官等級表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35]
문서
「陸軍武官官等表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36]
문서
「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37]
문서
「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38]
문서
「陸軍経理部士官及下士特別補充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39]
문서
「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40]
문서
「文武判任官等級令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41]
문서
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Ref.A131000965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三十八編・大正三年・第四巻・官職二・官制二(陸軍省~逓信省)(国立公文書館)
[142]
문서
明治三十五年勅令第十一号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Ref.A131002486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四十一編・大正六年・第七巻・官職六・官制六・官等俸給及給与・任免・服役懲戒・雑載(国立公文書館)
[143]
문서
陸軍補充令中ヲ改正ス
Ref.A131002491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四十一編・大正六年・第七巻・官職六・官制六・官等俸給及給与・任免・服役懲戒・雑載(国立公文書館)
[144]
문서
高等官官等俸給令中ヲ改正ス
Ref.A131002478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四十一編・大正六年・第七巻・官職六・官制六・官等俸給及給与・任免・服役懲戒・雑載(国立公文書館)
[145]
문서
御署名原本・大正六年・勅令第九十五号・陸軍武官官等表中改正
Ref.A030211026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国立公文書館)
[146]
문서
御署名原本・大正九年・勅令第二百四十一号・明治三十五年勅令第十一号(陸軍武官官等表)中改正
Ref.A030212579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国立公文書館)
[147]
문서
築城部条例○陸軍技術本部令○砲兵工廠条例○陸軍兵器部令○明治三十五年勅令第十一号陸軍武官官等表○高等官官等俸給令○陸軍服制中ヲ改正シ○東京衛戍総督部条例ヲ廃止ス
Ref.A131004107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四十四編・大正九年・第四巻・官職三・官制三(陸軍省・海軍省)(国立公文書館)
[148]
문서
陸軍補充令中ヲ改正ス
Ref.A131004326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四十四編・大正九年・第十四巻・官職十三・任免一(外務省~鉄道省)(国立公文書館)
[149]
문서
明治三十五年勅令第十一号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Ref.A131007427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四十九編・大正十四年・第十巻・官職八・高等官官等俸給及給与~旅費(国立公文書館)
[150]
문서
明治三十五年勅令第十一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ヲ改正シ〇昭和六年勅令第二百七十一号陸軍兵ノ兵科部、兵種及等級表ニ関スル件中ヲ改正ス・(官名改正)
Ref.A141005673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六十一編・昭和十二年・第四十巻・官職三十八・官制三十八・官等俸給及給与附旅費(国立公文書館)
[151]
문서
高等官官等俸給令中〇文武判任官等級令中ヲ改正ス・(陸軍武官官等表ノ改正ニ伴フモノ)
Ref.A141005650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六十一編・昭和十二年・第四十巻・官職三十八・官制三十八・官等俸給及給与附旅費(国立公文書館)
[152]
문서
御署名原本・昭和十二年・勅令第一二号・明治三十五年勅令第十一号(陸軍武官官等表)改正
Ref.A030220804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国立公文書館)
[153]
문서
昭和十二年勅令第十二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〇昭和六年勅令第二百七十一号陸軍兵等級表ニ関スル件ヲ改正ス
Ref.A020302041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六十四編・昭和十五年・第六十二巻・官職六十・官制六十・官等俸給及給与(外務省~旅費)(国立公文書館)
[154]
문서
高等官官等俸給令中○文武判任官等級令中ヲ改正ス・(陸軍武官官等表ノ改正ニ伴フモノ)
Ref.A141008011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六十四編・昭和十五年・第六十一巻・官職五十九・官制五十九(官等俸給及給与附手当一)(国立公文書館)
[155]
문서
昭和十五年勅令第五百八十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中ヲ改正ス・(陸軍法務官並ニ建築関係ノ技師ヲ武官トスル為及衛生将校等ノ最高官等ヲ少佐マテ進メル為)
Ref.A030100293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六十六編・昭和十七年・第五十七巻・官職五十三・官制五十三官等俸給及給与附手当二(国立公文書館)
[156]
문서
昭和十五年勅令第五百八十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外七勅令中ヲ改正ス
Ref.A141012076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六十八編・昭和十九年・第三十七巻・官職三十七・官制三十七・官等俸給及給与手当一(国立公文書館)
[157]
문서
陸軍監獄官制ヲ改正シ〇陸軍監獄長、陸軍録事、陸軍監獄看守長、陸軍警査又ハ陸軍監獄看守タリシ者ヨリスル陸軍法務部現役武官ノ補充特例〇昭和十五年勅令第五百八十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外十勅令中改正等ニ関スル件〇昭和二十年法律第四号陸軍軍法会議法中改正法律ノ一部施行期日ヲ定ム
Ref.A030102249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六十九編・昭和二十年・第十四巻・官職八・官制八(陸軍省・第一復員省)(国立公文書館)
[158]
문서
陸軍軍法会議法中ヲ改正ス
Ref.A141013626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六十九編・昭和二十年・第七十一巻・司法二・刑事(刑事訴訟・監獄)軍律(陸海軍)、願訴(国立公文書館)
[159]
문서
御署名原本・昭和二十年・勅令第二九五号・昭和十五年勅令第五百八十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外十勅令中改正ニ関スル件
Ref.A040177403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国立公文書館)
[160]
문서
陸軍武官官等表等を廃止する勅令を定める
Ref.A131106844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七十編・昭和二十一年・第三十七巻・官職二十八・俸給・給与二・内閣・外務省・内務省~任免一(国立公文書館)
[161]
문서
昭和二十年勅令第五百四十二号ポツダム宣言の受諾に伴い発する命令に関する件に基き陸軍刑法を廃止する等の政令
Ref.A131109172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七十二編・昭和二十二年五月三日以降・第六十九巻・法務四・民事三~雑載(国立公文書館)
[162]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890-03-15
[163]
Wikiref
JACAR:A04017113000
JACAR-A04017113000
[164]
Wikiref
JACAR:A04017113000
JACAR-A04017113000
[165]
Wikiref
JACAR:A04017113000
JACAR-A04017113000
[166]
문서
明治初年官等表ニ掲ケサル艦長以下ノ服役年計算方
Ref.A151110343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九編・明治十八年・第七巻・兵制・兵学・軍律・徽章・賞恤賜与・雑載(国立公文書館)
[167]
문서
海軍退隠令
null
国立公文書館, 太政類典・第二編・明治四年~明治十年・第二百二十七巻・兵制二十六・軍功賞及恤典二
[168]
Wikiref
JACAR:A15110505000
JACAR-A15110505000
[169]
문서
海軍練習ノ為メ請フテ乗艦スル者ノ月給ヲ廃ス但シ賄料ハ旧ニ依ル
Ref.A150708842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太政類典・第一編・慶応三年~明治四年・第百十三巻・兵制・会計(国立公文書館)
[170]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71]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72]
문서
明治三四年ノ際官等表ニ掲ケサル海軍艦船乗組定員中ナル筆生ハ恩給服役年ニ計算ス
Ref.A151115566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十二編・明治二十一年・第二十三巻・兵制十三・賞恤賜与二・軍資・雑載(国立公文書館)
[173]
문서
海軍ハ英式ニ依テ興スヘキヲ山尾民部権大丞ニ令ス
Ref.A150708920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太政類典・第一編・慶応三年~明治四年・第百十四巻・兵制・雑(国立公文書館)
[174]
Wikiref
JACAR:A15070878800
JACAR-A15070878800
[175]
Wikiref
JACAR:A15070878800
JACAR-A15070878800
[176]
Wikiref
JACAR:A15070878800
JACAR-A15070878800
[177]
Wikiref
JACAR:A04017113000
JACAR-A04017113000
[178]
Wikiref
JACAR:A04017113000
JACAR-A04017113000
[179]
書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889-01-26
[180]
문서
海軍武官彼我ノ称呼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81]
문서
英国海軍官名録
国立公文書館
[182]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2100、件名番号:004
国立公文書館-太00432100-004
[183]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2100、件名番号:004
国立公文書館-太00432100-004
[184]
문서
海軍諸表便覧
国立公文書館
[185]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2100、件名番号:004
国立公文書館-太00432100-004
[186]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2100、件名番号:004
国立公文書館-太00432100-004
[187]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2100、件名番号:004
国立公文書館-太00432100-004
[188]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57100、件名番号:017
国立公文書館-太00457100-017
[189]
Wikiref
JACAR:A04017113000
JACAR-A04017113000
[190]
書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
문서
海軍中等士官曹長以下ノ禄制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92]
문서
海軍中士以上食卓料並航海増給中士以下乗艦日給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93]
문서
海軍中等士官以下ノ服制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94]
書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5]
書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6]
Wikiref
JACAR:C09120059600
JACAR-C09120059600
[197]
Wikiref
JACAR:A04017113000
JACAR-A04017113000
[198]
문서
海軍権中録軍医副並主計副ノ三官艦内ニ於テハ少尉ノ本席トシ少尉相当ノ取扱トス
国立公文書館
[199]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57100、件名番号:030
国立公文書館-太00457100-030
[200]
Wikiref
JACAR:A04017113000
JACAR-A04017113000
[201]
Wikiref
JACAR:A03023322900
JACAR-A03023322900
[202]
書적
海軍制度沿革
海軍大臣官房
1939-07-10
[203]
Wikiref
JACAR:C09111782900
JACAR-C09111782900
[204]
Wikiref
JACAR:A07062089000
JACAR-A07062089000
[205]
문서
海軍四文官在役俸非役俸支給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6]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1100、件名番号:030
国立公文書館-太00431100-030
[207]
문서
海軍文武官官等改正セラルト雖モ其職務ハ旧ニ仍ル
国立公文書館
[208]
Wikiref
JACAR:A07062089000
JACAR-A07062089000
[209]
문서
海軍武官官等表改定
国立公文書館
[210]
Wikiref
JACAR:A07090067400
JACAR-A07090067400
[211]
문서
海軍少尉試補ヲ改テ少尉補ト称ス
国立公文書館
[212]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1100、件名番号:030
[213]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1100、件名番号:030
[214]
문서
海軍省機関科中機関士補ヲ設ク
国立公文書館
[215]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52100、件名番号:019
[216]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52100、件名番号:019
[217]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54100、件名番号:001
[218]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54100、件名番号:001
[219]
Wikiref
JACAR:A07062089000
[220]
Wikiref
JACAR:A07090067400
[221]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1100、件名番号:031
[222]
Wikiref
JACAR:A04017113000
[223]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52100、件名番号:019
[224]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890-03-15
[225]
문서
海軍文武官等表改正
国立公文書館
[226]
문서
海軍少尉補及機関士補ノ勤続年数計算方ヲ稟定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27]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52100、件名番号:019
[228]
문서
丙60 海軍一般達 少尉補機関士副食卓料海軍概則並俸給制中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29]
문서
准士官等俸給制定
国立公文書館
[230]
문서
海兵ヲ解隊シテ水夫ニ採用シ改テ水兵ト称ス
国立公文書館
[231]
Wikiref
JACAR:A07090067400
[232]
Wikiref
JACAR:A04017113000
[233]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52100、件名番号:019
[234]
문서
海軍武官中廃置並官等表改正ノ件
国立公文書館
[235]
문서
海軍武官々等表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36]
문서
海軍武官々等表改正ニ付海軍概則并俸給制中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37]
서적
海軍制度沿革
海軍大臣官房
1939-07-10
[238]
문서
太政官上申 官等表中文武官呼称上請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39]
문서
陸軍将校免黜条例
国立公文書館
[240]
문서
海軍将校准将校免黜条例改定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41]
문서
陸海軍中少尉ヲ奏任官トス
国立公文書館
[242]
문서
陸海軍中少尉奏任ト定メラルヽヲ以テ諸判任官ノ上席トス
国立公文書館
[243]
Wikiref
JACAR:C07040061800
[244]
문서
海軍将校准将校准士官進級条例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45]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01-01
[246]
간행물
「海軍武官々等表中掌砲上長掌砲長水兵上長水兵長填茹工場長填茹工長属ヲ廃シ一等兵曹ノ上ニ兵曹上長兵曹長ヲ置ク」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47]
간행물
「海軍恩給令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48]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
[249]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
[250]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
[251]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
[252]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
[253]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
[254]
서적
Nautical dictionary : defining the technical language relative to the building and equipment of sailing vessels and steamers, seamanship, navigation, nautical astronomy, naval gunnery, maritime law and commerce, general and particular average and marine insurance, and other terms relating to maritime affairs ... / by Arthur Young ; assisted in the nautical department by James Brisbane.
https://archive.org/[...]
Longman, Green, Longman, Roberts, & Green
1863
[255]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S sha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56]
웹사이트
和英海洋辞典&辞書 Japanese-English Ocean Dictionary の K kan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57]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L la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58]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L li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59]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B ba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60]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P ph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61]
문서
国立公文書館-太00432100-004
[262]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Y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63]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C ca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64]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P pa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65]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S st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66]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D da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67]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C cr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68]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C ce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69]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J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70]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G g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71]
서적
英和海語辞典
賞文館
1910-09-07
[272]
서적
英和海語辞典
賞文館
1910-09-07
[273]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T ta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74]
서적
英和海語辞典
賞文館
1910-09-07
[275]
웹사이트
英和海洋辞典&辞書 English-Japanese Ocean Dictionary の D do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76]
웹사이트
和英海洋辞典&辞書 Japanese-English Ocean Dictionary の S sho の頁
https://www.oceandic[...]
null
null
[277]
서적
英和海語辞典
賞文館
1910-09-07
[278]
간행물
「海軍武官官等表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79]
간행물
「海軍少尉少機関士少軍医少主計ノ試補ノ俸給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80]
간행물
「従前ノ海軍機関総監中佐中尉及同等官并准士官下士ノ辞令書ヲ下付セサル者官等心得」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81]
Wikiref
JACAR:A09054378200
JACAR-A09054378200
[282]
간행물
海軍高等武官進級条例ヲ改定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十編・明治十九年・第十四巻・兵制三・陸海軍官制三(国立公文書館)
[283]
간행물
海軍少軍医試補少主計試補ニシテ別ニ辞令書ヲ下附セサルモノハ候補生ト心得シ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十編・明治十九年・第十四巻・兵制三・陸海軍官制三(国立公文書館)
[284]
간행물
海軍下士卒進級条例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十編・明治十九年・第十四巻・兵制三・陸海軍官制三(国立公文書館)
[285]
간행물
海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十三編・明治二十二年・第十二巻・兵制三・陸海軍官制三(国立公文書館)
[286]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
[287]
간행물
海軍下士任用進級条例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十四編・明治二十三年・第二十二巻・兵制四・陸海軍官制三(国立公文書館)
[288]
간행물
海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十四編・明治二十三年・第二十二巻・兵制四・陸海軍官制三(国立公文書館)
[289]
간행물
海軍武官々階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十五編・明治二十四年・第九巻・官職五・官制五・官等俸給及給与三(海軍省~北海道庁府県)(国立公文書館)
[290]
간행물
海軍造船工学校ノ卒業生及廃官トナリタル海軍上等技工及技工ハ試験ヲ要セス直ニ海軍技手ニ任用スルヲ得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十五編・明治二十四年・第十一巻・官職七・任免~会計検査院(国立公文書館)
[291]
간행물
御署名原本・明治二十四年・勅令第二百十五号・文武高等官官職等級表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御署名原本・明治二十四年・勅令第二百十五号・文武高等官官職等級表(国立公文書館)
[292]
Wikiref
JACAR:A15112439800
JACAR-A15112439800
[293]
Wikiref
JACAR:A15112439800
JACAR-A15112439800
[294]
간행물
海軍武官官階表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二十編・明治二十九年・第八巻・官職四・官制四(農商務省~衆議院事務局)(国立公文書館)
[295]
간행물
海軍造兵廠条例○水路部条例○鎮守府条例○海軍大学校条例○海軍兵学校条例○海軍機関学校条例○文武判任官等級表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二十編・明治二十九年・第七巻・官職三・官制三(陸軍省二・海軍省・司法省・文部省)(国立公文書館)
[296]
간행물
海軍准士官下士任用進級条例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二十編・明治二十九年・第十巻・官職六・官制六(官等俸給及給与二~雑載)(国立公文書館)
[297]
간행물
海軍武官官階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二十一編・明治三十年・第十三巻・官職七・官制七・官等俸給及給与二(海軍省二~旅費)(国立公文書館)
[298]
서적
最新海軍通覧
海軍通覧発行所
1900年
[299]
서적
明治職官表 明治39年
三省堂
1907年
[300]
서적
海事年鑑
帝国海事協会
明治38年
[301]
간행물
高等官官等俸給令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二十一編・明治三十年・第十三巻・官職七・官制七・官等俸給及給与二(海軍省二~旅費)(国立公文書館)
[302]
간행물
文武判任官等級表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二十一編・明治三十年・第十三巻・官職七・官制七・官等俸給及給与二(海軍省二~旅費)(国立公文書館)
[303]
간행물
御署名原本・明治三十年・勅令第三百十三号・海軍高等武官進級条例中改正削除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御署名原本・明治三十年・勅令第三百十三号・海軍高等武官進級条例中改正削除(国立公文書館)
[304]
간행물
御署名原本・明治三十年・勅令第三百十四号・海軍高等武官補充条例制定海軍高等武官任用条例海軍高等武官候補生規則及明治二十八年勅令第六十三号(戦時事変ニ際シ海軍高等武官任用ノ件)廃止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御署名原本・明治三十年・勅令第三百十四号・海軍高等武官補充条例制定海軍高等武官任用条例海軍高等武官候補生規則及明治二十八年勅令第六十三号(戦時事変ニ際シ海軍高等武官任用ノ件)廃止(国立公文書館)
[305]
간행물
海軍高等武官補充条例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二十一編・明治三十年・第十四巻・官職八・任免(外務省~雑載)(国立公文書館)
[306]
간행물
海軍准士官ノ分限ニ関スル件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二十三編・明治三十二年・第十一巻・官職四・官制四・官制四(海軍省・司法省・文部省)(国立公文書館)
[307]
간행물
海軍武官官階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二十八編・明治三十七年・第四巻・官職四・官制四・官等俸給及給与(外務省~旅費)(国立公文書館)
[308]
간행물
海軍予備員条例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二十八編・明治三十七年・第十六巻・軍事二・海軍・雑載、学事・学制・図書・雑載(国立公文書館)
[309]
간행물
文武判任官等級表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二十八編・明治三十七年・第四巻・官職四・官制四・官等俸給及給与(外務省~旅費)(国立公文書館)
[310]
간행물
海軍武官官階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三十四編・明治四十三年・第六巻・官職門五・官等俸給及給与~旅費(国立公文書館)
[311]
간행물
海軍志願兵条例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三十四編・明治四十三年・第十五巻・軍事門・陸軍・海軍、学事門・学制(大学~中学校)(国立公文書館)
[312]
간행물
御署名原本・大正四年・勅令第二百十六号・海軍武官官階表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御署名原本・大正四年・勅令第二百十六号・海軍武官官階表改正(国立公文書館)
[313]
간행물
明治三十年勅令第三百十号海軍武官官階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公文類聚・第三十九編・大正四年・第六巻・官職門五・官制五(官等俸給及給与~庁府県)(国立公文書館)
[314]
간행물
御署名原本・大正四年・勅令第二百二十号・海軍高等武官補充条例中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御署名原本・大正四年・勅令第二百二十号・海軍高等武官補充条例中改正(国立公文書館)
[315]
간행물
御署名原本・大正七年・勅令第三百六十五号・海軍高等武官任用令制定高等武官補充条例廃止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御署名原本・大正七年・勅令第三百六十五号・海軍高等武官任用令制定高等武官補充条例廃止(国立公文書館)
[316]
문서
「高等官官等俸給令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17]
문서
「文武判任官等級令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18]
문서
「大正四年勅令第二百十六号海軍武官官階ノ件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19]
문서
「御署名原本・大正九年・勅令第十号・大正四年勅令第二百十六号(海軍武官官階表)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20]
문서
「高等官官等俸給令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21]
문서
「文武判任官等級令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22]
문서
「海軍武官進級令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23]
문서
「海軍高等武官任用令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24]
문서
「御署名原本・大正九年・勅令第六十三号・海軍給与令中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25]
문서
「御署名原本・大正九年・勅令第六十九号・海軍下士卒服役条例中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26]
문서
「海軍特修兵令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27]
문서
「大正九年勅令第十号海軍武官官階ノ件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28]
문서
「海軍武官官階ノ件中○海軍兵職階ニ関スル件中○海軍特修兵令中○海軍工機学校令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29]
문서
「大正九年勅令第十号海軍武官官階ノ件中〇同年勅令第十一号海軍兵職階ニ関スル件中ヲ改正ス・(整備科新設等)」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30]
Wikiref
JACAR:A02030266200
[331]
문서
「大正九年勅令第十号海軍武官官階ノ件中○大正九年勅令第十一号海軍兵職階ニ関スル件中ヲ改正ス・(工作特務大尉以下、工作兵新設)」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32]
문서
「高等官官等俸給令中ヲ改正ス・(陸海軍武官部外ノ文官トナリタル場合ノ通算等)」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33]
문서
「大正九年勅令第十号海軍武官官階ノ件中ヲ改正ス・(整備科予備准士官等ノ官階)」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34]
Wikiref
JACAR:A02030266200
[335]
Wikiref
JACAR:A02030266200
[336]
Wikiref
JACAR:A02030266200
[337]
문서
「大正九年勅令第十号海軍武官官階ノ件〇大正九年勅令第十一号海軍兵職階ニ関スル件ヲ改正ス・(機関科ヲ兵科ニ、造船、造機、造兵等ノ各科ヲ技術科ニ廃止統合等並官名改正ノ為)」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38]
문서
「海軍武官任用令中ヲ改正ス・(官階ノ改正ト依託学生生徒令制定ニ伴フ為)」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39]
문서
「海軍武官官階及海軍兵職階ノ改正ニ際シ高等官官等俸給令外六勅令中ヲ改正ス・(制度ノ改正ニ伴フ為)」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40]
문서
「御署名原本・昭和十七年・勅令第六一〇号・大正九年勅令第十号海軍武官官階ノ件改正ノ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41]
문서
「海軍ノ予備武官ノ官名及予備兵ノ職名改正等ノ為ニスル昭和十七年勅令第六百十号海軍武官官階ノ件外四勅令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42]
문서
「昭和十七年勅令第六百十号海軍武官官階ノ件外二十勅令中改正等ノ件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43]
문서
「海軍将校分限令等を廃止する」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44]
문서
曹長の階級は1980年(昭和55年)11月29日に新設された。
[345]
문서
身分証や各種待遇・階級章に至っても幹部に準じた物を着用するなど、曹と幹部の両方の性質を持っている。准尉に昇任した者は営内居住の義務から外れ営舎外居住となること、階級章も尉官を示す横1本で示されるが、3尉以上の尉官と違い職務は小隊陸曹や先任上級曹長といった曹として職務も司ることからも確認ができる。
[346]
웹사이트
防衛力の人的側面についての抜本的改革報告書
http://www.mod.go.jp[...]
防衛力の人的側面についての抜本的改革に関する検討会
2007-06-08
[347]
문서
准海尉以下の自衛官及び自衛官候補生の経歴管理に関する達 第6条(5)(海上自衛隊達第14号・平成16年5月12日)
http://www.clearing.[...]
[348]
문서
先任伍長に関する達(海上自衛隊達第13号・平成15年3月11日)
http://www.clearing.[...]
[349]
문서
自衛艦乗員服務規則 第10章 乗組准海尉(海幕人第10346号・平成25年12月2日)
http://www.clear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