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줄기러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기러기는 기러기과의 조류로, 옅은 회색 깃털과 머리의 검은 줄무늬가 특징이다. 분류상으로는 과거에는 별도의 속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회색 기러기 속(Anser)에 속한다.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 고도가 높은 곳에서 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대 8,848m 상공에서 관찰된 기록도 있다. 여름에는 고산 호수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남아시아의 경작지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이들은 저산소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생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인도 신화에서 언급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러기속 - 거위
    거위는 회색기러기와 큰고니를 기원으로 하는 가축화된 조류로, 식량, 깃털, 경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으며, 야생 조상보다 큰 몸집과 높은 번식력을 가지고 있고, 식용뿐 아니라 깃털을 이용한 제품 생산, 제초 등 다양한 문화적, 경제적 가치를 지닌다.
  • 기러기속 - 쇠기러기
    큰흰이마기러기는 밝은 주황색 다리와 흰 이마 무늬가 특징인 기러기과의 조류로, 회색기러기보다 작고 작은흰이마기러기보다 크며,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 북부에서 번식하고 다양한 지역에서 월동하며, 깃털 동위원소 분석으로 이동 경로 추적 및 조류 인플루엔자 연구에 활용된다.
  • 1790년 기재된 새 - 에뮤
    에뮤는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종으로 키가 큰 타조목 새로,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으며 잡식성이고, 원주민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업적으로 사육되기도 하고, 오스트레일리아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 1790년 기재된 새 - 멧비둘기
    멧비둘기는 유라시아 동부와 일본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도 흔히 보이는 새로, 회색빛 등과 갈색 날개, 목 옆 줄무늬가 특징이며, 곡식, 열매, 곤충을 먹고 나무에 둥지를 짓는 여러 아종이 존재하는 종이다.
  • 존 레이섬 (조류학자)이 명명한 분류군 - 에뮤
    에뮤는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종으로 키가 큰 타조목 새로,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으며 잡식성이고, 원주민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업적으로 사육되기도 하고, 오스트레일리아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 존 레이섬 (조류학자)이 명명한 분류군 - 비둘기목
    비둘기목은 신조류에 속하는 조류 목으로, 사막꿩목, 메사이트목과 관련이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느시류, 도요목 등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계통 발생적 관계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고, 비둘기과는 비둘기젖으로 새끼를 키우는 특징이 있다.
줄기러기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St. James's Park, London에 있는 Bar-headed Goose
런던 세인트 제임스 파크에서
학명Anser indicus
명명자존 래섬(Latham, 1790)
동의어Anser indica (lapsus)
Eulabeia indica (루트비히 라이헨바흐(Reichenbach, 1852))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기러기목(Anseriformes)
오리과(Anatidae)
마간속(Anser)
인도기러기(A. indicus)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관심 필요 (LC)
참고https://www.iucnredlist.org/apps/redlist/details/141448/0
분포
Anser indicus 분포도
분포도

2. 분류

루드비히 라이헨바흐는 1852년에 흰머리 기러기를 단형 인 ''Eulabeia''에 포함시켰지만,[2] 존 보이드의 분류법은 ''Eulabeia''와 ''Chen'' 속을 모두 ''Anser''의 아속으로 취급한다.[3]

3. 생김새

이 새는 옅은 회색이며 머리에 검은 줄무늬가 있어 거위속의 다른 회색 거위들과 쉽게 구별된다. 또한 이 속의 다른 거위들보다 훨씬 더 옅은 색을 띤다. 비행 중에는 전형적인 거위 울음소리를 낸다. 중간 크기의 거위로, 전체 길이는 71cm에서 76cm이며 무게는 1.87kg에서 3.2kg이다.

전체 길이는 71cm에서 76cm이다.[26] 날개 길이는 수컷 45cm에서 48.2cm, 암컷 40.6cm에서 46cm이다.[27] 날개 폭은 140cm에서 160cm이다.[26] 머리 깃은 흰색이며, 눈 뒤쪽과 귓구멍을 덮는 깃털(귀깃)에서 후두부까지 2개의 검은 줄무늬가 들어간다.[28] 목 깃은 검은색이며, 옆목에 흰 세로줄이 들어간다.[26][28] 몸통 윗면의 깃은 옅은 청회색이며,[27] 깃털의 바깥쪽 가장자리(깃 가장자리)는 흰색이다.[28] 가슴에서 몸 옆면까지의 깃은 회색이며, 뒤쪽으로 갈수록 검어진다.[28] 배와 꼬리 깃털 기부를 덮는 깃털(위꼬리덮깃, 아래꼬리덮깃)은 흰색이다. 꼬리 깃털의 색상은 검은색이며, 끝과 바깥쪽 꼬리 깃털은 흰색이다.[28]

부리와 뒷다리의 색상은 노란색 또는 주황색이다.[26][27][28]

4. 분포

여름 서식지는 새가 짧은 풀을 뜯어먹는 고산 호수이다. 이 종은 티베트, 카자흐스탄, 몽골러시아에서 히말라야 산맥을 건너 남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 조류 이동을 하며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 남아시아 일부 지역(아삼에서 타밀나두까지)에서 겨울을 보낸다.[10] 이 종의 현대적인 겨울 서식지는 보리, 쌀, 밀을 먹고 작물을 손상시킬 수 있는 경작지이다. 키르기스스탄에서 온 새들은 남쪽으로 더 이동하기 전에 서부 티베트와 남부 타지키스탄에서 20~30일 동안 멈추는 것이 관찰되었다. 일부 새들은 높은 겨울 정착지 충실도를 보일 수 있다.[11]

머리줄기러기는 세계에서 가장 높이 나는 새 중 하나로,[4] 해발 8481m인 마칼루산을 가로질러 날아가는 소리가 들렸으며, 확인되지 않은 보고이지만 해발 8848m인 에베레스트산 위에서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5] 2011년 연구에서는 기러기가 약 6400m 고도에서 최고점을 찍는 것으로 나타났고,[4] 2012년 연구에서는 기러기가 시간의 95%를 5784m 미만에서 보내며, 더 낮은 고도의 계곡과 고개를 이용하기 위해 히말라야 산맥을 통과하는 더 긴 경로를 선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태그된 기러기 중 10마리만이 이 고도 이상으로 기록되었고, 한 마리만이 6500m을 초과하여 7290m에서 나는 것이 관찰되었다.[9]

실바니안 하이츠 조류 공원에서 수영하는 모습


케올라데오 국립공원, 바라트푸르, 라자스탄, 인도에서 검은머리도요 ''Plegadis falcinellus''와 함께


주로 티베트 고원에서 둥지를 짓는다.

아프가니스탄, 인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동부,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중화인민공화국 서부, 네팔, 방글라데시, 부탄, 몽골, 러시아 남동부 등지에서 발견된다.[24]

일본에서는 1968년 지바현, 1972년 나가사키현, 1986년 오가사와라 제도 등에서 관찰 기록이 있지만, 가고누케 개체일 가능성도 있다.[25] 바이칼 호 이남의 몽골 고원 등에서 번식하며, 겨울이 되면 인도로 남하하여 월동한다.[26][27][28]

5. 생태

머리줄기러기
칠리카호수에서


마이소르의 하디나루 호수에서 날갯짓하는 머리줄기러기


머리 세부 묘사


줄기러기는 여름에는 고산 호수에서 짧은 풀을 뜯어먹으며 서식한다. 티베트, 카자흐스탄, 몽골, 러시아 등지에서 번식하며,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 남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까마귀, 여우, 갈까마귀, 바다 독수리, 갈매기 등이 줄기러기를 포식한다.[1]

최근 H5N1 바이러스(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의 초기 희생자로 의학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1] 줄기러기의 개체수는 증가 추세에 있지만, 서식 범위가 2500000km2 이상으로 넓어 개체수 추세를 정확히 평가하기는 어렵다.[1]

, 호소, 습원, 농경지 등에서 서식하며,[26][29] 낮에는 둑 등에서 쉬고 저녁에 활동한다. 비번식지에서는 큰 무리를 형성한다.[29] 식물성 먹이로 초본, 종자 등을 먹는다.[29]

줄기러기는 아름답고 번식이 쉬워 사육되기도 한다. 영국에서는 탈출한 개체들이 종종 목격되며, 번식 기록도 있다. 미국 플로리다에서도 탈출 또는 방사된 기록이 있지만, 번식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줄기러기는 저산소증 공기에서 산소를 추출하여 높은 고도에서 비행을 유지하는 생리학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 비행은 고고도에서 신진대사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줄기러기는 저산소 조건에서 더 깊고 효율적으로 호흡하여 산소 흡수를 증가시킨다.[14] 혈액 속 헤모글로빈은 저고도 기러기보다 산소 친화력이 높아,[15] 단일 아미노산 점 돌연변이에 기인한다.[16] 이 돌연변이는 헤모글로빈 분자 형태를 변화시켜 저산소 친화성을 고산소 친화성으로 만든다.[17] 심장의 좌심실은 저지대 조류보다 모세 혈관이 더 많아 심근 세포에 산소 공급을 유지하고 심박출량을 유지한다.[18] 비행 근육의 미토콘드리아는 근육 세포막에 더 가까이 위치하여,[19] 산소의 세포 내 확산 거리를 줄인다. 또한, 줄기러기는 다른 기러기보다 무게 대비 날개 면적이 약간 더 커서 고고도 비행에 유리하다.[20]

5. 1. 이동

줄기러기는 세계에서 가장 높이 나는 새 중 하나로,[4] 마칼루산(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산, 8481m)을 넘어 날아가는 소리가 들렸으며, 에베레스트산(8848m) 위에서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확인되지 않은 보고)[5]

이러한 높은 고도로 이동하는 것에 대해 오랫동안 의문을 가졌으나,[6] GPS나 위성 추적 기술로 직접 추적한 결과, 6540m 이상으로 나는 것은 확인되지 않았고, 높은 산길을 이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낮은 지대인 인도에서 티베트 고원으로 이동하는 것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지며, 히말라야 산맥을 가로지르는 비행은 최소 7시간 만에 논스톱으로 진행된다. 줄기러기는 히말라야 산맥의 순풍을 무시하고 밤에 바람이 잦아들기를 기다려 비행하며, 이는 새에게서 기록된 가장 높은 등반 비행 속도이다.[7]

2011년 연구에서는 줄기러기가 약 6400m 고도에서 최고점을 찍는 것으로 나타났다.[4] 91마리의 기러기를 추적한 2012년 연구에서는 95%의 시간이 5784m 미만에서 보내며, 낮은 고도의 계곡과 고개를 이용하는 더 긴 경로를 선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태그된 기러기 중 10마리만이 이 고도 이상으로 기록되었고, 1마리는 7290m에 도달했다. 이 높은 고도 비행은 대부분 야간이나 이른 아침에 기록되었으며, 더 차갑고 밀도가 높은 공기는 수백 미터 낮은 고도와 동일할 수 있다. 이 연구들은 8000m에서 나는 이야기는 전설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8] 7000m에서 날아가는 것이 관찰되기도 하였다.[9]

줄기러기는 조류 이동을 하며,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 남아시아 일부 지역(아삼에서 타밀나두까지)에서 겨울을 보낸다.[10] 겨울에는 경작지에서 보리, 쌀, 밀 등을 먹으며 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키르기스스탄에서 온 새들은 남쪽으로 이동하기 전 서부 티베트와 남부 타지키스탄에서 20~30일 동안 머무는 것이 관찰되었다.[11]

5. 2. 번식

머리줄기러기는 주로 티베트 고원에서 둥지를 짓는다. 낮은 계급의 암컷이 높은 계급의 암컷의 둥지에 알을 낳으려고 시도하는 종내 둥지 기생이 나타나기도 한다.[12] 4-5월에 평균 4개의 알을 낳으며,[27] 포란 기간은 28-30일이다.[27]

여름 서식지는 새가 짧은 풀을 뜯어먹는 고산 호수이다. 이 종은 티베트, 카자흐스탄, 몽골러시아에서 히말라야 산맥을 건너 남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 까마귀, 여우, 갈까마귀, 바다 독수리, 갈매기 등이 머리줄기러기를 포식한다.[1]

6. 생리적 특징



줄기러기는 저산소증 공기에서 산소를 추출하여 높은 고도에서 비행을 유지하기 위해 세포 호흡을 통해 유산소 근육 섬유로 운반하는 생리학적 과제를 안고 있다. 비행은 새가 얇은 공기에서 더 열심히 날갯짓하여 양력을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고고도에서 신진대사 비용이 많이 든다.[13] 연구에 따르면 줄기러기는 저산소 조건에서 더 깊고 효율적으로 호흡하여 환경으로부터의 산소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4] 이들의 혈액 속 헤모글로빈은 저고도 기러기보다 산소에 대한 친화력이 더 높으며,[15] 이는 단일 아미노산 점 돌연변이에 기인한다.[16] 이 돌연변이는 헤모글로빈 분자의 형태 변화를 저산소 친화성에서 고산소 친화성 형태로 유발한다.[17] 전신 순환을 통해 산소화된 혈액을 신체로 펌핑하는 역할을 하는 심장의 좌심실은 줄기러기에서 저지대 조류보다 모세 혈관이 훨씬 더 많아 심근 세포의 산소 공급을 유지하고 이에 따라 심박출량을 유지한다.[18] 저지대 조류에 비해 줄기러기의 비행 근육에 있는 미토콘드리아 (산소 소비의 주요 부위)는 근육 세포막에 훨씬 더 가깝게 위치하여,[19] 모세 혈관에서 미토콘드리아까지의 산소의 세포 내 확산 거리를 줄인다.

줄기러기는 다른 기러기보다 무게에 비해 날개 면적이 약간 더 커서 고고도에서 비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20] 이는 얇은 공기에서 비행에 필요한 동력 출력을 감소시키지만, 고고도의 조류는 여전히 저지대 조류보다 더 열심히 날갯짓해야 한다.[21]

7. 인간과의 관계

줄기러기를 기념하는 소련 우표


줄기러기는 함사의 인도 신화 모델로 제안되었다.[22] 다른 해석에 따르면 줄기러기는 고대 및 중세 산스크리트 문학에서 ''카담브''일 가능성이 높으며, ''함사''는 일반적으로 백조를 지칭한다.[23]

7. 1. 조류 인플루엔자

줄기러기는 월동지에서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27]

참조

[1] iucn "''Anser indicus''" 2018
[2] 서적 Die vollständigste Naturgeschichte der Vögel Dresden Expedition der Vollständigsten Naturgeschichte 1852
[3] 웹사이트 Anserini http://jboyd.net/Tax[...] 2016-08-30
[4] 웹사이트 Highest Flying Bird Found; Can Scale Himalaya: The Bar-headed Goose Can Reach Nearly 21,120 Feet, New Study Show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1-06-10
[5] 학술 The Ecology of the High Himalayas
[6] 학술 Oxygen Transport During Progressive Hypoxia in High-altitude and Sea-level Waterfowl
[7] 학술 The Trans-Himalayan Flights of Bar-headed Geese (''Anser indicus'')
[8] 학술 The Paradox of Extreme High-altitude Migration in Bar-headed Geese ''Anser indicus'' 2012-10
[9] 뉴스 Bar-headed geese: Highest bird migration tracked https://www.bbc.co.u[...] BBC
[10] 학술 Geographic Variation in Bar-headed Geese ''Anser Indicus'': Connectivity of Wintering Areas and Breeding Grounds Across a Broad Front
[11] 학술 Seasonal Migrations of Four Individual Bar-headed Geese ''Anser indicus'' from Kyrgyzstan Followed by Satellite Telemetry https://hal.archives[...]
[12] 학술 Intraspecific Nest Parasitism in Bar-headed Geese, ''Anser indicus''
[13] 학술 The physiology and biomechanics of avian flight at high altitude 2006-01-06
[14] 학술 Respiratory adaptations in the high flying bar-headed goose
[15] 학술 Avian haemoglobins and structural basis of high affinity for oxygen: Structure of bar-headed goose aquomet haemoglobin
[16] 학술 Adaptation of bird hemoglobins to high altitudes: demonstration of molecular mechanism by protein engineering 1991-08-01
[17] 학술 The crystal structure of a high oxygen affinity species of haemoglobin (bar-headed goose haemoglobin in the oxy form) 1996-01-26
[18] 학술 Molecular evolution of cytochrome C oxidase underlies high-altitude adaptation in the bar-headed goose 2011-01
[19] 학술 Evolution of muscle phenotype for extreme high altitude flight in the bar-headed goose 2009-10-22
[20] 학술 Have wing morphology or flight kinematics evolved for extreme high altitude migration in the bar-headed goose?
[21] 학술 Kinematics of hovering hummingbird flight along simulated and natural elevational gradients 2003-09
[22] 웹사이트 The Goose in Indian Literature and Art https://archive.org/[...]
[23] 서적 Birds in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2005
[24]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
[25] 간행물 迷鳥大図鑑 문일종합출판 2011
[26] 서적 日本の鳥550 水辺の鳥 문일종합출판 2000
[27] 서적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 (ガンカモ目) 財団法人東京動物園協会 1980
[28] 서적 日本の野鳥590 平凡社 2000
[29] 서적 小学館の図鑑NEO 鳥 小学館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