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룽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룽항은 타이완 지룽시에 위치한 항구이다. 17세기에 스페인에 의해 조사되고 부분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청나라 후기에 발전하기 시작하여 1886년 무역항으로 개항했다. 일본 제국 시대에 대규모 개발이 이루어져 태평양 전쟁 중 미군의 폭격을 받았다. 종전 후 항만 재건 사업을 거쳐 1984년 세계 7위의 컨테이너 항으로 성장했다. 현재 마쭈 열도, 샤먼, 오키나와 등으로 향하는 노선을 제공하며, 타이완 철도 지룽역과 린강선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항구 - 가오슝항
가오슝항은 수백 년에 걸쳐 자연 석호에서 현대적인 항구로 발전해 온 대만의 주요 항구이며, 타카우 항으로 불리며 개발되어 컨테이너 터미널, 벌크 화물 부두, 여객 터미널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해상 실크로드의 일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지룽시의 교통 - 지룽역
지룽역은 타이완 지룽시에 위치한 타이완 철로管理局 종관선의 철도역으로, 1891년 개업 후 여러 차례 이전을 거쳐 2015년 현재의 5세대 역사가 완공되었으며, 타이베이, 중리, 신주, 가오슝, 핑둥 방면의 열차가 운행되고 역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과 관광 명소가 있다. - 자유항 - 베이루트항
베이루트항은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 위치한 주요 항구로서, 오스만 제국 시대부터 지중해 무역 중심지였으나 내전 피해와 2020년 폭발 사고 등 어려움을 겪었다. - 자유항 - 가오슝항
가오슝항은 수백 년에 걸쳐 자연 석호에서 현대적인 항구로 발전해 온 대만의 주요 항구이며, 타카우 항으로 불리며 개발되어 컨테이너 터미널, 벌크 화물 부두, 여객 터미널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해상 실크로드의 일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지룽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기륭항 (基隆港) |
로마자 표기 | Jilong Gang (한어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 | Chi-lung-kang |
민난어 발음 | Ke-lâng-káng (POJ) |
위치 | 기륭, 대만 |
좌표 | 25.131° N, 121.743° E |
UN/LOCODE | TWKEL |
운영 주체 | 대만 국제항만공사 |
종류 | 항구 |
규모 | |
통계 | |
기타 | |
웹사이트 | 기륭항 공식 웹사이트 |
2. 연혁
17세기 스페인인이 타이완 일부를 점령했을 때 지룽항을 조사하고 부분적으로 항구를 건설했다. 청나라 후기, 서양 열강의 아시아 진출과 함께 지룽항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1886년 지룽항이 무역항으로 정식 개항되었다.[2] 대만 순무 류밍촨이 지룽항 건설 계획을 추진했으나, 류밍촨의 사임으로 실행되지 못했다.
일본 제국은 대만을 식민 통치하면서 지룽항을 대규모로 개발하기 시작했다. 1899년부터 1935년까지 4기에 걸친 축항 공사가 진행되었다. (당초 5기 계획이었으나, 태평양 전쟁으로 중단되었다.) 이 공사로 항만 구역 내 암초가 제거되고, 대형 조선소, 군항 구역, 어항 구역이 건설되었으며, 부두 창고에서 항만 구역까지 철도가 정비되었다.[2] 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지룽항은 물자 수송 및 해군 기지로 활용되었다. 태평양 전쟁 말기, 미군의 주요 폭격 목표가 되어 항만 시설과 정박 선박이 큰 피해를 입었다.[2]
1945년 종전 후, 지룽항무국이 설립되어 항만 재건 사업을 추진했다. 1953년 이후에는 항만 부두 시설 증설도 시작되었다. 재건 공사가 완료된 후, 지룽항은 빠르게 발전했다. 1961년부터 1982년까지 내항의 병목 현상 해소와 운송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공사를 진행하였다. 지룽항의 화물 처리량은 1980년대에 정점에 달했고, 1984년에는 세계 7위의 컨테이너 항으로 성장했다. 현재 지룽항의 부두 수는 일본 통치 시대의 서안 18개 부두에서 57개 부두(서안 37개, 동안 20개)로 증가했다.
2. 1. 초기 역사 (17세기 ~ 19세기)
17세기 스페인인이 타이완 일부를 점령했을 때 지룽항을 조사하고 부분적으로 항구를 건설했다.[2] 청나라 후기, 서양 열강의 아시아 진출과 함께 지룽항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1886년 지룽항이 무역항으로 정식 개항되었다.[2] 대만 순무 류밍촨이 지룽항 건설 계획을 추진했으나, 류밍촨의 사임으로 실행되지 못했다.2. 2. 일본 통치 시대 (1895년 ~ 1945년)
일본 제국은 대만을 식민 통치하면서 지룽항을 대규모로 개발하기 시작했다. 1899년부터 1935년까지 4기에 걸친 축항 공사가 진행되었다. (당초 5기 계획이었으나, 태평양 전쟁으로 중단되었다.) 이 공사로 항만 구역 내 암초가 제거되고, 대형 조선소, 군항 구역, 어항 구역이 건설되었으며, 부두 창고에서 항만 구역까지 철도가 정비되었다.[2]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지룽항은 물자 수송 및 해군 기지로 활용되었다. 태평양 전쟁 말기, 미군의 주요 폭격 목표가 되어 항만 시설과 정박 선박이 큰 피해를 입었다.[2]
2. 3. 중화민국 시대 (1945년 ~ 현재)
1945년 종전 후, 지룽항무국이 설립되어 항만 재건 사업을 추진했다. 항무국은 항구 내에 침몰해 있던 100척 이상의 배를 인양하고, 부두, 교량, 도크, 운하, 방파제, 수리 시설, 창고 등 기존 시설을 중심으로 재건을 진행했다.[2] 1953년 이후에는 항만 부두 시설 증설도 시작되어 서29·30호 부두와 어항구 돌제 부두 등이 건설되었다.재건 공사가 완료된 후, 지룽항은 빠르게 발전했다. 1961년부터 1974년까지 항무국은 내항을 개축하고 외항 공사를 시작했다. 1974년부터 1981년까지 내항의 병목 현상을 해소하고 운송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외항 확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인접 항만 구역 및 고속도로의 동안, 서안 고가교가 건설된 것도 이 시기이다. 1982년부터 1992년까지 컨테이너 운송 시대에 발맞춰 컨테이너 부두 개축 및 증축이 주로 진행되었다. 지룽항의 화물 처리량은 1980년대에 정점에 달했고, 1984년에는 세계 7위의 컨테이너 항으로 성장했다.
현재 지룽항의 부두 수는 일본 통치 시대의 서안 18개 부두에서 57개 부두(서안 37개, 동안 20개)로 증가했다.
3. 항만 환경 및 시설
지룽항은 남서쪽의 내항에서 북서쪽의 항구 입구까지 약 2000m 길이, 400m 너비의 좁은 수로를 형성하고 있다.[3]
4. 운항 노선
5. 교통
타이완 철도 지룽역에서 지룽항으로 접근할 수 있다. 지룽역에서 뻗어 나온 린강선(지룽 린강선)을 통해 화물 부두까지 린강 화물선이 부설되어 있다. 비록 이용은 감소하고 있지만, 부두에 접안한 화물선에서 철도 선로상에 직접 철도 차량을 하역할 수 있어, 수입 철도 차량 반입에도 이용된다.[1]
6. 전망과 과제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일본 통치 시대에는 중국 대륙으로 열린 지리적 우위와 남서 제도, 일본 본토에 가까운 입지 조건으로 본격적인 인프라 구축이 이루어졌다.[2] 최성기에는 요코스카나 사세보와 같은 유형의 군항 도시로서의 지위를 굳혔으나, 태평양 전쟁 중 공습 피해를 입었다. 중화민국에 속한 후에도 한동안 민간 자본으로 부흥이 이어졌다. 현재는 군민 공용 항만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중화민국 해군 군함으로 지룽의 이름을 딴 함선이 취역하고 있다. 일본, 동남아시아 지역과의 해상 교통 중계지로서 새로운 항만 개발이 계획되고 있다.
7. 기타
지룽역에서 뻗어나온 린강선(지룽 린강선)을 통해 화물 부두까지 화물선이 부설되어 있다. 이용은 감소하고 있지만, 부두에 접안한 화물선에서 철도 선로상에 직접 철도 차량을 하역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입 철도 차량 반입에도 이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UNLOCODE (TW) - TAIWAN, PROVINCE OF CHINA
https://service.unec[...]
2020-04-28
[2]
웹사이트
WELCOME TO PORT OF KEELUNG-About the Port
http://www.klhb.gov.[...]
2014-05-02
[3]
웹사이트
Attractions > Hot Spots > Keelung City > Keelung Harbor >
http://eng.taiwan.ne[...]
[4]
뉴스
Keelung Islet to reopen to tourists after 5-year closure
http://focustaiwan.t[...]
Focus Taiwan
2019-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