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즈 급행 지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즈 급행 지즈선은 효고현 가미고리역과 돗토리현 지즈역을 잇는 총 연장 56.1km의 단선 비전철 노선이다. 1994년 개통되었으며, 지즈 급행이 제1종 철도 사업자로서 노선을 관할한다. 교토역, 오카야마역에서 돗토리역, 구라요시역으로 운행하는 특급 '슈퍼 하쿠토'와 '슈퍼 이나바'가 운행되며, 가미고리역과 지즈역 사이에는 보통 열차도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즈 급행 - 슈퍼 하쿠토
슈퍼 하쿠토는 1994년 12월 3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일본의 특급 열차이며, 교토역, 돗토리역, 구라요시역 등을 잇고, 지즈 급행 지즈선을 경유하여 최고 속도 130km/h로 운행하며, HOT7000계 전동차를 사용한다. - 돗토리현의 철도 - 와카사 철도
와카사 철도는 1987년 설립되어 JR서일본 와카사선을 인수, 운영하는 일본의 제3섹터 철도회사로,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 공설민영 방식 채택 및 지역 사회 지원, 관광 열차 운행 등의 노력을 통해 와카사선을 운영하고 있다. - 돗토리현의 철도 - 슈퍼 하쿠토
슈퍼 하쿠토는 1994년 12월 3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일본의 특급 열차이며, 교토역, 돗토리역, 구라요시역 등을 잇고, 지즈 급행 지즈선을 경유하여 최고 속도 130km/h로 운행하며, HOT7000계 전동차를 사용한다. - 오카야마현의 철도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오카야마현의 철도 - 우노선
우노선은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역에서 우노역을 잇는 총 연장 32.8km의 서일본 여객철도 노선으로, 시코쿠와 혼슈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우노미나토선"이라는 브랜드명으로 특급, 쾌속, 보통, 관광 열차가 운행된다.
지즈 급행 지즈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지즈선 |
노선색 | #129 |
![]() | |
소재지 | 효고현, 오카야마현, 돗토리현 |
기점 | 가미고리역 |
종점 | 지즈역 |
역 수 | 14역 |
전보 약호 | 치츠세 |
개업 | 1994년 12월 3일 |
소유자 | 지즈 급행 |
운영자 | 지즈 급행 |
차량 기지 | 오하라 차고 |
사용 차량 | 사용 차량 문단 참조 |
노선 거리 | 56.1 km |
궤간 | 1,067 mm (협궤) |
선로 수 | 단선 |
전철화 방식 | 비전철화 |
폐색 방식 | 자동 폐색식 |
최대 구배 | 26 ‰ |
최소 곡선 반지름 | 260 m |
보안 장치 | ATS-P |
최고 속도 | 130 km/h |
![]() | |
정차장/시설/접속 노선 |
2. 노선 정보
항목 | 내용 |
---|---|
노선 거리 (영업 거리) | 56.1 km |
궤간 | 1067mm |
역 수 | 14개 역 (기점, 종점역 포함, 신호장 제외) |
복선화 구간 | 없음 (전 구간 단선) |
전철화 구간 | 없음 (전 구간 비전철화) |
폐색 방식 | 자동 폐색식 |
보안 장치 | ATS-P |
최고 속도 | 130 km/h (특급), 110 km/h (보통) |
최장 터널 | 시토사카 터널 (5592m) |
최소 곡선 반경 | 260m |
IC 카드 대응 구간 | 없음 |
1892년(메이지 25년) 히메지-돗토리 간 철도 건설 운동이 시작되면서 지즈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 노선은 에도 시대부터 돗토리번의 참근교대에 사용된 인바 가도를 따라 사요를 경유하여 돗토리에 이르는 경로였다. 철도 부설법에 의해 "산인 및 산요 연락선"의 일부로 "효고현 아래 히메지 근방에서 돗토리현 아래 돗토리로 이어지는 철도" 등이 정해졌고, 여러 루트 중 지즈선의 사요-지즈 간을 통과하는 루트가 채택되었다. 그러나 이후 산인 방면 철도는 와다야마에서 건설되면서(현재의 산인 본선) 지즈선 건설은 백지화되었다.[2]
3. 역사
1922년 개정된 철도 부설법 제85호에 "효고현 가미고리에서 사요를 거쳐 돗토리현 지즈로 이어지는 철도"가 예정 노선으로 포함되었다. 1934년 관계 지역 18개 시정촌이 '지즈・사요선 철도 기성회'를 결성하여 철도 건설을 추진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 1950년 '지즈・가미고리선 철도 부설 기성 동맹회'로 재결성되어 건설 운동이 재개되었고, 1961년 조사선, 1962년 공사선으로 채택되었다. 1964년 일본 철도 건설 공단에 '공사 실시 계획의 지시'가 내려졌고, 1966년 공사 실시 계획 인가 및 착공에 이르렀다.[3] 당초 1973년 봄 개통 예정이었으며, 특급 차량은 키하181계 동차로 결정되었다.[4][5]
당초 계획에는 선내 최고 속도 95km/h, 이와키 신호장과 미야모토 무사시역은 포함되지 않았다. 가미고리역에서 산요 본선 상행선과 선로를 공유하고, 사요역에서 히메신선과 합류・분기하는 구조로, 공사비는 8990400000JPY으로 추산되었다.[6]
1975년 히메신선과의 입체 교차 계획으로 변경되어 공사비가 229억엔으로 증가했고,[7] 1979년에는 가미고리역 구내 산요 본선과의 공용 구간을 폐지하고 별선 계획으로 변경되어 공사비가 300.69억엔으로 증가했다.[8]
그러나 1980년 일본국유철도 경영 재건 촉진 특별 조치법(국철 재건법) 시행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지즈선의 예상 수송 밀도가 기준에 미달했기 때문이다.[9] 이후 지역 자치단체가 인수하여 제3섹터 방식으로 개통할 수 있도록 규정되었고, 1983년 돗토리현 지사 니시오 무라지는 지즈선 건설 재개를 위해 노력했다. 1986년 제3섹터 방식 전환이 결정되어 '지즈 철도 주식회사'가 설립되었고, 1987년 공사가 재개되었다. 건설비는 413억엔으로 개정되었다.[10]
고속도로와의 경쟁을 위해 고속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1991년 고속화 대응 사업 기본 계획 변경이 인가되었다. 전철화 대신 단선 비전철 130km/h 대응으로 결정되었고, 1992년 고속화 대응 공사가 시작되었다.[12] 1994년 12월 3일 개통되어, 특급 "슈퍼 하쿠토" 등이 운행을 시작했다.[13]
'''개통 이후'''
1994년 12월 3일 지즈선 개통과 함께, 신오사카-돗토리·구라요시 간 특급 "슈퍼 하쿠토"(HOT7000계 사용, 3왕복)와 임시 특급 "하쿠토"(JR 서일본 키하181계 사용, 1왕복) 운행이 시작되었다.[14] 가미고리-오하라 간 보통 열차는 17왕복, 오하라-지즈 간은 12왕복 운행되었다. 화물 열차 및 쾌속 열차는 운행되지 않았다.[15]
1995년 1월 17일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게이한신 방면 직통 특급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1월 23일 히메지-돗토리 간 운행이 재개되었고, 4월 1일 오사카 방면 직통 운행이 재개되었다. 이후 직통 특급 수요는 꾸준히 증가했다.
1996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으로 교토-돗토리 간 특급 아사시오(산인 본선 경유, 4시간 소요)가 폐지되고, "아사시오"에 사용되던 키하181계 차량으로 "하쿠토"가 2왕복 증편되었다. "슈퍼 하쿠토" 포함 모든 열차가 교토 시종착으로 연장되었다.
1997년 3월 8일 시간표 개정으로 HOT7000계 차량이 1편성 추가되어 "슈퍼 하쿠토"는 5왕복이 되었고,[21] 같은 해 11월 29일 다시 1편성 추가되어 모든 열차가 "슈퍼 하쿠토"가 되었다. 쓰야마선·인미선 경유 오카야마-돗토리 간 급행 "사큐"가 폐지되고, 지즈 급행선 경유 특급 "이나바"(키하181계 사용, 3왕복)가 운행을 시작했다.[22]
2003년 10월 1일 키하187계를 사용한 특급 "슈퍼 이나바"가 5왕복 운행을 시작했다.[23]
2009년 8월 10일 태풍 제9호로 인한 폭우로 일부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가,[24] 8월 29일 정상 운행이 재개되었다.[24]
자세한 연혁은 다음과 같다.발생일 사건 내용 1922년 개정 철도 부설법 제85호에 예정선으로 기재됨. 1961년 철도 건설 심의회에 의해 조사선으로 채택됨. 1962년 철도 건설 심의회에 의해 공사선으로 채택됨. 1964년 운수 대신에 의해 지즈선 건설의 기본 계획이 정해지고, "공사 실시 계획의 지시"가 일본 철도 건설 공단에 내려짐. 1966년 4월 7일: 공사 실시 계획의 인가를 운수 대신에게 신청. 5월 10일: 공사 실시 계획 인가. 6월 21일: 지즈선 건설에 착공. 1975년 야마와키 신호장의 계획을 폐지하고, 히메신선과 입체 교차하도록 공사 실시 계획이 변경됨. 1979년 가미고리역 구내의 산요 본선과의 공용 구간을 없애고 별선으로 하고, 가미고리역 섬식 승강장에 꺾인 승강장을 설치하도록 공사 실시 계획이 변경됨. 1980년 국철 재건법 시행에 따라 공사 동결. 1986년 10월 22일: 국철 재건법 제14조 제1항에 근거한 신선 건설의 특례로서 고시. 11월 27일: 지방 철도법 제12조에 근거한 지방 철도 사업 면허를 신청. 12월 25일: 하시모토 류타로 운수 대신으로부터 니시오 돗토리현 지사 (지즈 철도 대표 이사 사장)에게 지방 철도 사업의 면허장을 교부. 지즈 철도 (당시)[18]에서 공사 시행 인가 신청. 12월 26일: 공사 시행 인가. 1987년 1월 27일: 운수 대신으로부터 철도 공단 총재에게 "공사 실시 계획의 지시"를 함. 지즈선 건설 공사 재개. 1991년 9월 18일: 고속화 대응의 사업 기본 계획 변경 인가 신청 제출. 11월 8일: JR 서일본 인미선 구간의 철도 시설 변경 인가 신청 제출. 11월 19일: 고속화 대응의 사업 기본 계획 변경 인가. 12월 19일: JR 서일본 인미선 구간의 철도 시설 변경 인가. 1992년 3월 12일: 고속화 대응 공사에 착수. 4월 2일: 11시 15분경, 히라후쿠역 부근에서 6량 편성의 공사용 열차에 다른 공사용 열차가 충돌하여 작업원 3명이 압사하는 사고가 발생.[19] 1994년 오하라역 구내에서 레일 체결식을 거행하고, 전 노선에서 레일 부설을 완료.[20] 1994년 12월 3일 지즈선 개통.[13] 특급 "슈퍼 하쿠토" 3왕복, 임시 특급 "하쿠토" 1왕복, 보통 열차 17왕복 운행 시작. 1995년 1월 17일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인해 모든 특급 열차 운행 중단. 1995년 1월 23일 히메지역 - 돗토리역 구간 특급 열차 운행 재개. 1995년 4월 1일 도카이도 본선・산요 본선 복구로 특급 열차 정상 운행 재개. 1996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으로 특급 "슈퍼 하쿠토", "하쿠토" 교토역 발착. "하쿠토" 2왕복 증편. 1997년 3월 8일 시간표 개정으로 특급 "슈퍼 하쿠토" 5왕복, 특급 "하쿠토" 1왕복.[21] 1997년 8월 10일 HOT7000계 일부 편성에 그린샤(1등석) 연결 시작. 1997년 11월 29일 게이한신 방면 특급 열차 모두 HOT7000계 사용 "슈퍼 하쿠토"로 변경 (6왕복). 모든 열차에 그린샤 연결. 키하181계 사용 특급 "이나바" 오카야마역 - 돗토리역 구간 3왕복 운행 시작.[22] 2003년 10월 1일 "이나바" 차량 키하187계로 교체, "슈퍼 이나바"로 변경, 5왕복 증편.[23] 2009년 8월 10일 태풍 제9호로 인한 호우로 일부 구간 불통.[24] 2009년 8월 29일 정상 운행 재개.[24]
3. 1. 건설 배경 및 과정
1892년(메이지 25년), 히메지와 돗토리를 잇는 철도 건설 운동이 시작되면서 지즈 급행 지즈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 루트는 에도 시대부터 돗토리번이 참근교대에 이용하던 인바 가도를 따라 사요를 거쳐 돗토리에 이르는 경로였다. 철도 부설법에서는 "산인 및 산요 연락선"의 일부로 "효고현 아래 히메지 근방에서 돗토리현 아래 돗토리로 이어지는 철도" 등이 정해졌고, 여러 루트 중 지즈선의 사요 - 지즈 구간을 지나는 루트가 채택되었다. 그러나 이후 산인 방면 철도는 와다야마에서 건설되면서(현재의 산인 본선) 지즈선 건설은 백지화되었다.[2]
1922년 개정된 철도 부설법 제85호에 "효고현 가미고리에서 사요를 거쳐 돗토리현 지즈로 이어지는 철도"가 예정 노선으로 포함되었다. 1934년에는 관계 지역 18개 시정촌이 '지즈・사요선 철도 기성회'를 결성해 철도 건설을 추진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 1950년 '지즈・가미고리선 철도 부설 기성 동맹회'로 재결성되어 건설 운동이 재개되었고, 1961년 조사선, 1962년 공사선으로 채택되었다. 1964년 일본 철도 건설 공단에 '공사 실시 계획의 지시'가 내려졌고, 1966년 공사 실시 계획 인가 및 착공에 이르렀다.[3] 당초 1973년 봄 개통 예정이었으며, 특급 차량은 키하181계 동차로 결정되었다.[4][5]
당초 계획에는 선내 최고 속도 95km/h, 이와키 신호장과 미야모토 무사시역은 포함되지 않았다. 가미고리역에서 산요 본선 상행선과 선로를 공유하고, 사요역에서 히메신선과 합류・분기하는 구조로, 공사비는 8990400000JPY으로 추산되었다.[6]
1975년 히메신선과의 입체 교차 계획으로 변경되어 공사비가 22900000000JPY으로 증가했고,[7] 1979년에는 가미고리역 구내 산요 본선과의 공용 구간을 폐지하고 별선 계획으로 변경되어 공사비가 30069000000JPY으로 증가했다.[8]
그러나 1980년 일본국유철도 경영 재건 촉진 특별 조치법(국철 재건법) 시행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지즈선의 예상 수송 밀도가 기준에 미달했기 때문이다.[9] 이후 지역 자치단체가 인수하여 제3섹터 방식으로 개통할 수 있도록 규정되었고, 1983년 돗토리현 지사 니시오 무라지는 지즈선 건설 재개를 위해 노력했다. 1986년 제3섹터 방식 전환이 결정되어 '지즈 철도 주식회사'가 설립되었고, 1987년 공사가 재개되었다. 건설비는 41300000000JPY으로 개정되었다.[10]
고속도로와의 경쟁을 위해 고속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1991년 고속화 대응 사업 기본 계획 변경이 인가되었다. 전철화 대신 단선 비전철 130km/h 대응으로 결정되었고, 1992년 고속화 대응 공사가 시작되었다.[12]
1994년 12월 3일 개통되어, 특급 "슈퍼 하쿠토" 등이 운행을 시작했다.[13]
자세한 연혁은 아래와 같다.
연도 | 사건 |
---|---|
1922년 | 개정 철도 부설법 제85호에 예정선으로 기재됨. |
1961년 | 철도 건설 심의회에 의해 조사선으로 채택됨. |
1962년 | 철도 건설 심의회에 의해 공사선으로 채택됨. |
1964년 | 운수 대신에 의해 지즈선 건설의 기본 계획이 정해지고, "공사 실시 계획의 지시"가 일본 철도 건설 공단에 내려짐. |
1966년 | 4월 7일: 공사 실시 계획의 인가를 운수 대신에게 신청. |
5월 10일: 공사 실시 계획 인가. | |
5월 29일: 기공식 개최.[17] | |
6월 21일: 지즈선 건설에 착공. | |
1975년 | 야마와키 신호장의 계획을 폐지하고, 히메신선과 입체 교차하도록 공사 실시 계획이 변경됨. |
1979년 | 가미고리역 구내의 산요 본선과의 공용 구간을 없애고 별선으로 하고, 가미고리역 섬식 승강장에 꺾인 승강장을 설치하도록 공사 실시 계획이 변경됨. |
1980년 | 국철 재건법 시행에 따라 공사 동결. |
1986년 | 10월 22일: 국철 재건법 제14조 제1항에 근거한 신선 건설의 특례로서 고시. |
11월 27일: 지방 철도법 제12조에 근거한 지방 철도 사업 면허를 신청. | |
12월 25일: 하시모토 류타로 운수 대신으로부터 니시오 돗토리현 지사 (지즈 철도 대표 이사 사장)에게 지방 철도 사업의 면허장을 교부. 지즈 철도 (당시)[18]에서 공사 시행 인가 신청. | |
12월 26일: 공사 시행 인가. | |
1987년 | 12월 27일: 철도 공단이 공사를 시행하도록 공단 공사의 신청을 함. |
1월 27일: 운수 대신으로부터 철도 공단 총재에게 "공사 실시 계획의 지시"를 함. 지즈선 건설 공사 재개. | |
1991년 | 9월 18일: 고속화 대응의 사업 기본 계획 변경 인가 신청 제출. |
11월 8일: JR 서일본 인미선 구간의 철도 시설 변경 인가 신청 제출. | |
11월 19일: 고속화 대응의 사업 기본 계획 변경 인가. | |
12월 19일: JR 서일본 인미선 구간의 철도 시설 변경 인가. | |
12월 24일: 철도 공단에 대해 지즈 철도 고속화 대응의 철도 시설 건설의 신청이 이루어짐. | |
1992년 | 3월 12일: 고속화 대응 공사에 착수. |
4월 2일: 11시 15분경, 히라후쿠역 부근에서 6량 편성의 공사용 열차에 다른 공사용 열차가 충돌하여 작업원 3명이 압사하는 사고가 발생.[19] | |
1994년 | 오하라역 구내에서 레일 체결식을 거행하고, 전 노선에서 레일 부설을 완료.[20] |
3. 2. 개통 이후
1994년 (헤이세이 6년) 12월 3일 지즈선 개통과 함께, 신오사카-돗토리·구라요시 간 특급 "슈퍼 하쿠토"(지즈 급행 HOT7000계 사용, 3왕복)와 임시 특급 "하쿠토"(JR 서일본 키하181계 사용, 1왕복) 운행이 시작되었다.[14] 가미고리-오하라 간 보통 열차는 17왕복, 오하라- 지즈 간은 12왕복 운행되었다. 화물 열차 및 쾌속 열차는 운행되지 않았다.[15]1995년 (헤이세이 7년) 1월 17일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게이한신 방면 직통 특급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1월 23일 히메지-돗토리 간 운행이 재개되었고, 4월 1일 오사카 방면 직통 운행이 재개되었다. 이후 직통 특급 수요는 꾸준히 증가했다.
1996년 (헤이세이 8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으로 교토-돗토리 간 특급 아사시오(산인 본선 경유, 4시간 소요)가 폐지되고, "아사시오"에 사용되던 키하181계 차량으로 "하쿠토"가 2왕복 증편되었다. "슈퍼 하쿠토" 포함 모든 열차가 교토 시종착으로 연장되었다.
1997년 (헤이세이 9년) 3월 8일 시간표 개정으로 HOT7000계 차량이 1편성 추가되어 "슈퍼 하쿠토"는 5왕복이 되었고,[21] 같은 해 11월 29일 다시 1편성 추가되어 모든 열차가 "슈퍼 하쿠토"가 되었다. 쓰야마선·인미선 경유 오카야마-돗토리 간 급행 "사큐"가 폐지되고, 지즈 급행선 경유 특급 "이나바"(키하181계 사용, 3왕복)가 운행을 시작했다.[22]
2003년 (헤이세이 15년) 10월 1일 키하187계를 사용한 특급 "슈퍼 이나바"가 5왕복 운행을 시작했다.[23]
2009년 (헤이세이 21년) 8월 10일 태풍 제9호로 인한 폭우로 일부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가,[24] 8월 29일 정상 운행이 재개되었다.[24]
발생일 | 사건 내용 |
---|---|
1994년 12월 3일 | 지즈선 개통.[13] 특급 "슈퍼 하쿠토" 3왕복, 임시 특급 "하쿠토" 1왕복, 보통 열차 17왕복 운행 시작. |
1995년 1월 17일 |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인해 모든 특급 열차 운행 중단. |
1995년 1월 23일 | 히메지역 - 돗토리역 구간 특급 열차 운행 재개. |
1995년 4월 1일 | 도카이도 본선・산요 본선 복구로 특급 열차 정상 운행 재개. |
1996년 3월 16일 | 시간표 개정으로 특급 "슈퍼 하쿠토", "하쿠토" 교토역 발착. "하쿠토" 2왕복 증편. |
1997년 3월 8일 | 시간표 개정으로 특급 "슈퍼 하쿠토" 5왕복, 특급 "하쿠토" 1왕복.[21] |
1997년 8월 10일 | HOT7000계 일부 편성에 그린샤(1등석) 연결 시작. |
1997년 11월 29일 | 게이한신 방면 특급 열차 모두 HOT7000계 사용 "슈퍼 하쿠토"로 변경 (6왕복). 모든 열차에 그린샤 연결. 키하181계 사용 특급 "이나바" 오카야마역 - 돗토리역 구간 3왕복 운행 시작.[22] |
2003년 10월 1일 | "이나바" 차량 키하187계로 교체, "슈퍼 이나바"로 변경, 5왕복 증편.[23] |
2009년 8월 10일 | 태풍 제9호로 인한 호우로 일부 구간 불통.[24] |
2009년 8월 29일 | 정상 운행 재개.[24] |
4. 운행 형태
교토역 - 돗토리역·구라요시역 간 특급 "슈퍼 하쿠토" (7왕복)와 오카야마역 - 돗토리역 간 특급 "슈퍼 이나바" (6왕복)가 운행되고 있다.[25]
특급 "슈퍼 하쿠토"는 130km/h, 특급 "슈퍼 이나바"는 120km/h로 운행한다.[25] 그 사이를 꿰뚫듯이 지즈 급행 소속 차량으로 운행되는 보통 열차가 가미고리역 - 오하라역 - 지즈역 구간에서 운행되며, 일부 열차는 돗토리역까지 운행한다. 보통 열차는 가미고리역 - 지즈역 구간에서 110km/h로 운행한다. 단선이기 때문에 특급 열차끼리 열차 교환을 위해 운전 정차하거나, 상하행 특급 열차를 먼저 보내기 위해 오하라역에서 10분 정도 정차하는 보통 열차도 있다.
2020년 3월 14일 기준 보통 열차 운행 횟수는 다음과 같다(하행·상행은 지즈선 내 기준. 인비선 직통 열차는 지즈역 - 돗토리역 구간에서 하행·상행이 바뀐다).[26]
구간 | 하행 | 상행 |
---|---|---|
가미고리역 - 오하라역 | 8편 | 7편 |
가미고리역 - 지즈역 | 7왕복 | |
가미고리역 - 돗토리역 | 1편 | 2편 |
오하라역 - 지즈역 | 2왕복 | |
오하라역 - 돗토리역 | 1편 |
가미고리역 - 오하라역 구간은 1시간에 1편 정도, 오하라역 - 지즈역 구간은 1~2시간에 1편 정도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가미고리역 - 돗토리역 구간을 운행하는 보통 열차는 돗토리행 1편, 가미고리행 2편이다. 2009년 3월 14일 개정부터 1년 동안은 이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가 한 편도 없었다.
JR 서일본과 지즈 급행 양쪽에 특급 열차가 직통 운행하며, 차량 사용료는 직통 운행하는 상대 회사에 각각 지불하고 있다. 운행 횟수와 주행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슈퍼 하쿠토"와 "슈퍼 이나바" 사이에서는 완전한 상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보통 열차도 JR선으로 직통 운행하기 때문에 지즈 급행은 JR 서일본으로부터 차량 사용료를 받고 있다.
5. 이용 현황
효고현 남부를 포함한 산요 지방과 산인 지방의 도시 간 수송을 주로 담당하는 특급열차의 수송량은 많다. 하지만 보통 열차는 3개 현에 걸쳐 있고, 가미고리역, 사요역, 지즈역 주변에 고등학교가 있지만, 동일 통학 구역인 효고현 외에는 학구의 제약으로 통학 이용이 적다. 따라서 음양 연락 노선으로서의 역할이 크다.[27][28]
오카야마현에서는 고등학교 재편으로 오하라정에 있던 오카야마현립 오하라 고등학교가 미마사카시의 히메신선 린노역 인근 오카야마현립 린노 고등학교로 통합되었다. 그러나 히메신선의 운행 횟수가 최근 줄어들어 린노 고등학교로의 열차 통학은 사실상 어렵다. 보통 열차가 고속이기 때문에, 오카야마현 연선의 와케정에 있는 오카야마현립 와케 칸야 고등학교로는 가미고리역 경유로 통학이 불가능하지 않지만, 학구의 제약이 있다. 2019년 봄부터는 연선의 니시아와쿠라촌 및 미마사카시의 구 오하라정·히가시아와쿠라촌 지구에서 효고현립 사요 고등학교로의 현외 통학이 가능해졌다.[29][30]
5. 1. 수송 실적
지즈 급행 지즈선의 수송 실적은 다음 표와 같다.[31][32]연도별 수송 실적 | ||||||
---|---|---|---|---|---|---|
연도 | 수송 실적 (승차 인원): 만 명/연도 | 수송 밀도 (명/1일) | 특기 사항 | |||
통근 정기 | 통학 정기 | 정기 외 | 합계 | |||
1994년 (헤이세이 6년) | 0.6 | 1.1 | 19.3 | 21.0 | 1,251 | |
1995년 (헤이세이 7년) | 3.0 | 8.9 | 80.9 | 92.8 | 2,012 | |
1996년 (헤이세이 8년) | 3.5 | 8.5 | 85.9 | 97.9 | 2,210 | |
1997년 (헤이세이 9년) | 3.1 | 11.0 | 97.8 | 111.9 | 2,525 | |
1998년 (헤이세이 10년) | 3.2 | 10.0 | 105.8 | 119.0 | 2,723 | |
1999년 (헤이세이 11년) | 3.1 | 12.0 | 105.7 | 120.8 | 2,726 | |
2000년 (헤이세이 12년) | 2.9 | 11.7 | 108.0 | 122.6 | 2,787 | |
2001년 (헤이세이 13년) | 2.9 | 11.0 | 109.7 | 123.6 | 2,785 | |
2002년 (헤이세이 14년) | 2.7 | 11.0 | 108.1 | 121.8 | 2,773 | |
2003년 (헤이세이 15년) | 3.1 | 11.3 | 112.2 | 126.6 | 2,930 | |
2004년 (헤이세이 16년) | 3.0 | 11.1 | 113.8 | 127.9 | 2,966 | |
2005년 (헤이세이 17년) | ||||||
2006년 (헤이세이 18년) | ||||||
2007년 (헤이세이 19년) | ||||||
2008년 (헤이세이 20년) | ||||||
2009년 (헤이세이 21년) | ||||||
2010년 (헤이세이 22년) | ||||||
2011년 (헤이세이 23년) | ||||||
2012년 (헤이세이 24년) | 2.5 | 8.1 | 95.9 | 106.5 | 2,568 | |
2013년 (헤이세이 25년) | 2.2 | 10.2 | 93.1 | 105.5 | 2,509 | |
2014년 (헤이세이 26년) | 1.9 | 9.1 | 95.7 | 106.7 | 2,554 | |
2015년 (헤이세이 27년) | 1.9 | 10.5 | 100.1 | 112.5 | 2,675 | |
2016년 (헤이세이 28년) | 1.9 | 10.8 | 100.1 | 112.8 | 2,683 | |
2017년 (헤이세이 29년) | 2.4 | 12.7 | 102.4 | 117.5 | 2,701 | |
2018년 (헤이세이 30년) | 2.6 | 14.0 | 97.8 | 114.4 | 2,521 | |
2019년 (레이와 원년) | 2.5 | 13.8 | 96.0 | 112.3 | 2,472 | |
2020년 (레이와 2년) | 2.1 | 11.5 | 37.9 | 51.5 | 1,083 |
표에서 수송 인원의 단위는 만 명이며, 연도별 값이다. 표에서 최고값은 빨간색, 최고값을 기록한 연도 이후의 최저값은 파란색, 최고값을 기록한 연도 이전의 최저값은 녹색으로 표기한다.
5. 2. 수입 실적
지즈 급행 지즈선의 수입 실적은 다음 표와 같다.[32]연도 | 여객 운임 수입 (천 엔/연도) | 운수 잡수입 (천 엔/연도) | 총계 (천 엔/연도) | 영업 계수 | |||||
---|---|---|---|---|---|---|---|---|---|
통근 정기 | 통학 정기 | 정기 합계 | 정기 외 | 수하물 | 합계 | ||||
1994년 (헤이세이 6년) | 151.8만엔 | 177.8만엔 | 329.6만엔 | 21997.4만엔 | 0JPY | 22327만엔 | 13345.9만엔 | 35672.9만엔 | |
1995년 (헤이세이 7년) | |||||||||
1996년 (헤이세이 8년) | |||||||||
1997년 (헤이세이 9년) | |||||||||
1998년 (헤이세이 10년) | 877.5만엔 | 1675.3만엔 | 2552.8만엔 | 144336.9만엔 | 0JPY | 146889.7만엔 | 139139.3만엔 | 286029만엔 | |
1999년 (헤이세이 11년) | |||||||||
2000년 (헤이세이 12년) | |||||||||
2001년 (헤이세이 13년) | |||||||||
2002년 (헤이세이 14년) | |||||||||
2003년 (헤이세이 15년) | |||||||||
2004년 (헤이세이 16년) | 418.2만엔 | 1532만엔 | 1950.2만엔 | 156470.5만엔 | 0JPY | 158420.7만엔 | 159453.7만엔 | 317874.4만엔 | |
2005년 (헤이세이 17년) | |||||||||
2006년 (헤이세이 18년) | |||||||||
2007년 (헤이세이 19년) | |||||||||
2008년 (헤이세이 20년) | |||||||||
2009년 (헤이세이 21년) | 750.3만엔 | 1020만엔 | 1770.3만엔 | 129190.9만엔 | 0JPY | 130961.2만엔 | 161948만엔 | 292909.2만엔 | |
2010년 (헤이세이 22년) | 1740.8만엔 | 129043.1만엔 | 0JPY | 130783.9만엔 | 154873.8만엔 | 285657.7만엔 | |||
2011년 (헤이세이 23년) | |||||||||
2012년 (헤이세이 24년) | 1544.3만엔 | 129649.3만엔 | 0JPY | 131193.6만엔 | 144352.5만엔 | 275546.1만엔 | 93 | ||
2013년 (헤이세이 25년) | 1819.2만엔 | 129450.4만엔 | 0JPY | 131269.6만엔 | 148707.9만엔 | 279977.5만엔 | 90 | ||
2014년 (헤이세이 26년) | 1434.8만엔 | 128648.3만엔 | 0JPY | 130083.1만엔 | 145303.5만엔 | 275386.6만엔 | 87 | ||
2015년 (헤이세이 27년) | 1685.2만엔 | 135519.8만엔 | 137205만엔 | 140537.9만엔 | 277742.9만엔 | 84 | |||
2016년 (헤이세이 28년) | 1735.3만엔 | 134436.7만엔 | 136172만엔 | 138816.8만엔 | 274988.8만엔 | 86 | |||
2017년 (헤이세이 29년) | 2172.4만엔 | 137074.4만엔 | 139246.8만엔 | 140157.7만엔 | 279404.5만엔 | 92 | |||
2018년 (헤이세이 30년) | 2463만엔 | 128900만엔 | 131363만엔 | 137968.1만엔 | 269331.1만엔 | 95 | |||
2019년 (레이와 원년) | 2430.2만엔 | 126199.5만엔 | 128629.7만엔 | 147672.4만엔 | 276302.1만엔 | 92 |
6. 사용 차량
전 구간 비전철화이므로, 모든 열차가 기동차로 운행된다.
- HOT3500형: 보통 열차
- HOT7000계: 특급 '슈퍼 하쿠토'
- JR 서일본 키하187계 (500번대): 특급 '슈퍼 이나바'
- JR 서일본 키야141계 기동차: 검측용[25]
7. 승차권
연중 1일 유효한 특별 기획 승차권으로, "지즈선 보통 열차 1일 승차권" (어른 2000JPY, 어린이 1000JPY)이 연중 판매되고 있다. 보통 열차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특급 열차는 이용할 수 없으며, 별도로 특급권 및 승차권을 구입해야 한다.[1]
JR 여객 회사에서 발매하는 "청춘 18 티켓"으로는 승차할 수 없다.[1]
8. 역 목록
역명 | 일본어 역명 | 역간 거리 (km) | 영업 거리 (km) | 접속 노선 | 특급 | 소재지 |
---|---|---|---|---|---|---|
가미고리 | 上郡 | - | 0.0 |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 | ● | 효고현 아코군 가미고리정 |
(이와키 신호장) | 岩木信号場 | - | (3.8) | | | ||
고케나와 | 苔縄 | 4.8 | 4.8 | | | 효고현 아코군 가미고리정 | |
고노하라엔신 | 河野原円心 | 2.6 | 7.4 | | | 효고현 아코군 가미고리정 | |
구자키 | 久崎 | 4.8 | 12.2 | | | 효고현 사요군 사요정 | |
사요 | 佐用 | 5.0 | 17.2 |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 | ● | 효고현 사요군 사요정 |
히라후쿠 | 平福 | 5.3 | 22.5 | | | 효고현 사요군 사요정 | |
이시이 | 石井 | 4.6 | 27.1 | | | 효고현 사요군 사요정 | |
미야모토무사시 | 宮本武蔵 | 3.5 | 30.6 | | | 오카야마현 미마사카시 | |
오하라 | 大原 | 2.6 | 33.2 | ● | 오카야마현 미마사카시 | |
니시아와쿠라 | 西粟倉 | 4.2 | 37.4 | | | 오카야마현 아이다군 니시아와쿠라촌 | |
아와쿠라온센 | あわくら温泉 | 3.2 | 40.6 | | | 오카야마현 아이다군 니시아와쿠라촌 | |
야마사토 | 山郷 | 6.6 | 47.2 | | | 돗토리현 야즈군 지즈정 | |
고이야마가타 | 恋山形 | 2.8 | 50.0 | | | 돗토리현 야즈군 지즈정 | |
지즈 | 智頭 | 6.1 | 56.1 | 서일본 여객철도 인비 선 | ● | 돗토리현 야즈군 지즈정 |
- 가미고리역, 오하라역, 지즈역은 지즈 급행의 직영역이며, 그 외의 역은 무인역이다.
- 열차 교환은 전 역에서 가능하다.
- 특급 열차는 전 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참조
[1]
서적
日本のローカル私鉄 (2000)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
서적
三セク新線高速化の軌跡
[3]
서적
三セク新線高速化の軌跡
[4]
서적
智頭急行10年のあゆみ
[5]
서적
よみがえるキハ80系・181系
[6]
서적
三セク新線高速化の軌跡
[7]
서적
三セク新線高速化の軌跡
[8]
서적
三セク新線高速化の軌跡
[9]
서적
三セク新線高速化の軌跡
[10]
서적
三セク新線高速化の軌跡
[11]
서적
三セク新線高速化の軌跡
[12]
서적
三セク新線高速化の軌跡
[13]
뉴스
智頭急行:“快走”20年 記念セレモニー「今後も県発展の礎に」
毎日新聞
2014-12-04
[14]
뉴스
「智頭急行」が開業
交通新聞社
1994-12-06
[15]
서적
三セク新線高速化の軌跡
[16]
서적
三セク新線高速化の軌跡
[17]
서적
加古川市史
2000
[18]
문서
[19]
뉴스
工事用列車衝突で3人死亡 智頭鉄道建設現場
交通新聞社
1992-04-04
[20]
뉴스
智頭急行 レール敷設が完了
交通新聞社
1994-06-23
[21]
웹사이트
平成9年3月ダイヤ改正
https://web.archive.[...]
西日本旅客鉄道
1996-12-06
[22]
웹사이트
平成9年秋ダイヤ改正について(別紙詳細)
https://web.archive.[...]
西日本旅客鉄道
1997-07-25
[23]
웹사이트
平成15年秋 ダイヤ改正
https://web.archive.[...]
西日本旅客鉄道
2003-07-30
[24]
뉴스
智頭急行が全面復旧 豪雨被害で20日ぶり
http://www.kobe-np.c[...]
神戸新聞
2009-08-27
[25]
간행물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0
https://www.westjr.c[...]
[26]
웹사이트
智頭急行株式会社時刻表
http://www.chizukyu.[...]
[27]
문서
[28]
문서
[29]
뉴스
教育|高校の越県通学、兵庫県内初導入へ 岡山から佐用
https://www.kobe-np.[...]
神戸新聞NEXT
2017-01-06
[30]
뉴스
越境通学:美作などの中学生、兵庫・佐用高へ 19年春から /岡山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7-03-17
[31]
웹사이트
鉄道統計年報
https://www.mlit.go.[...]
[32]
웹사이트
運輸要覧バックナンバー
https://wwwtb.mlit.g[...]
[3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