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균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균상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1910년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만주와 하와이로 망명했으며, 3·1 운동 이후 상하이 임시정부에 참여하여 사료편찬위원회 조역특보원, 재무부 주계국 재정위원 등을 역임했다. 흥사단에서도 활동했으며, 광복 후 한국독립당, 자유당 등에서 활동하다가 1970년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대통령 표창과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성중학교 동문 - 이유연
이유연은 대한민국 수영 선수이며, 2018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 201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9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2020년 하계 올림픽에 대한민국 대표로 출전했다. - 신성중학교 동문 - 김종국 (가수)
김종국은 1995년 그룹 터보의 리더이자 메인보컬로 데뷔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솔로 가수로 전향 후 히트곡을 발표하며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고, 런닝맨, 미운 우리 새끼 등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활약하는 가수이자 방송인이다. - 흥사단 - 안창호
안창호는 평안남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사상가로서, 서양식 교육과 기독교 입교 후 독립협회 활동, 대한국민회 설립 등 해외 독립운동, 신민회 조직, 흥사단 재건 등 국내외 민족 교육과 계몽 운동에 헌신하며 민족 개조를 주창하고 이상촌 건설을 추진하다 일제의 탄압으로 옥중에서 병사하였다. - 흥사단 - 최능진
최능진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활동했으며 광복 후 경무부 수사국장을 지냈으나, 이적 혐의로 총살된 후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았다. - 신성고등학교 동문 - 임동원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임동원은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군과 정부의 요직을 거쳐 나이지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대사, 통일부 장관, 국가정보원장 등을 역임하며 김대중 정부 시절 햇볕정책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나, 제2연평해전 발언과 불법 감청 혐의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신성고등학교 동문 - 강득구
강득구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제22대 국회의원(경기 안양시 만안구)이며, 성균관대학교와 연세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경기도의원 3선, 제21대 국회의원을 거쳐 현재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인 정치인이다.
| 차균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차균상 |
| 원래 이름 | 車均祥 |
| 출생지 | 조선 평안도 의주 |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 거주지 | 평안남도 덕천 평안북도 의주 평안북도 선천 평안북도 선천 만저우 지방 펑톈 성 안둥 만저우 지방 펑톈 성 안둥 만저우 지방 지린성 창춘 호놀룰루 경성부 장쑤성 상하이 둥베이 지방 헤이룽장성 하얼빈 장쑤성 난징 지린성 지린 산시성 타이위안 타이완 성 타이베이 전라북도 전주 전라북도 정주 전라남도 담양 산시성 시안 광둥성 광저우 전라남도 광주 전라남도 순천 푸젠성 푸저우 펑톈 성 펑톈 프리모르스키 지방 프리모르스키 주 블라디보스토크 서울 서울특별시 |
| 종교 | 유교(성리학) → 개신교(장로회) |
| 배우자 | 경주 박씨 부인 |
| 자녀 | 슬하 3남 3녀 |
| 본관 | 연안(延安) |
| 학력 | 경성 중앙학원 영어학과 전문학사 |
| 정당 | 무소속 |
| 주요 직책 | |
| 직책 | 前 대한민국 재무부 특임행정촉탁위원 |
| 직책 (한자) | (前 大韓民國 財務部 特任行政囑託委員) |
| 대통령 | 이승만 |
| 임기 | 1948년 12월 6일 ~ 1950년 1월 6일 |
| 부통령 | 이시영 |
| 총리 | 이범석 |
| 장관 | 김도연 (재무부 장관) |
| 차관 | 장희창 (재무부 차관) 김유택 (재무부 차관) |
| 경력 | |
| 경력 | 前 대한민국 임시정부 재무부 주계국 재정위원 前 대한민국 자유당 전임위원 前 한국독립당 최고위원 겸 전임고문 |
| 웹사이트 | |
| 웹사이트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1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2 |
2. 생애
차균상은 1910년 평안북도 선천 신성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고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청나라 만저우 지방 펑톈 성 안둥으로 피신하였다. 이후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로 망명했다가, 1915년 귀국하여 경성 중앙학원 영어학과를 졸업하였다.
1919년 3·1 운동 당시 경성부에서 독립 만세 시위에 참여하고 중화민국 장쑤성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합류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사료편찬위원회 조역특보원, 평안북도 선천군 자치행정지부 조사원, 재무부 주계국 재정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흥사단에서도 재무행정위원, 원동위원부 특무행정특보위원, 상임위원 등을 지냈다.
1945년 8월 15일 소련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조선 광복을 맞이하였고, 1946년 귀국 후에는 한국독립당 전임위원, 대한민국 재무부 특임행정촉탁위원, 자유당 전임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1956년 한국독립당에 복당하여 대표위원, 최고위원, 상임고문 등을 지냈다. 1970년 1월 7일 서울에서 별세하였다.
2. 1. 독립운동 투신과 망명
1910년 평안북도 선천 신성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고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청나라 만저우 지방 펑톈 성 안둥에 피신하였다. 1914년 12월, 중화민국 만저우 지방 펑톈 성 안둥을 떠나 중화민국 만저우 지방 지린성 창춘을 경유하여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에 망명하였다. 1915년 11월, 조선 고국에 귀국하여 경성부에 사실상 정착하였다. 1916년 2월, 경성 중앙학원 영어학과에 입학하여 1918년 2월 경성 중앙학원 영어학과를 전문학사로 졸업하였다.2. 2.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경성부에서 먼저 독립 만세 시위에 참가하고 그 직후 중화민국 장쑤성 상하이에 망명하였다. 같은 해 7월, 상하이 주재 대한민국 임시정부 예하 사료편찬위원회 조역특보원이 되었다. 10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평안북도 선천군 자치행정지부 조사원 직위로 전보되었다. 오정은(吳正殷), 주현칙(朱賢則) 등이 당시 함께 전보된 동료 조역특보원이었다. 12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재무부 주계국 재정위원이 되었다.1920년 4월, 흥사단 재무행정위원이 되었고, 1921년 3월, 흥사단 원동위원부 특무행정특보위원을 거쳐 1922년 1월, 흥사단 상임위원이 되었다.
2. 3. 광복 이후 활동
1945년 8월 15일, 소련 러시아 사회주의 자치공화국 프리모르스키 지방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조선 광복을 맞이하였다. 1946년 1월 20일 미 군정 조선 고국에 귀국하여 서울에 도착하였다.1946년 12월 한국독립당 전임위원이 되었다. 1947년 12월 한국독립당을 탈당하였다. 1948년 12월 대한민국 재무부 특임행정촉탁위원이 되었으나, 1950년 1월 퇴임하였다. 1952년 12월 자유당 전임위원이 되었으나, 1955년 12월 자유당을 탈당하였다.
1956년 6월 한국독립당 대표위원으로 복당하였다. 1959년 6월 한국독립당 최고위원이 되었고, 12월에는 한국독립당 최고위원 겸 상임고문, 1961년 2월에는 한국독립당 최고위원 겸 전임고문을 지냈다. 1967년 3월 한국독립당을 다시 탈당하였다. 1970년 1월 7일 서울에서 별세하였다.
3. 사후
대한민국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1977년 대통령 표창장과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고, 1986년 6월 신성고등학교에서 명예 졸업장을 추서하였다.
3. 1. 서훈 추서
1977년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1986년 신성고등학교에서 명예 졸업장을 추서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