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등함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등함수는 상수 함수, 항등 함수, 역함수, 다항 함수, 유리 함수, 삼각 함수, 역삼각 함수 등을 포함하는 함수이다. 지수 함수, 로그 함수, 쌍곡선 함수, 역쌍곡선 함수와 x의 유리수 거듭제곱 또한 초등함수에 속한다. 기본 함수들을 유한 번 합성하여 새로운 초등 함수를 만들 수 있으며, 모든 단항식, 다항식, 유리 함수 및 대수 함수는 초등 함수이다. 초등 함수 집합은 사칙 연산, 근 추출 및 합성 연산에 대해 닫혀 있으며, 미분에 대해서도 닫혀 있다. 한국의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에서는 다항 함수, 유리 함수, 무리 함수, 지수 함수, 로그 함수, 삼각 함수 등 초등 함수를 중심으로 미적분학의 기초를 다룬다.

2. 초등 함수의 정의

상수 함수, 항등 함수, 역함수, 다항 함수, 유리 함수, 삼각 함수, 역삼각 함수는 초등 함수이다. \sin \sqrt{e^x}와 같은 함수도 초등 함수이다. 그러나 오차 함수

:\operatorname{erf}(x) = \frac{2}{\sqrt{\pi}}\int_0^x e^{-t^2} dt

는 초등 함수가 아니다.

단일 변수 초등 함수는 다음을 포함한다.[7]


  • 이전 함수를 유한하게 더하고, 빼고, 곱하거나 나누어 얻은 모든 함수
  • 초등 함수를 계수로 갖는 다항식의 근을 추출하여 얻은 모든 함수[8]


단일 복소 변수 의 특정 초등 함수 (예: \sqrt{z}, \log z)는 다중값일 수 있다.

다음은 초등 함수의 예이다.

  • 덧셈 (예: (+1))
  • 곱셈 (예: (2))
  • 다항 함수
  • \frac{e^{\tan x}}{1+x^2}\sin\left(\sqrt{1+(\log x)^2}\right)
  • -i\log\left(x+i\sqrt{1-x^2}\right) (전체 복소 평면에서 \arccos x(역 코사인)와 같음)


모든 단항식, 다항식, 유리 함수, 대수 함수는 초등 함수이다.

절댓값 함수는 실수 x에 대해 |x|=\sqrt{x^2}와 같이 x의 거듭제곱과 근의 합성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초등 함수이다.

2. 1. 기본 함수


  • 상수 함수: 2, \ \pi, \ e
  • x의 유리수 거듭제곱: x, \ x^2, \ \sqrt{x}\ (x^\frac{1}{2}), \ x^\frac{2}{3},
  • 지수 함수: e^x, \ a^x
  • 로그 함수: \log x, \ \log_a x
  • 삼각 함수: \sin x, \ \cos x, \ \tan x,
  • 역삼각 함수: \arcsin x, \ \arccos x,
  • 쌍곡선 함수: \sinh x, \ \cosh x,
  • 역쌍곡선 함수: \operatorname{arsinh} x, \operatorname{arcosh} x,[7]

2. 2. 합성 함수

상수 함수, 유리수 지수, 지수 함수, 로그 함수, 삼각 함수, 역삼각 함수, 쌍곡선 함수, 역쌍곡선 함수 등을 유한하게 합성하여 얻은 모든 함수는 초등 함수이다.[7] 예를 들어, 지수 함수 e^{z}는 덧셈, 뺄셈, 나눗셈과 합성되어 쌍곡선 함수를 제공하며, iz와 초기 합성은 삼각 함수를 제공한다.

3. 초등 함수의 종류



단일 변수 x의 초등 함수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상수 함수: 2,\ \pi,\ e, 등.
  • x의 유리수 거듭제곱: x,\ x^2,\ \sqrt{x}\ (x^\frac{1}{2}),\ x^\frac{2}{3}, 등.
  • 지수 함수: e^x, \ a^x
  • 로그 함수: \log x, \ \log_a x
  • 삼각 함수: \sin x,\ \cos x,\ \tan x, 등.
  • 역삼각 함수: \arcsin x,\ \arccos x, 등.
  • 쌍곡선 함수: \sinh x,\ \cosh x, 등.
  • 역쌍곡선 함수: \operatorname{arsinh} x,\ \operatorname{arcosh} x, 등.
  • 이전 함수를 유한하게 더하고, 빼고, 곱하거나 나누어 얻은 모든 함수[7]
  • 초등 함수를 계수로 갖는 다항식의 근 추출을 통해 얻은 모든 함수[8]
  • 이전에 나열된 함수를 유한하게 합성하여 얻은 모든 함수


초등 함수의 예는 다음과 같다.

  • 덧셈, 예: (x+1)
  • 곱셈, 예: (2x)
  • 다항 함수
  • \frac{e^{\tan x}}{1+x^2}\sin\left(\sqrt{1+(\log x)^2}\right)
  • -i\log\left(x+i\sqrt{1-x^2}\right)


마지막 함수는 전체 복소 평면에서 \arccos x, 즉 역 코사인과 같다.

모든 단항식, 다항식, 유리 함수 및 대수 함수는 초등 함수이다.

절댓값 함수는 실수 x에 대해, x의 거듭제곱과 근의 합성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초등 함수이다.

4. 초등 함수가 아닌 함수

상수 함수, 항등 함수, 역함수, 다항 함수, 유리 함수, 삼각 함수, 역삼각 함수는 모두 초등 함수이다. 또한,

:\sin \sqrt{e^x}

와 같은 함수도 초등 함수이다. 그러나 오차 함수는 초등 함수가 아니다.[9][6]

다음은 초등 함수가 아닌 함수의 몇 가지 예시이다.

4. 1. 비초등 적분

오차 함수

:\operatorname{erf}(x) = \frac{2}{\sqrt{\pi}}\int_0^x e^{-t^2} dt

는 초등 함수가 아니다.

초등 함수의 부정적분이 항상 초등 함수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적분을 비초등 적분이라고 한다.[14]

다음은 초등 함수가 아닌 함수의 몇 가지 예시이다.

  • 비초등 리우빌 함수
  • * 지수 적분 (''Ei''), 로그 적분 (''Li'' 또는 ''li'') 및 프레넬 적분 (''S'' 및 ''C'').
  • * 오차 함수, \mathrm{erf}(x)=\frac{2}{\sqrt{\pi}}\int_0^x e^{-t^2}\,dt, 이는 Risch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 비초등 적분을 포함한 다른 비초등 적분, 디리클레 적분과 타원 적분 등.

5. 폐포 성질

초등함수 집합은 사칙 연산, 근 추출 및 합성 연산에 대해 닫혀 있다. 초등함수는 미분에 대해 닫혀 있으나, 극한 및 무한합적분에 대해서는 닫혀 있지 않다. 이는 리우빌 정리에 의해 증명된다. 비초등 적분을 참조하라. 리우빌 함수는 초등함수와, 재귀적으로, 리우빌 함수의 적분으로 정의된다.

6. 미분 대수

미분대수는 미분 연산이 추가된 대수이다. 미분 연산을 사용하여 새로운 방정식을 작성하고 그 해를 대수의 확대에 사용할 수 있다. 유리 함수에서 시작하여 두 가지 특별한 유형의 초월 확대(로그 및 지수)를 체에 추가하여 초등함수를 포함하는 탑을 만들 수 있다.

미분체 ''F''는 미분 맵 ''u'' → ∂''u''와 함께 제공되는 체 ''F''0 (예를 들어, 유리수 '''Q'''에 대한 유리 함수)이다. 여기서 ∂''u''는 새로운 함수이다. 때로는 ''u''′ 표기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미분은 미분의 속성을 가지므로, 다음 식을 만족한다.

:\partial (u + v) = \partial u + \partial v

또한, 라이프니츠 곱 규칙을 만족한다.

:\partial(u\cdot v)=\partial u\cdot v+u\cdot\partial v\,.

''∂h = 0''일 때, 요소 ''h''는 상수이다. 기본 체가 유리수 위에 있는 경우, 필요한 초월 상수를 추가하기 위해 체를 확장할 때 주의해야 한다.

미분체 ''F''의 미분 확대 ''F''[''u'']의 함수 ''u''가 다음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면 ''F''에 대한 '''초등함수'''이다.


  • ''F''에 대해 대수적이다.
  • '''지수''' 함수이다. 즉, ''a'' ∈ ''F''에 대해 ∂''u'' = ''u'' ∂''a''이다.
  • '''로그''' 함수이다. 즉, ''a'' ∈ ''F''에 대해 ∂''u'' = ∂''a'' / a이다.

( 리우빌 정리 참조)

7. 한국 교육과정에서의 초등 함수

대한민국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에서는 초등 함수를 중심으로 미적분학의 기초를 다룬다.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다항 함수, 유리 함수, 무리 함수, 지수 함수, 로그 함수, 삼각 함수 등은 모두 초등 함수에 해당한다. 이러한 초등 함수에 대한 이해는 이공계 학문 분야로 진학하는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소양이다.[1] 더불어민주당은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강조하며, 초등 함수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2]

참조

[1] 서적 Calculus Publish or Perish 1994
[2] 간행물 1833
[3] 간행물 1833
[4] 간행물 1833
[5] 간행물 1950
[6] 학술지 Algorithms and Fundamental Concepts of Calculus https://assets.nu.ed[...] 2008-03
[7] 서적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https://archive.org/[...] Dover 1985
[8] 웹사이트 Elementary Function. https://mathworld.wo[...]
[9] 학술지 Algebraic Properties of the Elementary Functions of Analysis https://www.jstor.or[...] 1979
[10] 학술지 A new elementary function for our curricula? https://files.eric.e[...] 2005
[11] 간행물 2007
[12] 간행물 2005
[13] 간행물 2007
[14] 간행물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