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언어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점은 언어학에서 문장의 특정 부분에 정보적 강조를 두는 현상을 의미한다. 초점은 설명의문문에 대한 대답에서 의문대명사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발화 시 강세나 억양으로 강조되기도 한다. 언어학자들은 초점을 정보 구조의 한 요소로 보고, 기능주의적, 형식주의적 접근 방식을 통해 분석해왔다. 기능주의적 접근에서는 초점을 구정보, 신정보, 대조적 정보와 연결하며, 람브레히트는 술어초점, 논항초점, 문장초점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형식주의적 접근에서는 초점을 통사론적 자질이나 변형으로 표상하고 음운론과 의미론으로 전달하며, 초점 표지와 어순, 초점 민감 표현과의 연관성을 연구한다. 초점은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대안 의미론과 구조화된 의미를 통해 그 의미와 기능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초점을 판별하는 표준적인 방법은 설명의문문에 대한 대답에서 의문대명사에 대응하는 부분을 초점으로 보는 것이다.[12] 담론 내에서 '새로운' 정보는 강조되는 반면, '기존' 정보는 그렇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새로운'과 '기존'의 속성은 단어의 담론 상태로 지칭되며, 이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Halliday[31]는 '기존'을 "지시적으로" 복구 가능한 것으로, '새로운'은 "텍스트적, 상황적으로 파생될 수 없는 정보"로 정의한다.
정보 구조는 문법 현상으로 분석되어 왔으며,[44][45][46] 기븐과 람브레히트 등은 초점을 신정보, 구정보, 대조적 정보와 연결하여 설명한다. 람브레히트는 초점 구문의 세 가지 유형으로 술어 초점, 논항 초점, 문장 초점을 제시한다.[47][48]
2. 초점 판별 및 예시
화제는 모든 문장에 있는 것은 아니지만, 초점은 모든 문장에 있다고 여겨진다. 초점은 글에서는 명확하게 표지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발화에서는 강세·억양 등으로 강조되기도 한다. 의문사를 포함하는 의문문에서는 의문사가 초점이며, 그에 대한 응답 문장에서는 의문사에 대한 답이 초점이다.
문의 화제가 명시되어 있는 경우, 초점은 문의 나머지 부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일본어에서 주제를 나타내는 'は(와)'를 포함하는 문장에서는, 'は' 바로 뒤에 초점이 있다는 것이 나타난다.
대비·한정의 'は'는 초점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だけ(다케, 만)', 'さえ(사에, 조차)', 'まで(마데, 까지)' 등의 부조사 (취사어)로 강조되는 부분도 초점에 해당한다(영어의 부사 even, only 등). 일본어 고어에서 'ぞ(조)', 'なむ(나무)', 'こそ(코소)' 등으로 강조되는 (계어결합의 '계어') 부분도 초점에 해당한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많다.
많은 언어에서 초점을 명시·강조하는 구문으로 분열문(영어의 It-that 구문 등) 또는 유사 분열문이 사용된다. 분열문은 초점을 명사문의 보어에 둔다. 일본어와 영어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굵은 글씨는 초점).
마지막 영어 예문은 문맥에 따라 「'''그 케이크를 먹은 것이''' 花子(하나코)다.」라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다.
헝가리어는 초점이 특히 표지되는 언어로 잘 알려져 있다. 어순이 상당히 자유로우며, 화제나 초점을 나타내는 데 어순이 이용된다. 화제는 문두에 나타나며, 그 뒤의 동사 앞에 초점이 나타나고, 동사 뒤에 기타 성분이 놓인다. 접두사를 수반하는 동사에서는 초점이 있으면 접두사가 떨어져 동사 뒤로 이동한다.
체코어 등에서도 초점을 강조하는 경우 "화제-초점-동사" 어순이 된다(체코어의 어순 참조).
일반적으로 어순이 자유로운 언어에서는 화제를 문두에, 초점을 그 뒤(술어 바로 앞 또는 바로 뒤)에 놓는다(일본어도 기본적으로 그렇다). 특수한 문장에만 이러한 어순을 사용하는 언어도 많다. 예를 들어 "~가 있다"라는 존재문에서 주어 "~가"가 초점이 되지만, 영어의 "There is ..."도 초점(주어)을 동사 바로 뒤로 이동하는(우방 이동) 것으로 강조한 구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일부 (타갈로그어 등 필리핀 및 그 주변 언어)에서는 문장 안에서 강조되는 부분(동작주·목적어·장소 등)이 동사의 접사로 나타나며, 이를 "초점(Focus)"이라 부른다. 이 강조되는 부분은 본 항에서 말하는 초점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다(경우에 따라서는 화제에 해당하기도 한다).
2. 1. 한국어 초점 예시
설명의문문에 대한 대답에서 의문대명사에 대응하는 부분을 초점으로 볼 수 있다.[12]
A: '''철수가''' 샀어.
A: 철수는 '''밥을''' 먹었어.
A: 철수는 '''밥을 먹었어'''.
A: '''철수가 밥을 먹었어'''.3. 기능주의적 접근
3. 1. 인지 과정과의 연관성
Givón과 Lambrecht 등 담화기능을 통해 초점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최근 연구들은 초점을 주의 전환 등 일반인지적 과정과 연결지어 설명하기도 한다.[47][48] 초점은 주의 집중을 포함한 다른 더 일반적인 인지 과정과도 연결되어 있다.[5][6]
4. 형식주의적 접근
생성문법 학파에서는 음운론과 의미론이 직접 정보를 교환할 수 없다고 본다. 따라서 초점과 관련된 정보는 통사론적 자질이나 변형으로 표현되어 음운론과 의미론에 각각 전달된다.[12]
초점은 언어에 따라 운율적, 구문론적으로 강조될 수 있다. 구문론에서는 초점 표지를 할당하거나 전치함으로써 이를 수행할 수 있다.
초점은 음운론과도 관련이 있으며, 운율 정보(예: 리듬, 강세, 억양)가 문법에서 어떻게, 어디에 인코딩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초점을 나타내는 억양 곡조에 영향을 준다.[12] 화자는 음절에 피치 강세를 사용하여 어떤 단어가 초점에 있는지 나타낼 수 있다. 새 단어는 강세를 받는 반면, 주어진 단어는 그렇지 않다. 강세가 있는 단어는 초점 영역을 형성하지만, 초점 영역의 모든 단어가 강세를 받을 필요는 없다.
초점 영역은 넓거나 좁을 수 있다. 질문/답변 패러다임은 초점을 포함하는 문장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맥락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12][16] 예를 들어, 질문에 따라 초점 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
역사적으로, 생성적 제안은 초점을 문장 내 단일 단어에 묶인 특징으로 만들었다. 촘스키와 할레[17]는 문장의 주요 강세와 단일 구성 요소 간의 관계가 있다고 제안하는 핵 강세 규칙을 공식화했다.
이후 초점은 로망스어군에서 문장 시작 부분의 구조적 위치, 즉 구 구조의 X-바 이론을 따르는 초점 구(FP)의 어휘 머리로 제안되었다. 잭켄도프 등 여러 학자들은[18][13][14][19][20][21][15] 초점이 문장의 구문론적 표현에서 노드에 할당된 특징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초점은 강한 강세 또는 핵 피치 강세에 해당하는 것으로 널리 간주되므로, 이 특징은 문장의 음운론적으로 두드러진 요소와 관련된다.
초점에 대한 음성 구조 (음운론적 및 음성학적) 연구는 많지 않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초점이 맞춰진 단어와 구는 피치 범위가 더 높을 뿐만 아니라, 초점 뒤의 단어는 피치가 낮고 초점 앞의 단어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12]
현재 생성 언어학에서 초점에 대한 연구는 두 가지 중심 주제가 있다. 첫째, 어떤 단어나 표현이 두드러질 때 문장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문장의 의미와 구문이 주어졌을 때 어떤 단어나 표현이 두드러지는가?
담론 내에서 '새로운' 정보는 강조되는 반면, '기존' 정보는 그렇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새로운'과 '기존'의 속성은 단어의 담론 상태로 지칭되며, 이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Halliday[31]는 '기존'을 지시적으로 복구 가능한 것으로, '새로운'은 텍스트적, 상황적으로 파생될 수 없는 정보로 정의한다.
4. 1. 초점 표지와 어순
영어에서 초점은 운율적 특징(강세, 억양)이나 어순 변화(전치)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초점 표지를 할당하거나(1) 전치함으로써(2) 수행될 수 있다.[12]:(1) 나는 [JOHN] f을 봤다.
:(2) [JOHN] f, 나는 봤다.
(1)에서 초점은 아래첨자 ‘f’로 구문론적으로 표시되며, 핵 피치 강세로 음운론적으로 실현된다. 분열은 필연적인 억양 휴지를 유발하므로, (2)에서 초점은 어순과 핵 피치 강세를 통해 표시된다.
촘스키와 할레는[17] 문장의 주요 강세와 단일 구성 요소 간의 관계가 있다고 제안하는 핵 강세 규칙을 공식화했다. 이 구성 요소는 어휘 강세와 대조되는 방식으로 문장에서 두드러지기 때문에 처음에는 "핵" 강세라고 불렸다. 이 규칙은 각 문장 내에서 그 중요성으로 인해 특히 강세를 더 많이 받는 단어가 하나 있다는 직관을 포착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해당 문장의 핵을 형성한다고 한다.
초점은 모든 문장에 있다고 여겨진다. 글에서는 명확하게 표지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발화에서는 강세·억양 등으로 강조되기도 한다.
4. 2. 초점 민감 표현
초점은 'only'(오직, ~만)와 같은 초점 민감 표현과 결합하여 의미를 구성하기도 한다.[12] 예를 들어 "존은 빌을 수(Sue)에게만 소개했다"라는 문장에서 '수'에 초점이 놓이면, "존이 한 일은 빌을 수에게 소개한 것뿐이다"라는 넓은 초점 의미와 "존이 빌을 소개한 유일한 사람은 수이다"라는 좁은 초점 의미를 가질 수 있다.[12]초점은 배타적 표현("only", "just"), 비스칼라 첨가사("merely", "too"), 스칼라 첨가사("also", "even"), 특정화사("in particular", "for example"), 강화사, 양화 부사, 양화 한정사, 문장 접속사, 감정 표현, 반사실, 최상급, 부정 및 일반적 표현 등 다양한 표현과 연결될 수 있다.[12]
4. 2. 1. 대안 의미론 (Alternative Semantics)
Mats Rooth가 개척한 초점의 대안 의미론 접근 방식에서는 각 구성 요소 는 일반적인 지시체 와 초점 지시체 를 모두 가지며, 이들은 병렬 계산을 통해 구성된다.[30][19][20] 문장의 일반적인 지시체는 대안 기반이 아닌 시스템에서 갖게 될 지시체와 같으며, 초점 지시체는 초점이 맞춰진 구성 요소를 동일한 의미 유형의 다른 표현으로 대체하여 얻을 수 있는 모든 일반적인 지시체를 포함하는 집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9)와 같은 문장의 경우 일반적인 지시체는 메리가 수지(Sue)를 좋아하면 참인 명제가 된다. 초점 지시체는 문맥상 관련된 개체 'x'에 대해 해당 명제가 메리가 'x'를 좋아하면 참인 각 명제의 집합이 된다.:(9) 메리는 [수지]f를 좋아한다.
수학적 용어로 (9)의 일반적인 지시체는 다음과 같다.
- .
초점 지시체는 대안 의미론에서 제공하는 ''대안 집합''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이 시스템에서 초점이 맞춰지지 않은 대부분의 항목은 일반적인 지시체를 포함하는 단일 집합을 나타낸다.
초점이 맞춰진 구성 요소는 동일한 유형의 모든 (문맥상 관련된) 의미 객체의 집합을 나타낸다.
- , 여기서 ''E''는 개체 또는 개인의 영역이다.
대안 의미론에서 주요 구성 규칙은 ''점별 함수 적용''이다. 이 규칙은 데카르트 곱과 유사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 점별 함수 적용: 가 유형 와 를 각각 갖는 딸 와 를 가진 구성 요소인 경우,
이 규칙을 예시 (9)에 적용하면 문맥상 관련된 유일한 개체가 수지, 빌, 리사, 메리인 경우 다음 초점 지시체가 제공된다.
초점 지시체는 "only"와 같은 초점 민감 표현뿐만 아니라 물결표 연산자와 같은 다른 은밀한 항목에 의해 "잡힐" 수 있다.[19][20][1]
4. 2. 2. 구조화된 의미 (Structured Meanings)
크리프카[21]는 초점이 의미론을 배경 부분과 초점 부분으로 분할하며, 이는 와 같은 쌍으로 표현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쌍을 "구조화된 의미"라고 부른다.
이 구조는 논리 형식에서 람다 미적분을 사용하여 와 같이 표현된다.
구조화된 의미는 단일 초점 또는 다중 초점을 포함하는 문장에 대한 구성적 의미론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프레게 (1897)의 구성성 원리에 따른 것으로, 복잡한 표현의 의미가 부분의 의미와 결합 방식에 의해 결정된다는 원칙을 따른다.
크리프카는 자신의 이론이 초점을 투명하고 구성적인 방식으로 나타내며, 단일 초점 문장뿐만 아니라 다중 초점 문장도 다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구조화된 의미의 장점으로 다음 두 가지를 제시한다.
크리프카의 접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단일 초점을 가진 (10)번 문장과 다중 초점을 가진 (11)번 문장을 예시로 들 수 있다.
(10) John introduced Bill to [SUE] f. (존은 빌을 [수]에게 소개했다.)
(11) John only introduced [BILL] f to [SUE] f. (존은 [빌]을 [수]에게만 소개했다.)
(10)번 문장의 의미는 "존은 빌을 수에게 소개했고 다른 사람은 아무도 소개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11)번 문장의 의미는 "존이 첫 번째 사람을 두 번째 사람에게 소개한 유일한 쌍은 빌과 수이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10)번 문장의 구조화된 의미는 로 표현된다. 여기서 "introd"는 "소개하다"를, '''j'''는 "존", '''b'''는 "빌", '''s'''는 "수"를 나타낸다. 이 표현에서 "introd (j, b, x)"는 배경 부분을, "s"는 초점 부분을 구성한다.
(수정된) 함수 적용 (또는 베타 축약)을 통해 (10)번과 (11)번 문장의 초점 부분은 구문을 통해 문장 수준까지 투영되며, 각 중간 수준은 뚜렷한 의미를 갖는다.
5. 다양한 언어에서의 초점
Schwarzschild[15]는 담론에 기반한 Selkirk[13][14]의 악센트 배치 예측 능력의 약점을 지적하며, 담론 지위와 악센트 표지와의 관계에 대한 더 강력한 모델을 제시한다. 담론 지위는 맥락의 함의를 통해 결정되며, 이는 '주어진 것'의 정의를 통해 이루어진다.[33]
Schwarzschild[15]는 최적성 이론 문법을 가정하며, 악센트 배치는 위반 가능하고 계층적으로 순위가 매겨진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34]
화제는 모든 문장에 있는 것은 아니지만, 초점은 모든 문장에 있다고 여겨진다. 초점은 글에서는 명확하게 표지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발화에서는 강세·억양 등으로 강조되기도 한다. 의문사를 포함하는 의문문에서는 의문사가 초점이며, 그에 대한 응답 문장에서는 의문사에 대한 답이 초점이다.
문의 화제가 명시되어 있는 경우, 초점은 문의 나머지 부분에 포함된다. 많은 언어에서 초점을 명시하거나 강조하기 위해 분열문 또는 유사 분열문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어순이 자유로운 언어에서는 화제를 문장 맨 앞에 놓고, 초점을 그 뒤(술어 바로 앞 또는 바로 뒤)에 놓는 경우가 많다. 특수한 문장에만 이러한 어순을 사용하는 언어도 많다. 예를 들어 "~가 있다"라는 존재문에서는 주어 "~가"가 초점이 되지만, 영어의 존재문 "There is ..."도 초점(주어)을 동사 바로 뒤로 이동하는(우방 이동) 것으로 강조한 구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5. 1. 헝가리어
헝가리어는 어순이 상당히 자유로우며, 화제나 초점을 나타내는 데 어순이 이용된다. 화제는 문장 맨 앞에 나타나며(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그 뒤의 동사 앞에 초점이 온다. 동사 뒤에는 기타 성분이 놓인다. 접두사를 수반하는 동사에서는 초점이 있으면 접두사가 분리되어 동사 뒤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난다.5. 2. 체코어
체코어 등에서는 초점을 강조하는 경우 "화제-초점-동사"라는 어순이 나타난다(체코어의 어순 참조).5. 3.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일부 (타갈로그어 등 필리핀 및 그 주변 언어)에서는, 문장 안에서 강조되는 부분(동작주, 목적어, 장소 등)이 동사의 접사로 나타나며, 이를 "초점(Focus)"이라고 부른다. 이 강조되는 부분은 본 항목에서 말하는 초점에 상당하는 경우가 많다 (경우에 따라서는 화제에 상당하는 경우도 있다).5. 4. 일본어
일본어에서는 'は(와)'를 사용하여 주제를 나타내고, 나머지 부분에 초점이 있음을 나타낸다.[1] 예를 들어 "이것은 벚나무입니까?"라는 문장에서 "이것은"은 화제이고, "벚나무입니까"가 초점이다.[1]대비나 한정을 나타내는 'は'도 초점을 나타낼 수 있다.[1] 그 외에 'だけ(다케, 만)', 'さえ(사에, 조차)', 'まで(마데, 까지)' 등의 부조사로 강조되는 부분도 초점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다.[1] 일본어 고어에서 'ぞ(조)', 'なむ(나무)', 'こそ(코소)' 등으로 강조되는 부분도 초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1]
또한, 초점을 명확히 하거나 강조하기 위해 분열문을 사용하기도 한다.[1] 예를 들어, "花子(하나코)는 '''ケーキ(케이크)를''' 먹었다"라는 문장을 분열문으로 바꾸면 "花子(하나코)가 먹은 것은 '''ケーキ(케이크)'''다"가 된다.[1]
참조
[1]
간행물
Towards a taxonomy of given-new information
Academic Press
[2]
간행물
Givenness, Contrastiveness, Definiteness, Subjects, Topics and Points of View
Academic Press
[3]
간행물
Notes on Transitivity and Theme in English
Academic Press
[4]
간행물
The order of words in ancient languages compared with that of modern languages
Ginn
[5]
간행물
Speaking
MIT Press
[6]
간행물
attention, voice, and word-order: an experimental, cross-linguistic study
[7]
간행물
Syntax: An Introduction Vol. II
John Benjamins Publishing Co.
[8]
간행물
Information Structure and Sentence Form: Topic, Focus, and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Discourse Refer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Information Structure in the Languages of the Americas: Syntactic Approaches
Mouton de Gruyter
[10]
간행물
A functionalist approach to the acquisition of grammar
John Benjamins
[11]
간행물
Communicative Organization in Natural Language: The Semantic-Communicative Structure of Sentenc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12]
간행물
Sense and Sensitivity: How Focus Determines Meaning
Blackwell Publishing
[13]
간행물
Phonology and Syntax: The Relation between Sound and Structure
MIT Press
[14]
간행물
The Handbook of Phonological Theory
Basil Blackwell
[15]
간행물
GIVENness, AvoidF and other Constraints on the Placement of Accent
[16]
간행물
Information Structure in Discourse: Towards an Integrated Formal Theory of Pragmatics
OSU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49. Papers in Semantics.
[17]
간행물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MIT Press.
[18]
간행물
Semantic Structures
MIT Press
[19]
간행물
Association with Focus
Ph.D. thesis, UMass. Amherst: Graduate Linguistics Students Association
[20]
간행물
A Theory of Focus Interpretation
[21]
간행물
Informationsstruktur und Grammatik
Westdeutscher Verlag
[22]
간행물
Fokus und Skalen
T¨ubingen: Niemeyer.
[23]
간행물
Focusing and backgrounding operators
Universitat Konstanz, Fachgruppe Sprachwissenschaft, Arbeitspapier Nr. 6. Konstanz. Press.
[24]
간행물
The pragmatics of association with only
[25]
간행물
Formal Pragmatics: Semantics, Pragmatics, Presupposition and Focus
Oxford: Blackwell.
[26]
간행물
Contextual Variables
Ph.D. thesis, University of Connecticut, Storrs, CT and MIT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27]
간행물
Why Some Foci Must Associate
Unpublished ms., Rutgers University.
[28]
간행물
The Information Component
Ph.D. thesis, University of Pennsylvania
[29]
간행물
Blocking and Anaphora
[30]
서적
Intonation and Mean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31]
간행물
Notes on Transitivity and Theme in English (Part 2)
[32]
간행물
The structure of intonational meaning: Evidence from English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33]
간행물
Evidence for phonological constraints on nuclear accent placement
[34]
간행물
Optimality theory: Constraint interaction in generative grammar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and Boulder, CO: University of Colorado, MS.
[35]
간행물
Variation in Finnish phonology and morphology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dissertation.
[36]
간행물
How we learn variation, optionality, and probability
[37]
간행물
Notes on Transitivity and Theme in English (Part 2)
[38]
서적
Syntax: An Introduction Vol. II
John Benjamins Publishing Co.
[39]
서적
Information Structure and Sentence Form: Topic, Focus, and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Discourse Refer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서적
Information Structure in the Languages of the Americas: Syntactic Approaches
Mouton de Gruyter
[41]
서적
A functionalist approach to the acquisition of grammar
John Benjamins
[42]
서적
Communicative Organization in Natural Language: The Semantic-Communicative Structure of Sentences
https://www.google.c[...]
John Benjamins
[43]
웹사이트
What is a focus?
https://glossary.sil[...]
[44]
서적
Towards a taxonomy of given-new information
Academic Press
[45]
서적
Givenness, Contrastiveness, Definiteness, Subjects, Topics and Points of View
Academic Press
[46]
서적
Notes on Transitivity and Theme in English
Academic Press
[47]
서적
Speaking
MIT Press
[48]
논문
attention, voice, and word-order: an experimental, cross-linguistic stud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