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총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림은 선원과 강원을 모두 갖춘 종합 수행 도량이다. 대한민국 불교 조계종에서는 선원과 강원을 모두 갖춘 사찰을 총림으로 지정하며, 가야총림 해인사, 조계총림 송광사, 영축총림 통도사, 덕숭총림 수덕사, 고불총림 백양사를 오대 총림으로 칭한다. 2012년 동화사, 쌍계사, 범어사가 추가 지정되어 팔대 총림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교단 체계 - 출가
    출가란 깨달음을 얻기 위해 세속을 떠나 수행 생활을 시작하는 것으로, 불교에서 수행의 한 형태로 자리 잡았으며 불교 교단을 조직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불교 교단 체계 - 주지
    주지는 수도원이나 대사찰의 행정관 직책을 맡아 일상 운영을 감독하고 수도자들의 영적 책임을 지는 승려를 의미한다.
  • 한국의 불교 - 직지심체요절
    《직지심체요절》은 백운화상이 저술하고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간행된 불교 서적으로,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가졌을 때 그 심성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 한국의 불교 - 진언종
    진언종은 쿠카이가 당나라에서 밀교를 전수받아 일본에서 창시한 불교 종파로, 대일여래 중심의 밀교적 세계관, 삼밀 수행, 즉신성불을 핵심 교리로 하며, 고야산 금강봉사와 교토 동사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일본 및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다.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총림
5대 총림 위치
5대 총림 위치 지도
5대 총림 위치 지도
기본 정보
총림총림(叢林)
로마자 표기Chongnim
영어Seon Forest
설명승려들이 참선 수행하는 선원과 경전 교육 기관인 강원, 계율 전문 교육 기관인 율원 등을 갖춘 사찰
목록
해인총림 해인사경상남도 합천군
조계총림 송광사전라남도 순천시
영축총림 통도사경상남도 양산시
덕숭총림 수덕사충청남도 예산군
고불총림 백양사전라남도 장성군

2. 선원

(禪)을 전문으로 하는 승려들, 즉 선승들이 모여 수행하는 곳을 말한다. 선원에는 최고 지도자로서 조실(祖室)이 있고 승려의 기강을 감독하는 입승(立繩) 등이 있다.[3]

2. 1. 조직

선원에는 최고 지도자로서 조실(祖室)이 있고 승려의 기강을 감독하는 입승(立繩) 등이 있다.[3]

3. 강원

강원(講院)은 불교경전(經典)을 배우는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이다. 강사(講師)가 있고 학인(學人)이 있어 정규적인 수업을 한다.[3]

해인사(海印寺), 통도사(通度寺), 동학사(東鶴寺), 운문사(雲門寺) 등에 강원이 있다.[3]

3. 1. 교과 과정

강원에서는 강사(講師)가 학인(學人)을 대상으로 정규 수업을 통해 불교경전을 가르친다.[3] 교과 과정은 사미과(沙彌科), 4집과(四集科), 4교과(四敎科), 대교과(大敎科) 등의 정규 과정과 대학원 과정과 같은 수의과(隨意科)로 구성되어 있다.[3] 해인사, 통도사, 동학사, 운문사 등에 강원이 설치되어 있다.[3]

4. 총림

총림은 선원과 강원을 모두 갖춘 종합 수행 도량이다.

한국 불교 조계종에서는 다음의 다섯 사찰은 선원과 강원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이들을 '''오대 총림'''이라 하였다.



2012년 11월 7일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종회는 제192회 정기회의에서 동화사, 쌍계사, 범어사의 세 사찰을 만장일치로 총림으로 추가 지정하였다. 이에 따라 '''팔대 총림'''이 있게 되었다.[2]

4. 1. 오대 총림

한국 불교 조계종에서는 선원과 강원을 모두 갖춘 다음의 다섯 사찰을 '''오대 총림'''이라 하였다.

2012년 11월 7일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종회는 제192회 정기회의에서 동화사, 쌍계사, 범어사를 만장일치로 총림으로 추가 지정하여 '''팔대 총림'''이 있게 되었다.

4. 2. 팔대 총림

조계종은 선원과 강원을 모두 갖춘 해인사(가야총림), 송광사(조계총림), 통도사(영축총림), 수덕사(덕숭총림), 백양사(고불총림)을 오대 총림으로 지정하였다.[2] 2012년 11월 7일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종회는 제192회 정기회의에서 동화사, 쌍계사, 범어사를 만장일치로 총림으로 추가 지정하여 팔대 총림이 되었다.[2]

참조

[1] 백과사전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교단·조직 > 총림
[2] 웨이백 총림지정을 환영하며 http://m.ibulgyo.com[...] 2012-11-21
[3] 백과사전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교단·조직 > 선원·강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