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는 1901년 미국 선교사 마포삼열에 의해 평양에 설립된 한국 최초의 장로교 신학교이다. 평양신학교는 한국 초기 기독교 지도자 양성에 기여했으나,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거부로 폐교되었다. 이후 서울에 조선신학교(현 한신대학교)가 설립되었고, 총신대학교 등이 평양신학교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평양신학교는 한국 개신교 신학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주기철 목사 등 신앙의 절개를 지킨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장로교 - 조선예수교장로회
    조선예수교장로회는 1907년 독노회에서 시작하여 1912년 총회를 결성하며 교세를 확장한 한국 장로교의 중요한 교단이었으나,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에 굴복하고 종교 통제 정책에 따라 해산, 강제 개편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신학교 - 평양신학교
    평양신학교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인가를 받아 설립되었으나, 실제로는 일제의 황민화 정책에 부응하는 일본적 기독교 사역자 양성 기관이었다.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평양신학교
기본 정보
설립일1901년
유형신학교
소속조선그리스도교련맹 (KCF)
위치평양직할시
이전 이름평양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각주(1995)

2. 역사

1901년 마포삼열(馬布三悅) 선교사가 평양 자택에서 신학교를 설립한 것이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의 시작이다. 초기에는 '평양연합신학교'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1907년 길선주 등 7명의 첫 졸업생을 배출하여 한국 최초의 장로회 목사가 되었다.[25] 1925년에는 라부열(羅富悅)이 제2대 교장을 역임했다.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로 학교가 탄압을 받았고, 1930년대에 폐교되었다. 주기철 목사와 같이 평양신학교 출신 목회자들은 신사참배에 반대하여 투옥, 순교하기도 하였다.

1940년 서울 인사동조선신학교가 설립되었고[25], 채필근을 중심으로 한 후평양신학교(後平壤神學校)가 평양에 다시 세워졌으나, 친일 행위로 인해 정통성을 인정받지 못했다.

1945년 광복 이후, 북한 정권의 종교 탄압으로 평양의 신학교는 다시 문을 닫았다. 김인준, 김화식, 이성휘 등 여러 교장들이 조선인민군에 의해 체포되어 순교하였다.

남한에서는 1948년 박형룡장로회신학교를 설립하고, 1975년 김성흡이 수원에서 평양신학교를 재건하는 등 평양신학교의 전통을 계승하려는 노력이 이어졌다.

2. 1. 설립 배경: 초기 한국교회의 신학교육 필요성

19세기 말 한국교회는 빠르게 성장하면서 체계적인 한국인 목회자를 양성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초기에는 선교사들이 '신학반'이라는 이름으로 1개월씩 학생들을 가르치는 단기 과정이 있었으나, 이는 충분하지 않았다.[1] 따라서 보다 전문적인 신학교육 기관의 설립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평양에서 활동하던 모펫 선교사는 미국 선교부에 목사 양성소의 필요성을 알리고 설립 허가와 기금 지원을 약속받았다. 이후 한국에 선교사를 파송한 여러 장로교단의 선교부로 구성된 장로교선교공의회가 한반도에 신학교 설립을 만장일치로 결의하였다.[1]

2. 2. 평양신학교 설립과 발전 (1901년 ~ 1930년대)

1901년 5월 15일, 모펫 선교사가 평양 대동문 옆 술막골에 있던 자신의 사랑방에서 방기창과 김종섭 두 사람에게 신학교육을 시작하면서 대한야소교장로회 신학교(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가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으로는 모펫 선교사가 취임하였다.[29]

평양 장로회선교부는 6인의 신학교육위원을 두고 신학반을 지도하였고, 1902년부터 5년간 실시하는 것으로 결의했다. 그해 신학생은 6명이었으나 1904년에 19명 등으로 점차 학생 수가 증가하였고, 1915년에는 등록 학생 수가 250명을 넘어섰다.[30]

1907년 6월 20일 길선주(40세), 방기창(58세), 서경조(58세), 송인서(40세), 양전백(39세), 이기풍(40세), 한석진(41세) 등 7명의 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이들은 1907년 9월 17일 평양 장대현교회에서 개최된 조선예수교장로회 제1회 독노회에서 안수를 받고 한국 최초의 목사가 되었다. 1909년에는 2회 졸업생으로 김필수, 윤식명, 정기정, 김찬성, 이원민, 장관선, 최관흘, 최중진 등 8명이 배출되었으며, 이들은 그해 9월에 개최된 제3회 독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1907년 미국 시카고의 맥코믹 여사(Mrs. Nancy "Nettie" Fowler McCormick[31])가 보낸 5000USD의 지원금으로 평양 하수구리 100번지[32]에 있는 6,000여 평의 대지에 1908년 5월 15일 새로운 신학교 교사를 신축하는 착공식을 갖고, 이듬해인 1909년 준공되어 당시 138명의 신학생이 새 교사로 이전하였다. 1924년에 철근콘크리트 4층 건물로 증축한다.[33]

설립 당시인 1907년의 교수진은 주로 미국 북장로교의 선교사들이었으나, 이후 다른 장로교단의 선교사들도 참여하였다. 설립 당시 교수진은 북장로교 선교사 중 모펫 선교사, 이길함, 언더우드, 소안론, 한위렴, 배위량, 편하설, 곽안련 목사가 있었고, 남장로교 선교사 이눌서 목사 및 호주장로교 선교사 왕길지 목사가 있었다.[34] 1918년부터 '신학지남'이라는 학술지를 간행하였고, 이눌서 선교사의 주도하에 성경사전이 간행되기도 하였다.

1925년 10월 20일 라부열 (R.L. Roberts) 박사가 제2대 교장으로 취임하였다.

2. 3.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와 폐교 (1930년대 ~ 1938년)

1930년대에 들어 일제가 신사참배를 강요하기 시작하면서, 평양신학교는 큰 시련을 겪게 되었다. 기독교계 학교와 학생들이 신사참배를 거부하는 사건들이 자주 발생하였고, 1935년에는 숭실학교 등 평양의 기독교계 사립학교들이 신사참배 거부를 이유로 강제 폐교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35]

1938년 9월 10일, 평양 서문밖예배당에서 열린 조선예수교장로회 제27회 총회에서는 일부 목사들과 선교사들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신사참배 가결이 강행되었다. 이에 선교사들은 신사참배를 결의한 총회의 교육기관으로서 신학교를 더 이상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 9월 20일로 예정되었던 신학교 개강을 무기한 연기하였다.[35]

이후 통신 교육을 통해 한 학기를 더 마친 52명의 학생들에게 1939년 3월 28일 자 제34회 졸업 증서가 우편으로 배달되었고, 총 798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채 사실상 폐교되었다.[35] 주기철 목사와 같이 평양신학교 출신 목회자들은 신사참배에 반대하여 투옥, 순교하기도 하였다.

2. 4. 폐교 이후의 신학교육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로 평양신학교가 폐교된 이후, 한국에서의 신학교육은 여러 갈래로 나뉘어 이어졌다. 1940년 서울 인사동에 조선신학교(현재의 한신대학교)가 설립되었고[25], 채필근을 중심으로 한 후평양신학교(後平壤神學校)가 평양에 다시 세워졌으나, 친일 행위로 인해 정통성을 인정받지 못했다.

1945년 광복 이후, 북한 정권의 종교 탄압으로 평양의 신학교는 다시 문을 닫아야 했다. 김인준, 김화식, 이성휘 등 여러 교장들이 조선인민군에 의해 체포되어 순교하는 아픔을 겪었다.

한편, 남한에서는 1948년 박형룡이 장로회신학교(후의 총신대학교)를 설립하고, 1975년 김성흡이 수원에서 평양신학교를 재건하는 등 평양신학교의 전통을 계승하려는 노력이 이어졌다.

2. 4. 1. 친일 성향의 '후평양신학교' (1939년 ~ 1945년)

1939년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순응하던 이들을 중심으로 평양신학교가 개교되었다. 채필근 목사가 교장으로 취임했으나, '채필근신학교' 혹은 '후평양신학교'로 불리며, 적극적인 친일 교육과 정통성을 벗어난 신앙 교육으로 인해 이전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를 잇는 학교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36]

2. 4. 2. 만주신학교 (1941년 ~ )

신사참배 반대 등을 이유로 만주로 이주한 다양한 교파의 기독교인들이 있었다. 1941년 만주에 있던 장로교의 여섯 노회는 분립하였고, 다른 교파인 감리교회, 조선기독교회, 성결교회, 침례교회 등과 연합하여 만주조선기독교회를 설립하였고 신학교육기관으로 만주신학교를 세웠다.[37]

2. 4. 3. 남한에서의 신학교 재건 노력

해방 이후 남한에서는 평양신학교의 정신과 전통을 계승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일제강점기 말, 신사참배 강요로 평양신학교가 폐교되자, 1940년 서울 인사동에 조선신학교(현재의 한신대학교)가 설립되었다.[25] 김재준, 송창근 목사 등이 주도한 조선신학교는 신정통주의 신학을 추구하였고, 이에 반발한 일부 목사들은 1949년 장로회신학교를 개교하여 17세기적 개혁주의 신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3. 평양신학교의 유산과 의의

1901년 미국인 선교사 마포삼열(사무엘 오스틴 모펫)이 평양 자택에 설립한 신학교에서 시작된 평양신학교는 한국 개신교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평양신학교는 한국 최초의 장로교 신학교로서, 1907년 길선주를 비롯한 7명의 첫 졸업생을 배출하여 초기 한국교회 지도자 양성에 크게 기여하였다.[25] 이들은 조선 최초의 장로회 목사가 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의 신사참배 강요에 맞서 신앙의 절개를 지킨 주기철 목사와 같은 순교자를 배출하며, 신앙의 절개를 지키는 본보기가 되었다.[25]

1945년 광복 이후, 평양신학교는 남한의 여러 신학대학교 설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940년 서울 인사동에 설립된 한신대학교(조선신학교)가 그 예이다.[25]

이처럼 평양신학교는 한국 개신교 신학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고, 한국교회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였다. (한국의 관점) 분단 상황에서 평양신학교의 역사적, 신학적 정통성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한국교회의 중요한 과제이다.

4. 주요 인물

평양신학교는 여러 주요 인물들을 배출했다. 마포삼열(Samuel Austin Moffett)은 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을 역임했으며, 라부열(Stacy L. Roberts)이 2대 교장을 맡았다.

1907년에는 길선주, 방기창, 서경조, 송인서, 이기풍, 양순백, 한석진 등 7명이 첫 졸업생으로 배출되었는데, 이들은 한국 최초의 장로회 목사들이다. 주기철 목사는 일제강점기 신사참배에 반대하여 투옥되어 순교한 평양신학교 출신이다.

일제강점기 말, 조선총독부채필근을 교장으로 임명하여 평양신학교를 부활시켰지만, 이 학교는 후평양신학교(채필근신학교)로 불리며 평양신학교의 계보를 잇는 학교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2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종교 탄압으로 김인준, 김화식, 이성휘 등 4, 5, 6대 교장들은 조선인민군에 체포되어 사망했다.

4. 1. 설립 및 운영 관련 인물

마포삼열(Samuel Austin Moffett)평양신학교의 설립자이자 초대 교장이다.[2] 1918년까지 초대 학장을 역임했고 1935년까지 교수로 재직했다.[1][4] 1925년 10월 20일 라부열(R. L. Roberts) 박사가 제2대 교장으로 취임하였다.[29]

제임스 스캐스 게일(James Scarth Gale)은 평양신학교 교수였으나, 1916년까지 모펫과 교육의 질, 자료, 입학에 대한 의견 차이로 인해 갈등을 겪었다.

설립 당시 교수진은 주로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들이었으며, 윌리엄 D. 레이놀즈[21],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등이 있었다.[34]

남궁혁은 최초의 한국인 신학 박사[22]이자 평양신학교 최초의 한국인 교수였다.[23] 박형농은 1931년 평양신학교의 두 번째 한국인 교수가 되었으며, 조직신학을 가르쳤다.[23][24]

4. 2. 졸업생

이름졸업 연도비고
길선주[19]1907평양신학교 1회 졸업생, 한국 최초의 장로교 목사 중 한 명
방기창1907평양신학교 1회 졸업생, 한국 최초의 장로교 목사 중 한 명
서경조1907평양신학교 1회 졸업생, 한국 최초의 장로교 목사 중 한 명
송인서1907평양신학교 1회 졸업생, 한국 최초의 장로교 목사 중 한 명
양전백1907평양신학교 1회 졸업생, 한국 최초의 장로교 목사 중 한 명
이기풍1907평양신학교 1회 졸업생, 한국 최초의 장로교 목사 중 한 명
한석진1907평양신학교 1회 졸업생, 한국 최초의 장로교 목사 중 한 명
주기철[20]평양신학교 졸업생,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반대 운동을 주도하다 순교
한상동[16]1936신사참배 반대 운동 참여
Bang Ji-il|ko|방지일영어[17]
유재기[18]1932
강량욱[11]조선그리스도교연맹(KCF) 회장
강용섭[11]조선그리스도교연맹(KCF) 회장
박윤선1934
송양원1938


4. 3. '후평양신학교' 관련 인물

채필근은 '후평양신학교'의 교장이었으나, 적극적인 친일 행적과 정통성을 벗어난 신앙 교육으로 인해 이전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를 잇는 학교로 평가받지 못한다.[36]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 Education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formed Churches Scarecrow Press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yongyang Anthem Press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formed Churches Scarecrow Press
[5] 서적 Peace and Reconciliation: In Search of Shared Identity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6] 웹사이트 Pyongyang: Pyongyang Theological seminary https://learninglab.[...] Mowry Family Photographs of Korea. Freer Gallery of Art and Arthur M. Sackler Gallery Archives.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Gift of Miriam Stein 2017-08-13
[7] 서적 Repressive State and Resisting Church: The Politics of CIA in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Korean American Cultural Association, CMC
[8] 서적 Koreana Quarterly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Research Centre.
[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formed Churches Scarecrow Press
[10] 서적 Religious and Theological Abstracts https://books.google[...] Religious and Theological Abstracts
[11] 웹사이트 North Korea's only seminary will be reopened with help from the South http://www.ucanews.c[...] Union of Catholic Asian News 2000-05-29
[12] 웹사이트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3-05-20
[13] 서적 White Paper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15 http://lib.kinu.or.k[...]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15
[14] 웹사이트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06
[1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formed Churches Scarecrow Press
[1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formed Churches Scarecrow Press
[1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yongyang Anthem Press
[1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formed Churches Scarecrow Press
[1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formed Churches Scarecrow Press
[2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formed Churches Scarecrow Press
[21] 웹사이트 http://kcm.kr/dic_vi[...] 2008-05-16
[22]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American Artists: Artists of the American Mosaic Greenwood Publishing Group
[23] 서적 The Confucian Roots of Fundamentalist Ethos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https://books.google[...] Edwin Mellen Press
[24] 서적 John Calvin, Myth and Reality: Images and Impact of Geneva's Reformer. Papers of the 2009 Calvin Studies Society Colloquium Cascade Books
[25] 서적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 지식산업사 2006-03-30
[26] 웹사이트 교회용어사전 https://terms.naver.[...]
[27] 웹사이트 장로회신학대학교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長老會神學大學校] https://terms.naver.[...]
[28] 서적 평양신학교 초기 편사 1974-06
[29] 뉴스 평양장로회 신학교 설립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1-09-25
[30] 서적 한국 기독교회의 역사 (상)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31] 인물 사이러스 맥코믹(Cyrus McCormick)의 부인
[32] 지역 평양시 중구역 서문동
[33] 뉴스 巡廻探訪 (七十) 四千年舊都 平壤의偉觀 <3> 동아일보 1926-09-09
[34] 서적 평양신학교 초기 편사 1974-06
[35] 웹사이트 신사 참배와 한국 교회 http://www.kscoramde[...] 코람데오닷컴 2012-12-11
[36] 뉴스 일제 하에서의 신학교육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2-04-22
[37] 뉴스 만주의 신학교는 교파연합이었다 http://www.jangro.kr[...] 한국장로신문 2012-12-22
[38] 백과사전 장로회신학대학교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長老會神學大學校] # 네이버 지식백과 링크는 제공되지 [...] 두산백과
[39] 백과사전 총신대학교 [Chongshin University, 總神大學校] # 네이버 지식백과 링크는 제공되지 [...] 두산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