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시 강드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시 강드룩은 "4개의 강과 6개의 산맥"을 의미하는 티베트어로, 1950년대 티베트의 중국 점령에 저항하기 위해 결성된 무장 단체이다. 캄과 암도 지역 출신 티베트인들로 구성되었으며, 초기에는 자력으로 무기를 조달하여 게릴라전을 수행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중화민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았으나, 미중 관계 개선 및 달라이 라마의 평화적 해결 권고에 따라 1974년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 독립운동 - 2008년 티베트 소요 사태
2008년 티베트 소요 사태는 티베트인들의 불만으로 2008년 3월 10일 라싸에서 시작된 시위가 중국 당국의 강경 진압으로 이어진 사건으로, 중국 정부는 폭동으로 규정하고 강경 진압에 나섰으나 티베트 망명 정부는 인권 탄압이라 주장하며 국제적인 관심을 끌었지만 해결책은 요원하다. - 티베트 독립운동 - 자유 티베트
자유 티베트는 중국 공산당의 탄압에 맞서 티베트 인권 신장을 위한 다양한 국제적인 캠페인을 전개하는 단체로, 정치범 석방, 불교학원 철거 저지, 고문 중단 요구 등 활동을 통해 국제 사회의 관심을 촉구하고 있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추시 강드룩 | |
|---|---|
| 개요 | |
![]() | |
| 기본 정보 | |
| 명칭 (티베트어) | ཆུ་བཞི་སྒང་དྲུག་ |
| 로마자 표기 | Chu bzhi sgang drug |
| 의미 | 네 개의 강, 여섯 개의 산맥 |
| 조직 정보 | |
| 지도자 | 안드룩창 곤포 타시 |
| 창립일 | 1958년 6월 16일 |
| 해체일 | 1974년 |
| 이전 조직 | 해당 없음 |
| 계승 조직 | 해당 없음 |
| 목표 | 해당 정보 없음 |
| 활동 지역 | 티베트 |
| 이념 | 티베트 민족주의 반공주의 |
| 성향 | 해당 정보 없음 |
| 범죄 활동 | 해당 정보 없음 |
| 공격 목표 | 해당 정보 없음 |
| 현재 상태 | 해체 |
| 규모 | 해당 정보 없음 |
| 수입 | 해당 정보 없음 |
| 자금 출처 | 해당 정보 없음 |
2. 명칭
20세기 전반, 티베트는 달라이 라마를 정신적·정치적 지도자로 하여 사실상의 독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티베트에 대한 영유권을 강력히 주장하기 시작했고, 이는 티베트의 운명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하는 것이었다.
''추시 강드룩''(Chushi Gangdruk, 사강육류)은 전통적으로 캄으로 알려진 동티베트 지역의 이름이다. 이 명칭은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하는 네 개의 주요 강(걀모 뉴추(살윈강), 자추(메콩강), 드리추(양쯔강), 마추(황허))과 이 강들 사이를 나누는 여섯 개의 평행 산맥(둘자 잘모강, 차와강, 마르캄강, 포바르강, 마르자강, 미냐강)에서 유래했다. 티베트어로 "''추''"(choo)는 "물", "''시''"(she)는 4, "''강''"은 산맥, "''드룩''"(drewk)은 6을 의미한다.[4] 즉, "4개의 강과 6개의 산맥"이라는 뜻이다. 이 지역은 횡단산맥의 습곡 산맥이 병행하고, 그 사이 협곡으로 야룽 강, 진사 강(장강), 란창 강(메콩강), 누 강(살윈강) 등 큰 강들이 흐르는 캄 지방을 가리킨다. 다른 이름으로는 "도 캄 강드룩(mdo khams sgang drug)"이라고도 한다.
이 명칭은 또한 캄 지역 출신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저항 단체의 이름이기도 하다. 이 단체의 전체 이름은 "캄 사강 육류 티베트 신앙 수호 자원 봉사군"(མདོ་སྟོད་ཆུ་བཞི་སྒང་དྲུག་བོད་ཀྱི་བསྟན་སྲུང་དང་བླངས་དམག་|mdo stod chu bzhi sgang drug bod kyi bstan srung dang blangs dmagbo)이었다.[5]
3. 역사적 배경
1950년, 중국 인민해방군은 '평화적 해방'이라는 명분 아래 티베트 침공을 감행했다. 갑작스러운 군사적 압박 속에서 티베트는 국제 사회의 효과적인 지원을 받지 못한 채 중국과의 힘겨운 협상에 나서야 했다. 이러한 군사적 충돌과 외교적 압박은 티베트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충격과 불안감을 안겨주었다. 중국의 침공과 이후 이어진 정책들은 티베트 고유의 사회 구조와 티베트 불교 문화를 위협했으며, 이는 티베트인들의 광범위한 저항 의식을 싹틔우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격동 속에서 티베트의 독립과 전통을 수호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이는 이후 추시 강드룩과 같은 무장 저항 단체의 결성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배경이 된다.
3. 1. 참도 함락과 17개조 협정
1950년 10월 19일, 중국군은 일부 캄파 안내원의 도움을 받아 응가보 샤페가 숨어 있던 사원을 포위했다. 결국 응가보 샤페와 그의 관리들, 군대는 중국군에 항복했다.[6] 참도에 주둔하던 티베트 정부군은 참도 전투에서 패배했고, 인민해방군은 참도 시를 점령했다. 응가보 샤페는 드루구 사원에서 공식적으로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이후 17개 조항 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이 진행되었다. 협상 과정에서 응가보 샤페가 협정 서명을 거부하자, 중국 측 대표 리웨이한은 중국군에게 라싸로 진격하라고 명령하겠다고 위협했다. 티베트 대표단은 협정 체결 거부가 티베트에 더 큰 위험을 초래할 것이라 판단하여, 라싸의 중앙 정부에 문의하지 않고 중국 측의 조건을 수락했다.[7] 중국 측은 달라이 라마의 공식 인장이 그와 함께 야퉁에 있다는 사실을 알고 더욱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8] 응가보 샤페는 서류에 찍을 공식 인장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캄 총독으로서의 인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중국 측은 그가 서명할 수 있도록 새로운 인장을 만들어 제공했다.[9] 결국 1951년 5월 23일, 응가보 샤페는 중국의 강압에 의해 "티베트 평화적 해방 조치에 관한 중앙 인민 정부와 티베트 지방 정부 간의 협정", 즉 '17개 조항 협정'에 서명하게 되었다.[10]
3. 2. 추시 강드룩의 결성

1955년부터 티베트에서는 달라이 라마를 수장으로 하는 간덴 포당이 관할하는 티베트 자치구 지역을 제외하고, 사회를 사회주의식으로 개조하려는 중국의 "민주 개혁"이 시작되었다.[11] 티베트 동부의 캄 지방(시캉, 현재는 쓰촨성 등에 속함)에서는 이 "개혁"의 강요에 대한 반발로 다음 해인 1956년부터 중국 지배에 저항하는 민중 봉기가 발발했다(티베트 봉기의 시작). 이 봉기로 한때 중국의 군사·행정 기구가 동부 티베트에서 일소되기도 했다. 그러나 중국 인민해방군은 즉시 반격했고, 패배한 캄 지방의 병사와 민중은 난민이 되어 간덴 포당 아래 비교적 평온을 유지하던 중앙 티베트(위-짱)로 피난했다.
1958년, 중앙 티베트로 피난 온 캄 및 암도 지방의 저항 세력은 항중(抗中) 게릴라 통일 조직을 결성했는데, 이것이 '''추시 강드룩'''이다. "추시 강드룩"은 "네 강과 여섯 산맥의 땅"을 의미하는 티베트어로, 암도와 캄 지역을 지칭한다.[12][13] 이 단체는 주로 동티베트 출신 티베트인들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목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점령군을 티베트에서 몰아내고 티베트와 티베트 불교를 중국으로부터 지키는 것이었다. 중앙 티베트는 중화인민공화국과 17개 조항 협정에 묶여 있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은 동티베트(암도와 캄 포함)에서 토지 개혁을 강행하며 지역 티베트 토지 소유주들에게 가혹한 보복을 가했다.
추시 강드룩의 설립자는 안드룩 곰포 타시(안드룩 진닥이라고도 불림)였다. 그는 다른 많은 자원병들처럼 게릴라 부대원들에게 자금을 지원했고, 명실상부한 지도자로 인정받았다.[11] 티베트 여러 지역의 지지를 더 모으고 인민군의 범티베트적 구성을 강조하기 위해, 추시 강드룩에 '텐슝 당랑 막'이라는 이름을 추가했다. 텐슝 당랑 막은 티베트의 정치적, 종교적 자유를 위해 싸웠다.[12][13]
추시 강드룩의 공식 창설은 1958년 6월 16일에 발표되었으며, 국민 자원 방위군(NVDA)으로도 불렸다. 이날 로닥 다마 종에서는 추시 강드룩과 지지자들의 회의가 열렸는데, 기병 퍼레이드와 달라이 라마 사진에 향을 피우는 등 인상적인 행사와 함께, 두 개의 칼이 신을 상징하고 손잡이는 도르제(금강저) 또는 뇌문과 연꽃을 상징하는 문장이 있는 텐슝 당랑 막의 추시 강드룩 노란색 깃발을 내걸었다.[12][13]
Gönpo Tashi Andrugtsang 장군의 지휘 아래, 추시 강드룩은 37개의 동맹군과 18명의 군사 지휘관을 포함했다. 그들은 자원병들의 행동을 규율하는 27개 조항의 군사법을 제정했다. 본부는 초기에 촌나에 위치해 있었으나, 나중에는 라갸리로 이전했다.
초기 민병대원들은 주로 제2차 세계 대전 시대의 영국 .303구경, 독일 7.92mm, 러시아 7.62mm 구경 소총과 같은 자체 무기를 구입했다. 추시 강드룩은 미국 정부에 지원을 요청했지만, 미국 국무부는 라싸의 티베트 정부로부터 공식적인 요청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그러나 이러한 공식 요청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1957년과 1958년에 걸친 국무부의 요청은 무시되었다.
4. CIA와 중화민국의 지원
추시 강드룩은 발족 직후 냉전 시대의 국제 정세 속에서 외부 세력의 지원을 받게 되었다. 미국의 중앙정보국(CIA)은 1959년 여름, 달라이 라마의 승인 없이 추시 강드룩에 대한 지원을 시작했다.[15] CIA는 무기와 탄약 등 물자를 제공하고 미국 내에서 게릴라 훈련을 실시했으며,[16][17]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을 견제하려는 목적이 강했다.[20][15] 또한, 장제스가 이끄는 중화민국 정부로부터도 지원을 받았다.
4. 1. CIA의 지원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달라이 라마의 승인 없이 1959년 여름 추시 강드룩 텐슝 당랑 막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15] 이러한 결정은 사회주의 진영과 자유주의 진영이 세계를 양분하여 대립하던 냉전 시대의 맥락 속에서 이루어졌다. 당시 주요 강대국들은 제국주의 확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반제국주의를 내세우곤 했는데, 미국은 반공주의를, 중화인민공화국은 반자본주의를 명분으로 삼았다.[18][19]CIA의 비밀 작전을 총괄하던 부국장 앨런 덜레스는 추시 강드룩 지원을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을 불안정하게 만들 기회로 보았다.[20] CIA의 주요 목표는 티베트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보다는 중국 공산주의자들을 방해하고 괴롭히는 데 있었다.[15]
CIA는 추시 강드룩 및 다른 티베트 게릴라 그룹에 무기와 탄약을 포함한 물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미국 콜로라도주의 캠프 헤일에서 군사 훈련을 실시했다. 훈련 내용은 군사 작전뿐만 아니라 정치 및 선전 기술도 포함되었다.[16][17]
CIA의 티베트 지원 작전은 "세인트 서커스 작전(ST Circus)"이라는 암호명으로 불렸다. 1957년, 곰포 타시는 CIA의 지시에 따라 6명의 티베트 청년을 선발하여 인도로 보냈고, 이들은 1957년 2월 20일 동파키스탄(현 방글라데시)을 통해 태평양의 미국령 섬인 사이판으로 이동했다. 사이판에서 5개월간 최신 장비 사용법을 포함한 전문적인 게릴라 훈련을 받았다. 훈련을 마친 이들은 1957년 10월 초, 일본 가데나 비행장을 경유한 B-17 폭격기를 이용해 인도 상공을 은밀히 통과하여 낙하산으로 티베트 땅에 투입되었다. 이 중 2명은 라싸 서부의 삼예 지역으로, 3명은 동티베트의 리탕으로 보내져 CIA와 연락을 유지하며 물자 조달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캠프 헤일에서는 총 259명의 티베트인이 훈련을 받았다. 이들 중 일부는 낙하산으로 티베트 내 저항 단체에 합류했고, 다른 일부는 육로를 통해 티베트로 잠입하여 정보 수집 임무를 맡았다. 또한 일부 훈련생들은 네팔 북부 무스탕 지역에서 CIA의 자금 지원을 받아 티베트 저항군을 창설하는 활동(1959년~1974년)에 참여하기도 했다.
추시 강드룩은 CIA 외에도 장제스가 이끄는 중화민국 정부로부터도 지원을 받았다.
2024년 6월 9일, 콜로라도 대학교 인류학과, 티베트 히말라야 이니셔티브, 베일 심포지엄 및 콜로라도 추시 강드룩은 캠프 헤일에서 CIA와 추시 강드룩의 협력을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했다.[21]
4. 2. 중화민국의 지원
추시 강드룩은 장제스가 이끄는 중화민국 정부로부터도 지원을 받았다.5. 무장 투쟁
추시 강드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지역 정책 강행에 반발하여 결성된 티베트 민중의 무장 저항 조직이다. 1956년 캄 지방에서 시작된 티베트 봉기를 배경으로 1958년 공식 출범했으며, 안드룩 곤포 타시가 이끌었다. 이들은 주로 게릴라 전술을 사용하여 중국 인민해방군에 맞서 싸웠으며, 티베트와 티베트 불교 수호를 목표로 삼았다.
1959년 티베트 봉기가 실패로 돌아가고 제14대 달라이 라마가 인도로 망명할 당시, 추시 강드룩은 그의 안전한 탈출을 도왔다.[22] 이후 CIA의 비밀 지원을 받아 네팔의 무스탕 지역을 거점으로 장기간 무장 투쟁을 이어갔다.[26] 그러나 1970년대 초 미국-중국 관계 개선으로 CIA의 지원이 중단되고, 달라이 라마의 평화적 해결 촉구에 따라 1974년 최종적으로 무장 활동을 멈추게 되었다.[2] 추시 강드룩의 무장 투쟁은 티베트 현대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그들의 활동은 여러 하위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5. 1. 캄 반란과 티베트 봉기
1955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은 달라이 라마가 이끄는 간덴 포당 정부 관할 지역을 제외한 티베트 지역에서 사회주의 방식의 "민주 개혁"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특히 동부 티베트의 캄 지방(시캉, 현재 쓰촨성 등의 일부)에서는 이러한 개혁 강행에 대한 반발로 1956년부터 중국 통치에 저항하는 민중 봉기가 일어났다. 이는 티베트 봉기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중국 인민해방군이 즉시 반격에 나섰고, 패배한 캄 지방의 병사들과 주민들은 간덴 포당 정부 아래 상대적으로 평온을 유지하던 중앙 티베트(위-짱) 지역으로 피난했다.
1958년, 캄과 암도 출신의 저항 세력들은 중앙 티베트에서 중국에 맞서는 통일된 게릴라 조직을 결성했는데, 이것이 바로 '''추시 강드룩'''이다. '추시 강드룩'은 "네 개의 강과 여섯 개의 산맥의 땅"을 의미하는 티베트어로, 캄과 암도 지역을 지칭한다. 이 조직은 안드룩 곰포 타시(Andrug Gompo Tashi)에 의해 설립되었으며[11], 초기에 국민 자원 방위군(NVDA)으로 불렸다. 티베트 전역의 지지를 모으기 위해 '텐슝 당랑 막'이라는 이름을 추가하기도 했다.[12][13] 조직의 주요 목표는 티베트와 티베트 불교를 중국의 지배로부터 수호하는 것이었다. 조직의 지도자는 Gönpo Tashi Andrugtsang이었다. 1958년 6월 16일, 로닥 다마 종에서 열린 회의에서 추시 강드룩의 창설이 공식적으로 선포되었고, 달라이 라마의 사진에 예를 표하고 조직의 깃발을 내거는 의식이 거행되었다.[12][13] 추시 강드룩은 37개 동맹군과 18명의 군사 지휘관을 포함했으며, 자원병들의 행동을 규율하는 27개 조항의 군사법을 제정했다. 본부는 초기에 촌나에 위치했다가 나중에 라갸리로 이전했다.
제14대 달라이 라마는 평화주의 원칙에 따라 무력 사용을 용납하지 않았고, 성공 가능성도 낮다고 보아 1957년 추시 강드룩에 대한 지원 요청을 거절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시 강드룩은 1957년 4월, 부처 앞에서 제비뽑기를 통해 인민해방군에 대한 공세 작전을 결정했다. 곰포 타시의 지휘 아래 조직된 부대는 초기에는 자체적으로 무기를 조달했으며, 물자 부족에도 불구하고 1957년 초 인민해방군 전초 기지를 공격하기도 했다. 추시 강드룩은 게릴라 부대로 활동했으며, 때때로 규율을 어기고 민간인에게 피해를 주는 대원들은 엄하게 처벌되었고, 잠입한 간첩은 발각 즉시 처형되었다.
1958년 말, 중국 당국은 라싸나 시가체에 거주하던 동티베트 출신 주민들에게 고향으로 돌아갈 것을 명령하고 불응 시 강제 송환 조치를 취했다. 또한 제14대 달라이 라마에게 반란군 진압을 요구했으나, 달라이 라마는 자신의 군대가 오히려 게릴라에 합류할 것을 우려하여 이를 거부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티베트 민중들 사이에서는 제14대 달라이 라마가 중국 당국에 의해 납치될 것이라는 소문이 퍼져나갔다. 이는 결국 1959년 3월 10일, 라싸에서 대규모 봉기(1959년 티베트 봉기)가 발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봉기 발발 후 제14대 달라이 라마가 인도로 망명하자, 인민해방군은 3월 24일 라싸를 공격하여 봉기를 무력으로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사원이 파괴되었고, 약 25,000명에 달하는 승려들이 체포된 것으로 알려졌다.
5. 2. 인도 망명과 무장 해제
1959년 3월, 추시 강드룩은 제14대 달라이 라마가 인도로 탈출하는 것을 도왔다. 이후 안드룩 진닥은 타왕에서 쿵가 삼텐 데와탕에게 인도 당국에 무기를 넘기도록 설득했다.[22] 샹그리 라갸르를 비롯한 다른 추시 강드룩 전사들은 인도 테즈푸르에서 인도 관리들에게 무기를 넘겨주었다. 국경을 넘은 이들은 티베트 정부 대표인 체드룽 잠파 왕두의 환영을 받았다.[23] 1959년 4월 29일, 추시 강드룩은 소총, 탄약 등 모든 무기를 테즈푸르 지역 부청장에게 넘겼으며, 금, 은과 같은 귀중품은 소지할 수 있도록 허락받았다.[24]제14대 달라이 라마는 안드룩 곰포 타쉬에게 편지를 보내 티베트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중국 점령군에 맞서 싸운 공로를 인정하며 '다삭'(장군에 해당하는 최고 군사 계급)의 지위를 수여했다. 편지에는 "당신은 티베트의 자유를 지키는 위대한 국가적 대의를 위해 중국 점령군에 저항하기 위해 흔들리지 않는 결의로 추시 강드룩 부대를 이끌었습니다. 당신의 조국에 대한 공로를 인정하여 다자크(장군에 해당하는 최고 군사 계급)의 지위를 수여합니다. 현재 상황은 당신의 용감한 투쟁을 같은 결의와 용기로 지속할 것을 요구합니다."라고 적혀 있었다.[25] 또한 안드룩 진닥은 수호신 지그치 마하이의 흙 조각상과 성스러운 구슬 등 귀중한 종교 유물을 선물로 받았다.[25]
1959년 4월, 제14대 달라이 라마와 곰포 타시의 요청에 따라 추시 강드룩은 최종적으로 무기를 버렸다. 이로 인해 티베트 내 주요 저항 세력으로는 텡쑨 랑탄 마갈(국민방위의용군)만이 남게 되었다.
5. 3. 무스탕에서의 게릴라 작전
CIA는 반공 정책의 일환으로 티베트인에게 게릴라 훈련을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이 티베트 프로젝트는 "세인트 서커스 작전(ST Circus)"이라는 암호명으로 불렸다. 곰포 타시는 6명의 티베트 청년을 선발하여 인도로 보냈고, 1957년 2월 20일에는 CIA의 지시에 따라 동파키스탄(현 방글라데시)으로 잠입시켰다. 이들 6명은 태평양의 섬 사이판으로 옮겨져 5개월 동안 최신 장비 사용법을 포함한 전문적인 게릴라 훈련을 받았다. 1957년 10월 초, 이들은 B-17 폭격기를 타고 일본 가데나 비행장을 경유하여 인도 상공을 은밀히 통과한 뒤 낙하산을 이용해 티베트 땅에 내려섰다. 이 중 2명은 라싸 서부의 삼예로, 3명은 동티베트의 리탕으로 파견되었다. 이들은 이후에도 CIA와 연락을 유지하며 미국으로부터 물자를 지원받기 위해 노력했다.미국 콜로라도의 캠프 헤일에서는 총 259명 가량의 티베트인이 훈련을 받았다. 훈련받은 인원 중 일부는 낙하산으로 강하하여 각지의 저항 단체와 합류했고, 다른 이들은 육로를 통해 티베트로 보내져 정보 수집 임무를 수행했다. 또한 일부는 1959년부터 1974년까지 북부 네팔의 무스탕 외곽에서 CIA의 자금 지원을 받아 티베트 저항군을 창설하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CIA의 지원을 바탕으로 1960년부터 추시 강드룩은 네팔 북부 무스탕 지역에서 게릴라 활동을 수행했다.[26] 그러나 1974년,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이 시작한 미국-중국 관계 재편으로 인해 CIA가 티베트 저항 운동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을 종료하면서 무스탕에서의 게릴라 작전은 중단되었다. 또한 망명 중인 티베트의 정신적, 세속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인들에게 무기를 내려놓고 평화적으로 항복하라는 메시지를 녹음한 것도 작전 중단의 한 요인이었다.[2]
6. 해체 이후
달라이 라마의 인도 망명이 밝혀지자, 인도와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의 긴장이 높아졌다.[27] 중국 인민해방군은 티베트 내 반란 활동에 대해 1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육군력과 항공 부대를 투입했고, 반란 세력은 거듭된 패배로 전력을 잃었다. 이후 1959년 중화인민공화국은 인도 지배 지역으로 진군하여 1962년까지 중인 국경 분쟁이 계속되었다.[27]
6. 1. 미중 관계 개선과 지원 중단
1960년대부터 추시 강드룩은 네팔 북부 무스탕 지역을 근거지로 삼아 게릴라 활동을 벌였다.[26] 그러나 1970년대 들어 상황은 급변했다. 냉전 시기 소련과의 경쟁 구도 속에서 미국의 리처드 닉슨 행정부는 중소 분쟁으로 소련과 관계가 악화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다. 1971년 미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병합을 사실상 묵인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했고, 이는 1972년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으로 이어졌다.[2]이러한 미국-중국 관계의 변화는 티베트 저항 운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닉슨의 방중을 전후하여 미국 CIA는 추시 강드룩에 대한 지원을 중단했다.[2] 설상가상으로 망명 중이던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 역시 티베트인들에게 무기를 내려놓고 평화적으로 항복할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녹음하여 전달했다.[2]
한편, 중화인민공화국은 1959년 달라이 라마의 인도 망명 이후 인도와의 긴장이 고조되자 인도 지배 지역으로 진군하여 1962년까지 중인 국경 분쟁을 벌이기도 했다. 티베트 내부에서는 중국 인민해방군이 1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병력을 투입하여 반란 세력을 군사적으로 압박했고, 저항 세력은 거듭된 패배로 약화되었다.[27][28]
결정적으로 1974년 여름, 네팔 정부가 무스탕에 있던 추시 강드룩의 근거지를 소탕하면서 게릴라 활동은 막을 내렸다. 이로써 추시 강드룩을 중심으로 한 티베트의 주요 무장 저항 운동은 종결되었다.
6. 2. 네팔 정부의 무스탕 기지 폐쇄
1971년, 냉전 시기 미국의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소련과의 대립 속에서 중소 분쟁으로 소련과 관계가 악화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미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병합을 사실상 묵인하는 정책으로 전환했고, 이는 1972년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전후하여 CIA가 추시 강드룩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는 결과로 이어졌다.한편, 티베트 내부는 중국 인민해방군에 의해 완전히 장악되었고, 저항 세력 대부분이 진압된 상태였다[28]。
결정적으로 1974년 여름, 네팔 북부 무스탕에 기지를 두고 활동하던 '''추시 강드룩'''은 네팔 정부에 의해 근거지가 파괴되었다. 이 사건으로 티베트인의 주요한 무장 저항 활동은 사실상 막을 내리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embership & Support
http://www.chushigan[...]
Chushigangdruk.org
2012-06-10
[2]
웹사이트
Resistance and Revolution
http://www.tibetoral[...]
Tibet Oral History Project
2017-06-25
[3]
뉴스
The Dalai Lama's Great Escape
http://www.thedailyb[...]
2017-05-07
[4]
서적
Flight at the Cuckoo's Behest, The Life and Times of a Tibetan Freedom Fighter
Paljor Publications
1997
[5]
서적
A History of Modern Tibet. Vol. 2. The Calm before the Storm, 1951-19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6]
서적
Captured in Tibet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Orphans of the Cold War: America and the Tibetan Struggle for Survival
https://archive.org/[...]
Public Affairs
1999
[8]
서적
The Last Dalai Lama, A Biography
Sidgwick & Jackson
1986
[9]
서적
My Land and My People
Srishti Publishers & Distributors
2006
[10]
간행물
The Question of Tibet and the Rule of Law
1959
[11]
학술
The CIA and the Chushi Gangdrug Resistance, 1956–1974
https://www.colorado[...]
2024-08-23
[12]
서적
Orphans of the Cold War: America and the Tibetan Struggle for Survival
https://archive.org/[...]
Public Affairs
1999
[13]
서적
The Noodle Maker of Kalimpong, The Untold Story of My Struggle for Tibet
Public Affairs
2015
[14]
서적
The Noodle Maker of Kalimpong: The Untold Story of My Struggle for Tibet
Random House India
[15]
서적
Orphans of the Cold War
https://archive.org/[...]
Public Affairs
1999
[16]
웹사이트
Review of Tibetan Operations
https://www.cia.gov/[...]
1964-01-09
[17]
웹사이트
337. Memorandum for the Special Group
https://history.stat[...]
1964-01-09
[18]
서적
Ethnographies of U.S. Empire: Love and Empire: The CIA, Tibet, and Covert Humanitarianism
Duke University
2018
[19]
웹사이트
Ethnographies of U.S. Empire: Love and Empire: The CIA, Tibet, and Covert Humanitarianism
https://intimaciesof[...]
2019-05-19
[20]
학술
The Secret War Over Tibet
1997
[21]
뉴스
Tibet, the CIA and a forgotten part of Camp Hale's freedom-fighting history
https://coloradosun.[...]
2024-06-16
[22]
서적
Flight at the Cuckoo's Behest, The Life and Times of a Tibetan Freedom Fighter
Paljor Publications
1997
[23]
서적
Four Rivers, Six Ranges: Reminiscences of the Resistance Movement in Tibet
Information and Publicity Office of H.H. The Dalai Lama
1973
[24]
서적
Four Rivers, Six Ranges: Reminiscences of the Resistance Movement in Tibet
Information and Publicity Office of H.H. The Dalai Lama
1973
[25]
서적
Four Rivers, Six Ranges: Reminiscences of the Resistance Movement in Tibet
Information and Publicity Office of H.H. The Dalai Lama
1973
[26]
웹사이트
The curious case of the Mustang incident
http://www.recordnep[...]
2017-02-10
[27]
서적
謀略と紛争の世紀 特殊部隊・特務機関の全活動
原書房
2004-04-05
[28]
서적
謀略と紛争の世紀 特殊部隊・特務機関の全活動
原書房
2004-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