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는 1918년 캐나다로 이주한 우크라이나인들에 의해 설립된 정교회 교단이다. 199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총대주교청과 통합하여 자치를 인정받았으며, 현재 동부, 중앙, 서부의 세 관구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2023년 12월 20일부터 개정 율리우스력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동방 정교회 - 성 앤드류 대학
성 앤드류 대학은 1946년 설립되어 학술 프로그램을 확장해 왔으며, 매니토바 대학교와 제휴 관계를 유지하고 우크라이나 캐나다 연구 센터를 설립하여 캐나다 다문화주의에 기여하는 캐나다의 대학이다. - 우크라이나 정교회 - 비두비치 수도원
비두비치 수도원은 1070년에서 1077년 사이에 설립된 우크라이나 키이우에 위치한 수도원으로, 루스 역사 편찬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성 미카엘 교회 등 주요 건축물과 문화 예술 작품을 포함한다. - 우크라이나 정교회 - 성 볼로디미르 대성당
성 볼로디미르 대성당은 키이우에 있는 우크라이나 정교회 대성당으로, 볼로디미르 1세의 세례 900주년을 기념하여 1852년에 건설되었고, 신 비잔틴 양식의 7개 돔과 모자이크, 프레스코화로 장식되었으며 우크라이나 독립 후 키이우 총대주교청의 주요 거점이 되었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교구 - 핀란드 정교회
핀란드 정교회는 12세기부터 핀란드에 전파된 동방 정교회로, 러시아 제국 시대에 성장하여 핀란드 독립 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자치 교회가 되었으며, 현재 핀란드에서 특별한 지위를 인정받는 두 종교 중 하나로서 세 개의 교구와 수도원을 운영하고 있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교구 -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는 에스토니아에 위치한 동방 정교회 자치 교회로, 10세기에서 12세기 선교 활동으로 전파되었으나 소련 시대 탄압과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의 갈등을 겪은 후 1996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으로부터 자치권을 재확인받아 현재 활동 중이다.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 |
원어 이름 | Українська православна церква Канади (우크라이나어) |
약칭 | UOCC |
분류 | 동방 정교회 |
지향 | 그리스 정교회 |
정치 체제 | 주교제 |
수장 | 대주교 일라리온 루드니크 |
교구 수 | 241개 |
사용 언어 | 영어, 우크라이나어 |
전례 | 비잔틴 예법 |
설립 | 1918년 |
설립 장소 | 캐나다 サスカトゥーン, サスカチュワン 주 |
본부 | 캐나다 위니펙, 매니토바 주 |
관할 지역 | 캐나다 |
신자 수 | 85,725명 |
공식 웹사이트 |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갈리치아(서우크라이나)와 부코비나에서 캐나다로 이주한 우크라이나인들은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 신자 또는 정교회 신자였다. 1918년 여름, 사스카툰에서 가톨릭과 정교회 신자들이 모여 캐나다 우크라이나 그리스 정교회를 설립하였다.
새로 설립된 교회는 정교회 교회법에 따라 주교가 필요했다. 1918년 12월 28일 사스카툰에서 첫 공의회가 개최되어 교회 최초의 신학교가 설립되었다. 1919년부터 1924년까지 북아메리카 안티오키아 정교회 대교구의 게르마노스 대주교가 교회를 지도하였다.
1990년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총대주교청과 통합하여 다른 정교회와 완전한 상통관계를 맺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디미트리오스 1세는 역사적 관할권을 근거로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자치를 인정하면서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의 교도권 편입을 정당화했다.
2005년 와실리 대주교 사후, 2008년 사스카툰에서 특별 공의회가 개최되어 텔메소스의 일라리온 주교와 안드리를 각각 에드먼턴 주교와 사스카툰 보좌주교로 선출했다. 2010년 은퇴한 요한 대주교의 후임으로 유리 대주교가 임명되었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는 이를 승인했다.
2023년 8월 25일, 힐라리온 대주교는 성직자들에게 새 율리우스력으로 전환할 가능성에 대해 교구에서 토론할 것을 촉구했다. 2023년 12월 1일, 2023년 12월 20일부터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가 개정 율리우스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발표되었다.[16]
2. 1. 설립 배경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갈리치아(우크라이나 서부 지역)에서 캐나다로 이주한 우크라이나인들은 대부분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 신자였으며, 1912년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총대주교대리구가 설정되기 전에는 현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지도를 받았다. 캐나다로 이민 온 또 다른 우크라이나인들은 부코비나 출신으로, 대부분 정교회 신자였다. 초기에 이 정교회 신자들은 북아메리카 러시아 정교회 선교단(당시 러시아 정교회의 일부)의 지도를 받았지만, 예배는 우크라이나 모국어로 거행되지 않았다. 1918년 여름, 사스카툰(Saskatoon)에서 가톨릭과 정교회 신자들이 모여 캐나다 우크라이나 그리스 정교회를 설립하였다.캐나다 거주 우크라이나 교민들은 새로운 교회를 설립했지만, 주교 없이는 교회가 존재할 수 없다는 정교회 교회법을 의식했다. 그래서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 형제단은 러시아 정교회의 알렉산더 대주교에게 당 교회의 주교로서 임시로 교회를 다스려 줄 것을 요청했다. 처음에는 알렉산더 대주교가 이 제안에 동의했지만 나중에 거절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제1차 공의회는 1918년 12월 28일 사스카툰에서 계획대로 개최되었다. 이 공의회의 결과로 교회 최초의 신학교가 사스카툰에 설립되었다. 형제단은 계속해서 교회를 지도할 임시 주교를 찾았고, 결국 북아메리카 안티오키아 정교회 대교구의 게르마노스 대주교가 5년(1919년 - 1924년) 동안 교회를 지도하였다.
2. 2. 초기 역사 (1918-1990)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갈리치아(서우크라이나)와 부코비나에서 캐나다로 이주한 우크라이나인들은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 신자 또는 정교회 신자였다. 정교회 신자들은 예배가 우크라이나 모국어로 거행되지 않아 러시아 정교회 선교단의 지도를 받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다. 1918년 여름, 사스카툰에서 가톨릭과 정교회 신자들이 모여 캐나다 우크라이나 그리스 정교회를 설립하였다.새로 설립된 교회는 정교회 교회법에 따라 주교가 필요했다.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 형제단은 러시아 정교회의 알렉산더 대주교에게 임시 지도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1918년 12월 28일 사스카툰에서 첫 공의회가 개최되어 교회 최초의 신학교가 설립되었다. 형제단은 계속 주교를 찾았고, 1919년부터 1924년까지 북아메리카 안티오키아 정교회 대교구의 게르마노스 대주교가 교회를 지도하였다.
1990년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총대주교청과 지속적인 대화 끝에 통합되었고, 다른 정교회와 완전한 상통관계를 맺게 되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디미트리오스 1세는 역사적 관할권을 근거로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자치를 인정하면서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의 교도권 편입을 정당화했다.
2005년 와실리 대주교 사후, 2008년 사스카툰에서 특별 공의회가 개최되어 텔메소스의 일라리온 주교와 안드리를 각각 에드먼턴 주교와 사스카툰 보좌주교로 선출했다. 2010년 은퇴한 요한 대주교의 후임으로 유리 대주교가 임명되었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는 이를 승인했다.
역대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 수장 및 재임 기간은 다음과 같다.
수장 재임 기간 | 사진 | 이름 | 개인 이름 | 출생일 및 출생지 | 사망일 및 사망지 | |
---|---|---|---|---|---|---|
1 | 1919–1924 (5년) | 게르마노스 대주교 Германос | 게르마노스 셰하다 | 1872년 1월 18일 베이루트, 오스만 제국 | 1934년 4월 7일 베이루트, 대 레바논 | |
2 | 1924–1946 (22년) | ![]() | Іоанн (Теодорович)|요한 (테오도로비치)|요한 대주교 (테오도로비치)uk Іоанн (Теодорович) | 이반 테오도로비치 | 1887년 10월 6일 Крупець (Дубенський район)|Krupets, Dubno Raion|lt=Krupetsuk, 러시아 제국 | 1971년 5월 3일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
3 | 1947–1950 (3년) | ![]() | 므스티슬라프 대주교 Мстислав | 스테판 이바노비치 스크립닉 | 1898년 4월 10일 폴타바, 러시아 제국 | 1993년 6월 11일 그림스비, 캐나다 |
4 | 1951–1972 (21년) | ![]() | 일라리온 대주교 Іларіон | 이반 이바노비치 오히엔코 | 1882년 1월 2일 브루실로프, 러시아 제국 | 1972년 3월 29일 위니펙, 매니토바 |
5 | 1972–1975 (3년) | 미하일 대주교 Михаїл | 테오도트 니키포로비치 호로시 | 1885년 7월 10일 Федорівка (Олександрійський район)|Fyodorovka, Oleksandriia Raion|lt=Fyodorovkauk, 러시아 제국 | 1977년 5월 5일 토론토, 온타리오 | |
6 | 1975–1985 (10년) | Андрей (Метюк)|안드레이 (메티유크)|lt=안드레이 대주교uk Андрей | 흐리호리 메티유크 | 1898년 1월 3일 테레빈, 러시아 제국 | 1985년 2월 2일 위니펙, 매니토바 | |
7 | 1985–2005 (20년) | 와실리 대주교 Василій | 와실리 페닥 | 1909년 11월 1일 카두비우치, 오스트리아-헝가리 | 2005년 1월 10일 위니펙, 매니토바 | |
8 | 2005–2010 (5년) | 존 스틴카 대주교 Іван (Стінка) | 이반 스틴카 | 1935년 1월 14일 부캐넌, 서스캐처원 | 2022년 9월 19일 새스커툰, 서스캐처원 | |
9 | 2010–2021 (11년) | ![]() | 유리 대주교 Юрій | 유리 페트로비치 칼리스트추크 | 1951년 5월 26일 라신, 퀘벡 | – |
10 | 2022–현재 (1년) | ![]() | 일라리온 대주교 Іларіон | 로만 미콜라요비치 루드니크 | 1972년 2월 14일 리비우, 우크라이나 SSR | – |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에서 역사적으로 봉사한 주교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북미 안티오키아 정교회 대교구의 게르마노스(Shehadi) 대주교 - (1919-1924)
- Іоанн (Теодорович)|요한 (테오도로비치)|lt=요한 (테오도로비치)uk - (1924-1948)
- 므스티슬라프(스크리프니크) 대주교 - (1949-1950)
- 일라리온(오히엔코) 대주교 - (1951-1972)
- 미하일(호로쉬) 대주교 - (1951-1977)
- Андрей (Метюк)|안드레이 (메티유크)|lt=안드레이 (메티유크)uk - (1959-1985)
- 보리스(야코브케비치) 대주교 - (1963-1984)
- 미콜라이(데브린) 대주교 - (1975-1981)
- 와실리(페닥) 대주교 - (1978-2005)
- 요한(스틴카) 대주교 - (1983-2010)
- 유리(칼리슈추크) 대주교 - (1989–2021)
- 일라리온(루드니크) 대주교 - (2008–현재)
- 안드리(페쉬코) 주교 - (2008–현재)
2. 3.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총대주교청과의 통합 (1990-현재)
1990년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총대주교청과 통합하여 다른 정교회와 완전한 상통관계를 맺었다.[1]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디미트리오스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의 역사적 관할권을 근거로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세계총대주교의 교도권에 편입하는 것을 정당화하면서 자치를 인정했다.2005년 와실리 대주교 사망 후, 제21차 공의회에서 요한 대주교를 위니펙과 캐나다의 관구장 주교로 선출했다. 2008년 사스카툰에서 열린 특별 공의회에서는 신임 주교 선출, 내규 개정, 교회 창립 90주년 기념 행사가 진행되었다.[3] 텔메소스의 일라리온(루드니크) 주교가 에드먼턴 주교로, 안드리가 사스카툰 보좌주교로 선출되었다.
2010년 7월, 은퇴한 요한 대주교의 후임으로 토론토 대주교 유리(칼리슈축)가 관구장 주교로 임명되었고, 2010년 8월 30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는 유리 대주교의 위니펙과 캐나다 관구장주교 착좌를 승인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통해 우크라이나에 직접 지원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협약이 체결되었다.[4]
2023년 8월 25일, 힐라리온 대주교는 성직자들에게 새 율리우스력으로 전환할 가능성에 대해 교구에서 토론할 것을 촉구했다. 2023년 12월 1일, 2023년 12월 20일부터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가 개정 율리우스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발표되었다.[16][5]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는 세 개의 관구(교구)로 구성된다.[6]
교회 수장은 "위니펙 대주교이자 캐나다 관구장" 칭호를 가지며 중앙 관구 교구장 주교를 겸한다. 동부 관구는 토론토의 안드리(페쉬코) 주교가,[7] 서부 관구는 에드먼턴 및 서부 캐나다의 일라리온(루드니크) 주교가 이끌고 있다.[8]
3. 교구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는 세 개의 관구 또는 교구로 나뉜다. 동부 관구는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대성당이 있고, 중앙 관구는 매니토바주 위니펙에 대성당이 있으며, 서부 관구는 앨버타주 에드먼턴에 대성당이 있다.[6] 캐나다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관례에 따라 교회의 수장은 "위니펙 대주교이자 캐나다 관구장"이라는 칭호를 가지며 중앙 관구의 교구장 또는 주교로 활동한다.
동부 관구는 토론토의 안드리(페쉬코) 주교가 이끌고 있다.[7] 서부 관구는 에드먼턴 및 서부 캐나다의 일라리온(루드니크) 주교가 이끌고 있다.[8]
교구 | 교구장 |
---|---|
중앙 교구 | 위니펙 및 중앙 캐나다 대주교 일라리온 (루드니크) (2022년–현재) |
동부 교구 | 토론토 주교 안드리 (페쉬코) (2008년–현재) |
서부 교구 | 에드먼턴 및 서부 캐나다 임시 주교 일라리온 (루드니크) (2008년–현재) |
4. 신학교
5. 정교회 분류
정교회(그리스 정교회, 동방 정교회)의 세례와 성체성사(성찬 예식)를 포함한 성사(성례)는 모든 정교회에서 유효하다. "루마니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는 조직 이름이며, 한 조직을 신앙하는 듯한 "러시아 정교를 신앙한다", "그루지야 정교를 신앙한다"라는 표현은 잘못되었다.
독립 정교회 (일부의 승인만을 받은 것을 포함)
- 미국 정교회
- 알바니아 정교회
- 알렉산드리아 교회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 안티오키아 교회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청)
- 우크라이나 정교회 (2018년 설립)
- 예루살렘 교회 (예루살렘 총대주교청)
- 키프로스 정교회
- 그리스 정교회
- 그루지야 정교회
-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 전 세계 총대주교청)
- 세르비아 정교회
- 체코슬로바키아 정교회
- 불가리아 정교회
- 폴란드 정교회
- 마케도니아 정교회 — 일부만 그 지위를 승인.
- 루마니아 정교회
- 러시아 정교회
자치 정교회 (일부의 승인만을 받은 것을 포함)
-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 일부만 그 지위를 승인. 승인하지 않은 교회에서는 한 교구로 취급.
- 시나이 정교회
-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 — 일부만 그 지위를 승인. 승인하지 않은 교회에서는 한 교구로 취급.
- 중국 정교회 — 일부만 그 지위를 승인. 승인하지 않은 교회에서는 한 교구로 취급.
- 일본 정교회 — 일부만 그 지위를 승인. 승인하지 않은 교회에서는 한 교구로 취급.
- 핀란드 정교회
자율 관리 교회
- 안티오키아 정교회 북미 대주교구
- 우크라이나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 에스토니아 정교회 — 러시아 정교회의 자율 관리 교회.
- 러시아 해외 정교회
- 몰도바 정교회
- 라트비아 정교회
-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Ukrainian Orthodox Church of Canada - A Brief History of the Ukrainian Orthodox Church of Canada
http://www.uocc.ca/e[...]
[2]
웹사이트
Ukrainian Orthodox Church of Canada
https://www.encyclop[...]
[3]
웹사이트
Ukrainian Orthodox Church of Canada
http://www.uocc.ca/p[...]
[4]
뉴스
Western Eparchy of the Ukrainian Orthodox Church of Canada formalizes agreement with Orthodox Church of Ukraine for direct humanitarian aid
https://www.uocc.ca/[...]
The Ukrainian Orthodox Church of Canada website
2022-04-09
[5]
웹사이트
Primatial Encyclical: Announcement of the Adoption of the Revised Julian Calendar by the Ukrainian Orthodox Church of Canada
https://www.uocc.ca/[...]
2023-12-01
[6]
웹사이트
Administration
https://www.uocc.ca/[...]
[7]
웹사이트
Bishop Andriy
https://uocceast.ca/[...]
2024-01-16
[8]
웹사이트
His Eminence, The Most Rev. Metropolitan Bishop Ilarion (Rudnyk)
https://www.uocc.ca/[...]
2024-01-16
[9]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uocc.ca/[...]
[10]
문서
Not in [[Koinonia|communion]] with the rest of the [[Catholic Church]], part of the [[Union of Scranton]]
[11]
문서
Part of the [[Evangelical Fellowship of Canada]]
[12]
문서
Observer member of the [[Evangelical Fellowship of Canada]]
[1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UKRAINIAN ORTHODOX CHURCH OF CANADA
https://uocc.ca/abou[...]
[14]
웹사이트
St. Andrew's College, Manitoba
https://www.umanitob[...]
[15]
웹사이트
Primatial Encyclical: Announcement of the Adoption of the Revised Julian Calendar by the Ukrainian Orthodox Church of Canada
https://www.uocc.ca/[...]
2023-12-01
[16]
웹인용
Primatial Encyclical: Announcement of the Adoption of the Revised Julian Calendar by the Ukrainian Orthodox Church of Canada
https://www.uocc.ca/[...]
2023-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