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 정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정교회는 중국 내 정교회 공동체와 관련된 역사, 발전, 현황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7세기 동방교회를 통해 기독교가 전래된 이후, 원나라 시대와 17세기 러시아 정교회의 선교를 거치며 중국에 정교회가 전파되었다. 19세기 의화단 운동과 문화대혁명으로 탄압을 받았지만, 1980년대 이후 종교 정책의 변화와 함께 중국 정교회 부흥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현재 중국 본토에는 세 곳의 정교회 공동체가 있으며, 홍콩과 대만에서도 정교회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중국 관계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러시아-중국 관계 - 중소 분쟁
    중소 분쟁은 1858년과 1860년 조약에서 비롯된 중국과 소련 간의 이념, 지정학, 경제적 갈등으로, 소련의 탈스탈린화, 중국의 대약진 운동 실패, 타이완 해협 위기, 인도와의 국경 분쟁에 대한 소련의 중립 등으로 심화되었으며, 이념적 차이와 경제적 이해관계 충돌은 국경 분쟁과 외교적 단절, 제3세계 대리 전쟁으로 이어졌고, 중미 관계 개선 후 완화되었으나 소련 붕괴까지 이념적 대립이 지속되었다.
중국 정교회
일반 정보
하얼빈 성모 보호 교회
하얼빈의 성모 보호 교회
약칭COC
주요 분류동방 정교회
지도자 직함3주교
지도자 이름30
분할 유형교구
분할13
전례비잔틴 예법
관할 지역중화인민공화국
신도 수15,000명
명칭
병음Zhōnghuá Dōngzhèngjiàohuì
일본어中国正教会

2. 역사

원나라러시아 정교회 성직자와 신자들이 중국에 들어왔지만, 장기적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1685년 막심 레온티예프 신부와 신자 31명이 청나라에 들어왔다. 이들은 아무르강 인근 알바진에서 포로로 사로잡혀 베이징으로 호송되었고, 강희제는 이들을 청나라로 이주시켰다. 막심 레온티예프 신부는 베이징에 최초의 정교회 성당을 세웠다.

1715년 베이징에서 대수도원장 힐라리온에 의해 최초의 선교단이 결성되었다. 1727년 캬흐타 조약을 통해 청나라 조정은 러시아인들이 베이징에 정교회 경당을 세울 권리를 인정하였다. 초기 선교단의 역할은 중국인 전도보다는 중국 거주 러시아인들을 대상으로 사목하는 것이었고, 이후 외교관 역할도 수행했다.

1684년부터 150년 동안 정교회 교세는 크게 확장되지 않았다. 1860년 베이징에는 청나라로 귀화한 러시아인의 후예까지 포함해서 200명 정도의 신자만 있었다. 그러나 1860년 이후 선교 사업이 다시 활기를 띄기 시작했다. 선교단은 1850년대부터 1860년대에 걸쳐 4권의 중국학 연구 서적을 저술했으며, 이아킨프 야코블레비치 비추린과 표트르 이바노비치 카파로브 등의 수도자가 중국학에 두각을 나타냈다. 의화단 운동 시기 동안 선교단은 큰 피해를 입었다.

2. 1. 초기 기독교 전래

기원후 68년경 사도 토마스가 인도 선교 과정에서 중국에 기독교를 전파했다고 알려져 있다.[3][4][5] 후한(25-220년) 시대에 동방교회 소속 아시리아인 기독교인들이 선교 활동을 했다는 추측도 있다.[6][7][8]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독교 관련 고고학적 증거는 7세기 동방교회에서 발견된다. 당시 동방 기독교는 경교(당나라 시대의 동방교회를 지칭하는 용어)로 불렸으며, 경주비와 서안의 대진탑이 대표적인 유물이다. 경교는 9세기에 탄압받았지만, 13세기에 다시 전래되었다. 그러나 14세기 명나라가 건국되면서 급속히 쇠퇴하였다.

2. 2. 러시아 정교회 선교

1685년 막심 레온티예프 신부와 31명의 신자들이 청나라 알바진에서 포로로 사로잡혀 베이징으로 호송되었다. 강희제는 이들을 팔기의 鑲黃旗 만주에 편입시키고(오로스 니르) 청나라로 이주시켰다. 막심 레온티예프 신부는 베이징에 최초의 정교회 성당인 성 니콜라이 교회를 세웠다. 이로써 정교회 신앙은 시베리아를 통해 중국에 전파되었다.[2]

1715년 베이징에서 대수도원장 힐라리온에 의해 최초의 선교단이 결성되었다. 1727년 러시아와 청나라 사이에 맺어진 캬흐타 조약에서 이 선교단에 대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사바 블라디슬라비치의 압력을 받은 청나라 조정은 러시아인들이 베이징에 있는 대사관 구역에 정교회 경당을 세울 권리를 인정하였다.[2] 초기 선교단의 역할은 중국인들에게 복음을 전하기보다는 중국에 거주하는 러시아인들을 대상으로 사목하는 것이었으며, 이후에는 외교관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되었다.[2]

1684년부터 150년 동안 정교회의 교세는 크게 확장되지 않았다. 1860년 베이징에는 청나라로 귀화한 러시아인의 후예까지 포함해서 불과 200명의 신자가 있었다. 그러나 1858년 톈진 조약 이후 선교 사업이 다시 활기를 띄기 시작했다. 1850년대부터 1860년대에 걸쳐 선교단은 4권의 중국학 연구 서적을 저술했다. 이 분야에서 추바시인 출신 이아킨프 야코블레비치 비추린과 대수도사제 팔라디우스(카파로프) 등 두 명의 수도자가 두각을 드러냈다.[2]

19세기에는 신장에 러시아인 정교도가 이주하기 시작했고, 20세기에 들어 많은 교회가 설립되었다.

2. 3. 의화단 운동과 문화대혁명

의화단 운동(1898년~1900년)은 외국인 선교사들과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중국인들을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 많은 중국인 정교회 신자들이 이때 순교하였고, 의화단은 베이징에 있는 선교단의 도서관도 불태웠다.[26] 정교회 전례력에는 매년 6월 24일마다 1900년에 살해당한 미트로판 신부를 포함한 222명의 중국 정교회 신자들을 ‘중국의 거룩한 순교자들’로 기념하고 있다.[9] 의화단의 난에서 살해된 순교자는 2000년시성되었으며, 이콘에 그려졌다.

의화단 운동의 피해에도 불구하고, 1902년에는 중국에 32개의 정교회 교회가 있었고, 약 6,000명의 신자가 있었다. 교회는 학교와 고아원도 운영했다.

1949년까지 중국에는 106개의 정교회 성당이 있었으나, 문화 혁명 시기에 많은 성당이 파괴되었다. 1960년대 전반까지 러시아계 정교도의 대다수가 출국했고, 대부분의 교회가 폐쇄되었다. 문화대혁명 당시에는 많은 성직자들이 노동 개조를 강요받았고, 모든 정교회는 파괴되거나 다른 용도로 전용되었다. 중국 정교회의 활동은 종교 정책이 온건해지는 1980년대까지 사실상 중단되었다. 중소 갈등 또한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4. 중국 정교회의 자치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빅터 대주교에게 10년 안에 선교 사업을 중국 교회로 이양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한국 전쟁으로 자원이 고갈되고, 많은 러시아인들이 중국을 떠났다. 1957년,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중국 정교회에 공식적으로 자치권을 부여했지만, 선교 재산은 러시아와 중국 정부에 이양되었다.[2]

1917년 러시아 10월 혁명 이후, 중국 정교회는 소련의 감시를 받던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의 관계를 끊고 재외 러시아 정교회 관할로 들어갔다. 1944년,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의 관계 회복을 요청했고, 1945년 베이징 대교구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관할로 복귀했다. 그러나 중국 정교회는 베이징, 한커우, 하얼빈, 신장 등은 찬성하고, 상하이, 톈진 등은 반대하며 재외 러시아 정교회 소속으로 남는 등 분열되었다. 상하이의 이오안 대주교는 1948년 많은 백계 러시아인들과 함께 필리핀으로 건너가 이듬해 미국으로 정치 망명하였다.

1949년 당시 중국 정교회는 106개의 교회를 가지고 있었으며, 교구민은 대부분 러시아인 망명자였지만, 한족 신자도 약 1만 명에 달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종교계에서도 외세 배척이 진행되어 정교회도 대응해야 했다.

1960년대 전반까지 대부분의 러시아계 정교도들이 중국을 떠났고, 많은 교회가 폐쇄되었다.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많은 성직자들이 노동 개조를 강요받았고, 모든 정교회는 파괴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되었다. 중소 분쟁 또한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중국 정교회의 활동은 1980년대까지 사실상 중단되었다.

3. 현대 중국 정교회

1949년까지 중국에는 106개의 정교회 성당이 있었으나, 문화 혁명 시기에 많은 성당이 파괴되었다.[27]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불교, 도교, 이슬람교, 로마 가톨릭교회, 개신교 등 5개 종교만을 공식적으로 승인하고 있으며, 동방 정교회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러시아 등 다른 나라가 종교를 이용해 중국 내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러시아는 미국의 헤게모니에 대응하기 위해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중국 정교회를 소생시키기 위한 임시 조치를 취하기로 의견을 모았다.[27]

현재 중국 본토에서 신자들이 성찬예배에 참례할 수 있는 정교회 공동체는 베이징의 주중 러시아 대사관 성모 안식 성당, 상하이의 러시아 영사관, 하얼빈의 중보 성당 세 곳뿐이다. 하얼빈 중보 성당은 중국인들이 정규적으로 성찬예배에 참례할 수 있는 유일한 성당이다. 다른 지역에서는 정부의 묵인하에 사제가 없는 신도들이 중국 동북부(헤이룽장성 등)와 서부 중국(신장 위구르 자치구 – 우루무치, 구리자)에서 계속 모임을 갖고 있다. 광둥성과 상하이에도 정교회 교구가 있으며, 상하이에 있던 두 개의 정교회 교회는 현재 교회로 반환되는 과정에 있지만, 지금은 아무런 활동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홍콩에서는 비교적 자유롭게 정교회가 활동하고 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홍콩-동남아시아 정교회 수도 대교구 산하 성 루카 대성당과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산하 성 베드로와 성 바울로 성당이 있다. 대만에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에서 파견한 선교 교회가 있다.

2018년 3월, 중국 정교회는 러시아 신학교에서 새로운 사제를 양성하는 것을 정부로부터 승인받았다.[11]

에벤키족은 정교회 신앙을 자발적으로 받아들인 아시아 민족 중 하나이다. 러시아 연방과 중국에 거주하는 많은 에벤키족이 티베트 불교를 받아들였지만, 정교회 신자도 있다. 인근 헤이룽장성에도 약 3,000명의 에벤키족이 거주하고 있다.

3. 1. 교구 현황

현재 중국 정교회는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로부터 공식적인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지만, 2010년대부터 중국과 러시아의 노력으로 부흥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10] 2018년 3월에는 러시아 신학교에서 새로운 사제를 양성하는 것을 정부로부터 승인받았다.[11]

현재 중국 본토에는 정기적인 예배와 상주 성직자가 있는 공동체가 베이징, 상하이, 하얼빈 세 곳뿐이다. 베이징 공동체는 러시아 대사관 부지 내 성모 승천 교회에서, 상하이 공동체는 러시아 영사관에서 예배를 드린다. 하얼빈 중보 성당은 중국인들이 정기적으로 예배를 드릴 수 있는 유일한 곳이다. 다른 지역에서는 정부의 묵인하에 사제 없이 신도들이 모임을 갖고 있다. 광둥성과 상하이에도 정교회 교구가 있으며, 상하이에 있던 두 개의 정교회 교회는 현재 교회로 반환되는 과정에 있지만, 현재는 아무런 활동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1965년 시메온 두룬천(시메온 杜潤臣) 상하이 주교(主教)가 서거한 이후, 중국 정교회는 주교를 잃고 새로운 사제를 서품(按手)할 수 없는 상태가 계속되었다. 2000년에는 하얼빈 성모보호성당에서 일하던 그리골리 주세박 사제가 서거하였고, 2003년에는 베이징에서 교회 없이 성사(機密 (正教会))를 집전하던 알렉산드르 두리복(알렉산드르 杜立福) 장사제(長司祭)도 서거하였다. 2015년에는 미하일 왕춘생(왕천생, Михаил) 사제가 91세로 서거하였다.

21세기에 들어와 소수의 중국인들이 러시아의 신학교(神学校)에서 수학하고 있다. 2016년 5월 1일, 중국 정교회의 성직자로 60년 만에 서품된 알렉산드르 유스(알렉산드르 遇石) 부제(輔祭)가 하얼빈 성모보호성당에서 부활절(復活祭) 예배를 집전하였다.[20] 알렉산드르 신부는 2015년 10월에 사제로 서품되었다.[21]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에는 주교가 없으며, 성직자 부족도 심각하다.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 중국 정교회의 교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주교구 명칭설립연도담당 주교관리 중심교구 수수도원담당 관구
베이징(北京) 주교구1918없음;
2009년 이후 키릴 1세가 담당[22]
베이징(北京)없음2
(베이징(北京)·홍콩(香港))
하얼빈(哈尔滨) 주교구1922없음;하얼빈(哈尔滨)1없음
상하이(上海) 주교구1922없음;상하이(上海)미등록없음
톈진(天津) 주교구1922없음;톈진(天津)1없음
신장(新疆) 주교구1934알렉산드르(모길료프), 2010년 3월 5일~
아스타나·알마티 주교가 임시로 담당
(2002년 이후)[16]
우루무치(乌鲁木齐)1없음
내몽골 자치구의 교구2000드미트리(엘리세예프), 2016년 6월 3일~
치타 주교가 임시로 담당
(2000년 이후)[16]
후허하오터(呼和浩特)1없음


3. 1. 1. 주요 성당

중국 정교회 주요 성당
성당 이름위치설명비고
성모 수호 사원 (Храм Покрова Пресвятой Богородицыru)하얼빈1984년 10월 14일 중국 내에서 처음으로 재개된 정교회 교회이다.[23] 2000년 그리골리 주세박 신부가 선종하였으나,[20] 2016년 알렉산드르 유스(알렉산드르 遇石) 신부가 사제로서 활동을 시작하였다.[21]
하얼빈 성모보호성당
세례자 성 요한 예배당 (Храм в честь Рождества Предтечи Господня Иоаннаru)하얼빈 황산 러시아 교민 묘지 내하얼빈시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여 수리한 후 1995년에 개방되었다.[24]
내몽골 정교회 성 인노켄티 교회 (Храм Святителя Иннокентия Иркутского в Трёхречьеru)내몽골 자치구후룬부이르시알룬시1967년 문화대혁명 당시 파괴되었다. 1999년 중국 정부가 재건을 지원하였다. 2009년 중국 정교회의 미하일 왕춘생(王泉生) 신부 및 부석량(富錫亮) 낭독사가 교회의 성별식을 거행하였다.[25]
우루무치시 정교회 (Храм святителя Николаяru)우루무치시현재 성직자가 없기 때문에 현지 신도들로 구성된 민주 관리 위원회가 관리한다.
이닝시 정교회 (Храм святителя Николаяru)이닝시
지성생신녀취침교회 (Храм в честь Успения Пресвятой Богородицыru)러시아 대사관 내
성 니콜라이 교회상하이상하이시 민족 및 종교사무위원회가 외국인들에게 크리스마스와 부활절 정교회 종교 의식을 거행할 것을 허가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EGIONS.RU — новости Федерации {{!}} Митрополит Иларион о православии в Китае https://web.archive.[...] 2018-07-30
[2] 서적 A New History of Christianity in China Wiley-Blackwell
[3] 웹아카이브 Saint Thomas in China http://www.crc-inter[...] 2011-01-13
[4] 서적 Kong Wang Shan. L'apôtre Thomas et le prince Ying : l'évangélisation de la Chine de 64 à 87 Éditions du Jubilé
[5] 서적 The Acts of the Apostle Thomas Lulu.com
[6] 웹사이트 であいけい掲示板徹底ガイド https://web.archive.[...] Christianityinchina.org 2015-03-05
[7] 서적 Lost Churches on the Silk Road Lulu.com
[8] 웹사이트 Tombstone Carvings from AD 86: Did Christianity Reach China In the First Century? [Study carried out as part of the Chaire de recherche sur l'Eurasie (UCLy)] https://www.ucly.fr/[...]
[9] 웹사이트 Chinese Martyrs of the Boxer Rebellion https://web.archive.[...] Voiceseducation.org 2015-03-05
[10] 뉴스 Ordination of Russian Orthodox priest in China sign of warming ties amid U.S. tensions https://www.usatoday[...] 2017-02-25
[11] 웹사이트 Chinese Orthodox Receive State Approval to Prepare for Ministry in Russian Seminaries http://journeytoorth[...] 2018-03-26
[12] 문서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and other churches
[13] 문서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14] 문서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15] 문서 UOC-MP cut ties with the ROC 2022-05-27
[16] 웹사이트 北京主教瓦西里·姚福安 http://www.orthodox.[...] 2018-02-13
[17] 웹사이트 上海主教西麦翁·杜润臣 http://www.orthodox.[...] 2021-08-14
[18] 웹사이트 武汉市志-社会志 东正教 http://szfzg.wuhan.g[...] 1954
[19] 웹사이트 REGIONS.RU — новости Федерации | Митрополит Иларион о православии в Китае http://www.regions.r[...]
[20] 뉴스 中国正教会に60年ぶり叙任聖職者、復活祭祝う https://www.afpbb.co[...] 2018-02-13
[21] 웹사이트 В академическом храме совершена иерейская хиротония учащегося Факультета иностранных студентов (+Видео) https://spbda.ru/new[...]
[22] 웹사이트 Китай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http://www.patriarch[...]
[23] 법률 黒龍江省宗教事務管理条例 https://baike.baidu.[...] 2018-02-13
[24] 웹사이트 哈尔滨皇山俄侨墓地 http://www.orthodox.[...] 2018-02-13
[25] 웹사이트 圣英诺肯提乙堂 http://www.orthodox.[...] 2018-02-13
[26] 웹사이트 Chinese Martyrs of the Boxer Rebellion https://web.archive.[...] Voiceseducation.org 2015-03-05
[27] 뉴스 Ordination of Russian Orthodox priest in China sign of warming ties amid U.S. tensions http://www.usatoday.[...] 2017-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