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캘리포니아 포도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캘리포니아 포도주는 18세기에 스페인 선교사들에 의해 처음 도입된 이후, 현재 미국에서 가장 중요한 와인 생산 지역 중 하나이다. 캘리포니아의 다양한 기후와 지형은 다양한 포도 품종 재배를 가능하게 하며, 주요 품종으로는 카베르네 소비뇽, 샤르도네, 진판델 등이 있다. 캘리포니아 와인은 금주법 시대를 거치며 어려움을 겪었지만, 1970년대 파리의 심판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현재 노스 코스트, 센트럴 코스트, 사우스 코스트, 센트럴 밸리 등 4개의 주요 지역에서 생산된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포도 재배 및 와인 양조학 연구 기관으로, 캘리포니아 와인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포도주 - 그란홀름 대 힐드 사건
    그란홀름 대 힐드 사건은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미국 헌법의 통상 조항과 수정 제21조 간의 충돌을 다룬 사건으로, 주 외 와이너리의 직접 배송 제한 법률의 위헌 여부를 다투어 미시간주의 법률이 위헌이라는 판결을 내렸으며, 주 간 상업의 자유 옹호와 차별적 규제 철폐에 기여했다.
  • 캘리포니아 포도주 - 파리의 심판
    파리의 심판은 1976년 프랑스에서 열린 블라인드 와인 품평회에서 캘리포니아 와인이 프랑스 와인을 제치고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와인 업계에 큰 영향을 주었고, 특히 샤토 몬텔레나의 샤르도네와 스타스 리프 와인 셀러스의 카베르네 소비뇽이 각각 화이트 와인과 레드 와인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며 미국 와인의 품질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 캘리포니아 포도주 - 소노마군
    소노마군은 캘리포니아주 북서부에 위치하며 1850년에 설립된 군으로, 포모족, 코스트 미워크족, 와포족의 역사와 스페인, 러시아 등의 영향을 받았고 현재는 농업, 와인, 관광 산업이 중심이며 산타로사가 군청 소재지이다.
  • 캘리포니아주의 농업 - 몬터레이 잭
    몬터레이 잭은 캘리포니아 몬터레이 지역에서 유래한 반경성 치즈로, 18세기 멕시코인들이 처음 만들었으며 미국 사업가 데이비드 잭에 의해 상업화되었고, 숙성 정도에 따라 드라이 잭으로도 불리며, 순한 맛과 잘 녹는 특징 덕분에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캘리포니아주의 농업 - 선키스트 그로워스
    선키스트 그로워스는 캘리포니아와 애리조나의 감귤 재배자들이 1893년에 설립한 미국의 농업 협동조합으로, 현재는 세계 최대의 과일 채소 마케팅 협동조합 중 하나이며, "선키스트" 브랜드는 다양한 기업에 의해 라이선스되어 여러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캘리포니아 포도주
개요
나파 밸리 실버라도 트레일의 포도밭
나파 밸리 AVA의 포도밭
공식 명칭캘리포니아 주
기타 명칭해당 없음
종류미국 주 지정 구역
와인 생산 시작1769년
국가미국
하위 지역캘리포니아 AVA 목록
총 면적413,970 제곱킬로미터
재배 면적250,906 헥타르
포도원 수4,200개 이상
포도 재배자 수5,900명 이상
주요 포도 품종알바리뇨
알리칸테 부셰
알바렐량
바르베라
바스타르도
블랙 머스캣
카베르네 프랑
카베르네 소비뇽
카리냥
샤르보노
샤르도네
슈냉 블랑
생소
콜롬바르
콩코드
돌체토
도른펠더
플로라
프레이자
가메 보졸레
가메 누아
게뷔르츠트라미너
그르나슈
말벡
말바시아
마르산
메를로
무르베드르
뮈스카 카넬리
무스카트 오브 알렉산드리아
네비올로
나이아가라
오렌지 머스캣
팔로미노
프티 베르도
프티 시라
피노 블랑
피노 그리
피노 뫼니에
피노 누아
프리미티보
리슬링
루산
루비레드
루비 카베르네
산지오베세
소비뇽 블랑
세미용
소자오
심포니
시라
템프라니요
테롤데고
틴타 아마렐라
틴타 카오
틴타 마데이라
투리가 나시오날
트레비아노
트루소 그리
발디기에
베르데호
비오니에
진판델
역사
와인 생산 시작1769년
주요 사건파리의 심판
통계
와이너리 수4,200개 이상
연간 와인 생산량26억 8631만 리터 (2014년)

2. 역사

성 카를로스 스페인 선교지


「캘리포니아 와인의 아버지」 하라서티


캘리포니아는 18세기에 스페인 선교사들에 의해 처음으로 지중해 지역 원산의 와인 포도 품종인 ''비티스 비니페라''를 접하게 되었는데, 선교사들은 세운 각 선교지마다 포도밭을 조성했다.[10] 이 와인은 종교적 의식과 일상생활에 사용되었다. 1520년 에르난 코르테스신세계로 가져온 "흔한 흑포도" (당시 알려진 명칭)의 삽목으로 멕시코의 포도밭을 시작했다. 이 포도가 교회와 관련되면서 미션 포도로 알려지게 되었고, 20세기까지 캘리포니아에서 지배적인 포도 품종이 되었다.[10]

19세기 중반의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는 이 지역에 새로운 정착민들을 대거 유입시켜 인구가 증가하고 와인에 대한 지역 수요가 늘었다. 새롭게 성장하는 와인 산업은 소노마와 나파 카운티 주변의 북부 캘리포니아에서 자리를 잡았다. 캘리포니아 최초의 상업용 와이너리인 부에나 비스타 와이너리는 1857년 아고스톤 하라스지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소노마 (캘리포니아)에 위치해 있다. 존 패체트는 1859년 현재 나파 카운티 지역에 최초의 상업용 와이너리를 열었다.[14] 이 시기에 부에나 비스타 와이너리, 군들라흐 분슈, 잉글누크 와이너리, 마크햄 빈야드 및 슈람스버그 빈야드를 포함하여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와이너리들이 설립되었다. 중국 이민자들은 이 기간 동안 캘리포니아 와인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와이너리 건설, 포도밭 조성, 지하 저장고 파기, 포도 수확 등을 했다. 심지어 중국인 배척법이 통과되기 전에는 와인메이커로 활동하기도 했는데, 이 법은 "백인 노동력"을 장려하기 위해 중국 공동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1890년까지 대부분의 중국인 노동자들은 와인 산업에서 물러났다.[10]

19세기 후반, 필록세라 전염병이 발생하여 프랑스 등 유럽의 포도원이 황폐화되었다.[15][16] 캘리포니아의 포도원도 파괴되었으나, 저항성 있는 미국 대목을 이용한 접목 방법이 알려져 있어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다.[10] 20세기 초에는 약 300개의 포도 품종이 캘리포니아에서 재배되었고, 800여 개의 와이너리가 운영되었다. 1869년 대륙 횡단 철도가 개통되면서 미국 동부와의 경제 활동이 활발해졌고, 캘리포니아산 와인은 유럽과 동아시아, 호주에도 수출되었다.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으로 샌프란시스코의 와인 창고들이 파괴되고, 1억 1400만 리터의 와인이 유출되는 등 와인 산업은 큰 피해를 입었다.

금주법 시대의 불법 알코올 검사(오렌지 카운티)


1919년 제18차 수정안이 비준되면서 금주법 시대가 시작되었다. 많은 포도원이 뽑히고 저장고가 파괴되었지만, 일부는 식용 포도나 포도 주스 생산으로 전환하거나, 교회에 성찬용 와인을 공급하며 살아남았다. 가정에서는 연간 780리터 이하의 와인 생산이 허용되어 자가제 와인이 유행했고, 이를 위한 포도 주스나 농축 과즙, 양조법 등이 판매되었다.

1933년 수정 헌법 제21조 비준으로 금주법이 폐지되었지만, 140여 개의 와이너리만이 운영되고 있었다. 금주법으로 인해 와인 산업은 후퇴했고, 재건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캘리포니아 와인 산업은 금주령 이후 서서히 회복되었다. 그러나 로버트 몬다비, 헤이츠 와인 셀러, 데이비드 브루스 와이너리 등 새로운 와인 생산자들이 등장하여 캘리포니아 와인 생산에 르네상스 시대를 열었고, 포도 생산, 발효 및 병입 과정을 강화하는 기술을 도입했다.[8]

로버트 몬다비 와이너리


캘리포니아 와인의 품질이 향상되면서 이 지역은 국제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1976년, 영국의 와인 상인 스티븐 스퍼리어는 1976년 파리 와인 시음회를 조직했다.[8] 이 시음회에서 유명 프랑스 와인 감정가들이 블라인드 테이스팅으로 와인을 평가했는데, 캘리포니아 와인이 프랑스의 보르도 및 부르고뉴 지역 와인을 제치고 높은 평가를 받았다.[8] 1976년 행사는 신세계, 특히 캘리포니아의 와인 생산자들의 인지도와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9]

2017년 10월, 캘리포니아 주 각지에서 발생한 산불은 캘리포니아 와인의 양조장과 밭 등에도 피해를 입혔다.[46]

로버트 몬다비 와이너리

2. 1. 스페인 선교 시대 (18세기)



캘리포니아는 18세기에 스페인 선교사들에 의해 처음으로 지중해 지역 원산의 와인 포도 품종인 ''비티스 비니페라''를 접하게 되었는데, 선교사들은 세운 각 선교지마다 포도밭을 조성했다.[10] 이 와인은 종교적 의식과 일상생활에 사용되었다. 에르난 코르테스신세계로 가져온 "흔한 흑포도" (당시 알려진 명칭)의 삽목으로 멕시코의 포도밭을 시작했다. 이 포도가 교회와 관련되면서 미션 포도로 알려지게 되었고, 20세기까지 캘리포니아에서 지배적인 포도 품종이 되었다.[10]

1769년,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후니페로 세라 신부가 캘리포니아에 최초의 포도밭을 건설했다고 한다. 세라 신부는 우선 샌디에고에서 포도 재배와 와인 만들기를 했고, 1771년에는 로스앤젤레스 교외에 캘리포니아 최초의 와이너리를 건설했다. 1769년부터 1823년에 걸쳐 프란치스코회는 점차 북상하여 샌프란시스코 근교의 소노마까지 와인 만들기를 넓혔다.

2. 2. 골드러시와 와인 산업 발전 (19세기)

캘리포니아는 18세기에 스페인 선교사들에 의해 처음으로 지중해 지역 원산의 와인 포도 품종인 ''비티스 비니페라''를 접하게 되었고, 선교사들은 각 선교지마다 포도밭을 조성하여 종교적 의식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와인을 생산했다.[10] 1520년 에르난 코르테스신세계로 가져온 "흔한 흑포도" 삽목으로 멕시코의 포도밭이 시작되었고, 이 포도는 교회와 관련되면서 미션 포도로 불리며 20세기까지 캘리포니아에서 지배적인 포도 품종이 되었다.[10]

19세기 중반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는 이 지역에 새로운 정착민들을 대거 유입시켜 인구가 증가하고 와인에 대한 지역 수요가 늘었다. 새롭게 성장하는 와인 산업은 소노마와 나파 카운티 주변의 북부 캘리포니아에서 자리를 잡았다.[10] 1848년 이후의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로 인해 이 지역에는 이주민이 쇄도하여 인구와 지역 와인 수요가 증가했다. 소노마 카운티나 나파 카운티 등이 있는 북부 캘리포니아는 온통 포도밭이 펼쳐져 있었고、와인 생산자는 각지의 포도 재배자로부터 구입한 포도를 와인으로 양조하여 판매했다.

프랑스 이민자인 장 루이 비뉴는 미션 품종보다 우수한 품종을 유럽에서 가져왔다. 유럽에서 온 이민자 중에는 포도 재배와 와인 생산 경험자도 많았고, 골드 러시를 시작으로 캘리포니아 와인 산업이 번성했지만, 당시 와인은 대부분이 조악한 제품이었다. 1859년에는 나파 와인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사무엘 브래넌이 나파에 12만 5000그루의 묘목을 심었고, 이 마을의 온천에도 관심을 가진 브래넌은 캘리포니아 최초의 억만장자가 되었다.

1857년 "캘리포니아 와인의 아버지" 어거스틴 하라즈시에 의해 소노마 카운티에 설립된 부에나 비스타 와이너리는 캘리포니아에서 최초로 상업적인 와인 생산을 시작했다.[14] 헝가리 이민자인 하라즈시는 캘리포니아 포도 재배 위원회 의장이 되었고, 1861년에는 캘리포니아 주지사 존 다우니가 하라즈시에게 유럽 시찰을 명령했으며, 하라즈시는 머스캣 품종과 진판델 품종을 포함한 유럽 품종 300종 10만 그루를 캘리포니아로 들여왔다고 한다. 하라즈시는 포도 재배와 와인 양조에 관한 서적도 집필하여 많은 와인 생산자에게 영향을 주었다.

1859년 영국 이민자인 존 파체트가 나파 카운티에 최초의 상업적 와이너리를 설립했다. 파체트의 포도밭과 와인 셀러는 오늘날의 나파 시역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 시기에는 부에나 비스타 와이너리, 군들라흐 분슈, 잉글누크 와이너리, 마크햄 빈야드, 슈람스버그 빈야드 등 캘리포니아에서도 오래된 와이너리가 여러 곳 설립되었다.

와이너리 건설, 포도밭 식재 및 수확, 지하 셀러 굴착 등, 이 시기의 캘리포니아 와인 산업 발전에는 중국인 이민자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10] 양조 책임자(와인 메이커) 등 높은 지위에 오른 중국계 이민자도 있었지만, 1882년 중국인 배척법 제정으로 인해 1890년까지 중국인 이민자의 대부분이 와인 산업에서 배제되었다.[10] 캘리포니아에서는 미션 품종이 지배적인 품종이었지만, 19세기 후반에는 유럽 품종이 지배적이 되었다. 1880년대부터 1890년대에는 첫 번째 황금기를 구축했다.

1861년에는 남북 전쟁이 발발했지만, 이 무렵 캘리포니아산 와인이 동부에서도 판매되기 시작했다. 1869년에는 대륙 횡단 철도가 완전 개통되어 미국 동부와의 경제 활동이 활발해졌다. 뉴욕 상인에 의해 캘리포니아산 와인이 유럽으로 수출되어 유럽에서도 어느 정도의 평가를 받았다. 대륙 횡단 철도 완전 개통 이후 10년 동안 호주와 동아시아에도 캘리포니아산 와인이 수출되었다.

1873년에는 캘리포니아 전체에 300억 그루의 포도나무가 재배되었고, 3년 뒤인 1876년에는 430억 그루로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1870년대 중반에는 소노마 군이 캘리포니아 최대의 와인 생산지가 되었고, 소노마 군 뒤에는 로스앤젤레스 군이 따랐다. 1880년대에는 나파에 800헥타르, 로스앤젤레스에 4,000헥타르의 포도밭이 있었다.

1860년대에 프랑스 및 유럽의 다른 산지를 황폐하게 만들었던 필록세라는 1870년대 후반이 되자 캘리포니아에도 만연했다. 유럽에 비해 피해는 온건했고, 생산량이 격감했던 유럽을 향해 많은 캘리포니아산 와인이 수출되었다. 소설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1883년 단편 'Sliverado Squatters'에서 "보르도는 사라지고, 론은 아라비아 사막이 되었으며, 샤토네프는 죽었다.(중략) 풀과 나무의 신, 판뿐만 아니라 술의 신, 바쿠스도 죽었다"고 썼고, 세계 포도 재배의 미래는 "캘리포니아와 호주에서 결정될 것이다"라고 썼다.

먼저 만연했던 유럽에서는 필록세라로부터의 부흥을 시도하는 시행착오가 계속되었고, 필록세라에 내성이 있는 미국산 대목에 접목하는 부흥법이 발견되었다。 1880년대에 설립된 캘리포니아 주 포도 재배 학회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포도 재배학 연구소도 필록세라 박멸 연구를 추진했다. 이러한 대책으로 캘리포니아 주의 와인 산업은 곧 회복될 수 있었고, 새로운 포도 품종을 심는 기회를 이용했다. 1900년까지 주 내의 포도밭에 약 300품종이 심어졌고, 약 800개의 와이너리에 포도가 공급되었다.

북미 포도밭에서 가장 두려워하는 병해는 필록세라가 아니라 피어스병이며, 1880년대 초 발생 시에는 남부 캘리포니아의 포도밭을 거의 궤멸시켰다. 피어스병은 그 후에도 단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유효한 치료법은 발견되지 않았다.

1889년 파리 국제 박람회에 캘리포니아산 와인 생산자가 초대되어, 스틸 와인, 브랜디, 스파클링 와인의 각 부문에서 총 34개의 상을 수상했다. 특히 나파 밸리의 생산자는 금상 4개를 포함하여 20개의 상을 수상했다. 1893년의 대공황에서는 금융 업계가 대혼란에 빠져 와인 소비량 감소와 실업가의 와인 업계 철수로 이어졌다. 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서도 캘리포니아산 와인이 많은 상을 수상했다.

1906년 4월 18일에는 샌프란시스코 지진이 발생하여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와인 창고가 궤멸 상태가 되었다. 병이나 통에 심각한 파손 피해가 발생해 샌프란시스코에서만 1억 1400만 리터가 유출되었다. 금주법 이전에는 캘리포니아 주 전체에서 1억 리터 이상의 와인을 생산했다.

2. 3. 금주법 시대와 그 이후 (20세기)

19세기 후반, 필록세라 전염병이 발생하여 프랑스 등 유럽의 포도원이 황폐화되었다.[15][16] 캘리포니아의 포도원도 파괴되었으나, 저항성 있는 미국 대목을 이용한 접목 방법이 알려져 있어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다.[10] 20세기 초에는 약 300개의 포도 품종이 캘리포니아에서 재배되었고, 800여 개의 와이너리가 운영되었다. 1869년 대륙 횡단 철도가 개통되면서 미국 동부와의 경제 활동이 활발해졌고, 캘리포니아산 와인은 유럽과 동아시아, 호주에도 수출되었다.

1870년대 후반, 필록세라가 캘리포니아에도 만연했지만, 유럽에 비해 피해는 덜했고, 오히려 생산량이 감소한 유럽에 캘리포니아산 와인을 수출할 수 있었다. 1880년대 캘리포니아 주 포도 재배 학회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포도 재배학 연구소는 필록세라 박멸 연구를 추진했다. 1889년과 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서 캘리포니아산 와인은 여러 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으로 샌프란시스코의 와인 창고들이 파괴되고, 1억 1400만 리터의 와인이 유출되는 등 와인 산업은 큰 피해를 입었다.

1919년 제18차 수정안이 비준되면서 금주법 시대가 시작되었다. 많은 포도원이 뽑히고 저장고가 파괴되었지만, 일부는 식용 포도나 포도 주스 생산으로 전환하거나, 교회에 성찬용 와인을 공급하며 살아남았다. 가정에서는 연간 780리터 이하의 와인 생산이 허용되어 자가제 와인이 유행했고, 이를 위한 포도 주스나 농축 과즙, 양조법 등이 판매되었다.

1933년 수정 헌법 제21조 비준으로 금주법이 폐지되었지만, 140여 개의 와이너리만이 운영되고 있었다. 금주법으로 인해 와인 산업은 후퇴했고, 재건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금주법 폐지 후 와이너리 수는 다시 증가했지만, 품질 저하와 수요 예측 실패로 1944년에는 감소했다. 금주법 이전에는 스틸 와인 생산량이 주정 강화 와인보다 많았으나, 금주법 폐지 후에는 세금이 저렴한 주정 강화 와인이 유행했다.

1935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에 와인 양조 연구소가 설립되어 캘리포니아 와인 연구의 중심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데이비스교는 세계 최고의 포도 재배 및 와인 양조 연구 기관으로 인정받았고, 캘리포니아 와인 산업은 양에서 질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2. 4. 현대 캘리포니아 와인 산업 (21세기)

캘리포니아 와인 산업은 금주령 이후 서서히 회복되었다. 1960년대까지 이 산업은 주로 카리냥과 톰슨 시들리스 포도로 만든 단 와인과 저그 와인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로버트 몬다비, 헤이츠 와인 셀러, 데이비드 브루스 와이너리 등 새로운 와인 생산자들이 등장하여 캘리포니아 와인 생산에 르네상스 시대를 열었고, 포도 생산, 발효 및 병입 과정을 강화하는 기술을 도입했다.[8] 로버트 몬다비 와이너리는 스페인 선교의 와인 제조 역사를 반영하도록 설계되었다.



캘리포니아 와인의 품질이 향상되면서 이 지역은 국제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1976년, 영국의 와인 상인 스티븐 스퍼리어는 1976년 파리 와인 시음회를 조직했다.[8] 이 시음회에서 유명 프랑스 와인 감정가들이 블라인드 테이스팅으로 와인을 평가했는데, 캘리포니아 와인이 프랑스의 보르도 및 부르고뉴 지역 와인을 제치고 높은 평가를 받았다.[8] 타임지의 조지 테이버는 이 결과를 "파리의 심판"이라는 기사로 보도했다.[8] 샤토 몽텔레나의 짐 바렛은 1973년 샤르도네가 최고 등급을 받은 것에 대해 "시골뜨기 아이들이 만든 와인치고는 나쁘지 않군"이라고 말했다.[17] 1976년 행사는 신세계, 특히 캘리포니아의 와인 생산자들의 인지도와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9]

1970년경부터는 캘리포니아주에 네슬레(스위스)사 등 유럽 기업들과 산토리, 오츠카 식품등 일본 기업들이 자본 참여를 시작했다. 1978년에는 몬다비와 프랑스 보르도의 필립 드 로칠드 남작이 결속하여 오퍼스 원을 설립하여, 세계 와인 업계를 놀라게 했다.

1980년대에는 필록세라가 재발했지만, 1987년까지 1만 4000헥타르의 포도밭 재식재가 완료되어 이 지역에 더 적합한 품종이나 클론으로 다시 심는 것을 진행할 수 있었다.

2010년에는 16년 만에 처음으로 캘리포니아 와인 판매가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8] 곰버그, 프레드릭슨 & 어소시에이츠의 사장인 존 프레드릭슨은 와인 한 병당 3~6달러, 9~12달러 와인의 판매는 증가했지만, 20달러가 넘는 와인의 판매는 정체되었다고 말했다.[18] 캘리포니아 와인 수출량은 인상적인 성장을 보였고, 경쟁이 치열한 세계 시장에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와인 연구소 국제 마케팅 부사장인 호노레 컴포트는 "...캘리포니아 와인이 전 세계 와인 애호가들에게 최고의 선택으로 남을 것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언급했다.[19]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일시적으로 더 많은 와인을 구매하면서 판매와 출하가 왜곡되었다.[20] 2024년에는 최대 50만 톤의 포도가 수요 감소로 인해 수확되지 않았다.[21]

2017년 10월, 캘리포니아 주 각지에서 발생한 산불은 캘리포니아 와인의 양조장과 밭 등에도 피해를 입혔다.[46]

3. 기후와 지형

캘리포니아는 다양한 지형이 나타나는 곳으로, 지역별 기후 차이가 크다. 캘리포니아에서 생산되는 포도주 대부분은 태평양 연안과 센트럴 밸리 사이에서 생산된다.[10] 태평양 연안과 샌프란시스코 만, 몬터레이 만 등은 와인 지역에 냉기와 안개를 제공하여 기온과 일조량을 조절한다.[10] 소노마 및 나파 카운티처럼 으로 둘러싸인 지역은 냉각 효과가 적어 더 따뜻하다.[22]

캘리포니아 주의 지형


가뭄은 포도 생산에 악영향을 주지만, 캘리포니아 대부분 지역은 충분한 강수량을 확보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북부 지역은 연간 615-1,150mm, 남부 지역은 330-510mm의 강수량을 보인다.[22] 겨울은 온화하며, 봄철 서리 피해를 막기 위해 포도 농장주들은 스프링클러나 난로, 송풍기, 훈증기 등을 사용한다.[22] 캘리포니아의 와인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 또는 대륙성 건조 기후를 보인다.[23]

캘리포니아는 북아메리카 판과 태평양 판의 판 구조론의 영향으로 토양 유형과 지형이 매우 다양하다.[22] 이러한 다양성은 캘리포니아가 다양하고 독특한 미국 포도 재배 지역을 가지는 이유 중 하나이다.[22]

4. 주요 와인 생산 지역

캘리포니아 와인 지역의 일반적인 위치


캘리포니아에는 1,730km2가 넘는 포도밭이 있으며, 대부분 멘도치노 카운티에서 리버사이드 카운티 남서쪽 끝까지 1,100km가 넘는 지역에 걸쳐 있다. 147개의 미국 포도 재배 지역 (AVA)이 있으며, 잘 알려진 나파, 러시안 리버 밸리, 러더포드, 소노마 밸리 AVA를 포함한다. 센트럴 밸리는 새크라멘토 밸리에서 남쪽의 샌호아킨 밸리까지 480km에 걸쳐 있는 가장 큰 와인 지역이다. 이 지역은 캘리포니아 전체 와인 포도의 약 75%를 생산하며, 갈로(Gallo), Franzia, Bronco Wine Company와 같은 캘리포니아의 대량, 박스, 저그 와인 생산자가 많이 있다.[10]

캘리포니아는 종종 네 개의 주요 지역으로 나뉜다.[25]

  • '''노스 코스트''' – 샌프란시스코 베이 북쪽의 캘리포니아 노스 코스트 대부분을 포함한다. 넓은 노스 코스트 AVA가 이 지역 대부분을 덮고 있다. 주요 와인 지역으로는 나파 카운티와 소노마 카운티 및 그 안의 AVA가 있다. 멘도치노와 레이크 카운티도 이 지역에 속한다.

  • '''센트럴 코스트''' – 샌프란시스코 베이 주변 지역을 포함하여 역사적인 몬터레이, 샌 루이스 오비스포, 산타 바바라 카운티를 거쳐 남쪽으로 뻗어 있는 캘리포니아 센트럴 코스트 대부분을 포함한다. 광대한 센트럴 코스트 AVA가 이 지역을 포괄한다. 이 지역의 주요 와인 지역으로는 리버모어 밸리 AVA, 산타 클라라 밸리 AVA, 샌프란시스코 베이 AVA, 산타 크루즈 마운틴 AVA, 몬터레이 AVA, 파소 로블스 AVA, SLO 코스트 AVA, 산타 마리아 밸리 AVA, 산타 이네즈 밸리 AVA가 있다.

  • '''사우스 코스트''' – 로스앤젤레스 남쪽 해안 지역에서 멕시코 국경까지의 남부 캘리포니아 일부를 포함한다. 이 지역의 주요 와인 지역으로는 테메큘라 밸리 AVA, 안텔로프 밸리/레오나 밸리 AVA, 샌 파스쿠알 밸리 AVA, 라모나 밸리 AVA가 있다. 샌 루이스 레이 지역의 현지 와인 생산자들은 해당 지역에 특화된 포도 재배 지역을 설립하기 위한 제안 절차를 밟고 있다.[26]

  • '''센트럴 밸리''' – 캘리포니아 센트럴 밸리와 시에라 푸트힐스 AVA를 포함한다. 이 지역의 주요 와인 지역으로는 로디와 스쿼 밸리-미라마운트 AVA가 있다.

4. 1. 노스 코스트 (North Coast)

캘리포니아는 종종 네 개의 주요 지역으로 나뉘는데, 그 중 하나인 노스 코스트는 샌프란시스코 만 북쪽의 캘리포니아 노스 코스트 대부분을 포함한다.[25] 넓은 노스 코스트 AVA가 이 지역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주요 와인 지역으로는 나파 카운티와 소노마 카운티 및 그 안의 AVA가 있다.[25] 멘도치노와 레이크 카운티도 이 지역에 속한다.[25] 나파, 소노마, 멘도치노 각 군은 와인 컨트리라고 불리기도 한다.

잘 알려진 AVA로는 나파, 러시안 리버 밸리, 러더포드, 소노마 밸리 AVA가 있다.

4. 2. 센트럴 코스트 (Central Coast)

샌프란시스코 베이 주변 지역을 포함하여 역사적인 몬터레이, 샌 루이스 오비스포, 산타 바바라 카운티를 거쳐 남쪽으로 뻗어 있는 캘리포니아 센트럴 코스트 대부분을 포함한다. 광대한 센트럴 코스트 AVA가 이 지역을 포괄한다.[10] 이 지역의 주요 와인 지역으로는 리버모어 밸리 AVA, 산타 클라라 밸리 AVA, 샌프란시스코 베이 AVA, 산타 크루즈 마운틴 AVA, 몬터레이 AVA, 파소 로블스 AVA, SLO 코스트 AVA, 산타 마리아 밸리 AVA, 산타 이네즈 밸리 AVA가 있다.[10]

4. 3. 사우스 코스트 (South Coast)

캘리포니아 남부 해안 지역, 즉 로스앤젤레스 남쪽에서 멕시코 국경까지의 지역을 포함한다. 이 지역의 주요 와인 생산지로는 테메큘라 밸리 AVA, 안텔로프 밸리/레오나 밸리 AVA, 샌 파스쿠알 밸리 AVA, 라모나 밸리 AVA가 있다.[26] 샌 루이스 레이 지역의 와인 생산자들은 이 지역에 특화된 포도 재배 지역 설정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26]

4. 4. 센트럴 밸리 (Central Valley)

센트럴 밸리는 새크라멘토 밸리에서 샌호아킨 밸리까지 300km에 걸쳐 뻗어 있는 캘리포니아주 최대의 와인 산지이다.[10] 이 지역에서만 캘리포니아주 포도의 75%를 재배하고 있으며, 갈로, 프란지아(Franzia), 브론코 와인 컴퍼니(Bronco Wine Company) 등의 대형 생산자가 벌크 와인, 박스 와인, 저그 와인의 대부분을 생산하고 있다.[10] 주요 와인 지역으로는 로디와 스쿼 밸리-미라마운트 AVA가 있다.

5. 포도 품종과 와인 스타일

100종이 넘는 포도 품종이 캘리포니아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품종뿐만 아니라 교배종과 UC 데이비스 포도 재배 및 양조학과(UC Davis Department of Viticulture and Enology)에서 개발된 새로운 ''Vitis vinifera'' 품종도 포함된다.[10] 주요 7가지 포도 품종은 다음과 같다.[10]



캘리포니아 진판델


그 외 중요한 적포도주 품종으로는 바르베라, 카베르네 프랑, 까리냥, 그르나슈, 말벡, 무르베드르, 쁘띠 시라, 쁘띠 베르도, 산지오베제, 타나 등이 있다. 주요 백포도주 품종으로는 슈냉 블랑, 프렌치 콜롬바드, 게뷔르츠트라미너, 마르산, 무스카 카넬리, 피노 블랑, 피노 그리, 리슬링, 루산, 세미용, 트루소 그리, 비오니에 등이 있다.[27]

1980년대 후반까지 캘리포니아 와인 산업은 보르도 품종과 샤르도네가 지배했다. 와인 애호가들이 이 와인의 익숙함에 싫증을 느끼면서 판매량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론 레인저스(Rhône Rangers)와 "칼-이탈"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이탈리아 와인 제조업체 그룹은 시라, 비오니에, 산지오베제, 피노 그리지오와 같은 다양한 품종으로 만든 새로운 와인 스타일로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본니 둔 빈야드(Bonny Doon Vineyard)는 캘리포니아에서 이러한 포도 품종을 적극적으로 홍보한 최초의 와이너리 중 하나였다.[10] 다양한 와인용 포도 품종은 또한 다양한 와인을 장려한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스파클링, 디저트 및 강화 와인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알려진 와인 스타일로 만든 와인을 생산한다.[10] 21세기 초, 와인 제조업자들은 토착 포도 품종, 예를 들어 트루소 그리와 발디기에를 부활시키기 시작했다.[28]

1878년에 소노마에 심어진 것이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의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19세기 말에는 품질을 중시하는 와이너리의 주력 품종이 되었지만, 필록세라와 금주법의 영향으로 카베르네 포도밭은 거의 사라졌지만, 1960년대 이후에 다시 부활했다. 1961년에는 불과 200헥타르였지만, 1990년에는 13,300헥타르, 2008년에는 30,000헥타르가 되었다.

1961년 샤르도네 품종의 재배 면적은 불과 120헥타르였지만, 1970년대 이후 급속도로 인기를 얻어 1991년에는 프렌치 콜롬바르 품종을 제치고 백포도 품종 1위가 되었다.

1999년의 메를로 품종의 재배 면적은 19,300헥타르였으며, 정점인 2007년에는 20,200헥타르까지 확대되었지만, 영화 '사이드웨이'(2004년)의 개봉이 메를로 품종의 인기에 찬물을 끼얹어, 2008년에는 19,100헥타르로 감소했다. 1850년대에 도입된 진판델 품종은 성숙했을 때 당도가 높아, 저가 와인 용 품종으로 적합했다. 1980년대에는 분홍색 화이트 진판델이 유행했으며, 현재는 주정 강화 와인의 소재로도 사용되고 있다.

2004년 기준,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흑포도 품종은 카베르네 소비뇽이며, 가장 많이 재배되는 백포도 품종은 샤르도네이다. 메를로와 진판델은 카베르네 소비뇽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는 흑포도 품종이다.[50] 2004년에는 포도 재배 면적의 약 60%가 흑포도 품종, 약 40%가 백포도 품종이었으며, 이는 1999년보다 흑포도 품종이 4% 증가한 수치이다.[50]

캘리포니아주에서는 다음과 같은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 백포도 품종



; 흑포도 품종





캘리포니아주의 흑포도 품종
#품종2004년
재배 면적(ha)
지난 5년간의
면적 증감률
1카베르네 소비뇽30,300+19%
2메를로21,700+12%
3진판델20,600-2%
4피노 누아9,700+54%
5시라7,100+69%
6루비레드/Rubired영어4,500-15%
7바르베라3,400+31%
8그르나슈3,100-35%
9루비 카베르네/Ruby Cabernet영어2,700-23%
10쁘띠 시라/Petite Sirah영어2,200+69%
11카리냥1,800-42%
12카베르네 프랑1,400+8%
13산지오베제900-36%





캘리포니아주의 백포도 품종
#백포도 품종2004년
재배 면적(ha)
지난 5년간의
면적 증감률
1샤르도네39,000-6%
2콜롬바르12,000-34%
3소비뇽 블랑6,200+13%
4슈냉 블랑4,600-46%
5피노 그리2,900+480%
6머스캣 오브 알렉산드리아1,300+38%
7비오니에900+50%
8리슬링800±0%
9말바시아700+40%
10게뷔르츠트라미너600-14%
11세미용400-35%




5. 1. 주요 포도 품종

캘리포니아에서는 100종이 넘는 포도 품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품종뿐만 아니라 교배종과 UC 데이비스 포도 재배 및 양조학과(UC Davis Department of Viticulture and Enology)에서 개발된 새로운 ''Vitis vinifera'' 품종도 포함된다.[10] 주요 7가지 포도 품종은 카베르네 소비뇽, 샤르도네, 메를로, 피노 누아, 소비뇽 블랑, 시라, 진판델이다.[10]

1980년대 후반까지 캘리포니아 와인 산업은 보르도 품종과 샤르도네가 지배했다. 와인 애호가들이 이 와인의 익숙함에 싫증을 느끼면서 판매량이 감소하기 시작하자, 론 레인저스(Rhône Rangers)와 "칼-이탈"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이탈리아 와인 제조업체 그룹은 시라, 비오니에, 산지오베제, 피노 그리지오와 같은 다양한 품종으로 만든 새로운 와인 스타일로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본니 둔 빈야드(Bonny Doon Vineyard)는 캘리포니아에서 이러한 포도 품종을 적극적으로 홍보한 최초의 와이너리 중 하나였다.[10] 21세기 초, 와인 제조업자들은 토착 포도 품종, 예를 들어 트루소 그리와 발디기에를 부활시키기 시작했다.[28]

그 외 중요한 적포도주 품종으로는 바르베라, 카베르네 프랑, 까리냥, 그르나슈, 말벡, 무르베드르, 쁘띠 시라, 쁘띠 베르도, 산지오베제, 타나 등이 있다. 주요 백포도주 품종으로는 슈냉 블랑, 프렌치 콜롬바드, 게뷔르츠트라미너, 마르산, 무스카 카넬리, 피노 블랑, 피노 그리, 리슬링, 루산, 세미용, 트루소 그리, 비오니에 등이 있다.[27]

캘리포니아에서는 스파클링, 디저트 및 강화 와인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알려진 와인 스타일로 만든 와인을 생산한다.[10]

1878년에 소노마에 심어진 것이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의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19세기 말에는 품질을 중시하는 와이너리의 주력 품종이 되었지만, 필록세라와 금주법의 영향으로 카베르네 포도밭은 거의 사라졌지만, 1960년대 이후에 다시 부활했다. 1961년에는 불과 200헥타르였지만, 1990년에는 13,300헥타르, 2008년에는 30,000헥타르가 되었다.

1961년 샤르도네 품종의 재배 면적은 불과 120헥타르였지만, 1970년대 이후 급속도로 인기를 얻어 1991년에는 프렌치 콜롬바르 품종을 제치고 백포도 품종 1위가 되었다. 과거에는 오크통 사용이 유행했지만, 현재는 오크통을 사용하지 않는 샤르도네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1999년의 메를로 품종의 재배 면적은 19,300헥타르였으며, 정점인 2007년에는 20,200헥타르까지 확대되었지만, 영화 '사이드웨이'(2004년)의 개봉이 메를로 품종의 인기에 찬물을 끼얹어, 2008년에는 19,100헥타르로 감소했다. 1850년대에 도입된 진판델 품종은 성숙했을 때 당도가 높아, 저가 와인 용 품종으로 적합했다. 1980년대에는 분홍색 화이트 진판델이 유행했으며, 현재는 주정 강화 와인의 소재로도 사용되고 있다.

2004년 기준,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흑포도 품종은 카베르네 소비뇽이며, 가장 많이 재배되는 백포도 품종은 샤르도네이다. 메를로와 진판델은 카베르네 소비뇽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는 흑포도 품종이다.[50] 2004년에는 포도 재배 면적의 약 60%가 흑포도 품종, 약 40%가 백포도 품종이었으며, 이는 1999년보다 흑포도 품종이 4% 증가한 수치이다.[50]

캘리포니아주에서는 다음과 같은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 백포도 품종



; 흑포도 품종





캘리포니아주의 흑포도 품종
#품종2004년
재배 면적(ha)
지난 5년간의
면적 증감률
1카베르네 소비뇽30,300+19%
2메를로21,700+12%
3진판델20,600-2%
4피노 누아9,700+54%
5시라7,100+69%
6루비레드/Rubired영어4,500-15%
7바르베라3,400+31%
8그르나슈3,100-35%
9루비 카베르네/Ruby Cabernet영어2,700-23%
10쁘띠 시라/Petite Sirah영어2,200+69%
11카리냥1,800-42%
12카베르네 프랑1,400+8%
13산지오베제900-36%





캘리포니아주의 백포도 품종
#백포도 품종2004년
재배 면적(ha)
지난 5년간의
면적 증감률
1샤르도네39,000-6%
2콜롬바르12,000-34%
3소비뇽 블랑6,200+13%
4슈냉 블랑4,600-46%
5피노 그리2,900+480%
6머스캣 오브 알렉산드리아1,300+38%
7비오니에900+50%
8리슬링800±0%
9말바시아700+40%
10게뷔르츠트라미너600-14%
11세미용400-35%




5. 2. 와인 스타일

캘리포니아 와인 생산자들은 신세계 와인을 선호하며, 대부분 단순하고 과일 풍미가 지배적인 와인을 만든다.[10] 안정적으로 따뜻한 날씨 덕분에 많은 와이너리들이 매우 익은 과일을 사용하여 흙이나 미네랄 스타일보다는 과일 풍미가 더 강한 와인을 만들며, 13.5% 이상의 알코올 함량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10]

배럴 발효된 캘리포니아 샤르도네


캘리포니아 샤르도네는 젖산 발효와 오크 숙성을 통해 버터 향이 나고 풀 바디한 와인을 만드는 샤블리와는 스타일이 크게 다르다.[10]
캘리포니아 소비뇽 블랑
소비뇽 블랑은 루아르 밸리 또는 뉴질랜드 와인만큼 풀 향이 강하지 않으며 산도가 더 높다.[27] 로버트 몬다비(Robert Mondavi)가 처음으로 "퓨메 블랑(Fume blanc)" 스타일을 개척했으며, 다른 캘리포니아 와인 생산자들이 이를 채택했다.[27] 그러나 이 스타일은 엄밀히 말해 오크 와인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27]

파리의 심판에서 캘리포니아를 세계 와인 지도에 올린 카베르네 소비뇽은 오늘날에도 트레이드마크 스타일이며, 과일의 농축으로 인해 풍부하고 진한 와인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를로는 1990년대에 광범위한 인기를 얻으며 널리 재배되었으며, 여전히 미국에서 모든 단일 품종 와인 중 가장 많이 팔린다. 포도에 적합하지 않은 많은 지역에서 카베르네를 모델로 하려는 시도로 거칠고 개성이 없는 와인을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더 나은 지역에 심으면 부드럽고 농축된 스타일을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 캘리포니아 피노 누아는 일반적으로 부르고뉴 또는 오리건보다 더 강렬하고 과일 향이 나는 스타일을 띤다. 1998년에 카베르네에 추월당하기 전까지 진판델은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널리 재배된 적포도주 품종이었다. 화이트 진판델의 광범위한 인기 때문이기도 하다. 진판델은 높은 산도와 잼과 같은 풍미를 가진 강력하고 과일 향이 나는 와인이며, 화이트 진판델은 얇고 약간 단맛이 나는 블러시 와인이다. 진판델은 유럽 기원을 가지고 있지만, 독특한 미국식 스타일 포도로 여겨진다.[27]

도멘 카네로스(Domaine Carneros)에서 생산된 스파클링 와인


캘리포니아 스파클링 와인의 기원은 1880년대 소노마에서 코르벨 샴페인 셀러(Korbel Champagne Cellars)가 설립되면서 시작되었다.[29] 코르벨 형제는 리슬링, 샤슬라, 머스캐텔, 트라미너로 ''메토드 샴페노와즈''(méthode champenoise)에 따라 스파클링 와인을 만들었다.[29] 오늘날 대부분의 캘리포니아 스파클링 와인은 샴페인과 동일한 포도 품종인 샤르도네, 피노 누아 및 일부 피노 뫼니에로 만들어진다.[29] 일부 와이너리에서는 피노 블랑, 슈냉 블랑 및 프랑스산 콜롬바르를 사용하기도 한다.[29] 프리미엄 품질 생산자는 여전히 ''메토드 샴페노와즈''(또는 전통 방식)를 사용하지만, E&J 갈로 와이너리(E & J Gallo Winery)의 안드레 브랜드나 컨스텔레이션 브랜드(Constellation Brands)의 쿡스와 같은 저가 생산자는 샤르마 방식(Charmat method)을 사용한다.[29]

품질 좋은 스파클링 와인의 잠재력은 샴페인 하우스가 캘리포니아에 와이너리를 설립하도록 이끌었다.[29] 여기에는 모엣 & 샹동(Moët et Chandon)의 도멘 샹동(Domaine Chandon), 태탕저(Taittinger)의 도멘 카네로스, 루이 로드레(Louis Roederer)의 로드레르 에스테이트(Roederer Estate)가 있다.[29] 대부분 동일한 포도와 동일한 생산 기술로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캘리포니아 스파클링 와인은 샴페인을 모방하기보다는 고유한 스타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부분의 고급 샴페인을 구별하는 "비스킷"과 효모 향 대신에 프리미엄 캘리포니아 스파클링 와인은 지나치게 "과일향"이 나지 않으면서도 과일 풍미의 선명함을 보여준다. 이 와인은 섬세함과 우아함을 추구한다. 최적의 기후 조건은 대부분의 스파클링 와인 생산자가 매년 빈티지 와인을 만들 수 있게 하는 반면, 샴페인에서는 예외적인 해에만 이 일이 발생한다.[29]

1960년대의 와인 르네상스 이후, 캘리포니아의 디저트 와인 및 강화 와인의 품질이 극적으로 향상되었다.[29] 베린저 빈야드(Beringer Vineyards)는 소비뇽 블랑세미용으로 보트리티스(botrytized) 와인을 만든 최초의 와이너리 중 하나였다.[29] 그러나 소테른과 달리 베린저의 와인은 정기적으로 수확한 포도로 만들어졌으며, 실험실에서 생성된 ''보트리티스 시네리아'' 포자를 와이너리에서 투입했다.[29] 그 이후 캘리포니아 와인 생산자들은 앤더슨 밸리 AVA와 같은 곳에서 이 노블 로트가 포도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포도원을 발견했다.[29] 앤더슨 밸리(Anderson Valley)와 알렉산더 밸리 AVA(Alexander Valley AVA)는 리슬링으로 만든 늦 수확 와인으로도 명성을 얻었다.[29] 여러 프랑스 및 이탈리아 스타일의 머스캣 와인이 캘리포니아 전역에서 생산되며 강렬한 아로마와 균형 잡힌 산미로 유명하다. 캘리포니아의 포트 스타일 와인은 종종 투리가 나시오날, 틴타 카오 및 틴타 로리즈와 같은 전통적인 포르투갈 와인 포도로 만들어진다. 독특한 캘리포니아 스타일은 진판델과 쁘띠 시라로도 만들어진다.[29]

분홍색 화이트 진판델


캘리포니아에서는 스틸 와인 외에도 스파클링 와인, 디저트 와인, 주정 강화 와인 등 모든 종류의 와인을 생산한다.

미국이나 오스트레일리아 등 신세계에서는 유럽 산지명을 와인 명칭에 사용하여 유럽 산지의 좋은 이미지를 이용하는 와인을 제네릭 와인이라고 한다. 맛의 이미지로 구별하며, 사용하는 포도 품종이 유럽 산지와 같을 필요는 없다. 유럽 산지와의 사이에서는 호칭 사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바리에탈 와인과 대비된다.

; 적포도주

: 버건디 : 드라이하고 신선한 적포도주. 부르고뉴의 영어식 발음.

: 클라레 : 보르도 타입의 적포도주.

: 키안티: 이탈리아 타입의 적포도주.

; 백포도주

: 라인 : 달콤하고 과일향이 풍부한 독일 타입의 백포도주.

: 모젤 : 산미가 강하고 신선한 백포도주.

: 호크 : 독일 타입의 백포도주.

: 샤블리 : 드라이한 백포도주.

: 소테른 : 달콤한 백포도주.

; 스파클링 와인

: 샴페인 : 병내 또는 탱크 내에서 2차 발효를 거친 스파클링 와인.

; 주정 강화 와인

: 셰리 : 스페인의 셰리 타입의 달콤한 맛부터 드라이한 맛까지 다양한 주정 강화 와인. 캘리포니아 주에서 가장 중요한 주정 강화 와인이다. 센트럴 밸리에서 팔로미노종이나 톰슨 시드리스종을 사용하여 생산하는 경우가 많다. 진짜 셰리와 마찬가지로 플로르라고 불리는 효모막을 발생시켜 솔레라 방식으로 만드는 방법 외에도, 진짜 셰리처럼 특유의 향을 갖는다.

: 포트 : 포르투갈의 포트 타입의 달콤한 주정 강화 와인. 포트 와인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생산된다.

: 토카이 : 머스캣 계열의 포도로 만들어지는 달콤한 주정 강화 와인. 헝가리의 토카이 와인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생산된다.

: 마데이라 : 포르투갈의 마데이라 타입의 주정 강화 와인.

: 마르살라 : 이탈리아의 마르살라 타입의 주정 강화 와인.

: 말라가 : 스페인의 말라가 타입의 주정 강화 와인.

포도 품종명을 와인 명칭에 사용한 와인. 제네릭 와인과 대비된다. 1983년까지는 병의 51% 이상, 1983년부터는 병의 75% 이상 사용된 포도 품종을 라벨에 표시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 주 와인법에 따른 라벨 표시
산지명 표시주명캘리포니아 주 내에서 수확된 포도를 100% 사용한 경우에 표시할 수 있다.
군명해당 군 내에서 수확된 포도를 75% 이상 사용한 경우에 표시할 수 있다.
AVA명해당 AVA(American Viticultural Area) 내에서 수확된 포도를 85% 이상 사용한 경우에 표시할 수 있다.
밭명동일 밭에서 수확된 포도를 95% 이상 사용한 경우에 표시할 수 있다.
품종명 표시해당 품종을 75% 이상 사용한 경우에 표시할 수 있다.
수확년도 표시해당 연도에 수확된 포도를 95% 이상 사용한 경우에 표시할 수 있다.


6. 연구 기관



세계적으로 유명한 포도 재배·와인 양조학 연구 기관으로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가 있으며, 세계 와인 업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 기관으로 여겨진다. 데이비스교의 포도 재배·와인 양조학과는 1880년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 설치된 연구소를 전신으로 하며, 1935년에 나파 카운티에 가까운 데이비스교로 이전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데이비스교의 존 L. 잉그라함(John L. Ingraham) 교수가 유산균 추출에 성공했고, 1959년에는 R. 브랜포드 웹이 세계 최초의 인공적인 말로락틱 발효 제어에 성공했다.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프레즈노도 포도 재배·와인 양조학과를 가지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의 와인 메이커(양조 책임자)의 대부분은 데이비스교·프레즈노교 출신이다[47]. 미국의 다른 지역에서는, 동해안의 뉴욕에 있는 코넬 대학교와 서해안의 워싱턴주에 있는 워싱턴 주립 대학교에도, 이름난 포도 재배·와인 양조학과가 존재한다[47].

구세계의 유럽에서는 포도 재배에 토양을 중시하는 사고방식이 일반적이지만, 캘리포니아주 등 신세계에서는 토양보다 기후가 중시된다. 데이비스교의 메이너드 아메린 교수와 앨버트 J. 윙클러 교수는 기후(적산 온도)를 기반으로 한 와인 산지 구분법 「윙클러 스케일/Winkler scale영어」을 개발했고, 그레고리 존스 교수가 캘리포니아주 이외의 산지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개정했다. 이 구분법에서는 4월 1일부터 10월 1일까지의 기간에 대해, 섭씨 10도(화씨 50도)를 초과하는 온도를 적산한 것이며, 그 산지에 적합한 포도 품종과 와인의 스타일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다. 존스에 의한 개정판은 특정 품종이 특정 지역에서 성숙하는지의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윙클러 스케일(포도 재배를 위한 기후 분류법)[48]
적산 온도구분해당 지역적성 포도 품종
캘리포니아주유럽
-1,499도포도 재배에는 너무 추운 지역
1,501-2,000도제Ia 지구
2,001-2,500도제Ib 지구부르고뉴
샴페인
독일
샤르도네, 피노 누아르, 게뷔르츠트라미너, 리슬링
2,501-3,000도제II 지구나파 밸리(일부)
소노마 카운티(일부)
보르도
이탈리아 북부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소비뇽 블랑
3,001-3,500도제III 지구나파 밸리
소노마 카운티

이탈리아 중부
진판델, 바르베라, 가메
3,501-4,000도제IV 지구사우스 코스트
센트럴 밸리
프랑스 남단부
스페인
말바시아, 톰슨 시들리스
4,001-5,000도제V 지구센트럴 밸리
(일부)
이탈리아 남부
그리스
북아프리카
톰슨 시들리스, 다른 테이블 와인
5,001도-포도 재배에는 너무 더운 지역


7. 대중문화 속 캘리포니아 와인

캘리포니아 와인은 미국 시장에서 중요성과 영향력이 커서 다양한 문화 작품에서 자주 언급되어 왔다.[30][31]


  • 존 스타인벡의 1939년 소설이자 이를 각색한 1940년 영화인 ''분노의 포도''는 대공황의 어려움을 묘사하며, 캘리포니아를 배경으로 이 지역의 포도밭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고 있다.[36]
  • ''사이드웨이''는 캘리포니아 와인 산지를 조명했을 뿐만 아니라, 피노 누아에 대한 대중의 취향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32][33]
  • ''보틀 쇼크''는 1970년대 나파밸리 와인 산업의 부상을 묘사하며, 캘리포니아 샤토 몬텔레나가 1976년 파리의 심판에서 거둔 역사적인 승리에 초점을 맞춰, 이 지역을 주요 와인 생산지로 자리매김했다.[34][35]
  • 롤링 스톤스의 "스위트 버지니아"는 1972년 앨범 ''메인 스트리트의 망명''에 수록된 곡으로, 믹 재거키스 리처즈가 캘리포니아의 와인 생산에 대한 감사를 표현하고 있다.[37]
  • 이글스의 "호텔 캘리포니아"는 1976년에 발매된 곡으로, 캘리포니아의 사치스럽고 쾌락적인 분위기를 상징하는 "얼음 위 핑크 샴페인"을 언급하며, 이는 캘리포니아의 와인 문화와 연관되어 있다.[38]

로버트 파커


『와인 스펙테이터』지 등의 와인 관련 출판물은 캘리포니아 와인의 품질 기준을 확립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캘리포니아 와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와인 평론가는 『와인 스펙테이터』지의 제임스 로브와 로버트 파커이며, 두 사람의 점수가 빈티지 평가를 좌우한다고 여겨진다.

참조

[1] 웹사이트 California: Appellation Profile http://wine.appellat[...] 2007
[2] 웹사이트 Established American Viticultural Areas https://www.ttb.gov/[...] Alcohol and Tobacco, Tax and Trade Bureau, Treasury 2024-02-23
[3] 웹사이트 Statistics https://discovercali[...]
[4] 서적 The Judgment of Paris: California vs France and the Historic 1976 Paris Tasting That Revolutionized Wine https://archive.org/[...] Scribner
[5] 웹사이트 The Mission Grape Played a Major Role in California Wine Viticultural History https://www.wine-blo[...] 2011-03-17
[6] 학술지 A New Deal for Wine https://www.cambridg[...] 2024
[7] 문서 Taber (2005)
[8] 문서 Taber (2005)
[9] 뉴스 The Day California Wines Came of Age http://www.businessw[...] 2006-07-19
[10] 서적 The Wine Bible https://archive.org/[...] Workman Publishing
[11] 서적 Sotheby's Wine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Dorling Kindersley
[12] 웹사이트 Statistics - California Wine Profile 2021 https://discovercali[...]
[13] 웹사이트 A Califórnia é o novo paraíso dos vinhos https://exame.com/ca[...] 2024-12-16
[14] 뉴스 John Patchett: Introducing one of Napa's pioneers https://napavalleyre[...] Lee Enterprises, Inc. 2011-09-30
[15] 웹사이트 A região da Europa que se tornou o paraíso das vinhas velhas https://veja.abril.c[...] 2024-12-17
[16] 서적 The Great Wine Blight https://books.google[...] Dent 1972
[17] 잡지 Modern Living: Judgment of Paris https://content.time[...] 1976-06-07
[18] 웹사이트 Why California wines aren't selling http://www.sfgate.co[...] 2010-01-29
[19] 웹사이트 California Wine Exports Resilient in Global Markets, Led by Strong Growth in Mexico, Key Asian Markets and the EU https://wineinstitut[...] 2023-03-21
[20] 뉴스 Grape Growers Desperately Need You to Drink More Wine as They Grapple With a Glut of Uncontracted Grapes https://www.agweb.co[...] 2024-08-14
[21] 웹사이트 Growers consider removing vineyards as wine consumption declines https://abc30.com/po[...] 2024-10-15
[2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Wine atlas: wines and wine regions of the world Pavilion 2007
[24] 뉴스 Water shortages force a reckoning in Calif. wine country https://www.eenews.n[...] Environment & Energy Publishing, LLC 2019-07-29
[25] 서적 Sotheby's Wine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Dorling Kindersley
[26] 학술지 Proposed Establishment of the San Luis Rey Viticultural Area https://www.govinfo.[...] Alcohol and Tobacco Tax and Trade Bureau, Treasury 2023-08-23
[27] 문서 MacNeil (2000)
[28] 뉴스 California wine gets back to its roots http://features.blog[...] 2013-07-27
[29] 문서 MacNeil (2000)
[30] 웹사이트 The Grapes of Wrath https://www.britanni[...] 2024-12-18
[31] 웹사이트 John Steinbeck: The Grapes of Wrath https://www.macrober[...] 2024-12-18
[32] 웹사이트 Pop Culture’s Influence on Wine Regions - Wiens Cellars https://www.wienscel[...] 2024-12-18
[33] 웹사이트 'The Sideways Effect': How A Wine-Obsessed Film Reshaped The Industry https://www.npr.org/[...] 2024-12-18
[34] 웹사이트 Bottle Shock: Fact vs. Fiction https://www.napavall[...] 2024-12-18
[35] 웹사이트 O Julgamento de Paris – A Vida Parece Um Filme https://www.publishn[...] 2024-12-18
[36] 웹사이트 Reflection: Vintage Wine Of ‘The Grapes Of Wrath’ Remains Fresh And Piquant https://www.stlpr.or[...] 2014-04-01
[37] 웹사이트 Certain Songs #2067: The Rolling Stones - 'Sweet Virginia' https://medialoper.c[...] 2021-03-25
[38]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Hotel California' https://www.udiscove[...] 2024-05-05
[39] 웹사이트 California: Appellation Description http://wine.appellat[...] Appellation America 2007-11-16
[40] 웹사이트 Number of California Wineries https://www.wineinst[...] Wine Institute 2015-07-20
[41] 웹사이트 ゴールデン・ステートへようこそ http://www.calwinej.[...] Cal Wine
[42] 웹사이트 California Winegrape Acreage Historical Totals https://www.wineinst[...] Wine Institute 2015-07-21
[43] 웹사이트 US / California Wine Production https://www.wineinst[...] Wine Institute 2015-08-26
[44] 웹사이트 カリフォルニアワインを極める https://www.asahibee[...] Asahi Wine.com
[45] 웹사이트 Why California wines aren't selling http://www.sfgate.co[...] 2010-01-29
[46] 뉴스 沸騰するワイン流れる、火災被害の醸造所・米加州 https://www.cnn.co.j[...] CNN 2017-10-14
[47] 웹사이트 Wine School Wars / Two of the best enology programs in the country are right here, but which makes a better winemaker, Davis or Fresno? http://www.sfgate.co[...] SF Gate 2004-12-05
[48] 웹사이트 UC Davis Heat Summation Scale http://www.calwineri[...] Calwineries
[49] 웹사이트 California wine gets back to its roots http://features.blog[...] Fortune 2013-07-24
[50] 웹사이트 カリフォルニアの葡萄品種 http://www.calwinej.[...] California Wines
[51] 웹사이트 アペレーションのコンセプト http://www.calwinej.[...] California Wines
[52] 웹사이트 映画『ボトル・ドリーム』について その2 http://www.ridgewine[...] Ridge Vineyards
[53] 서적 Sotheby's Wine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Dorling Kindersley
[54]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