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큰낫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낫은 농업 도구로, 기원전 5000년경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낫은 곡물 수확, 건초 베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16세기에는 작물 수확에 낫을 대체하며 널리 퍼졌다. 낫은 구조적으로 자루와 날로 구성되며, 풀 베기 작업에 사용된다. 낫질은 낫 날의 절삭력을 유지하기 위해 피닝과 연마 과정을 거친다. 낫은 저승사자를 연상시키는 상징으로도 사용되며, 문화적, 민속적 의미를 지닌다. 또한, 전투용으로 개조되어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기구 - 써레
    써레는 파종 전 토양 개선, 잡초 제거, 토양 통기성 향상 등을 위해 사용되는 농기구이며, 다양한 종류가 있고 고대부터 사용되었으며, 한국에서는 모내기 전 논을 고르는 데 사용되어 왔다.
  • 농기구 - 방아
    방아는 가축의 힘을 이용하여 곡물을 빻거나 찧는 도구로, 디딜방아, 물레방아, 연자방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과거 농업 생산력 향상에 기여했으나 현재는 전통 농경 문화를 보여주는 유산으로 보존 및 활용되고 있다.
큰낫
도구 정보
종류농업 도구
용도곡식, 풀, 작물 수확
명칭
영어Scythe (사이즈)
일본어大鎌 (오오가마)
한국어큰 낫
구조 및 형태
구성 요소날 (Toe, Chine, Beard, Heel)
탕 (Tang)
링 (Ring)
자루 (Snath 또는 Snaith)
손잡이 (Grips)
크기 (전체 길이)약 170 cm
날 길이60 ~ 90 cm
역사
어원고대 영어 "siðe"에서 유래
인도유럽어족 어근 "*sek-", "자르다" 의미에서 파생
사용법
관련 도서The Scything Handbook

2. 역사

신석기 시대의 낫을 묘사한 암각화, 노르웨이


독일 농부가 낫을 들고 있는 모습, 서기 850년


벨기에 케르코베-코우터의 메로빙거 유적에서 발견된 초기 중세 낫 날 (수집 번호: RAMS00393)


낫은 기원전 5000년 경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정착지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농업 발달과 함께 널리 퍼졌다. 처음에는 주로 건초를 베는 데 사용되었으나, 16세기에는 작물 수확에 을 대체했는데, 이는 낫이 더 나은 인간 공학적이고 결과적으로 더 효율적이었기 때문이다. 1800년경에는 곡물을 벨 때 표준 낫에 때때로 '곡물 받침대'가 추가되었다. 받침대는 낫 날 위쪽에 가벼운 나무 손가락을 더한 것으로, 곡물 줄기를 정렬하고 머리를 함께 유지하여 수집과 탈곡을 더 쉽게 만들었다. 선진국에서는 낫이 동력 잔디 깎는 기계와 콤바인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낫은 기계가 도입된 후에도 오랫동안 흔히 사용되었는데, 말이나 트랙터가 끄는 측면 장착형 핑거 바 깎는 기계는 자기 앞에서 베지 못했고, 기계 깎는 기계가 시작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첫 번째 낫질을 하여 초원을 '열기' 위해 여전히 낫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Sir William Smith의 ''그리스 로마 고대 사전''은 라틴어로 낫을 뜻하는 ''falx foenaria''가 낫을 뜻하는 ''falx messoria''와 달리 고대 로마인들이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가이아—그리스 여신이자 티탄의 어머니—는 가장 강한 금속으로 만든 낫을 그녀의 막내 아들 크로노스에게 주었는데, 그는 또한 티탄 중 막내이자 수확의 신이며, 남편 우라노스가 맏아들들을 고문한 것에 대한 복수를 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저승사자는 종종 낫을 들거나 휘두르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Jack Herer와 ''Flesh of The Gods'' (Emboden, W. A. Jr., Praeger Press, New York, 1974)에 따르면, 고대 스키타이인들은 삼을 재배하여 낫으로 간주될 손낫으로 수확했다.

영국 셰필드에 있는 애비데일 산업 햄릿은 18세기 말부터 1930년대까지 운영되었던 낫 제작 공장의 박물관이다.[11] 이곳은 북부 더비셔의 이전 낫 제작 지구의 일부였으며, 에킹턴까지 확장되었다.[12] 다른 영국 낫 제작 지구로는 벨브로톤 주변이 있다.[13]

독일 르네상스 시대의 낫 검, 그리스와 로마의 하르페, 이집트의 코페쉬는 무기 또는 권위의 상징으로 개조된 낫 또는 낫이었다. 농업용 낫을 빌과 유사하게 자루에 날을 평행하게 다시 부착하여 전쟁 낫으로 개조하는 임시 변환 또한 역사적으로 무기로 사용되었다.

2. 1. 고대



낫은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정착지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농업 발달과 함께 널리 퍼졌다.

처음에는 주로 건초를 베는 데 사용되었으나, 16세기에는 작물 수확에 을 대체했는데, 낫이 더 나은 인간 공학적이고 결과적으로 더 효율적이었기 때문이다. 1800년경에는 곡물을 벨 때 표준 낫에 때때로 '곡물 받침대'가 추가되었다. 받침대는 낫 날 위쪽에 가벼운 나무 손가락을 더한 것으로, 곡물 줄기를 정렬하고 머리를 함께 유지하여 수집과 탈곡을 더 쉽게 만들었다. 선진국에서는 낫이 동력 잔디 깎는 기계와 콤바인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낫은 기계가 도입된 후에도 오랫동안 흔히 사용되었는데, 말이나 트랙터가 끄는 측면 장착형 핑거 바 깎는 기계는 자기 앞에서 베지 못했고, 기계 깎는 기계가 시작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첫 번째 낫질을 하여 초원을 '열기' 위해 여전히 낫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Sir William Smith의 ''그리스 로마 고대 사전''은 라틴어로 낫을 뜻하는 ''falx foenaria''가 낫을 뜻하는 ''falx messoria''와 달리 고대 로마인들이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가이아—그리스 여신이자 티탄의 어머니—는 가장 강한 금속으로 만든 낫을 그녀의 막내 아들 크로노스에게 주었는데, 그는 또한 티탄 중 막내이자 수확의 신이며, 남편 우라노스가 맏아들들을 고문한 것에 대한 복수를 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저승사자는 종종 낫을 들거나 휘두르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Jack Herer와 ''Flesh of The Gods'' (Emboden, W. A. Jr., Praeger Press, New York, 1974)에 따르면, 고대 스키타이인들은 삼을 재배하여 낫으로 간주될 손낫으로 수확했다.

영국 셰필드에 있는 애비데일 산업 햄릿은 18세기 말부터 1930년대까지 운영되었던 낫 제작 공장의 박물관이다.[11] 이곳은 북부 더비셔의 이전 낫 제작 지구의 일부였으며, 에킹턴까지 확장되었다.[12] 다른 영국 낫 제작 지구로는 벨브로톤 주변이 있다.[13]

독일 르네상스 시대의 낫 검, 그리스와 로마의 하르페, 이집트의 코페쉬는 무기 또는 권위의 상징으로 개조된 낫 또는 낫이었다.

2. 2. 중세



낫은 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정착지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농업 발달과 함께 널리 퍼졌다. 처음에는 주로 건초를 베는 데 사용되었으나, 16세기에는 작물 수확에 을 대체했는데, 낫이 더 나은 인간 공학적이고 결과적으로 더 효율적이었기 때문이다. 1800년경에는 곡물을 벨 때 표준 낫에 때때로 '곡물 받침대'가 추가되었다. 받침대는 낫 날 위쪽에 가벼운 나무 손가락을 더한 것으로, 곡물 줄기를 정렬하고 머리를 함께 유지하여 수집과 탈곡을 더 쉽게 만들었다. 선진국에서는 낫이 동력 잔디 깎는 기계와 콤바인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낫은 기계가 도입된 후에도 오랫동안 흔히 사용되었는데, 말이나 트랙터가 끄는 측면 장착형 핑거 바 깎는 기계는 자기 앞에서 베지 못했고, 기계 깎는 기계가 시작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첫 번째 낫질을 하여 초원을 '열기' 위해 여전히 낫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Sir William Smith의 ''그리스 로마 고대 사전''은 라틴어로 낫을 뜻하는 ''falx foenaria''가 낫을 뜻하는 ''falx messoria''와 달리 고대 로마인들이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가이아—그리스 여신이자 티탄의 어머니—는 가장 강한 금속으로 만든 낫을 그녀의 막내 아들 크로노스에게 주었는데, 그는 또한 티탄 중 막내이자 수확의 신이며, 남편 우라노스가 맏아들들을 고문한 것에 대한 복수를 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저승사자는 종종 낫을 들거나 휘두르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영국 셰필드에 있는 애비데일 산업 햄릿은 18세기 말부터 1930년대까지 운영되었던 낫 제작 공장의 박물관이다.[11] 이곳은 북부 더비셔의 이전 낫 제작 지구의 일부였으며, 에킹턴까지 확장되었다.[12] 다른 영국 낫 제작 지구로는 벨브로톤 주변이 있다.[13]

독일 르네상스 시대의 낫 검, 그리스와 로마의 하르페, 이집트의 코페쉬는 무기 또는 권위의 상징으로 개조된 낫 또는 낫이었다. 농업용 낫을 빌과 유사하게 자루에 날을 평행하게 다시 부착하여 전쟁 낫으로 개조하는 임시 변환 또한 역사적으로 무기로 사용되었다.

2. 3. 근대



낫은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정착지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농업 발달과 함께 널리 퍼졌다. 처음에는 건초를 베는 데 사용되었으나, 16세기에는 작물 수확에 을 대체했는데, 낫이 더 나은 인간 공학적이고 결과적으로 더 효율적이었기 때문이다. 1800년경에는 곡물을 벨 때 표준 낫에 때때로 '곡물 받침대'가 추가되었다. 받침대는 낫 날 위쪽에 가벼운 나무 손가락을 더한 것으로, 곡물 줄기를 정렬하고 머리를 함께 유지하여 수집과 탈곡을 더 쉽게 만들었다. 선진국에서는 낫이 동력 잔디 깎는 기계와 콤바인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기계가 도입된 후에도 낫은 오랫동안 흔히 사용되었는데, 말이나 트랙터가 끄는 측면 장착형 핑거 바 깎는 기계는 자기 앞에서 베지 못했고, 기계 깎는 기계가 시작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첫 번째 낫질을 하여 초원을 '열기' 위해 여전히 낫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Sir William Smith의 ''그리스 로마 고대 사전''은 라틴어로 낫을 뜻하는 ''falx foenaria''가 낫을 뜻하는 ''falx messoria''와 달리 고대 로마인들이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가이아—그리스 여신이자 티탄의 어머니—는 가장 강한 금속으로 만든 낫을 그녀의 막내 아들 크로노스에게 주었는데, 그는 또한 티탄 중 막내이자 수확의 신이며, 남편 우라노스가 맏아들들을 고문한 것에 대한 복수를 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저승사자는 종종 낫을 들거나 휘두르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Jack Herer와 ''Flesh of The Gods'' (Emboden, W. A. Jr., Praeger Press, New York, 1974)에 따르면, 고대 스키타이인들은 삼을 재배하여 낫으로 간주될 손낫으로 수확했다.

영국 셰필드에 있는 애비데일 산업 햄릿은 18세기 말부터 1930년대까지 운영되었던 낫 제작 공장의 박물관이다.[11] 이곳은 북부 더비셔의 이전 낫 제작 지구의 일부였으며, 에킹턴까지 확장되었다.[12] 다른 영국 낫 제작 지구로는 벨브로톤 주변이 있다.[13]

독일 르네상스 시대의 낫 검, 그리스와 로마의 하르페, 이집트의 코페쉬는 무기 또는 권위의 상징으로 개조된 낫 또는 낫이었다. 농업용 낫을 빌과 유사하게 자루에 날을 평행하게 다시 부착하여 전쟁 낫으로 개조하는 임시 변환 또한 역사적으로 무기로 사용되었다.

2. 4. 현대



낫은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정착지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농업 발달과 함께 널리 퍼졌다. 처음에는 주로 건초를 베는 데 사용되었으나, 16세기에는 작물 수확에 을 대체했다. 1800년경에는 곡물을 벨 때 표준 낫에 '곡물 받침대'가 추가되기도 했다. 선진국에서는 낫이 동력 잔디 깎는 기계와 콤바인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기계가 도입된 후에도 낫은 오랫동안 흔히 사용되었는데, 이는 기계 깎는 기계가 시작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초원을 '열기' 위해 여전히 낫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Sir William Smith의 ''그리스 로마 고대 사전''에 따르면 고대 로마인들은 건초용 낫(''falx foenaria'')과 수확용 낫(''falx messoria'')을 구분하여 사용했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가이아는 크로노스에게 강한 금속으로 만든 낫을 주어 우라노스에게 복수하도록 했다. 저승사자는 종종 낫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고대 스키타이인들은 삼을 재배하여 손낫으로 수확했다.

영국 셰필드에 있는 애비데일 산업 햄릿은 18세기 말부터 1930년대까지 운영되었던 낫 제작 공장의 박물관이다.[11] 이곳은 북부 더비셔의 이전 낫 제작 지구의 일부였으며, 에킹턴까지 확장되었다.[12] 다른 영국 낫 제작 지구로는 벨브로톤 주변이 있다.[13]

독일 르네상스 시대의 낫 검, 그리스와 로마의 하르페, 이집트의 코페쉬는 무기 또는 권위의 상징으로 개조된 낫이었다. 농업용 낫을 빌과 유사하게 자루에 날을 평행하게 다시 부착하여 전쟁 낫으로 개조하는 임시 변환 또한 역사적으로 무기로 사용되었다.

3. 구조

큰낫의 자루는 나무(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로 만들어졌으며, 길이 170cm 정도(지면에서 사용자의 턱까지의 길이)이다. 긴 자루(snaith영어, snath영어, sned영어)의 상단 1곳 또는 중앙과 상단 2곳에 짧은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긴 자루의 하단에는 자루에서 L자형으로 튀어나온 길이 60-90cm 정도의 곡선형 칼날이 달려있다. 좁은 장소를 베는 경우나 초심자는 짧은 칼날을 선호한다.

긴 자루는 곧은 것과 완만한 S자형으로 굽은 것이 있지만, 사용자가 더 사용하기 쉽도록 3차원적인 곡선(비틀림)이 들어간 것도 있다.

보통 사용자의 시점에서 왼쪽으로 칼날이 돌출되도록 만들어진다. 왼손잡이용으로 반대로 칼날이 달린 것도 존재하지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 시 보통의 것을 사용하는 사람과 동시에 작업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배려가 필요하다.

단조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 낫의 칼날은 풀 베기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종이처럼 얇은 날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사용 중 연마와 재단조가 필요하다. 이 낫에는 낫 전체를 가공 경화시키는 텐셔닝과 연마에 피닝(Peening)이라 불리는 날 끝을 망치로 냉간 단조하여 얇게 늘려 가공 경화시키는 특수한 방법이 사용되며, 일반적인 칼날에 사용되는 담금질은 일절 이루어지지 않는다. 연마 시 숫돌만 사용하면 얇은 칼날의 소모가 너무 빠르므로 숫돌의 사용은 최소한의 마무리와 사용 중의 터치업에 한정된다.

3. 1. 자루

큰낫의 자루는 나무(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로 만들어졌으며, 길이 170cm 정도(지면에서 사용자의 턱까지의 길이)이다. 긴 자루(snaith, snath, sned)의 상단 1곳 또는 중앙과 상단 2곳에 짧은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긴 자루의 하단에는 자루에서 L자형으로 튀어나온 길이 60-90cm 정도의 곡선형 칼날이 달려있다. 좁은 장소를 베는 경우나 초심자는 짧은 칼날을 선호한다.

긴 자루는 곧은 것과 완만한 S자형으로 굽은 것이 있지만, 사용자가 더 사용하기 쉽도록 3차원적인 곡선(비틀림)이 들어간 것도 있다.

보통 사용자의 시점에서 왼쪽으로 칼날이 돌출되도록 만들어진다. 왼손잡이용으로 반대로 칼날이 달린 것도 존재하지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 시 보통의 것을 사용하는 사람과 동시에 작업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배려가 필요하다.

3. 2. 날

단조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 낫의 칼날은 풀 베기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종이처럼 얇은 날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사용 중 연마와 재단조가 필요하다. 이 낫에는 낫 전체를 가공 경화시키는 텐셔닝과 연마에 피닝(Peening)이라 불리는 날 끝을 망치로 냉간 단조하여 얇게 늘려 가공 경화시키는 특수한 방법이 사용되며, 일반적인 칼날에 사용되는 담금질은 일절 이루어지지 않는다. 연마 시 숫돌만 사용하면 얇은 칼날의 소모가 너무 빠르므로 숫돌의 사용은 최소한의 마무리와 사용 중의 터치업에 한정된다.

3. 2. 1. 피닝 (Peening)

단조로 만들어지는 낫의 칼날은 풀 베기 등에 사용될 때 종이처럼 얇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사용 중에는 연마와 재단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낫에는 낫 전체를 가공 경화시키는 텐셔닝과 함께, 피닝(Peening)이라 불리는 특수한 방법이 사용된다. 피닝은 날 끝을 망치로 냉간 단조하여 얇게 늘려 가공 경화시키는 기술로, 일반적인 칼날에 사용되는 담금질은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연마 시 숫돌만 사용하면 얇은 칼날이 너무 빨리 소모되기 때문에, 숫돌 사용은 최소한의 마무리와 사용 중 터치업 정도로 제한한다.

4. 사용법

낫의 사용은 역사적으로 "모잉(mowing)"이라고 불렸으며, 현재는 기계 모잉과 구별하기 위해 종종 "사이싱(scything)"이라고 불린다. 베는 사람은 왼손으로 위쪽 손잡이를 잡고 오른손으로 중앙 손잡이를 잡으며, 팔을 쭉 펴고 칼날은 땅과 평행하게 아주 가깝게 유지한다. 베는 사람은 풀밭의 베는 가장자리를 따라 풀을 베며, 베지 않은 풀을 오른쪽에 둔다. 칼날은 오른쪽에 있는 풀을 걸고 왼쪽으로 길게 휘둘러 베어진 풀을 베어진 땅에 윈드로우를 형성한다. 베는 사람은 작은 걸음을 내딛고 이 동작을 반복하며 꾸준한 리듬으로 진행하며, 칼날을 숫돌질하기 위해 자주 멈춘다. 올바른 기술은 풀에 썰어내는 동작을 적용하여 균일하게 잘린 그루터기의 "스웨스"를 남기고, 왼쪽에 규칙적인 윈드로우를 형성한다. [6]

1900년에서 1909년 사이에 포트 프란시스 근처의 들판에서 일하는 남자들


팀으로 베는 경우, 팀은 목초지 가장자리에서 어긋난 선으로 시작하여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여 가운데에서 끝낸다. 낫으로 베는 것은 완전히 배우는 데 시간이 걸리는 숙련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90cm 정도의 긴 칼날 낫은 풀이나 밀을 베기에 적합하며, 처음에는 사용하기가 더 어렵다. 결과적으로 초보자는 일반적으로 70cm 이하의 짧은 칼날부터 시작한다. 흔한 초보자 오류로는 몸에 맞지 않게 손잡이를 잘못된 위치에 설정하거나, 조건에 맞게 칼날을 잘못된 꺾임 각도와 들림 각도로 설정하거나, 기술 수준에 비해 너무 긴 칼날을 선택하거나, 날카로운 날로 시작하지 못하고 사용 중에 무딘 날로 계속 사용하거나, 풀을 자르거나 깎거나, 한 번에 너무 넓은 풀을 베려고 하거나 칼날로 땅을 치는 것 등이 있다. 역사적으로 초보자는 낫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고 편안하고 효율적으로 베는 방법을 가르치는 멘토에게 의존했다.[5]

풀을 베는 것은 풀이 젖어 있을 때 더 쉽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건초 만들기는 새벽에 시작하여 종종 일찍 멈추었으며, 낮의 더위는 이전 날에 베어진 건초를 갈퀴질하고 운반하거나 칼날을 페닝하는 데 사용되었다.

낫은 다양한 작업을 위해 설계되었다. 90~100cm의 길고 얇은 칼날은 풀이나 밀을 베는 데 가장 효율적인 반면, 60~70cm의 더 짧고 견고한 낫은 잡초를 제거하고, 갈대 또는 사초를 자르는 데 더 적합하며, 도랑과 수로를 청소하기 위해 칼날을 물속에서 사용할 수 있다. 날카롭게 연마된 긴 칼날 낫을 사용하는 숙련된 베는 사람은 잔디 깎는 기계가 발명되기 전까지 짧은 잔디 풀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었다. 많은 문화권에서 잘린 다양한 종류의 곡물 줄기를 잡는 다양한 '요람'을 사용하여 씨앗 머리를 정렬하고 정돈된 방식으로 눕혀 다발로 묶고 풍구질하기 쉽게 만들었다.

4. 1. 풀 베기 동작

낫은 풀 베기(mowing)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기계 등에 의한 풀 베기와 구별하기 위해 특히 "scything"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풀 베기 작업에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 팔을 똑바로 뻗어 왼손으로 상단부의 손잡이를, 오른손으로 자루의 중앙부 또는 중앙부의 손잡이를 잡고, 날이 지면과 거의 닿을 정도로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낫을 잡는다.

# 사용자는 먼저 자신의 몸을 오른쪽으로 비트는 듯이 움직여 자세를 잡는다.

# 이어서 몸을 왼쪽으로 비틀면서 날을 크게 움직여 풀 등을 벤다.

이상의 동작은 일정한 리듬으로 계속되지만, 낫의 얇은 날을 갈기 위해 빈번하게 중단된다.

올바른 기술을 사용하면, 매번 휘두를 때마다 좁은 폭의 풀 등을 계속 벨 수 있다. 그러나 이 작업의 초심자는, 더 넓은 폭의 풀을 한 번에 베려고 필요 이상으로 자신의 오른쪽으로 베어 버리는 실수를 범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육체적으로 매우 고된 작업일 뿐만 아니라, 결과도 좋지 않다.

너무 지표면 가까이를 베면, 날이 흙으로 더러워져 빨리 날이 무뎌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4. 2. 주의사항

큰낫을 사용할 때는 올바른 기술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낫은 풀 베기에 주로 사용되지만, 기계에 의한 풀 베기와 구별하기 위해 "scything"이라고도 한다.

풀 베기 작업은 다음과 같은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 팔을 똑바로 뻗어 왼손으로 상단부 손잡이를, 오른손으로 자루 중앙부 또는 중앙부 손잡이를 잡고, 날이 지면과 거의 닿을 정도로 지면과 평행하게 낫을 잡는다.

# 몸을 오른쪽으로 비틀어 자세를 잡은 후, 왼쪽으로 비틀면서 날을 크게 움직여 풀을 벤다.

이 동작은 일정한 리듬으로 반복되지만, 낫의 얇은 날을 갈기 위해 자주 중단해야 한다.

숙련자는 좁은 폭의 풀을 계속 벨 수 있지만, 초심자는 넓은 폭을 한 번에 베려고 오른쪽으로 과도하게 베는 실수를 저지르기 쉽다. 이는 육체적으로 힘들 뿐만 아니라, 결과도 좋지 않다.

또한, 지표면 너무 가까이 베면 날이 흙으로 더러워져 무뎌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5. 연마

낫 날의 절삭력은 간헐적인 피닝과 빈번한 연마를 통해 유지된다.[5] 피닝은 망치질을 통해 연성이 있는 날을 변형시켜 원하는 날 모양을 만들고, 금속을 국부적으로 가공 경화시키며, 작은 흠집과 찌그러짐을 제거하는 작업이다.[5] 고운 풀을 벨 때는 베벨 각도를 매우 얇게 피닝할 수 있지만, 거친 작업의 경우 더 튼튼한 날을 만들기 위해 더 큰 각도가 생성된다.[5] 피닝에는 어느 정도의 기술이 필요하며, 피닝 망치와 특수 앤빌을 사용하거나 피닝 지그를 사용하여 수행된다.[5] 역사적으로는 팀으로 풀을 벨 때 수확 중 밭 가장자리에 피닝 스테이션을 설치했지만, 현재는 작업장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더 많다.

피닝 지그에는 다른 각도를 설정하는 두 개의 교환 가능한 캡이 있다. 거친 각도는 먼저 날에서 약 3mm 뒤에 설정되고, 섬세한 각도는 날에 설정되어 쉽게 연마할 수 있는 날을 남긴다.[5] 그런 다음 날은 점차 고운 숫돌을 사용하여 연마한 다음 밭으로 가져간다. 밭에서는 고운 타원형 숫돌을 사용하여 날을 연마하는데, 풀을 위해서는 고운 숫돌을, 곡물을 위해서는 더 거친 숫돌을 사용한다.[5] 연마는 칼날의 절삭력이 떨어진다고 느끼는 순간 수행되며, 이는 조건에 따라 매 30분마다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적층형 숫돌은 두 가지 등급의 숫돌을 가지고 있으며, 허리띠에 물이 채워진 홀스터에 담가 밭으로 가져간다. 칼날 안쪽에서 칼날을 쓸어내어 칼날 바깥쪽에 버(burr)가 생기게 한다. 그런 다음 바깥쪽에서 부드럽게 쓸어내어 버를 제거한다. [7][8]

연성이 있는 강철로 만들어진 유럽 칼날과 달리, 전형적인 미국 칼날은 더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운 강철로 만들어져 피닝하면 균열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더 단단한 칼날은 절삭력을 더 오래 유지하고 밭에서 연마를 덜 자주 필요로 하지만, 날은 무거운 사용이나 손상 후에 연삭을 통해서만 모양을 바꿀 수 있다. 더 단단한 강철의 내마모성이 높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한 시즌에 1~3번만 하면 된다. 일부 예시는 날을 제공하는 단단하고 내마모성이 있는 코어와 강도를 제공하는 부드러운 측면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미국 칼날에서는 가장자리 강철이 질긴 철로 양쪽에 덮여 있는 반면, 일부 북유럽 적층 칼날은 상단에만 철 층이 있고 가장자리 강철이 하단 층을 구성한다.[9][10]

5. 1. 연마 방법

낫 날의 절삭력은 간헐적인 피닝과 빈번한 연마를 통해 유지된다.[5] 피닝은 망치질을 통해 연성이 있는 날을 변형시켜 원하는 날 모양을 만들고, 금속을 국부적으로 가공 경화시키며, 작은 흠집과 찌그러짐을 제거하는 작업이다.[5] 고운 풀을 벨 때는 베벨 각도를 매우 얇게 피닝할 수 있지만, 거친 작업의 경우 더 튼튼한 날을 만들기 위해 더 큰 각도가 생성된다.[5] 피닝에는 어느 정도의 기술이 필요하며, 피닝 망치와 특수 앤빌을 사용하거나 피닝 지그를 사용하여 수행된다.[5] 역사적으로는 팀으로 풀을 벨 때 수확 중 밭 가장자리에 피닝 스테이션을 설치했지만, 현재는 작업장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더 많다.

피닝 지그에는 다른 각도를 설정하는 두 개의 교환 가능한 캡이 있다. 거친 각도는 먼저 날에서 약 3mm 뒤에 설정되고, 섬세한 각도는 날에 설정되어 쉽게 연마할 수 있는 날을 남긴다.[5] 그런 다음 날은 점차 고운 숫돌을 사용하여 연마한 다음 밭으로 가져간다. 밭에서는 고운 타원형 숫돌을 사용하여 날을 연마하는데, 풀을 위해서는 고운 숫돌을, 곡물을 위해서는 더 거친 숫돌을 사용한다.[5] 연마는 칼날의 절삭력이 떨어진다고 느끼는 순간 수행되며, 이는 조건에 따라 매 30분마다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적층형 숫돌은 두 가지 등급의 숫돌을 가지고 있으며, 허리띠에 물이 채워진 홀스터에 담가 밭으로 가져간다. 칼날 안쪽에서 칼날을 쓸어내어 칼날 바깥쪽에 버(burr)가 생기게 한다. 그런 다음 바깥쪽에서 부드럽게 쓸어내어 버를 제거한다. [7][8]

연성이 있는 강철로 만들어진 유럽 칼날과 달리, 전형적인 미국 칼날은 더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운 강철로 만들어져 피닝하면 균열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더 단단한 칼날은 절삭력을 더 오래 유지하고 밭에서 연마를 덜 자주 필요로 하지만, 날은 무거운 사용이나 손상 후에 연삭을 통해서만 모양을 바꿀 수 있다. 더 단단한 강철의 내마모성이 높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한 시즌에 1~3번만 하면 된다. 일부 예시는 날을 제공하는 단단하고 내마모성이 있는 코어와 강도를 제공하는 부드러운 측면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미국 칼날에서는 가장자리 강철이 질긴 철로 양쪽에 덮여 있는 반면, 일부 북유럽 적층 칼날은 상단에만 철 층이 있고 가장자리 강철이 하단 층을 구성한다.[9][10]

6. 문화와 상징

낫은 개발도상국과 산악 지형의 농부들에게 여전히 없어서는 안 될 도구이지만, 저승사자와 연관되어 왔다.[14]

루마니아트란실바니아 아푸세니 산맥의 고지대에서는 낫질이 매우 중요한 연례 활동이며, 완료하는 데 약 2~3주가 걸린다. 농부들은 팀을 이루어 서로 도우며, 매일 수확을 마친 후에는 작은 축제를 열기도 한다.[14] 발칸 반도의 세르비아 마을 등지에서는 낫질 대회가 열리며, 우승자는 작은 은색 낫을 받는다. 이러한 낫질은 지역 민속의 일부로 소중히 여겨지며, 친선 경기 우승자는 음식과 음료로 보상을 받는다.[15][16]

바스크족 사이에서 낫질 경기는 여전히 인기 있는 전통 스포츠로, ''세갈라리차''라고 불린다. 각 경쟁자는 정해진 구역의 풀을 상대방보다 먼저 베기 위해 경쟁한다.

고리치코에서는 국제 낫질 대회가 열리며[17] 오스트리아, 헝가리, 세르비아, 루마니아, 심지어 아시아에서 온 사람들이 참여하여 독특한 작물 수확 방법을 선보인다.[18] 2009년에는 일본인이 쌀을 베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해 금속 날이 달린 나무 수확 도구를 선보였다.

노르웨이의 호르닌달 지방 자치 단체는 문장에 세 개의 낫 날을 가지고 있다.

폴란드, 특히 크라쿠프 주변 지역에서는 1794년 코시치우슈코 봉기의 코시니에르지(코시니에르지/Kosynierzypl)에 대한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며 기념된다. 코시치우슈코는 러시아에 대항하기 위해 동원령을 발동했지만, 무기 부족으로 낫으로 무장한 농민 부대를 조직해야 했다. 그들의 좌우명은 ''그들은 먹이고 방어한다'' (Żywią i Bronią/Żywią i Broniąpl)였다.

유대교 종교 시오니즘 청소년 운동인 브네이 아키바의 문장은 농업과 토라와의 결합을 나타내는 밀, 낫, 갈퀴를 포함하고 있다.

2012년 ''월스트리트 저널''은 일부 미국 주택 소유주들이 소음이 적고 낫질이 운동으로서 건강에 좋다는 점을 들어 동력 잔디 깎는 기계 대신 낫을 선호한다고 보도했다.[19]

오리매틸라의 문장에 낫을 든 말


낫은 크로노스, 요한의 묵시록의 4기사, 사신 등 신화적 존재가 소지한 무기로 자주 등장한다. 이는 주로 기독교 신화적 해석에서의 "영혼의 수확자로서의 죽음"에 기인하며, 같은 이유로 힌두교의 죽음의 여신인 칼리도 낫을 사용한다고 여겨졌다.

6. 1. 신화

큰낫은 크로노스, 요한 묵시록의 네 기사, 죽음의 신과 같은 신화 속 존재들이 가진 무기로 자주 등장한다.[14][15][16][17][18][19]

이는 주로 기독교적 신화관을 바탕으로, 신화적 존재가 영혼을 수확함으로써 죽음에 이르게 한다는 생각에서 시작된 것이다. 비슷한 이유로, 힌두교에서의 죽음의 여신인 칼리도 큰낫을 사용한다고 생각되었다.[14][15][16][17][18][19] 낫은 저승사자와 연관되어 왔다.

6. 2. 민속

낫은 개발도상국과 산악 지형의 농부들에게 여전히 중요한 도구이지만, 저승사자와 연관되어 왔다.[14] 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 아푸세니 산맥 고지대에서는 낫질이 중요한 연례 활동이며, 완료하는 데 2~3주가 걸린다. 농부들은 팀을 이루어 서로 돕고, 수확 후에는 축제를 열기도 한다.[14] 세르비아를 포함한 발칸 반도 지역에서는 낫질 대회가 열리고, 우승자는 은색 낫을 받는다.[15] 작은 세르비아 마을에서는 낫질이 지역 민속의 일부로 여겨지며, 우승자는 음식과 음료를 받는다.[16]

바스크족 사이에서는 낫질 경기가 ''세갈라리차''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인기 있는 전통 스포츠이다. 고리치코에서는 국제 낫질 대회가 열리며, 오스트리아, 헝가리, 세르비아, 루마니아, 심지어 아시아에서도 참가하여 독특한 작물 수확 방법을 선보인다.[17][18] 2009년에는 일본인이 쌀을 베는 방법을 선보이기도 했다.[18]

노르웨이 호르닌달 지방 자치 단체 문장에는 세 개의 낫 날이 있다. 폴란드, 특히 크라쿠프 주변 지역에서는 1794년 코시치우슈코 봉기의 코시니에르지에 대한 기억이 생생하며, 이들의 좌우명은 ''그들은 먹이고 방어한다'' (폴란드어: ''Żywią i Bronią'')였다. 유대교 종교 시오니즘 청소년 운동인 브네이 아키바 문장은 밀, 낫, 갈퀴를 포함한다.

2012년 ''월스트리트 저널''은 일부 미국 주택 소유주들이 소음이 적고 건강에 좋다는 이유로 낫을 선호한다고 보도했다.[19] 낫은 크로노스, 요한의 묵시록의 4기사, 사신 등 신화적 존재가 소지한 무기로 자주 등장하며, 기독교 신화에서 "영혼의 수확자로서의 죽음"을 상징하고, 힌두교 죽음의 여신 칼리도 낫을 사용한다.

6. 3. 문장

낫은 개발도상국과 산악 지형의 농부들에게 여전히 없어서는 안 될 도구이지만, 저승사자와 연관되어 왔다.[14]

루마니아트란실바니아 아푸세니 산맥의 고지대에서는 낫질이 매우 중요한 연례 활동이며, 완료하는 데 약 2~3주가 걸린다. 농부들은 팀을 이루어 서로 도우며, 매일 수확을 마친 후에는 작은 축제를 열기도 한다.[14] 발칸 반도의 세르비아 마을 등지에서는 낫질 대회가 열리며, 우승자는 작은 은색 낫을 받는다. 이러한 낫질은 지역 민속의 일부로 소중히 여겨지며, 친선 경기 우승자는 음식과 음료로 보상을 받는다.[15][16]

바스크족 사이에서 낫질 경기는 여전히 인기 있는 전통 스포츠로, ''세갈라리차''라고 불린다. 각 경쟁자는 정해진 구역의 풀을 상대방보다 먼저 베기 위해 경쟁한다.

고리치코에서는 국제 낫질 대회가 열리며[17] 오스트리아, 헝가리, 세르비아, 루마니아, 심지어 아시아에서 온 사람들이 참여하여 독특한 작물 수확 방법을 선보인다.[18]

노르웨이의 호르닌달 지방 자치 단체는 문장에 세 개의 낫 날을 가지고 있다.

폴란드, 특히 크라쿠프 주변 지역에서는 1794년 코시치우슈코 봉기의 코시니에르지( 코시니에르지/Kosynierzypl)에 대한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며 기념된다. 코시치우슈코는 러시아에 대항하기 위해 동원령을 발동했지만, 무기 부족으로 낫으로 무장한 농민 부대를 조직해야 했다. 그들의 좌우명은 ''그들은 먹이고 방어한다'' (Żywią i Bronią/Żywią i Broniąpl)였다.

유대교 종교 시오니즘 청소년 운동인 브네이 아키바의 문장은 농업과 토라와의 결합을 나타내는 밀, 낫, 갈퀴를 포함하고 있다.

2012년 ''월스트리트 저널''은 일부 미국 주택 소유주들이 소음이 적고 낫질이 운동으로서 건강에 좋다는 점을 들어 동력 잔디 깎는 기계 대신 낫을 선호한다고 보도했다.[19]

낫은 크로노스, 요한의 묵시록의 4기사, 사신 등 신화적 존재가 소지한 무기로 자주 등장한다. 이는 주로 기독교 신화적 해석에서의 "영혼의 수확자로서의 죽음"에 기인하며, 같은 이유로 힌두교의 죽음의 여신인 칼리도 낫을 사용한다고 여겨졌다.

7. 군사적 이용

'''전투낫'''(war scythe영어)은 농기구인 의 긴 자루에 직각으로 장착된 날을, 긴 자루를 연장하는 방향으로 장착한 것으로, 할버드(미늘창)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18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폴란드의 농민병(kosynierzy)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다.

은 낫 전차(scythed chariot영어), 즉 차체나 바퀴에 낫의 날을 장착한 2륜 전차에도 사용되었다.

트라키아인다키아인은 라틴어로 낫을 의미하는 팔크스/falxla라는 무기를 사용했다.

16세기의 무술·무기 매니아였던 파울루스 헥토르 마이어가 저술한 병법서 『Arte De Athletica』에는 낫을 사용한 전투 예가 다음과 같이 나타나 있다.

7. 1. 전투낫 (War Scythe)

'''전투낫'''(war scythe영어)은 농기구인 의 긴 자루에 직각으로 장착된 날을, 긴 자루를 연장하는 방향으로 장착한 것으로, 할버드(미늘창)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18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폴란드의 농민병(kosynierzy)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다.

은 낫 전차(scythed chariot영어), 즉 차체나 바퀴에 낫의 날을 장착한 2륜 전차에도 사용되었다.

트라키아인다키아인은 라틴어로 낫을 의미하는 팔크스/falxla라는 무기를 사용했다.

16세기의 무술·무기 매니아였던 파울루스 헥토르 마이어가 저술한 병법서 『Arte De Athletica』에는 낫을 사용한 전투 예가 다음과 같이 나타나 있다.

7. 2. 낫 전차 (Scythe Chariot)



낫은 낫 전차(scythed chariot영어,차체나 바퀴에 낫의 날을 장착한 2륜 전차)에도 사용되었다. 낫 모양의 무기로는 트라키아인다키아인이 라틴어로 낫을 의미하는 팔크스/falxla라는 무기를 사용했다.

7. 3. 기타 낫 형태의 무기



전투낫(war scythe영어)은 농기구 낫의 긴 자루를 연장하는 방향으로 날을 장착한 것으로, 할버드(미늘창)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18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폴란드의 농민병(kosynierzy)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다.

낫은 낫 전차(scythed chariot영어), 차체나 바퀴에 낫의 날을 장착한 2륜 전차)에도 사용되었다.

낫 모양의 무기로는 트라키아인다키아인이 팔크스/falxla라는 무기를 사용했다.

16세기의 무술·무기 매니아였던 파울루스 헥토르 마이어가 저술한 병법서 『Arte De Athletica』에서 낫을 사용한 전투 예를 찾아볼 수 있다.

8. 대한민국과 낫

낫은 개발도상국과 산악 지형의 농부들에게 여전히 없어서는 안 될 도구이지만, 저승사자와 연관되어 왔다.

루마니아트란실바니아 아푸세니 산맥 고지대에서는 낫질이 매우 중요한 연례 활동이며, 완료하는 데 약 2~3주가 걸린다.[14] 농부들은 팀을 이루어 서로 돕고, 매일 수확 후 축제를 연다. 발칸 반도의 세르비아 마을 등지에서는 낫질 대회가 열리고 우승자는 작은 은색 낫을 받는다.[15] 바스크족 사이에서 낫질 경기는 ''세갈라리차''라고 불리는 인기 있는 전통 스포츠이다. 고리치코에서는 국제 낫질 대회가 열리며, 오스트리아, 헝가리, 세르비아, 루마니아, 심지어 아시아에서도 참가한다.[17][18]

폴란드 크라쿠프 주변 지역에서는 1794년 코시치우슈코 봉기의 코시니에르지에 대한 기억이 기념된다. 코시치우슈코는 러시아에 대항하기 위해 낫으로 무장한 농민 부대를 조직했다. 그들의 좌우명은 ''그들은 먹이고 방어한다''였다. 유대교 종교 시오니즘 청소년 운동인 브네이 아키바의 문장은 밀, 낫, 갈퀴를 포함한다.

8. 1. 한국 낫의 종류

루마니아트란실바니아 아푸세니 산맥 고지대에서는 낫질이 매우 중요한 연례 활동이며, 완료하는 데 약 2~3주가 걸린다.[14] 농부들은 팀을 이루어 서로 돕고, 매일 수확 후 축제를 연다. 발칸 반도의 세르비아 마을 등지에서는 낫질 대회가 열리고 우승자는 작은 은색 낫을 받는다.[15] 바스크족 사이에서 낫질 경기는 ''세갈라리차''라고 불리는 인기 있는 전통 스포츠이다. 고리치코에서는 국제 낫질 대회가 열리며, 오스트리아, 헝가리, 세르비아, 루마니아, 심지어 아시아에서도 참가한다.[17][18]

폴란드 크라쿠프 주변 지역에서는 1794년 코시치우슈코 봉기의 코시니에르지에 대한 기억이 기념된다. 코시치우슈코는 러시아에 대항하기 위해 낫으로 무장한 농민 부대를 조직했다. 그들의 좌우명은 ''그들은 먹이고 방어한다''였다. 유대교 종교 시오니즘 청소년 운동인 브네이 아키바의 문장은 밀, 낫, 갈퀴를 포함한다.

참조

[1] OED scythe
[2]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3] 웹사이트 Browse 1828 => Word SITHE :: Search the 1828 Noah Webster's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1828.mshaffer[...] 1828.mshaffer.com 2012-06-03
[4] 웹사이트 Browse 1913 => Word SITHE :: Search the 1913 Noah Webster's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1913.mshaffer[...] 1913.mshaffer.com 2012-06-03
[5] 서적 The Scything Handbook https://www.filbertp[...] Filbert Press 2023-07-26
[6] 웹사이트 How to Use a Scythe – Modern Homesteading – Mother Earth News http://www.motherear[...] 1981-05
[7] 웹사이트 Peening and Sharpening – Scythe Cymru https://scythecymru.[...]
[8] 웹사이트 Learning to peen a scythe https://stevetomlinc[...] 2016-05-31
[9] 웹사이트 Peening and Sharpening – Scythe Cymru https://scythecymru.[...]
[10] 웹사이트 Learning to peen a scythe https://stevetomlinc[...] 2016-05-31
[11] 웹사이트 Sheffield Industrial Museums Trust http://www.simt.co.u[...]
[12] 간행물 Sickle-makers and other metalworkers in Eckington 1534–1750: a study of metal workers tools, raw materials and made goods, using probate wills and inventories
[13] 간행물 The north Worcestershire Scythe Industry
[14] 학술 논문 A Traditional Cultural Landscape in Transformation
[15] 웹사이트 Hay making on Rajac http://www.visitserb[...] Visitserbia.org 2011-03-09
[16] 웹사이트 Serbian Scything Competition on Mt. Plavinac photo | stock photos Profimedia #0071934552 http://www.profimedi[...] Profimedia.rs 2011-03-09
[17] 웹사이트 Krajinski park Goričko http://www.park-gori[...] Park-goricko.org 2011-03-09
[18] 웹사이트 Blog Archives http://www.onescythe[...] The One Scythe Revolution 2011-03-09
[19] 뉴스 Who Needs a WeedWacker When You Can Use a Scythe? Grim Reaper Jokes Aside, Suburbanites Take Swing at Ancient Mower https://www.wsj.com/[...] 2012-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