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타리우스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로타르 1세는 프랑크 왕국의 국왕(558년~561년)이자 수아송 분국의 왕(511년~561년)이었다. 클로비스 1세의 넷째 아들로, 아버지 사후 프랑크 왕국을 분할 상속받아 수아송을 중심으로 통치했다. 그는 형제들과 함께 영토 확장을 위해 부르군드와 튀링겐을 정복했으며, 558년 형 힐데베르트 1세가 사망한 후 프랑크 왕국 전체를 통일했다. 말년에는 아들 크람의 반란을 진압하고, 561년 열병으로 사망했다. 클로타르 1세는 여러 부인을 두었으며, 잉군트, 아레군트, 쿤시아 등에게서 여러 자녀를 두었다. 그는 교회에 세금을 부과하려 했으며, 교회에 많은 기부를 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97년 출생 - 혜교
혜교는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의 승려로, 《고승전》을 편찬하여 후대 불교사 연구에 기여했으며, 덕행을 기준으로 고승을 선정하여 불교계의 자성을 촉구했다. - 561년 사망 - 교황 펠라지오 1세
교황 펠라지오 1세는 6세기 로마 귀족 출신으로 교황 사절, 교황 대리인을 거쳐 교황으로 선출되어 로마 재건과 빈민 구제에 힘썼으나, 비질리오 죽음 연루 의혹과 굴복 논란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 561년 사망 - 북제 폐제
북제 폐제는 북제의 제2대 황제로, 유약한 성격으로 아버지에게 소외당했으며 숙부에게 폐위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 - 프랑크인 장군 - 루도비쿠스 2세 이우니오르
루도비쿠스 2세 이우니오르는 로타르 1세의 아들로 이탈리아를 수호하려 노력했으나 동생과의 갈등, 포로로 잡히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서프랑크의 카를 2세가 황제관을 차지했다. - 프랑크인 장군 -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
샤를마뉴의 아들이자 카롤링거 왕조의 황제인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는 '경건왕'이라는 별칭을 가졌으나, 정치적 무능과 상속 분쟁으로 인해 제국 분열을 초래했다.
클로타리우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프랑크 왕 |
왕조 | 메로빙거 왕조 |
아버지 | 클로비스 1세 |
어머니 | 클로틸다 |
출생 | 500년경 (?) |
사망 | 561년 12월 (60세경) |
사망 장소 | 콩피에뉴 |
종교 | 칼케돈 기독교 |
통치 | |
수아송 왕 | 511년–558년 |
이전 통치자 | 클로비스 1세 |
후임 통치자 | 킬페리크 1세 |
오를레앙 왕 | 524년–558년 |
이전 통치자 | 클로도메르 |
후임 통치자 | 성 군트람 |
랭스 왕 | 555년–558년 |
이전 통치자 | 테우데발트 |
후임 통치자 | 시기베르트 1세 |
파리 왕 | 558년 |
이전 통치자 | 힐데베르트 1세 |
후임 통치자 | 카리베르트 1세 |
프랑크 왕 | 558년–561년 |
이전 통치자 | 공석 (마지막 통치자: 클로비스 1세) |
후임 통치자 | 공석 (다음 통치자: 클로타르 2세) |
가족 | |
배우자 | 군테우크 라데군데 잉군드 아레군데 쿤지나 |
자녀 | 군타르 킬데리크 카리베르트 1세 성 군트람 시기베르트 1세 킬페리크 1세 클로트신트 크람 |
2. 생애
클로타르 1세는 프랑크 왕국의 왕(558년 ~ 561년)이자 수아송 분국의 왕(511년 ~ 561년)이었다. 클로비스 1세와 클로틸드의 넷째 아들로, 497년 수아송에서 태어났다.
511년 아버지 클로비스 1세가 사망하자 프랑크 왕국은 클로타르 1세를 포함한 네 아들에게 분할 상속되었다. 클로타르 1세는 수아송을 거점으로 랭, 누아용, 캉브레 등지를 다스렸다. 그는 영토 확장을 위해 노력하여, 524년에는 형 클로도미르가 부르군드 족과의 전투에서 전사하자 형 힐데베르트 1세와 함께 클로도미르의 아들들을 살해하고 영토를 나누었다. 534년에는 부르군드를 멸망시키고 영토를 흡수했다.
555년 테오도리히 1세의 손자 테오발트가, 558년 힐데베르트 1세가 사망하자 클로타르는 프랑크 왕국 전체를 통일하였다.
클로타르는 튀링겐 출신 아내 라데군다[36]를 심하게 학대하여 성 레미 주교에게 제명과 경고를 받기도 했다. 560년에는 아들 크롬이 반란을 일으키자 크롬을 처형하고 그 가족을 모두 몰살하였다. 561년 열병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그의 사후 프랑크 왕국은 하리베르트(파리, 오를레앙), 지게베르트(아우스트라시아), 군트람(부르군드), 힐페리히(네우스트리아, 수아송) 네 아들에게 다시 분할 상속되었다.
클로타르는 잔인하고 무자비하여 가족과 반대파에게 가혹했으나, 독실한 기독교 신자이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와 통치
511년 아버지 클로비스 1세가 사망하자 프랑크 왕국은 그를 비롯해 장남 테우데리크 1세, 클로도메르, 킬데베르 1세에게 분할되었다. 클로타르 1세는 수아송을 근거지로 삼아 랭, 누아용, 캉브레, 마스트리흐트 및 뫼즈강 하류 유역을 장악했다.[13][14] 그는 야심이 커서 자신의 영토 확대를 위해 노력했다.어머니 클로틸드의 권리에 따라 클로비스 1세는 두 명의 아내에게 왕국을 절반씩 나누어 분배했고, 각 아들들에게 조각들을 나누어 주었다. 첫 번째 아내의 아들인 테우데리크가 프랑크 왕국의 절반인 랭스를 받았다. 클로타르는 형제인 힐데베르트, 클로도메르와 함께 왕국의 나머지 절반을 나누었다. 클로타르는 북부 지역을, 힐데베르트는 파리를 중심으로 한 중부 왕국을, 클로도메르는 오를레앙을 중심으로 한 남부 왕국을 받았다.[4] 클로타르가 상속받은 영토는 두 부분으로 나뉘었다. 하나는 살리 프랑크족의 왕국에 해당하는 갈리아 벨기에로, 수아송에 수도를 두고 아미앵, 아라스, 생 캉탱, 투르네 교구를 포함했고, 다른 하나는 아키텐으로 아쟁, 바자스, 페리고 교구를 포함했다.[4]
524년 그는 자신의 형제 클로도메르의 아들을 살해하도록 사주하여 투르와 푸아티에를 빼앗았으며, 부르군트 왕국에 여러 차례 침공을 시도했다. 534년에는 부르군트를 멸망시키고[33], 그르노블, 디 주변 지역을 지배하에 두었다.
531년에는 자신의 조카 테우데베르 1세와 함께 튀링겐에 원정[33], 542년에는 형 킬데베르 1세와 함께 서고트 왕국으로 침공했다. 555년 조카의 아들 테오데발드가 사망하자, 클로타르는 즉시 메츠로 가서 사망한 조카로부터 왕국을 차지하려고 했지만, 살리카법에 따라 형제와 공유해야 했다. 그래서 그는 발드라다와 결혼했는데, 발드라다는 테우데발트의 미망인이자 롬바르드 왕 와초의 딸이었다. 이는 테우데베르트의 치세부터 확립된 롬바르드와의 동맹뿐만 아니라 메츠 왕국의 순조로운 계승을 보장했다. 그러나 주교들은 이 근친상간 결혼을 비난하고 클로타르에게 이혼을 강요했다. 그들은 그녀를 바이에른 공작 가리발드와 결혼시켰다. 클로타르는 발데라데(Waldrada)와의 결혼 파탄을 보상하기 위해 딸 클로친드를 롬바르드 왕자이자 미래의 왕 알보인에게 주었다. 테우데발트 왕의 궁정에서 훌륭한 행정가였던 콘다트 도메스티쿠스는 메츠 왕국 병합 후에도 그의 지위를 유지했다.[23]
2. 2. 정복 활동
클로타르 1세는 프랑크 왕국의 국왕(558년 ~ 561년)이자 수아송 분국의 왕(511년 ~ 561년)이었다. 524년 형 클로도미르(파리의 왕), 힐데베르트(오를레앙의 왕), 테오도리히 1세(아우스트라시아의 왕)와 함께 튀링겐 왕국을 침략하여 멸망시켰다.[36] 527년 클로도미르가 부르군드 족과의 전투에서 전사하자, 형 힐데베르트와 함께 클로도미르의 아들들을 살해하고 그 영토를 양분하였다. 534년 부르군드를 멸망시키고 그 영토를 흡수하였다.[33] 555년 테오도리히 1세의 손자 테오발트가, 558년 힐데베르트 1세와 그 아들 지게베르트가 죽자 클로타르는 프랑크 왕국 전체를 재통일하게 되었다.516년, 군도바드 부르군트 왕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시지스문드가 왕위를 계승하여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시지스문드는 극단적인 반 아리안 정책을 펼쳐 아리안파였던 그의 아들 시게릭을 처형했는데, 시게릭은 동고트 왕 테오도리크 대왕의 손자였다. 시지스문드는 딸 수아베고타를 클로타르의 이복 형인 테오데리크 1세와 결혼시켜 프랑크족과의 갈등을 피했다.
523년, 클로타르, 킬데베르트, 클로도메르는 어머니 클로틸드의 사주를 받아 부르군트족을 상대로 원정군을 결성했다. 부르군트 군대는 패배했고, 시지스문드는 처형되었다. 시지스문드의 형제 고도마르가 귀족들의 지원을 받아 왕위를 계승했고, 프랑크족은 물러나야 했다.
524년, 클로타르와 그의 형제들, 테오데리크는 새로운 원정을 시작하여 이제르 계곡으로 진격했다. 그러나 524년 6월 25일, 베제롱스 전투에서 패배했고, 클로도메르가 전사했다. 프랑크족은 부르군트를 떠났고, 고도마르는 534년까지 통치를 재개했다.[15]
531년, 튀링겐의 왕 헤르마나프리트는 클로타르의 이복 형제 테우데리크에게 자신의 라이벌이자 형제인 바데리크를 폐위하는 것을 돕는다면 튀링겐 왕국의 일부를 주겠다고 약속했다. 테우데리크는 이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승리 후 부상을 입은 그는 클로타르에게 전쟁을 계속할 것을 요청했다. 이 무렵 헤르마나프리트가 사망했고, 목표는 단순히 튀링겐을 정복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그의 조카 테우데베르트 1세의 지원을 받은 이 동맹은 튀링겐을 정복했고, 튀링겐은 프랑크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 전리품 분배 과정에서 클로타르와 테우데리크는 공주 라데군트를 차지하기 위해 격렬하게 다투었지만, 결국 클로타르가 그녀를 붙잡은 것은 자신의 병사들이었다는 이유로 분쟁에서 승리했다.[16]
클로타르는 524년 형제인 클로도미르의 자녀들을 살해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그가 차지한 몫은 투르와 푸아티에였다.[13] 클로도미르가 죽자 그의 세 아들 테오데발트, 군타르, 클로도알드는 할머니 클로틸드의 보살핌을 받게 되었다.
오를레앙 왕국이 조카들에게 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 클로타르는 532년 형제 킬데베르트와 함께 어린 상속자들을 수도원에 들어가지 않으면 죽이겠다고 위협했다. 클로틸드는 손자들의 머리카락이 잘리는 것을 보기보다는 죽는 것을 보겠다고 말했다.[17]

두 삼촌은 아이들을 죽이려는 계획을 실행했다. 클로타르는 테오데발트의 겨드랑이를 찔렀다. 군타르는 킬데베르트의 발치에 쓰러졌고, 킬데베르트는 울기 시작했고 조카의 간청에 거의 굴복할 뻔했다. 그러나 클로타르는 킬데베르트에게 권력을 공고히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며 살인을 감행하라고 요구했다. 킬데베르트는 군타르를 클로타르에게 넘겼고, 클로타르는 그를 찔렀다.[18] 테오데발트와 군타르는 각각 10세와 7세였다. 클로도알드는 살아남아 수도 생활을 선택했다. 킬데베르트와 클로타르는 획득한 영토를 나누었고, 테오데리크는 오세루아, 베리, 상스를 점령했다.
532년, 킬데베르트와 클로타르는 오툉을 점령했다. 그들은 동고트족 왕 테오도리크 대왕의 아버지이자 동맹이었던 시고기스문트의 형제인 고도마르 3세를 추격했다.
534년, 아탈라리크의 죽음은 부르고뉴 동맹인 동고트 왕국에서 왕위 계승 위기를 발생시켰다. 클로타르, 테우데베르트, 킬데베르트는 동고트족의 보호를 잃은 부르고뉴 왕국을 침략할 기회를 잡았다. 부르고뉴 왕국은 정복되었고 3명의 프랑크 왕 사이에 분할되었다. 클로타르는 그르노블, 디와 인근 도시들을 받았다.[19]

수년에 걸쳐, 스페인 서고트족은 프랑크족 영토를 여러 차례 침략하여 땅을 빼앗았다. 클로비스는 그 땅을 되찾았고, 서고트족 영토를 추가로 정복하기까지 했다. 클로타르는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기 위해 장남들을 보냈다.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지만, 차남인 군타르가 원정을 중단하고 귀환했다. 장남 테우데베르트는 전쟁을 계속하여 디오-에-발키에르와 카브리에르의 요새를 점령했다. 잃어버린 프랑크족 영토의 대부분이 회복되었다.[20]
클로타르 1세는 테우데리크의 병세를 틈타 킬데베르트의 도움을 받아 그의 왕국을 차지하려 했다. 그러나 아를을 확보하느라 바빴던 테우데베르트는 아버지 테우데리크를 돕기 위해 급히 돌아왔다. 테우데리크는 며칠 후 사망했다. 테우데베르트는 가신들의 지원을 받아 자신의 왕국을 지켰고, 삼촌들이 왕국을 차지하는 것을 막았다.
킬데베르트와 테우데베르트는 힘을 합쳐 클로타르 1세에게 전쟁을 선포했다. 그들은 처음에 클로타르를 물리쳤고, 클로타르는 숲으로 피신해야 했다. 클로타르가 포위된 동안 폭풍이 장비, 도로, 말들을 휩쓸어 연합군을 혼란에 빠뜨렸다. 킬데베르트와 테우데베르트는 포위를 포기하고 클로타르와 평화 조약을 맺었다.[21]
537년, 동로마 제국과 동고트 왕국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다. 프랑크 왕들의 중립을 확보하기 위해, 왕 비티게스는 프랑크 왕들이 공동 소유하고 있던 프로방스와 알레만족에 대한 지배권을 가진 북부 알프스산맥, 상부 라인강 계곡, 마인강, 상부 다뉴브강을 제공했다.[22] 동고트족이 프로방스를 프랑크족에게 양도했을 때, 그는 오랑주, 카르팡트라, 가프를 받았다.[13]
542년 봄, 힐데베르트 1세와 클로타르 1세는 세 아들을 대동하고 서고트 히스파니아로 군대를 이끌었다. 그들은 팜플로나와 사라고사를 점령했지만, 국토 대부분을 정복한 후 결국 철수해야 했다. 테우디스 휘하에 국왕군의 대부분이 남아 있었고, 여전히 충분한 힘을 보여줄 수 있었기 때문에, 그들은 피레네 산맥 너머의 주요 영토를 할양받았지만, 점령했던 만큼은 아니었다.[20]
테오도리크 대왕의 딸 아말라순타와 클로비스 1세의 누이 아우도플레다가 토스카나의 테오다하드 왕에게 살해당하자, 클로타르는 테오다하드가 배상금을 지불하지 않으면 침략하겠다고 위협했다. 그러나 힐데베르트와 테우데베르트는 클로타르를 속였는데, 힐데베르트는 돈을 가져갔고, 테우데베르트는 비티게스가 테오다하드의 후임으로 넘겨준 토지를 차지했다.
555년, 클로타르 1세는 반란을 일으킨 작센족을 공격하여 베저강 상류 계곡, 엘베강 및 북해 연안에서 정복했다. 굴복의 의미로 클로타르는 그들에게 상당한 연간 조공을 요구했고, 얼마 동안 작센족으로부터 매년 500마리의 소를 조공으로 받았다.[24]
555년과 556년 사이에 작센족은 다시 반란을 일으켰는데, 아마도 킬데베르트 1세의 사주를 받았을 것이다. 작센족의 반란과 학살 위협에 직면한 클로타르는 평화 회담을 선호했다. 그러나 그의 병사들은 공격적이었고 전투를 갈망하며 이 결정에 반대했다. 병사들이 모욕과 죽음의 위협으로 그를 강요하여 작센족과 싸우게 되면서 회담은 중단되었다. 엄청나게 피비린내 나는 전투 끝에 작센족과 프랑크족은 평화를 맺었다.[25]
534년 부르군트를 멸망시키고,[33] 그르노블, 디 주변 지역을 지배했다. 동고트 왕국으로부터 프로방스 지방을 할양받자 오랑주, 카르팡트라, 갸프를 세력 하에 두었다. 531년에는 조카 테우데베르 1세와 함께 튀링겐에 원정[33], 542년에는 형 킬데베르 1세와 함께 서고트 왕국으로 침공했다.
2. 3. 프랑크 왕국 통일
511년 아버지 클로비스 1세가 사망하면서 프랑크 왕국은 테우데리크 1세, 클로도메르, 힐데베르트 1세, 그리고 클로타르 1세에게 분할되었다. 클로타르 1세는 수아송을 근거지로 랭, 누아용, 캉브레, 마스트리흐트 및 뫼즈강 하류 유역을 장악했다.[13][14] 그러나 그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영토 확장을 꾀했다.524년 형 클로도메르가 부르군드 족과의 전투에서 전사하자, 형 힐데베르트와 함께 클로도미르의 아들들을 살해하고 투르와 푸아티에를 포함한 그 영토를 나누어 가졌다.[4] 534년에는 부르군트를 멸망시키고[33] 그르노블, 디 주변 지역을 지배하에 두었다.
동고트 왕국으로부터 프로방스 지방을 할양받자, 오랑주, 카르팡트라, 갸프를 자신의 세력권에 포함시켰다. 531년 조카 테우데베르 1세와 함께 튀링겐을 공격하고,[33] 542년에는 형 힐데베르 1세와 함께 서고트 왕국을 침공했다.
555년 조카손자 테오데발드가 사망하자 클로타르 1세는 그의 영지를 병합했다. 558년 12월 23일, 힐데베르트 1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28] 클로타르 1세는 프랑크 왕국 전체를 통합하여 단독 지배자가 되었다.[33]
2. 4. 아들 크람의 반란과 죽음
클로타르 1세는 아들 크람을 오베르뉴 지역에 보냈는데, 크람은 점차 넓은 지역을 통치하며 아버지에게서 독립하려 했다. 힐데베르트 1세와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푸아티에, 투르, 리모주, 클레르몽, 부르주 등으로 세력을 넓혔다.[26]클로타르는 카리베르와 군트람을 보내 크람을 상대하게 했다. 생 조르주-니그레몽에서 크람과 만났으나, 폭풍으로 전투는 무산되었다. 크람은 클로타르가 색슨족에게 죽었다는 거짓 정보를 퍼뜨리고, 샬롱쉬르손까지 세력을 확장, 오를레앙 백작의 딸과 결혼했다.[27]

558년 12월 23일, 힐데베르트 1세가 사망하자 클로타르 1세는 프랑크 왕국을 재통일했다.[28] 크람은 브르타뉴로 피신했으나 붙잡혀 처형되었고, 클로타르는 대성당을 복구했다.[28]
559년에서 560년 사이, 크람은 브르타뉴인들의 도움으로 아버지 영토를 약탈했다. 560년 11월 또는 12월, 클로타르는 힐페리히 1세와 도므노네에서 전투를 벌였다. 코노모르는 패사하고, 크람은 도주 중 체포되어 처자식과 함께 오두막에 갇혀 불에 타 죽었다.[29] 죄책감에 휩싸인 클로타르는 성 마르탱 무덤에서 용서를 구하고, 콩피에뉴 왕궁에서 사망했다.[13]
2. 5. 죽음과 유산
558년 12월 23일, 힐데베르트 1세는 오랫동안 앓던 병으로 자녀 없이 사망했다. 이로 인해 클로타르 1세는 아버지 클로비스 1세가 그랬던 것처럼 프랑크 왕국을 재통일하고, 형제의 보물을 차지할 수 있었다.[28] 힐데베르트 1세의 죽음 소식은 많은 왕국들이 클로타르 1세 아래로 통일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에게 대항했던 파리 역시 그의 지배에 복종했다.560년 아들 크롬이 반란을 일으키자 크롬을 처형하고 그 처족을 모두 몰살하였다. 크롬은 브르타뉴인들에게 피난처를 요청했고, 장인인 오를레앙 백작 빌라카리우스와 그러한 합의를 했지만, 당시에는 투르의 성 마르탱 대성당에 몸을 숨기고 있었다. 크롬은 붙잡혔고, "백성과 빌라카르와 그의 아내가 저지른 스캔들로 인해" 불태워졌다. 클로타르는 이후 대성당을 복구했다.[28]
559년 9월 1일부터 560년 8월 31일 사이에, 브르타뉴인들의 도움을 받아 크람은 아버지의 영토를 약탈하고 파괴했다. 클로타르는 아들 힐페리히 1세와 함께 도므노네로 진격하여 560년 11월 또는 12월에 그곳에 도착했다. 해안 근처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코노모르는 도주를 시도하다 패배하여 죽었다. 코노모르는 해협 양쪽에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크람은 코노모르의 지원을 받아 클로타르로부터 도망쳐 잉글랜드에 피난하려 했을 수 있다. 크람은 바다로 도망쳤지만, 먼저 아내와 딸들을 구출하려 했다. 그는 체포되어 즉시 사형 선고를 받았다. 그와 그의 아내, 딸들은 오두막에 갇혀 질식사하고 불태워졌다.[29]
죄책감에 사로잡힌 클로타르는 성 마르탱의 무덤에서 용서를 빌기 위해 투르로 갔고, 얼마 지나지 않아 콩피에뉴의 왕궁에서 사망했다.[13] 그의 통치 말기에 프랑크 왕국은 전성기를 맞이하여 갈리아 전체(셉티마니아 제외)와 현재 독일의 일부를 차지했다.
클로타르는 561년 말 급성 폐렴으로 6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왕국을 네 아들에게 물려주었다. 그들은 그를 생 메다르 묘소를 짓기 시작했던 수아송의 성 마리아 대성당에 매장했다.[30] 클로타르 1세 사후, 제국은 장남 카리베르 1세, 차남 군트람, 셋째 아들 지게베르트 1세, 막내 아들 힐페리히 1세에 의해 다시 분할되었다.[33] 얼마 지나지 않아 카리베르가 사망하면서, 그의 영토는 남은 3개의 분왕국에 의해 재분할되어 아우스트라시아, 네우스트리아, 부르군디가 정립하는 상황이 형성되었다.[33]
클로타르 1세의 아들들에게 분할 상속된 영토는 다음과 같다.
아들 | 상속 영토 | 수도 |
---|---|---|
카리베르 1세 | 솜 강과 피레네 산맥 사이의 옛 클로도미르 왕국, 파리 분지, 아키텐, 프로방스 | 파리 |
군트람 | 오를레앙 왕국의 일부와 함께 부르군드 | 오를레앙 |
지게베르트 1세 | 메츠 왕국 | 랭스와 메츠 |
힐페리히 1세 | 수아송 왕국 북쪽의 영토[31] | 수아송 |
클로타르 1세는 당시 프랑크 왕족의 관습에 따라 여러 명의 부인을 두었다. 일부다처제는 정치적 동맹을 형성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4]
잔인하고 무자비하여 가족간에도 경쟁의식을 가졌으며, 반대파에게는 무자비한 적대행위를 노골적으로 보였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라서 사후 어떻게 훌륭한 황제를 일찍 데려가느냐는 성직자들의 한탄이 있었다고 한다.
3. 가족 관계
부인 자녀 군테우크 없음 라데군다 없음 인군트 아레군트 쿤지나
이 외에도, 클로타르 1세는 불데트라다와 결혼했다가 파기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여성과의 사이에서 사생아 군도발트를 두었을 가능성이 있다.
4. 종교 정책
클로타르 1세는 교회에 세금을 부과하려 했으나, 투르의 주교 인유리오수스는 힐데리히 1세가 성직자에게 부여한 면제를 근거로 이를 거부했다. 주교가 죽자 왕은 그의 가신인 보댕을 후임으로 임명했다. 클로타르 1세는 교회법에 대한 융통성 부족으로 트리어의 주교 니지에를 추방하기도 했다.[11]
잉군트와 클로타르 1세는 생제르맹 오세르의 무덤 장식 등 교회에 많은 기부를 했으며, 왕실 성작이 기증된 바실리카도 보존되어 있다. 클로타르 1세는 라데군다가 세운 푸아티에의 생트 크루아 수도원 건설을 지원했고, 왕비가 수집한 성유물을 수도원으로 옮겼다.[12] 그는 성 레미 주교로부터 제명 및 경고를 받기도 하였다.
5. 평가
클로타리우스 1세는 클로비스 1세의 자손들 중 정치적으로 가장 무능하였다는 비판을 받는다.[1]
5. 1.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평가
클로비스 1세의 자손들 중 정치적으로 가장 무능하였다는 비판이 있다.[1]참조
[1]
논문
Das Nekrologium von Dom Racine und die Chronologie der Merowinger
https://archive.org/[...]
[2]
서적
North-western France (Normandy and Brittany)
https://books.google[...]
G. Allen
1895
[3]
서적
The Purple Queens: The Robes of Fredegonde
Belfond, Paris
2006
[4]
서적
Aquitaine from the Visigoths to the Arabs, 418–781 : naissance d'une région
É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 Jean Touzot, Paris
1979
[5]
서적
The Merovingian Kingdoms: 450–751
[6]
서적
The Merovingian Kingdoms: 450–751
[7]
웹사이트
Tête sculptée de Clotaire
https://www.musenor.[...]
[8]
서적
The Merovingian Kingdoms: 450–751
[9]
서적
Histoire
[10]
서적
Histoire
[11]
서적
Le Moyen Âge 987–1460
Histoire de France Hachette
1987
[12]
문서
2007
[13]
백과사전
[14]
서적
Clovis, the Founder
Éditions Tallandier
1896
[15]
문서
Récit des campagnes burgondes
[16]
문서
Quelques observations sur la composition et les caractéristiques des armées de Clovis
Rouche (1997)
[17]
서적
Histoire
[18]
서적
The Dark Ages, 476–918
https://books.google[...]
Rivingtons
1908
[19]
문서
Chronique
534
[20]
문서
Historia Gothorum. Auctores antiquissimi
[21]
서적
Histoire
[22]
서적
Histoire
[23]
문서
Carmina
[24]
서적
The Merovingian Kingdoms: 450–751
Longman Limited
1994
[25]
서적
Naissance de la France
éditions Fayard
1948
[26]
문서
1979
[27]
서적
Histoire
[28]
문서
1979
[29]
서적
Histoire
[30]
서적
Histoire
[31]
문서
2008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잘 알려지지 않은 설에 의하면 실드베르(힐데베르트 1세)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
[36]
문서
클로도미르의 아내
[37]
문서
클로도미르의 왕비
[38]
문서
롬바르드의 공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