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아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아송은 프랑스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켈트족의 수에시오네스족이 처음 정착한 지역이다. 로마 시대에는 요새 도시로 발전했으며,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수아송 관구로 독립했다. 486년 클로비스 1세가 수아송 전투에서 승리한 후 프랑크 왕국의 중요한 도시가 되었으며, 메로빙거 왕조 시기에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했다. 백년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도시가 파괴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상업 및 제조업 중심지로, 수아송 대성당, 생 장 데 비뉴 수도원 유적 등 다양한 역사 유적과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엔주의 코뮌 - 생캉탱 (엔주)
    생캉탱은 프랑스 오드프랑스 레지옹 엔주 데파르트망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시대 건설 후 중세 시대 베르망두아 백작령 수도이자 양모 직물 산업과 상업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나, 역사적 전쟁들을 겪으며 부침을 겪었고, 현재는 문화 유산과 아르데코 건축물이 보존된 도시이다.
  • 엔주의 코뮌 - 샤토티에리
    샤토티에리는 프랑스 오드프랑스 레지옹 엔주에 위치한 코뮌으로, 마른 강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역사적 교통 요충지이자 장 드 라 퐁텐의 출생지이고, 샹파뉴 생산지로 유명하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프랑스의 준주도 - 오툉
    오툉은 기원전 1세기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 건설된 프랑스의 역사적인 도시이며, 로마 시대 유적, 로마네스크 양식의 생 라자르 대성당, 롤랭 박물관을 포함하고 스테버니지 등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프랑스의 준주도 - 뮐루즈
    뮐루즈는 프랑스 알자스 지역의 역사적인 산업 도시로, 한때 "프랑스의 맨체스터"라 불리며 번영했고,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문화유산을 가진 도시로 푸조 자동차 공장, 박물관, 발달된 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 프랑스의 도시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프랑스의 도시 -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동부 알자스 지방의 일 강과 라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요새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독일 영토를 오가며 상업 및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 현재는 유럽 기관들이 위치한 국제 도시이자 유럽 통합의 상징이다.
수아송
기본 정보
시청
행정 구역프랑스 오드프랑스 에ーヌ県
소와송 군
코뮌 현황코뮌, 레프레크튀르
캉통소와송-1, 소와송-2
INSEE 코드02722
우편 번호02200
시장알랭 크레몽
임기2020–2026년
면적12.32 km²
고도55m
최소 고도38m
최대 고도130m
좌표북위 49.3817°, 동경 3.3236°
인구 통계
인구28,705명 (2021년)
인구 밀도2300명/km² (1999년)
지리

2. 역사

수아송은 켈트어 이름으로 역사에 처음 등장하며, 이후 라틴어로 '''노비오두눔(Noviodunum)'''이라 불렸다. 이는 "새로운 언덕 요새"라는 뜻으로, 수아소네스의 수도였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쟁기에서 수아송을 언급했다.

프랑크족의 네우스트리아 영토였던 수아송과 생 메다르 수도원은 메로빙거 왕조 시기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했다. 511년 클로비스 1세 사후, 수아송은 분할된 4개 왕국 중 하나의 수도가 되었다. 613년 클로타르 2세에 의해 프랑크 영토가 통합되면서 수아송 왕국은 사라졌다.

744년 수아송 공의회가 피핀 3세와 성 보니파시오 주도로 열려 아달베르와 아일랜드의 클레멘트를 단죄했다.[3] 백년 전쟁 동안 프랑스군은 도시에 주둔한 영국 궁병들을 학살하며 많은 프랑스 시민들까지 희생시켰다.[4] 잉글랜드헨리 5세아쟁쿠르 전투에서 성도들의 명예를 회복하겠다고 주장했다. 1429년 잔 다르크의 지휘 아래 프랑스 군대가 도시를 해방시켰다.

1728년부터 1729년까지 수아송 회의가 열려 영서 전쟁으로 번진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과 스페인 간의 분쟁을 해결하려 했다. 회의는 성공적이었고, 세비야 조약 체결로 이어졌다.

2. 1. 고대

켈트족 계통의 수에시오네스족이 이 지역을 다스렸으며, 그들의 수도는 라틴어로 "새로운 언덕 요새"를 의미하는 '''노비오두눔(Noviodunum)'''이었다. 고대 로마 시대에 수아송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전쟁기(''B. G.'' ii. 12)에서 언급한 수에소네스의 도시였다. 기원전 57년, 카이사르는 악소나(현대 Aisne)를 떠나 수아소네스 영토로 진입하여 하루 종일 행군한 후, 높은 벽과 넓은 해자로 둘러싸인 노비오두눔에 도착했고, 그곳은 카이사르에게 항복했다.

457년부터 486년까지 에기디우스와 그의 아들 시아그리우스 치하에서 노비오두눔은 수아송 왕국의 수도였다.[2]

2. 2.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457년부터 486년까지 에기디우스와 그의 아들 시아그리우스 치하에서 노비오두눔(수아송의 옛 이름)은 수아송 왕국의 수도였다.[2] 486년 수아송 전투에서 프랑크 왕 클로비스 1세에게 함락되었다.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것으로 여겨지는 476년 이후에도, 시아그리우스 아래에서 로마인의 통치가 이어졌지만, 486년 클로비스 1세가 수아송 전투에서 시아그리우스를 격파하고 지배 영역을 확대했다.

2. 3. 프랑크 왕국 시대

프랑크족의 네우스트리아 영토의 일부였던 수아송 지역과 6세기에 세워진 생 메다르 수도원은 메로빙거 왕조(447–751) 통치 기간 동안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했다. 클로비스 1세는 수아송에서 부르군트 왕국의 공주 클로틸드와 결혼하고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클로타르 1세가 수아송 왕위를 계승했고, 이후 킬페리크 1세 치세에는 내전이 발생하기도 했다.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는 생 메다르 수도원이 수아송 궁정으로 사용되었다.

2. 4. 중세 후기 및 근세

744년 피핀 3세와 교황의 이교도 독일 선교사였던 성 보니파시오의 주도로 수아송 공의회가 열려, 프랑크 주교 아달베르와 선교사 아일랜드의 클레멘트를 단죄했다.[3]

백년 전쟁 기간 동안 프랑스군은 도시에 주둔한 영국 궁병들을 학살했는데, 이 과정에서 많은 프랑스 시민들 또한 강간당하고 살해되었다.[4] 프랑스 군인에 의한 프랑스 시민 학살은 유럽을 충격에 빠뜨렸다. 잉글랜드헨리 5세는 수아송이 성 크리스핀과 성 크리스피니아누스에게 헌정되었다는 점에 주목하며, 1415년 성 크리스핀 날에 아쟁쿠르 전투에서 프랑스 군과 만났을 때 성도들의 명예를 회복하겠다고 주장했다. 그 도시는 1429년 7월 23일 잔 다르크의 지휘 하에 프랑스 군대에 의해 해방되었다.

1728년 6월부터 1729년 7월까지, 수아송은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과 스페인 간의 분쟁을 해결하려는 수아송 회의가 열린 곳이었다. 이 분쟁은 1727–1729년 영서 전쟁으로 번졌었다. 회의는 대체로 성공적이었으며, 양국 간의 세비야 조약 체결로 이어졌다.

2. 5. 근현대

제1차 세계 대전 중 수아송은 심한 폭격을 받았다.[4] 애신 드 데임 공세 실패 후에는 반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1917년 전투에서 전사한 프랑스 군인들을 기리는 조각상이 생 피에르 교회 뒤편, 수아송 법원 옆에 세워져 있다.

1919년 폐허가 된 수아송의 파노라마

3. 인구

1793년부터 2017년까지 수아송의 인구 변화[6][7]
연도인구
17937,675
18007,229
18068,126
18217,765
18318,149
18368,424
18419,152
184610,143
18519,477
18567,875
186110,208
186611,099
187210,404
187611,089
188111,112
188611,850
189112,074
189612,373
190113,240
190614,334
191114,458
192114,391
192617,865
193118,705
193620,090
194618,174
195420,484
196223,150
196825,890
197530,009
198230,213
199029,829
199929,439
200828,523
201228,309
201728,530


4. 기후

수아송은 서늘한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연중 강수량이 고르게 분포한다.[8]

5. 주요 명소

오늘날 수아송은 상업 및 제조업 중심지이며, 수아송 대성당, 생 장 데 비뉴 수도원 유적, 생 메다르 수도원 지하 묘지 등 역사적인 건축물과 인근 에스파스 피에르 폴레스의 박물관, 지질 트레일, 식물원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5. 1. 수아송 대성당

수아송 대성당 파노라마


수아송 생 제르베-생 프로테 대성당(Cathédrale Saint-Gervais-et-Saint-Protais de Soissons)은 고딕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남쪽 익랑은 1177년경에 건설되었으며, 성가대 하단부는 1182년에 시작되었다. 원래 3층 높이로 지어진 성가대와 매우 높은 채광창은 1211년에 완공되었는데, 이는 샤르트르 대성당의 디자인 기반이 되었다고 여겨지는 시기보다 앞선다. 이후 작업은 13세기 말까지 본당으로 이어졌다.[5]

5. 2. 생 장 데 비뉴 수도원 유적

생 장 데 비뉴 수도원 유적이 남아있다.[5]

생 장 데 비뉴 수도원의 유적

5. 3. 생 메다르 수도원

생 메다르 수도원은 6세기에 설립된 베네딕토회 수도원으로, 오늘날에는 지하 묘지만 남아있다.[5]

5. 4. 시청사

1833년부터 시청은 1772년과 1775년 사이에 건축가 장 프랑수아 아드빈에 의해 수아송 백작의 이전 부지에 앙탕당 펠르티에 모르트퐁텐의 요청으로 지어진 성에 자리 잡고 있다.[5]

5. 5. 아르세날

생 장 데 비뉴 수도원의 옛 아르세날에 있는 전시 공간이다.

5. 6. 팡 데 앙글레 (영국 다리)

팡 데 앙글레(직역: "영국인 보행교")는 수아송 도시 중심부의 엔 강 위에 있는 콘크리트 보행교이다. 원래 다리는 제1차 세계 대전 때인 1914년에 파괴되었다. 제9 야전 공병 연대의 영국 군인들이 재건했으며, 이후 "퐁 데 앙글레"(영국 다리)로 알려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다시 파괴되었으며, 1950년에 보행자 다리로 재건되었다.

5. 7. 실내 시장

알베르-데지레 길베르가 1908년에 건설했다.

5. 8. 에스파스 피에르 폴레스

인근의 에스파스 피에르 폴레스에는 박물관, 지질 트레일, 식물원이 있다.

6. 인물


  • 오로르 클레망: 1945년 수아송에서 태어난 배우이다.
  • 에마뉘엘 필리옹: 1966년 수아송에서 태어난 예술가이다.
  • 소소인의 셰마야: 라시의 주요 제자 중 한 명인 랍비 작가이다.
  • 크리스핀과 크리스피니아누스: 서기 286년경 수아송에서 순교한 성인으로, 현지 갈리아인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했다.
  • 군트람: 532년경 수아송에서 태어난 6세기 부르군트 왕이다.
  • 잔 마셰레즈: 1852년에 태어나 1930년에 사망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의 여성 영웅이자 수아송의 시장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data.gouv.fr, Plateforme ouverte des données publiques françaises 2022-09-13
[2] EB1911 Soissons
[3] 서적 Magie, sorcellerie, parapsychologie Éditions de l'Université de Bruxelles
[4] 서적 At Agincourt 2010-06-07
[5] 서적 The Template-makers of the Paris Basin: Toichological Techniques for Identifying the Pioneers of the Gothic Movement with an Examination of Art-historical Methodology https://books.google[...] West Grinstead Pub.
[6] Cassini-Ehess Soissons
[7] INSEE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8] 웹사이트 Normales et records pour Braine (02) https://www.meteocie[...] Meteociel 2024-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