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스마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스마요는 소말리아 남동부 주바 계곡에 위치한 도시이다. 고대부터 소말리아 도시 국가의 일부였으며, 중세 시대에는 아주란 술탄국의 지배를 받았다. 19세기 후반 잔지바르 술탄국이 건설한 도시로, 식민지 시대에는 영국령 동아프리카와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에 편입되었다. 소말리아 내전 중 여러 세력의 다툼의 대상이 되었으며, 2012년 알 샤바브를 축출한 후 소말리아 정부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현재 주바랜드의 일부이며, 키스마요 공항과 항구를 통해 교통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아의 도시 - 모가디슈
모가디슈는 소말리아의 수도이자 남동부 항구 도시로, 고대부터 인도양 무역 중심지였으며 아랍 상인 정착, 외세 지배, 독립, 내전을 거쳐 재건 중이나 여전히 무장 단체의 위협이 존재하는 다문화 도시다. - 소말리아의 도시 - 갈카요
갈카요는 소말리아 북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호비오 술탄국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씨족 간 분쟁과 내전을 겪으며 푼트랜드와 갈무두그로 분할되었고, 현재는 양측의 행정 구역이 공존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키스마요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키스마요 |
현지 명칭 | 키스마요 (Kismaayo, 소말리어) كيسمايو (Kīsmāyū, 아랍어) 키시마요 (Kisimayo, 스와힐리어) 치시마이오 (Chisimaio, 이탈리아어) |
별칭 | (없음) |
행정 구역 | |
자치 정부 | 주발란드 |
주 | 하부 주바 주 |
군 | 키스마요 군 |
지리 | |
면적 | 22.5 km² |
해발 고도 | (알 수 없음)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14년) | 1,234,852명 |
도시 인구 | 1,458,000명 |
일반 정보 | |
시간대 | 동아프리카 시간 (EAT) |
UTC 오프셋 | +3 |
기타 |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2. 역사
키스마요는 소말리아 남부의 항구 도시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중세 시대에 키스마요 지역은 원래 작은 어촌이었다.[3] 아주란 술탄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주바 강을 활용하여 농업을 발전시켰다. 아주란 술탄국이 멸망한 후, 겔레디 술탄국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 19세기 후반 소말리족의 다로드 씨족 지파인 할티가 키스마요로 이주했다.[47]
1895년 잔지바르가 영국 제국의 보호령이 되면서 키스마요가 있는 주바랜드도 영국령 동아프리카의 일부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주바랜드는 이탈리아에 양도되었고, 1926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국의 군정 통치를 받다가 1950년 이탈리아 신탁통치령 소말리아가 되었다.
키스마요는 1960년 소말리아 독립과 함께 소말리아의 도시가 되었다. 1960년대에는 미국의 영향력이 강했지만, 이후 소말리아가 미국과 관계를 단절하면서 상황이 변했다.
1991년 소말리아 내전 발발 이후, 키스마요는 여러 군벌 세력 간의 분쟁 지역이 되었다. 소말리아 국민 전선(SNF), 주바 밸리 동맹(JVA), 소말리아 애국 운동(SPM) 등이 도시를 장악하기 위해 경쟁했다.[10] 1993년에는 유엔 소말리아 임무의 일환으로 미국 해병대가 평화 유지를 위해 도시에 도착하기도 했다.[10]
1998년 모하메드 사이드 헤르시(모건 장군)은 주발란드의 독립을 선언했지만,[11] 1999년 그의 반대 세력에 의해 축출되었다.[12]
2006년 이슬람 법정 연합(ICU)이 키스마요를 점령했으나, 2007년 과도 연방 정부가 에티오피아, 아프리카 연합, 미국의 지원을 받아 도시를 탈환했다. 이후 알 샤바브가 키스마요를 장악했으나, 2012년 소말리아 군, 라스 캄보니 민병대, 케냐 군이 키스마요 전투 (2012년)에서 승리하여 도시를 탈환했다.[18][19]
2019년에는 아세이 호텔 공격이 발생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알 샤바브가 공격의 배후를 자처했다.[20]
2. 1. 고대
고대 시대에 키스마요는 소말리아 도시 국가의 일부였으며, 소말리아 상인들이 페니키아,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그리스, 파르티아 페르시아, 사바, 나바테아 및 로마 제국과 연결되는 수익성 있는 무역 네트워크에 참여했다. 소말리아 선원들은 그들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베덴'으로 알려진 고대 소말리아 해상 선박을 사용했다.[1]2. 2. 중세 및 근세
중세 시대에 키스마요 지역은 원래 작은 어촌이었다.[3] 아주란 술탄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아주란 술탄국은 주바 강을 활용하여 농업을 발전시켰다.아주란 술탄국이 멸망한 후, 겔레디 술탄국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 겔레디 술탄국은 술탄 유수프 마하무드 이브라힘과 아흐메드 유수프의 통치 아래 전성기를 맞이했다. 유수프 마하무드 이브라힘은 바르데라 전쟁에서 승리하여 고브룬의 권력을 공고히 했고, 아흐메드 유수프는 오만 제국과 같은 지역 강국에 조공을 받게 했다.
1836년부터 1861년까지 오만이 잔지바르 섬으로 천도하여 잔지바르 술탄국을 세웠다. 잔지바르는 지배 영역을 주바랜드까지 넓혀 1872년 키스마요에 도시를 건설했다. 한편, 같은 19세기 후반 소말리족의 다로드 씨족 지파인 할티가 키스마요로 이주했다.[47]
2. 3. 식민지 시대
1895년 7월 1일, 잔지바르가 영국 제국의 보호령이 되면서 키스마요가 있는 주바랜드도 영국령 동아프리카의 일부가 되었다.제1차 세계 대전 결과, 주바랜드는 이탈리아에 양도되어 트랜스 주바(Oltre Giuba)라고 불리는 지역이 되었다. 1926년 6월 30일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에 편입되었다. 당시 주바랜드는 8만 7천 제곱킬로미터(km2), 인구 12만 명이었다. 이탈리아인들은 이 도시를 "키시마이오"라고 불렀다. 키스마요는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에서 주요 도시 중 하나였으며, 일례로 1933년 고베 또신 일보에서는 반슈 직물의 수출 대상지로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에서는 유일하게 키스마요가 언급되었다. 영국은 분할된 주발랜드 영토의 남쪽 절반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으며, 이 지역은 나중에 케냐 북동부주 (NFD)라고 불렸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는 영국의 군정 하에 놓였다가, 1950년에 이탈리아 신탁통치령 소말리아가 되었다.
2. 4. 소말리아 독립 이후
키스마요는 1960년에 소말리아로 독립했다. 1960년대에는 소말리아가 미국과 관계를 끊기 전까지 미국의 영향이 강한 도시였다.2. 5. 소말리아 내전
1991년 소말리아 내전으로 중앙 정부의 권위가 붕괴된 후, 키스마요는 여러 군벌 세력 간의 격전지가 되었다. 모하메드 사이드 헤르시(모건 장군)의 지지자들과 소말리아 국민 전선(SNF), 주바 밸리 동맹(JVA)으로 알려진 바레 아단 시레 히랄 대령, 소말리아 애국 운동(SPM)의 오마르 제스 대령 등이 도시를 장악하기 위해 경쟁했다.[10] 1993년 1월, 구호 활동가 숀 데버루가 도시에서 암살되었다.[10]1993년 3월, 유엔 소말리아 개입의 일환으로 미국 해병대 수륙 양용 부대가 평화 유지를 위해 도시에 도착했다.[10] 1993년 12월까지 모건 장군의 군대는 평화 유지군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키스마요를 통제했다.[10] 마지막 UN 군대는 1994년 12월에 도시를 떠났다.[10]
모건 장군은 1998년 9월 3일 잠시 주발란드의 독립을 선언했다.[11] 그러나 그의 정치적 반대자들은 연합 소말리아 군(ASF)으로 연합하여 1999년 6월까지 키스마요를 장악했다.[12] 바레 아단 시레 히랄 대령이 이끄는 ASF 행정부는 2001년에 주바 밸리 동맹으로 이름을 변경했다.[13] 그 해 6월 18일, 11명의 부족 간 위원회는 JVA를 새로 형성된 과도 연방 정부와 동맹을 맺기로 결정했다.[14]
2006년, 이슬람 법정 연합(ICU)은 주발란드의 다르도 마레한(JVA) 거주자들과 싸워 소말리아 남부의 다른 지역을 침공하여 즉시 샤리아 법을 부과했다. 과도 연방 정부는 권위를 재확립하려 했고, 에티오피아 국방군, 아프리카 연합 평화 유지군, 미국의 공중 지원을 받아 경쟁 ICU를 몰아내고 통치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15]
2007년 1월 8일, 라스 캄보니 전투가 키스마요 바로 남쪽에서 격렬하게 벌어지자, TFG는 임시 거처인 바이도아에서 국가의 수도인 모가디슈로 이전했다.[16]
이 패배 이후 이슬람 법정 연합은 여러 파벌로 분열되었다. 알 샤바브를 포함한 일부 더 급진적인 세력은 TFG에 대한 반란을 계속하고 소말리아에 있는 에티오피아 군대의 존재에 반대하기 위해 재편성되었다. 2007년과 2008년 내내 알 샤바브는 군사적 승리를 거두며 소말리아 중부와 남부의 주요 도시와 항구를 장악했다. 2009년 1월까지 알 샤바브와 다른 민병대는 에티오피아 군대가 후퇴하도록 강요하여 장비가 부족한 아프리카 연합 평화 유지군이 과도 연방 정부의 군대를 지원하게 되었다.[17]
2012년 9월, 소말리아 군], 라스 캄보니 민병대, 케냐 국방군(KDF)은 모두 소말리아 주재 아프리카 연합 임무
3. 지리
키스마요는 소말리아 남동부의 비옥한 주바 계곡에 위치하며, 인도양에 면해 있다.
키스마요는 쾨펜 기후 구분 ''BWh''에 따른 열대 반건조 기후를 보인다. 일 년 내내 더운 날씨가 지속되며, 계절에 따른 몬순 바람과 불규칙한 강우량, 반복되는 가뭄이 나타난다. 남서 몬순이라고도 알려진 ''구'' 우기는 4월에 시작하여 7월까지 지속되며 상당한 양의 담수를 생성하고 무성한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한다. ''구'' 우기 이후에는 ''사가'' 건기가 이어진다.[70][71]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31.8°C | 33.1°C | 34°C | 37.8°C | 34°C | 34°C | 32.3°C | 32.4°C | 30.3°C | 31.5°C | 32.2°C | 33°C | 37.8°C |
평균 최고 기온 (°C) | 29.6°C | 29.9°C | 31°C | 31.8°C | 30.4°C | 28.6°C | 28°C | 28.3°C | 28.6°C | 29.5°C | 30.5°C | 30.5°C | 29.7°C |
평균 기온 (°C) | 27.1°C | 27.3°C | 28.2°C | 28.6°C | 27.3°C | 26.1°C | 25.6°C | 25.7°C | 26°C | 26.8°C | 27.5°C | 27.5°C | 27°C |
평균 최저 기온 (°C) | 24.2°C | 24.5°C | 25.4°C | 25.8°C | 24.8°C | 23.5°C | 23.1°C | 23.3°C | 23.3°C | 24°C | 24.5°C | 24.4°C | 24.2°C |
최저 기온 기록 (°C) | 21°C | 22°C | 23°C | 21.3°C | 20°C | 21°C | 19°C | 21°C | 22°C | 22.4°C | 22.5°C | 22°C | 19°C |
강수량 (mm) | 1mm | 1mm | 3mm | 39mm | 111mm | 89mm | 52mm | 21mm | 21mm | 15mm | 17mm | 3mm | 374mm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0 | 0 | 0 | 4 | 7 | 11 | 9 | 5 | 3 | 2 | 2 | 1 | 43 |
평균 상대 습도 (%) | 77 | 76 | 76 | 77 | 80 | 80 | 80 | 79 | 78 | 78 | 77 | 77 | 78 |
평균 일조 시간 | 235.6 | 226.0 | 248.0 | 210.0 | 257.3 | 207.0 | 192.2 | 251.1 | 225.0 | 248.0 | 225.0 | 217.0 | - |
평균 일일 일조 시간 | 7.6 | 8.0 | 8.0 | 7.0 | 8.3 | 6.9 | 6.2 | 8.1 | 7.5 | 8.0 | 7.5 | 7.0 | 7.5 |
평균 일조율 (%) | 64 | 73 | 69 | 62 | 59 | 57 | 56 | 62 | 64 | 66 | 66 | 66 | 64 |
3. 1. 위치
키스마요는 소말리아 남동부의 비옥한 주바 계곡에 위치해 있으며, 소말리아 해안에 접해 있다. 인근 정착지로는 북동쪽의 Xamareyso(), 북쪽의 달시스카(1.3nm), 북서쪽의 Qeyla Dheere(6.4nm), 서쪽의 Saamogia(0.9nm), 남서쪽의 Iach Bulle(), 남쪽의 Qandal(6.5nm) 등이 있다.[21] 키스마요와 가장 가까운 주요 도시로는 자마메(52km), 질립(97km), 메르카(337km)가 있다.[22]3. 2. 기후
키스마요는 열대 반건조 기후(쾨펜 기후 구분 ''BWh'')를 보인다. 일 년 내내 더운 날씨가 지속되며, 계절에 따른 몬순 바람과 불규칙한 강우량, 반복되는 가뭄이 나타난다. 남서 몬순이라고도 알려진 ''구'' 우기는 4월에 시작하여 7월까지 지속되며 상당한 양의 담수를 생성하고 무성한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한다. ''구'' 우기 이후에는 ''사가'' 건기가 이어진다.[70][71]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31.8°C | 33.1°C | 34°C | 37.8°C | 34°C | 34°C | 32.3°C | 32.4°C | 30.3°C | 31.5°C | 32.2°C | 33°C | 37.8°C |
평균 최고 기온 (°C) | 29.6°C | 29.9°C | 31°C | 31.8°C | 30.4°C | 28.6°C | 28°C | 28.3°C | 28.6°C | 29.5°C | 30.5°C | 30.5°C | 29.7°C |
평균 기온 (°C) | 27.1°C | 27.3°C | 28.2°C | 28.6°C | 27.3°C | 26.1°C | 25.6°C | 25.7°C | 26°C | 26.8°C | 27.5°C | 27.5°C | 27°C |
평균 최저 기온 (°C) | 24.2°C | 24.5°C | 25.4°C | 25.8°C | 24.8°C | 23.5°C | 23.1°C | 23.3°C | 23.3°C | 24°C | 24.5°C | 24.4°C | 24.2°C |
최저 기온 기록 (°C) | 21°C | 22°C | 23°C | 21.3°C | 20°C | 21°C | 19°C | 21°C | 22°C | 22.4°C | 22.5°C | 22°C | 19°C |
강수량 (mm) | 1 | 1 | 3 | 39 | 111 | 89 | 52 | 21 | 21 | 15 | 17 | 3 | 374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0 | 0 | 0 | 4 | 7 | 11 | 9 | 5 | 3 | 2 | 2 | 1 | 43 |
평균 상대 습도 (%) | 77 | 76 | 76 | 77 | 80 | 80 | 80 | 79 | 78 | 78 | 77 | 77 | 78 |
평균 일조 시간 | 235.6 | 226.0 | 248.0 | 210.0 | 257.3 | 207.0 | 192.2 | 251.1 | 225.0 | 248.0 | 225.0 | 217.0 | - |
평균 일일 일조 시간 | 7.6 | 8.0 | 8.0 | 7.0 | 8.3 | 6.9 | 6.2 | 8.1 | 7.5 | 8.0 | 7.5 | 7.0 | 7.5 |
평균 일조율 (%) | 64 | 73 | 69 | 62 | 59 | 57 | 56 | 62 | 64 | 66 | 66 | 66 | 64 |
4. 정치 및 행정
2012년 9월, 알 샤바브 반군 축출 후 소말리아 정부는 포괄적인 지역 행정부 수립을 위해 도시의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 간의 중재를 준비하기 시작했다.[28] 2013년 8월 28일, 줄란드 자치주는 아디스아바바에서 연방 정부와 국가 화해 협정을 체결했다. 하산 셰이크 모하무드 대통령을 대신하여 연방 대통령실 국무 장관인 파라 압둘카디르가 승인한 이 협정은 에티오피아 외무부의 중재로 이루어졌으며, 오랜 양자 회담을 거쳐 체결되었다.
협정 조건에 따라 줄란드는 2년 동안 줄바 임시 행정부에서 관리하며, 지역 현직 대통령인 아흐메드 모하메드 이슬람이 이끌게 된다. 지역 대통령은 새로운 행정 위원회의 의장으로, 세 명의 부통령을 임명한다. 또한 이 협정에는 줄란드의 군대가 소말리아 국군(SNA)의 중앙 지휘 아래 통합되고, 줄바 임시 행정부가 지역 경찰을 지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7][29]
키스마요는 다음의 4개 구역으로 나뉜다.
- 칼란레이
- 파르자노
- 샤칼라
- 파노올레
5. 경제
내전 이전에는 육류 통조림 공장, 피혁 공장, 현대적인 어류 가공 공장이 있었으나, 내전으로 설비가 피해를 입었다.[46][40]
2008년 1월부터 10월까지 노동자 1일당 임금은 52000SOS (2.2USD)에서 157500SOS (4.5USD)까지 상승했지만, 적미 1킬로그램의 가격도 14170SOS (0.61USD)에서 46000SOS (1.31USD)까지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32][41] 같은 기간 디젤 1리터의 가격은 43000SOS(1.23USD)이고 낙타 한 마리의 가격은 15000000SOS(435USD)이 넘는다.[32] 곡물 총 생산량은 780MT로 예상되었다.[33][42]
6. 교통
키스마요는 키스마요 공항(아흐마드 구레이 공항)과 키스마요 항구를 통해 항공 및 해상 교통을 연결한다.
키스마요 공항은 도심에서 약 10km 떨어져 있으며, 이전에는 소말리아 공군의 훈련 기지였다. 내전으로 파괴되었으나 2008년 이슬람 법정 회의에 의해 재개되었고[43], 아흐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가지의 이름을 따 개명될 예정이었다.[44]
키스마요 항구는 반도에 있는 대형 부두로, 1964년 바주니 제도에 항만 시설이 건설된 후 제방으로 연결되었다. 소말리아 해군과 소련 해군의 기지로 사용되었으며[45], 1984년 미국 지원으로 개조되었다.[46]
6. 1. 공항
키스마요 공항(아흐메드 구레이 공항)은 시내에서 약 10km 떨어진 곳에 있다. 소말리아 공군 훈련 기지였던 이 공항은 내전으로 폐쇄되고 시설이 파괴되었으나, 2008년 10월 이슬람 법정 연합에 의해 재개장되었다.[34] 같은 해, 16세기 소말리아 군사 지도자 아흐메드 구레이의 이름을 따 개명되었다.[35]

2013년 8월, 키스마요 공항은 주바 임시 행정부 관할이 되었다. 협약에 따라 6개월 후 소말리아 연방 정부로 관리 권한이 이전될 예정이었으며, 공항 수익과 자원은 주발랜드의 서비스, 보안, 지역 기관 발전에 사용될 예정이었다.[7]
6. 2. 항구
키스마요의 대형 부두는 소말리아해 연안의 반도에 있다. 과거 바주니 제도 중 하나였던 이 반도는 1964년 미국 지원으로 현대적인 키스마요 항구가 건설되면서 좁은 제방으로 연결되었다. 이 항구는 소말리아 해군의 기지였으며, 1969년 군사 쿠데타 이후에는 소련 해군의 기지로도 사용되었다.[37] 1984년, 소말리아와 미국은 약 630.94m 길이의 4선석 가장자리 부두가 심하게 훼손되어 대대적인 개보수가 필요해짐에 따라 항구를 공동으로 개조했다.[38]2013년 8월, 키스마요 항구는 주바 임시 행정부의 관할로 공식 편입되었다. 협정에 따르면, 시설 관리는 6개월 후 소말리아 연방 정부로 이관될 예정이었다. 항구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자원은 주바랜드의 서비스 제공, 안보 부문, 그리고 지역 기관 발전을 위해 배정될 예정이다.[7]
6. 3. 도로
키스마요는 3개의 주요 간선 도로를 통해 소말리아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 600km의 3번 도로는 주바 계곡을 따라 뻗어 있으며, 베레드 하워에서 시작하여 가르바하레이, 바르데라 및 부알레를 거쳐 키스마요에 도착한다.포장된 528km의 고속도로는 수도 모가디슈와 키스마요를 연결하며, 질립을 통과한다. 또 다른 고속도로는 키스마요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아프마도우를 거쳐 게도 지역 동부에 있는 도블레이로 이어진다.
2015년 1월, 임시 주바 행정부는 키스마요에서 교통 미화 및 청소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계획에는 막힌 거리와 차선을 정리하고, 불법 건물들을 철거하며, 시 도로망을 추가로 개발하는 것이 포함된다.[36]
7. 교육
2005년 8월에 키스마요 대학교가 설립되었다.[30] 키스마요에는 키스마요 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키스마요 대학교는 키스마요-모가디슈 간 주요 도로를 따라 북쪽으로 약 1km 지점에 위치해 있다.[30]
8. 여성 인권
9. 주민
소말리족이 중심이지만, 소말리아의 도시로서는 드물게, 바나디리인, 반투족계 소말리 반투, 브라바네세인, 바주니인, 인도계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다문화 도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of Kismayo, city and urban area
https://populationst[...]
[2]
웹사이트
Regions, districts, and their populations: Somalia 2005 (draft)
https://docs.unocha.[...]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0-12-31
[3]
서적
The shaping of Somali society: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a pastoral people, 1600–1900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5]
서적
The Benaadir Past: Essays in Southern Somali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6]
웹사이트
From the Bottom Up:—Conflict Dynamics International, Inc.
http://www.cdint.org[...]
[7]
뉴스
Somalia: Jubaland gains recognition after intense bilateral talks in Ethiopia
http://www.garoweonl[...]
2013-09-11
[8]
간행물
Journal of African History
[9]
서적
Somalia, proposals for the future
https://books.google[...]
SPM
[10]
뉴스
World News Briefs; Last U.N. Peacekeepers Prepare to Leave Somalia
https://query.nytime[...]
N.Y. Times
1994-12-12
[11]
웹사이트
Footnotes to History: G to J
http://www.buckyogi.[...]
[12]
웹사이트
Somalia Assessment, September 1999
http://www.nationala[...]
Country Information and Policy Unit, Immigration & Nationality Directorate, Home Office, UK
[13]
웹사이트
Somalia
http://www.worldstat[...]
2006-03-09
[14]
웹사이트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on the situation in Somalia, 11 Oct 2001, Document S/2001/963
http://www.afrol.com[...]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15]
웹사이트
Ethiopian Invasion of Somalia
http://www.globalpol[...]
Globalpolicy.org
2010-06-27
[16]
웹사이트
Somalia President, Parliament Speaker dispute over TFG term
http://www.garoweonl[...]
[17]
웹사이트
USCIRF Annual Report 2009 – The Commission's Watch List: Somalia
http://www.unhcr.org[...]
Unhcr.org
2010-06-27
[18]
웹사이트
Somali, AMISOM forces on the outskirts of Kismayo
http://www.peaceau.o[...]
AMISOM
2014-07-30
[19]
웹사이트
Jubaland in Jeopardy: The Uneasy Path to State-Building in Somalia
https://www.crisisgr[...]
International Crises Group
2013-05-21
[20]
웹사이트
Kismayo attack: At least 26 dead as gunmen storm Somali hotel
https://www.bbc.co.u[...]
2019-07-13
[21]
웹사이트
Kismaayo, Somalia
http://www.fallingra[...]
Falling Rain
2013-06-07
[22]
웹사이트
Kismayo (Chisimayu, Kismayu)
http://www.weather-f[...]
Weather-Forecast
2013-06-07
[23]
웹사이트
Klimatafel von Chisimaio (Kismayu) / Somali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10-24
[24]
웹사이트
Long term mean monthly sunshine fraction in Somalia
http://sddr.faoswali[...]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6-11-04
[25]
뉴스
Somalia's Islamists appoint Kismayo administration
Garowe Online
2008-09-06
[26]
뉴스
Islamic Courts Reject Administration Formed By Al-Shaabab in Kismayu city
All Africa
2008-09-08
[27]
뉴스
'Al Shabaab seize control of Kismayo after battle'
Garowe Online
2009-10-01
[28]
뉴스
African troops enter Somali port of Kismayo
http://www.dailytime[...]
2012-10-02
[29]
뉴스
Somalia gives recognition to Jubaland interim administration
http://www.ethpress.[...]
2013-09-11
[30]
웹사이트
Kismayo University
http://www.kismayoun[...]
2011-09-11
[31]
웹사이트
Jubbaland Women, Family Affairs and Human rights Ministry pushes for enactment of FGM bill to eradicate the vice in Jubbaland state
https://radiokismayo[...]
2024-10-09
[32]
웹사이트
2008 Commodities Prices
http://fsausomali.or[...]
Food Security Analysis Unit – Somalia,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33]
웹사이트
Southern Regions Analysis
http://fsausomali.or[...]
Food Security Analysis Unit – Somalia,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08-09-12
[34]
뉴스
Somalia: Flights Carrying Khat Banned From Kismayu Airport
http://allafrica.com[...]
2008-10-06
[35]
뉴스
Somalia Islamists rename Kismayo airport
http://afp.google.co[...]
2008-10-06
[36]
뉴스
The police commission of Kismayo plans to bulldoze the illegal buildings along the main roads
http://goobjoog.com/[...]
2015-01-18
[37]
뉴스
U.S. Will Spend $38.6 Million To Refurbish Port in Somalia
https://query.nytime[...]
UPI
1984-09-20
[38]
간행물
The Geology of Somalia: a Selected Bibliography of Somalian Geology, Geography and Earth Science
https://web.archive.[...]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07-02
[39]
웹사이트
http://www.kismayoun[...]
[40]
뉴스
Islamists Out, Somalia Tries to Rise From Chaos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07-01-07
[41]
간행물
2008 Commodities Prices
http://fsausomali.or[...]
Food Security Analysis Unit - Somalia,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42]
간행물
Southern Regions Analysis
http://fsausomali.or[...]
Food Security Analysis Unit - Somalia,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08-09-12
[43]
뉴스
Somalia: Flights Carrying Khat Banned From Kismayu Airport
http://allafrica.com[...]
2008-10-06
[44]
뉴스
Somalia Islamists rename Kismayo airport
http://afp.google.co[...]
AFP
2008-10-06
[45]
뉴스
U.S. Will Spend $38.6 Million To Refurbish Port in Somalia
https://www.nytimes.[...]
UPI
1984-09-20
[46]
간행물
The Geology of Somalia: a Selected Bibliography of Somalian Geology, Geography and Earth Science
http://stinet.dtic.m[...]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07-02
[47]
서적
The shaping of Somali society: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a pastoral people, 1600-1900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2
[48]
뉴스
内地向織物から輸出向に転換した試験場の指導と製品検査
http://lib.kobe-u.ac[...]
神戸大学新聞記事文庫
[49]
문서
アフリカの角と米ソ冷戦
http://hermes-ir.lib[...]
[50]
뉴스
World News Briefs; Last U.N. Peacekeepers Prepare to Leave Somalia
https://www.nytimes.[...]
N.Y. Times
1994-12-12
[51]
웹사이트
Footnotes to History: G to J
http://www.buckyogi.[...]
[52]
간행물
Somalia Assessment, September 1999
http://www.nationala[...]
Country Information and Policy Unit, Immigration & Nationality Directorate, Home Office, UK
[53]
웹사이트
Somalia
http://www.worldstat[...]
2006-03-09
[54]
웹사이트
Somali Islamists Quell Protest
http://www.somalilan[...]
Somalilandtimes
[55]
뉴스
イスラム武装勢力、南部主要港を奪取 - ソマリア
http://www.afpbb.com[...]
AFPBB
[56]
뉴스
反政府勢力最後の拠点制圧 - ソマリア
https://www.afpbb.co[...]
AFPBB
[57]
뉴스
Ethiopian tanks pound Mogadishu
http://news.bbc.co.u[...]
BBC
[58]
문서
海上保安庁による海事セキュリティの展開と強化
https://hdl.handle.n[...]
[59]
웹사이트
Islamist rebels in secret deal with Kismayo port militia
http://www.garoweonl[...]
Garowe online
[60]
웹사이트
Somalia: Under Islamic law, Kismayo calm and safe
http://www.garoweonl[...]
Garowe online
[61]
웹사이트
Somalia's Islamists appoint Kismayo administration
http://www.garoweonl[...]
Garowe online
[62]
웹사이트
Somalia: Al Shabaab seize control of Kismayo after battle
http://www.garoweonl[...]
Garowe online
[63]
웹사이트
Somalia: Top Al Shabaab leaders in Kismayo meeting
http://www.garoweonl[...]
Garowe online
[64]
웹사이트
Somalia: Kismayo's Islamists to build a mosque at old church site
http://www.garoweonl[...]
Garowe online
[65]
웹사이트
Somalia: Al Shabaab fighters 'destroy graves' in Kismayo
http://www.garoweonl[...]
Garowe online
[66]
웹사이트
Somalia: Islamists in Kismayo silence radio station for playing music
http://www.garoweonl[...]
Garowe online
[67]
뉴스
ソマリアのクイズ大会、優勝賞品はAK-47や手投げ弾
https://www.afpbb.co[...]
AFPBB
[68]
웹사이트
Somalia: Al-Shabab recruits 150 women in Kismayo
http://www.garoweonl[...]
Garowe online
[69]
뉴스
キスマユから撤退=イスラム過激派、拠点都市喪失―ソマリア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2-10-07
[70]
웹인용
Klimatafel von Chisimaio (Kismayu) / Somali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10-24
[71]
웹인용
Long term mean monthly sunshine fraction in Somalia
https://web.archiv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6-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