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르튀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르튀프는 1664년 초연된 몰리에르의 5막 희극으로, 위선적인 종교인의 모습을 풍자하여 종교적 권위와 맹목적인 믿음의 위험성을 비판한다. 작품은 타르튀프라는 인물이 오르공의 집에 머물며 그의 가족을 속이고 재산을 빼앗으려 하는 과정을 그린다. 종교적 위선을 폭로하는 내용으로 인해 초연 당시 교회와 성직자들의 반발에 부딪혀 상연이 금지되기도 했으나, 루이 14세의 지지 속에 수정과 개정을 거쳐 1669년 최종 버전이 공연되었다. 작품은 맹목적인 믿음의 위험성, 겉모습에 현혹되지 않는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현대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64년 희곡 - 강제 결혼 (희곡)
강제 결혼은 몰리에르가 발표한 1막짜리 희극으로, 50대 남성이 젊은 여성과의 결혼을 결심하면서 겪는 갈등과 소동을 통해 결혼에 대한 불안과 사회 풍속 등을 풍자한다. - 코미디 연극 - 사랑과 우연의 장난
사랑과 우연의 장난은 마리보의 3막 희극으로, 약혼자들의 신분 교환 설정을 통해 사랑의 본질과 사회적 계급을 다루며,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어 왔다. - 코미디 연극 - 라이어 (희곡)
일부다처주의자인 택시 운전사 존 스미스가 두 집 살림을 하면서 벌어지는 해프닝을 다룬 레이 쿠니의 코미디 희곡 라이어는 1998년 한국 초연 이후 20년 넘게 오픈런 공연을 이어오며 큰 인기를 얻고, 다양한 국가에서 공연 및 영화로 각색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시리즈로 제작되어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 몰리에르의 희곡 - 스카팽의 간계
몰리에르의 희극 스카팽의 간계는 아버지 부재중인 젊은 연인들의 사랑과 하인 스카팽의 활약을 그린 3막 산문 희극으로, 《포르미오》에서 영감을 받아 코메디아 델라르테와 타바랭 스타일의 익살이 더해진 작품이다. - 몰리에르의 희곡 - 상상병 환자
《상상병 환자》는 몰리에르가 1673년에 발표한 3막 희극으로, 건강염려증 환자 아르강을 통해 돈에 대한 욕망, 진정한 사랑, 가족애를 풍자적으로 그린 작품이며, 몰리에르 자신의 죽음과 관련된 비극적인 일화로도 알려져 있다.
| 타르튀프 | |
|---|---|
| 기본 정보 | |
![]() | |
| 원제 | Tartuffe, ou l'Imposteur (타르튀프, 또는 사기꾼) |
| 작가 | 몰리에르 |
| 초연 | 1664년 |
| 장르 | 희극 |
| 배경 | 1660년대, 파리의 오르공의 집 |
| 등장인물 | |
| 주요 인물 | 타르튀프 오르공 엘미르 다미스 마리안 클레앙트 도로린 |
| 일본어 정보 | |
| 제목 (일본어) | タルチュフ |
| 작가 (일본어) | モリエール |
| 프랑스어 정보 | |
| 원제 (프랑스어) | Le Tartuffe ou l'Imposteur |
2. 역사적 배경
1664년 베르사유 궁전 축제에서 초연된 《타르튀프》는 곧 천주교 교회와 성직자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혀 공연이 전면 금지되었다.[2] 이는 '희극'의 본분을 잊고 감히 '종교' 문제를 다루었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몰리에르는 루이 14세에게 청원을 넣고, 내용을 수정하여 제목을 바꾸는 등 공연을 위해 백방으로 노력했으나, 고등법원에 제기한 소송도 실패로 돌아갔다. 초연 후 5년이 지나서야 작품에 대한 금지가 해제되었다.
《타르튀프》 공연이 순탄치 않았던 배경에는 정치, 종교적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특히 종교인의 위선을 폭로한 내용이 성체 성사의 동지회(Compagnie du Saint-Sacrement)를 비롯한 프랑스 로마 가톨릭교회 일부 계층과 프랑스 상류 사회의 분노를 샀다.
루이 14세는 몰리에르를 지지했지만, 공개 공연은 금지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귀족을 위한 비공개 공연은 이루어졌다.[6]
2. 1. 초연과 상연 금지
1664년 베르사유에서 열린 "마법의 섬의 즐거움" 축제에서 3막으로 구성된 《타르튀프》가 초연되었다.[14] 이 공연은 루이 14세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53][54] 왕의 고해사제이자 파리 대주교였던 아르두앵 드 페레픽스의 영향으로 곧 상연이 금지되었다.[2] 왕은 종교 문제에 대한 예민함 때문에, 희곡 속에서 악덕과 미덕이 혼동될 수 있는 점을 우려하여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고 전해진다.[2]몰리에르는 이후에도 작품 상연을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였다. 루이 14세에게 청원을 넣고, 내용 일부를 수정하여 제목을 《사기꾼》으로 바꾸어 공연을 시도하기도 했다.[57] 또한 공연 금지 조치가 부당하다며 고등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으나, 모든 노력이 실패로 돌아갔다.[58]
1664년 9월 25일, 루이 14세의 동생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를 위해 빌레르코트레에서, 11월 29일에는 콩티 공 아르망 드 부르봉을 위해 랭시 성에서 비공개 공연이 이루어졌다.[16]
1667년 8월 5일, 5막으로 구성된 《사기꾼》이 팔레 루아얄 극장에서 단 한 번 공연되었으나, 파리 대주교 페레픽스에 의해 다시 금지되었다.[15]
결국 1669년 2월 5일, 최종 수정된 5막 구성의 《타르튀프 또는 사기꾼》이 팔레 루아얄 극장에서 공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15] 이 버전이 출판되어 현재까지 공연되고 있다.[15]
2. 2. 상연 재개와 성공
1669년 2월 5일, 몰리에르는 대부분 최종 수정된 5막 구성의 《타르튀프 또는 사기꾼》을 팔레 루아얄 극장에서 공연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15] 이 버전은 출판되었으며,[17] 오늘날 일반적으로 공연되는 버전이다.[15] 이는 그동안 상연에 반대해 온 기독교 광신자들의 세력이 약화된 덕분이었다.3. 등장인물
| 등장인물 | 설명 |
|---|---|
| 마담 페르넬 | 오르공의 어머니로, 타르튀프에게 속는다. |
| 오르공 | 부유한 가장이자 엘미르의 남편. 타르튀프에게 속아 그에게 모든 것을 의지하는 비이성적인 모습을 보인다. |
| 엘미르 | 오르공의 아내. 타르튀프의 정체를 간파하고 그의 위선을 폭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다미스 | 오르공의 아들. 타르튀프의 위선을 폭로하려 한다. |
| 마리안느 | 오르공의 딸로, 발레르와 약혼한 사이지만 타르튀프와 강제로 결혼할 위기에 처한다. |
| 발레르 | 마리안느의 약혼자. |
| 클레앙트 | 오르공의 처남으로, 이성적인 조언자 역할을 한다. |
| 타르튀프 | 겉으로는 독실한 신앙인처럼 보이지만, 속으로는 탐욕스럽고 위선적인 인물이다. |
| 도린 | 마리안느의 하녀로, 재치 있고 코믹한 인물이다. |
| 로랑 | 타르튀프의 하인 (대사 없음) |
| 플리포트 | 마담 페르넬의 하인 (대사 없음) |
| 무슈 로얄 | 집달리 |
| 국왕의 관리/면제관 |
4. 줄거리
1660년대 파리에 있는 오르공의 집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오르공은 타르튀프라는 거짓 성직자를 집으로 데려와 성인처럼 떠받들며 가족들에게도 그에게 복종할 것을 강요한다. 오르공의 처남 클레앙트는 타르튀프를 비판하지만, 오르공은 타르튀프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을 거두지 않는다.
타르튀프의 위선적인 행동은 가족과 친구들에게는 통하지 않았고, 그들은 타르튀프를 혐오한다. 오르공은 이미 발레르와 약혼한 딸 마리안느와 타르튀프를 강제로 결혼시키려 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된다.
가족들은 오르공에게 타르튀프의 진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함정을 판다. 타르튀프가 오르곤의 아내 엘미르에게 욕정을 고백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오르공의 아들 다미스가 타르튀프를 고발하지만, 타르튀프는 오히려 자신이 죄인이라고 말하며 오르공을 속인다.
Oui, mon frère, je suis un méchant, un coupable. Un malheureux pécheur tout plein d'iniquité|네, 형제여, 저는 악하고 죄 많은, 죄악으로 가득 찬 불쌍한 죄인입니다.프랑스어[4]
결국 오르곤은 타르튀프에게 속아 자신의 모든 재산을 넘긴다.
엘미르는 오르공에게 자신과 타르튀프의 만남을 목격하도록 제안하고, 오르공은 탁자 아래에 숨는다. 오르공은 엘미르가 타르튀프의 적극적인 구애를 거부하는 것을 듣고, 타르튀프가 자신을 죄짓게 하려는 위험한 순간에 탁자 밑에서 나와 타르튀프에게 집에서 나가라고 명령한다. 그러나 타르튀프는 오르곤의 약점을 이용하여 그를 궁지에 몰아넣으려 한다. 타르튀프는 오르곤에게 폭로 서한이 담긴 상자를 맡겼다고 말하며, 오르곤에게 집에서 나가라고 한다.
발레르가 급히 들어와 타르튀프가 오르곤을 반역자를 도운 죄로 고발했고 오르곤이 체포될 것이라는 소식을 전한다. 오르곤이 도망치기 전에 타르튀프가 한 관리와 함께 나타나지만, 뜻밖에도 관리가 체포하는 것은 타르튀프였다. 루이 14세 국왕(이름은 언급되지 않음)은 타르튀프의 오랜 범죄 경력을 알고 있었고, 그의 체포를 명령한 것이다. 국왕은 오르곤의 이전 공로를 인정하여 그를 용서하고, 타르튀프에게 넘어간 재산도 돌려준다.
온 가족은 위기에서 벗어나고, 오르곤은 발레르와 마리안느의 결혼을 발표한다. 이러한 결말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의 예시로 볼 수 있다.
4. 1. 상세 줄거리 (막별 구성)
타르튀프는 5막으로 구성된 희극으로, 각 막은 등장인물들의 갈등과 타르튀프의 위선이 점차 드러나는 과정을 보여준다.| 막 | 내용 |
|---|---|
| 제1막 | 오르곤의 집에서 벌어지는 소동을 통해 타르튀프에 대한 인물들의 상반된 태도를 보여준다. 오르곤과 그의 어머니 페르넬 부인은 타르튀프를 맹신하지만, 다른 가족들은 그의 위선을 의심한다. 오르곤은 프롱드의 난에 참전했던 용기있는 인물이었으나, 타르튀프에게 빠져 클레앙트의 조언도 무시한다. |
| 제2막 | 오르곤은 딸 마리안느와 발레르의 약혼을 파기하고 타르튀프와의 결혼을 강요한다. 마리안느는 절망하고, 하녀 도린느가 중재에 나선다. |
| 제3막 | 타르튀프의 위선이 점차 드러난다. 오르곤의 아들 다미스가 타르튀프가 엘미르를 유혹했다고 고발하지만, 오르곤은 오히려 다미스를 내쫓고 타르튀프에게 재산을 넘긴다. 타르튀프는 Oui, mon frère, je suis un méchant, un coupable. Un malheureux pécheur tout plein d'iniquité|네, 형제여, 저는 악하고 죄 많은, 죄악으로 가득 찬 불쌍한 죄인입니다.프랑스어라고 말하며 자신의 죄를 고백하는 척한다.[4] |
| 제4막 | 엘미르는 타르튀프의 불륜을 보여주기 위해 함정을 파고, 오르곤은 탁자 밑에 숨는다. 타르튀프는 엘미르에게 추파를 던지며 오르곤을 험담하고, 결국 오르곤은 타르튀프를 내쫓는다. 하지만 타르튀프는 집문서를 빌미로 오르곤을 협박한다. 클레앙트는 타르튀프에게 자식 문제를 해결하라 하지만, 타르튀프는 신을 핑계로 거절한다. |
| 제5막 | 타르튀프는 오르곤을 반역자로 고발하지만, 루이 14세는 타르튀프의 악행을 간파하고 그를 체포한다. 국왕은 오르곤의 과거 공로를 인정하여 그를 용서하고, 타르튀프에게 넘어간 재산도 돌려준다. 오르곤 가족은 위기에서 벗어나고, 마리안느와 발레르는 결혼하게 된다. 이러한 결말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의 예시로 볼 수 있다. |
4. 1. 1. 제1막
오르공의 어머니 페르넬 부인은 아들 오르공의 재혼 상대인 엘미르를 비롯한 집안의 젊은이들을 불경하다며 호통치는 장면으로 막이 오른다. 페르넬 부인은 독실한 신앙심에 사로잡혀 타르튀프를 성인 군자로 숭배하지만, 젊은이들은 타르튀프가 위선자에 불과하다는 것을 간파하고 있으며, 그가 오르공 가에서 큰소리치는 것이 못마땅하다. 오르곤 또한 과거에는 프롱드의 난 때 왕을 위해 싸운 용기와 사려 깊은 인물이었지만, 현재는 페르넬 부인과 마찬가지로 타르튀프를 가족보다 더 소중하게 여기는 지경이다. 오르곤이 장사에서 돌아왔지만, 엘미르가 몸이 아팠는데도 타르튀프의 일만 신경 쓴다. 클레앙트가 정신을 차리게 하려고 자신의 생각을 말하지만, 수포로 돌아간다. 마지막으로 마리아나와 발레르의 결혼에 대해 묻지만, 이미 허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얼버무리며 이야기를 회피하려는 오르곤 때문에 오르곤이 이 문제에 대해서도 변심한 것이 아닌가 걱정하는 클레앙트였다.4. 1. 2. 제2막
오르공은 이미 허락했던 마리안느와 발레르의 결혼을 취소하고, 타르튀프와 결혼하라고 말했다.[4] 절망한 마리안느 대신, 하녀 도린느가 오르공에게 "미쳤느냐"며 독설을 퍼부으며 타르튀프와의 결혼을 막으려 하지만, 효과가 없었다. 마리안느는 발레르를 사랑해서 결혼에 반대하지만, 딸로서 부모의 명령에 따라야 한다는 의무감 때문에 연인과 부모 사이에서 갈등하며 괴로워한다. 마리안느는 도린느에게 도움을 청하고, 도린느는 처음에는 마리안느가 오르공에게 아무 말도 못한 것을 안타까워하며 포기하려 한다. 하지만 마리안느가 자살을 암시하자, 도린느는 서둘러 돕겠다고 약속한다.[62]결혼 소식을 들은 발레르가 뛰어 들어온다. 두 사람은 여전히 서로 사랑하지만, 우유부단한 마리안느에게 발레르는 화를 내고, 다툼이 벌어진다. 도린느의 중재로 관계가 간신히 수습되고, 발레르와 마리안느는 도린느와 함께 오르공의 강요된 결혼을 파혼시키기로 한다.[63][64]
4. 1. 3. 제3막
오르곤의 아들 다미스는 타르튀프가 엘미르(오르곤의 아내)를 유혹하려 했다고 고발한다. 그러나 오르곤은 타르튀프의 계략에 넘어가 다미스를 거짓말쟁이로 몰아 집에서 내쫓는다.[4] 타르튀프는 자신이 가장 큰 죄인이라고 말하며 역심리를 이용한다.
Oui, mon frère, je suis un méchant, un coupable.프랑스어Un malheureux pécheur tout plein d'iniquité프랑스어
(해석: 네, 형제여, 저는 악하고 죄 많은, 죄악으로 가득 찬 불쌍한 죄인입니다.)
결국 오르곤은 타르튀프에게 속아 자신의 모든 재산을 그에게 넘기기로 결심한다.
4. 1. 4. 제4막
클레앙트는 타르튀프에게 “그리스도인이라면 자식이 부모에게 쫓겨나는 것을 묵묵히 보고만 있을 수 있나? 화해시켜야 한다.”고 다그치지만, 타르튀프는 “나도 그러고 싶지만, 신이 허락하지 않는다.”는 등 여전히 위선적인 태도를 보이며 이유를 대고 도망친다.[4]
엘미르는 타르튀프의 불륜을 직접 보여주기 위해 함정을 파기로 한다. 마침내 오르공이 결혼 계약서를 가지고 왔지만, 광신적인 오르공은 비난에도 불구하고 생각을 바꾸려 하지 않는다. 엘미르는 오르공에게 책상 아래에 숨어 타르튀프와 자신의 만남을 지켜보라고 제안한다. 타르튀프는 엘미르와 단둘이 남자 다시 추파를 던지고, 오르공을 바보 취급하는 등 본성을 드러낸다.

마침내 오르공도 정신을 차리고 타르튀프를 쫓아낸다. 그러나 타르튀프는 떠나면서 “이 집은 내 것이다. 나가는 것은 너다.”라는 막말을 남긴다. 오르공은 재산 증여와 비밀(어떤 남자를 숨겨준 것과 그 남자의 귀중한 물건이 모두 담긴 상자를 맡긴 것) 등으로 약점을 잡혀 초조해한다.
4. 1. 5. 제5막
로열 씨가 타르튀프와 법원으로부터 온 메시지를 가지고 나타나는데, 오르곤 가족은 이제 타르튀프의 소유가 된 집을 떠나야 한다. 도린은 로열 씨의 가짜 충성심을 조롱한다. 심지어 아들의 목격에도 불구하고 타르튀프의 잘못을 믿지 않던 페르넬 부인조차도 타르튀프의 이중성을 확신하게 된다.[4]로열 씨가 떠난 후, 발레르가 급히 들어와 타르튀프가 오르곤을 반역자를 도운 죄로 고발했고 오르곤이 체포될 것이라는 소식을 전한다. 오르곤이 도망치기 전에 타르튀프가 한 관리와 함께 나타나지만, 놀랍게도 그 관리가 타르튀프를 체포한다. 그 관리는 루이 14세 국왕(이름은 언급되지 않음)이 집에서 일어나는 부정에 대해 듣고 타르튀프의 배신에 경악하여 대신 타르튀프의 체포를 명령했다고 설명한다.
타르튀프는 오랜 범죄 경력이 있고 체포를 피하기 위해 종종 이름을 바꿨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국왕은 오르곤의 이전 공로를 기억하여 그가 서한을 보관한 것을 용서할 뿐만 아니라 타르튀프에게 오르곤의 집과 재산을 소유하게 한 증서도 무효화한다. 온 가족은 오르곤의 잠재적인 불명예와 재산 상실이라는 수치에서 벗어났다는 사실에 감사한다.
극은 잘 마무리되고, 오르곤은 발레르와 마리아네의 결혼을 발표한다. 예상치 못한 국왕의 자비로운 개입으로 모든 것이 바로잡히는 놀라운 반전 결말은 고전적인 연극 구성 요소인 ''데우스 엑스 마키나''의 주목할 만한 현대적 예로 간주된다.
5. 작품 분석 및 비평
Tartuffe|타르튀프프랑스어는 종교를 이용하여 자신의 욕망을 채우는 위선적인 인물 타르튀프를 통해 17세기 프랑스 사회의 종교적 부패를 반영하고, 종교적 외형에 속지 말고 진정한 신앙의 의미를 되새겨야 함을 강조한다.[75][76] 몰리에르의 희곡으로 인해 현대 프랑스어와 영어 모두 "타르튀프"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특히 종교적 미덕을 겉으로 과장되게 가장하는 위선자를 지칭한다.[3]
《타르튀프》는 대중과 루이 14세에게 호평을 받았지만, 위선적인 종교인을 묘사하여 즉각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프랑스 로마 가톨릭교회의 일부 계층, 프랑스 상류 사회, 성체 성사의 동지회(Compagnie du Saint-Sacrement) 등이 반대했다. 파리 대주교 페레픽스는 연극 관람을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했다.[5]
루이 14세는 몰리에르를 지지하여 공개 공연은 금지되었지만, 프랑스 귀족을 위한 비공개 공연은 이루어졌다.[6] 1669년에야 최종 버전 공연이 허가되었지만, 몰리에르는 이후 이처럼 날카로운 작품을 쓰지 않았다.[7]
작품에서는 등장인물의 내면적인 묘사를 통해 "보이는 것이 반드시 진실은 아니다"라는 바로크 연극의 특징을 표현하였다.[67] 클레앙트는 광신적인 오르공에게 "세상에는 가짜 용사가 있는 것처럼, 가짜 신자도 있습니다."라고 말하며, 진정한 신앙과 가짜 신앙을 구별하지 못하는 오르공을 비판한다. 오르공은 타르튀프의 계략에 넘어가 다미스를 쫓아내지만, 엘미르의 기지로 타르튀프의 부정행위를 목격하고 정신을 차린다.[71]
본 작품은 "눈은 뜨고 있지만 전혀 보지 못하는 인간"과 "본질을 간파할 수 있는 인간"의 대립 관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데우스 엑스 마키나인 국왕만이 타르튀프의 정체를 간파하고 오르공을 구원한다.[72][74]
5. 1. 종교적 위선에 대한 풍자
Tartuffe프랑스어는 종교를 이용하여 자신의 욕망을 채우는 위선적인 인물로, 17세기 프랑스 사회의 종교적 부패를 반영한다.[75][76] 몰리에르는 타르튀프를 통해 종교적 외형에 속지 말고, 진정한 신앙의 의미를 되새겨야 함을 강조한다.몰리에르의 희곡으로 인해 현대 프랑스어와 영어 모두 "타르튀프"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특히 종교적 미덕을 겉으로 과장되게 가장하는 위선자를 지칭한다.[3]
《타르튀프》는 대중과 루이 14세에게도 호평을 받았지만, 외견상 경건하지만 근본적으로는 탐욕스럽고 음탕하며 기만적인 인물을 묘사하고, 경건함을 가장하여 다른 사람들을 이용하는 그의 모습에 많은 집단이 공격을 받으면서 즉각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몰리에르 작품에 반대한 세력에는 프랑스 로마 가톨릭교회의 일부 계층, 프랑스 상류 사회의 구성원, 성체 성사의 동지회(Compagnie du Saint-Sacrement)라고 불리는 불법적인 지하 조직이 포함되었다.
《타르튀프》의 인기는 파리 대주교 페레픽스가 연극을 관람하거나 공연하거나 읽는 모든 사람에게 파문을 선고한다는 칙령을 발표하면서 갑자기 중단되었다.[5]
몰리에르와 교회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루이 14세는 계속해서 극작가를 지지했다. 공개 공연은 금지되었지만, 프랑스 귀족을 위한 비공개 공연은 이루어졌다.[6] 1669년, 몰리에르의 비난자들이 영향력을 상당히 잃은 후에야 그는 마침내 자신의 연극의 최종 버전을 공연할 수 있었다. 그러나 《타르튀프》를 둘러싼 모든 논란으로 인해 몰리에르는 다시는 이처럼 날카로운 연극을 거의 쓰지 않았다.[7]
풍자적인 반교권적인 잡지 《라 칼로트(La Calotte)》가 1906년에 발행을 시작했을 때, 그 첫 번째 사설은 "웃음은 타르튀프의 병사들이 두려워하는 유일한 무기이다"라고 주장했고, 새로운 잡지는 가톨릭교회와 성직자들을 무자비하게 풍자하는 기사와 만화로 그 무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11][12][13]
작품에서는 등장인물의 내면적인 묘사를 통해 "보이는 것이 반드시 진실은 아니다"라는 바로크 연극의 특징을 표현하였다.[67] 1막 5장에서 클레앙트는 광신적인 오르공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 '''클레앙트''': 세상에는 가짜 용사가 있는 것처럼, 가짜 신자도 있습니다. 명예에 이끌려 나아갈 때, 진정한 용사는 소란을 피우는 것이 아닙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본받아야 할 참된 신자는, 엄숙하게 얼굴을 찡그리는 모습을 보이지 않습니다. 도대체, 아우께서는 가짜 신앙과 진정한 신앙을 전혀 구별하지 못하십니까? 이 두 가지를 비슷한 말로 다루고, 가면에도 맨얼굴과 같은 존경을 표하고, 사기와 성의를 동일시하고, 허울과 진실을 혼동하고, 유령을 인간과 마찬가지로 존경하고, 위조 지폐를 진짜와 마찬가지로 인정하려는 것입니까?
오르공은 자신의 눈으로 확인한 것만을 믿기 때문에, 타르튀프의 신앙심 깊은 모습(겉치레에 불과하지만)을 보고 믿었으며, 다미스가 타르튀프의 부정 행위 현장을 목격했다고 호소해도 듣지 않았다.[69]
> '''타르튀프''': 이런 일로, 어째서 제 편을 들어주시는 겁니까? 저라고 해서, 어떤 일을 저지르지 않을 거라고는 단언할 수 없습니다. 당신은 제 겉모습만을 믿고 계십니까? 신앙심 깊게 행동하니까, 제가 조금은 나은 인간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아닙니다, 당신은 외관에 속고 계십니다. 유감스럽지만, 저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 같은 훌륭한 인간이 아닙니다. 모두 저를 훌륭한 인물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아무런 가치도 없는 인간입니다.
오르공은 이 타르튀프의 계략에 완벽하게 걸려들어, 다미스를 쫓아낸다. 엘미르의 기지로, 마침내 타르튀프의 부정 행위 장면을 목격하고, 마침내 정신을 차린다.[71]
오르공의 어머니, 펠넬 부인은 다른 등장인물처럼 사건이나 인물의 본질을 간파하는 능력이 없었다.[72]
> '''펠넬 부인''': 사람은 언제나 험담을 퍼뜨리는 법이죠. 막을 수도 없고, 세간을 상대로는 어떻게 할 수도 없습니다.
> '''오르공''': 그런 무리한 말이 어딨습니까, 저는 봤다고 말씀드리고 있지 않습니까, 제 눈으로 봤습니다. 봤다고 하면 본 것입니다. 몇 번이나 반복해서 큰 소리로 외치라고 하는 겁니까!
> '''펠넬 부인''': 아, 그래, 사람은 자주 겉모습에 속는 법이죠. 본 것만으로는 항상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본 작품은 "눈은 뜨고 있지만 전혀 보지 못하는 인간"과 "본질을 간파할 수 있는 인간"의 대립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유일하게 그것이 가능한 것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인 국왕 폐하였던 것이다.[72]
> '''경찰''': 안심하십시오. 우리는 사기와 기만을 눈엣가시로 여기는 국왕 폐하 밑에서 살고 있습니다. 폐하의 눈은, 모든 사람의 마음을 꿰뚫어보시고, 어떤 사기꾼의 계략을 써서도, 이것을 속일 수는 없습니다. 폐하는 예리한 판단력을 갖추고 계시며, 항상 사물을 올바르게 보십니다. (중략) 이 남자도 폐하의 마음의 틈을 타 들어올 수 없었습니다. 폐하는 더욱 교묘한 함정을 쳐서, 이 남자로부터 몸을 지키셨습니다. 폐하의 혜안은, 이 남자의 마음속 구석구석에 깃든 비열한 생각의 전부를, 일찍이 간파하고 계셨습니다.
전능한 절대 권력자인 국왕은, 그 예리한 판단력으로 타르튀프의 정체를 간파하고, 오르공을 지켰다.[74]
다음 장면은 17세기 당시 성직자들의 부패를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다.[75][76]
> '''타르튀프''': 아! 할 수 있다면 저도 기꺼이 그렇게 하고 싶습니다. 저도 그 청년을 별로 나쁘게 생각하는 것은 아니고, 모든 것을 용서하고 있습니다. 하나도 꾸짖으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마음으로부터 그를 위해 헌신하고 싶다고 생각조차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신의 뜻이 그것에 반대하는 것입니다. 그 청년이 여기로 돌아온다면, 제가 나가야 합니다. 그런 터무니없는 행동을 당한 후에, 우리가 아무렇지도 않은 척 사귀었다면, 차라리 나쁜 소문이 날 것입니다. (중략) 방금 말씀드린 대로, 제 마음은, 이미 그를 용서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신이 명령하신 일을 하는 것이 아닙니까. 그러나, 오늘처럼 소란을 피우고, 모욕을 받았기 때문에, 신도 제가 그와 함께 사는 것을 명령하지 않을 것입니다.
몰리에르는 위선자의 비열함을 폭로하는 이 수법을, 차기작인 『돈 주앙』에서도 거의 같은 형태로 사용하고 있다. 『타르튀프』가 광신자들의 격렬한 공격을 받고, 상연 중지가 되었기 때문에 쓴 『돈 주앙』에서 같은 내용을 담은 것이다.[77]
5. 2. 몰리에르의 투쟁과 예술가 정신
몰리에르는 종교적, 정치적 압력에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에 따라 작품 활동을 계속했다. 1664년 베르사유에서 초연된 《타르튀프》는 교회와 성직자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켜 공연이 금지되기도 했다.[2] 몰리에르는 작품을 지키기 위해 루이 14세에게 청원하고, 제목을 바꾸는 등 여러 노력을 했지만, 5년이 지나서야 공연 금지가 풀렸다.《타르튀프》가 이토록 논란이 된 이유는 종교인의 위선을 폭로한 내용 때문이었다. 오르공의 집에 들어온 성직자 타르튀프는 성인처럼 행세하며 가족들을 강제로 복종시키려 한다. 가족들은 타르튀프의 위선을 지적하지만, 오르공은 그를 맹신한다. 타르튀프는 오르공의 아내를 유혹하려다 발각되지만, 오르공은 여전히 그를 믿는다. 결국 엘미르가 덫을 놓아 타르튀프의 실체를 밝혀낸다.
몰리에르의 삶은 투쟁의 연속이었다. 그는 중세로 돌아가려는 귀족, 타락한 종교인, 낡은 의술을 고집하는 의사 등 시대착오적인 세력과 맞서 싸웠다. 루이 14세는 새로운 권력을 확립하기 위해 몰리에르를 지원했고, 《타르튀프》는 이들의 이해관계 속에서 탄생한 작품이었다. 그러나 루이 14세는 곧 예술적 자유를 억압하기 시작했고, 자유를 갈망했던 몰리에르는 이에 저항했다. 루이 14세와 몰리에르의 만남, 협력, 결별은 절대 권력과 자유의 가치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는 드라마였다. 《타르튀프》는 이 드라마의 중심에 있는 작품으로, 절대 권력에 맞서 자유를 옹호하려는 예술가의 정신을 보여준다.
《타르튀프》는 대중과 루이 14세의 호평에도 불구하고, 위선적인 종교인을 묘사하여 논란을 일으켰다.[3] 프랑스 가톨릭교회, 상류 사회, 성체 성사의 동지회(Compagnie du Saint-Sacrement) 등이 반대했다. 파리 대주교는 연극 관람을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했고, 몰리에르는 교회를 달래려 했지만 소용없었다. 1667년에는 제목을 《사기꾼》으로 바꾸고 내용을 수정했지만, 공연은 다시 금지되었다.[5]
몰리에르는 루이 14세의 지지 덕분에 파문을 면할 수 있었다. 공개 공연은 금지되었지만, 귀족들을 위한 비공개 공연은 가능했다.[6] 1669년에야 최종 버전 공연이 허가되었지만, 몰리에르는 이후 이처럼 날카로운 작품을 쓰지 않았다.[7]
몰리에르의 동맹자들은 《사기꾼 희극에 대한 편지》를 통해 《타르튀프》를 옹호했다. 이들은 연극이 종교를 다루면 안 된다는 주장과 타르튀프의 행동이 관객에게 영향을 줄 것이라는 주장을 반박했다. 이들은 타르튀프의 행동이 희극적이며, 부조화를 통해 진실을 드러낸다고 주장했다.[10]
5. 3.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Tartuffe|타르튀프프랑스어는 종교적 위선을 풍자한 작품으로, 현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도 일부 종교 지도자들의 도덕성 문제나 사이비 종교 문제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5] 이러한 현실에서 Tartuffe|타르튀프프랑스어는 종교적 권위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건강한 의심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몰리에르가 Tartuffe|타르튀프프랑스어를 통해 종교의 부패와 위선을 폭로했듯이, 현대 사회에서도 종교적 권위를 맹신하지 않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7]6. 각색 및 현대적 재해석
몰리에르 시대 이후로, 『타르튀프』는 코메디 프랑세즈의 레퍼토리에 계속 남아 있으며, 그곳에서 가장 많이 공연되는 작품이다.[18]
러시아의 연극인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는 1938년 사망할 때까지 『타르튀프』의 공연을 준비하고 있었다. 이는 미하일 케드로프에 의해 완성되어 1939년 12월 4일에 개막되었다.[19]
브로드웨이 초연은 뉴욕의 ANTA 워싱턴 스퀘어 극장에서 1965년 1월 14일부터 5월 22일까지 공연되었다.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
| 배역 | 배우 |
|---|---|
| 타르튀프 | 마이클 오설리번 |
| 도린 | 사다 톰프슨 |
| 엘미르 | 살로메 옌스 |
| 로열 씨 | 할 홀브룩 |
| 왕의 관리 | 존 필립 로 |
| 다미스 | 로런스 러킨빌 |
| 하인 | 토니 로 비앙코 |
[20]
국립극장은 1967년에 리처드 윌버 번역본을 사용하여 공연을 올렸다.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
[21]
1977년 서클 인 더 스퀘어 극장에서 리처드 윌버 번역본으로 공연된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
| 배역 | 배우 |
|---|---|
| 타르튀프 | 존 우드 |
| 엘미르 | 태미 그라이므스 |
| 오르공 | 스테판 기어래시 |
| 다미스 | 레이 와이즈 |
| 마리아네 | 스위지 커츠 |
| 도린 | 패트리샤 엘리엇 |
[22]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크리스토퍼 햄프턴 번역본을 사용하고 빌 알렉산더가 연출한 작품을 1983년 런던의 더 핏 극장에서 공연했다.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
[23]
찰스 랜돌프-라이트는 1999년 7월 샌프란시스코의 아메리칸 콘서바토리 극장에서 『타르튀프』를 연출했는데, 이 작품은 1950년대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의 부유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을 배경으로 했다.[24]
란짓 볼트의 번역본은 1991년 런던의 플레이하우스 극장에서 공연되었고,[25] 2002년 런던 국립극장에서도 공연되었다.[26]
데이비드 볼은 2006년 주느 뤼느 극장을 위해 『타르튀프』를 각색했고, 도미니크 세란은 2015년 버클리 레퍼토리 극장, 사우스 코스트 레퍼토리, 셰익스피어 극장과의 공동 제작으로 이 작품을 재연출했다.[27]
리버풀 출신 시인 로저 맥고의 번역본은 2008년 5월 리버풀 플레이하우스에서 초연되었고, 이후 킹스턴 로즈 극장으로 이전했다.[28]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아닐 굽타와 리처드 핀토가 쓴 새로운 버전을 제작했는데, 이 버전은 이야기의 배경을 현대 파키스탄계 무슬림 사회인 버밍엄의 스파크힐로 옮겼다. 이 작품은 2018년 9월 스트랫퍼드 어폰 에이번 스완 극장에서 초연된 후 2022년 10월 버밍엄 레퍼토리 극장으로 이전했다.[29]
2021년 싱가포르 극단 W!ld Rice은 싱가포르 극작가 조엘 탄의 새로운 버전을 의뢰했으며, 이 작품은 2022년에 초연되었다. 탄의 버전에서는 발레르와 마리아네의 약혼이 다미스와의 뜨거운 불륜과 마리아네의 독립적인 여성이 되고자 하는 욕망을 감추기 위한 위장결혼이라는 새로운 반전이 추가되었다.
2022년, 플로라 데이비스와 시언 로렌스가 집필한 페미니스트적 재해석 작품이 그린 선 프로덕션에 의해 옥스퍼드의 BT 스튜디오에서 큰 호평을 받으며 공연되었다. 이 각색은 허구의 페미니스트 컨설팅 회사를 배경으로 하며, 오르공과 엘미르는 공동 CEO가 되고 타르튀프는 사무실의 신입사원이 된다. 이 공연은 2023년 8월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로 이전했다.
- 1926년에 제작된 영화 ''헤르 타르튀프''(Herr Tartüff)는 UFA에서 제작되었다. F. W. 무르나우가 감독을 맡았고, 에밀 야닝스가 타르튀프 역, 릴 다고베르가 엘미르 역, 베르너 크라우스가 오르공 역을 맡았다.[30]
- 제라르 드파르디외는 1984년 프랑스 영화 버전인 ''르 타르튀프''(Le tartuffe)에서 감독 및 타이틀롤을 맡았다.[31]
- 2007년 프랑스 영화 ''몰리에르''(Molière)에는 ''타르튀프''에 대한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언급이 많이 나오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몰리에르가 사제로 가장하여 자신을 "타르튀프"라고 부르는 장면이다. 영화의 결말은 몰리에르가 영화 속 경험을 바탕으로 ''타르튀프''를 쓰게 되었음을 암시한다.
- 영국의 내셔널 극장은 1967년 런던의 올드 빅에서 이 작품을 무대에 올렸다. 리처드 윌버가 번역하고 타이론 구스리가 연출했으며, 39회 공연 후 1969년에 막을 내렸다.[32]
- ''텍사스의 타르튀프''는 텍사스주 댈러스를 배경으로 하며, 2012년 엘드리지 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33]
- 벨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2014년 저스틴 플레밍이 원작 프랑스어에서 번역한 ''타르튀프 - 위선자''를 공연했으며, 그 이전인 2008년에는 멜버른 극장 컴퍼니에서 독특하고 다양한 운율 형식의 시로 공연되었다.
- 플로리다주 세인트피터스버그의 아메리칸 스테이지 극장 컴퍼니는 2016년 타르튀프를 현대를 배경으로 한 정치 풍자극으로 각색하여 무대에 올렸다. 오르곤은 부유한 미국 사업가로, 그의 명성과 재산을 떠오르는 정치인 타르튀프에게 맡긴다.[34]
- 2016년 10월~11월, 극작가 필립 커버너가 "포스트 트루스" 시대의 호주 관객을 위해 각색한 작품이 남호주 주립극장과 브링크 프로덕션에 의해 애들레이드에서 공연되었다.[35] [36]
- 2017년 4월~5월, 앤드류 힐턴과 도미닉 파워가 런던을 배경으로 영어 연극 형식으로 각색한 작품이 브리스톨의 토바코 팩토리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타르튀프는 중년의 위기를 겪는 구시대적인 보수당 정치인을 노리는 가짜 사업 구루이다.
- 2022년, 플로라 데이비스와 시언 로렌스가 집필한 페미니스트적 재해석 작품이 그린 선 프로덕션에 의해 옥스퍼드의 BT 스튜디오에서 큰 호평을 받으며 공연되었다.[37] 이 각색은 허구의 페미니스트 컨설팅 회사를 배경으로 하며, 오르공과 엘미르는 공동 CEO가 되고 타르튀프는 신입 사원으로 등장한다. 이 작품은 2023년 8월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로 이어졌다.[38]
- 프랑스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제작은 1971년, 1975년, 1980년, 1983년, 1998년에 촬영되었다.
- 1971년 11월 28일, BBC는 그들의 "한 달의 연극(Play of the Month)" 시리즈의 일환으로, 리처드 윌버(Richard Wilbur) 번역을 사용하고 바질 콜먼(Basil Coleman)이 연출한 작품을 방영했다.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
| 배역 | 배우 |
|---|---|
| 타르튀프 | 마이클 호던(Michael Hordern) |
| 페르넬 부인 | 메리 모리스(Mary Morris) |
| 도린 | 패트리샤 라우트리지(Patricia Routledge) |
- 도널드 모팻(Donald Moffat)은 1978년 녹화된 PBS 텔레비전 제작에 출연했다.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
| 배역 | 배우 |
|---|---|
| 오르곤 | 스테판 기어라슈(Stefan Gierasch) |
| 엘미르 | 태미 그라임스(Tammy Grimes) |
| 다미스 | 레이 와이즈(Ray Wise) |
| 발레르 | 빅터 가버(Victor Garber) |
| 페르넬 부인 | 제럴딘 피츠제럴드(Geraldine Fitzgerald) |
- BBC는 빌 알렉산더(Bill Alexander)의 작품을 왕립 셰익스피어 극단(Royal Shakespeare Company)을 위해 각색했다. 이 텔레비전 버전은 1985년 11월 영국에서 "극장의 밤(Theatre Night)" 시리즈로 처음 방영되었으며, 안토니 셔(Antony Sher), 나이젤 호손(Nigel Hawthorne), 스테파니 파이어먼(Stephanie Fayerman), 앨리슨 스테드먼(Alison Steadman)을 포함한 대부분의 원래 출연진이 무대 역할을 재연했다.[41]
- 아닐 굽타와 리처드 핀토(Richard Pinto)가 제작한 2022년 버밍엄 레퍼토리 극장(Birmingham Repertory Theatre) 버전은 2023년 3월 12일 BBC Four에서 방영되었다. 이 작품은 이야기의 배경을 현대 파키스탄계 무슬림 공동체인 버밍엄의 스파크힐로 옮겼다.
참조
[1]
웹사이트
Tartuffe
http://dictionary.re[...]
[2]
서적
Molière et le roi
éditions du seuil
[3]
서적
Tartuffe
Nick Hern Books
[4]
서적
Tartuffe
[5]
논문
Failed Seductions and the Female Spectator: Pleasure and Polemic in the Lettre sur la comédie de l'Imposteur
[6]
서적
La Grande Mademoiselle at the Court of France: 1627—1693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
논문
Molière: Introduction
http://www.enotes.co[...]
Gale Group, Inc.
2007-11-26
[8]
서적
Moliere Et Son Premier Tartuff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9]
논문
Failed Seductions and the Female Spectator: Pleasure and Polemic in the Lettre sur la comédie de l'Imposteur
[10]
백과사전
Molière
http://www.britannic[...]
2007-12-04
[11]
웹사이트
La Calotte
http://gallica.bnf.f[...]
[12]
웹사이트
Almanach de La Calotte
http://gallica.bnf.f[...]
[13]
웹사이트
La Calotte
http://www.caricatur[...]
[14]
웹사이트
Versailles: The Cour de Marbre
http://versaillescen[...]
2017-02-06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Molière's Tartuffe and French National Identity: Reconfiguring the King, the People and the Church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19]
서적
[20]
웹사이트
Tartuffe (1965 Broadway production)
https://www.ibdb.com[...]
2023-07-17
[21]
웹사이트
Tartuffe: National Theatre. Translated by Richard Wilbur
http://theatricalia.[...]
1967-11-21
[22]
웹사이트
Tartuffe (1977 Broadway Production)
https://www.ibdb.com[...]
2023-07-17
[23]
웹사이트
RSC Productions: Tartuffe (1983)
https://collections.[...]
2023-07-17
[24]
뉴스
Fresh, Clever 'Tartuffe' Hits New Heights
https://www.latimes.[...]
1999-07-05
[25]
웹사이트
Tartuffe: Translation by Ranjit Bolt
http://theatricalia.[...]
[26]
웹사이트
Production of Tartuffe
http://theatricalia.[...]
[27]
웹사이트
Berkeley Rep Presents Tartuffe
http://www.berkeleyr[...]
[28]
뉴스
Tartuffe, Roger McGough, Liverpool Playhouse
http://www.liverpool[...]
2008-05-15
[29]
웹사이트
Tartuffe
https://www.rsc.org.[...]
2022-10-14
[30]
웹사이트
Tartuffe (1925) directed by F.W. Murnau
https://www.imdb.com[...]
2023-07-17
[31]
웹사이트
Le tartuffe (1984) directed by Gerard Depardieu
https://www.imdb.com[...]
2023-07-17
[32]
웹사이트
Tartuffe
http://catalogue.nat[...]
National Theatre
[33]
웹사이트
Eldridge Plays & Musicals
http://www.histage.c[...]
[34]
웹사이트
Tartuffe
http://americanstage[...]
American Stage Theatre Company
[35]
웹사이트
Tartuffe
https://www.australi[...]
Australian Book Review
2016-11-11
[36]
웹사이트
Review: Tartuffe
http://adelaiderevie[...]
2016-11-09
[37]
웹사이트
theoxfordblue.co.uk
https://www.theoxfor[...]
2023-08-14
[38]
웹사이트
Tartuffe, the Imposter: A Feminist Reimagining (Green Sun Productions)
http://www.thespaceu[...]
2023-08-14
[39]
웹사이트
BBC Play of the Month (1965–1983) : Tartuffe
https://www.imdb.com[...]
2016-12-14
[40]
웹사이트
Tartuffe (TV Movie, 1978)
https://www.imdb.com[...]
2023-07-17
[41]
웹사이트
Tartuffe Or the Imposter (1985)
http://ftvdb.bfi.org[...]
British Film Institute
2016-12-14
[42]
웹사이트
Tartuffe
https://www.bbc.co.u[...]
2023-03-12
[43]
웹사이트
Great Plays: Tartuffe (12/10/39)
https://www.otrsite.[...]
2023-07-17
[44]
웹사이트
Stratford National Theater of Canada: Tartuffe
https://www.discogs.[...]
1968-01-01
[45]
웹사이트
Drama on 3: Tartuffe
http://www.bbc.co.uk[...]
BBC Radio 3
2016-07-24
[46]
웹사이트
LATW: Tartuffe
https://latw.org/tit[...]
2023-07-17
[47]
오디오북
Tartuffe by Moliere (English adaptation)
https://www.audioboo[...]
[48]
서적
鈴木康
[49]
서적
鈴木康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筑摩書房
[53]
서적
白水社
[54]
서적
鈴木康
[55]
서적
白水社
[56]
서적
白水社
[57]
서적
白水社
[58]
서적
白水社
[59]
서적
白水社
[60]
서적
白水社
[61]
서적
鈴木康
[62]
서적
筑摩書房
[63]
서적
鈴木康
[64]
서적
筑摩書房
[65]
서적
鈴木康
[66]
서적
鈴木康
[67]
서적
鈴木康
[68]
서적
中央公論社
[69]
서적
鈴木康
[70]
서적
中央公論社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中央公論社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中央公論社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