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F. 토렌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F. 토렌스는 1913년 중국 청두에서 태어나 2007년 사망한 스코틀랜드 출신 신학자이다.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하고 바젤 대학교에서 칼 바르트에게 사사했으며, 에든버러 대학교 교회사 교수와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신학이 과학에 기초해야 한다는 바르트와 다른 입장을 보였으며, 신학은 과학에 의해 기초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어린 시절에는 선교사였던 부모와 함께 중화인민공화국의 청두 시에 머물렀다.청두/成都중국어 귀국 후에는 에든버러 대학교에 입학하여 철학과 신학을 배웠고, 스위스의 바젤 대학교에 유학하여 칼 바르트에게 사사했다. 귀국 후에는 1950년부터 모교인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교회사를, 1952년에는 기독교 교리를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76년에는 스코틀랜드 교회의 총회장에 선출되었다.
칼 바르트의 영향을 깊이 받았지만, 토렌스는 독자적인 신학 체계를 구축했다. 그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이 존 칼빈과 정반대의 길을 가게 되었다고 주장하며, 언약신학 도입으로 인해 매우 율법적이며 헌법적인 성격을 갖게 되었다고 비판하였다. 그는 구원의 순서라는 중세신학적인 면을 도입하고, 그리스도와의 연합 교리가 빠져 있다고 지적했다.[20]
토렌스는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을 통해 삼위일체, 창조론, 성육신 등 기독교 교리를 통합적으로 설명했으며, 과학과 신학의 대화에 기여하여 1978년 템플턴 종교 진보상을 수상했다. 또한 에큐메니컬 운동에 헌신하여 다양한 교파 간의 일치를 위해 노력했으며, 그의 신학은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 기독교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생애
바르트와는 다른 사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신학을 과학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은 신학에 의해 기초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토머스 포사이스 토렌스(1913년 8월 30일 ~ 2007년 12월 2일)는 중국 내륙 선교회(China Inland Mission) 소속 스코틀랜드 출신 선교사인 토머스 토렌스 목사(1871–1959)와 애니 엘리자베스 토렌스(1883–1981) 부부의 아들로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대부분을 중국에서 보냈으며, 1931년 귀국하여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철학, 고전학을 공부했다. 1934년에는 에든버러 신학교(New College) 신학부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휴 로스 매킨토시의 그리스도 중심성과 신학과 선교의 연관성, 다니엘 라몬트의 기독교와 과학 문화 간의 관계에 대한 강조에 영향을 받았다.
1936년 중동 지역에서 연구할 기회를 얻었으나, 바스라에서 스파이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을 뻔했다. 그러나 신학 학생임을 증명하여 바그다드와 시리아를 거쳐 스코틀랜드로 돌아올 수 있었다. 1938년부터 1939년까지 오번 신학 대학에서 가르쳤고, 프린스턴 대학교의 초빙을 받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귀국했다. 1939년부터 1940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 오리엘 칼리지에서 공부했고, 1940년 3월 20일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목으로 복무하며 북아프리카, 이탈리아 등지에서 스코틀랜드 군인들을 위해 헌신했다. 여러 차례 총격을 받고도 목숨을 건졌다. 1946년 10월 2일 바스 근처 콤다운 교구 교회에서 마가렛 에디스 스피어와 결혼하여 슬하에 3명의 자녀를 두었다.
1946년에는 바젤에서 칼 바르트와 함께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48년에는 동료 심사를 거치는 저널인 ''스코틀랜드 신학 저널''의 창간 편집자가 되었다.
2. 2. 결혼과 가정
토머스 F. 토렌스는 1946년 마가렛 에디스 스피어와 결혼하여 슬하에 세 자녀를 두었다. 장남 토머스 스피어 토렌스는 헤리엇-와트 대학교 경제학, 과학철학 교수였으며, 차남 이안 토렌스는 프린스턴 신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2. 3. 학문 및 목회 활동
토머스 F. 토렌스는 1946년 바젤 대학교에서 칼 바르트의 지도로 "사도 교부들의 은총 교리"를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48년에는 스코틀랜드 신학 저널(Scottish Journal of Theology)의 창간 편집을 맡았다. 1950년에는 에든버러 대학교 뉴 칼리지 교회사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952년부터는 조직신학을 가르쳤다.
그는 칼 바르트와는 다른 사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신학이 과학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이 신학에 의해 기초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76년부터 1977년까지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장을 역임했다. 1983년에는 헤리엇-와트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3. 신학
토렌스의 신학은 그리스도 중심주의적이면서도 모든 기독교 교리를 통합하여 기독교 신앙에 대한 합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그는 니케아 호모우시온 개념에서 시작하여, 삼위일체, 창조론, 성육신, 기독교의 속죄, 종말론, 성령론, 교회와 성례전, 그리고 안수받은 사역에 대한 신학을 포괄했다.
토렌스는 로마 가톨릭 및 정교회 신학자들과의 에큐메니컬한 관점에서 삼위일체론을 해석하며, 은혜로 말미암는 칭의에 대한 이해를 제시했다. 그는 인간이 되신 하나님으로서의 그리스도의 고유성을 통해, 그리스도가 어떻게 죄, 고통, 악, 죽음을 극복했는지를 보여주었다. 그는 예수가 단지 도덕적 본보기가 아니라, 십자가 위에서 하나님께 버림받음의 고통을 겪으신 하나님 자신이시며,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되셨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이루셨다고 강조했다.
토렌스는 십자가에 하나님을 두면 모든 그림이 바뀐다고 말하며, 하나님의 값비싼 사랑의 깊이를 강조했다. 그는 하나님이 인간의 고통에서 동떨어져 계신 것이 아니라, 자신의 아들 안에서 이 고통을 스스로 겪으셨다고 설명했다. 이 모든 것은 그리스도의 부활 안에서 성취되었으며, 성령을 통해 교회 안에서 새로운 창조의 일부로 계속해서 살아간다고 보았다.
토렌스의 과학적 신학은 하나님의 영원한 존재가 역사 속에서 우리와의 관계에 의해 구성된다는 생각을 반대한다. 그는 성령을 통해 아버지께 드리는 그리스도의 끊임없는 대제사장적 중재를 강조하며, 부활하고 승천하며 재림하실 주님으로서 그리스도가 그의 참된 인성과 신성 안에서 사람들을 자신과 연합시킨다고 보았다. 그의 신학은 칼 바르트의 신학과 같이 에큐메니컬 교회에 도움이 될 성경적이고 교부학적인 기반을 가진 신학으로 평가받는다.
토런스는 과학과 신학의 대화에 지대한 공헌을 한 공로로 1978년 템플턴 종교 진보상을 수상했다.[18]
3. 1. 과학과 신학의 대화
토머스 F. 토렌스는 신학과 과학이 객관적 실재를 탐구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고 보았다.[15] 그는 신학과 과학 모두 "창조주의 역할을 자임하는 인간 자신"이라는 공통의 적에 맞서 싸우는 동맹이라고 주장했다.[15][16][17] 그는 과학과 종교 사이의 단순한 대화가 아닌, "자연 과학의 철학"과 "신학적 과학의 철학" 간의 심층적인 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15]
토렌스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마이클 폴라니와 같은 과학자들이 사고와 현실, 경험과 아이디어를 통합하려는 시도를 높이 평가했다.[15] 그는 이러한 통합적 사고방식이 신학자들이 이원론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 그의 신학은 특히 성경 해석에서 이러한 통합적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그는 형태와 존재가 분리될 때, 즉 우리의 아이디어가 객관적 현실과 분리될 때 예수 그리스도를 온전히 알 수 없다고 경고했다.[15]
토렌스는 요한 필로포누스의 학파에서 신학과 과학에 대한 비이원론적이고 비일원론적인 견해를 옹호하였다. 그는 이러한 접근이 아리스토텔레스와 신플라톤주의적 사고와는 정반대이며, 과학과 신학 모두에 해롭다고 생각했다.
토머스 F. 토렌스는 1978년에 과학과 신학의 대화에 기여한 공로로 템플턴 종교 진보상을 수상했다.[18] 앨리스터 맥그래스는 토렌스의 저술이 "획기적인 중요성을 지닌다"고 평가했으며,[15] P. 마크 아크테마이어는 토렌스의 업적을 "웅장하고 매우 독창적"이라고 묘사했다.[16] 크리스토퍼 B. 카이저는 토렌스를 "세기의 신학자"라고 칭송했다.[17]
3. 2. 에큐메니컬 운동
토머스 F. 토렌스는 개혁 교회 신학자로서 성공회, 루터교,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교회 일치를 위해 헌신했다.[12] 1949년부터 1951년까지 스코틀랜드 교회를 대표하여 잉글랜드 교회와 대화에 참여했고,[12] 1954년에는 일리노이주 에반스턴에서 열린 세계 교회 협의회 회의에 참석하는 등 활발한 에큐메니컬 활동을 펼쳤다. 1973년에는 악숨 대주교로부터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의 명예 선임 사제 직을 받았다.[13]
토렌스는 칼 라너의 삼위일체에 대한 연구가 동방 기독교와 서방 기독교 사이, 그리고 가톨릭과 복음주의 사이의 진정한 에큐메니컬 수렴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믿었다. 1975년 3월 스위스에서 라너의 연구를 논의하기 위한 학술 회의를 이끌기도 했다.
4. 영향 및 유산
토머스 F. 토렌스의 신학은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 기독교 신학, 특히 삼위일체론, 성육신론, 과학과 신학의 관계, 에큐메니컬 신학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사상은 콜린 건턴, 앨리스터 맥그래스 등 저명한 신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유럽과 북미의 여러 신학자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토렌스의 자연 신학에 대한 사상은 앨리스터 맥그래스의 자연 신학에 대한 접근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콜린 건턴과 같이 20세기의 저명한 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그는 영국에서 삼위일체를 연구한 선도적인 신학자였다.
토렌스는 현재 영국의 생도, 독일의 에를랑겐 대학교의 앨러스데어 I. C. 헤론,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의 앨런 토렌스, 에딘버러 대학교의 로버트 T. 워커, 존 B. 웹스터 등 유럽 대륙의 선도적인 조직 신학자들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미국에서 토렌스는 그의 제자 중 한 명인 레이 S. 앤더슨(Ray S. Anderson, 1925-2009)의 신학에 영향을 미쳤는데, 그는 오랫동안 풀러 신학교에서 신학과 목회 분야를 가르쳤으며, 토렌스로부터 신학을 실용적인 학문으로 이해하는 법을 배웠다.
2004년 토마스 F. 토렌스 신학회(Thomas F. Torrance Theological Fellowship)가 설립되어 그의 신학 연구와 발전을 이어가고 있다.
5. 주요 저서
토머스 F. 토런스는 다양한 신학 서적을 저술했다. 1948년 ''사도 교부들의 은총 교리''(The Doctrine of Grace in the Apostolic Fathers)를 출판했고, 1949년에는 ''칼빈의 인간론''(Calvin’s Doctrine of Man)을 출판했다. 1956년에는 ''왕국과 교회: 종교 개혁 신학 연구''(Kingdom and Church: A Study in the Theology of the Reformation)를 출판했다. 칼 바르트의 ''교회 교의학''(Church Dogmatics)을 G.W. 브로밀리와 공동 편집하기도 했다.
1969년에는 ''공간, 시간, 성육신''(Space, Time and Incarnation)과 ''신학적 과학''(Theological Science)을 출판했다. 1971년에는 ''하나님과 합리성''(God and Rationality)을, 1976년에는 ''공간, 시간, 부활''(Space, Time and Resurrection)을 출판했다.
1988년에는 ''삼위일체 신앙: 고대 가톨릭 교회의 복음주의 신학''(The Trinitarian Faith: The Evangelical Theology of the Ancient Catholic Church)을 출판했다. 1992년에는 ''그리스도의 중재''(The Mediation of Christ)를, 1994년에는 ''오늘날의 설교 그리스도: 복음과 과학적 사고''(Preaching Christ Today: The Gospel and Scientific Thinking)를 출판했다. 1996년에는 ''하나님의 기독교 교리, 한 분이시며 세 위격이신 분''(The Christian Doctrine of God, One Being Three Persons)을 출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Templeton Prize – Previous Winners
http://www.templeton[...]
Templetonprize.org
2013-10-13
[2]
간행물
A Pilgrimage in the School of Christ: An Interview with Thomas F. Torrance
1984
[3]
서적
T. F. Torrance: An Intellectual Biography
[4]
서적
The global diffusion of evangelicalism : the age of Billy Graham and John Stott
2013-04-25
[5]
서적
[6]
간행물
Karl Barth, Biblical and Evangelical Theologian
[7]
간행물
Thomas Forsyth Torrance: Minister of the Gospel, Pastor, and Evangelical Theologian
[8]
서적
Disruption to Diversity: Edinburgh Divinity 1846–1996
[9]
서적
Thomas F. Torrance: Theologian of the Trinity
[10]
서적
[11]
서적
The Promise of Trinitarian Theology
[12]
서적
Conflict and Agreement in the Church, Vol. I, Order and Disorder
Wipf and Stock
1996
[13]
서적
[14]
웹사이트
Heriot-Watt University Edinburgh: Honorary Graduates
https://web.archive.[...]
2016-04-05
[15]
서적
[16]
간행물
Natural Science and Christian Faith in the Thought of T. F. Torrance
[17]
간행물
Humanity in an Intelligible Cosmos: Non-Duality in Albert Einstein and Thomas Torrance
[18]
서적
The Humble Approach: Scientists Discover God
Templeton Foundation Press
1998
[19]
웹인용
토렌스
https://web.archive.[...]
2017-10-13
[20]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