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요타 프로박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요타 프로박스는 토요타가 생산하는 상용 밴으로, 2002년 코롤라 밴의 후속으로 출시되었다. 1세대는 2002년부터 2014년까지 판매되었으며, 밴과 왜건 모델로 출시되어 다양한 엔진과 트림을 제공했다. 2014년 2세대가 출시되었으며, 1.3L, 1.5L 엔진과 CVT 변속기를 탑재했다. 프로박스는 일본 내수용으로 개발되었지만, 해외, 특히 신흥국에서 인기가 높으며, 택시나 상업용 차량으로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도입된 자동차 - 렉서스 GX
    렉서스 GX는 렉서스 브랜드의 중형 SUV로, 2002년 1세대가 출시되어 2023년 3세대까지 3.4리터 V6 트윈 터보 엔진과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갖춘 모델을 선보였다.
  • 2002년 도입된 자동차 - 폭스바겐 투아렉
    폭스바겐 투아렉은 2002년 폭스바겐에서 출시되어 포르쉐 카이엔과 플랫폼을 공유하는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로,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다카르 랠리 3연패 등의 모터스포츠 성과를 가진다.
  • 크로스오버 (자동차) - 볼보 XC60
    볼보 XC60은 볼보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다양한 안전 기능,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및 마일드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한 친환경성을 특징으로 하며, 시티 세이프티 시스템과 다수의 안전 관련 수상으로 높은 안전성을 인정받았다.
  • 크로스오버 (자동차) - 닛산 큐브
    닛산 큐브는 닛산 자동차가 생산한 박스형 디자인의 소형차이며, 1998년 일본에서 처음 출시되어 3세대에 걸쳐 판매되었고, 넓은 실내 공간과 독특한 디자인으로 개성을 드러냈다.
  • 토요타 자동차의 차종 - 토요타 RAV4
    토요타 RAV4는 1994년 첫 출시 이후 다섯 세대에 걸쳐 생산되고 있는 콤팩트 SUV로, 전륜구동과 사륜구동 모델을 제공하며 가솔린, 디젤,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과 여러 차명으로 판매되고 일부는 테슬라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전기차 모델로도 출시되었다.
  • 토요타 자동차의 차종 - 토요타 코롤라
    토요타 코롤라는 1966년 출시 이후 변화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자동차로 자리매김한 토요타의 준중형차로, 다양한 파생 모델과 모터스포츠 활동을 통해 폭넓은 소비자층을 확보했다.
토요타 프로박스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도요타 프로박스 밴 DX (NCP51V)
도요타 프로박스 밴 DX (NCP51V)
다른 이름도요타 석시드 (2002–2020)
마쓰다 파밀리아 밴 (2018–현재)
제조사다이하츠
생산 기간2002–현재
2002–2014 (XP50)
2014–현재 (XP160)
조립 장소일본: 오야마자키, 교토 (다이하츠 교토 공장)
차종경 상용차
차체 스타일5도어 스테이션 왜건/밴
구동 방식전륜구동
4륜구동
플랫폼도요타 NBC 플랫폼 (2002–2014)
도요타 B 플랫폼 (2014–현재)
관련 차종해당 없음
이전 차종도요타 코롤라/스프린터 밴 (E100)
도요타 석시드
후속 차종도요타 코롤라 필더 (프로박스 왜건)
엔진
가솔린1.3L "1NR-FE" I4 (NSP160V)
1.3L "2NZ-FE" I4 (NCP50V)
1.5L "1NZ-FE" I4 (NCP51V/55V/58G/59G/160V/165V)
1.5L "1NZ-FXE" I4 하이브리드 (NHP160V)
디젤1.4L "1ND-TV" D4D I4 터보디젤 (NLP51V)
변속기
크기
축거2550 mm (XP50/160)
전장4195 mm (XP50)
4245 mm (XP160)
전폭1690-1695 mm (XP50/160)
전고1525-1530 mm (XP50/160)
공차중량1030-1120 kg (XP50)
1090-1170 kg (XP160)

2. 역사

2002년 7월 2일 코롤라 밴의 후속 차종으로 프로박스가 출시되었다. 밴과 왜건 모델로 나뉘었으며, 프로박스 출시 당시에는 기존의 카롤라 밴을 취급하던 카롤라점과 스프린터 밴을 취급하던 구 네츠점에서 병행 판매되었다. 이후, 렉서스점 발족에 따른 토요타의 일본 국내 판매망 재검토로 인해 구 네츠점과 토요타 비스타점이 통합되어 현재의 네츠점이 발족된 이후에는, 메이커 주도로 취급 차종이 재검토되면서 네츠점에서의 취급이 폐지되고 카롤라점만 취급하게 되었다.

그러나 구 네츠점 계열의 점포는 전신인 오토점 시대부터 스프린터 밴이나 프로박스를 이미 납품하고 있는 법인 오너 고객을 다수 보유하고 있었고, 프로박스 취급이 폐지된 것에 대해 점포는 물론, 전신인 오토점 시대부터의 고객들로부터 프로박스 취급 부활을 바라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그런 가운데, 같은 계열에 토요타 카롤라점을 가진 점포에서는 프로박스를, 토요타점이나 토요펫점을 가진 네츠점에서는 서시드를, 또한, 계열 딜러에 관계없이 지역의 토요타 딜러끼리의 상호 협력에 의해 프로박스와 서시드를 알선 판매하는 네츠점도 다수 존재했다.

2014년 8월 6일에 2세대 모델이 출시되었다. 1세대 모델의 디자인을 일부 계승하면서도, 엔진은 1NR-FE형 1.3L, 1NZ-FE형 1.5L, 1NZ-FXE형 1.5L 엔진(직렬 4기통 DOHC 형식)으로 변경되었고, CVT가 적용되었다.

2019년 4월 1일 판매 채널 제도 폐지에 따라 도쿄도 내의 모든 판매점 (토요타 모빌리티 도쿄, 토요타 니시도쿄 카롤라, 네츠점 계열의 네츠 토요타 타마와 네츠 토요타 토토)에서 취급한다.

2020년 5월 1일에는 도쿄도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전 차종 병행 판매가 시작됨에 따라,[35] 토요타점, 토요펫점, 네츠토요타 토토(도쿄도의 점포)와 네츠토요타 타마 이외의 네츠점에서도 취급이 시작되었다. 또한 토요타점과 토요펫점은 같은 해 5월 6일을 기점으로 서시드가 판매 종료됨에 따라 프로박스로 일원화되었다.

2. 1. 1세대 (XP50/XP160, 2002년~2014년)

2002년 7월 2일, 코롤라 밴의 후속 차종으로 프로박스가 출시되었다. 밴과 왜건 모델로 나뉘었으며, 밴 모델에는 1.3L 2NZ-FE형, 1.5L 1NZ-FE형 가솔린 엔진과 1.4L 1ND-TV형 직분사 디젤 터보 엔진이 장착되었다. 왜건 모델에는 1.5L 1NZ-FE형 가솔린 엔진만 장착되었다. 1.3L 및 1.5L 가솔린 엔진 모델에는 4단 자동변속기와 5단 수동변속기가 제공되었으나, 1.4L 디젤 엔진 모델에는 5단 수동변속기만 장착되었다.[15]

2003년 4월 17일에는 1.5L 1NZ-FNE형 CNG 엔진 모델이 추가되었으며, 이 모델은 전륜구동 방식에 4단 자동변속기를 장착했다. 5월 15일에는 특별 한정 사양인 F 엑스트라 패키지 리미티드, 보냉밴, 냉장밴이 추가되었다. 2004년 4월에는 넷츠 딜러에서 프로박스 판매가 중단되었고, 2007년 9월 30일에는 1.4L 디젤 엔진 모델이 단종되었다.

2013년 10월 11일에는 왜건 모델이 코롤라 필더에 통합되는 형식으로 단종되었다. 이후 2014년 8월 6일 밴 모델이 단종될 때까지, 여러 차례 부분 변경 및 개선이 이루어졌다.

프로박스는 일본 내수 전용 차량으로 개발되었지만, 해외 시장,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중고차로 많이 수출되었다. 러시아, 몽골, 미얀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대량 병행 수출되었으며, 미얀마에서는 일부 차량이 택시로 사용되고 있다.

프로박스는 상용차이지만, 비츠코롤라 (E120계 이후)의 부품을 일부 유용할 수 있다는 점, 1,500cc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저렴한 가격, 가벼운 차체 덕분에 드리프트 차량이나 짐카나와 같은 경기용 차량으로도 인기가 높았다.

2. 1. 1. 트림

트림명설명
GL전동 접이식 사이드 미러, 앞 좌석 파워 윈도우, 블랙 아웃 (창틀의 흑색 도장)이 기본적으로 장착됨.
DX전기 원격 제어 도어 미러, 운전석 파워 윈도우 등이 장착됨.
DX 컴포트 패키지
DX-J1.5L 전륜구동 사양 제외, 2005년 8월 1일에 단종.
F
F 엑스트라 패키지
F 엑스트라 패키지 리미티드


2. 2. 2세대 (XP160V, 2014년~현재)

2014년 8월 6일에 출시되었다. 1세대 모델의 디자인을 일부 계승하면서도, 엔진은 1NR-FE형 1.3L, 1NZ-FE형 1.5L, 1NZ-FXE형 1.5L 엔진(직렬 4기통 DOHC 형식)으로 변경되었고, CVT가 적용되었다.[18]

2018년 6월 21일부터 마쓰다에 패밀리아 밴으로 OEM 공급되고 있으며, 2020년 5월 6일, 형제 모델이었던 서시드가 단종되면서 프로박스로 일원화되었다.

B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자매차로는 칼디나 밴의 후속 차종인 서시드가 2020년까지 존재했다.[18]

안전 사양으로는 보행자 사고 저감 차체 구조, VSC&TRC, 힐 스타트 어시스트 컨트롤, 긴급 브레이크 신호가 전 차량에 기본 장착되었고, 프론트 디스크 브레이크가 대구경화(13인치 → 14인치)되었다.[18] 2016년 8월 30일 일부 개량에서는 경자동차를 제외한 4넘버의 2BOX 타입 상용차 최초로 충돌 회피 지원형 프리 크래시 세이프티, 레인 디파처 얼럿, 오토매틱 하이빔을 세트로 한 "Toyota Safety Sense C"가 전 차량에 기본 장착되었다.[24]

2018년 11월 19일에는 하이브리드차('''NHP160V'''형)가 추가되었으며,[26] WLTC 모드 22.6km/L, JC08 모드 27.8km/L의 연비를 달성했다.

토요타 프로박스 정측면


토요타 프로박스 후측면

2. 2. 1. 트림


  • F (직물 시트, 일반적인 헤드레스트, 휠캡 적용)
  • GL
  • GX (2021년 추가)

3. 개발 배경

2002년 7월 2일에 발표 및 판매를 시작했다. 개발 컨셉은 다음과 같다.


  • 닛산 AD 밴을 능가하는 성능 확보.
  • 화물차 밴(4 번호)을 주력 모델로 하여 사용 편의성을 추구.
  • "심플 이즈 베스트". 불필요한 장식을 배제하여 철저한 비용 절감.


이러한 컨셉을 추구한 요인으로는

  • 선대 차량인 토요타 카롤라 밴/토요타 스프린터 밴의 구식화. (생산 10주년)
  • 카롤라 밴/스프린터 밴과 토요타 칼디나 밴의 통합.
  • 경쟁 차종인 닛산 AD 밴의 풀 모델 체인지에 의한, 상용차 시장에서의 점유율 감소 등이 있었다.


프론트 플랫폼은 2002년 7월 ~ 2014년 8월형의 경우, 비용을 고려하여 프리우스/카롤라 계열(MC 플랫폼)이 아닌, 초대 비츠 계열(NBC 플랫폼)의 것을 활용하고, 차량 총 중량에 맞는 충돌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단부를 연장했다. 리어 플로어 팬은 화물실 용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쇼크 업소버를 뒤쪽으로 기울여 바닥 배치 가능한 전용품을 새로 개발했다. 뒷바퀴의 하체에는 프로박스 & 석시드 전용으로 개발된 4링크식차축 현가 (4WD차는 4링크식 라이브 액슬)+코일 스프링을 채용하고, 래터럴 로드를 추가(총 5 링크)하여, 적재물에 의한 차고 변동이나 측면에서의 입력 시에도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했다. 앞바퀴는 비츠용을 활용한 스트럿식으로 했다. 스프링 높이 단축과 적재 중량을 고려하여, 비츠 계열에서는 최대의 스프링 정수가 되었다. 전후에 스테빌라이저를 표준 장비하여, 을 줄이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NBC 플랫폼에서는 가장 단단한 하체가 되었다.

인테리어는 카롤라 밴, 스프린터 밴의 대량 사용자와 같은 리서치의 결과, A4파일이나 B5 사이즈 모바일 노트북 컴퓨터가 들어가는 대형 도어 포켓, 카드 홀더나 펜 홀더, 대용량 재떨이, 모바일 노트북 컴퓨터나 도시락을 놓기 위한 격납식 테이블, 장거리 주행에도 피로가 적은 시트 등, 승용차의 파생이 아니라 상용 밴을 주력 모델로 생각하고 비즈니스 용도에 있어서의 사용 편의성을 철저하게 추구하고 있다. 한편으로 승강용 도어 노브는 비용이 저렴한 플립식이 아니라, 승용차에서 많이 사용되는 바 그립(손잡이)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개발자 중에 애연가가 있어, 공조의 기류가 재떨이의 재를 날리지 않도록 배려된 배치가 되어 있다.

카롤라 밴은 스테이션 왜건(후의 필더)의 스타일링을 우선하여 차체가 둥글고, 특히 백 도어는 상당히 눕혀져 있었지만, 프로박스는 화물실 용적을 최우선으로 하여, 철저하게 각진 차체 형상으로 했다.

안전면에 대해서는, 다른 토요타 차와 마찬가지로 충돌 안전 보디 GOA가 채용되어, 국토교통성의 자동차 어세스먼트에서 최고 레벨의 별 6개가 되었다. 환경 성능은 전 등급에서 초저배출가스차 인정을 받고 있다.

차량 개발은 다이하츠 공업과의 공동 개발로 이루어졌고, 생산은 그룹 자회사인 다이하츠 교토 공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4. 특징

2002년 7월 2일에 발표 및 판매를 시작했다. 비츠 및 카롤라의 부품을 활용할 수 있어 저렴한 가격과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가벼운 차체 덕분에 드리프트 차량이나 짐카나와 같은 모터스포츠 경기용 차량으로도 활용된다.[35]

넓은 실내 공간과 다양한 수납 공간을 갖추고 있어 상업용뿐만 아니라 아웃도어, 캠핑 등 레저용으로도 인기가 높다.

프로박스는 기본적으로 일본 내수 전용 차량으로 개발되었지만, 러시아, 몽골, 미얀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을 비롯한 개발 도상국 및 신흥국으로 중고차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35]

5. 해외 시장

프로박스 및 서시드는 기본적으로 일본 내수 전용 차량으로 개발되었지만, 해외 시장 (특히 신흥국 및 개발 도상국)에서는 자동차의 자산 가치가 높기 때문에, 러시아, 몽골, 미얀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대량 병행 수출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75 Years of Toyota - Toyota Probox (XP50) https://www.toyota-g[...]
[2] 웹사이트 ザ・商用車「プロボックス」誕生20年 なぜモデルチェンジしない? "無敵"だからさ!(乗りもの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022-09-09
[3] 웹사이트 TOYOTA、プロボックスならびにサクシードをマイナーチェンジ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公式企業サイト https://global.toyot[...] 2022-09-09
[4] 웹사이트 Autoevolution.com http://www.autoevolu[...]
[5] 웹사이트 Toyota Proboxes: Boon to drivers or social menace? https://www.the-star[...] 2024-12-15
[6] 웹사이트 Toyota Probox: The ideal delivery van https://www.monitor.[...] 2024-12-15
[7] 웹사이트 Toyota Probox: What this workhorse offers, but also a look at its problems https://www.standard[...] 2024-12-15
[8] 웹사이트 Mixed reactions to ban on Probox PSV licensing. – Kenya News Agency https://www.kenyanew[...] 2024-12-15
[9] 뉴스 Picturing the Probox https://www.mmtimes.[...] 2016-03-07
[10] 뉴스 RDX salutes taxi drivers with ‘Probox’ single https://jamaica-star[...] 2020-03-10
[11] Response 【トヨタ『プロボックス/サクシード』発表】ニッチ車開発手法が活かされた http://response.jp/i[...]
[12] CAR GRAPHIC トヨタ、新型バン「プロボックス」「サクシード」を発売 http://www.webcg.net[...]
[13] 문서 ADバンは2006年12月のモデルチェンジで[[日産・エキスパート|エキスパート]]([[日産・アベニール|アベニールカーゴ]]の後継車)を統合し、車名をADに改めた。
[14] 문서 ADは[[日産・ウイングロード|ウイングロード]]がベース。
[15] 문서 ディーゼル車は2002年7月2日-2007年9月30日、ワゴンモデルは2002年7月2日-2013年10月11日
[16] 문서 バンモデルは4ナンバー登録や使い勝手を考慮し、リアシートにヘッドレストが装備されていない。
[17] 문서 後に「平成17年基準排出ガス50%低減レベル(☆☆☆)」認定を取得
[18] 간행물 TOYOTA、プロボックスならびにサクシードをマイナーチェンジ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4-08-06
[19] Carview 【トヨタ プロボックス/サクシード 改良新型】12年目のマイナーチェンジ、シェアトップの商用車に求められるものとは…開発主査インタビュー http://carview.yahoo[...]
[20] 문서 2010年12月販売型の「F」系、および「ジュエラ」系の各グレード。
[21] 문서 「1.3X G-Edition」(2015年の改良で廃止)を除く「1.3X」系、および「1.5X」系以下の各グレード。
[22] 문서 10代目[[ダイハツ・ハイゼット|ハイゼットトラック]](S5#0P型)/2代目[[トヨタ・ピクシストラック|ピクシストラック]] (S5#0U型)/8代目[[スバル・サンバー|サンバートラック]](S5#0J型)、5代目[[ダイハツ・ムーヴ|ムーヴ]](LA100S/LA110S)/2代目[[スバル・ステラ|ステラ]](LA100F/LA110F)後期型、初代[[ダイハツ・ミライース|ミライース]](LA300S/LA310S)/初代[[トヨタ・ピクシスエポック|ピクシスエポック]](LA300A/LA310A)/初代[[スバル・プレオプラス|プレオプラス]](LA300F/LA310F)、[[ダイハツ・ハイゼットキャディー|ハイゼットキャディー]](LA700V/710V)のものと同一の意匠となる。トヨタCIマークのセンターオーナメントは「F」のみメッキタイプとなる。
[23] 문서 「DX"コンフォートパッケージ"」から改名。
[24] 간행물 TOYOTA、プロボックスならびにサクシードを一部改良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6-08-30
[25] 문서 トヨタプロボックス カタログ 2018-05
[26] 간행물 TOYOTA、プロボックスならびにサクシードにハイブリッド車を追加 https://newsroom.toy[...]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18-11-19
[27] 간행물 プロボックス、ハイブリッド車に新グレードを設定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21-12-22
[28] 웹사이트 トヨタが商用バン「プロボックス」の一部改良モデルを発売 https://global.toyot[...] Web CG 2024-04-05
[29] 웹사이트 プロボックスとサクシード これほど似ててこんなに違いがあった! http://clicccar.com/[...] 三栄書房 2012-05-04
[30] 문서 旧・[[尺貫法]]に基づく規格の910mm(3尺)×1820mm(6尺)。
[31] 문서 調節式間欠ワイパーや、分割式ヘッドレスト、サクシードワゴンの最上級グレードに限り14インチスチールホイールの採用など
[32] 웹사이트 新車試乗記 第746回 トヨタ プロボックス F http://www.motordays[...] デイズ 2014-11-14
[33] 웹사이트 トヨタ プロボックス&サクシード(2014年マイナーチェンジ)新型車解説 (3/3) http://autoc-one.jp/[...] オートックワン 2014-08-06
[34] 문서 OEMのファミリアバンも1.3Lガソリンエンジンは設定されない。
[35] 문서 トヨタ、全販売店での全車種併売化を2020年5月に前倒し 加速する自動車業界の変革に対応 https://response.jp/[...] レスポンス 2019-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