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산 큐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닛산 큐브는 닛산 자동차가 생산했던 박스형 디자인의 소형차이다. 1998년 일본 내수 시장에 처음 출시되어 2020년까지 3세대에 걸쳐 판매되었다. 1세대 모델은 닛산 마치와 플랫폼을 공유했으며, 2세대는 비대칭 디자인을 특징으로 했다. 3세대는 2세대 디자인을 계승하면서 곡선을 강조했으며, 대한민국에도 공식 수입되었다. 큐브는 넓은 실내 공간과 독특한 디자인으로 개성을 드러냈으며, 굿 디자인 롱 라이프 디자인 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카니발
기아 카니발은 기아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미니밴으로, 여러 세대를 거치며 국내외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승차 인원, 그리고 첨단 편의 사양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 1998년 도입된 자동차 - 스마트 포투
스마트 포투는 다임러와 스와치 그룹이 개발한 초소형 자동차로, 후륜구동 방식과 트리디온 안전 셀을 특징으로 하며, 가솔린 엔진 기반 소형차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전기차로 판매되고 있다. - 닛산 자동차의 차종 - 닛산 시마
닛산 시마는 1988년에 출시되어 일본 버블 경제 시기에 인기를 얻은 닛산의 고급 세단으로, 여러 차례의 모델 변화와 해외 수출, 그리고 닛산 푸가의 롱 휠베이스 버전으로 부활했지만 2022년에 단종되었다. - 닛산 자동차의 차종 - 닛산 오티
닛산 오티는 닛산이 미쓰비시 경차를 OEM 방식으로 공급받아 2005년부터 2013년까지 판매한 모델로, 전면 디자인과 일부 사양에서 차별점을 두었으며 2008년 마이너 체인지를 거쳤으나 닛산 데이즈 출시 후 단종되었다. - 크로스오버 (자동차) - 볼보 XC60
볼보 XC60은 볼보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다양한 안전 기능,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및 마일드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한 친환경성을 특징으로 하며, 시티 세이프티 시스템과 다수의 안전 관련 수상으로 높은 안전성을 인정받았다. - 크로스오버 (자동차) - 푸조 2008
푸조 2008은 푸조에서 생산하는 소형 SUV로, 2013년에 207 SW를 대체하여 출시되었으며, 2019년 2세대 모델과 함께 전기차 모델인 e-2008도 출시되어 다양한 파워트레인 선택지를 제공한다.
닛산 큐브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닛산 큐브 |
제조사 | 닛산 |
생산 기간 | 1998년–2019년 |
조립 장소 |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 (오파마 공장) |
차종 | 미니 MPV |
차체 스타일 | 5도어 해치백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사륜구동 |
플랫폼 | 닛산 B 플랫폼 |
후속 차종 | 닛산 노트 / 베르사 노트 닛산 라페스타 (큐브³, 일본) 닛산 쥬크 |
모델 연도 | 2009–2014 (북미) |
상세 정보 (일본 내수 모델 기준) | |
판매 기간 | 1998년 - 2020년 |
차체 유형 | 5도어 토ール왜건 5도어 소형미니밴 (2세대만 해당)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사륜구동 |
후속 | 2020년 12월까지 2세대 노트 및 3세대 루크스에 통합 |
2. 역사
닛산 큐브는 이름 그대로 공간 활용성을 중시하는 콘셉트를 가진 자동차이지만, 일반적인 미니밴보다 보닛이 두드러지는 독특한 스타일링을 가지고 있다. 닛산의 사실상의 모회사이며, 얼라이언스 관계를 맺고 있는 르노와 공동 개발한 플랫폼을 사용하며, 이는 닛산 마치나 르노 모듀스와 공유하는 것이다.
큐브의 디자인 컨셉은 1989년 도쿄 모터쇼에 출품된 콘셉트카 "샤포(CHAPEAU)"에서 시작되었다.[17] 2세대 모델 이후부터는 창문의 수, 필러의 위치 등 차체 쉘이 좌우 비대칭으로 만들어진 것이 큰 특징이다. 그 공간 효율성 때문에 소형 택시로 채용되는 경우도 있다.
차명 로고는 닛산 공통의 폰트인 NE-01이 아닌, 독자적인 서체를 사용하고 있었다.
1세대 초기에는 꾸준히 월 10,000대 이상을 판매하여, 등록 대수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 때문에, 당시에는 생산 공장에서 휴일 근무도 매주 할 정도의 판매 호조를 보였다. 생산은 당초에는 무라야마 공장에서 이루어졌으나, 폐쇄 후 오파마 공장으로 이관되었다.
2. 1. 1세대 (Z10, 1998년~2002년)
1세대 큐브(Z10)는 1997년 10월 도쿄 모터쇼에서 콘셉트카로 처음 선보였으며, 1998년 2월부터 일본 내수 시장에서 판매가 시작되었다. 출시 후 같은 해 10월에는 생산 개시 10개월 만에 누적 생산 대수 10만 대를 돌파하며 인기를 끌었다.
큐브는 닛산 마치(K11형)와 동일한 닛산-르노 B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로 인해 플로어 패널이 이중 구조인 특징을 가졌다. 엔진은 초기에는 1.3L CG13DE 직렬 4기통 엔진이 탑재되었고, 1999년 11월 마이너체인지 이후에는 배기량이 소폭 증가한 1.3L CGA3DE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변속기는 4단 자동변속기 또는 무단변속기(CVT)가 제공되었으며, CVT는 초기 N-CVT에서 하이퍼 CVT로 개선되었다. 1999년 11월부터는 4륜구동 모델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닛산 라인업에서는 마치와 써니 사이의 위치를 담당했다.
디자인적으로는 박스형의 독특한 스타일과 함께 뒷문에 글래스 해치를 적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테일 게이트의 창문만 열어 화물을 넣을 수 있는 플립 업 글래스 기능을 갖춰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당시 닛산 자동차가 적극적으로 도입하던 '''존 바디'''(충돌 안전 바디)를 채택하여 안전성을 확보했다. 초기 모델은 4인승이었으나, 2000년 9월 마이너체인지를 통해 5인승으로 변경되었다.
날짜 | 내용 |
---|---|
도쿄 모터쇼에 마치 기반의 콘셉트카 큐브 출품. 글래스 해치, 존 바디(충돌 안전 바디) 채용. | |
정식 출시 (형식 GF-Z10, 전기형). 등급: F, S, X, 라이더. 프레세아 풍 블루 라이트 미터 장비. 엔진: CG13DE (1.3L). 변속기: 4단 자동, N-CVT. CM 출연자: 쿠사노 히토시, 카와아이 카몬. 캐치프레이즈: 「놀고, 담고, 큐브. 즉, 컴팩트하고 하이트한 왜건.」[18] | |
누적 생산 10만 대 돌파. | |
특별 사양차 옐로우 버전 발매 (기간 한정). | |
특별 사양차 프리미엄 설정 (오텍 재팬). 가죽 시트, 라이트 골드 색상 파츠 등. | |
마이너 체인지 (중기형, 형식 GH-AZ10). 엔진 변경 (CGA3DE, 1.3L), 하이퍼 CVT (크리프 기능, M6 옵션), 4륜구동 모델 추가 (형식 GH-ANZ10). 미터, 핸들, 키리스 엔트리 리모컨 변경. 해치 유리 열림 스위치 운전석 추가. 라이더 색상 추가, 프리미엄 일부 변경. | |
특별 사양차 스페셜 에디션 발매. 펄 화이트 색상, 스켈레톤 오디오, 프라이버시 유리 등. | |
특별 사양차 S 리미티드 발매. 스켈레톤 오디오, 멀티 리모트 엔트리, 프라이버시 유리 등. | |
특별 사양차 NAVI 에디션 설정. | |
마이너 체인지 (후기형, 형식 TA-AZ10). 외관 변경 (범퍼, 그릴, 대형 2단 헤드램프, 클리어 브레이크 램프). 리어 시트 슬라이드 기능 추가. 승차 정원 4인승 → 5인승 변경. 하이 마운트 스톱 램프 폐지. 특별 사양차 스퀘어 설정 (오텍 재팬). 라이더 닛산 본사 취급으로 변경. | |
특별 사양차 알테 발매. 스켈레톤 오디오, 실버 센터 클러스터, 풀 컬러 범퍼 등. | |
고출력 α 시리즈 추가 (CGA3DE, 101PS, 하이오크 가솔린 지정). 등급 체계 재검토. 기간 한정 콜맨 버전 발매 (콜맨 협력, 발수 시트 등). | |
기간 한정차 버전-S, 버전-S-α 추가 (12월까지). 살로몬 협력 개발. 전원 콘센트, 살로몬 로고 시트 태그 등. | |
생산 종료.[19] | |
판매 종료. 2세대(Z11)로 대체. |
1세대 큐브를 기반으로 한 파생 모델도 존재했다. 토미타 꿈 공장에서는 커스터마이즈 모델인 '토미카이라 M13c'를 선보였고, 미츠오카 자동차에서는 1세대 큐브를 기반으로 런던 택시의 외관을 모방한 '유가'를 판매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는 정식 수입되지 않았으나, 병행 수입을 통해 일부 차량이 들어와 운행되었다.
2. 2. 2세대 (Z11, 2002년~2008년)


2002년 10월 8일에 출시된 2세대 큐브(모델 코드 Z11)는 닛산 B 플랫폼(3세대 마치 기반)을 사용하여 이전 모델보다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했다. 특히 윈도우 라인과 C 필러 디자인이 좌우가 다른 비대칭 디자인을 채택하여 개성적인 모습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뒷모습은 1세대의 세로형 램프와 달리 뒷범퍼에 가로형 리어 램프를 내장한 형태이다. 앞좌석에는 벤치 시트를 적용하여 소파와 같은 편안한 느낌을 주었다. 전장은 3720mm, 전폭은 1610mm, 전고는 1625mm, 휠베이스는 2360mm이다.
엔진은 1.4L CR14DE I4 가솔린 엔진이 기본으로 탑재되었고, 2005년 중반부터는 닛산 티다에 적용된 1.5L HR15DE I4 엔진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었다. 변속기는 4단 자동변속기(E-ATx) 또는 XTRONIC CVT-M6가 조합되었다. CVT 장착 모델은 스티어링 휠 버튼과 대시보드 패널의 스포츠 모드 버튼(비상등 스위치 옆)을 통해 수동 변속과 같은 조작이 가능했다. 구동 방식은 기본적으로 전륜구동이며, 옵션으로 'e4WD'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었다. e4WD는 평소에는 전륜으로 구동하다가 앞바퀴가 헛돌 때 차체 하부의 소형 전기 모터가 뒷바퀴를 구동시키는 방식이다.
2003년 9월에는 휠베이스를 늘리고 3열 시트를 추가하여 7명이 탑승할 수 있는 파생 모델인 큐브 큐빅(Cube³)이 출시되었다.
2005년 5월에는 첫 번째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라디에이터 그릴 안의 방향지시등이 사각형에서 원형으로 바뀌고,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이 격자형에서 마름모 형태로 변경되었다(중기형). 2007년 1월에는 두 번째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방향지시등이 헤드램프와 통합되었다(후기형).
옵션으로는 공기 정화 기능이 있는 이온 필터, 키 없이 문을 열고 시동을 걸 수 있는 스마트 키, 선루프, 12가지 스타일의 전면 그릴, 위성 내비게이션, 다양한 바디 키트와 펜더 플레어 등이 제공되었다. 휠은 14인치 또는 15인치를 선택할 수 있었다. 오텍에서 개조한 라이더(Rider), 큐브 큐빅 GT 모델 등은 크롬 장식과 특별한 시트 커버를 적용했다.
2세대 큐브는 일본 내수 전용 모델로 개발되어 운전석이 오른쪽에만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디자인과 실용성 덕분에 대한민국에서는 병행 수입을 통해 상당수가 판매되며 인기를 얻었다. 특히 가수 이효리가 소유했던 차로 알려지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한편, 말레이시아에서는 미츠오카가 2세대 큐브를 기반으로 그릴 등 일부 외관 부품을 변경하여 M-박스(M-Box) 및 MPV라는 이름으로 수입 및 판매하기도 했다.
'''주요 모델 변화'''
2. 3. 3세대 (Z12/NZ12, 2008년~2020년)


3세대 큐브(Z12)는 2008년 11월 19일 로스앤젤레스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26일 일본에서 공식 출시되었다. 디자인은 2세대의 각진 외형을 계승하면서도 직선보다 곡선을 많이 사용하여 풍성한 느낌을 강조했다. 디자인 모티브는 불독이 선글라스를 낀 모습과 같은 애교 있는 캐릭터를 목표로 했으며, 실내는 일본식 욕조인 자쿠지에서 영감을 받아 감싸는 듯한 유려한 라인을 특징으로 한다. 역대 큐브 중 최초로 버튼 시동 장치와 뒷좌석 중앙 3점식 시트 벨트가 적용되었다. 또한 운전석이 왼쪽에 위치한 사양(LHD)이 개발되어, 일본 외 지역으로는 처음으로 북미, 유럽, 대한민국 등 해외 시장에 공식적으로 판매되었다. 미국에서는 2009년 5월 5일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외관상 특징으로는 뒷범퍼와 조수석 측면으로 이어지는 비대칭 리어 윈도우, 이전 세대보다 더 둥글고 곡선적인 스타일의 운전석 및 조수석 창문 등이 있다. 테일게이트는 위로 열리는 해치 방식이 아닌, 냉장고 문처럼 옆으로 열리는 스윙 도어 방식을 채택했다. 테일게이트 경첩은 일본이나 영국과 같이 좌측 통행 국가에서는 오른쪽에, 북미나 대한민국과 같이 우측 통행 국가에서는 왼쪽에 위치한다.
좌석은 5인승 구성이다. 닛산 디자이너에 따르면 실내는 '편안하고 사교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자쿠지의 감싸는 곡선'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천장 마감재(헤드라이너)에 적용되고 스피커 커버, 컵 홀더 등 세부적인 부분에서 반복되는 물결 무늬 모티프도 디자인 특징 중 하나다. 닛산은 개인화를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액세서리를 개발했는데, 통풍구와 창문 스위치 주변에 부착 가능한 여러 색상의 아플리케, 다양한 색상의 유틸리티 후크 및 탄성 밴드, 발밑 공간과 컵 홀더용 가변 색상 LED 액센트 조명, 그리고 대시보드 상단의 홈에 맞는 색상의 셔그 카펫 조각 등이 포함되었다.[4]
3세대 큐브는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의 전륜구동 닛산 B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엔진 라인업은 지역별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 일본 내수 시장: 109마력(PS)의 출력을 내는 1.5L HR15DE 16밸브 4기통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다. 일본 연비 기준 평균 20km/L를 기록했다. 사륜구동 모델인 e-4WD 트림에는 가솔린 엔진으로 구동되는 앞바퀴를 보조하는 전기식 후륜 구동 모터가 추가되었다.
- 북미 시장: MR 계열의 1.8L 4기통 엔진을 사용하여 122마력(hp)의 출력과 127lb·ft(172Nm)의 토크를 낸다. EPA 기준 연비는 자트코에서 생산한 Xtronic CVT 적용 시 시내 주행 28mpgus, 고속도로 주행 30mpgus를 기록했다.
- 유럽 시장: 1.6L HR16DE 가솔린 엔진과 1.5L K9K dCi 디젤 엔진을 사용했다.
변속기는 엔진에 따라 5단 또는 6단 수동변속기 또는 닛산의 자동 CVT를 선택할 수 있었다. 이 엔진과 플랫폼은 닛산 노트 및 티다/버사와 공유되었다.
2011년 초, 닛산은 유럽 시장에서 큐브 판매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유로화 환율 상승에 따른 차량 가격 경쟁력 약화와 판매 부진이 주된 이유였다.[5]
대한민국 시장에는 2011년 8월에 공식 출시되었으나, 판매 부진으로 인해 2014년 12월 수입이 중단되었다. 2012년에는 Mnet의 음악 경연 프로그램인 보이스 코리아 1에 협찬 차량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일본 내 전력 부족 사태의 영향으로 2012년형 큐브의 미국 시장 출시는 2012년 1월로 지연되었다. 2012년 모델은 기계적인 변경은 없었지만, 내비게이션 시스템, 후방 카메라, 개선된 오디오 시스템, 인텔리전트 키, 업그레이드된 휠 등을 갖춘 특별판 'S 인디고' 트림이 추가되었다. 기본 모델의 가격은 240USD 인상되었다.
북미 시장에서는 판매 부진으로 인해 2014년 모델을 마지막으로 단종되었다.[6] 이후 일본 내수 시장에서만 생산 및 판매되다가, 2019년 말 닛산 노트에 통합되는 형태로 생산이 중단되었고,[7] 2020년 3월 31일 부로 최종 단종되었다.
3. 디자인 및 특징
닛산 큐브는 이름 그대로 넓은 실내 공간 확보를 최우선 목표로 개발된 차종이다. 일반적인 미니밴과는 달리 보닛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지는 독특한 스타일링을 가지고 있다. 1989년 도쿄 모터쇼에 출품되었던 콘셉트 카 "샤포(CHAPEAU)"에서 디자인 영감을 얻었다.[17] 닛산 자동차의 모회사 격인 르노와 공동 개발한 닛산 B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닛산 마치나 르노 모듀스와 공유하는 플랫폼이다. 차명 로고는 닛산의 표준 글꼴인 NE-01 대신 독자적인 서체를 사용했다.
1세대 큐브(Z10)는 닛산 마치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기본적인 박스형 디자인을 채택했다.
2세대 큐브(Z11)는 2002년에 출시되었으며, 1세대보다 더욱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했다. 디자인적으로는 각진 면과 곡면을 조화롭게 사용했으며, 특히 좌우 비대칭 디자인이 가장 큰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 이는 창문의 수나 필러(차체 기둥)의 위치 등이 좌우 다르게 설계된 것을 의미하며, 특히 후면 디자인에서 비대칭성이 두드러졌다. 옵션으로는 공기 정화 이온 필터, 키 없이 문을 열 수 있는 '스마트 키', 선루프, 12가지 스타일의 전면 그릴, 위성 내비게이션, 다양한 바디 키트 및 펜더 플레어, 14 또는 15인치 휠 등이 제공되었다.
3세대 큐브(Z12)는 2008년에 공개되었으며, 2세대의 디자인 언어를 계승하면서도 전반적으로 곡선을 더욱 강조하여 부드럽고 풍성한 느낌을 주었다. 후면 범퍼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조수석 쪽으로 감싸는 듯한 비대칭 후면 유리 디자인은 유지되었다. 테일게이트는 위로 열리는 해치 방식이 아닌, 옆으로 열리는 스윙 도어 방식을 채택했다. 이 문의 힌지 위치는 차량 통행 방향에 따라 달랐는데, 좌측 통행 국가(일본, 영국 등)에서는 오른쪽에, 우측 통행 국가(북미, 유럽 대륙 등)에서는 왼쪽에 힌지가 위치했다.
실내 디자인은 자쿠지(일본식 욕조)에서 영감을 받아 탑승객을 감싸는 듯한 곡선과 편안하고 사교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천장 마감재(헤드라이너)에는 물결 무늬 패턴이 적용되었고, 이는 스피커 커버나 컵 홀더 등 세부적인 부분에서도 반복되어 디자인 통일성을 높였다. 닛산은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액세서리를 제공했는데, 여기에는 송풍구나 창문 스위치 주변에 부착하는 다색 아플리케, 다양한 색상의 유틸리티 후크 및 탄성 밴드, 발밑 공간과 컵 홀더를 비추는 가변 색상 LED 조명, 대시보드 상단 홈에 놓는 맞춤형 셔그 카펫 등이 포함되었다.[4]
큐브의 독특한 디자인과 공간 활용성은 소형 택시로 사용되는 사례도 있을 정도로 실용성을 인정받았다.
4. 대한민국 시장
2세대 큐브는 일본 내수용 모델이었기 때문에 운전석이 오른쪽에만 있다는 제약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디자인 덕분에 대한민국에서 일부 마니아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어 상당수의 차량이 병행 수입 방식으로 들어왔다. 특히, 가수 이효리가 소유했던 차량으로 알려지면서 '이효리 차'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높이기도 했다.
3세대 큐브는 개발 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어 운전석이 왼쪽에 있는 사양도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닛산의 대한민국 법인인 한국닛산을 통해 2011년 8월부터 정식으로 수입 및 판매가 시작되었다. 대한민국 시장에는 1.8L 가솔린 엔진과 자트코에서 생산한 CVT가 조합된 모델이 출시되었다. 2012년에는 Mnet에서 방영된 오디션 프로그램 보이스 코리아 시즌 1에 협찬 차량으로 등장하여 인지도를 높이려는 시도도 있었다. 그러나 기대했던 만큼의 판매량을 기록하지 못하고 판매 부진을 겪으면서, 결국 2014년 12월을 끝으로 대한민국 시장에서 공식적으로 철수하였다.
5. 파생 모델
(작성할 내용 없음)
5. 1. 큐브 큐빅 (Cube³)
닛산 큐브 2세대(Z11)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파생 모델로, 3열 시트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3세대 큐브(Z12)가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5. 2. 미츠오카 큐트/MPV/M-박스
2세대 큐브(Z11)를 기반으로 미츠오카 자동차에서 말레이시아 시장을 겨냥하여 수입 및 판매한 파생 모델이 존재한다. 처음에는 M-박스(M-Box)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고, 이후 MPV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어 판매되었다.이 모델들은 다른 미츠오카의 차량들과는 달리 원본 차량인 큐브와 비교했을 때 큰 디자인 변경 없이, 전면 그릴과 일부 외장 부품만 다르게 적용되었다. M-박스와 MPV는 말레이시아 시장 전용으로 판매된 모델이다.
5. 3. 닛산 덴키 큐브 컨셉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내용 부재)6. 콜라보레이션
2007년, 닛산 자동차는 음반 회사 워너 뮤직 재팬과 협력하여 "CUBE LOVES MUSIC"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음악 레이블을 만들었다. 이는 자동차 브랜드를 활용한 음악 레이블로는 마쓰다 트리뷰트의 "tributelink"(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와 제휴)에 이어 두 번째 사례였다. 이 레이블을 통해 발매된 곡들은 2007년 1월부터 닛산 큐브의 CM송으로 사용되었다.
첫 번째 아티스트는 아야카와 코부쿠로가 결성한 스페셜 유닛 "아야카×코부쿠로"였다. 두 번째는 나나무지카가 "노다메 칸타빌레"와 협업한 "나나무지카×노다메 오케스트라"였다. 세 번째는 Superfly가 호주 밴드 "JET"와 함께한 "Superfly×JET"였다. 네 번째는 오디션 프로그램 "이츠자이" 출신 haru가 히트곡 "배드 데이 - 운수 없는 날 응원가"로 알려진 뮤지션 다니엘 파우터와 팀을 이룬 "haru×daniel powter"였다. 다섯 번째로는 첫 번째 아티스트였던 아야카×코부쿠로가 다시 참여했다.
참고로, 공식적인 첫 작품은 아니지만 2007년 1월 20일과 21일 닛산 판매점에서 큐브 데뷔 기념으로 배포된 비매품 CD "아야카×코부쿠로 selection DRIVING MUSIC"이 있었다. 이 CD에는 아야카와 코부쿠로가 각각 2곡씩 선곡한 음악이 담겼다.
"CUBE LOVES MUSIC" 레이블을 통해 발매된 주요 곡들은 다음과 같다.
- "WINDING ROAD" - 아야카×코부쿠로 (2007년 2월 28일 발매)
- "Sora" - 나나무지카×노다메 오케스트라 (2007년 7월 18일 발매)
- "i spy i spy" - Superfly×JET (2007년 11월 28일 발매)
- "FIND MY WAY" - haru×daniel powter (2008년 3월 12일 발매)
- "あなたと" - 아야카×코부쿠로 (2008년 9월 24일 발매)
7. 수상
- 켈리 블루 북은 닛산 큐브를 1.8만달러 미만의 10대 멋진 자동차 중 하나로, 또한 10대 로드 트립 자동차 중 하나로 선정했다.
- 닛산 큐브는 미국 고속도로 안전 보험 협회(IIHS)에서 최고 안전 차량으로 선정되었다.
- 올해의 자동차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 AAA는 닛산 큐브를 개 주인을 위한 최고의 차량으로 선정했다.[12]
- 닛산 큐브는 오토퍼시픽의 동급 최고 차량 만족도 상을 수상했다.
- 닛산 큐브는 2018년 일본 굿 디자인 롱 라이프 디자인 상을 수상했다.[13]
참조
[1]
웹사이트
Mitsuoka rolls out new cars
https://www.thestar.[...]
2007-01-24
[2]
간행물
Surface configuration of a vehicle body, toy, and/or replica
[3]
웹사이트
First Drive: 2009 Nissan Cube
https://www.motortre[...]
Motortrend.com
2009-02-06
[4]
뉴스
Used car review: 2009-11 Nissan Cube a hit with grandpas
http://www.wheels.ca[...]
Star Media Group
2016-10-31
[5]
웹사이트
Nissan Cube is canned
http://www.whatcar.c[...]
2015-07-15
[6]
웹사이트
Want a New Nissan Cube? Time's Running Out
http://blogs.cars.co[...]
2015-07-15
[7]
웹사이트
Production ends in December! Why was the Cube abandoned by Nissan
https://bestcarweb.j[...]
2019-10-04
[8]
웹사이트
Nissan debuts its own hybrid and EV
http://www.autoblog.[...]
2008-08-06
[9]
간행물
Total Immersion Unveils D'Fusion@Home Software, Riding along with Nissan Cube Launch at L.A. Auto Show
http://www.businessw[...]
2008-12-26
[10]
간행물
Nissan Canada Mobilizing the Country's Creative Thinkers Through Social Media
http://www.marketwir[...]
2009-03-18
[11]
웹사이트
The Complete Guide to the Nissan Cube Z12
http://gocar.com.au/[...]
2014-05-03
[12]
웹사이트
Kia Soul, Nissan Cube Make List of Best Vehicles for Dogs
http://www.insidelin[...]
2010-08-20
[13]
웹사이트
2018 Good Design Long Life Design Award
https://www.g-mark.o[...]
Good Design Award, Japan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14]
웹사이트
日産 キューブ 新車販売台数/売れ行きと生産状況は?
https://id-informati[...]
2024-04-05
[15]
웹사이트
Nissan Cube US Sales Figures
https://www.goodcarb[...]
2012-07-11
[16]
웹사이트
Nissan Cube Canada Sales Figures
https://carfigures.c[...]
2024-04-05
[17]
문서
初代の開発自体は、近似したコンセプトの[[スズキ・ワゴンR]]のヒットに触発され1995年頃に開始されている。
[18]
웹사이트
キューブ(1998/02~2002/10・Z10型) CMについて教えて
http://www.nissan.co[...]
日産自動車
2019-05-03
[19]
웹사이트
キューブ(日産)1998年2月~2002年9月生産モデルのカタログ|中古車なら【カーセンサーnet】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8
[20]
웹사이트
日産自動車、第71回ジュネーブモーターショーにコンセプトカー「Chappo」を出品
http://nms.nissan.co[...]
2019-06-25
[21]
웹사이트
日産自動車 NEWS PRESS RELEASE
https://www.nissan-g[...]
[22]
웹사이트
キューブ(日産)2002年10月~2008年10月生産モデルのカタログ|中古車なら【カーセンサーnet】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8
[23]
문서
ただし、2012年からは全ての普通乗用車の後部中央座席に三点式シートベルト設置が義務化されている。
[24]
간행물
日産自動車、「オートカラーアウォード2014」で準グランプリを受賞
https://www.nissan-g[...]
日産自動車株式会社
2013-12-17
[25]
간행물
「キューブ」の特別仕様車「15X コダワリセレクション」を発売
https://www.nissan-g[...]
日産自動車株式会社
2014-11-06
[26]
간행물
「キューブ」を一部仕様向上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株式会社
2016-07-01
[27]
간행물
「キューブ」の特別仕様車「My cube」を発売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株式会社
2017-05-31
[28]
간행물
【ご参考】キューブに「デコキューブ」専用ステッカーをディーラーオプションで設定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株式会社
2017-10-18
[29]
간행물
キューブ「ライダー」を仕様向上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株式会社
2018-04-17
[30]
문서
これに伴い「アクシス」の販売が終了した。
[31]
간행물
日産「キューブ」が2018年度グッドデザイン・ロングライフデザイン賞を受賞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株式会社
2018-10-03
[32]
웹사이트
生産終了『キューブ』のコンセプトカーを東京オートサロンに展示した理由…日産が目論む新ビジネスとは
https://response.jp/[...]
2023-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