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은 1992년 몰도바와 트란스니스트리아 간에 발생한 무력 분쟁이다. 이 전쟁은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의 역사적 배경, 민족 구성, 언어 문제 등으로 촉발되었으며,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자치 정부 수립 시도에 몰도바 정부가 반대하면서 시작되었다. 1990년 분리주의 공화국 선포 이후, 1992년 3월에 본격적인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여 7월 휴전 협정 체결 시까지 지속되었다. 러시아군의 개입과 루마니아의 지원 등 외부 세력의 영향도 컸으며, 이로 인해 약 1,000명의 사망자와 3,000명에 달하는 부상자가 발생했다. 휴전 이후 러시아, 몰도바, 트란스니스트리아 3자 간의 평화 유지군이 주둔하며 현재까지 분쟁 지역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벤더 전투 중인 분리주의 세력
분쟁 명칭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무장 충돌 (트란스니스트리아)
트란스니스트리아 무력 충돌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몰도바-러시아 전쟁
몰도바-러시아 분쟁
시기1990년 11월 2일 – 1992년 7월 21일
주요 단계1992년 3월 2일 – 1992년 7월 21일
장소트란스니스트리아, 몰도바
결과러시아-트란스니스트리아 연합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군대
내무부
경찰
몰도바 인민전선
몰도바 지지 트란스니스트리아 의용군
루마니아 의용군 및 군사 고문
교전국 2

지휘관
지휘관 1미르체아 스네구르
발레리우 무라브스키
이온 코스타슈
파벨 크레앙가
투도르 다비자-카자로브
콘스탄틴 안토치
니콜라에 치르토아카
레오니드 카라세브
보리스 무라브스키
지휘관 2이고르 스미르노프
안드레이 마노일로프
블라디미르 릴랴코프
슈테판 키차크
니콜라이 레프코프
블라디미르 아타마니우크
표도르 도브로프
유리 그로술
블라디미르 안티우페예프
톰 제노비치
보리스 옐친
알렉산드르 레베디
유리 네트카체프
드미트로 코르친스키
참여 세력
몰도바군대
내무부
경찰
몰도바 인민전선
친몰도바 트란스니스트리아 의용군
루마니아의용군
군사 고문
트란스니스트리아군대
공화국 수비대
내무부
민병대
러시아군대
제14 근위군 (일부)
러시아 의용군
돈 코사크
쿠반 코사크군
오렌부르크 코사크
코사크 연맹
러시아 국민 단결
우크라이나가가우즈 의용군
우크라이나 의용군
UNA-UNSO
사상자
몰도바 및 동맹군사망: 279–324명
부상: 1,180명
트란스니스트리아 및 동맹군사망: 364–913명
부상: 624명
민간인 사상자총 316–637명 사망
관련 정보
관련 분쟁구소련 지역의 분쟁

2. 전쟁 배경

드니스테르강 동쪽의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은 역사적으로 몰도바 공화국의 주요 지역인 베사라비아와는 구별되는 배경을 가지고 있다. 1940년 소련에 의해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기 이전, 이 지역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내 몰다비아 자치 공화국의 일부였으며, 티라스폴은 1929년부터 1940년까지 그 수도였다. 이러한 역사적 차이와 함께, 소련 시대의 이주 정책 결과로 1980년대 말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인구는 몰도바인(39.9%)보다 러시아인우크라이나인의 합계(53.8%)가 더 많은 구성을 보이게 되었다.

1980년대 후반 소련페레스트로이카 정책으로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몰도바에서도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1989년, 몰도바 정부는 러시아어 대신 몰도바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지정하고, 표기 문자를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변경하는 법률을 제정했다. 같은 해 루마니아와의 국경이 일부 개방되자, 트란스니스트리아에 거주하는 다수의 비(非)몰도바인, 특히 슬라브계 주민들은 몰도바루마니아의 통일 가능성을 우려하기 시작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몰도바어 구사에 어려움을 겪었고, 소련 각지에서 비교적 최근에 이주해 온 경우가 많아 몰도바 민족주의 강화 움직임에 반감을 가졌다. 이러한 역사적, 민족적, 정치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에서는 몰도바로부터의 자치 또는 독립을 추구하고 러시아와의 관계를 유지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졌고, 이는 결국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으로 이어지는 핵심적인 배경이 되었다.

2. 1. 역사적 배경

역사적으로 드니스테르강 동쪽의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은 몰도바 공국이나 베사라비아에 속하지 않았다. 1940년 소련이 점령하여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MSSR)을 수립하기 전까지, 드니스테르 강 서쪽의 베사라비아 지역은 루마니아 영토(1918년-1940년)였다. 반면, 트란스니스트리아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내 몰다비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Moldavian ASSR, 1924년-1940년)의 일부였으며, 티라스폴은 1929년부터 1940년까지 이 자치 공화국의 수도였다. 이 자치 공화국은 현재 우크라이나 영토의 일부와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을 포함했다.

1940년, 소련나치 독일 간에 체결된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에 따라 소련은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를 점령했고, 베사라비아와 기존 몰다비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트란스니스트리아)를 합병하여 몰도바 SSR을 수립했다. 몰도바는 1991년 몰도바 독립 선언을 통해 이 조약을 무효라고 선언했지만, 소련 해체 이후에도 이로 인한 영토 변화는 유지되고 있다. 트란스니스트리아는 몰도바 전체 면적의 10%를 약간 넘는다.

소련 통치 하 몰도바 SSR에서는 러시아화 정책이 시행되었는데, 이는 루마니아 문화권으로부터의 고립과 몰도바어 표기에 키릴 문자를 강제하는 것을 포함했다.[33]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페레스트로이카글라스노스트 정책으로 소련의 정치 지형이 변화하면서 공화국 수준에서의 정치적 다원주의가 허용되었다. 몰도바 SSR에서도 다른 많은 지역처럼 민족 운동이 주요 정치 세력으로 부상했다.[34]

이러한 민족 운동은 점차 민족주의적 성향을 강화하며 소련으로부터의 독립과 루마니아와의 통일 의지를 표명하기 시작했다. 이는 공화국 내에 거주하는 주로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들의 반발에 부딪혔다.[35] 특히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에서 이러한 반발이 두드러졌는데, 1989년 트란스니스트리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소련 시대 이주 정책의 영향으로 몰도바인(39.9%)보다 러시아인우크라이나인의 합계(53.8%)가 더 많았기 때문이다. 이 지역의 비몰도바계 주민들은 대부분 몰도바어를 구사하지 못했고, 소련 각지에서 비교적 최근에 이주해 온 경우가 많아 기존 몰도바인들보다 경제적으로 더 나은 기반을 가진 경우도 있었다.

1989년, 몰도바 SSR은 러시아어 대신 몰도바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지정하고 표기법을 라틴 문자로 변경하는 법률을 제정했다. 같은 해 루마니아와의 국경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면서,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러시아계 주민들은 가까운 미래에 몰도바가 루마니아와 통일될 것을 우려하게 되었다. 이들은 몰도바의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에 강하게 반대하며, 몰도바 내에서 자치 정부를 수립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일부에서는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독자적인 역사(특히 1918년-1940년)와 몰도바계에 의한 차별에 대한 두려움이 분리주의 감정을 촉발했다고 보기도 한다. 그러나 존 매킨레이와 피터 크로스는 사상자 보고서 분석을 통해 상당수의 트란스니스트리아인과 몰도바인이 분쟁의 양측에서 함께 싸웠다는 점을 들어, 이 갈등이 본질적으로 민족적인 문제라기보다는 정치적인 성격이 더 강하다고 주장한다.[36]

2. 2. 정치적 배경

역사적으로 드네스트르강 동쪽의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은 몰도바 공국이나 베사라비아에 속하지 않았으며, 1940년 소련의 점령으로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MSSR)이 탄생하기 전까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인 몰다비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해 있었다. 티라스폴은 1929년부터 1940년까지 이 자치 공화국의 수도였다. 1980년대 말, 트란스니스트리아 인구 중 몰도바인은 39.9%였고, 러시아인우크라이나인의 합계는 53.8%에 달했는데, 이는 소련 시대의 이민 증가에 따른 결과였다. 이러한 인구 구성은 이후 민족 갈등의 배경이 되었다.

소련 통치 하에서 몰도바 SSR은 러시아화 정책의 대상이었으며, 루마니아 문화권과의 고립 및 루마니아어(몰도바어)에 대한 키릴 문자 도입 등이 이루어졌다.[33]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페레스트로이카글라스노스트 정책으로 정치적 다원주의가 허용되면서, 몰도바 SSR에서는 민족 운동이 주요 정치 세력으로 부상했다.[34] 이 운동은 점차 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이며 소련 탈퇴와 루마니아와의 통일 의지를 표명했고, 이는 공화국 내 러시아어 사용 소수 민족들의 반대에 부딪혔다.[35]

1989년, 몰도바러시아어 대신 몰도바어(루마니아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라틴 문자 사용을 결정하는 법률을 제정했다. 같은 해 루마니아와의 국경이 부분 개방되면서,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슬라브계 주민들 사이에서는 가까운 미래에 몰도바루마니아가 통일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비(非)몰도바인들은 대부분 몰도바어를 구사하지 못했으며, 이들은 소련 각지에서 비교적 최근에 이주하여 기존 몰도바인보다 경제적으로 성공한 경우가 많았다. 이 언어법은 특히 몰도바어를 사용하지 않는 비몰도바계 인구에게 불안감을 주었고[35], 이들은 몰도바의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에 반대하며 자치 정부 수립 운동을 전개했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분리주의적 감정이 독립적인 역사와 몰도바인에 의한 차별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지만, 다른 일부는 민족적 긴장만으로는 갈등을 설명할 수 없으며 본질적으로 정치적인 성격이 더 강하다고 주장한다.[36]

1990년 9월 2일,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은 러시아어 명칭인 '프리드네스트로비예'를 사용하여 프리드네스트로비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PMSSR)의 수립을 선포했다. 이는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나고르노-카라바흐 등 소련 전역에 등장한 여러 "미승인 공화국" 중 하나였다. 1990년 12월 22일, 미하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은 이 결정을 무효화하는 법령에 서명했지만, 몰도바 당국은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1990년 11월 2일, 두버사리(Dubăsari)에서 몰도바 정부와 분리주의 세력 간의 첫 충돌이 발생했다.[37] 지역 여성들이 법원과 검찰청을 점거하자, 몰도바 경찰은 드네스트르강 다리에 설치된 시민들의 도로 봉쇄를 해제하려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도로 봉쇄 해제를 막으려는 시민들을 향해 경찰이 발포하여 두버사리 주민 3명이 사망하고 13명이 부상당했으며, 이는 분쟁의 첫 사상자로 기록되었다.[37][55]

1991년 소련 쿠데타 미수 사건 이후인 1991년 8월 27일, 몰도바 의회는 몰도바 공화국의 독립을 선언했다. 이 선언은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을 "무효"로 언급하고, 베사라비아, 북부 부코비나, 헤르차 지역 및 몰도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영토에 몰도바 SSR이 설립된 것이 법적 근거가 없었다고 선언했다.[38] PMR 측은 이를 1940년의 합병이 무효화된 것으로 해석했지만, 몰도바 정부는 1940년 소련이 점령한 영토 상당 부분이 우크라이나에 남아 있다는 점 등을 들어 동의하지 않았고, 구 MSSR 전체 영토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며 영토 내 소련군 철수를 요구했다. 당시 신생 몰도바 공화국은 자체 군대를 보유하지 않았으며, 군 창설 시도는 1992년 초 갈등이 고조되면서 이루어졌다.

1991년 8월 29일, 트란스니스트리아 독립 지도자 이고르 스미르노프와 다른 대표들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서 레오니드 크라우추크 우크라이나 지도자와 회담하려 했을 때, 스미르노프는 몰도바 경찰에 체포되어 몰도바 교도소로 이송되었다. 이에 항의하여 여성 파업 위원회가 벤데르(티히나)와 티라스폴 사이의 모스크바-키시너우 철도 노선을 봉쇄했고, 결국 몰도바 대통령 미르차 스네구르는 스미르노프를 석방했다. 1991년 말에는 티라스폴르브니차의 경찰들이 PMR에 충성을 맹세하며 분리주의 움직임이 가속화되었다.

3. 군사력

몰도바 공화국은 독립 초기 자체 군대를 보유하지 않았으며, 1992년 분쟁이 고조되면서 군 창설을 시작했다. 1992년 3월 17일, 새로 설립된 국방부를 중심으로 병력 모집이 이루어졌다.[39] 1992년 7월까지 몰도바군은 경찰, 징집병, 예비군 및 자원봉사자(특히 분쟁 지역 인근 몰도바 지역 출신)를 포함하여 총 25,000명에서 35,000명 규모로 추산되었다. 몰도바는 소련으로부터 물려받은 무기 외에 루마니아로부터 무기를 지원받았으며,[40] 루마니아는 군사 고문과 자원봉사자도 파견하여 몰도바를 지원했다.[41]

티라스폴과 벤데르(티히나) 사이 다리 위의 PMR 트럭


반면, 트란스니스트리아(PMR) 지역에는 약 14,000명의 정규군으로 구성된 러시아 제14근위군이 주둔하고 있었다. PMR 당국은 제14군 장교들의 훈련과 무장 지원을 받아 약 9,000명의 민병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1992년 3월 기준 PMR 군 병력은 부정규군을 포함하여 약 12,000명으로 추산되었다.[42] PMR 부대는 제14군의 무기고에서 무기를 확보했는데, 러시아군은 이를 저지하지 않았고 오히려 무기 인도를 돕거나 탄약고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분리주의 세력을 지원했다.

러시아 연방에서는 돈, 쿠반, 오렌부르크, 시베리아 및 현지 트란스니스트리아 흑해 코사크를 포함한 자원봉사자들이 분리주의 세력에 가담하여 싸웠다.[42] 러시아 국내에서는 TV 캠페인을 통해 약 6,000명의 자원병이 모집되기도 했다. 일부 자료에서는 우크라이나 역시 자원병을 파견하여 트란스니스트리아를 지원했다고 언급한다.

thumb

트란스니스트리아에 주둔한 제14군은 공식적으로 소련, CIS, 러시아 연방에 차례로 소속되었으나, 실제로는 PMR군과 함께 또는 PMR군을 대신하여 전투에 참여하며 분쟁에 깊숙이 개입했다.[43][44] 제14군 병력 상당수는 현지 거주 허가를 가진 현지 징집병과 장교들이었다. 제14군 사령관이었던 야코블레프 중장은 PMR의 "국가방위안보부장"을 겸임하며 PMR군 무장을 도운 혐의로 1991년 12월 몰도바 당국에 체포되었으나, 이후 PMR군이 억류한 몰도바 경찰관들과의 교환 형식으로 석방되었다. 1992년 4월 5일에는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루츠코이 부통령이 티라스폴을 방문하여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독립을 지지하는 연설을 하며 분리주의 움직임을 부추겼다.

4. 군사적 충돌

1990년 9월 2일 트란스니스트리아(PMR)의 독립 선언 이후, 같은 해 11월 2일 첫 사망자가 발생했다. 몰도바군이 두보사리에 진입하려 했으나 드니스테르 강 다리를 막은 룽가 시민들과 충돌했고, 이 과정에서 몰도바군의 발포로 주민 3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부상했다.[45][46] 1991년 12월 13일, 몰도바군은 다시 룽가 다리 진입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이 과정에서 PMR군 27명이 포로로 잡히고 몰도바군 4명이 사망했다.[47]

이후 소강 상태를 보이다가, 몰도바가 국제 연합 회원국으로 가입하여 국제적인 독립 승인을 받은 1992년 3월 2일,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트란스니스트리아 준군사 조직의 공세에 대응하여 몰도바는 3월 29일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thumb

1992년이 되자 몰도바는 국방부를 창설하고 군대를 조직했으며, 6월에는 병력이 2만 5천 명에서 3만 명에 달했다. 루마니아는 몰도바에 무기, 군사 교관, 자원병을 지원했다. 반면,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에 주둔하던 러시아군 제14군(약 1만 4천 명)은 트란스니스트리아 민병대(약 8천 명)를 훈련시키고 무기를 공급했다. 또한 러시아 내 코사크를 포함한 약 6천 명의 자원병이 러시아에서 유입되었으며, 우크라이나 역시 자원병을 파견하여 트란스니스트리아를 지원했다.

1992년 5월 2일, 몰도바의 미르체아 스네구르 대통령은 루마니아의 지원을 받아 드니스테르 강 동쪽 강변의 두베사리 등 3곳에서 트란스니스트리아 민병대와 코사크 집단에 대한 군사 작전을 개시했다. 같은 날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루츠코이 부통령은 트란스니스트리아에 대한 지원을 선언했다. 두베사리에서는 간헐적인 휴전을 거치며 수 주간의 참호전이 벌어졌다.

5월과 6월에 걸쳐 드니스테르 강을 따라 여러 지역에서 무력 충돌이 격화되었으며, 특히 6월에는 몰도바군이 벤데리(티히나) 등 서쪽 강변 도시에서도 군사 작전을 실시했다. 6월, 몰도바 경찰이 제14군 소령을 체포하자 트란스니스트리아 측은 벤데리 경찰서를 공격하며 전면적인 전투로 확대되었다. 벤데리 시내에서는 시가전이 벌어져 많은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했다.

특히 6월 19일부터 21일까지 벌어진 벤데르 전투에서 러시아 제14군이 개입하여 트란스니스트리아 측을 지원했고, 몰도바군을 격퇴했다. 이 전투를 기점으로 군사적 충돌은 사실상 종식되었으며, 벤데리는 다시 트란스니스트리아 측의 지배 하에 들어갔다.

4. 1. 두보사리 지역 전투

최초의 군사 작전 지역은 드니스트르 강 동쪽 해안으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몰로바타 누아, 코치에리(약 6,000명 거주), 코르조바 그리고 두버사리 시(약 3,000명 거주) 마을들이었다. 이 마을들은 해안을 따라 약 10km~12km에 걸쳐 이어지는 주거 지역을 형성하고 있었다. 세 마을에서 서쪽 강둑으로 연결되는 유일한 통로는 페리 또는 두버사리에 있는 두 개의 다리뿐이었다.

1992년 3월 1일, 두버사리의 PMR 민병대장 이고르 십첸코(Igor Shipcenko)가 십대에 의해 살해되었고, 몰도바 경찰이 살해 혐의를 받았다. 이 사건은 이미 매우 긴장된 상황에 불을 지펴 갈등이 격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로스토프나도누에서 PMR측을 지원하기 위해 온 코사크들은 밤에 두버사리 경찰서를 습격했다. 무력 충돌을 우려한 몰도바 대통령 미르체아 스네구르(Mircea Snegur)는 26명의 경찰에게 공격해온 코사크와 PMR군에 항복할 것을 명령했다. 이들은 나중에 야코블레프(Yakovlev) 중장과 교환되었다. 키시너우에 충성하는 두버사리 지역(구)의 몰도바 경찰들은 점령된 두버사리 경찰서 대신 코치에리에 모였다.

1992년 3월 2일, 코치에리 주민들은 두버사리의 상황을 듣고 소규모 지역 무기고에 침입하여 PMR측에 대항하기 위해 무기를 확보했다. 코치에리의 알렉산드루 루치아노프(Alexandru Luchianov), 몰로바타의 알렉산드루 가제아(Alexandru Gazea), 로기(Roghi)의 미하이 누르(Mihai Nour) 등 세 명의 주민이 사망했지만, 코치에리의 군부대는 몰도바군에 패배했다. 장교들과 그들의 가족들은 마을을 떠나야 했다.[48] 이후 며칠 동안 더 많은 경찰들이 드니스트르 강 서쪽 강둑에서 페리로 수송되었다. 그들은 세 마을 주변에 방어선을 구축한 반면, PMR군은 두버사리를 장악했다. 그 후 몇 주 동안 PMR과 몰도바군 모두 이 지역에 대규모 병력을 집결시켜 간헐적인 휴전을 포함한 참호전을 벌였다.

4. 2. 벤데르 전투

1992년 3월 2일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이 공식적으로 시작된 이후, 몰도바트란스니스트리아 준군사 조직 간의 무력 충돌은 5월과 6월에 드니스테르 강을 따라 여러 지역에서 격화되었다. 특히 1992년 6월 19일부터 21일까지 벤데르(티히나라고도 함)에서는 대규모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에는 옛 소련군 제14군이 개입하여 트란스니스트리아 측을 지원했고, 결국 몰도바군을 몰아냈다. 벤데르 전투는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이 전투 이후 군사적 충돌은 크게 잦아들며 사실상 종식 국면에 접어들었다.

5. 휴전 및 평화 유지군

1992년 7월 21일,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몰도바 대통령 미르체아 스네구르모스크바에서 만나 휴전 협정에 서명했다.[53] 이 협정은 주로 러시아 측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러시아, 몰도바, 트란스니스트리아(PMR) 3자로 구성된 합동 통제 위원회(JCC) 창설을 규정했다. JCC는 휴전과 안보 협정 준수를 보장하는 평화유지군을 지휘하게 되었으며, 평화유지군은 러시아 5개 대대, 몰도바 3개 대대, PMR 2개 대대로 구성되었다.

휴전 협정 체결 후 며칠 만에 벤더 인근의 러시아계 주민이 다수 거주하는 마을 Gîsca(Gyska)에서 지역 자위대와 몰도바군 간에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여 최소 3명의 주민이 사망하고 민간 건물이 파손되는 피해가 있었다. 이후의 휴전 위반 보고는 인명 피해 없이 통제되었다.

벤더 전쟁 기념비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종전 후 영토 통제


이 충돌로 총 1,000명[50](다른 출처에서는 약 1,500명[67])에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부상자 수는 3,0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다른 구소련 지역 분쟁과 달리, 국내실향민(IDP)의 수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전투 중 구급차에 대한 총격이나 중기관총을 이용한 민가 및 광장에 대한 총격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러시아 제14군의 이 지역에서의 역할은 전쟁 결과에 결정적이었다. 몰도바군의 열세는 트란스니스트리아를 장악하는 것을 막았다. 러시아는 이후 제14군을 해산하고 트란스니스트리아 주둔군을 약 1,300명 규모의 군단으로 감축했으며, 이들은 JCC 평화유지군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PMR의 압도적인 군사적 우세로 몰도바는 승리할 가능성이 거의 없었고, 전투는 회의적인 몰도바 국민들에게 인기가 없었다.[54]

6. 인권 침해

인권센터 "메모리얼"(Memorial) 보고서에 따르면, 1992년 6월 19일 벤데르 현지 목격자들은 몰도바군이 장갑차에서 중화기로 주택, 마당, 자동차를 고의로 사격하는 것을 목격했다.[55] 다음 날인 6월 20일, 몰도바군은 집에 숨어 있거나 도시를 탈출하려는 민간인, 또는 부상당한 트란스니스트리아 경비대원을 돕는 민간인들에게 사격했다고 전해진다. 같은 날, 트란스니스트리아 집행위원회의 요청으로 벤데르 시내 광장에 모인 비무장 시민들에게 몰도바군이 기관총 사격을 가했다는 다른 목격자들의 증언도 있었다.[55] 벤데르의 의사들은 HRC 메모리얼 관찰자들에게 6월 19일부터 20일 사이 몰도바군 진지에서의 집중적인 사격으로 인해 부상자들을 제대로 치료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55]

6월 21일부터 22일까지 양측은 탱크, 포병, 수류탄 발사기를 동원한 격렬한 시가전을 벌였으며, 이 과정에서 민간인 사상자가 증가했음을 양측 장교 모두 인정했다.[55] 이 기간 동안 구급차가 공격받는 사건도 발생했는데, 양측은 서로에게 책임을 돌렸다. 트란스니스트리아 측은 벤데르에서 의사 1명이 사망하고 여러 명이 부상했으며, 코우셰니에서 구급대원 6명이 부상했다고 주장했다.[55]

몰도바 수도 키시너우에서 HRC 메모리얼 관찰자들은 트란스니스트리아 포로 12명과 면담했다. 이들은 코우셰니에서 초기 구금 및 심문 과정 중 몰도바 경찰에게 곤봉과 총 개머리판으로 심하게 구타당했으며, 총살 위협까지 받았다고 진술했다. 반대로, 포로로 잡힌 몰도바 경찰, 군인, 자원봉사자들이 트란스니스트리아군에 의해 구타와 고문을 당했다는 보고도 있었다.[55]

이 분쟁으로 양측을 합쳐 약 1,5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나[67], 난민 발생 규모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전쟁 중 부상자를 싣는 구급차에 대한 총격이나 중기관총을 이용한 민가 및 광장 공격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7. 외부 세력 개입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은 몰도바와 분리주의 세력 간의 충돌이었지만, 여러 외부 세력의 개입으로 국제적인 양상을 띠게 되었다. 특히 러시아는 분쟁 초기부터 트란스니스트리아 몰도바 공화국(PMR) 측에 깊숙이 관여했다. 공식적으로는 중립을 표방했으나, 현지에 주둔하던 러시아 육군 제14근위군은 사실상 PMR을 지원했으며, 일부 지휘관과 병력은 직접 PMR 편에 서서 전투에 참여하거나 무기를 제공하기도 했다. 또한, 코사크를 포함한 러시아 출신 자원병들이 PMR 측에서 싸웠다.

우크라이나 역시 PMR 측에 자원병을 파견하여 지원했다.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단체 소속 대원들이 트란스니스트리아 내 우크라이나계 주민 보호를 명분으로 참전했다.

반면, 루마니아몰도바 정부를 지원했다. 루마니아는 몰도바에 무기와 군수품을 제공하고 군사 고문을 파견했으며, 루마니아 출신 자원병들도 몰도바 측에서 전투에 참여했다.

이러한 외부 세력들의 직간접적인 개입은 전쟁의 전개와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러시아군의 군사적 지원은 PMR 측에 결정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했다.

7. 1. 러시아군 개입

러시아 육군은 공식적으로 중립 및 불개입 입장을 표명했지만, 실제로는 많은 장교들이 신생 트란스니스트리아 몰도바 공화국(PMR)에 동조하며 일부는 공개적으로 PMR을 돕기 위해 망명하기도 했다. 부트케비치 장군 휘하의 ROG 파르카니 사파 부대는 PMR 측으로 전향하여 두버사리, 구라 버쿨루이–버치오크, 코슈니차의 다리를 파괴하는 데 가담했다. 몰도바군이 파르카니 마을의 ROG 기지를 공습하고 포격한 것은 PMR뿐만 아니라 러시아군과의 직접적인 교전을 의미했다.

1991년, PMR 준군사 조직은 제14근위군의 보급창을 습격하여 상당량의 장비를 탈취했다. 당시 제14근위군 사령관이었던 G. I. 야코블레프 장군은 PMR을 공개적으로 지지했기 때문에, 이러한 습격은 군 경비병의 별다른 저항 없이 이루어졌고 관련자들은 처벌받지 않았다. 야코블레프는 PMR 창설에 참여하고 PMR 최고 소비에트에서 활동했으며, 1991년 12월 3일에는 PMR 국방부 초대 장관직을 수락했다. 이로 인해 독립국가연합(CIS)군 최고 사령관 예브게니 샤포시니코프는 즉시 그를 러시아군에서 해임했다.[56]

야코블레프의 후임인 유리 네트카체프 장군은 비교적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려 했으나, 키시너우(몰도바 수도)와 티라스폴(트란스니스트리아 수도) 사이의 중재 노력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1992년 6월에는 상황이 전면적인 군사 충돌로 악화되었다. 6월 23일, 몰도바군의 공세가 거세지자 알렉산더 레베드 소장이 제14군 사령부에 도착했다. 그는 군대를 시찰하고, 무기고 약탈을 방지하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 진행 중인 갈등을 중단시키고, 부대의 안전한 철수를 보장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레베드는 상황을 파악한 후 네트카체프를 대신해 군 지휘권을 잡고, 휘하 부대에 직접적인 군사 개입을 명령했다. 7월 3일 새벽 3시, 드네스트르강 좌안에 주둔한 제14군 부대는 대규모 포격을 개시하여 벤데르 인근 게르보베츠키 숲에 집결해 있던 몰도바군을 사실상 궤멸시켰다. 이 포격은 분쟁의 군사적 국면을 사실상 종결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57][58]

레베드는 트란스니스트리아 측을 노골적으로 지지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루마니아 작가들은 그가 "나는 몰도바 파시스트에 대항하여 트란스니스트리아 경비병을 돕고 무장시킨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기록했다.[59] 그는 또한 자신을 "드니스터 공화국"의 "보증인"이라고 칭했다.[60] 그러나 레베드는 트란스니스트리아 지도부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으며, 그들을 "범죄자"와 "강도"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의 입장을 보여주는 또 다른 발언으로는 "나는 티라스폴의 폭도들[분리주의자들]과 키시너우의 파시스트들에게 말했다. 서로 죽이는 것을 멈추지 않으면 내 탱크로 너희들을 모두 쏘아 죽일 것이다"라는 말이 있다.[7]

몰도바(흰색)와 트란스니스트리아(분홍색)


1992년 당시 몰도바는 국방부를 창설하고 약 2만 5천 명에서 3만 명 규모의 군대를 보유하게 되었다. 루마니아는 몰도바에 무기를 공급하고 군사 교관과 자원병을 파견하며 지원했다. 반면,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에 주둔하던 러시아군 제14군(약 1만 4천 명)은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의 민병대(약 8천 명)를 훈련시키고 무기를 공급했다. 또한 러시아 내 텔레비전 캠페인을 통해 약 6천 명의 자원병이 러시아에서 유입되었는데, 이들 중에는 볼가 강과 돈 강 지역의 코사크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우크라이나 역시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을 지원하며 자원병을 파견했다.

1992년 5월 2일, 몰도바가 국제연합에 가입하여 국제적 승인을 얻자, 미르차 스네구르 대통령은 루마니아의 지원을 받아, 두베사리 등 드네스트르강 동쪽 강변의 3곳에서 PMR 민병대와 코사크 부대에 대한 군사 작전을 개시했다. 이는 전날 두베사리에서 PMR 민병대원이 살해되고 몰도바 경찰이 용의자로 지목된 사건에 대한 보복 성격이 강했으며, 코사크 부대가 경찰서를 습격한 것이 직접적인 발단이 되었다.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루츠코이 부통령은 같은 날 트란스니스트리아에 대한 지원군 파병을 선언했다. 두베사리에서의 전투는 간헐적인 휴전을 거치며 몇 주간 참호전 양상으로 이어졌다. 몰도바군은 서안의 벤데리 등에 대해서도 군사 작전을 펼쳤다. 6월에는 몰도바 경찰이 제14군 소령을 파괴 활동 혐의로 체포하자, PMR 측이 벤데리 경찰서를 공격하면서 전면전으로 확대되었다. 도시 내 시가전으로 민간인 사상자가 다수 발생했다. 드네스트르강 다리를 둘러싼 최종 전투에서는 러시아의 지원을 받은 PMR 측이 승리하여 벤데리를 다시 장악했다.

7월 21일,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과 몰도바 대통령 미르차 스네구르 사이에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옐친의 주도로 러시아, 몰도바, 트란스니스트리아 3자로 구성된 평화유지군(Joint Control Commission, JCC)이 파견되어 휴전을 감시하게 되었다. 이 분쟁으로 양측 합쳐 약 1,5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67], 부상자를 실은 구급차나 민간 지역에 대한 무차별 총격도 빈번했다.

결과적으로 러시아 제14군의 압도적인 군사력이 전쟁의 향방을 결정지었다. 이후 러시아는 제14군을 해체하고 평화유지군 파병 병력 1,300명 수준으로 병력을 감축했다.

7. 2.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자원병

러시아 육군은 공식적으로 중립 및 불개입 입장을 표명했지만, 많은 러시아 장교들이 신생 트란스니스트리아 몰도바 공화국(PMR)에 동조했으며 일부는 PMR을 공개적으로 돕기 위해 망명하기도 했다. 부트케비치 장군이 지휘하는 파르카니의 러시아군 공병 부대는 PMR 측으로 넘어갔고, 이후 두버사리, 구라 버쿨루이–버치오크, 코슈니차의 다리를 파괴했다.[56]

1991년, PMR 준군사 조직은 제14근위군의 보급창에서 상당량의 장비를 탈취했다. 당시 제14근위군 사령관이었던 야코블레프(G. I. Yakovlev) 장군은 PMR을 공개적으로 지지했으며, 이 때문에 무기 탈취는 군 경비병의 저항 없이 이루어졌고 관련자들은 처벌받지 않았다. 야코블레프는 PMR 창설에 참여하고 PMR 최고 소비에트에서 활동했으며, 1991년 12월 3일 PMR 국방부 초대 장관직을 수락했다. 이로 인해 독립국가연합(CIS)군 최고 사령관 예브게니 샤포시니코프는 그를 즉시 러시아군에서 해임했다.[56] 야코블레프의 후임인 유리 네트카체프 장군은 비교적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려 했으나, 키시너우티라스폴 사이의 중재 시도는 실패했고 1992년 6월에는 공개적인 군사 충돌로 상황이 악화되었다.

6월 23일, 알렉산더 레베드 소장이 제14군 사령부에 도착하여 군대를 사찰하고 무기 도난 방지, 갈등 중단, 병력 철수 보장 등의 명령을 받았다. 그는 네트카체프를 대신하여 지휘권을 잡고 제14군에게 직접 갈등에 개입하라고 명령했다. 7월 3일 새벽, 제14군 포병 부대가 벤데르 근처 게르보베츠키 숲에 집중된 몰도바군을 포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고, 이는 전쟁의 군사적 단계를 사실상 종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57][58] 레베드는 "나는 몰도바 파시스트에 대항하여 트란스니스트리아 경비병을 돕고 무장시킨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하며 트란스니스트리아 측을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59] 그는 자신을 "드니스터 공화국"의 "보증인"이라고 칭하기도 했다.[60] 그러나 그는 트란스니스트리아 지도부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으며, 그들을 "범죄자"와 "강도"라고 비난했다. 또한 "나는 티라스폴의 폭도들[분리주의자들]과 키시너우의 파시스트들에게 말했다. 서로 죽이는 것을 멈추지 않으면 내 탱크로 너희들을 모두 쏘아 죽일 것이다"라는 말을 통해 그의 강경한 입장을 드러내기도 했다.[7]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출신의 자원병들이 트란스니스트리아 측에서 싸웠다. 이들 중에는 돈 코사크와 쿠반 코사크 등 코사크 병력도 포함되어 있었다. 러시아 국내의 텔레비전 캠페인을 통해 약 6,000명의 자원병이 러시아에서 유입되었으며, 이 중에는 볼가 강과 돈 강 지역의 코사크가 많았다. 자원병의 정확한 수나 군사적 역할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며, 추산치는 200명에서 최대 3,000명까지 다양하다.[64][61] 알려진 러시아 자원병으로는 드미트리 로고진,[62] 에두아르드 리모노프, 그리고 이고르 기르킨 등이 있다.[63]

우크라이나에서도 자원병들이 트란스니스트리아를 지원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특히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연합(UNA-UNSO) 대원들은 트란스니스트리아 내 다수의 우크라이나계 소수 민족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트란스니스트리아 분리주의자들과 함께 몰도바 정부군과 싸웠다.[16] 이들의 참전 동기는 "몰도바-루마니아의 공격에 대한 슬라브 민족의 투쟁"으로 설명되기도 한다.[16] 전쟁 후, 50명의 UNSO 대원들은 PMR로부터 "트란스니스트리아 수호자" 훈장을 받았다.

루마니아 자료에 따르면, 벤데르 감옥에서 최소 한 명의 수감자가 트란스니스트리아 경비대에 입대하기 위해 석방된 사례도 있었다.[64]

7. 3. 루마니아 개입

1992년 6월 말, 갈등이 고조되기 직전에 루마니아몰도바에 군사 지원을 제공했다. 이는 무기, 탄약, 군용 차량을 공급하고[40][61] 군사 고문을 파견하여 몰도바군과 경찰 병력을 훈련시키는[58]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루마니아 자원봉사자들이 몰도바 편에서 전투에 참여하기도 했다.[7][5][65]

참조

[1] 서적 The Russian Military Resurgence: Post-Soviet Decline and Rebuilding, 1992–2018 McFarland 2018
[2] 서적 Uncertain Ground: Engaging with Europe's De Facto States and Breakaway Territories https://carnegieendo[...]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18
[3] 서적 Moldova: Arena of International Influences https://books.google[...] Lexington 2022-09-04
[4] 웹사이트 http://artofwar.ru/i[...] 2022-08-21
[5] 간행물 Ethnicity and power in the contemporary world Chapter 5, "Dynamics of the Moldova Trans-Dniester ethnic conflict (late 1980s to early 1990s)" http://www.unu.edu/u[...]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2009-03-10
[6] 웹사이트 Mircea Snegur: 'Ne-am achitat cu România cu un MiG 29' http://www.timpul.md[...] 2011-10-14
[7] 뉴스 Transnistria: relic of a bygone era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14-08-06
[8] 웹사이트 Borderland Europe: Transforming Transnistria? http://ceps01.link.b[...] 2019-06-06
[9] 웹사이트 RUSSIA https://www.hrw.org/[...]
[10] 뉴스 BIRN fact-check: what must be done for Russian forces to leave Transnistria? https://balkaninsigh[...] 2021-01-22
[11] 서적 Ethnicity and territory in the former Soviet Union: regions in conflict. Taylor & Francis 2002
[12] 뉴스 http://www.radiopmr.[...] Radio Pridnestrovie 2014-04-06
[13] 웹사이트 http://www.olvia.idk[...] 2022-07-21
[14] 서적 https://books.google[...] Roman Konoplev 2014-02-02
[15] 뉴스 'Noi trebuie să ne închinăm rușilor și să uităm de români'. Interviu cu primul lider al găgăuzilor din Moldova http://moldnova.eu/r[...] 2017-08-21
[16] 서적 The radical right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since 1989 Pennsylvania University Press 1999
[17] 웹사이트 uk:'Краще згинути вовком, нiж жити псом' https://umoloda.kyiv[...] 2011-08-19
[18] 웹사이트 http://www.kp.md/dai[...] KP.Md 2010-03-03
[19] 웹사이트 О мерах по реализации Указа Президента Республики Молдова от 14 ноября 1991 года "Об объявлении собственностью Республики Молдова вооружения, военной техники, другого военного имущества, принадлежащего воинским частям, дислоцированным на территории республики" http://lex.justice.m[...]
[20] 웹사이트 Категория:Книга Памяти http://www.pmr.idkne[...]
[21] 웹사이트 http://www.mk.ru/soc[...] Mk.ru 2012-08
[22]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Войны http://war.freemd.in[...]
[23] 웹사이트 Приднестровье без Шевцова http://www.zavtra.ru[...] Zavtra.ru
[24] 웹사이트 Transnistria: Monument pentru generalul criminal Lebed http://www.ziuaveche[...] 2012-06-12
[25] 웹사이트 Unexpected Friendships: Cooperation of Ukrainian Ultra-Nationalists with Russian and Pro-Kremlin Actors https://www.illibera[...] Illiberalism Studies Program 2021-09-29
[26] 웹사이트 Monumentul eroilor căzuți în războiul transnistrean http://www.monument.[...] Monument.md 1998-08-29
[27] 간행물 Accente 2002-03-14
[28] 간행물 Dnestrovskaya Pravda 2001-11-24
[29] 웹사이트 Возрожденному в приднестровье черноморскому казачьему войску – 15 лет http://www.olvia.idk[...] Olvia Press 2007-05-03
[30] 웹사이트 В Приднестровье отмечают 15-летие Черноморского казачьего войск http://www.nr2.ru/pm[...] Новый Регион – Приднестровье 2014-02-22
[31] 웹사이트 Moldova http://www.ucdp.uu.s[...] UCDP Conflict Encyclopedia
[32] 뉴스 Oazu Nantoi: "Conflictul nu este intern. Pacificatorii ruși au menirea de a nu admite rezolvarea acestui conflict" https://moldova.euro[...] 2020-03-01
[33] 웹사이트 Transdniestrian conflict: origins and issues https://www.osce.org[...] OSCE 1994-06-10
[34] 서적 Reconstituting the market: the political economy of microeconomic transformation Taylor & Francis
[35] 서적 Reconstituting the market: the political economy of microeconomic transformation
[36] 서적 Regional Peacekeepers, The Paradox of Russian Peacekeeping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2003
[37] 서적 Human Rights in Moldova: The Turbulent Dniester (Page 4) https://books.google[...] Human Rights Watch 2011-09-05
[38] 웹사이트 Moldova's 199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ttp://pridnestrovie[...]
[39] 웹사이트 Istoria creării Armatei Naționale (Moldova) http://www.army.gov.[...] Army.gov.md 2011-09-05
[40] 서적 Arms and Ethnic Conflic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1
[41] 웹사이트 Voronin says Romania started Moldova's war against Transnistria http://miris.eurac.e[...] Tiraspol Times 2022-03-25
[42] 서적 Под знаменами демократии
[43] 웹사이트 Borderland Europe: Transforming Transnistria? http://ceps01.link.b[...] Centre for European Political Studies 2001-10
[44] 보고서 Analysis of the Transnistrian Conflict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1993-12
[45] 서적 O viziune din focarul conflictlui de la Dubăsari Prut International 2005
[46] 웹사이트 Dubossary marked anniversary of the first Dniester engagement https://newdaynews.r[...] newdaynews.ru 2011-09-05
[47] 서적 O viziune din focarul conflictului de la Dubăsari
[48] 서적 O viziune din focarul conflictului de la Dubăsari
[49] 웹사이트 Хроника конфликта в Приднестровско – Молдавской республике с 1988 по 2006 г. http://mkspmr.idknet[...]
[50] 뉴스 Moldovan Forces Seize A Key Tow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2-06-21
[51] 학술지 War in Moldova (1992) 1998-05
[52] 학술지 Los Conflictos Congelados de la Antigua Unión Soviética https://publicacione[...] Ministerio de Defensa 2011-12
[53] 웹사이트 Leaders sign Moldova peace pact https://www.upi.com/[...] 1992-07-21
[54] 서적 Moldova: caught between nation and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55] 웹사이트 Large-scale and gross violations of human rights and the situation in the zone of armed conflict in and around the city of Bender (June–July, 1992) http://www.memo.ru/h[...] Human Rights Center "Memorial" 2014-08-06
[56] 서적 Leader [s.n.] 2001
[57] 보고서 U.S. and Russian Policymaking With Respect to the Use of Force, chapter 4, Trans-Dniestria https://www.rand.org[...]
[58] 웹사이트 Вождь в чужой стае http://femida-pmr.na[...]
[59] 서적 Războiul de pe Nistru (The war on Dniestr) Ager-Economistul Publishing House 2004
[60] 서적 Moscow's "near Abroad": Security Policy in Post-Soviet Europe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National Strategic Studies, National Defense University 1993-03-18
[61] 서적 Managing Conflict in the Former Soviet Union: Russian and American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MIT Press 1997
[62] 웹사이트 UNIMEDIA - Portalul de știri nr. 1 din Moldova http://unimedia.md/?[...]
[63] 웹사이트 В бой за Донбасс идет господин реконструктор! (In the battle for the Donbass is Mr. Enactor!) http://www.kp.ru/dai[...] 2014-06-16
[64] 서적 Războiul de pe Nistru Ager – Economistul Publishing House 2004
[65] 뉴스 Приднестровский парламентарий: Причиной приднестровского конфликта стало то, что Молдавия провозгласила себя моноэтническим государством http://www.regnum.ru[...] REGNUM News Agency 2008-03-03
[66] 기타 沿ドニエストル紛争、ドニエストル紛争、プリドニエストル紛争
[67] 뉴스 Soviet Past Lives in Moldova's Tiny Trans-Dniester http://abcnews.go.co[...] ABC news 2009-10-12
[68] 웹사이트 Transnistria: relic of a bygone era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01-10-08
[69] 서적 Ethnicity and power in the contemporary world, Chapter 5, Dynamics of the Moldova Trans-Dniester ethnic conflict (late 1980s to early 1990s) http://www.unu.edu/u[...]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1996
[70] 뉴스 Dnestrovskaya Pravda Dnestrovskaya Pravda 2001-11-24
[71] 웹사이트 ВОЗРОЖДЕННОМУ В ПРИДНЕСТРОВЬЕ ЧЕРНОМОРСКОМУ КАЗАЧЬЕМУ ВОЙСКУ – 15 ЛЕТ http://www.olvia.idk[...] Olvia Press 2006-12-18
[72] 웹인용 Monumentul eroilor căzuţi în războiul transnistrean http://www.monument.[...] Monument.md 1998-08-29
[73] 간행물 Accente 2002-03-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