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팍티야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팍티야 주는 아프가니스탄 동부에 위치한 주로, 기원전부터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파슈툰족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파크타스 부족이 이 지역에 거주했으며, 헤로도토스는 파슈툰족을 파크티안으로 지칭했다. 팍티야는 험준한 산악 지형을 가지며, 파키스탄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팍티야 주는 12개의 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민의 대다수는 파슈툰족이다. 2005년 이후 식수 접근성이 향상되었으나, 교육 및 출산 관련 지표는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주 - 바다흐샨주
    바다흐샨주는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힌두쿠시 산맥과 파미르 고원에 걸쳐 타지키스탄, 중국, 파키스탄과 국경을 접하며, 타지크족이 주로 거주하고 다리어를 사용하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아프가니스탄의 일부가 되었으나 2021년 탈레반에 함락되었다.
  • 아프가니스탄의 주 - 판지시르주
    판지시르주는 아프가니스탄 힌두쿠시 산맥의 판지시르 계곡에 위치하며,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무자헤딘의 거점이었고, 2004년 신설되었으며, 타지크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며, 7개의 구역으로 나뉘고 에메랄드와 은의 광맥으로 유명하다.
팍티야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아프가니스탄 내 팍티아 주 위치
아프가니스탄 내 팍티아 주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팍티아 주
현지 명칭پکتیا (파슈토어 및 다리어)
위치아프가니스탄
주도가르데즈
행정
국가아프가니스탄
주지사무함마드 알리 잔 아흐마드
부주지사셰이크 아지즈-우르-라흐만 만수르
지리
면적5583 km²
인구
총 인구 (2021년)622831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언어
주요 언어파슈토어
시간대
시간대아프가니스탄 시간
UTC 오프셋+4:30
기타
우편 번호22xx
ISO 코드AF-PIA

2. 역사

팍티야 주는 고대부터 다양한 민족과 제국의 지배를 받아왔으며, 파슈툰족의 주요 거주 지역 중 하나였다. 팍티야라는 지명은 리그베다에 언급된 '파크타스' 부족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파슈툰족의 조상으로 여겨진다.[4] 헤로도토스는 이들을 '파크티안'이라고 불렀다. "-ia"라는 단어는 "~의 땅"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파크티아는 "파크투스의 땅"을 의미한다.[4]

1985년 호스트 주와 팍티카 주가 분리되기 전까지 팍티야는 이들 지역과 함께 '로야 팍티아'(대 팍티아)로 불렸다.[4] 1980년대에는 나지불라 아흐마자이 등 팍티야 출신 지도자들이 아프가니스탄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1. 고대

기원전부터 인더스 문명, 옥수스 문명, 간다라 왕국, 메디아 제국, 아케메네스 제국, 마케도니아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마우리아 제국, 그레코-박트리아 왕국, 파르티아 제국, 인도-그리스 왕국, 인도-스키타이 왕국, 쿠샨 제국, 인도-파르티아 왕국, 사산 제국, 키다르 왕국, 롭 왕국, 알촌 훈, 에프탈 제국, 네자크 훈 등 다양한 세력의 영향을 받았다.

리그베다에는 파크타스라는 부족이 언급되며, 이는 파슈툰족의 조상으로 여겨진다.[4] 헤로도토스는 파크티안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파슈툰족을 지칭했다.

시기명칭
기원전 2200–1800년인더스 문명
기원전 2100–1800년옥수스 문명
기원전 1500–535년간다라 왕국
기원전 728–550년메디아 제국
기원전 550–330년아케메네스 제국
기원전 330–312년마케도니아 제국
기원전 312–150년셀레우코스 제국
기원전 305–180년마우리아 제국
기원전 256–125년그레코-박트리아 왕국
기원전 247–서기 224년파르티아 제국
기원전 180–90년인도-그리스 왕국
기원전 155–80?년인도-스키타이 왕국
기원전 135 – 서기 248년쿠샨 제국
기원전 20 – 서기 50?년인도-파르티아 왕국
230–651년사산 제국
320–465년키다르 왕국
롭 왕국
380–560년알촌 훈
410–557년에프탈 제국
484–711년네자크 훈


2. 2. 중세

팍티야 지역은 투르크 샤히, 차가니안 공국, 라시둔 칼리파국, 당나라, 티베트 제국, 우마이야 칼리파국, 준빌, 라윅 왕조, 아바스 칼리파국, 타히르 왕조, 사파르 왕조, 사만 왕조, 가즈나 왕조, 구르 왕조, 셀주크 제국, 호라즘 제국 등의 지배를 받았다. 1219년부터 1226년까지는 몽골의 침공이 있었다. 이후 차카타이 칸국, 카를루그 왕조, 일 칸국, 카르트 왕조, 티무르 제국, 아르군 왕조 등 이슬람 세력의 통치를 받았다.[4]

2. 3. 근대

팍티야 주는 무굴 제국, 사파비 왕조, 쿤두즈 칸국, 호타크 왕조, 사도자이 술탄국, 아프샤르 왕조, 두라니 제국, 마이마나 칸국, 헤라트, 칸다하르 공국,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아프가니스탄 왕국,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국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아프가니스탄 임시 행정부, 아프가니스탄 과도 행정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등 다양한 정권의 지배를 받았다.

1980년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팍티야 주에서는 제3234고지 전투 등 격전이 벌어졌다. 1988년 1월 7일부터 8일까지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 국경 근처에서 벌어진 이 전투에서 소련 제345 독립 근위 공수연대 39명의 공수부대는 최대 250명의 무자헤딘 반군에 맞서 성공적인 방어전을 펼쳤다.[5] 소련군은 6명이 사망하고 28명이 부상당하는 적은 피해를 입었으며, 전사한 뱌체슬라프 알렉산드로비치 알렉산드로프와 안드레이 알렉산드로비치 멜니코프는 사후에 소련 영웅 금성훈장을 받았다.[6]

1990년대 탈레반 정권 등장 이후 팍티야 주는 혼란스러운 상황을 겪었으며, 2001년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에도 탈레반과 알 카에다의 저항이 계속되었다.[10] 2006년 9월에는 하킴 타니왈 주지사가 탈레반의 자살 폭탄 테러로 암살되기도 했다.[12]

1978년부터 1989년 사이의 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에는 팍티야주에서 자바라 전투, 자지 전투, 마기스트랄 작전, 3234 고지 전투 등이 일어났다.

3. 정치

탈레반 정부 붕괴 직후, 팍티야 주는 라이벌 민병대 사령관들 간의 지역 통제권을 두고 소규모 내전이 발발하면서 혼란스러운 상황에 놓였다.[10] 팍티야는 탈레반 반군과 ISAF이 지원하는 아프가니스탄 국가 안보군 사이에 격렬한 전투가 벌어진 곳 중 하나였다. 특히, 아나콘다 작전의 대부분은 팍티야에서 가장 큰 지역인 주르마트에서 일어났다.

2002년 1월 하미드 카르자이에 의해 파차 칸 자드란이 주지사로 임명되었지만, 지역 부족 원로인 하지 사이풀라는 자드란을 "밀수업자", "폭군", "살인자"로 간주하며 강하게 반대했다.[11] 자드란에 충성하는 군대는 여러 차례 가르데즈를 공격했고 사이풀라의 민병대에 의해 저항을 받아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 결국 자드란은 2002년 2월 가르데즈에 치명적인 로켓 공격을 명령한 후 카르자이에 의해 해고되었다.[11]

2003년 2월, 가르데즈에 제1 지방 재건팀(PRT)이 감시 하에 강화된 보안과 함께 지역 아프간 프로젝트에 자금을 제공한다는 목표로 시작되었다. 2006년 9월, 하킴 타니왈 주지사는 가르데즈의 집무실을 떠나다가 탈레반 자살 폭탄 테러범에게 살해되었다.[12]

2010년 2월 12일, 카타바 습격 중 미군 특수 부대에 의해 두 명의 임신한 여성과 10대 소녀를 포함한 5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 미군 특수 부대는 나중에 이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비난을 받았다.[13][14][15] 합동 특수 작전 사령부의 수장인 미 해군 중장 윌리엄 맥레이븐은 사망이 "끔찍한 실수"였다고 밝히고,[16] 사과하고 사망에 대한 책임을 인정했다.[17]

2006년 주지사 암살과 같은 몇몇 주목할 만한 사건에도 불구하고, 초기의 불안 이후 비교적 긴 평화의 시기가 이어졌으나, 2014년 미군 철수가 임박하면서 폭력 사건이 증가했다. 팍티야의 일부 지역은 하카니 네트워크 무장 세력의 안전한 은신처로 여겨지기도 한다.[18][19]

팍티야 주는 불안정한 정치 상황으로 인해 탈레반 정권 붕괴 후 잦은 주지사 교체가 있었다. 팍티야 주는 파슈툰족의 견고한 지반이며, 동주의 파슈툰족 민족주의자들은 로야 팍티야를 재결성하여 파슈투니스탄을 건국하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지역 재건 지원팀(PRT)이 가르데즈에 기지를 두고 치안과 재건을 지원하고 있다.

4. 지리

팍티야 주는 대부분 산악 지형이며, 대부분의 인구는 동쪽의 아흐마드켈구에서 주르마트를 거쳐 인접한 팍티카 주로 뻗어 있는 중앙 계곡에 거주한다. 주의 동부, 특히 참카니 구와 단 아우 파탄 구는 파키스탄으로 이어지는 두 번째 계곡이다. 자지(자지) 및 자니켈 지역은 대부분 산악 지형이며 거주하는 계곡은 훨씬 작다.

가르데즈 남쪽의 호스트-가르데즈 고개 지역은 산악 지형이며 정착지는 주요 고개와 작은 계곡으로 제한된다. 2005년 기준으로 아즈라 지역은 더 이상 팍티야 주의 일부가 아니며, 도로와 사람들의 연결이 훨씬 더 밀접한 북쪽의 로가르 주에 편입되었다.

팍티야는 파키스탄연방 직할 부족 지역과 접경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동부의 다른 전통적인 파슈툰족 지역과 마찬가지로, 파키스탄과의 국경을 긋는 듀랜드 라인은 전혀 실효성이 없으며, 지역 주민들은 양국을 자유롭게 왕래하고 있다. 주 내에는 12개의 군이 있다.

파크티야 주의 눈 덮인 산

5. 행정 구역

팍티야 주는 15개의 구(District)로 구성되어 있다.[21] 각 구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구 (District)인구 (2022년)면적 (km²)인구 밀도 (명/km²)민족비고
아흐마드 아바31,48836486파슈툰족2005년 사이드 카람 구에서 분리 신설; 미르자카라는 비공식 구를 포함
아흐마드헬25,775220117파슈툰족
단 아우 파탄30,027219137파슈툰족
가르데즈95,66367914160% 파슈툰족, 40% 타지크족주도 가르데즈 포함. 이 도시는 주의 주요 남북 및 동서 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
게르다 세라이12,64229343파슈툰족
자니헬39,459353112파슈툰족
라자 망갈21,258193110파슈툰족
미르자카9,69822044파슈툰족
로하니 바바23,01865335파슈툰족
사이드 카람62,97525624695% 파슈툰족, 5% 타지크족2005년에 분할
슈와크6,24511455파슈툰족
참카니56,465301188파슈툰족팍티야 주 동부의 가장 큰 도시인 참카니 (Share Now라고 불림)를 포함하며, 파키스탄으로 가는 주요 관문임
자드란27,480263104파슈툰족2005년 게르다 세라이를 만들기 위해 분할
자지71,212591120100% 파슈툰족파키스탄의 시아파와 수니파 사이의 종파 분쟁을 피해 자지로 피난하는 사람들이 있음
주르마트98,54774713297% 파슈툰족, 3% 타지크족인구가 많고 비교적 번영한 농업 지역. 다른 대부분의 구와 달리 주르마트는 여러 부족 집단을 포함하여 다른 구보다 약간 더 분열되어 있음



게르다 세라이, 아흐마드헬, 미르자카는 비공식 구이다. 팍티야는 파키스탄연방 직할 부족 지역과 접경하고 있다.

6. 주민

팍티야주의 행정 구역


2021년 기준 팍티야 주의 총 인구는 622,831명이다.[21] 전쟁연구소에 따르면 "이 주는 주로 파슈툰족이며 소수의 타지크족이 거주한다."[22]

팍티야 주 구 (District)
구 (District)인구 (2022년)[21]면적인구 밀도민족비고
아흐마드 아바31,48836486파슈툰족2005년 사이드 카람 구에서 분리 신설; 미르자카라는 비공식 구를 포함
아흐마드헬25,775220117파슈툰족
단 아우 파탄30,027219137파슈툰족
가르데즈95,66367914160% 파슈툰족, 40% 타지크족주도 가르데즈 포함. 이 도시는 주의 주요 남북 및 동서 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
게르다 세라이12,64229343파슈툰족
자니헬39,459353112파슈툰족
라자 망갈21,258193110파슈툰족
미르자카9,69822044파슈툰족
로하니 바바23,01865335파슈툰족
사이드 카람62,97525624695% 파슈툰족, 5% 타지크족2005년에 분할
슈와크6,24511455파슈툰족
참카니56,465301188파슈툰족팍티야 주 동부의 가장 큰 도시인 참카니 (Share Now라고 불림)를 포함하며, 파키스탄으로 가는 주요 관문임
자드란27,480263104파슈툰족2005년 게르다 세라이를 만들기 위해 분할
자지 (자지)71,212591120100% 파슈툰족파키스탄의 시아파와 수니파 사이의 종파 분쟁을 피해 자지로 피난하는 사람들이 있음
주르마트98,54774713297% 파슈툰족, 3% 타지크족인구가 많고 비교적 번영한 농업 지역. 다른 대부분의 구와 달리 주르마트는 여러 부족 집단을 포함하여 다른 구보다 약간 더 분열되어 있음
팍티야 주611,9525,58311093.3% 파슈툰족, 6.7% 타지크족


7. 보건

Clean drinking water영어을 사용하는 가구 비율은 2005년 30%에서 2011년 36%로 증가했다.[20] 숙련된 출산 도우미의 도움을 받은 출산 비율은 2005년 9%에서 2011년 3%로 감소했다.[20]

8. 교육

6세 이상 인구의 문맹률은 2005년 35%에서 2011년 27%로 감소했다.[20] 6~13세 인구의 순 취학률은 2005년 65%에서 2011년 24%로 감소했다.[20]

9. 주요 인물

모하마드 나지불라는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의 마지막 대통령이었다.[4] 1980년대 아프가니스탄 지도부에는 나지불라 아흐마자이, 모하마드 아슬람 와탄자르, 샤나와즈 타나이, 사예드 무하마드 굴라브조이 등이 있다.[4]

10. 기타

팍티야주의 일부 지역은 하카니 네트워크의 은신처로 여겨지기도 한다.[18][19] 하카니 네트워크는 탈레반 반란에 관련된 반정부 전투 조직이다.

참조

[1] 웹사이트 د نږدې شلو ولایاتو لپاره نوي والیان او امنیې قوماندانان وټاکل شول http://azamnews.com/[...] 2021-11-07
[2] 웹사이트 د پکتیا ولایت د ټولو ولسوالیو د مسؤلینو او امنیه قوماندانانو ګډه غونډه جوړه شوه – د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ي امارت https://www.alemarah[...] 2021-11-16
[3] 서적 War in Afghanistan Palgrave MacMillan
[4] 웹사이트 Loya Paktia's Insurgency: The Haqqani Network as an Autonomous Entity https://www.afghanis[...] 2009
[5] 서적 The Russian Elite Greenhill/Stackpole
[6] 뉴스 "Клятва тридцати девяти" http://www.rsva.ru/b[...] Krasnaya Zvezda 1988-10-29
[7] 뉴스 "Афганистан: бой у высоты 3234" http://www.rsva.ru/b[...]
[8] 서적 My Jihad: One American's Journey Through the World of Usama Bin Laden—as a Covert Operative for the American Government
[9] 서적 The Russian Elite Greenhill/Stackpole
[10] 웹사이트 Pacha Khan Zadran http://www.globalsec[...]
[11] 뉴스 Heavy fighting in southern Afghan province threatens fragile peace https://www.independ[...] 2014-02-27
[12] 뉴스 Nato kills 94 'Taleban fighters'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9-10
[13] 웹사이트 The Times & The Sunday Times https://www.thetimes[...] 2018-04-05
[14] 뉴스 Nato 'covered up' botched night raid in Afghanistan that killed five http://www.rawa.org/[...] RAWA News 2013-07-12
[15] 뉴스 NATO admits Afghan civilian deaths in night raid https://www.reuters.[...] Reuters 2013-07-12
[16] 뉴스 Special Forces chief begs forgiveness for killing five innocents http://news.scotsman[...] The Scotsman 2010-04-09
[17] 간행물 US military offers sheep in apology for Afghanistan deaths http://www.csmonitor[...] 2010-04-08
[18] 웹사이트 More than 20 Insurgents Killed in Haqqani Clearing Operation http://www.isaf.nato[...]
[19] 웹사이트 Afghan, Coalition Forces Keep Pressure on Insurgents http://www.defense.g[...] 2018-04-05
[20] 웹사이트 Archive, Civil Military Fusion Centre https://www.cimicweb[...]
[21] 웹사이트 Estimated Population of Afghanistan 2021–22 National Statistic and Information Authority (NSIA) 2021-06-21
[22] 웹사이트 Paktiya Province Understanding War 2013-08-17
[23] 웹사이트 Paktia Province Naval Postgraduate School 2023-12-29
[24] 웹사이트 Estimated Population of Afghanistan 2021-22 National Statistic and Information Authority (NSIA) 2021-06-21
[25] 서적 7 Deadly Scenarios: A Military Futurist Explores the Changing Face of War in the 21st Century Random House Digital, Inc.
[26] 웹사이트 Provinces of Afghanistan https://www.statoids[...] 2014-03-02
[27] 웹사이트 U.S. Hands Over Nation-Building Projects To Afghans http://www.npr.org/b[...] National Public Radio 2013-05-16
[28]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9] 뉴스 Nato kills 94 'Taleban fighters'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9-10
[30] 웹사이트 http://www.globals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