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보니파시오 4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니파시오 4세는 608년부터 615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그는 마르시 출신으로, 교황 그레고리오 1세 재위 시 로마 교회의 부제였다. 보니파시오 4세는 판테온을 기독교 성당으로 개축하도록 지시하여, 로마에서 이교 사원을 기독교 성당으로 바꾼 최초의 사례를 만들었다. 또한, 잉글랜드 교회와 관련한 문제로 런던의 주교 멜리토가 로마를 방문하였으며, 아일랜드 선교사 골룸바노는 삼장서 논쟁과 관련하여 교황에게 서신을 보내기도 했다. 보니파시오 4세는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5월 8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퀼라도 출신 - 쥘 마자랭
쥘 마자랭은 이탈리아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하며 30년 전쟁 종식과 프랑스-스페인 전쟁 승리에 기여하고 프롱드의 난을 진압하여 루이 14세의 절대왕정 기반을 다진 추기경이자 정치가이다. - 라퀼라도 출신 - 베네데토 크로체
베네데토 크로체는 이탈리아의 철학자, 역사가, 문학 비평가로, 헤겔의 정신철학을 계승하여 미학, 역사철학, 자유주의 정치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사상을 펼쳤다. - 550년 출생 - 성 갈루스
아일랜드 출신 수도사이자 선교사인 성 갈루스는 성 골룸바노와 함께 유럽 대륙에서 활동하며 스위스 장크트갈렌 수도원 설립에 기여했고, 그의 유산은 학문과 문화 발전에 공헌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 550년 출생 - 에설버트 (켄트)
에설버트 켄트 왕은 앵글로색슨족의 왕이자 잉글랜드 최초의 브레트왈다로, 프랑크 왕국 공주와의 결혼 동맹, 캔터베리 대주교의 기독교 선교 지원, 잉글랜드 최초 게르만 법전 제정, 경제적 번영을 통해 잉글랜드 기독교화에 기여하여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교황 보니파시오 4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교황 정보 | |
![]() | |
이름 | 보니파시오 4세 |
존칭 접두사 | 성 교황 |
직함 | 로마 주교 |
교회 | 가톨릭교회 |
재임 시작 | 608년 9월 25일 |
재임 종료 | 615년 5월 8일 |
선임자 | 보니파시오 3세 |
후임자 | 아데오다토 1세 |
출생일 | 550년 |
출생지 | 동로마 제국 발레리아 |
사망일 | 615년 5월 8일 |
사망지 | 동로마 제국 로마 |
공경 | 가톨릭교회 |
축일 | 5월 8일 |
상징 | 교황 예복 |
시성 | 보니파시오 8세 |
다른 이름 | 보니파시오 |
성지 | 성 베드로 대성당 |
성인 칭호 | 교황 |
존칭 접미사 | OSB |
개인 정보 | |
출생 이름 | 보니파시오 |
로마자 표기 | |
라틴어 | Bonifatius IV |
기타 | |
이전 직업 | 그레고리오 1세 치하에서 부제 |
2. 생애
보니파시오 4세는 마르시인 출신으로, 의사인 요한네스의 아들로 태어났다.[16] 교황 그레고리오 1세 재임 시절, 그는 로마 교회의 부제로서 교회가 소유한 수익형 농지 관리 직책(dispensator)을 맡았다.[15]
609년 5월 13일, 보니파시오 4세는 동로마 제국 황제 포카스의 동의를 얻어 로마의 판테온을 기독교 성당으로 개축했다. 그는 판테온 내 아그리파 조각상과 유피테르, 베누스, 마르스 등 고대 로마 신상들을 철거하고, 성모 마리아와 모든 순교 성인에게 헌정하는 의식을 거행했다. 카타콤바에 안장된 순교자들의 유해를 28개 바구니에 담아 판테온 중앙 제대 밑에 이장했는데, 이는 로마에서 이교 사원을 기독교 성당으로 바꾼 최초의 사례였다.[15]
보니파시오 4세 재위 기간에 초대 런던의 주교 멜리토가 잉글랜드 교회 관련 문제들을 논의하기 위해 로마를 방문했다.[17] 그는 수도자들의 삶과 평화에 관한 로마 시노드에 참석하여 잉글랜드 교회가 준수해야 할 사항들을 캔터베리 대주교 라우렌시오와 잉글랜드 사제, 켄트의 애설버트 왕과 모든 잉글랜드 백성에게 전달했다.
612년에서 615년까지 봄비오에 거주하던 아일랜드 선교자 골룸바노는 랑고바르드 왕국 왕 아길루프의 요청으로 삼장서 단죄와 관련하여 보니파시오 4세에게 서신을 보냈다. 그는 교황이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수용했다는 이유로 이단 혐의를 제기하며, 교황의 정통성 증명을 위해 새 공의회 소집을 촉구했다. 그는 서신에서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그리고 성령의 인도 아래 거룩한 법전을 기록한 제자들을 따르는 아일랜드 사람들은 복음과 사도들의 가르침만을 받아들인다"라고 강조하며, 교황에게 교회의 평화를 지켜달라고 요청했다.[15]
보니파시오 4세는 자신의 저택을 수도원으로 바꾸고 그곳에서 생활하다 선종했다. 그의 시신은 성 베드로 대성전 주랑 현관에 안장되었으며, 이후 세 차례 이장되었다가 1603년 10월 21일 성 베드로 대성전에 최종 안장되었다.[15]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5월 8일이다.
2. 1. 교황 선출
보니파시오 4세는 발레리아 태생의 마르시인이자 의사인 요한네스의 아들이다.[16] 교황 보니파시오 3세가 선종한 후 10개월 간의 공석 끝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15] 뒤센에 따르면 608년 8월 25일, 야페에 따르면 9월 15일에 축성되었다.[5] 바티칸은 그의 교황직 공식 시작일을 9월 25일로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9개월이 넘는 공석 기간은 콘스탄티노폴리스로부터 황제의 승인을 기다리는 기간이었다.[5]3. 주요 업적
보니파시오 4세는 판테온을 기독교 교회로 개조하고, 잉글랜드 교회와 관계를 맺었으며, 삼장서와 관련하여 골룸바노의 서신을 받았다.
- 포카스 황제의 허가를 받아 로마의 판테온을 기독교 교회로 개조하였다.[6]
- 초대 런던 주교인 멜리투스가 "새로 설립된 영국 교회와 관련된 중요한 문제에 대해 교황에게 자문하기 위해" 로마를 방문하였다.[7]
- 이탈리아 보비오에 살고 있던 아일랜드 선교사 콜룸바누스는 롬바르디아 왕 아길룰프의 설득으로 "세 장"의 정죄에 대한 편지를 보니파시오 4세에게 보냈다.[5]
3. 1. 판테온 봉헌
609년 5월 13일 보니파시오 4세는 동로마 제국의 황제 포카스의 동의를 얻어 로마에 있는 판테온을 기독교 성당으로 개축하도록 지시하였다.[15] 그는 판테온 안에 있던 아그리파의 모습을 새긴 조각상과 유피테르, 베누스, 마르스 등의 고대 로마 신상들을 모두 철거하였다. 그리고 판테온을 축성한 후에 성모 마리아와 모든 순교 성인에게 헌정하는 의식을 거행하였다. 카타콤바(지하 묘지)에 안장된 순교자들의 유해를 28개의 바구니에 나누어 담아 판테온에 설치한 중앙 제대 밑에 이장하도록 하였다. 이 사건은 로마에서 이교 사원을 기독교 성당으로 바꾼 최초의 사례였다.[15]3. 2. 잉글랜드 교회와의 관계
보니파시오 4세 재위 기간에 초대 런던의 주교 멜리토가 신생 잉글랜드 교회 관련 중요 문제들을 논의하기 위해 로마를 방문하였다.[17] 멜리토는 수도자들의 삶과 평화에 관한 로마 시노드에 참석한 후, 잉글랜드 교회가 준수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시노드 결정을 캔터베리 대주교 라우렌시오와 잉글랜드의 모든 사제, 켄트의 애설버트 왕과 모든 잉글랜드 백성에게 전하기 위해 잉글랜드로 돌아갔다.3. 3. 삼장서 논쟁
612년에서 615년 사이에 이탈리아 봄비오에 거주하던 아일랜드 선교사 골룸바노는 랑고바르드 왕국의 왕 아길루프의 요청에 따라 삼장서를 단죄한 것과 관련하여 보니파시오 4세에게 서신을 보냈다.[15] 골룸바노는 교황이 553년에 소집된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수용했다는 이유로 이단 혐의를 받고 있다고 주장하며, 교황으로서의 정통성을 증명하기 위해 공의회를 새로 소집해야 한다고 촉구하였다.[15] 그는 서신에서 “이 세상의 가장 먼 곳에 사는 우리 아일랜드 사람들은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그리고 성령의 인도 아래 거룩한 법전을 기록한 제자들을 따르는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이 복음과 사도들의 가르침 이외에는 아무것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 저는 제가 이 나라에서 성 베드로좌에 대한 나쁜 평판으로 매우 고통스럽다는 것을 고백합니다. … 로마는 위대하고 멀리까지 알려졌지만, 그것은 오직 이 베드로좌 때문에 우리에게 영광스럽고 위대한 것입니다. 교황 성하, 이리에 맞서 성하의 양떼 앞에 서서 교회의 평화를 지켜 주십시오.”라고 하였다.[15] 보니파시오 4세의 답변에 대한 기록은 없다.4. 죽음과 시성
보니파시오 4세는 자신의 저택을 수도원으로 바꾸고 그곳에서 살다가 선종하였다.[15] 그의 시신은 성 베드로 대성전 주랑 현관에 안장되었다. 이후 그의 유해는 세 차례 이장되었는데, 10세기와 11세기, 교황 보니파시오 8세 재임 시기인 13세기 말, 그리고 1603년 10월 21일에 최종적으로 성 베드로 대성전에 다시 안장되었다.[15]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5월 8일이다.[15]
5. 기념일
보니파시오 4세의 주요 기념일은 5월 8일이며, 서거일이다.[12] 이전 기념일은 5월 25일이었다.[13] 베네딕토회와 시토회에서는 5월 28일을 기념일로 지킨다. 아브루초의 루코 데이 마르시에서는 8월 셋째 주말에 보니파시오 4세를 수호 성인으로 기리는 축일을 연다.[14] 1603년 10월 21일에는 보니파시오 4세의 유해가 이장되었다.[13]
기념일 | 내용 |
---|---|
5월 8일 | 주요 기념일, 서거일[12] |
5월 25일 | 이전 기념일[13] |
5월 28일 | 베네딕토회와 시토회 기념일 |
8월 셋째 주말 | 루코 데이 마르시(아브루초)의 수호 성인 축일[14] |
10월 21일 | 1603년 유해 이장[13] |
참조
[1]
웹사이트
Bonifacio (?-615)
https://web.archiv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2015-04-28
[2]
웹사이트
Lexikoneintrag zu »Bonifacius, S. (6)«. Vollständiges Heiligen-Lexikon, Band 1. ...
http://www.zeno.org/[...]
2023-06-12
[3]
백과사전
BONIFACIO IV, santo
http://www.treccani.[...]
[4]
서적
Byzantine Rome and the Greek Popes
Lexington books
[5]
간행물
Pope St. Boniface IV
[6]
서적
The Pantheon: Design, Meaning, and Progeny
Harva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St Boniface IV", Oxford Reference
http://www.oxfordref[...]
[8]
인용
[9]
인용
[10]
인용
[11]
인용
[12]
웹사이트
Lexikoneintrag zu »Bonifacius, S. (6)«. Vollständiges Heiligen-Lexikon, Band 1. ...
http://www.zeno.org/[...]
2023-06-12
[13]
웹사이트
Papa San Bonifacio IV - Enciclopedia Católica
https://ec.aciprensa[...]
2023-06-12
[14]
웹사이트
Antonello Venditti a Luco dei Marsi per le Feste Patronali 2016
https://www.mondoeve[...]
2023-06-12
[15]
웹사이트
Pope Boniface IV
https://en.wikisourc[...]
Catholic Encyclopedia
[16]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ope Boniface IV
http://www.newadvent[...]
[17]
문서
베다, H. E., II, i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