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내전은 1920년부터 영국 통치 하에 있던 팔레스타인에서 팔레스타인인과 시온주의자 간의 갈등으로 시작되었다. 1936-1939년 팔레스타인 아랍 반란, 제2차 세계 대전, 홀로코스트 이후 시온주의 운동의 부상과 유엔의 팔레스타인 분할안이 내전의 배경이 되었다. 1947년 11월 30일부터 1948년 4월 1일까지 내전이 발발하여 살인, 보복, 방화 등 양측의 공격이 이어졌으며, 하가나의 공세 전환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아랍군은 패배하고 팔레스타인 난민이 발생했으며,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 국가가 선언되면서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내전 - 달레트 계획
달레트 계획은 1948년 하가나가 이스라엘 건국을 위해 작성한 군사 계획으로, 유대인 점령 지역 확장을 목표로 하였으며 팔레스타인인 강제 이주와 마을 파괴를 초래했다. - 1947년 분쟁 - 국공 내전
국공 내전은 1927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무력 충돌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화민국 분단으로 이어진 중요한 사건이다. - 1947년 분쟁 - 후크발라합 반란
후크발라합 반란은 일본군 점령기 중앙루손 지방의 저항군이 필리핀 정부의 탄압에 저항하여 일으킨 무장 투쟁이다. - 1948년 분쟁 - 국공 내전
국공 내전은 1927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무력 충돌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화민국 분단으로 이어진 중요한 사건이다. - 1948년 분쟁 -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 발포 사건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봉기 사태와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 및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남로당 무장봉기와 미군정 및 이승만 정부의 강경 진압으로 많은 제주도민이 희생되었으며, 현재 진상 규명 노력과 국가의 공식 사과가 이루어졌으나 폭동과 항쟁이라는 시각이 대립하며 논쟁이 진행 중이다.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명칭 |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내전 |
일부 |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의 상호 간 갈등 1948년 팔레스타인 전쟁 아시아의 탈식민지화 |
기간 | 1947년 11월 30일 – 1948년 5월 14일 |
장소 |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
결과 | 유대인 국민 평의회 승리 이스라엘 독립 선언 발표 주변 아랍 국가의 개입,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시작 |
교전 세력 | |
유대인 국민 평의회 | [[파일:Haganah Symbol.svg|16px]] 하가나 팔마흐 [[파일:Irgun.svg|17px]] 이르군 [[파일:Logo of the Lehi movement.svg|15px|link=]] 레히 해외 자원 봉사자 동맹 베두인 부족 |
아랍 고등위원회 | 성전군 [[파일:Arab Liberation Army (bw).svg|16px]] 아랍 해방군 [[파일:ArabLegn.gif|17px]] 아랍 군단 |
지휘관 | |
유대인 국민 평의회 | 다비드 벤구리온 야코브 도리 이가엘 야딘 이갈 알론 메나헴 베긴 |
아랍 고등위원회 | 파우지 알카우크지 압드 알카디르 알후사이니 |
병력 규모 | |
유대인 국민 평의회 | 15,000명 (시작) -> 35,000명 (종료) |
아랍 고등위원회 | 아랍인: 수천 명, 영국 탈영병: ~100–200명 |
사상자 규모 | |
유대인 국민 평의회 (4월 9일 기준) | 895명 사망 |
아랍 고등위원회 (4월 9일 기준) | 991명 사망 |
(4월 9일 기준) | 123명 사망, 300명 부상 |
기타 정보 | |
관련 전투 목록 |
2. 역사적 배경
1920년부터 영국의 위임통치를 받게 된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팔레스타인인 민족주의자들과 시온주의 운동가들 사이에 갈등이 깊어졌다. 양측 모두 영국의 통치에 반대하는 동시에 서로에 대한 적대감을 키워나갔다.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의 저항은 1936-1939년 팔레스타인 아랍 반란으로 최고조에 달했다. 이 격렬한 충돌 과정에서 팔레스타인 아랍인 약 5,000명과 유대인 약 500명이 목숨을 잃었다. 반란의 결과, 아민 알-후세이니를 비롯한 아랍 최고 위원회 지도부 등 팔레스타인 정치 지도자 다수가 국외로 망명해야 했다. 영국은 반란에 대응하여 1939년 백서를 통해 유대인의 이민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라는 비극을 겪으면서 시온주의 운동은 국제 사회의 더 많은 관심과 동정을 받게 되었다.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 내에서는 시온주의 무장 단체들이 영국 행정부를 상대로 무력 투쟁을 벌였다. 1945년부터 1947년 6월까지 약 2년 반 동안 유대인 무장 세력의 공격으로 영국 측 군인 및 경찰 103명이 사망하고 391명이 부상을 입었다.[12] 팔레스타인 아랍 민족주의자들도 세력을 재정비하려 했으나, 조직력 면에서 시온주의자들에 비해 열세에 놓여 있었다.
1947년 8월 15일, 유대인 무장 조직 하가나는 페타 티크바 인근의 팔레스타인인 가족이 사는 집을 폭파하여 여성과 어린이 6명을 포함한 거주민 12명을 살해하는 사건을 일으켰다.[13] 이후 1947년 11월부터 가옥 폭파는 하가나의 주요 공격 방식 중 하나가 되었다.[14] 이러한 폭력 사태의 증가는 팔레스타인의 미래를 둘러싼 외교적 해결 노력이 실패로 돌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더 큰 규모의 충돌로 이어질 전조가 되었다.
2. 1. 1947년 유엔 팔레스타인 분할안
1947년 2월 18일, 영국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에서 철수하겠다고 발표했다. 팔레스타인의 미래를 둘러싼 외교적 노력은 팔레스타인인과 시온주의자 사이의 상반된 입장을 조율하는 데 실패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하가나는 11월 초부터 전쟁 준비에 돌입하여 17세에서 25세 사이의 모든 남성에게 동원령을 내렸다.[15]결국 1947년 11월 29일, 유엔 총회는 팔레스타인을 유대인 국가와 아랍 국가로 나누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분할 결의안(181호) 채택을 권고하는 투표를 진행했다. 이 결의안은 주요 강대국들의 지지를 받았으나, 아랍 연맹을 비롯한 아랍 국가들은 이에 강력히 반대했다.
분할안 통과 이후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다. 미국은 기존의 분할안 지지 입장을 철회하고 1948년 3월 팔레스타인 신탁 통치를 대신 제안했다. 이는 아랍 연맹으로 하여금 아랍 해방군의 지원을 받는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이 분할 계획을 무력화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만들었다. 한편, 영국은 1948년 2월 7일, 팔레스타인의 아랍 지역을 트란스요르단에 병합하는 방안을 지지하기로 결정했다.
3. 내전의 발발 (1947년 11월 30일 – 1948년 4월 1일)
유엔의 팔레스타인 분할안이 유엔 총회에서 가결된 1947년 11월 29일 직후, 팔레스타인 전역은 격렬한 충돌의 소용돌이에 휩싸였다. 유대인 공동체는 분할안 통과를 환영했지만,[17]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은 이에 강력히 반발하며 아랍 고등 위원회의 주도로 12월 1일부터 사흘간의 총파업에 돌입했다.[18]
분할안 가결 다음 날인 11월 30일부터 양측 간의 폭력 사태가 급증하며 사실상의 내전 상태로 접어들었다.[19][20] 유대인을 태운 버스에 대한 공격[25][26]을 시작으로, 살인과 보복, 그리고 이에 대한 또 다른 보복 공격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면서 양측에서 수십 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이러한 폭력의 악순환 속에서 당시 치안을 담당하던 영국군은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아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21][22][23][24]
초기의 산발적인 충돌은 점차 조직적이고 군사적인 양상을 띠기 시작했다. 유대 측의 이르군과 레히와 같은 무장 단체들은 시장이나 버스 정류장 등 민간인이 밀집한 장소를 대상으로 폭탄 공격을 감행했으며,[30] 하가나 역시 보복 공격과 군사 작전을 수행했다. 아랍 측에서도 무하마드 아민 알-후세이니의 주도로 예루살렘의 유대인 거주 지역에 대한 봉쇄를 시도하는 등[32] 군사적 대응에 나섰다. 1948년 초에 접어들면서 예루살렘, 하이파 등 아랍인과 유대인이 함께 거주하던 도시들에서는 폭동과 전투가 격화되었고, 교통로를 둘러싼 매복 공격과 습격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러한 폭력 사태의 격화는 국제 사회의 입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미국은 1948년 3월, 기존의 분할안 지지를 철회하고 팔레스타인에 대한 신탁 통치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는 아랍 연맹과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에게 분할안을 저지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기도 했다. 반면, 영국은 1948년 2월 7일, 팔레스타인의 아랍 지역을 트란스요르단에 병합하는 방안을 지지하기로 결정하며 복잡한 국제 관계를 드러냈다.
한편, 내전 초기부터 팔레스타인 사회 내부의 불안정은 심화되었다. 특히 유대인 지배 지역 내 도시의 아랍인 사회는 큰 타격을 입었다. 1947년 12월부터 1948년 3월 말 사이에 하이파, 야파, 예루살렘 등 주요 도시의 아랍인 중 상류층과 중산층을 중심으로 최대 10만 명에 달하는 인구가 안전을 찾아 해외나 동쪽의 아랍 중심지로 피난길에 올랐다.[40] 이는 이후 대규모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로 이어지는 비극의 시작이었다. 유대 측은 다비드 벤-구리온의 주도로 하가나를 재편성하고 징병제를 도입하는 등 군사력 강화에 나섰다.
3. 1. 주요 사건 및 전투

유엔 총회에서 결의안 181(II)이 채택되자 유대인 공동체는 환호했으나,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은 이에 항의하며 12월 1일부터 사흘간 총파업을 벌였다.[16][17][18] 곧이어 팔레스타인 전역에서 폭력 사태가 확산되며 양측 간 내전의 서막이 올랐다.[19][20] 살인과 보복, 그리고 이에 대한 반보복 공격이 꼬리를 물면서 양측에서 수십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영국군은 이러한 폭력 사태에 개입하지 않아 상황은 악화일로를 걸었다.[21][22][23][24]
결의안 채택 후 첫 희생자는 11월 30일 크파르 시르킨 근처에서 발생했다. 자파 출신의 아랍인 8인조가 유대인 버스를 매복 공격하여 5명을 살해하고 다른 승객들에게 부상을 입혔다. 30분 후, 이들은 하데라 남쪽에서 또 다른 유대인 버스를 공격해 2명을 추가로 살해했다. 예루살렘과 하이파에서도 유대인 버스를 향한 총격이 있었다.[25][26] 이는 열흘 전 헤르즐리야 근처에서 레히가 팔레스타인 아랍인 5명을 살해한 사건(슈바키 가족 암살 사건)에 대한 보복으로 알려졌다.[27][28][29]
이르군과 레히는 시장이나 버스 정류장 같이 사람이 붐비는 장소에 폭탄을 설치하는 전술을 사용했다.[30] 12월 30일, 하이파에서는 이르군 단원들이 정유소 앞에서 줄을 서 있던 아랍 노동자들에게 폭탄 2개를 투척하여 6명이 사망하고 42명이 부상했다. 이에 분노한 아랍 군중은 보복으로 유대인 39명을 살해하는 하이파 정유소 학살을 자행했다. 이 학살은 영국군이 개입하여 진정될 때까지 계속되었다.[23][31] 유대 측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팔마흐와 카르멜리 여단 병력을 동원해 발라드 아쉬-셰이크와 하와사 마을을 공격했다. 발라드 알-셰이크 학살로 알려진 이 공격으로 남성, 여성, 어린이를 포함한 마을 주민 60명에서 70명 가량이 살해되었다.
1947년 12월 31일, 무하마드 아민 알-후세이니는 수천 명의 자원병을 모집하여 예루살렘의 유대인 주민 10만 명을 봉쇄하기 시작했다.[32] 이에 맞서 이슈브 당국은 최대 100대의 장갑차를 동원해 보급품 수송을 시도했으나, 호송대가 아랍 측의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으면서 작전은 점차 어려워졌다. 1948년 3월경에는 알-후세이니의 봉쇄 전술이 효과를 거두어 하가나의 장갑차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수백 명의 하가나 대원들이 보급 작전 중 사망했다.[33] 고립된 네게브와 갈릴리 북부 유대인 정착촌의 상황은 더욱 심각했다.

1948년 1월부터는 작전이 점차 군사화되었다. 예루살렘과 하이파 등 유대인과 아랍인이 함께 거주하던 모든 혼합 지역에서는 더욱 격렬한 공격, 폭동, 보복과 반보복이 연쇄적으로 발생했다. 산발적인 총격전은 전면적인 전투로 확대되었고, 교통로에 대한 공격은 피비린내 나는 매복 공격으로 이어졌다.

1948년 2월 22일, 무하마드 아민 알-후세이니의 지지자들은 일부 영국군 탈영병의 도움을 받아 유대인 공동체를 대상으로 세 차례의 대규모 공격을 감행했다. 친 시온주의 성향의 신문사인 ''팔레스타인 포스트'' 본부, 벤 예후다 거리 시장, 그리고 유대 기구 사무실 뒤뜰에 카 폭탄을 이용한 공격으로 각각 22명, 53명, 13명의 유대인이 사망하여 총 88명이 목숨을 잃었고, 수백 명이 부상했다.[34][35]
이에 대한 보복으로 레히는 카이로에서 하이파로 향하던 열차가 지나가던 레호보트 근처 철로에 지뢰를 설치했다. 이 열차 폭탄 테러로 영국군 28명이 사망하고 35명이 부상했다.[36] 3월 31일에는 카이사레아 마리티마 근처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또 다른 열차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이번에는 대부분 아랍 민간인이었던 40명이 사망하고 60명이 부상했다.[37]
이러한 폭력 사태가 격화되자 다비드 벤-구리온은 하가나를 재편성하고 징병제를 의무화하여 모든 유대인 남녀가 군사 훈련을 받도록 했다. 국제 정세도 변화하여, 미국은 분할안 지지를 철회하고 1948년 3월 팔레스타인 신탁 통치를 제안했다. 이는 아랍 연맹과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이 분할 계획을 무산시킬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했다. 반면 영국은 1948년 2월 7일, 팔레스타인의 아랍 지역을 트란스요르단에 병합하는 방안을 지지하기로 결정했다.
유대인들은 모든 지역을 사수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39] 전반적인 불안정 상황은 아랍 공동체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하이파, 야파, 예루살렘 등 유대인 지배 지역 내 도시의 아랍인 상류층 및 중산층 최대 10만 명이 해외나 동쪽의 아랍 중심지로 피난했다.[40]
한편, 골다 메이어가 미국 내 동정자들의 기부금을 통해 자금을 마련하고, 스탈린이 시온주의를 지지하기로 결정하면서 팔레스타인 유대인 대표들은 동구권 국가들과 중요한 무기 계약을 체결할 수 있었다. 다른 하가나 요원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비축된 무기를 확보하여 군 장비와 물류를 개선했다. 유대인 기구는 외국 무기 구매에만 2800만달러를 투입했다. 이에 비해 아랍 고등 위원회의 총 예산은 225만달러로, 이는 전쟁 전 하가나의 연간 예산과 비슷한 수준이었다.[41]
팔레스타인 내에서는 여러 아랍 해방군(ALA) 연대가 개입하여 해안 도시 주변 등 여러 지역에서 활동하며 갈릴리와 사마리아에서 영향력을 강화했다.[42] 압드 알-카디르 알-후세이니는 이집트에서 수백 명의 성전군(Jaysh al-Jihad al-Muqaddas) 병력을 이끌고 왔다.
아랍 측에는 소수의 전직 정보 요원, 국방군, 무장 친위대 장교를 포함한 독일 및 보스니아 출신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이 자원병으로 합류하기도 했다.[43] 이들은 파우지 알-카우크지(제2차 세계 대전 중 국방군 장교 복무)[44]가 지휘하는 ALA 부대나, 알-후세이니(이라크에서 영국군에 맞서 독일군과 협력) 및 살라마(독일에서 특공대 훈련 후 공수 작전 실패)가 지휘하는 무프티 부대에 소속되었다.[45] 그러나 역사가 베니 모리스는 이스라엘이 외국 군사 전문가를 유치하고 활용하는 데 더 성공적이었으며, 아랍 측에 합류한 전직 나치나 보스니아 무슬림 자원병들은 분쟁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평가한다.[46]
3. 2. 국제 사회의 정책 변화
1947년 11월 29일, 유엔 총회는 주요 강대국의 지지 속에 1947년 유엔 분할안의 채택과 이행을 권고했으나, 아랍 국가들은 이에 반대했다. 이러한 상황 변화 속에서 미국은 기존의 분할안 지지를 철회하고, 1948년 3월 팔레스타인 신탁 통치 안을 새롭게 제안했다. 이는 아랍 연맹이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의 힘으로 분할 계획을 저지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만들었다. 한편, 영국은 1948년 2월 7일, 팔레스타인의 아랍 지역을 트란스요르단에 병합시키는 방안을 지지하기로 결정했다.소련의 지도자 스탈린은 시온주의를 지지하기로 결정했으며, 이 결정 덕분에 팔레스타인의 유대인 대표들은 동구권 국가들과 중요한 무기 계약을 체결할 수 있었다. 특히 스탈린은 유엔의 무기 금수 조치를 위반하면서까지 체코슬로바키아를 통해 유대인 측에 무기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전쟁의 향방에 영향을 미쳤다.[72] 시리아 역시 아랍 해방군을 위해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무기를 구매하려 했으나, 하가나의 개입으로 무산되었다. 스탈린의 이러한 결정 배경에는 유엔 분할안 지지와 더불어, 마셜 플랜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체코슬로바키아가 외화를 벌어들일 기회를 제공하려는 의도 등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73]
소련 지원의 정확한 규모와 역할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많은 역사학자들은 팔레스타인 아랍 측이 동등한 수준의 지원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유대인 측에 일방적으로 유리한 상황이 조성되었다고 평가한다.[75] 이후 1948년 5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무기 금수 조치를 모든 아랍 국가로 확대 적용했으며, 이는 아랍 국가들에게 상당한 어려움을 초래했다.[76]
3. 3. 팔레스타인 난민 발생
내전 초기, 시온주의 세력은 점령 지역을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사수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39]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은 국가 전체가 처한 불안정한 상황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1947년 12월부터 1948년 3월 말까지,[40] 하이파, 야파, 예루살렘 등 유대인 지배하에 놓인 도시 지역의 아랍인 중 상류층과 중산층을 중심으로 최대 10만 명이 팔레스타인을 떠나 해외 또는 동쪽의 아랍 중심지로 피난길에 올랐다.[40] 이는 이후 본격화될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의 시작이었다.4. 하가나의 공세 전환 (1948년 4월 1일 – 1948년 5월 15일)
1948년 초, 전쟁 초기 국면에서 아랍 측은 공세를 펼치며 유엔 분할안 수립을 저지하려 했고[62], 특히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보급로가 위협받는 등 유대 공동체(이슈브)는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64] 초기 아랍 측의 성공은 아랍 최고 위원회의 자신감을 높였으나[61], 유대 지도부는 상황 악화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63]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하가나는 1947년 11월부터 이미 동원령을 내리고 전쟁 준비에 착수했으며[15], 전반적인 조직력과 전투 능력 면에서 아랍 측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38] 특히 유대 측은 자금 확보에서 아랍 측을 압도했다. 골다 메이어는 미국 내 동조자들로부터 상당한 자금을 확보했으며[41], 유대인 기구는 외국 무기 구매에만 2800만달러를 배정했다. 이는 아랍 고등 위원회의 총예산 225만달러와 비교되는 규모였다.[41]
또한, 스탈린의 정치적 결정에 따라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중요한 무기를 공급받을 수 있었는데[72], 이는 1948년 4월부터 항공 수송을 통해 이루어졌다.[74] 이러한 무기 지원은 전세에 영향을 미쳤으며[72], 시리아 등 아랍 측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무기 구매를 시도했으나 하가나의 방해로 실패하기도 했다. 반면 아랍 국가들은 1948년 5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무기 금수 조치 확대[76]로 무기 확보에 더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비록 아랍 해방군과 성전군이 팔레스타인 내에서 활동하고[42], 일부 독일 및 보스니아 출신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이 아랍 측에 가담했지만[43][44][45], 이들의 영향력은 제한적이었고[46], 전반적인 군사적 역량 강화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있다.[46]
이러한 군사적, 경제적, 외교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1948년 4월을 기점으로 하가나가 공세로 전환하고 전쟁의 주도권을 장악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4. 1. 주요 작전 및 전투
1947년 8월 15일, 하가나는 페타 티크바 인근 팔레스타인 가족의 집을 폭파하여 여성과 어린이 6명을 포함한 12명의 거주자를 살해했다.[13] 1947년 11월 유엔 분할안 가결 이후, 가옥 폭파는 하가나의 주요 공격 방식 중 하나가 되었다.[14]분쟁이 격화되자 아랍 연맹의 지원을 받는 아랍 해방군(ALA) 연대들이 팔레스타인으로 들어와 갈릴리와 사마리아 등지에 주둔했다.[42] 또한 압드 알-카디르 알-후세이니가 이끄는 성전군 병력 수백 명도 이집트에서 합류했다. 이들 아랍 부대에는 소수의 독일 및 보스니아 출신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도 포함되었다.[43][44][45]
전쟁 초기 아랍 측의 공세가 일부 성공을 거두면서 아랍 최고 위원회는 자신감을 얻었지만[61], 유대 지도부는 예루살렘 보급로 차단 가능성 등 상황 악화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63][64] 특히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약 10만 명의 유대인들은 보급품 부족과 고립 위험에 처했다.
4. 2. 혼합 도시 점령
(작성할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혼합 도시 점령'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4. 3. 골다 메이어와 압둘라 1세의 회담 (5월 10일)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골다 메이어와 압둘라 1세의 5월 10일 회담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4. 4. 크파르 에치온 학살 (5월 13일)
5. 내전의 결과 및 영향
1947년 11월 1947년 유엔 분할안이 통과된 이후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유대인과 아랍인 간의 충돌이 격화되었다. 1947년 12월부터 1948년 1월까지 영국군을 포함한 전체 사망자 수는 약 1,000명, 부상자는 2,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8] 알렉 키크브라이드(Alec Kirkbride)에 따르면 1948년 1월 18일까지 유대인 333명과 아랍인 345명이 사망하고, 유대인 643명과 아랍인 877명이 부상을 입었다.[47] 역사가 일란 파페(Ilan Pappé)는 1948년 1월까지 유대인 400명과 아랍인 1,500명이 사망했다고 추산했으며,[49] 베니 모리스는 1948년 3월 말까지 유대인 정착촌(Yishuv)에서 약 1,000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50] 요아브 겔버는 3월 말까지 총 2,000명이 사망하고 4,000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추정했다. 이는 당시 팔레스타인 인구 200만 명을 기준으로 매주 평균 100명 이상이 사망하고 200명 이상이 부상당한 셈이다.
내전 초기 아랍 전투원들의 승리는 사기를 높였고,[61] 아랍 최고 위원회는 유엔의 분할 계획 이행을 저지하기로 결의했다. 1948년 2월 6일, 아랍 최고 위원회는 유엔 사무총장에게 다음과 같은 입장을 전달했다.[62]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은 유대인이나 어떤 권력이나 권력 집단이 아랍 영토에 유대 국가를 세우려는 시도를 무력으로 저항해야 할 침략 행위로 간주한다 [...]
유엔의 위신은 이 계획을 포기하고 그러한 불의를 강요하지 않음으로써 더 잘 지켜질 것이다 [...]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은 유엔, 신, 그리고 역사 앞에서 그들이 분할을 강요하기 위해 팔레스타인에 오는 어떤 세력에도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엄중히 선언한다. 분할을 수립하는 유일한 방법은 그들 모두, 즉 남자, 여자, 아이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반면, 1948년 2월 초 유대 지도자들의 사기는 높지 않았다. 유대인 정착지와 주요 도로에 대한 공격이 이어지면서 아랍 측의 저항 강도를 과소평가했던 유대인 사회는 혼란에 빠졌다.[63][64] 특히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약 10만 명의 유대인들은 보급로 차단 위협에 직면하며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가나를 중심으로 한 유대 군사 조직은 초기 좌절에도 불구하고 아랍 세력에 비해 수적, 질적으로 우위를 유지하고 있었다.[38]
이러한 상황에서 외부의 무기 지원은 전황에 영향을 미쳤다. 이오시프 스탈린 당시 소련 지도자는 유엔의 무기 금수 조치를 위반하고 체코슬로바키아를 통해 유대인 정착촌에 무기를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의 배경에는 유엔 분할안 지지, 마셜 플랜 지원을 거부당한 체코슬로바키아의 외화벌이 지원 등 여러 요인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73] 체코슬로바키아 무기 지원의 정확한 규모와 영향에 대해서는 역사가들 사이에 이견이 있지만,[74] 아랍 측은 비슷한 수준의 지원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유대 측에 유리하게 작용했다는 평가가 있다.[75] 시리아 역시 아랍 해방군을 위해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무기를 구매하려 했으나, 하가나의 방해로 무산되었다. 이후 1948년 5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가 모든 아랍 국가로 확대한 무기 금수 조치는 아랍 측에 더 큰 어려움을 안겨주었다.[76]
참조
[1]
서적
The Arab Israeli Conflict
Palgrave Macmillan
2004
[2]
문서
2006
[3]
문서
2004
[4]
웹사이트
Resolution 181 (II). Future government of Palestine A/RES/181(II)(A+B) 29 November 1947
http://daccess-dds-n[...]
2011-06-17
[5]
서적
A voice that spoke for justice: the life and times of Stephen S. Wis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82-01
[6]
서적
Yearbook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books.google[...]
The Brooklyn Daily Eagle
[7]
간행물
Plan Dalet: Master Plan for the Conquest of Palestine
http://dx.doi.org/10[...]
1988-10-01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서적
La Question de Palestine
Fayard
2002
[13]
서적
Before their Diaspora
IPS
1984
[14]
서적
2004
[15]
서적
Dear Palestine: A Social History of the 1948 War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1
[16]
웹사이트
A/RES/181(II) of 29 November 1947
http://domino.un.org[...]
2012-01-11
[17]
웹사이트
Extracts from Time Magazine of that time
http://www.time.com/[...]
2012-06-04
[18]
문서
2006
[19]
문서
2000
[20]
문서
2003
[21]
문서
2000
[22]
문서
2008
[23]
문서
2002
[24]
문서
2003
[25]
문서
2008
[26]
뉴스
This Day in Jewish History / Civil War Breaks Out in Palestine
https://www.haaretz.[...]
2021-10-24
[27]
서적
The Birth of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Revisite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Palestinians in Jerusalem and Jaffa, 1948: A Tale of Two Citi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2-04-17
[29]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2-04-17
[30]
서적
The Birth of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revisited
2004
[31]
뉴스
The Palestine Post
http://www.jpress.or[...]
1947-12-31
[32]
문서
1971
[33]
문서
2003
[34]
문서
2006
[35]
문서
2002
[36]
뉴스
The Times
1948-03-01
[37]
뉴스
The Palestine Post and The Times
1948-04-01
[38]
서적
2005
[39]
서적
1971
[40]
서적
2003
[41]
서적
La Question de Palestine
Fayard
2007
[42]
서적
2006
[43]
서적
2008
[44]
간행물
"Ruhmloses Zwischenspiel: Fawzi al-Qawuqji in Deutschland, 1941–1947"
https://web.archive.[...]
Ergon Verlag
1995
[45]
서적
Nazis, Islamists,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4
[46]
서적
2008
[47]
서적
2004
[48]
웹사이트
Special UN report
https://unispal.un.o[...]
United Nations Special Commission
2010-10-03
[49]
서적
2006
[50]
서적
2008
[51]
간행물
1948-02-16
[52]
서적
1971
[53]
서적
2006
[54]
서적
Diplomacy in the Middle East: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Regional and Outside powers
I.B.Tauris
2004
[55]
간행물
1948-02-16
[56]
서적
2005
[57]
논문
British Army and Palestine Police Deserters and the Arab–Israeli War of 1948
https://eprints.whit[...]
2021
[58]
서적
2006
[59]
서적
2006
[60]
서적
2006
[61]
간행물
1948-02-16
[62]
간행물
1948-02-16
[63]
서적
2000
[64]
서적
2000
[65]
서적
2000
[66]
서적
2006
[67]
서적
2005
[68]
서적
2006
[69]
서적
2003
[70]
웹사이트
See the entry at 1 April 1948
http://indaily.net/?[...]
2009-06-03
[71]
문서
Yoav Gelber (2006)
[72]
문서
here
[73]
웹사이트
L'aide militaire tchèque à Israël, 1948
http://www.persee.fr[...]
2011-04-18
[74]
문서
Yoav Gelber (2006)
[75]
웹사이트
L'aide militaire tchèque à Israël, 1948
http://www.persee.fr[...]
2011-04-18
[76]
문서
Yoav Gelber (2006)
[77]
문서
[78]
문서
Ilan Pappé (2000)
[79]
문서
Ilan Pappé (2000)
[80]
문서
Yoav Gelber (2006)
[81]
웹사이트
UN Security Council 270th meeting report
https://unispal.un.o[...]
2012-05-06
[82]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83]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84]
문서
Benny Morris (2008)
[85]
문서
Yoav Gelber (2006)
[86]
웹사이트
produced [[sten]] sub machine guns, 2" and 3" mortars and ammunition
http://www.עמותת-חיל[...]
2005-04-11
[87]
서적
The faithful city: the siege of Jerusalem, 1948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88]
문서
Efraïm Karsh (2002)
[89]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90]
문서
Benny Morris (2003)
[91]
문서
Ilan Pappé (2000)
[92]
문서
Efraïm Karsh (2002)
[93]
문서
Joseph
[94]
문서
Ilan Pappé (2000)
[95]
문서
Levin
[96]
문서
Benny Morris (2003)
[97]
문서
Efraïm Karsh (2002)
[98]
문서
Yoav Gelber (2006)
[99]
문서
Yoav Gelber (2006)
[100]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01]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02]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03]
문서
Yoav Gelber (2006)
[104]
문서
Efraïm Karsh (2002)
[105]
문서
Yoav Gelber (2006)
[106]
서적
The Third Reich and the Arab Eas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11-10
[107]
서적
Nazi Palestine: The Plans for the Extermination of the Jews in Palestine
Enigma Books
[108]
문서
Yoav Gelber (2006)
[109]
문서
Efraïm Karsh (2002)
[110]
문서
Efraïm Karsh (2002)
[111]
문서
Yoav Gelber (2006)
[112]
문서
Pierre Razoux (2006)
[113]
문서
Efraïm Karsh (2002)
[114]
문서
Benny Morris (2003)
[115]
문서
Benny Morris, in the Birth revisited
[116]
문서
Yoav Gelber, Palestine 1948
[117]
문서
Ilan Pappe, The ethnic cleansing of Palestine
[118]
문서
David Tal, War in Palestine 1948
[119]
문서
Benny Morris, in the Birth revisited
[120]
문서
Yoav Gelber, Palestine 1948
[121]
문서
Ilan Pappe, The ethnic cleansing of Palestine
[122]
웹사이트
Plan D - Master Defense Plan of the Hagana
http://www.mideastwe[...]
[123]
웹사이트
Islam, the West, and Jerusalem
http://acj.org/w_kha[...]
American Committee on Jerusalem
1996-06-05
[124]
간행물
The 1948 Ethnic Cleansing of Palestine
https://www.jstor.or[...]
2006
[125]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26]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27]
문서
Yoav Gelber
[128]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29]
문서
Benny Morris (2003),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30]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31]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32]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33]
문서
Yoav Gelber (2006)
[134]
간행물
‘Cast thy bread’: Israeli biological warfare during the 1948 War
https://doi.org/10.1[...]
2022-09-19
[135]
문서
Yoav Gelber (2006)
[136]
문서
Benny Morris (2003)
[137]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38]
문서
Benny Morris (2003)
[139]
문서
Benny Morris (2003), The destruction of the Arab villages
[140]
문서
Benny Morris (2003)
[141]
서적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42]
서적
Benny Morris (2003)
[143]
서적
Benny Morris (2003)
[144]
간행물
Palestine 1948
http://www.ee.bgu.ac[...]
[145]
서적
Yoav Gelber (2006)
[146]
서적
Benny Morris (2003)
[147]
서적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48]
서적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49]
뉴스
Fighting Jack Churchill Survived: A Wartime Odyssey Beyond Compare
World War Two History, Profiles Column
2005-07
[150]
문서
Yoav Gelber (Yoav Gelber (2006), p. 93)
[151]
문서
Shafa 'Amr, Khirbet Kasayir et Hawsha
[152]
서적
Yoav Gelber (2006)
[153]
서적
Benny Morris (2003)
[154]
서적
Morris (2008)
[155]
서적
Yoav Gelber (2006)
[156]
서적
Yoav Gelber (2006)
[157]
서적
Benny Morris (2003)
[158]
서적
Benny Morris (2003)
[159]
서적
Benny Morris (2003)
[160]
서적
Ilan Pappé (2000)
[161]
서적
War Diary 1948–1949
Israël Defence Ministry Press
1982
[162]
서적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63]
서적
Benny Morris (1881)
[164]
서적
Collusion Across the Jordan: King Abdullah, the Zionist movement and the Partition of Palestin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
[165]
서적
Pierre Razoux (2006)
[166]
서적
Ilan Pappé (2000)
[167]
서적
Efraïm Karsh (2002)
[168]
서적
Yoav Gelber (2006)
[169]
서적
Yoav Gelber (2006)
[170]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the kibbutz
http://www.kfar-etzi[...]
[171]
서적
The road to Jerusalem
[172]
서적
The Story of My Life
[173]
서적
Morris (2008)
[174]
서적
Benny Morris (2002)
[175]
서적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76]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77]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78]
웹사이트
Israeli site
http://daat.ac.il/da[...]
[179]
문서
Yoav Gelber (2006)
[180]
문서
Yoav Gelber (2006)
[181]
문서
Benny Morris (2003)
[182]
뉴스
DESPAIR IS VOICED BY ARAB REFUGEES
https://archive.toda[...]
The New York Times
1948-05-03
[183]
서적
The Arab-Israeli Conflict: The Palestine War 1948
Osprey Publishing
2002
[184]
서적
The Ethnic cleansing of Palestine
[185]
서적
The Birth of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Revisit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86]
문서
Yoav Gelber (2006)
[187]
문서
Yoav Gelber (2006)
[188]
문서
Yoav Gelber (2006)
[189]
문서
Yoav Gelber (2006)
[190]
문서
Yoav Gelber (2006)
[191]
문서
Yoav Gelber (2006)
[192]
문서
Yoav Gelber (2006)
[193]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94]
문서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195]
서적
1948
[196]
문서
Yoav Gelber (2004)
[197]
문서
Morris
2008
[198]
웹사이트
The Battle for Jerusalem in the Memoirs of Anwar Nusseibeh
http://www.jerusalem[...]
Jerusalem Quarterly File, 11–12, 2001
[199]
웹사이트
Declaration of Establishment of State of Israel: 14 May 1948
http://www.mfa.gov.i[...]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1948-05-14
[200]
웹사이트
Resolution 181 (II). Future government of Palestine A/RES/181(II)(A+B) 29 November 1947
http://daccess-dds-n[...]
1947-11-29
[201]
서적
A voice that spoke for justice: the life and times of Stephen S. Wis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82-01
[202]
서적
Yearbook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books.google[...]
The Brooklyn Daily Eagle
1921
[203]
문서
Benny Morris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