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르군은 1931년 하가나에서 분리된 무장 조직으로, 적극적인 무장 투쟁을 통해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활동했다. 초기에는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텔아비브, 하이파 등으로 세력을 확장했으며, 제에브 자보틴스키의 수정주의 시오니즘을 이념적 기반으로 삼았다. 영국 위임 통치에 저항하며, 이민 지원 및 무력 작전을 수행했다. 1948년 이스라엘 독립 후 이스라엘 방위군에 통합되었으나, 킹 데이비드 호텔 폭탄 테러, 데이르 야신 학살 등 테러 행위로 비판받았다. 일부에서는 파시즘과의 유사성을 제기하기도 하며, 이스라엘 건국에 기여했으나, 테러리즘 논란, 민간인 희생, 파시즘 비판 등 부정적인 유산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르군 - 이츠하크 샤미르
    이츠하크 샤미르는 이스라엘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 총리를 역임했으며, 시온주의 운동 참여, 레히 지도자 활동, 모사드 활동, 크네세트 의원 및 외무장관 역임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고, 총리 재임 중에는 팔레스타인 문제에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소련 및 에티오피아 유대인 이민을 추진했다.
  • 이르군 - 메나헴 베긴
    메나헴 베긴은 이스라엘의 총리이자 이르군의 지도자로서 이스라엘 건국에 기여하고, 리쿠드를 이끌어 정권 교체를 이루었으며, 캠프 데이비드 협정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레바논 침공 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한 인물이다.
  • 국민자유주의 - 안토니스 사마라스
    안토니스 사마라스는 그리스의 정치인으로, 2012년부터 2015년까지 그리스 총리를 역임했으며, 국회의원, 재무부 장관, 외무부 장관 등을 거쳐 신민주주의당 대표로 선출,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긴축 정책을 추진하며 경제 위기 극복에 힘썼다.
  • 국민자유주의 - 레히
    레히는 아브라함 슈테른이 창설한 팔레스타인 지역의 유대인 지하 군사 조직으로, 영국 위임통치에 맞서 무장 투쟁을 벌였으며, 극단적 민족주의 성향과 과격한 활동으로 논란이 되었으나 이스라엘 독립에 기여했다는 평가도 있다.
  • 이스라엘의 군사사 - 레히
    레히는 아브라함 슈테른이 창설한 팔레스타인 지역의 유대인 지하 군사 조직으로, 영국 위임통치에 맞서 무장 투쟁을 벌였으며, 극단적 민족주의 성향과 과격한 활동으로 논란이 되었으나 이스라엘 독립에 기여했다는 평가도 있다.
  • 이스라엘의 군사사 - 솔로몬 작전
    솔로몬 작전은 1991년 이스라엘이 에티오피아의 불안정한 상황에서 위험에 빠진 에티오피아 유대인들을 구출하기 위해 비밀리에 실행한 공수 작전으로, 36시간 동안 14,000명 이상을 이스라엘로 이송했으며, 이 과정에서 항공기 탑승 최대 인원 세계 기록이 세워졌으나, 이주민들은 사회경제적 어려움과 차별에 직면하기도 했다.
이르군
개요
이르군 휘장. 지도에는 미래 유대 국가를 위해 이르군이 주장한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과 [[트란스요르단 에미리트]]가 모두 표시되어 있다. 지도 위에는
이르군 휘장. 지도에는 미래 유대 국가를 위해 이르군이 주장한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과 트란스요르단 에미리트가 모두 표시되어 있다. 지도 위에는 "에첼"이라는 약자가 쓰여 있고, 아래에는 "라크 카치"(오직 이렇게)가 쓰여 있다.
명칭국가 군사 기구
로마자 표기HaIrgun HaTzva'i Ha-Leumi b-Eretz Israel
약칭(에첼)
활동 기간1931년 – 1949년
창설하가나에서 분리
해체1949년 1월 12일
통합이스라엘 방위군
후신헤루트
국가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이스라엘
충성이슈브
종류준군사조직
이념 및 신념
주요 이념수정주의 시오니즘
반아랍 감정
반영국 감정
참여유대인 저항 운동
활동 및 전투
주요 공격하이파 경찰 본부 폭탄 테러
검은 일요일
킹 데이비드 호텔 폭파 사건
1946년 영국 대사관 폭파 사건
데 이르 야신 학살
병장 사건
주요 전투팔레스타인 아랍 반란
제2차 세계 대전
영국-이라크 전쟁
시리아-레바논 전역
팔레스타인 유대인 반란
팔레스타인 내전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알텔레나 사건
조직 규모
규모알 수 없음
주요 인물
주요 지도자제에브 자보틴스키
아브라함 테호미
메나헴 베긴

2. 역사

제에브 자보틴스키, 이르군 이데올로기의 중심 인물


이르군의 역사는 여러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결성 초기'''에는 1929년 팔레스타인 폭동의 여파로 하가나의 대응 방식에 불만을 품은 일부 조직원들이 이탈하여 이르군을 결성했다. 이들은 보다 적극적인 무장 투쟁을 추구했으며, 수정주의 시오니즘을 이념적 기반으로 삼았다.

'''1936-1939년 팔레스타인 아랍 반란''' 시기에는 아랍인들의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아랍 민간인을 대상으로 공격을 감행했다. 1937년 11월 14일, '검은 일요일'로 불리는 사건을 계기로 '적극적 방어' 정책으로 전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초기에는 영국에 협력했으나, 영국의 유대인 이민 제한 정책이 지속되자 아브라함 슈테른이 레히를 결성하며 분열되었다. 1943년 메나헴 베긴이 이르군의 지도자가 되면서 영국에 대한 저항을 강화했다.

'''1944년''' 이르군은 공식적으로 영국에 대한 반란을 선언하고, 정부 시설, 군사 시설 등을 공격했다. 킹 데이비드 호텔 폭탄 테러 등 여러 사건을 일으켰으며, 영국은 이르군을 테러리스트 조직으로 규정했다.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발발 이후, 이르군은 하가나, 레히와 함께 아랍 군대에 맞서 싸웠다. 데이르 야신 학살 사건에 연루되어 비판을 받기도 했다. 1948년 6월, 이르군은 이스라엘 방위군(IDF)에 통합되었으나, 알탈레나 호 사건으로 인해 갈등을 빚기도 했다.

2. 1. 결성 배경 (1931-1937)

1929년 팔레스타인 폭동 이후, 하가나의 소극적인 대응에 불만을 품은 일부 조직원들이 이탈하여 이르군을 결성하였다. 이르군은 하가나와 달리 적극적인 무장 투쟁을 추구했다. 초기에는 주로 예루살렘, 텔아비브, 하이파 등 주요 도시에서 활동했다. 제에브 자보틴스키를 정신적 지도자로 삼고, 수정주의 시오니즘을 이념적 기반으로 삼았다.[15]

1931년 4월 10일, 아브라함 테호미를 비롯한 지휘관들은 하가나 지도부에 반기를 들고 바아드 레우미에 사임 의사를 전달했다. 이들은 하가나가 유대인의 이익을 적절하게 방어하지 못하고, 무기 부족, 준비 부족, 자제와 반격하지 않는 정책의 실패를 지적했다. 이들은 엘리야후 벤 호린 등 수정주의 정당 활동가들과 함께 "국가 군사 기구"라는 뜻의 이르군 츠바이 레우미를 결성했다. 이르군은 단순한 민병대가 아닌 진정한 군사 조직을 지향했다.[15]

그해 가을, 예루살렘 그룹은 베타르와 관련된 다른 무장 단체와 합병했다. 텔아비브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이들은 1928년 "베타르 장교 및 강사 학교"를 설립하고, 1929년 폭동 당시 텔아비브 지역 방어에 참여했다. 이들은 "국가 방위"로 불렸으며, "우익 조직"으로 알려졌다. 하이파에도 지부가 설립되었고, 1932년 말에는 차페드의 하가나 지부와 마카비 세계 연맹 회원들도 이르군에 합류했다.

이르군은 베타르의 징병 연대를 확장하여 인원을 늘렸다. 이 연대는 예소드 하마알라, 미쉬마르 하야르덴, 로쉬 피나, 메툴라, 나하리야, 하데라, 비냐미나, 헤르즐리야, 네타냐, 크파르 사바, 리숀 레지온, 레호보트, 네스 시오나 등지에 기반을 두었으며, 예루살렘 구시가지("코텔 여단") 등에서도 활동했다. 주요 훈련소는 라마트 간, 카스티나 (오늘날의 키르야트 말라키) 등에 있었다.

1933년 8월에는 시온주의 정당 대표들이 참여하는 이르군 "감독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이 위원회에는 메이르 그로스만, 랍비 메이르 바르-일란, 이마누엘 노이만 또는 예호슈아 수퍼스키, 제에브 자보틴스키 또는 엘리야후 벤 호린 등이 참여했다.[26]

1936년 1936~1939년 아랍 반란이 발발하자, 이르군은 초기에는 하가나와 마찬가지로 자제 정책을 유지했다. 그러나 일부는 이에 불만을 품고 보복 공격을 감행하기도 했다. 베타르 청년 회원들의 합류로 제에브 자보틴스키의 영향력이 커졌지만, 그는 도덕적 이유로 폭력적인 보복은 삼가야 한다는 입장이었다.[26]

1937년, 필 위원회가 팔레스타인 분할을 권고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이르군 지도부는 하가나와의 합병을 고려했다. 그러나 1937년 4월 24일, 이르군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국민 투표에서 다비드 라지엘과 아브라함 (야이르) 슈테른 등의 지지로 이르군의 독립 유지가 결정되었다.

1937년 4월, 이르군은 국민 투표 이후 분열되었다. 이르군 구성원의 약 절반인 1,500~2,000명 정도가 하가나로 복귀했다. 제에브 자보틴스키가 지휘권을 맡았고, 이르군에 남은 사람들은 주로 젊은 활동가들이었다. 이들은 이르군의 독립적인 존재에 동의했으며, 대부분 베타르 출신이었다. 모셰 로젠버그는 약 1,800명의 회원이 남았다고 추산했다. 이르군은 수정 시오니즘의 군사적 수단이 되었으며, 제에브 자보틴스키의 주요 정책 변화 중 하나는 하블라가(자제) 정책의 종식이었다.[27]

1937년 4월 27일, 이르군은 새로운 본부를 설립하고, 모셰 로젠버그를 수장으로, 아브라함 슈테른을 비서로, 다비드 라지엘을 예루살렘 지부장 등으로 임명했다.

2. 2. 1936-1939년 팔레스타인 아랍 반란

1936년 팔레스타인에서 아랍인들의 반란이 일어나자, 이르군은 아랍인들의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아랍 민간인을 대상으로 공격을 감행했다.[28] 1937년 11월 14일, 이르군은 예루살렘 등지에서 공격을 감행하여 10명의 아랍인을 살해했는데, 이날은 '검은 일요일'로 불리며 이르군이 '적극적 방어' 정책으로 전환한 날로 기록되었다.[29]

1937년, 이르군 내부에서는 하가나와의 통합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르군 지도 위원회는 하가나와의 합병을 지지했고, 이를 위해 이르군 회원들을 대상으로 국민 투표를 실시했다. 그러나 다비드 라지엘과 아브라함 슈테른 등은 이르군의 독립 유지를 주장했다.[27] 투표 결과, 이르군 구성원의 약 절반이 하가나로 복귀했지만, 나머지 절반은 이르군에 남아 독자 노선을 유지하게 되었다.[27]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 이르군은 유럽에서 유대인들의 팔레스타인 이민, 즉 불법 이민을 지원하는 활동을 전개했다. 이르군은 하초하르 및 베타르와 협력하여 유대인 이민자들을 팔레스타인으로 데려오는 일을 도왔다.[26] 1937년부터 1940년까지 약 18,000명의 유대인이 이르군의 도움을 받아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했다.[26]

2. 3.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1939-1945)

아브라함 (야이르) 슈테른


전쟁 초기, 이르군은 영국에 협력하여 나치 독일에 대항하는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영국의 유대인 이민 제한 정책이 지속되자, 이르군 내에서 영국에 대한 무장 투쟁을 재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1940년, 아브라함 슈테른이 이르군에서 분리되어 나가 레히(Lehi)를 결성했다.[37] 레히는 이르군보다 더욱 강경한 무장 투쟁 노선을 추구했다.

이르군과 레히의 주요 차이점은 독일과의 전쟁에 관계없이 팔레스타인에서 영국과 싸우려는 의도였다. 레히는 현지 아랍인과의 인구 교환을 지지하는 등 이르군의 몇 가지 지도 원칙에 모순되는 추가적인 작전 및 이념적 차이를 보였다.[37]

1943년, 메나헴 베긴이 이르군의 지도자가 되었다.[41] 베긴은 폴란드에서 베타르 운동의 수장을 지냈으며[42] 존경받는 지도자였다. 당시 이르군의 사령관이었던 야코프 메리도르는 베긴을 지도자 자리에 임명하는 아이디어를 제기했다. 1943년 말, 베긴이 그 자리를 수락하면서 새로운 지도부가 구성되었다. 메리도르는 베긴의 부사령관이 되었고, 이사진에는 아리에 벤 엘리에제르, 엘리야후 랑킨, 슐로모 레브 아미가 포함되었다.

2. 4. 영국에 대한 저항 (1944-1948)

1944년 2월 1일, 이르군은 영국 위임통치에 대한 반란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다.[41] 이들은 유럽에서 유대인들이 갇혀 파괴되고 있음에도 영국이 구조 임무를 허용하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이르군은 휴전이 끝났으며 영국과 전쟁 상태에 있다고 선언하고, 유대인 정부로의 통치권 이전을 요구했다.[45]

당시 이르군은 약 1,000명(전투원 약 200명)에 불과한 비교적 약한 전력이었다. 이들은 소수의 무기와 부족한 자금을 가지고 있었다.[23] 이르군은 정부의 상징을 대상으로 무력 작전을 시작하여 정권의 작전과 명성에 타격을 가하려 했다. 1944년 2월 12일 정부 이민 사무소를 시작으로, 소득세 사무소, 영국 경찰 본부 건물 등이 공격받았다.[49] 이러한 초기 공격은 이슈브의 조직적 지도부와 유대인 기구에 의해 강력히 비난받았다.

레히 또한 영국을 상대로 공격을 재개했다.[43] 이르군은 경찰서와 본부, 테가르트 요새 등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다. 1944년 5월 17일에는 라말라의 라디오 방송국을 점령하기도 했다.

1944년 욤 키푸르 전, 이르군은 영국 장교들에게 통곡의 벽에 오지 말 것을 경고하는 공고문을 붙였다. 위임 통치 시작 이후 처음으로 유대인들이 단식 후 쇼파르를 부는 것을 막기 위해 영국 경찰관이 없었다.[44] 그해 단식 후 이르군은 아랍 정착촌 네 곳의 경찰서를 공격했다. 또한, 영국 무기고를 강탈하여 훔친 무기를 자신들의 은신처로 밀반입하는 "압수" 작전을 수행했다.

1944년 10월, 영국은 체포된 이르군과 레히 회원 수백 명을 아프리카 구금 캠프로 추방했다.[21] 피구금자들은 반란과 단식 투쟁을 벌였고, 많은 탈출 시도가 있었다.

1945년 5월, 이르군은 레히와의 협력을 갱신하여 송유관, 전화선, 철도 교량 등을 파괴했다. 1945년 7월 말, 영국 노동당 집권에도 불구하고 영국 정부가 유대인 이민을 제한하자 유대인 저항 운동이 결성되었다. 이 단체는 이르군, 레히, 하가나의 대영 무장 저항을 통합했다.

1946년, 영국과 이시브의 관계는 악화되어 아가사 작전이 벌어졌다. 이르군은 킹 데이비드 호텔 폭탄 테러를 감행하여 91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49] 이 사건은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으며, 이후 저항 활동은 이르군과 레히가 주도했다.

1946년 9월 초, 이르군은 민간 시설, 철도, 통신선, 다리 등을 공격했다. 예루살렘 기차역 공격 작전에서 메이르 페인스타인이 체포되어 처형을 기다리다 자살했다. 이르군은 군 및 경찰 차량, 시설, 검문소에 대한 폭탄 테러, 총격, 박격포 공격을 감행했고, 자금 확보를 위해 은행을 강탈했다.[23]

1946년 10월 31일, 이르군은 로마의 영국 대사관을 폭파했다.[21] 또한, 유럽에서 영국 군대 열차 탈선, 영국 장교 클럽 공격 등 여러 작전을 수행했다.

1946년 12월, 이르군은 영국 장교들을 납치하여 공개적으로 구타하는 "구타의 밤" 작전을 통해 영국의 처벌적 구타를 종식시켰다.

1947년 2월 14일, 어니스트 베빈은 팔레스타인 문제를 국제 연합 (UN)으로 가져가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르군은 활동을 강화하여 영국 군사 캠프, 호송로, 차량 등을 공격했다.

1947년 4월 16일, 이르군 회원 4명이 아크레 감옥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4월 21일, 메이르 페인스타인과 레히 회원 모셰 바라자니는 예정된 교수형 몇 시간 전에 자폭했다. 5월 4일, 이르군은 아크레 감옥 습격을 통해 수감자들을 탈출시켰다.

1947년 7월 29일, 이르군은 영국 상사 2명을 납치하여 교수형에 처했다.(상사 사건)[55] 이 사건은 영국이 위임통치를 종료하고 팔레스타인을 떠나기로 결정하는 데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2. 5.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발발 이후, 이르군은 하가나, 레히와 함께 아랍 군대에 맞서 싸웠다. 데이르 야신 학살 사건에 이르군이 연루되어 비판을 받았다.[67][68][69] 1948년 6월, 이르군은 이스라엘 방위군(IDF)에 통합되었다. 이르군 해체 과정에서 알탈레나 호 사건이 발생하여 이르군과 이스라엘 정부 사이에 무력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다.[73]

1947년 가을, 이르군은 약 4,00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당시 조직의 목표는 미래 유대 국가를 위해 요르단 강과 지중해 사이의 땅을 정복하고, 아랍 군대가 유대인 공동체를 몰아내는 것을 막는 것이었다. 이르군은 거의 공개적인 조직이 되어 라마트 간과 페타 티크바에 군사 기지를 설립했다. 공개적으로 회원을 모집하기 시작하여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전쟁 중 이르군은 레히, 하가나와 함께 아랍의 공격에 맞서 싸웠다. 처음에는 하가나가 이전과 마찬가지로 방어적인 정책을 유지했지만, 35인 호송대 사건 이후 억제 정책을 완전히 포기했다.[56]

이르군은 다비드 라지엘의 지휘하에 보복 작전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동시에 아랍인들에게 무기를 내려놓고 휴전을 유지하라는 성명을 발표했다.[57] 그러나 상호 공격은 계속되었다. 이르군은 하이파 근처의 티라, 중앙의 예후디야('아바시야), 예루살렘 근처의 슈아파트 아랍 마을을 공격했다. 이르군은 또한 하이파의 와디 루슈미야 지역과 야파의 아부 카비르에서도 공격했다. 12월 29일, 이르군 부대가 보트를 타고 야파 해안에 도착했고, 그들과 아랍 갱단 사이에 총격전이 벌어졌다. 다음 날, 이르군 차량이 과속으로 질주하며 하이파 정유 공장에서 하루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던 아랍인 그룹에 폭탄을 던져 7명의 아랍인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당했다. 이에 대응하여 일부 아랍 노동자들이 이 지역의 유대인들을 공격하여 41명이 사망했다. 이것은 발라드 알-셰이크에서 하가나의 반격을 촉발하여 60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 이르군의 전투 목표는 전투를 유대인 거주 지역에서 아랍인 거주 지역으로 옮기는 것이었다. 1948년 1월 1일, 이르군은 영국 군복을 입고 야파에서 다시 공격을 가했다. 그달 말에는 많은 아랍인 전사들의 기지였던 베이트 나발라를 공격했다. 1948년 1월 5일, 이르군은 야파의 오스만 시대에 건설된 시청 밖에서 트럭 폭탄을 터뜨려 14명이 사망하고 19명이 부상당했다.[58] 예루살렘에서는 이틀 후, 훔친 경찰 밴에 있던 이르군 단원들이 야파 게이트 근처에서 버스를 기다리고 있던 많은 민간인들에게 드럼통 폭탄을 굴려 약 16명이 사망했다.[59][60][61] 뒤따른 추격전에서 공격자 3명이 사망하고 2명이 포로로 잡혔다.[62]

1948년 4월 6일, 이르군은 파르데스 하나에 있는 영국군 야영지를 급습하여 영국군 병사 6명과 지휘관을 살해했다.[63]

데이르 야신 학살은 유대인 이웃과 하가나와 비전투 협정을 맺고 외국 불규칙 세력의 출입을 반복적으로 금지했던 예루살렘 서쪽의 마을에서 발생했다.[64][65] 4월 9일, 약 120명의 이르군과 레히 단원들이 그 마을을 점령하기 위한 작전을 시작했다. 작전 중, 마을 사람들은 공격에 격렬하게 저항했고, 전투가 벌어졌다. 결국 이르군과 레히 부대는 집집마다 전투를 벌이며 점차 진격했다. 그 마을은 이르군이 체계적으로 가옥에 다이너마이트를 설치하기 시작하고, 팔마흐 부대가 개입하여 박격포 사격을 사용하여 마을 사람들의 저격수 위치를 침묵시킨 후에야 점령되었다.[21][66] 이 작전으로 유대인 전사 5명이 사망하고 40명이 부상당했다. 약 100~120명의 마을 사람들도 사망했다.[67]

이르군은 하이파 정복에 하가나와 협력했다. 지역 사령관의 요청에 따라 4월 21일, 이르군은 하다르 하카르멜 위에 있는 아랍 초소와 하부 도시 인근의 아랍 지역인 와디 니스나스를 점령했다.

이르군은 야파 정복에 독자적으로 행동했다(유엔 분할안에 따라 제안된 아랍 국가의 일부). 4월 25일, 약 600명 규모의 이르군 부대가 라마트 간에 있는 이르군 기지를 떠나 아랍 야파로 향했다.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고, 이르군은 아랍인뿐만 아니라 영국군의 저항에도 직면했다.[70] 이르군의 최고 작전 책임자인 아미차이 "기디" 파글린의 지휘하에 이르군은 텔아비브시를 위협하는 만쉬야 지역을 점령했다. 그 후 군대는 바다로 향하여 항구 지역으로 향했고, 박격포를 사용하여 남부 지역을 포격했다.

이르군의 박격포 공격 이후 야파와 텔아비브 사이의 만쉬야 지구.


야파의 함락에 관한 보고서에서 지역 아랍 군사 사령관인 미셸 이사는 다음과 같이 썼다. "4월 25일부터 시작된 유대인의 도시 박격포 공격은... 그러한 포격에 익숙하지 않은 도시 주민들이 공황 상태에 빠져 도망치게 만들었다."[71] 모리스에 따르면 포격은 이르군이 했다고 한다. 그들의 목표는 "도시에서 끊임없이 군사 교통을 방해하고, 적군 사기를 꺾고, 대량 도주를 일으키기 위해 민간인들에게 혼란을 야기하는 것"이었다.[72] 고등 판무관 커닝햄은 며칠 후 "IZL의 박격포 공격은 무차별적이었고 민간 거주자들 사이에 공황 상태를 조성하기 위해 설계되었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라고 썼다.[72] 영국은 새로 점령한 도시의 철수를 요구하고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이르군의 공세를 종식시켰다. 야파에 대한 영국군의 맹렬한 포격은 이르군을 몰아내지 못했고, 영국군 장갑차가 도시로 진입했을 때 이르군은 저항했다. 바주카포 팀은 한 대의 탱크를 격파했고, 장갑차가 진격함에 따라 건물이 폭파되어 거리로 무너졌고, 이르군 병사들이 기어 올라가 탱크에 생 다이너마이트 막대기를 던졌다. 영국군은 철수했고, 유대 당국과 협상을 시작했다.[21] "하메츠 작전"을 중단하고 하가나가 위임 통치가 끝날 때까지 야파를 공격하지 않기로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르군은 만쉬야를 철수하고 하가나 전사들이 그들을 대체할 것이었다. 영국군은 그 남쪽 끝을 순찰하고 경찰 요새를 점령할 것이었다. 이르군은 이전에 하가나와 영국 압력이 야파에서 철수를 초래하지 않을 것이고 점령 지역의 관할권을 하가나에게 넘길 것이라고 합의했다. 그 도시는 결국 5월 13일 하가나 군대가 도시에 진입하여 남쪽에서 도시의 나머지 부분을 장악한 후 함락되었다. 그 작전은 이 지역의 여러 마을 정복을 포함하는 ''하메츠 작전''의 일부였다. 야파에서의 전투는 이르군에게 큰 승리였다. 이 작전은 조직 역사상 가장 큰 규모였으며, 많은 무장 세력이 사격 위치에 있는 매우 복잡한 지역에서 발생했다. 전투 중에는 가정에 침입하여 계속 길을 뚫기 위해 폭발물이 사용되었다. 또한 이것은 이르군이 장갑과 중무기로 강화된 영국군과 직접 싸운 첫 번째 경우였다. 그 도시는 주요 교전이 끝날 때까지 약 70,000명으로 추정되는 아랍 인구가 4,100명으로 줄어들면서 이러한 전투를 시작했다. 이르군이 만쉬야 지역을 독자적으로 점령하여 많은 야파 주민들이 도주했기 때문에 이르군은 야파 정복의 공로를 인정받았다. 전투 중 사망자 42명, 부상자 약 400명이 발생했다.[21]

3. 조직 구조

이르군은 최고 사령부를 중심으로 군사 참모와 지원 참모로 구성되었다. 예루살렘, 텔아비브, 하이파 등 주요 도시에 지부를 두었으며, 각 지부는 지구 사령관이 이끌었다.[21] 전투 부대(''하일 크라비''), 정보 부서(''델렉''), 계획 부서(''HAT''), 선전 부서(''HATAM'') 등 다양한 부서를 운영했다.[21]

이르군은 엄격한 규율과 계급 체계를 유지했다. 구성원들은 비밀 훈련을 받았으며, 무기 은닉처, 안전 가옥, 비밀 인쇄 시설 등을 운영했다. 이르군의 계급은 다음과 같다 (오름차순).[21]

계급설명
카얄사병
세겐 로쉬 크부차, 세겐부 그룹 리더, 부관, 하사
로쉬 크부차그룹 리더, 병장
사말상사
사말 리숀일등 상사, 상사
라브 사말수석 상사, 원사
군다르 셰니, 군다르지휘관 2급, 지구 사령관, 소위
군다르 리숀지휘관 1급, 수석 지부 사령관, 본부 참모, 중위



메나헴 베긴 지휘 하의 이르군은 다음과 같은 부대로 나뉘었다.[21]

부대명역할
하일 크라비 (חַיִל קְרָבִיhe)전투 부대, 전투 작전 담당
델렉 (דֶלֶקhe)정보 부서, 정보 수집 및 번역, 국내외 기자와의 연락 유지
HAT (חָ"תhe)계획 부서, 활동 계획 담당
HATAM (חט"םhe)혁명적 홍보 부대, 선전물 인쇄 및 배포



이르군은 정규 전투 부대, 예비대, 충격 부대를 갖추려 했으나, 실제로는 예비대나 충격 부대를 위한 인원이 충분하지 않았다.[21]

4. 주요 인물

이르군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제에브 자보틴스키: 이르군 이념 정립 및 '최고 사령관' 역임. 수정주의 시오니즘 창시자로, 조직 운영 전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 아브라함 테호미: 이르군 초대 사령관. 1931년 하가나에서 분리되어 이르군을 창설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아브라함 테호미

  • 다비드 라지엘: 이르군 사령관. '적극적 방어' 개념을 제시하며 이르군의 무장 투쟁 노선을 강화했다.

다비드 라지엘

  • 아브라함 슈테른: 이르군 지도부 일원. 독자적인 무장 투쟁 노선을 주장하며 레히(LEHI)를 창설하여 분리 독립했다.

  • 메나헴 베긴: 이르군 사령관. 영국 위임통치에 대한 무장 투쟁을 이끌었으며, 이스라엘 건국 이후 총리를 역임했다.

메나헴 베긴

  • 야코브 메리도르: 이르군 사령관 및 베긴의 부사령관 역임.
  • 엘리야후 랭킨
  • 아미차이 파글린
  • 모셰 로젠버그
  • 하노흐 칼라이
  • 아하론 하이흐만
  • 엘리야후 벤 호린
  • 우리 츠비 그린버그
  • 랍비 모셰 츠비 세갈
  • 벤자민 에마누엘
  • 에이탄 리브니
  • 우리 아브네리


이르군 출신 주요 인물
이름설명
제에브 자보틴스키이르군의 이데올로기를 정립하고 에첼의 최고 사령관을 지냈다.
아브라함 테호미이르군의 초대 사령관
다비드 라지엘이르군 사령관
아브라함 슈테른이르군에서 분리, 레히 창설
메나헴 베긴이르군 사령관, 이스라엘의 총리 역임
야코브 메리도르이르군 사령관, 베긴의 부사령관 역임
엘리야후 랭킨이르군 지도부
아미차이 파글린이르군의 최고 작전 책임자
모셰 로젠버그이르군 지도부
하노흐 칼라이이르군 지도부, 하이파 사령관 역임
아하론 하이흐만이르군 지도부, 텔아비브 사령관 역임
엘리야후 벤 호린수정주의 정당의 활동가, 이르군 창립 멤버
우리 츠비 그린버그이르군의 주요 이데올로기적 영감의 원천
랍비 모셰 츠비 세갈이르군 지도부
벤자민 에마누엘이르군 단원, 람 이매뉴얼의 아버지
에이탄 리브니이르군 단원, 카디마당치피 리브니의 부모
우리 아브네리이르군 단원, 입대 후 몇 년 만에 에체르에 혐오감을 느껴 탈퇴


5. 이념 및 활동



제에브 자보틴스키는 이르군의 이념적 기반을 정립하고 에첼의 ''최고 사령관''을 지냈다. 이르군은 베타르와 수정주의 정당 출신이 주축을 이루었으며, 우리 츠비 그린버그의 시 또한 주요 이데올로기적 영감의 원천이었다.[15]

이르군은 이슈브와 세계 시오니스트 기구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아 시오니스트 지도부와 이슈브 기관의 결정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때문에 선출된 기구들은 이르군을 인정하지 않았고, 조직 존속 기간 대부분 동안 무책임한 조직으로 여겨졌다. 이르군은 무력 작전 외에도 자신들의 방식과 이슈브 공식 정치 지도부의 문제점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광고, 지하 신문 발행, 콜 시온 하로케메트 라디오 방송국 운영 등 홍보 활동을 펼쳤다.

이르군은 다음과 같은 활동을 전개했다.


  • 대(對)영국 투쟁: 이르군은 영국 위임통치에 대한 무장 저항을 전개했다. 1939년 백서에 반대하며 1944년 영국에 대한 반란을 선언하고, 영국군 시설, 경찰서, 정부 기관 등을 공격하고 요인을 암살하는 등 테러 활동을 벌였다.[23] 이러한 활동으로 많은 이르군 조직원들이 체포되거나 처형되었다.[45] 킹 다비드 호텔 폭탄 테러(1946), 아크레 감옥 습격(1947) 등이 대표적인 사건이다.

  • 대(對)아랍 투쟁: 이르군은 아랍인의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아랍 민간인을 대상으로 공격을 감행하기도 했다.[28] 1937년 11월 14일 검은 일요일 사건을 계기로 "적극적 방어" 정책을 채택했다.[29] 데이르 야신 학살(1948)은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다.[67][68][69]

  • 불법 이민 지원: 이르군은 유럽 유대인들의 팔레스타인 이주를 지원했다. 이는 영국의 유대인 이민 제한 정책에 대한 저항이었다.[26] 불법 이민을 지원하였고, 하아팔라라고 불리는 이민을 조정하기 위해 베타르 대표와 힐렐 쿠크, 이르군 대표간의 합의가 이루어졌다.

텔아비브 해변에서 이민자를 하선시키는 ''파리타''호

5. 1. 수정주의 시오니즘

제에브 자보틴스키가 주창한 수정주의 시오니즘은 이르군의 이념적 기반이었다. 수정주의 시오니즘은 팔레스타인에 유대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이를 위해 무장 투쟁을 불사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했다.[15] 이르군의 상징에는 "오직 이렇게"라는 문구와 함께 위임통치 팔레스타인과 트란스요르단 토후국 지도를 배경으로 소총을 든 손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무력이 "조국을 해방"하는 유일한 방법임을 암시했다.[15]

이르군은 전략, 기본 이념, 시온주의적 목적 달성을 위한 무력 사용, 폭동 중 아랍인에 대한 작전, 영국 위임통치 정부와의 관계와 같은 홍보 및 군사 전술과 관련하여 이슈브와 세계 시오니스트 기구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선출된 기구들은 이 독립적인 조직을 인정하지 않았고, 조직 존속 기간 대부분 동안 무책임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르군은 무력 작전과 함께 이르군의 방식과 이슈브의 공식 정치 지도부에 대한 문제점을 대중에게 설득하기 위한 홍보 캠페인을 벌였다. 이르군은 수많은 광고, 지하 신문을 발행했으며, 최초의 독립 히브리어 라디오 방송국인 콜 시온 하로케메트를 운영했다.

5. 2. 대(對)영국 투쟁

이르군은 영국 위임통치에 대한 무장 저항을 전개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이르군은 나치즘에 맞서 싸우는 영국의 노력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영국에 대한 활동을 중단했다.[37] 그러나 1944년 2월 1일, 이르군은 영국 위임 통치 정부에 대한 반란을 선언하고, 영국군 시설, 경찰서, 정부 기관 등을 공격하고 요인을 암살하는 등 테러 활동을 벌였다.[23] 이러한 활동은 영국 정부의 탄압을 받았으며, 많은 이르군 조직원들이 체포되거나 처형되었다.

1944년 10월, 영국은 체포된 수백 명의 이르군과 레히 회원들을 아프리카의 구금 캠프로 추방하기 시작했다.[45] 1946년, 영국과 이시브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6월 29일 아가사 작전으로 이어졌다.[49] 유대인 기구가 유대인 저항 운동과 연관되어 있다는 문서가 발견된 결과, 이르군은 7월 22일 킹 다비드 호텔 폭탄 테러 계획을 서두르라는 요청을 받았다.[49] 이 공격으로 91명이 사망했다.[50]

1947년 4월 16일, 이르군 회원 도브 그루너, 예히엘 드레스너, 엘리에제르 카샤니, 모르데차이 알카히는 아크레 감옥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54] 5월 4일, 이르군은 아크레 감옥을 습격하여 이르군과 레히 수감자들을 탈출시켰다.[54] 체포된 공격자 5명 중 아브샬롬 하비브, 메이르 나카르, 야아코브 바이스 3명은 사형을 선고받았다.[55] 3명의 사형이 확정된 후, 이르군은 인질을 납치하여 그들을 구하려 했다. 그들은 네타냐 거리에서 영국 상사 클리포드 마틴과 머빈 페이스를 납치했다.[55] 1947년 7월 29일, 메이어 나카르, 아브샬롬 하비브, 야코브 바이스가 처형되었다. 약 13시간 후, 인질들은 이르군에 의해 보복으로 교수형에 처해졌고, 그들의 시신은 폭발물로 부비트랩된 채 네타냐 남쪽 숲의 나무에 매달렸다.[55]

5. 3. 대(對)아랍 투쟁

이르군은 아랍인의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아랍 민간인을 대상으로 한 공격을 감행하기도 했다.[28] 데이르 야신 학살 사건은 이르군의 잔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다.[67][68][69] 1936년 4월경부터 이르군 구성원들은 정착촌 방어를 지속하는 한편 아랍 마을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면서 자제 정책을 종료했다. 이러한 공격은 아랍 측에 공포심을 심어 아랍인들이 평화와 안정을 바라도록 유도하려는 의도였다.[28] 1938년 3월, 데이비드 라지엘은 이르군의 전반적인 내용을 담은 핵심 기사를 지하 신문 "칼로"에 기고했는데, 그는 이 기사에서 '''"적극적 방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28]

1937년 11월 14일은 이르군 활동의 분수령이 되었다. 이 날부터 이르군은 보복을 강화했다. 키르야트 아나빔 근처에서 5명의 키부츠 구성원을 살해하는 등 유대인을 겨냥한 공격이 증가한 후, 이르군은 예루살렘 등 여러 곳에서 공격을 감행하여 아랍인들을 살해했다. 이 날은 자제 정책(하브라가)이 끝난 날 또는 검은 일요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작전으로 10명의 아랍인이 살해되었다. 이 날은 조직이 제에브 자보틴스키와 본부의 승인을 받아 이르군 행동에 대한 "적극적 방어" 정책으로 완전히 변경한 때였다.[29]

1948년 4월 9일에는 약 120명의 이르군과 레히 단원들이 데이르 야신을 점령하기 위한 작전을 시작했다. 작전 중, 마을 사람들은 공격에 격렬하게 저항했고, 전투가 벌어졌다. 결국 이르군과 레히 부대는 집집마다 전투를 벌이며 점차 진격했다. 이 작전으로 유대인 전사 5명이 사망하고 40명이 부상당했다. 약 100~120명의 마을 사람들도 사망했다.[67] 이르군과 레히 부대가 마을 점령 중과 이후에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는 주장이 있다. 이러한 주장에는 도망치는 개인과 가족에게 총격을 가하고, 포로가 된 전쟁 포로를 체포한 후 살해했다는 보고가 포함된다.[68] 일부는 이 사건이 팔레스타인에서 아랍인의 대탈출을 가속화한 사건이라고 말한다.[69]

5. 4. 불법 이민 지원

이르군은 유럽에서 유대인들을 팔레스타인으로 이주시키는 활동을 지원했다. 이는 영국의 유대인 이민 제한 정책에 대한 저항의 일환이었다.

야보틴스키의 "대피 계획"은 수백만 명의 유럽 유대인을 한 번에 팔레스타인으로 데려오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이르군은 유럽 유대인의 불법 이민을 지원했다. 이는 야보틴스키가 "국가 스포츠"라고 명명했다.[26]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이 이민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수정주의 진영에서 수행되었는데, 이는 이슈브 기관과 유대인 기구가 비용 문제와 영국이 미래에 광범위한 유대인 이민을 허용할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이러한 행동을 꺼렸기 때문이다.

이르군은 1937년 9월 하차르와 베타르와 힘을 합쳐 탄투라 해변(하이파 근처)에 54명의 베타르 회원을 태운 호송선을 상륙하는 것을 도왔다. 이르군은 올림, 즉 유대인 이민자를 은밀하게 해변으로 데려와 다양한 유대인 정착지에 분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르군은 또한 이민 사업 조직에 참여하기 시작하여 선박을 호위하는 과정을 시작했다. 이는 1938년 9월 영국령 팔레스타인 해안에 도착한 ''드라가''호에서 시작되었다. 같은 해 8월, 아리 야보틴스키(제에프 야보틴스키의 아들), 베타르 대표와 힐렐 쿠크, 이르군 대표 간에 이민(하아팔라라고도 함)을 조정하기 위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 합의는 1939년 2월 "파리 협약"에서도 이루어졌으며, 제에프 야보틴스키와 다비드 라지엘이 참석했다. 이후 하차르, 베타르, 이르군 대표로 구성된 "알리야 센터"가 설립되어 이르군이 이 과정에 완전히 참여하게 되었다.

선박에서의 열악한 환경은 높은 수준의 규율을 요구했다. 선박에 탑승한 사람들은 종종 지휘관이 이끄는 부대로 나뉘었다. 매일 점호와 음식 및 물 분배(보통 둘 다 매우 적었음) 외에도 팔레스타인 도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조직적인 회담이 열렸다. 가장 큰 선박 중 하나는 2,300명의 승객을 태운 ''사카리아''호로, 팔레스타인 유대인 인구의 약 0.5%에 해당했다. 첫 번째 선박은 1937년 4월 13일에 도착했고, 마지막 선박은 1940년 2월 13일에 도착했다. 총 18,000명에 달하는 유대인이 수정주의 조직과 다른 수정주의자들의 개인적인 주도에 의해 팔레스타인으로 이민을 갔다. 대부분은 영국군에게 발각되지 않았다.

6. 비판 및 논란

이르군은 전략, 기본 이념, 시온주의적 목적 달성을 위한 무력 사용, 폭동 중 아랍인에 대한 작전, 영국 위임통치 정부와의 관계 등 홍보 및 군사 전술과 관련하여 이슈브와 세계 시오니스트 기구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았다.[15] 따라서 이르군은 시온주의 지도부와 이슈브 기관들이 내린 결정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로 인해 선출된 기구들은 이 독립적인 조직을 인정하지 않았고, 조직 존속 기간 대부분 동안 무책임한 것으로 여겨져 그들의 행동은 좌절될 가치가 있었다.

이에 이르군은 무력 작전과 함께 이르군의 방식과 이슈브 공식 정치 지도부에 대한 문제점을 대중에게 설득하기 위한 홍보 캠페인을 벌였다. 이르군은 수많은 광고, 지하 신문을 발행했으며, 최초의 독립 히브리어 라디오 방송국인 콜 시온 하로케메트를 운영하기도 했다.

이르군은 1936~1939년 아랍 반란 당시 하블라가(자제) 정책을 종료하고 적극적인 방어 작전을 펼치기 시작했다.[29] 1939년 맥도널드 백서 발표 이후에는 영국에 대한 반란을 선언, 다양한 시설들을 파괴하거나 공격했다.[32][33][34][35]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잠시 활동을 중단했으나, 1944년 다시 영국에 대한 공격을 재개했다.[43]

이르군의 활동은 킹 다비드 호텔 폭탄 테러(1946)와 데이르 야신 학살(1948) 등 민간인 희생을 초래한 사건들로 인해 많은 비판을 받았다. 특히 데이르 야신 학살은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의 대규모 탈출을 가속화했다는 비판을 받는다.[69]

6. 1. 테러리즘 논란

이르군은 영국 정부와 유대인 주류 사회로부터 테러 조직으로 간주되었다.[77] 킹 데이비드 호텔 폭탄 테러, 데이르 야신 학살 등 민간인 희생을 초래한 사건들은 이르군의 테러리즘 논란을 심화시켰다. 여러 신문[78][79][92][80][82]알베르트 아인슈타인등 저명한 세계 및 유대인 인물들도 이르군을 테러 조직으로 지칭했다.[91][81][90]

유대인 기구, 하가나, 히스타드루트 등 주류 유대인 단체 지도자들과 영국 당국은 이르군의 작전을 테러리즘으로 간주하고 민간인 표적에 대한 공격으로 인해 불법 조직으로 낙인찍었다.[82] 그러나 하가나는 적어도 사적으로는 반체제 단체들과 대화를 유지했다.[83]

1947년 초, 영국은 위임통치 팔레스타인에서 '테러리스트'라는 용어를 이르군 츠바이 레우미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는데, 이는 영국군이 두려워해야 할 이유가 있다는 것을 암시했기 때문이다.[84]

이르군의 공격은 1946년 세계 시온주의 의회의 공식 선언을 촉발하여 "정치적 전쟁 수단으로서 무고한 피를 흘리는 것"을 강력히 비난했다.[85]

1948년, 뉴욕 타임스한나 아렌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등 여러 저명한 유대인 인물들이 서명한 서한을 게재했는데, 이 서한은 이르군을 "팔레스타인에서 테러리스트, 우익, 쇼비니스트 조직"이라고 묘사했다.[87][88][89]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윈스턴 처칠은 이르군을 "가장 악한 갱스터"라고 칭하며 "이르군 테러리스트를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91]

2006년, 텔아비브 주재 영국 대사와 예루살렘 주재 총영사는 킹 데이비드 호텔 폭탄 테러를 찬양하는 기념 행사에 대해 "많은 생명을 앗아간 테러 행위를 기념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라고 썼다.[92]

브루스 호프만은 "오늘날 많은 테러 단체와 달리 이르군의 전략은 의도적으로 민간인을 표적으로 삼거나 무자비하게 해를 가하는 것이 아니었다"고 말한다. 맥스 아브람스는 이르군이 "민간인을 보호하기 위해 공격 전 경고를 발령하는 관행을 개척했다"고 썼다.[51]

6. 2. 민간인 희생

이르군의 공격으로 인해 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다. 특히, 데이르 야신 학살은 이르군의 잔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67] 이 학살은 유대인 이웃, 하가나와 비전투 협정을 맺고 외국 불규칙 세력의 출입을 반복적으로 금지했던 예루살렘 서쪽의 마을에서 발생했다.[64][65] 1948년 4월 9일, 약 120명의 이르군과 레히 단원들이 마을을 점령하기 위한 작전을 시작하여 전투가 벌어졌다. 이르군과 레히 부대는 집집마다 전투를 벌이며 점차 진격했고, 이르군이 체계적으로 가옥에 다이너마이트를 설치하기 시작하고, 팔마흐 부대가 개입하여 박격포 사격을 사용하여 마을 사람들의 저격수 위치를 침묵시킨 후에야 마을이 점령되었다.[21][66] 이 작전으로 유대인 전사 5명이 사망하고 40명이 부상당했으며, 약 100~120명의 마을 사람들이 사망했다.[67]

이르군과 레히 부대가 마을 점령 중과 이후에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는 주장이 있다. 도망치는 개인과 가족에게 총격을 가하고, 포로가 된 전쟁 포로를 체포한 후 살해했다는 보고가 있으며, 하가나 보고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마을 정복은 큰 잔혹 행위로 수행되었다. 여성, 노인, 어린이 등 온 가족이 살해되었다. ...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일부 포로들은 구금 장소로 이송되었고, 그들의 포로들에 의해 잔혹하게 살해되었다.''[68]

일부는 이 사건이 팔레스타인에서 아랍인의 대탈출을 가속화한 사건이라고 주장한다.[69]

6. 3. 파시즘 비판

일부 비평가들은 이르군의 이념과 조직 문화가 파시즘과 유사하다고 비판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등 저명한 유대인 인사들은 이르군을 "테러리스트, 우익, 쇼비니스트 조직"이라고 비판하는 서한을 발표했다.[87][88][89] 이들은 이르군과 레히가 "팔레스타인 유대인 공동체에서 공포 통치를 시작했다"고 언급하며, 교사들이 그들에게 반대하는 말을 했다는 이유로 구타당했고, 아이들이 그들과 함께하지 못하게 한 어른들은 총에 맞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갱스터식 방법, 구타, 창문 파괴, 광범위한 강도질을 통해 인구를 위협하고 막대한 공물을 징수했다고 비판했다.[90]

톰 세게브는 이르군에 대해 "1940년 하반기에 이르군 즈바이 레우미(국가 군사 조직)의 몇몇 구성원들 – 수정주의자들이 후원하고 약칭 에첼, 영국인들에게는 단순히 이르군으로 알려진 반(反) 영국 테러 단체 – 가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대표들과 접촉하여 영국에 대항하여 협력할 것을 제안했다."라고 썼다.[81]

7. 유산 및 평가

이르군은 수정주의 시오니즘 운동의 영향을 받아,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과 트란스요르단 토후국을 포함하는 유대 국가 건설을 목표로 했다.[15] 이르군의 상징에는 소총을 든 손과 함께 "오직 이렇게"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었는데, 이는 무력을 통해서만 "조국을 해방"할 수 있다는 믿음을 나타냈다.[15]

이르군은 이슈브와 세계 시오니스트 기구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았고, 시온주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력 사용, 아랍인에 대한 작전, 영국 위임통치 정부와의 관계 등에서 독자적인 노선을 걸었다. 이로 인해 이르군은 시온주의 지도부와 이슈브 기관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했고, 무책임한 조직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이르군은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자신들의 방식과 이슈브의 공식 정치 지도부에 대한 문제점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한 홍보 캠페인을 벌였다. 수많은 광고와 지하 신문을 발행했으며, 최초의 독립 히브리어 라디오 방송국인 콜 시온 하로케메트를 운영하기도 했다.

이르군의 구성원은 대부분 베타르와 수정주의 정당 출신이었으며, 그 수는 수백 명에서 수천 명에 이르렀다. 이들 중 대다수는 일반적인 직업을 가진 "평범한" 사람들이었고, 전임으로 활동한 사람은 수십 명에 불과했다.

이르군은 1929년 팔레스타인 폭동의 여파 속에서 하가나에서 분리되어 결성되었다. 아브라함 테호미를 중심으로 한 하가나 지휘관들은 하가나가 유대인의 이익을 적절하게 방어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새로운 독립 운동을 시작했다. 이들은 베타르와 관련된 다른 무장 단체와 합병하여 ''이르군 츠바이 레우미''(국가 군사 기구)를 결성했다. 이르군은 적극적인 성격을 강조하고, 단순한 민병대가 아닌 진정한 군사 조직이 되고자 했다.

이르군은 1936–1939년 팔레스타인 아랍 반란 기간 동안 하브라가(자제) 정책을 종료하고 아랍 마을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이러한 공격은 아랍 측에 공포심을 심어 평화와 안정을 바라도록 유도하려는 의도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에는 영국과의 협력을 중단하고, 1944년부터는 영국 위임 통치 정부에 대한 반란을 선언하며 본격적인 무장 투쟁을 시작했다. 이들은 정부 시설을 공격하고, 킹 다비드 호텔 폭탄 테러와 아크레 감옥 탈출 사건 등 다양한 작전을 수행하며 영국 통치에 타격을 가했다.

이르군의 활동은 1948년 팔레스타인 전쟁에서 이스라엘 건국에 기여했지만, 데이르 야신 학살과 같이 민간인 희생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점은 이르군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낳는 요인이 되었다.

이르군은 선전을 통해 조직과 이념의 인기를 높이려 했다. 이 선전은 주로 영국인을 대상으로 했으며, 에레츠 이스라엘에 대한 개념을 포함했다. 이르군의 선전 포스터에 따르면, 유대 국가에는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 전체뿐만 아니라 트란스요르단 토후국도 포함되어야 했다.[76]

이르군은 테러리스트 조직으로 규정되기도 한다.[77] 신문[78][79][92][80][82] 및 여러 저명한 세계 및 유대인 인물들을 포함한 출처에서 이르군을 테러리스트 조직으로 언급했다.[91][81][90] 유대인 기구, 하가나, 히스타드루트 등 주류 유대인 단체 지도자들과 영국 당국은 이르군의 작전을 테러리즘으로 간주하고 민간인 표적에 대한 공격으로 인해 불법 조직으로 낙인찍었다.[82] 이르군의 공격은 1946년 세계 시온주의 의회의 공식 선언을 촉발하여 "정치적 전쟁 수단으로서 무고한 피를 흘리는 것"을 강력히 비난했다.[85] 1948년 ''뉴욕 타임스''는 한나 아렌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포함한 여러 저명한 유대인 인물들이 서명한 서한을 게재했는데, 이 서한은 이르군을 "팔레스타인에서 테러리스트, 우익, 쇼비니스트 조직"이라고 묘사했다.[87][88][89]

그러나 브루스 호프만은 "오늘날 많은 테러 단체와 달리 이르군의 전략은 의도적으로 민간인을 표적으로 삼거나 무자비하게 해를 가하는 것이 아니었다"고 말한다.[51] 맥스 아브람스는 이르군이 "민간인을 보호하기 위해 공격 전 경고를 발령하는 관행을 개척했다"고 쓰고 있다.[51]

7. 1. 이스라엘 건국 기여

이르군은 무장 투쟁을 통해 이스라엘 건국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36~1939년 팔레스타인 아랍 반란 당시, 이르군은 유대인 정착촌을 방어하고 아랍인에 대한 보복 공격을 감행하며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에는 영국과의 협력을 중단했고, 1944년 2월부터는 영국 위임 통치 정부에 대한 반란을 선언하며 본격적인 무장 투쟁을 시작했다. 이들은 정부 시설을 공격하고, 킹 다비드 호텔 폭탄 테러와 아크레 감옥 탈출 사건 등 다양한 작전을 수행하며 영국 통치에 타격을 가했다.

그러나 이르군의 활동은 폭력적인 수단을 동반했으며, 데이르 야신 학살과 같이 민간인 희생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점은 이르군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낳는 요인이 되었다.

7. 2. 현대 이스라엘 정치에 미친 영향

메나헴 베긴은 이르군 사령관 출신으로, 훗날 이스라엘 총리가 되었다. 이르군에서 활동했던 인사들은 이스라엘 건국 이후에도 정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이르군의 이념과 활동은 현대 이스라엘 우파 정당, 그 중에서도 국민의힘의 전신인 리쿠드당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15]

7. 3. 역사적 재평가

이르군의 활동을 둘러싸고 이스라엘 내에서도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이르군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77] 신문[78][79][92][80][82] 및 여러 저명한 세계 및 유대인 인물들을 포함한 출처에서 이르군을 테러리스트 조직으로 언급했다.[91][81][90] 유대인 기구, 하가나, 히스타드루트 등 주류 유대인 단체 지도자들과 영국 당국은 이르군의 작전을 테러리즘으로 간주하고 민간인 표적에 대한 공격으로 인해 불법 조직으로 낙인찍었다.[82] 이르군의 공격은 1946년 세계 시온주의 의회의 공식 선언을 촉발하여 "정치적 전쟁 수단으로서 무고한 피를 흘리는 것"을 강력히 비난했다.[85] 1948년 ''뉴욕 타임스''는 한나 아렌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포함한 여러 저명한 유대인 인물들이 서명한 서한을 게재했는데, 이 서한은 이르군을 "팔레스타인에서 테러리스트, 우익, 쇼비니스트 조직"이라고 묘사했다.[87][88][89]

그러나 브루스 호프만은 "오늘날 많은 테러 단체와 달리 이르군의 전략은 의도적으로 민간인을 표적으로 삼거나 무자비하게 해를 가하는 것이 아니었다"고 말한다.[51] 맥스 아브람스는 이르군이 "민간인을 보호하기 위해 공격 전 경고를 발령하는 관행을 개척했다"고 쓰고 있다.[51]

최근에는 이르군의 활동을 객관적으로 재조명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Jabotinsky and the Revisionist Movement 1925–1948 Routledge
[2] 서적 Terror out of Zion : Irgun Zvai Leumi, LEHI, and the Palestine underground, 1929-1949 https://books.google[...] Academy Press
[3] 서적 The Terrorism Read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4] 서적 Encyclopedia of Terrorism SAGE Publications 2002
[5] 서적 A History of Israel: From the Rise of Zionism to Our Time
[6] 웹사이트 Irgun Zvai Leumi https://www.britanni[...] 2016-01-02
[7] 뉴스 Irgun Bomb Kills 11 Arabs, 2 Britons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47-12-30
[8] 뉴스 Irgun's Hand Seen in Alps Rail Blast https://select.nytim[...] New York Times 1947-08-16
[9] 간행물 From Haven to Conquest
[10]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Vol 5 pg 20 Infobase Publishing
[11] 서적 The Jewish Plan for Palestine—Memoranda and Statements presented by The Jewish Agency for Palestine to the United Nations Special Committee on Palestine The Jewish Agency for Palestine, Jerusalem
[12] 서적 The Jewish Plan for Palestine—Memoranda and Statements presented by The Jewish Agency for Palestine to the United Nations Special Committee on Palestine The Jewish Agency for Palestine, Jerusalem
[13] 서적 Einstein on Politics: His Private Thoughts and Public Stands on Nationalism, Zionism, War, Peace, and the Bomb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Israeli Society Weidenfeld and Nicolson
[15] 서적 Native vs. Settler: Ethnic Conflict in Israel/Palestine, Northern Ireland, and South Africa https://books.google[...] Greenwood
[16] 웹사이트 Moshe Rosenberg http://etzel.org.il/[...] 2007-04-25
[17] 웹사이트 Hanoch Kalai http://www.etzel.org[...] 2007-04-25
[18] 웹사이트 Benyamin Zeroni http://www.etzel.org[...] 2007-04-25
[19] 웹사이트 שירי בית"ר אצ"ל ולח"י http://www.betar.org[...]
[20] 웹사이트 דף הבית http://84.95.150.80/[...] 2019-01-15
[21] 서적 Terror out of Zion
[22] 서적 Triumph of Military Zionism: Nationalism and the Origins of the Israeli Right
[23] 서적 Anonymous Soldiers
[24] 서적 The Revolt
[25] 서적 How My Grandmother Prevented A Civil War
[26] 서적 Palestine 1936: The Great Revolt and the Roots of the Middle East Conflict Rowman & Littlefield 2023
[27] 서적 The Etzel
[28] 서적 "Tagar u'Magen (Jabotinsky and the Etzel)" Jabtotinsky Publishing
[29] 서적 "The Birth of an Underground Organization"
[30] 간행물 Bombers not Martyrs http://www.lrb.co.uk[...] 2005-01-06
[31] 간행물 Perspectives on the Holocaust
[32] 서적 Free Jerusalem: Heroes, Heroines and Rogues Who Created the State of Israel Devora Publishing Co.
[33] 서적 Terror Out of Zion Transaction Publishers
[34] 서적 Political Assassinations by Jews: A Rhetorical Device for Justi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5] 뉴스 "Mine Explosion In Jerusalem." The Times 1939-08-28
[36] 서적 Matsada shel Varsha Machon Jabotinsky
[37] 웹사이트 The Split Within The Irgun https://web.archive.[...] Etzel.org.il 2013-08-12
[38] 웹사이트 World Zionist youth movement - Shir https://web.archive.[...] Betar 2013-08-12
[39] 웹사이트 דף הבית https://web.archive.[...] 2007-04-26
[40] 웹사이트 Reflections on the assassination of Sheikh Yassin http://www.fromoccup[...] Fromoccupiedpalestine.org
[41] 웹사이트 Menachem Begin Biography http://www.ibiblio.o[...]
[42] 웹사이트 Menachem Begin – Biography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3-08-12
[43] 웹사이트 Chapter Eight: The Struggl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of Israel https://web.archive.[...] Jewishagency.org 2013-08-12
[44] 웹사이트 שער שני המרד https://www.daat.ac.[...]
[45] 서적 The Revolt https://archive.org/[...]
[46] 웹사이트 The 'Hunting Season' https://web.archive.[...] Etzel.org.il 2013-08-12
[47] 웹사이트 Besiege / Yehuda Lapidut – The Hunting Season https://www.daat.ac.[...] Daat.ac.il 2013-08-12
[48] 웹사이트 The Gallows https://web.archive.[...] Etzel.org.il 2013-08-12
[49] 간행물 Jabotinsky Institute Archives
[50] 서적 The Revolt
[51] 서적 Rules for Rebels: The Science of Victory in Militant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52] 뉴스 Flogging Sentence https://trove.nla.go[...] 2018-05-26
[53] 웹사이트 The Raid On The Jerusalem Officers Club https://web.archive.[...] Etzel.org.il 2013-08-12
[54] 서적 A Job Well Done (Being a History of The Palestine Police Force 1920–1948) The Anchor Press
[55] 잡지 Eye for an Eye for an Eye https://web.archive.[...] 2013-08-12
[56] 서적 The Edge of the Sword: Israel's War of Independence, 1947–1949 Massada Publishing
[57] 웹사이트 Petition of Our Arab Neighbors: Announcement in Arabic to the Arab Rioters https://www.daat.ac.[...] Daat.ac.il 2013-08-12
[58] 뉴스 The Scotsman 1948-01-06
[59] 서적 O Jerusalem History Book Club/ Weidenfeld and Nicolson
[60] 서적 The faithful city: the siege of Jerusalem, 1948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61] 뉴스 The Scotsman 1948-01-08
[62] 문서 Collins and Lapierre name one of the survivors as Uri Cohen.
[63] 뉴스 The Scotsman 1948-04-07
[64] 서적 The Birth of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revisited
[65] 서적 Seven Fallen Pillars – The Middle East, 1915–1950 Secker and Warburg
[66] 서적 History of Israel's War of Independence: Out of Crisis Came Decisi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67] 서적 The Birth of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revisited
[68] 서적 The Birth of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revisited
[69] 뉴스 Menachem Begin http://news.bbc.co.u[...] 2010-05-05
[70] 웹사이트 The Conquest Of Jaffa https://web.archive.[...] Etzel.org.il 2013-08-12
[71] 간행물 Selected Documents on the 1948 Palestine War J. Palestine Studies 1998
[72] 서적 The Birth ... Revisited 2004
[73] 서적 1948: The First Arab-Israeli War Yale University Press 2008
[74] 웹사이트 Herald-Journal https://news.google.[...]
[75] 웹사이트 Irgunists in Jerusalem Surrender Their Arms to Govt; Dissidents to Join Army Today https://www.jta.org/[...] 1948-09-22
[76] 서적 Psychological Warfare and Propaganda: Irgun Documentation Scholarly Resources Inc.
[77] 서적 From Haven to Conquest: Readings in Zionism and the Palestine Problem Until 1948 Institute for Palestine Studies 1987
[78] 뉴스 Irgun Bomb Kills 11 Arabs, 2 Britons https://www.nytimes.[...] 1947-12-30
[79] 뉴스 Irgun's Hand Seen in Alps Rail Blast. Polish Jew Confesses He Was Lookout for Others Who Bombed British Train. https://select.nytim[...] 1947-08-16
[80] 뉴스 Menachem Begin 'backed plot to kill German Chancellor' https://web.archive.[...] 2006-06-14
[81] 서적 The Seventh Million
[82] 뉴스 Profile:Rahm Emanuel http://news.bbc.co.u[...] 2008-11-07
[83] 서적 With 6th Airborne Division in Palestine 1945–48 Pen& Sword Books Ltd
[84] 서적 The Democratic Imagination: Dialogues on the Work of Irving Louis Horowitz Transaction Publishers 1994
[85] 뉴스 Zionists Condemn Palestine Terror https://www.nytimes.[...] 1946-12-24
[86] 서적 Foundations of Civil and Political Rights in Israel and the Occupied Territories https://books.google[...] GRIN Verlag 2008-05
[87] 웹사이트 Wrestling With Zion: Re-thinking Jewish Tradition and the Ongoing Crisis in the Middle East http://www.acjna.org[...] 2004
[88] 웹사이트 Letter to New York Times http://www.marxists.[...] Marxists.org 1948-12-02
[89] 서적 Einstein on Politics
[90] 서적 Prophets Outcast
[91] 서적 Churchill and the Jew Quotings
[92] 뉴스 British anger at terror celebration https://web.archive.[...] 2006-07-20
[93] 서적 The Siege of Jerusalem Patmos Publishers, London 1949-06
[94] 서적 Taking sides – America's secret relations with a militant Israel 1948/1967 Faber and Faber, London 1984
[95] 서적 The Case for Israel
[96] 웹사이트 Rahm Emanuel's Father Specialized in Bus Bombings in Palestine - Salem-News.Com http://www.salem-new[...] 2023-05-23
[97] 서적 Jabotinsky and the Revisionist Movement 1925–1948 Routledge 1988
[98] 서적 A History of Israel: From the Rise of Zionism to Our Ti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