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성 페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패혈성 페스트는 벼룩이나 감염된 포유류에게 물려서 감염되는 치명적인 세균 감염 질환이다. 복통, 피부 출혈, 구토, 발열, 저혈압, 괴저,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사망할 수도 있다. 원인은 주로 벼룩이나 감염된 포유류에게 물려서 발생하지만, 피부 상처나 비말 흡입으로도 감염될 수 있으며, 항생제 조기 투여가 치료의 핵심이다. 치료받지 않으면 치명적이며, 항생제 투여 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 흑사병의 세 가지 형태 중 하나였으며,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설치류나 육식동물에 의해 전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스트 - 알렉상드르 예르생
알렉상드르 예르생은 프랑스 출신의 세균학자이자 의사로,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디프테리아 독소를 발견하고, 홍콩 페스트 발생 시 페스트균을 발견하여 전염병 연구에 기여했으며, 하노이 의과대학을 설립하고 초대 학장을 역임했다. - 페스트 - 폐페스트
폐페스트는 페스트균 감염으로 발생하는 급성 폐렴으로, 발열, 두통,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이며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고 과거 흑사병의 형태 중 하나로 대규모 유행 사례도 존재한다. - 세균성 인수공통감염병 - 페스트
페스트는 쥐벼룩을 통해 전파되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균에 의한 감염병으로, 림프절 부종, 전신 출혈, 폐렴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항생제로 치료 가능하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대규모 범유행을 일으켰으며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생물무기로 사용될 가능성도 있다. - 세균성 인수공통감염병 - 브루셀라증
브루셀라증은 브루셀라 속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오염된 유제품 섭취나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발열, 오한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혈액 배양이나 세로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항생제 병용으로 치료하고, 철저한 위생 관리가 예방에 중요하다. - 설치류 매개 질병 - 페스트
페스트는 쥐벼룩을 통해 전파되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균에 의한 감염병으로, 림프절 부종, 전신 출혈, 폐렴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항생제로 치료 가능하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대규모 범유행을 일으켰으며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생물무기로 사용될 가능성도 있다. - 설치류 매개 질병 - 살모넬라
살모넬라는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그람음성 간균 속으로, 두 종과 2,500개 이상의 혈청형이 존재하며, 오염된 식품 섭취를 통해 식중독 및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고, 식품 가열 조리 및 위생 관리, 장티푸스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며, 항생제 내성 문제도 존재한다.
| 패혈성 페스트 | |
|---|---|
| 기본 정보 | |
![]() | |
| 임상 정보 | |
| 증상 | 파종성 혈관 내 응고](DIC)]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 조직으로의 혈액 순환/관류 부족으로 인한 조직 괴사, 피부 및 기타 장기로의 출혈 (붉은색 및/또는 검은색 반점 모양의 발진 및 [[객혈/토혈 유발) |
| 합병증 | 괴저 |
| 발병 시기 | 노출 후 1~7일 |
| 원인 | |
| 원인균 | Yersinia pestis |
| 위험 요인 | |
| 진단 | 일반적으로 혈액 또는 가래에서 세균을 발견하여 진단 |
| 감별 진단 | |
| 예방 | 항생제 및 백신 접종 |
| 치료 | |
| 치료법 | 항생제 및 백신 |
| 예후 | |
| 예후 | 치료하지 않으면 반드시 사망 |
| 빈도 | |
| 빈도 | 매년 수천 명 (주로 치료받지 못한 경우) |
| 사망자 수 | 매년 수천 명 (주로 치료받지 못한 경우) |
2. 증상
복통, 피부하 출혈, 혈전, 구강내 출혈, 코피, 직장 출혈, 설사, 발열, 오한, 저혈압, 메스꺼움, 구토, 장기부전, 쇼크, 말단부의 괴저, 호흡 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16][17][18] 그러나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사망을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이 증상은 다른 질병에서도 흔히 나타나서, 증상만으로 페스트를 완전히 진단할 수는 없다.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1][2]
- 복통
- 혈액 응고 문제로 인한 피부 아래 출혈
- 입, 코 또는 직장에서의 출혈
- 구토, 토혈을 포함한 위장 증상 및 설사
- 발열
- 오한
- 저혈압
- 장기 부전
- 쇼크
- 사지, 주로 손가락, 코, 발가락의 조직 괴사(괴저)
- 호흡 곤란
- 사망
이러한 증상들은 많은 인간 질병에서 흔하게 나타나며, 그 자체만으로는 어떤 형태의 페스트 감염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패혈성 페스트는 무증상일 수 있으며, 어떠한 증상 없이 사망에 이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3. 원인

패혈성 페스트는 페스트균(Yersinia pestis)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1] 사람의 ''예르시니아'' 감염은 주로 감염된 벼룩에 물리거나 감염된 포유류에 물려서 발생한다.
특히 쥐는 질병 확산에 큰 역할을 한 포유류였다. 페스트를 옮기는 쥐가 죽으면, 그 쥐를 먹이로 삼았던 벼룩은 다른 대상을 찾게 되는데, 이는 사람에게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3]
고양이와 개도 감염된 벼룩에게 물려 페스트균을 사람에게 옮길 수 있다.[4]
페스트균은 범세계적이며, 호주와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설치류에 주로 존재한다. 인간 페스트 감염 빈도가 가장 높은 곳은 아프리카이다. 페스트균은 일반적으로 위생 상태가 좋지 않고, 인구 밀도가 높으며, 설치류가 많은 도시 지역에서 나타난다. 야외 활동이나 동물 관련 직업도 감염 위험을 높인다.[1]
3. 1. 전염
패혈성 페스트는 주로 벼룩이나 감염된 포유류에게 물려서 전염되지만, 피부 상처나 재채기, 기침으로 인한 비말 흡입으로도 감염될 수 있다.[19] 특히 쥐는 질병 확산에 큰 역할을 하는 포유류인데, 페스트를 옮기는 쥐가 죽으면 벼룩은 다른 대상을 찾아 사람을 물게 된다.[3] 벼룩이 감염된 쥐의 피를 빨아들이면 벼룩 내에서 페스트균(''예르시니아'') 덩어리가 생겨 벼룩의 위를 막는다. 이로 인해 벼룩은 계속 배고픔을 느껴 사람을 더 많이 물게 된다.[3]고양이와 개도 감염된 벼룩에게 물려 페스트균을 사람에게 옮길 수 있다.[4]
피부의 틈이나 재채기, 기침에서 나오는 감염성 비말을 흡입하여 페스트균이 전파될 수도 있다. 균이 혈액으로 유입되면 균혈증 및 심각한 패혈증을 일으킨다. 패혈증 페스트에서 세균성 내독소는 파종성 혈관 내 응고(DIC)를 유발하여 전신에 혈전이 형성되고 조직 괴사가 발생한다. 파종성 혈관 내 응고로 인해 출혈이 멈추지 않고, 피부와 장기에 출혈이 발생하여 붉거나 검은 반점 모양의 발진, 토혈, 객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패혈성 페스트는 수평적 전염과 직접 전염으로 발생한다.[5] 수평적 전염은 혈액 접촉 없이 질병이 전달되는 것이고, 직접 전염은 물리적 접촉, 공기를 공유하거나, 벼룩이나 감염된 설치류에게 물려서 발생한다. 설치류 외에 토끼도 균을 옮길 수 있다.
페스트균은 전 세계적이며, 호주와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설치류에 주로 존재한다. 인간 페스트 감염 빈도가 가장 높은 곳은 아프리카이다. 위생 상태가 좋지 않고, 인구 밀도가 높으며, 설치류가 많은 도시 지역에서 주로 나타난다. 야외 활동이나 동물 관련 직업도 감염 위험을 높인다.[1]
4. 진단
의사나 수의사는 병력 및 노출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는 신체 검사를 수행한다.[6] 다음과 같은 검사들이 시행될 수 있다.
- 혈액 검사 (항체 검출)
- 체액 배양 검사 (페스트균(`Yersinia pestis`) 검사)
- 신장 및 간 기능 검사
- 림프계 감염 징후 확인
- 체액의 이상 징후 검사
- 부기 확인
- 탈수 징후 확인
- 발열 확인
- 폐 감염 확인[7]
5. 예방
감염 환자를 돌보는 사람은 마스크, 장갑, 고글, 가운 등 보호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1][7] 감염 환자와 밀접 접촉한 경우 항생제를 예방적으로 복용한다. 집 전체에 살충제를 사용하여 벼룩을 제거한다. 죽은 설치류나 아픈 고양이와의 접촉을 피한다. 집 주변에 쥐가 있으면 덫을 놓아 제거한다. 애완동물이 페스트가 흔한 지역에서 돌아다니지 않도록 관리하고, 벼룩 방제 및 치료를 실시한다.
6. 치료
패혈성 페스트 치료의 첫 번째 단계는 항생제를 조기에 투여하는 것이다. 다음 항생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림프절은 배농이 필요할 수 있으며, 환자는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동물에게는 테트라사이클린이나 독시사이클린과 같은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탈수 증상 완화를 위해 정맥 주사를 사용할 수 있다. 벼룩 치료도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안락사가 더 이상의 확산을 막는 최선의 치료 방법일 수 있다.
7. 예후
치료받지 않은 패혈성 페스트는 거의 항상 치명적이다. 항생제를 조기에 투여하면 사망률을 4~15%로 낮출 수 있다. 치료가 24시간 이상 지연되면 사망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일부 환자는 증상이 나타난 당일에 사망하기도 한다.
8. 역학
2015년, 콜로라도주 북부 라리머 카운티에서 16세 소년 테일러 게스가 가족 소유의 시골 부동산에서 설치류를 문 벼룩에게 물린 후 패혈성 페스트로 사망했다.[20][8] 콜로라도주에서는 지난 30년 동안 단 3명만이 패혈성 페스트에 감염되었다.[21][9]
9. 역사
패혈성 페스트는 가래톳페스트, 폐페스트와 더불어 페스트의 세 가지 유형 가운데 하나이며, 그 중에서도 가장 드물게 나타난다. 1348년부터 1350년까지 발생한 흑사병에서도 패혈성 페스트가 관찰되었다.[22] 흑사병은 중동에서 시작하여 흑해를 거쳐 지중해로 들어오는 무역경로를 통해 유럽으로 전파되었다.
베네치아와 피렌체와 같은 주요 항구 도시와 무역 중심지가 흑사병으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흑사병으로 인한 유럽 노동 인구의 대규모 감소는 농노 노동력의 경제적 교섭력을 증가시켰고, 이는 1381년 농민 반란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10. 인수공통감염성
패혈성 페스트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주로 설치류나 육식동물에 의해 전염되지만 염소, 양, 낙타도 균을 옮길 수 있다.[23] 고양이는 임상 증상이 드물게 나타나지만 감염될 수 있다.[12] 북아메리카 대초원 서부 지역은 페스트에 감염된 동물이 흔히 발생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11] 페스트는 검은꼬리프레리도그와 검은발족제비의 개체수를 급격히 감소시키는 등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13]
10. 1. 검은꼬리프레리도그와 검은발족제비
페스트는 1960년대부터 검은꼬리프레리도그 개체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는 서부 주에서만 발생하며, 동물들이 페스트에 대한 면역력이 없어 치사율이 거의 100%에 달한다. 검은발족제비는 검은꼬리프레리도그를 먹이로 삼기 때문에 야생 족제비 개체군 또한 페스트의 영향을 받는다. 페스트 확산을 막기 위해 살포 및 예방 접종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Plague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22-05-20
[2]
웹사이트
Plague: Medline Plus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2-05-20
[3]
간행물
Molecular and physiological insights into plague transmission, virulence and etiology
https://www.scienced[...]
2006-01-01
[4]
웹사이트
How Plague Spreads
https://www.cdc.gov/[...]
2024-09-25
[5]
서적
Essentials of Disease in Wild Animals
Blackwell Publishing
[6]
웹사이트
Plague
http://medicine.med.[...]
NYMedicalCenter
2013-10-22
[7]
웹사이트
Plague in Cats
http://www.petmd.com[...]
petMD
2013-10-22
[8]
웹사이트
Taylor Gaes dead: Plague kills Colorado high school student
http://www.news.com.[...]
2015-06-21
[9]
뉴스
Star teenage athlete dies after flu symptoms turn out to be plague
https://www.washingt[...]
2015-06-21
[10]
웹사이트
History Learning Site - Black Death of 1348 to 1350
http://www.historyle[...]
History Learning Site
2011-06-06
[11]
웹사이트
Plague facts
https://www.avma.org[...]
AVMA
2013-10-22
[12]
웹사이트
Plague in Cats
https://www.petmd.co[...]
2024-09-17
[13]
웹사이트
Ecology and Transmission
https://www.cdc.gov/[...]
CDC
2013-11-14
[14]
웹사이트
Plague and Black-tailed Prairie Dogs
http://www.fws.gov/m[...]
FWS
2013-11-14
[15]
웹사이트
Plague Kills Many Prairie Dogs and Black-Footed Ferrets in Grasslands Near Badlands National Park
http://www.nationalp[...]
National Parks Traveler
2013-11-14
[16]
웹사이트
Plague
http://www.mayoclini[...]
MayoClinic
2013-10-22
[17]
웹사이트
Medline Plus - Plague
https://www.nlm.nih.[...]
NIH
2011-03-24
[18]
웹사이트
Plague
http://medicine.med.[...]
NYMedicalCenter
2013-10-22
[19]
서적
Essentials of Disease in Wild Animals
Blackwell Publishing
[20]
웹인용
Taylor Gaes dead: Plague kills Colorado high school student
http://www.news.com.[...]
2020-04-27
[21]
웹인용
Star teenage athlete dies after flu symptoms turn out to be plague
https://www.washingt[...]
2015-06-21
[22]
웹사이트
History Learning Site - Black Death of 1348 to 1350
http://www.historyle[...]
History Learning Site
2011-06-06
[23]
웹사이트
Plague facts
https://www.avma.org[...]
AVMA
2013-10-22
[24]
웹사이트
Ecology and Transmission
https://www.cdc.gov/[...]
CDC
2013-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