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타르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타르 1세는 1844년 세르비아의 베오그라드에서 태어났으며, 카라조르제비치 왕조의 일원으로서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공작의 아들이었다. 그는 프랑스에서 교육을 받고 프랑스 외인 부대에 참전하는 등 망명 생활을 거쳐 1903년 세르비아 국왕으로 즉위했다. 페타르 1세는 자유주의적 개혁을 추진하고 발칸 전쟁에서 영토를 확장하며 '세르비아의 황금기'를 이끌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알바니아 후퇴를 겪었다. 그는 1921년 사망했으며, 유고슬라비아 통합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번역가 - 부크 카라지치
부크 카라지치는 세르비아의 언어학자이자 민속학자로서, 세르비아어 문어 개혁, 민족 문화 발전, 구어 기반 문법 확립, 키릴 문자 표준화, 민요 및 민화 집대성에 기여하여 세르비아 민족 정체성 확립과 유럽 학계에 세르비아 문화 홍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세르비아의 번역가 - 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
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는 18세기 계몽주의 시대 세르비아의 작가이자 철학자, 교육자로, 교육부 장관으로서 교육 시스템 개선에 기여하고 세르비아어 개혁을 통해 문학 발전을 이끌었으며 감자 보급으로 기근 해결에 힘썼다. - 유고슬라비아의 군주 - 페타르 2세
페타르 2세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마지막 국왕으로, 아버지의 암살로 어린 나이에 왕위를 계승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 생활을 하다 종전 후 폐위되었다. - 유고슬라비아의 군주 - 알렉산다르 1세 (유고슬라비아)
알렉산다르 1세는 몬테네그로에서 태어나 세르비아 왕세자, 섭정을 거쳐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왕이 되었으며,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하고 유고슬라비아를 건국했으나, 1934년 암살당했다. -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왕족이자 정치인으로, 알렉산다르 1세 사후 페타르 2세가 성년이 될 때까지 섭정으로 통치하며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유고슬라비아 외교 정책 결정에 관여, 삼국 동맹 조약 가입을 추진하다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 페타르 2세
페타르 2세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마지막 국왕으로, 아버지의 암살로 어린 나이에 왕위를 계승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 생활을 하다 종전 후 폐위되었다.
페타르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군주호 | 세르비아 왕국 국왕 유고슬라비아 왕국 국왕 |
출생일 | 1844년 6월 29일 |
출생지 | 세르비아 공국 베오그라드 |
사망일 | 1921년 8월 16일 |
사망지 |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베오그라드 |
매장지 | 오플레나츠 |
종교 | 세르비아 정교회 |
![]() | |
통치 | |
세르비아 국왕 즉위 | 1903년 6월 15일 |
세르비아 국왕 퇴위 | 1918년 12월 1일 |
세르비아 국왕 대관식 | 1904년 9월 21일 |
세르비아 국왕 이전 | 알렉산다르 1세 오브레노비치 |
세르비아 국왕 이후 | 알렉산다르 (섭정) |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국왕 즉위 | 1918년 12월 1일 |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국왕 퇴위 | 1921년 8월 16일 |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국왕 이전 | 없음 (새로운 직위) |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국왕 이후 | 알렉산다르 1세 |
섭정 | 알렉산다르 (1914년–1918년, 1918년–1921년) |
총리 | 세르비아의 총리 목록 참고 |
가족 관계 | |
배우자 | 류비차 페트로비치-네고슈 (1883년 결혼, 1890년 사망) |
자녀 | 옐레나, 러시아 공녀 밀레나 공주 조르제, 세르비아 왕세자 알렉산다르 1세 안드레이 왕자 |
아버지 |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
어머니 | 페르시다 네나도비치 |
왕가 | 카라조르제비치 왕가 |
군사 경력 | |
소속 | 세르비아 공국 세르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
복무 기간 | 1855년–1858년 (현역 복무 종료) |
계급 | 보이보다 (원수) |
참전 | 헤르체고비나 봉기 (1875–1877) 제1차 발칸 전쟁 제2차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코플리크 전쟁 |
왕실 스타일 | |
![]() | |
존칭 | 폐하 |
2. 초기 생애와 망명 생활
페타르는 베오그라드에서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공작과 그의 배우자 페르시다 네나도비치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제1차 세르비아 봉기 (1804–1813)의 지도자이자 카라조르제비치 왕조의 창시자인 카라조르제의 손자였다. 페타르는 당시 개조 공사 중이던 왕궁에서 태어나지 않고, 상인 미샤 아나스타시예비치의 집에서 태어났다. 그는 부모의 셋째 아들이었고 형인 스베토자르가 왕위 계승자였기 때문에 그의 출생은 큰 축하를 받지 못했다. 그의 부모의 장남 알렉사는 페타르가 태어나기 3년 전 다섯 살의 나이로 사망했고, 그 시점에 스베토자르가 왕위 계승자가 되었다. 페타르는 1847년 스베토자르가 여섯 살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왕위 계승자가 되지 못했다. 베오그라드 외에도 페타르는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카라조르제비치 왕조가 기원한 토폴라에서 보냈다. 그는 베오그라드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다.
1858년 아버지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가 퇴위한 후, 페타르는 가족과 함께 망명길에 올랐다. 그는 망명 기간 동안 작센마이닝겐 공녀 테오도라에게 청혼했는데, 그녀는 36세 연하로 독일 제국 황제 빌헬름 2세의 조카였지만, 이는 세르비아 왕국의 왕위를 계승하기 위해 카이저의 지지를 얻기 위한 시도였을 가능성이 크다. 그녀의 어머니 프로이센의 샤를로테 공주는 "테오도라는 그런 왕좌에 너무 과분하다"고 선언했다. 이 시도가 실패한 후, 페타르는 1883년 두 번째 독립 세르비아인 국가인 몬테네그로 공국의 수도인 체티네로 이주하여 몬테네그로 통치자 니콜라 1세의 장녀와 결혼할 의도를 가졌다. 페타르와 류비차는 1883년 여름 체티네에서 결혼했다. 이 결혼은 이 지역의 불안정한 지정학적 균형을 깨뜨려 오스트리아-헝가리, 러시아, 세르비아의 수도에 큰 불안감을 조성했다. 베오그라드는 이를 페트로비치-네고스 왕조와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사이의 긴밀한 관계의 징후로 인식했다. 두 세르비아 국가 간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수십 년 동안 발칸 반도에서 권력을 다투던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러시아 간의 관계도 악화되었다.
1885년 봄에 그의 아버지가 사망하자 페타르는 카라조르제비치 왕가의 수장이 되었다. 1885년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에서 세르비아 왕립군이 패배한 후, 페타르와 니콜라스는 세르비아를 침공하여 오브레노비치 왕조를 전복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마지막 순간에 니콜라스는 이 계획을 포기했다. 페타르는 왕자가 빠지기로 결정한 것에 배신감을 느꼈고, 이는 오래 지속되는 적대감으로 이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1894년까지 체티네에 머물면서 그곳에서 초등 교육을 마친 생존한 자녀들에게 헌신했다.
류비차는 1890년 3월 출산 중 사망했다. 이 부부는 다섯 자녀를 두었고, 그 중 세 명이 성인이 되었다: 옐레나, 밀레나, 조지, 알렉산다르, 앤드루. 밀레나는 유아기에 사망했고, 앤드루는 어머니와 함께 출산 중 사망했다.
1894년, 페타르는 세 자녀와 함께 제네바로 이주하여 1903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1899년, 차르 니콜라이 2세는 조지와 알렉산드르 왕자, 그리고 페타르의 조카 파울 공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사관후보생 군사 학교에 무료로 참석하도록 초대했다. 스위스의 사립 학교에 아이들을 보낼 수 없을 정도로 재정 상황이 불안정했기 때문에 페타르는 차르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2. 1. 교육
페타르는 어린 시절 대부분을 프랑스에서 보냈으며, 프랑스에서 교육을 받았다. 1861년 제네바를 떠나 파리로 간 페타르는 라틴 지구에 위치한 Collège Sainte-Barbe에 입학했다. 이듬해 생시르에 입학하여 1864년에 졸업했다. 졸업 후 파리에 머무르며 사진 촬영, 그림 그리기와 같은 관심사를 추구했으며, 자유주의, 의회주의, 민주주의에 대해 배우면서 정치 철학 작품을 읽었다. 1866년에는 메츠에 있는 고등 군사 학교에 입학하여 이듬해까지 다녔다. 2년 후,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을 세르비아어로 번역하여 출판했다.1870년~1871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이 발발하자, 페타르는 가명 페타르 카라로 프랑스 외인 부대에 입대했다. 중위 또는 소위 계급으로 제1외인연대에서 싸웠으며, 오를레앙 전투와 빌레르섹스 전투에 참여했다. 전투에서의 공로로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으나, 프로이센군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탈출하여 전선으로 돌아갔다. 1871년 봄, 파리 코뮌에 관여했지만, 그의 정확한 관여 정도는 알려지지 않았다.
2. 2.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참전
페타르는 1870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이 발발하자 가명인 페타르 카라로 프랑스 외인 부대에 입대했다. 중위 또는 소위 계급으로 제1외인연대에서 복무했다. 1870년 12월 3일~4일에 있었던 오를레앙 전투와 1871년 1월 9일에 있었던 빌레르섹스 전투에 참여했다. 두 전투에서 보여준 용맹함으로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으나, 직후 프로이센군에게 포로로 잡혔다. 그는 감옥에서 탈출하여 전선으로 돌아갔다. 페타르는 1871년 봄, 절친이자 친척인 블라디미르 류티치와 함께 파리 코뮌에 관여했지만, 그가 어느 정도 관여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2. 3. 헤르체고비나 봉기 참여
1875년 동방 위기가 발발하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 반군이 네베시네에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자, 페타르는 발칸 반도로 돌아와 '페타르 므르코니치(Petar Mrkonjić)'라는 가명을 사용하고 북서부 보스니아에서 오스만 제국과 싸웠다.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바노비나와 코르둔 지역에서 약 2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게릴라 부대를 지휘했다.1875년 8월 보산스카 두비차에 도착했지만 냉담한 환영을 받았고, 세르비아의 밀란 1세 공이 오프레노비치 왕조로부터 왕위를 되찾으려 할 것을 두려워하여 그를 암살하려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사실과 일련의 전투 패배가 겹쳐 페타르와 그의 추종자들은 보스니아를 떠나 오스트리아-헝가리로 철수했다. 이후 크로아티아의 보이나 마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 의해 구금되었으나 탈출하여 보스니아로 돌아가 또 다른 반군을 조직했다.
1876년 5월까지 그의 전투 참여는 베오그라드에서 의심을 불러일으켰고, 반군은 페타르를 지지하는 세력, 밀란을 지지하는 세력, 오스트리아-헝가리 중재를 옹호하는 세력 등 세 개의 진영으로 나뉘었다. 페타르는 반군 사이의 추가적인 분열을 원하지 않아 보스니아를 떠나기로 하고, 떠나기 전에 밀란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가 전장을 떠나는 이유를 설명하고 오프레노비치 왕조와 평화를 맺을 것을 제안했다.
2. 4. 망명과 귀환
페타르 1세는 베오그라드에서 세르비아 공작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와 공작 부인 페르시다 네나도비치 사이에서 태어났다. 세르비아 공작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는 1858년에 퇴위하여 페타르를 데리고 현재의 루마니아로 망명했다. 어린 시절 대부분을 프랑스에서 보냈으며, 프랑스에서 교육을 받고 프랑스 육군에 입대하기도 했다.오브레노비치 왕조와의 갈등으로 인해 장기간 망명 생활을 했다. 1883년 몬테네그로 국왕 니콜라 1세의 공주 류비차 (세르비아어: 조르카)와 결혼, 체티네에서 류비차와 결혼했다. 이 결혼은 이 지역의 불안정한 지정학적 균형을 깨뜨려 오스트리아-헝가리, 러시아, 세르비아의 수도에 큰 불안감을 조성했다. 1884년에 공주 옐레나, 1886년에 공주 밀레나, 1887년에 조르제 왕자, 1888년에 알렉산다르 왕자, 1890년에 안드레이 왕자 등 5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 중 밀레나 공주는 1887년에 1세로, 안드레이 왕자는 1890년에 조르카 비와 함께 출산 중에 요절했다.
1894년, 페타르는 세 자녀와 함께 제네바로 이주하여 1903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1899년, 차르 니콜라이 2세는 조지와 알렉산드르 왕자, 그리고 페타르의 조카 파울 공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사관후보생 군사 학교에 무료로 참석하도록 초대했다.
1903년 군사 쿠데타로 알렉산다르 1세 국왕과 왕비가 살해되면서 오브레노비치 왕조가 단절되었고, 카라조르제비치 왕조와 오브레노비치 왕조 사이의 세기 동안의 갈등이 해결되었다. 페타르는 세르비아로 귀환하여 그해 6월 11일에 세르비아 왕으로 즉위했다.

페타르의 왕위 등극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만 제국에 살고 있는 남슬라브족을 통합하는 데 성공할 것이라고 믿었던 남슬라브 민족주의자들의 큰 열광을 받았다. 친 오스트리아-헝가리 노선을 취했던 알렉산다르와 달리, 친 러시아 성향의 페타르는 남슬라브 통일을 지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3. 세르비아 국왕 즉위 (1903년)
1900년 7월, 밀란의 아들인 알렉산드르 국왕은 12살 연상의 과부 드라가 마신과 결혼했지만, 그녀는 평판이 좋지 않았고 아이를 가질 수 없어 오브레노비치 왕조의 존속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이 결혼은 장교단 사이에서 격분을 일으켰고,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아피스")가 이끄는 장교들은 알렉산드르를 왕위에서 몰아내려는 음모를 꾸몄다. 1901년 가을, 음모자들은 국왕과 왕비를 살해하여 내전을 막기로 결심했고, 일부 장교들은 영국이나 독일 왕자, 혹은 미르코 공자를 왕위에 앉히거나 공화국을 구성하자는 제안도 나왔지만, 유럽의 정치적 상황은 공화국 선포가 세르비아에 대한 열강의 분노를 일으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침략 구실이 될 수 있었다.
1901년과 1903년 사이 쿠데타 준비가 이루어졌고, 1901년 11월에 페타르를 왕위에 앉히기로 결정했지만, 페타르는 처음에는 그들을 신뢰하지 않아 거절했다가 신뢰하는 장교들이 음모에 참여하고 자신은 어떤 역할도 맡지 않으며, 국민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조건으로 제안을 수락했다. 쿠데타 당시 페타르는 자녀들과 휴가를 보내며 러시아와 루마니아 왕국 방문을 계획하고 있었는데, 이는 그가 일어날 일에 대해 알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1903년 5월 쿠데타에서 장교들은 왕궁을 습격하여 국왕과 왕비를 살해하고 시체를 훼손하여 3층 발코니에서 던져 버렸고, 이 사건으로 오브레노비치 왕조가 단절되고 카라조르제비치 왕조와의 갈등이 해결되었다. 페타르는 유혈 사태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했지만, 1903년 6월 국민 의회의 결정에 따라 세르비아 왕위를 수락하고 베오그라드에 도착했다.
페타르의 왕위 등극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만 제국에 살고 있는 남슬라브족 통합을 기대한 민족주의자들의 열광을 받았고, 비엔나에서 베오그라드로 가는 도중 "최초의 유고슬라비아 국왕"으로 환호하는 세르비아 및 크로아티아인 학생들의 환영을 받았다. 왕가 살해 사건은 유럽 대부분을 충격에 빠뜨렸지만, 많은 세르비아인들은 열광했다. 러시아는 즉시 페타르 1세를 세르비아의 다음 국왕으로 선포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중립을 선언했다. 대영 제국은 주요 공모자 처벌을 요구하며 외교 관계를 단절했고, 다른 유럽 국가들도 이에 동참했다. 페타르는 공모자들을 처벌할 권한이 없었고, 그들에게 깊은 의무감을 느꼈다.
3. 1. 5월 쿠데타와 오브레노비치 왕조의 몰락
1900년 7월, 밀란의 아들인 알렉산드르 국왕은 12살 연상의 과부 드라가 마신과 결혼했지만, 그녀는 평판이 좋지 않았고 아이를 가질 수 없어 오브레노비치 왕조의 존속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이 결혼은 장교단 사이에서 격분을 일으켰고,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아피스")가 이끄는 장교들은 알렉산드르를 왕위에서 몰아내려는 음모를 꾸몄다. 1901년 가을, 음모자들은 국왕과 왕비를 살해하여 내전을 막기로 결심했고, 일부 장교들은 영국이나 독일 왕자, 혹은 미르코 공자를 왕위에 앉히거나 공화국을 구성하자는 제안도 나왔지만, 유럽의 정치적 상황은 공화국 선포가 세르비아에 대한 열강의 분노를 일으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침략 구실이 될 수 있었다.1901년과 1903년 사이 쿠데타 준비가 이루어졌고, 1901년 11월에 페타르를 왕위에 앉히기로 결정했지만, 페타르는 처음에는 그들을 신뢰하지 않아 거절했다가 신뢰하는 장교들이 음모에 참여하고 자신은 어떤 역할도 맡지 않으며, 국민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조건으로 제안을 수락했다. 쿠데타 당시 페타르는 자녀들과 휴가를 보내며 러시아와 루마니아 왕국 방문을 계획하고 있었는데, 이는 그가 일어날 일에 대해 알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1903년 5월 쿠데타에서 장교들은 왕궁을 습격하여 국왕과 왕비를 살해하고 시체를 훼손하여 3층 발코니에서 던져 버렸고, 이 사건으로 오브레노비치 왕조가 단절되고 카라조르제비치 왕조와의 갈등이 해결되었다. 페타르는 유혈 사태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했지만, 1903년 6월 국민 의회의 결정에 따라 세르비아 왕위를 수락하고 베오그라드에 도착했다.
페타르의 왕위 등극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만 제국에 살고 있는 남슬라브족 통합을 기대한 민족주의자들의 열광을 받았고, 비엔나에서 베오그라드로 가는 도중 "최초의 유고슬라비아 국왕"으로 환호하는 세르비아 및 크로아티아인 학생들의 환영을 받았다. 왕가 살해 사건은 유럽 대부분을 충격에 빠뜨렸지만, 많은 세르비아인들은 열광했다. 러시아는 즉시 페타르 1세를 세르비아의 다음 국왕으로 선포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중립을 선언했다. 대영 제국은 주요 공모자 처벌을 요구하며 외교 관계를 단절했고, 다른 유럽 국가들도 이에 동참했다. 페타르는 공모자들을 처벌할 권한이 없었고, 그들에게 깊은 의무감을 느꼈다.
3. 2. 대관식

페타르 1세는 1904년 9월 21일 베오그라드의 성 미카엘 대성당/Саборна црква Светог Архангела Михаилаsr에서 즉위했다.[2] 세르비아의 현대사에서 처음 열린 이 대관식은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페타르가 세르비아로 돌아온 후 1년의 간격을 두고 대관식을 거행한 것은, 궁정 쿠데타에 유럽 각국 정치인들이 적응할 시간을 주기 위한 의도로, 제1차 세르비아 봉기 100주년 기념일에 맞춰 거행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몬테네그로와 불가리아 공국의 대표만이 참석했다.[2]
새로운 왕실 왕관, 왕관, 홀, 보주, 그리고 왕실 망토는 파리의 보석상 ''Falize Frères''에 특별히 의뢰하여 제작되었다.[2] 셰필드의 명예 세르비아 영사였던 아놀드 뮤어 윌슨과 그의 촬영 기사 프랭크 모터쇼는 페타르 국왕의 행렬과 대관식 후의 퍼레이드를 촬영했다. 이것은 베오그라드에서 기록된 가장 오래된 영화이다. 영화 역사가 폴 스미스에 따르면, 그것은 역사상 최초의 뉴스릴일 가능성이 높다.
4. 통치 기간 (1903년 ~ 1914년)
페타르 1세의 치세 동안 세르비아 왕국은 남쪽으로 확장되어,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산자크와 코소보와 메토히야의 상당 부분을 병합했다. 세르비아는 잠시 알바니아 북부를 통제했지만, 1912-1913년에 해당 지역을 알바니아에 양도해야 했다. 1918년 11월, 1918년 12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건국 직전, 세르비아는 스렘, 바나트, 바치카 및 몬테네그로와 같은 새로운 영토를 획득했고, 이들은 나중에 새로운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페타르 1세 재위 기간 동안 가장 저명한 총리는 니콜라 파시치였다. 페타르의 즉위 초기에 파시치는 새로운 국왕에게 반대하며 그의 즉위를 불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세르비아 국민이 페타르 국왕을 받아들이는 것을 본 후 빠르게 마음을 바꿨다. 결국, 그가 18년의 재위 기간 동안 페타르와 겪은 유일한 갈등은 국왕의 봉급에 관한 것이었다.
세르비아의 페타르 1세는 제정 러시아를 세르비아의 주요 동맹국으로 여겼다. 러시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 크게 의존했던 오브레노비치 왕조의 이전 정책에 반대했으며, 세르비아 대중은 이를 혐오했다.[3]
서구식 교육을 받은 서방의 페타르 1세 국왕은 서구식 입헌 군주제를 수립하기 위해 세르비아를 자유화하려 했다. 페타르 1세는 정치 생활에서 군부의 영향력이 다소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의회 민주주의에 대한 헌신으로 점차 인기를 얻었다. 1903년 헌법은 1831년 벨기에 헌법을 기반으로 한 1888년 헌법의 개정판으로, 유럽에서 가장 자유로운 헌법 중 하나로 여겨졌다. 정부는 의회 다수당에서 선출되었으며, 주로 니콜라 파시치가 이끄는 인민 급진당과 류보미르 스토야노비치가 이끄는 독립 급진당에서 선출되었다.
페타르 1세 국왕은 세르비아 민주주의를 강화하고 외교 정책에서 독립적인 노선을 추구할 수 있는 더 폭넓은 연립 정부 구성을 선호했다. 오스트리아를 옹호했던 오브레노비치 왕조와는 달리, 페타르 1세 국왕은 러시아와 프랑스에 의존했고, 이는 팽창주의적인 오스트리아-헝가리로부터 증가하는 적대감을 불러일으켰다. 페타르 1세 국왕은 1910년과 1911년에 각각 상트페테르부르크와 파리를 두 번 방문하여, 민주주의와 발칸 반도의 민족 독립의 영웅으로 환영받았다.
페타르 1세의 치세는 1903년부터 1914년까지였으며, 정치적 자유, 언론의 자유, 그리고 마침내 민주 세르비아에서 피에몬테를 발견한 남슬라브족 사이의 문화적 우위를 바탕으로 "세르비아의 황금기"로 기억된다. 페타르 1세 국왕은 유고슬라비아 통일 운동을 지지하여 베오그라드에서 다양한 문화 행사를 주최했다. 베오그라드 대학교는 1905년에 베오그라드 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요반 츠비이치, 미하일로 페트로비치, 슬로보단 요바노비치, 요반 M. 주요비치, 보그단 포포비치, 요반 스케를리치, 시마 로자니치, 브라니슬라프 페트로니예비치 등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은 학자들이 있었다.
페타르 1세 국왕은 1912년과 1913년의 발칸 전쟁 이후 엄청난 인기를 얻었는데, 이는 세르비아인과 남슬라브족의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오스만 제국에 대한 놀라운 군사적 승리로 시작하여 "구 세르비아"(코소보 빌라예트)와 마케도니아 (마나스티르 빌라예트)의 해방으로 이어졌다.
세르비아의 영토는 두 배로 증가했고, 남슬라브족(특히 크로아티아인과 슬로베니아인, 그리고 오스트리아-헝가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이보디나, 군사 국경, 달마티아, 슬라보니아 등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 사이에서 그 위상이 크게 높아졌으며, 페타르 1세는 정치적, 문화적 성공의 주요 상징이었다. 1914년 봄, 군부와 민간 대표자 간의 갈등 이후, 페타르 1세 국왕은 건강 악화로 인해 "은퇴"하기로 결정하고, 1914년 6월 11일/24일에 그의 왕위 특권을 둘째 아들인 왕세자 알렉산드로 왕세자에게 재할당했다.
4. 1. 내정 개혁
페타르 1세는 서구식 입헌 군주제를 수립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을 세르보크로아트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1903년 헌법은 1831년 벨기에 헌법을 기반으로 한 1888년 헌법의 개정판으로, 유럽에서 가장 자유로운 헌법 중 하나로 여겨졌다. 정부는 의회 다수당에서 선출되었으며, 주로 니콜라 파시치가 이끄는 인민 급진당과 류보미르 스토야노비치가 이끄는 독립 급진당에서 선출되었다.페타르 1세의 치세(1903년~1914년)는 정치적 자유, 언론의 자유를 보장했기에 "세르비아의 황금기"로 기억된다. 베오그라드 대학교는 1905년에 베오그라드 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요반 츠비이치, 미하일로 페트로비치, 슬로보단 요바노비치 등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은 학자들이 있었다.
4. 2. 발칸 전쟁과 영토 확장
페타르 1세는 발칸 동맹을 주도하여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마케도니아와 코소보 등 영토를 확장했다. 1912년 10월 18일, 페타르 1세는 "세르비아 국민에게"라는 선언을 발표하여 알바니아인과 세르비아인을 지원하고, 형제들을 해방하며 더 나은 미래를 보장하기 위한 성전에 참여하라고 명령했다. 이 선언에서 페타르 1세는 기독교 세르비아인뿐만 아니라 이슬람 세르비아인, 그리고 기독교인과 이슬람교도 알바니아인 모두에게 자유, 형제애, 평등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약속했다.제1차 발칸 전쟁 (1912년 ~ 1913년)에서 세르비아는 발칸 동맹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오스만 제국에 승리하였다. 세르비아는 불가리아와 계약을 맺고 오스만 제국에 대한 승리 시 불가리아가 크리바 팔란카-오흐리드 선의 남쪽 마케도니아 전체를 받는다는 내용을 담았다. 불가리아는 샤르 산맥 북쪽(즉, 코소보)으로의 세르비아의 확장을 받아들였다. 페타르 1세는 라도미르 푸트니크, 스테파 스테파노비치, 보지다르 얀코비치, 페타르 보이오비치와 같은 원수들과 함께 세르비아 군대를 이끌었다.
제2차 발칸 전쟁 (1913년)에서 세르비아는 불가리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발칸 반도의 주요 강국으로 부상했다. 제1차 발칸 전쟁의 전리품 분배에 불만을 품은 불가리아는 세르비아와 그리스를 공격하여 전쟁을 시작했다. 세르비아와 그리스군은 불가리아의 공세를 격퇴하고 반격하여 불가리아로 진입했다. 부쿠레슈티 조약으로 불가리아는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얻은 영토 일부를 세르비아, 그리스, 루마니아에 양도해야 했다. 제2차 발칸 전쟁으로 세르비아는 바르다르 중앙 지역과 노비 파자르 산자크의 동쪽 절반을 획득하고, 영토는 18,650제곱마일에서 33,891제곱마일로, 인구는 150만 명 이상 증가했다.

발칸 전쟁에서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페타르의 건강은 악화되었다.
4. 3. 외교 정책
페타르 1세는 제정 러시아를 세르비아의 주요 동맹국으로 여겼다.[3] 이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크게 의존했던 오브레노비치 왕조의 이전 정책에 반대되는 것이었다.[3] 서유럽에서 교육받은 페타르 1세는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을 세르보크로아트어로 번역하는 등 서유럽형 입헌 군주제를 세르비아에 도입하려 했다.5. 제1차 세계 대전과 유고슬라비아 건국 (1914년 ~ 1921년)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페타르 1세는 건강이 좋지 않아 대부분의 시간을 세르비아의 온천에서 보냈다.[4] 하지만 군사 상황이 위태로워질 때마다 전선의 참호를 방문하여 병사들의 사기를 북돋았다.[4] 1914년 말 콜루바라 전투 직전 그의 사격선 방문은 후퇴하는 세르비아군의 사기를 진작시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 대한 승리를 이끌었다.[4] 1915년에는 71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소총을 들고 적군을 향해 사격하기도 했다.[4]
1915년 10월,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불가리아 연합군의 침공으로 페타르 1세는 군대와 수만 명의 민간인 난민을 이끌고 알바니아 산맥을 넘어 아드리아 해로 향했다.[4] 프리즈렌에서 알바니아 해안까지 이어진 이 후퇴 과정에서 10만 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4] 이후 연합국에 의해 그리스의 코르푸 섬으로 수송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코르푸에 머물렀다.[4]
1918년 12월 1일, 페타르 1세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의 왕으로 선포되었다.[4] 1919년 7월 베오그라드로 돌아온 그는 1921년 77세의 나이로 서거하여 오플레나크에 안장되었다.[4]
5. 1. 알바니아 후퇴
1915년 10월,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불가리아의 연합군이 세르비아를 침공하자, 페타르 1세는 군대와 수만 명의 민간인 난민을 이끌고 알바니아의 높은 산을 넘어 아드리아 해로 향하는, "몇몇 민족에게만 알려진 고난의 행군"을 감행했다.[4]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페타르 1세는 콜루바라 전투 직전과 1915년 등 여러 차례 전선을 방문하여 병사들의 사기를 북돋웠으며, 특히 1915년에는 71세의 나이로 직접 소총을 들고 적군을 향해 사격하기도 했다.[4]프리즈렌에서 알바니아 해안까지 이어진, 10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알바니아 고원 지대의 혹독한 겨울 동안의 극적인 후퇴 이후, 국왕과 그의 군대는 추위와 기아에 지쳐 마침내 연합국에 의해 1916년 초 그리스의 코르푸 섬으로 수송되었다.[4]
5. 2. 유고슬라비아 왕국 건국
페타르 1세는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건강이 좋지 않아 대부분의 시간을 세르비아의 온천에서 보냈다.[4] 하지만 군사 상황이 위태로워질 때마다 전선의 참호를 방문하여 병사들의 사기를 북돋았다.[4] 1914년 말 콜루바라 전투 직전 그의 사격선 방문은 후퇴하는 세르비아군의 사기를 진작시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 대한 승리를 이끌었다.[4] 1915년에는 71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소총을 들고 적군을 향해 사격하기도 했다.[4]1915년 10월,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불가리아 연합군의 침공으로 페타르 1세는 군대와 수만 명의 민간인 난민을 이끌고 알바니아 산맥을 넘어 아드리아 해로 향했다.[4] 프리즈렌에서 알바니아 해안까지 이어진 이 후퇴 과정에서 10만 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4] 이후 연합군에 의해 그리스의 코르푸 섬으로 수송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코르푸에 머물렀다.[4]
1918년 12월 1일, 페타르 1세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의 왕으로 선포되었다.[4] 1919년 7월 베오그라드로 돌아온 그는 1921년 77세의 나이로 서거하여 오플레나크에 안장되었다.[4]
6. 사망과 유산
페타르 1세는 1921년 베오그라드에서 사망했으며, 오플레나츠의 성 조지 교회에 안장되었다.
6. 1. 유산과 평가
페타르 1세는 겸손함과 군사적 배경으로 인해 세르비아 국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재위 기간 동안 매우 인기가 많았고 현재까지도 세르비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5] 그는 세르비아의 민주주의 발전과 남슬라브족 통합에 기여한 국왕으로 평가받는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유고슬라비아에는 페타르 1세의 이름을 딴 도시가 여럿 있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므르코니치 그라드(구 바르카르 바쿠프), 보이보디나의 페트로브그라드(구 벨리키 베체레크, 현재 즈레냐닌), 몬테네그로의 페트로바츠 나 모루(구 카슈텔 라스트바)가 그 예이다. 1945년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선 후 유고슬라비아 전역에 세워졌던 그의 기념비는 대부분 파괴되었으나, 최근 즈레냐닌(구 페트로브그라드)의 기념비가 복원되었고 베오그라드와 세르비아의 나머지 지역에도 여러 개의 작은 기념비가 복원되었다. 스릅스카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지에서도 페타르 1세를 기리는 기념비들이 복원 또는 건립되었는데, 이곳에서 그는 세르비아와 마찬가지로 국민적 영웅으로 숭배받고 있다.
파리에서는 샹젤리제 거리에서 뻗어 나가는 거리가 그의 이름을 따서 피에르 1세 드 세르비 거리로 명명되었다.[5] 프랑스 오를레앙에는 프랑스군에서 의용군으로 참전했던 세르비아의 페타르 1세 국왕을 기리는 작은 기념비가 있다. 1936년에는 파리의 포르트 드 라 뮈에트에도 페타르 국왕과 그의 아들 알렉산다르 1세를 기리는 대형 기념비가 세워졌다. 2018년 12월에는 라자르 리스토브스키가 페타르 국왕 역을 맡은 영화 ''세르비아의 페타르 국왕''이 개봉되었다.[6]
그의 자녀들은 성인이 된 후 유럽 문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알렉산다르 1세는 서유럽에 동조하며, "유고슬라비아인"의 민족 정체성 육성을 촉진했다. 어린 나이에 어머니를 잃은 예레나 공주는 외숙모들에게 러시아에서 양육되었으며, 러시아 황족 이오안 콘스탄티노비치 공과 결혼하여, 그리고리 라스푸틴에게 알렉산드라 황후를 소개했다.
6. 2. 페타르 1세를 그린 작품
2018년 세르비아와 그리스 합작의 전쟁 영화인 세르비아 크라이시스(원제: ''Краљ Петар Први'')는 페타르 1세의 생애를 다룬 작품이다.[9] 감독은 페타르 리스토프스키이며, 페타르 1세 역은 라자르 리스토프스키/Лазар Ристовскиsr가 맡았다. 원작은 미로반 비테조비치/Милован Витезовићsr의 1994년 소설 『''Чарапе краља Петра'' (국왕 페타르의 양말)』이다.[9]참조
[1]
논문
On Parliamentary Democracy in Serbia 1903–1914 Political Parties, Elections, Political Freedoms
2017
[2]
웹사이트
The Regalia
http://www.royalfami[...]
The Royal Family of Serbia
2013-12-21
[3]
논문
On Parliamentary Democracy in Serbia 1903–1914 Political Parties, Elections, Political Freedoms
2017
[4]
서적
Years of Change. European History 1890–1945
[5]
웹사이트
Avenue Pierre 1er de Serbie (see centre of map)
http://www.gralon.ne[...]
[6]
웹사이트
Kralj Petar I: U slavu Srbije
https://www.imdb.com[...]
2018-12-06
[7]
간행물
Ordem Militar da Torre e Espada - Processos de Estrangeiros: Pedro I (Rei dos Sérvios, Croatas e Eslovenos)
http://arquivo.presi[...]
Arquivo Histórico da Presidência da República
2020-04-02
[8]
서적
ユーゴスラヴィア現代史
2021
[9]
뉴스
Oscars: Serbia Selects ‘King Peter I’ for International Feature Film Category
https://www.hollywoo[...]
The Hollywood Reporter
2019-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