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펙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펙틴은 황백색 가루 형태의 정제된 탄수화물 중합체로, 겔 형성, 식품 첨가물, 의약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펙틴은 주로 식물의 1차 세포벽에 존재하며, 갈락투론산이 풍부한 다당류이다. 펙틴은 에스테르화 정도에 따라 고메톡실 펙틴과 저메톡실 펙틴으로 구분되며, 잼, 젤리,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겔화제, 안정제 등으로 활용된다. 펙틴은 식품 첨가물로 안전성이 입증되어 1일 섭취 허용량(ADI)이 설정되지 않았으며, 1825년 앙리 브라코노에 의해 처음 분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용 증점제 - 알긴산
    알긴산은 해조류에서 추출되는 선형 공중합체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증점제, 겔화제 등으로 사용되며 방사성 스트론튬 배출에도 효과가 있다.
  • 식용 증점제 - 녹말
    녹말은 식물에서 얻는 다당류의 일종으로,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며 에너지 저장 형태로 사용되고, 식품, 제지, 섬유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다당류 - 덱스트란
    덱스트란은 미생물이 생성하는 포도당 중합체 다당류로, 혈장 대체제로 개발되어 의학적으로 활용되었으며, 현재는 항혈전제, 혈량 증량제, 안약 윤활제 등으로 사용되고 약물 전달 시스템 연구에도 활용된다.
  • 다당류 - 키틴
    키틴은 절지동물의 외골격, 버섯류의 세포벽 등을 구성하는 질소를 함유한 다당류이며, 키토산으로 변환되어 생의학, 식품, 제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식품 첨가물 - 소금
    소금은 염화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며, 조미료, 식품 보존, 산업, 종교 의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를 제공하지만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암염 채굴, 천일염 생산, 해수 증발 등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 식품 첨가물 - 베이킹파우더
    베이킹파우더는 반죽을 부풀리는 팽창제로, 탄산수소나트륨, 산성제, 완충 물질이 수분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며, 단일 작용과 이중 작용으로 나뉘고, 베이킹소다와 달리 산성 재료 유무와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다.
펙틴

2. 특성

펙틴은 황백색의 거칠거나 미세한 가루 형태이며, 냄새가 없고 점액질의 맛을 갖는 정제된 탄수화물의 중합체이다. 금속(Mg, Ca, Na, K)과 반응하여 겔을 형성하며, 분자량 등에 따라 펙틴의 성질이 조금씩 달라진다. 녹차 추출 후 이소프로판올 첨가 과정을 통해 펙틴을 추출할 수 있다.

3. 화학적 구조

펙틴은 갈락투론산이 풍부한 다당류로, 여러 구조적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주요 구조에는 호모갈락투로난 (Homogalacturonan, HG), 람노갈락투로난-I (Rhamnogalacturonan-I, RG-I), 람노갈락투로난-II (Rhamnogalacturonan-II, RG-II) 등이 있다.

분리된 펙틴의 분자량은 공급원과 분리 방법에 따라 크게 다르다.[20] 사과 찌꺼기의 경우 28 kDa에서 고구마 껍질의 경우 753 kDa까지 보고되었다.[21][22]

자연 상태에서 갈락투론산 카르복실기의 약 80%는 메탄올과 에스테르화된다.[23] 이 비율은 펙틴 추출 과정에서 다양한 정도로 감소한다. 펙틴은 전체 갈락투론산의 절반 이상이 에스테르화되어 있는지에 따라 고메톡실 펙틴(HM-펙틴) 또는 저메톡실 펙틴(LM-펙틴)으로 분류된다.[23] 에스테르화 정도는 식품 응용 분야에서 펙틴의 겔 형성 특성을 결정한다.

고메톡실 펙틴은 60% 이상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2.8~3.6 사이의 pH 값에서 수소 결합과 소수성 상호작용으로 펙틴 사슬을 결합하여 겔을 형성한다. 저메톡실 펙틴은 Ca2+과 같은 이가 양이온과 상호 작용하여 겔을 형성하며, 이때 칼슘 이온과 갈락투론산의 이온화된 카르복실기 사이에 이온 다리가 형성되는 '계란 상자' 모델이 적용된다.[24][25][23]

비에스테르화 갈락투론산 단위는 자유산(카르복실기) 또는 나트륨, 칼륨, 칼슘과의 염일 수 있다.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펙틴의 염은 펙티네이트, 에스테르화 정도가 5% 미만이면 펙테이트, 불용성 산 형태는 펙틴산이라고 한다.

사탕무, 감자, 배와 같은 일부 식물은 메틸 에스테르 외에 아세틸화된 갈락투론산을 함유한 펙틴을 포함한다. 아세틸화는 겔 형성을 방지하지만 펙틴의 안정화 및 유화 효과를 증가시킨다.

아미드 펙틴은 펙틴의 변형된 형태로, 갈락투론산의 일부가 암모니아로 카르복실산 아미드로 전환된 것이다. 이러한 펙틴은 다양한 칼슘 농도에 더 강하다.[26] 티올화 펙틴은 이황화물 결합 형성을 통해 가교 결합하여 겔화 특성이 향상된다.[27][28][29]

펙틴 겔을 준비하려면 성분을 가열하여 펙틴을 녹인 후 겔화 온도 이하로 냉각한다. 겔 형성이 너무 강하면 시네레시스 또는 과립 질감이 발생하고, 약한 겔화는 과도하게 부드러운 겔로 이어진다.

아미드 펙틴은 저에스테르 펙틴처럼 동작하지만 칼슘이 덜 필요하고 과도한 칼슘에 더 강하다. 또한 아미드 펙틴의 겔은 가역적이다.

고에스테르 펙틴은 저에스테르 펙틴보다 높은 온도에서 응고된다. 에스테르화 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칼슘과의 겔화 반응이 증가하며, 낮은 pH 값 또는 높은 가용성 고형분(일반적으로 설탕)은 겔화 속도를 증가시킨다.

3. 1. 호모갈락투로난 (Homogalacturonan, HG)

호모갈락투로난은 α-(1-4)-결합된 D-갈락투론산의 선형 사슬이다.[16]

자연 상태에서 갈락투론산의 카르복실기의 약 80%는 메탄올과 에스테르화된다.[23] 전체 갈락투론산의 절반 이상이 에스테르화되면 고메톡실 펙틴(HM-펙틴), 그렇지 않으면 저메톡실 펙틴(LM-펙틴)으로 분류된다. 에스테르화 정도는 식품 응용 분야에서 펙틴의 행동을 결정한다. HM-펙틴은 높은 설탕 농도와 산성 조건에서 겔을 형성할 수 있고, LM-펙틴은 Ca2+와 같은 이가 양이온과 상호 작용하여 겔을 형성한다. 이때 칼슘 이온과 갈락투론산의 이온화된 카르복실기 사이에 이온 다리가 형성되는 '계란 상자' 모델이 적용된다.[24][25][23]

사탕무, 감자, 배와 같은 일부 식물은 메틸 에스테르 외에 아세틸화된 갈락투론산을 함유한 펙틴을 포함한다. 아세틸화는 겔 형성을 방지하지만 펙틴의 안정화 및 유화 효과를 증가시킨다.

3. 2. 람노갈락투로난-I (Rhamnogalacturonan-I, RG-I)

람노갈락투로난 I 펙틴(RG-I)은 반복 이당류의 골격을 포함하는데, 이는 4)-α-D영어-갈락투론산-(1,2)-α-L영어-람노스-(1)와 같다.[16][17][18] 많은 람노스 잔기에서 다양한 중성 당의 측쇄가 분기된다.[16][17][18] 중성 당은 주로 D영어-갈락토스, L영어-아라비노스 및 D영어-자일로스이며, 중성 당의 유형과 비율은 펙틴의 기원에 따라 다르다.[16][17][18]

3. 3. 람노갈락투로난-II (Rhamnogalacturonan-II, RG-II)

람노갈락투로난 II (RG-II)는 덜 흔하고 복잡하며 고도로 분지된 다당류이다.[19] D-갈락투론산 단위로만 구성된 람노갈락투론산 II 골격 때문에 일부 저자에 의해 치환된 갈락투론산 그룹 내에 분류되기도 한다.[17]

약 30개의 당으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갈락투론산, 람노스 외에 아피오스, 메톡실화된 글루쿠론산, 푸코스 등을 포함한다.

4. 생물학적 역할

펙틴은 식물 세포를 서로 결합시키는 중간층의 주요 구성 성분이다.[6] 골지체에서 생성된 소포체를 통해 세포벽으로 엑소사이토시스(세포외분비)에 의해 침착된다.[6] 1차 세포벽의 확장과 식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당류이다.[7] 과일이 익는 동안 펙틴은 효소인 펙티나아제와 펙틴에스테라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중간층이 파괴되고 세포가 서로 분리되면서 과일이 부드러워진다.[8] 이와 비슷한 세포 분리 과정은 낙엽수의 잎이 떨어질 때 잎자루의 낙엽층에서도 일어난다.

펙틴은 사람이 섭취하는 음식의 자연스러운 일부이지만, 영양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과일과 채소를 통해 섭취하는 펙틴의 하루 섭취량은 대략 5g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인간의 소화 과정에서 펙틴은 위장관에서 콜레스테롤과 결합하여 흡수를 늦추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펙틴은 수용성 식이 섬유로 분류된다. 비만하지 않은 당뇨병 (NOD) 마우스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펙틴이 자가 면역 1형 당뇨병의 발생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9]

펙틴 섭취는 혈중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약간(3–7%) 낮추는 효과가 있다.[13] 이러한 효과는 펙틴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사과 및 감귤류 펙틴이 오렌지 펄프 섬유 펙틴보다 더 효과적이었다.[13] 이는 장관의 점도가 증가하여 담즙이나 음식으로부터 콜레스테롤 흡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14] 대장에서는 미생물이 펙틴을 분해하여 프리바이오틱 효과가 있는 단쇄 지방산을 방출한다.[15]

중금속 중독 치료에 펙틴이 사용된 사례가 있으며, 과학적인 검증도 진행 중이다.[52][53]

일부 식물 씨앗의 DNA 복구에 펙틴이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1] 펙틴이 풍부한 표면은 이슬을 유지하여 세포가 DNA를 복구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점액층을 생성한다.[12]

5. 생산 및 추출

펙틴 생산의 주요 원료는 감귤류 껍질 또는 사과 찌꺼기이며, 이들은 모두 주스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이다. 설탕무 찌꺼기도 일부 사용된다.

펙틴은 이러한 재료에 pH 1.5 ~ 3.5의 뜨거운 묽은 산을 첨가하여 추출한다. 몇 시간 동안 추출하는 과정에서 원펙틴은 가지와 사슬 길이가 일부 손실되며 용액으로 녹아 들어간다. 이후 여과를 거쳐 추출물을 진공 상태에서 농축하고,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다. 과거에는 알루미늄 염을 이용해 펙틴을 침전시키는 방법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31]

알코올 침전된 펙틴은 분리, 세척, 건조 과정을 거친다. 초기 펙틴을 묽은 산으로 처리하면 저에스테르화 펙틴이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수산화 암모늄(NH3(aq))을 사용하면 아미드화 펙틴을 얻을 수 있다. 건조 및 분쇄 후, 펙틴은 일반적으로 설탕, 때로는 칼슘 염이나 유기산을 첨가하여 특정 용도에 맞게 성능을 표준화한다.[31]

6. 종류 및 용도

펙틴은 에스테르화 정도 및 아미드화 정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펙틴 분자 내 카르복실 그룹이 메탄올과 에스테르화된 정도에 따라 "고메톡실"과 "저메톡실" 펙틴으로 구분된다.[33][34][35]

(하위 섹션 "고메톡실 펙틴", "저메톡실 펙틴"에서 각각 상세하게 설명)

펙틴은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하위 섹션 "기타 용도"에서 상세하게 설명)

6. 1. 고메톡실 펙틴 (High-Methoxyl Pectin, HM Pectin)

고메톡실 펙틴은 에스테르화 정도가 50 이상인 것으로 정의되며,[36][37][32] 주로 잼과 젤리 제조에 사용된다.[36][37][32] 이러한 펙틴은 겔을 형성하기 위해 높은 설탕 농도와 산성 조건이 필요하며,[32][35][38] 부드러운 질감을 제공하고 베이커리 충전재 및 제과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32][35][38]

60% 이상의 설탕과 용해성 과일 고형분을 함유한 일반적인 잼과 마멀레이드의 경우 고에스테르(고메톡실) 펙틴이 사용된다.

6. 2. 저메톡실 펙틴 (Low-Methoxyl Pectin, LM Pectin)

저메톡실 펙틴은 에스테르화 정도가 50% 미만인 펙틴을 말하며,[35][32] 아미드화 또는 비아미드화될 수 있다. 아미드 그룹의 치환 백분율은 아미드화 정도로 정의되며, 펙틴의 효능을 정의한다.[32] 저메톡실 펙틴은 칼슘 농도 및 칼슘 반응성에 따라 다양한 질감 및 유변학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39]

저메톡실 펙틴은 칼슘 이온과 반응하여 겔을 형성한다. 아미드화된 저메톡실 펙틴은 녹고 다시 형성될 수 있는 가역적인 겔을 형성하는 반면, 비아미드화된 저메톡실 펙틴은 고온을 견딜 수 있는 열안정성 겔을 형성한다.[39]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저메톡실 펙틴은 저당 및 무설탕 식품, 유제품 및 산성 단백질 음료를 안정화하는 데 적합하다.[36][34][32]

아이유 씨앗의 물 추출물은 전통적으로 대만에서 아이유 젤리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씨앗에서 추출한 저메톡실 펙틴과 물에서 추출한 2가 양이온으로 인해 가열 없이 추출물이 겔화된다.[23]

6. 3. 기타 용도

펙틴은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식품 분야에서는 겔화제, 증점제, 안정제로 사용된다.[32] 특히 잼이나 마멀레이드에 젤리 같은 질감을 부여하고, 시네레시스를 줄이며 저칼로리 잼의 겔 강도를 높이는 데 사용된다.[33] 60% 이상의 설탕과 용해성 과일 고형분을 함유한 잼, 마멀레이드에는 고에스테르(고메톡실) 펙틴이 사용되며, 저에스테르(저메톡실) 펙틴과 아미드화 펙틴은 설탕 함량을 줄인 다이어트 제품에 사용된다.[23] 제과 젤리에 좋은 겔 구조와 깔끔한 물림성, 풍미를 부여하고, 음용 요구르트와 같은 산성 단백질 음료를 안정화하며, 주스 기반 음료의 식감과 과육 안정성을 개선하고, 구운 식품에서 지방 대체제로도 사용된다.[36][40]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펙틴의 일반적인 수준은 0.5~1.0% 사이이다.[41] 식품 공업에서는 증점 안정제(증점 다당류)로 사용되며, 사탕무, 해바라기, 아마대(아마귤, 오렌지), 자몽, 라임, 레몬, 또는 사과 등에서 산 추출된다. 펙틴은 산성 식품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 젤리 등의 겔화제나 요구르트 음료 등의 유단백 안정제로 사용된다. 칼슘과의 겔화 작용을 직접 이용하는 식품도 있다.

의약품 분야에서는 점성과 대변의 부피를 증가시켜 변비설사 치료에 사용된다.[42] 2002년까지는 카오펙테이트의 주요 성분 중 하나였다. 또한,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부드러운 중금속 제거에도 사용되며,[42] 목 캔디에 진해제로도 사용된다. 중금속 중독 치료에 펙틴이 사용된 역사가 있으며, 과학적인 입증도 진행되고 있다.[52][53] 분말 펙틴이 관절염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도 보고되고 있다.[54] 반추동물 영양에서는 사료의 소화율과 에너지 농도를 개선하기 위해 펙틴 농도를 증가시키기도 한다.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펙틴은 방사성 핵종 제거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44] 펙틴 제제를 섭취하면 세슘-137과 같은 방사성 핵종의 배설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화장품 분야에서는 안정제로 사용되며,[43] 상처 치유 제제 및 결장루 장치와 같은 특수 의료용 접착제에도 사용된다.

또한, 시가 잎을 수리하는 접착제 대체제로 사용되기도 하며, 고령자, 역류성 식도염 및 연하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증점제로도 판매된다.

7. 법적 규제 현황

식품 첨가물에 관한 FAO/WHO 합동 전문가 위원회 보고서와 유럽 연합에서는 펙틴이 안전하다고 간주하여 1일 섭취 허용량(ADI)을 설정하지 않았다.[1]

유럽 연합(EU)은 E440(i)(비아미드 펙틴) 및 E440(ii)(아미드 펙틴) 두 가지 유형의 펙틴에 대해 일일 섭취 제한을 설정하지 않았다.[1] EU 위원회 규정 (EU)/231/2012에서 이러한 첨가물에 대한 순도 표준을 설정했으며,[1] 펙틴은 "quantum satis"(필요에 따라) 개념으로 대부분의 식품 범주에서 사용할 수 있다.[1] 유럽 식품 안전청(EFSA)은 2017년에 펙틴 E440(i) 및 아미드 펙틴 E440(ii)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하여, 일반 인구에게 안전 문제를 제기하지 않으며 1일 섭취 허용량(ADI)에 대한 수치 값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1]

미국에서 펙틴은 인체 섭취에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된다.[2]

국제 식품 첨가물 번호 시스템(INS)에서 펙틴은 번호 440을 갖는다.[3] 유럽에서는 비아미드 펙틴의 경우 E 넘버 E440(i)로, 아미드 펙틴의 경우 E440(ii)로 구분된다.[3] 품질을 정의하고 사용을 규제하는 모든 국가 및 국제 법규에 사양이 있다.[3]

8. 역사

펙틴은 1825년 앙리 브라코노에 의해 처음 분리되고 기술되었지만, 잼과 마멀레이드를 만드는 작용은 훨씬 이전부터 알려져 있었다.[50] 펙틴 함량이 적거나 품질이 좋지 않은 과일로 잼을 잘 만들려면 펙틴이 풍부한 과일이나 그 추출물을 섞었다.

산업 혁명 동안, 과일 보존 식품 제조업자들은 사과 주스 생산자들에게서 펙틴 추출에 쓰이는, 요리 후 건조시킨 사과 사과박을 얻었다. 이후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미국과 유럽에서 사과 주스를 생산하는 지역에 건조 사과박, 나중에는 감귤 껍질에서 펙틴을 상업적으로 추출하는 공장이 건설되었다.

펙틴은 처음에는 액체 추출물로 판매되었지만, 현재는 액체보다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건조 분말 형태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50]

참조

[1] LSJ πηκτικός
[2] 논문 Recherches sur un nouvel acide universellement répandu dans tous les vegetaux https://books.google[...] 2016-01-08
[3] 논문 Methane emissions from terrestrial plants under aerobic conditions 2006-01
[4] 간행물 Beverage Stabilizers https://www.foodingr[...] 2023-01-24
[5] 논문 Fluorescence visualization of cellulose and pectin in the primary plant cell wall 2020-06
[6] 논문 My body is a cage: mechanisms and modulation of plant cell growth 2014-01
[7] 논문 Relating the mechanics of the primary plant cell wall to morphogenesis https://academic.oup[...] 2020-05-30
[8] 논문 Gene expression during tomato ripening
[9] 논문 Fermentable fibres condition colon microbiota and promote diabetogenesis in NOD mice 2014-10
[10] 논문 Endogenous production of methanol after the consumption of fruit 1997-08
[11] 논문 Value of the mucilaginous pellicle to seeds of the sand-stabilizing desert woody shrub Artemisia sphaerocephala (Asteraceae) 2004-07-30
[12] 논문 Possible role of pectin-containing mucilage and dew in repairing embryo DNA of seeds adapted to desert conditions 2008-01
[13] 논문 Cholesterol-lowering properties of different pectin types in mildly hyper-cholesterolemic men and women 2012-05
[14] 논문 Chemistry of Pectin and its Pharmaceutical Uses: A Review http://www.journal.s[...] 2007-08-23
[15] 논문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prebiotic properties of pectic oligosaccharides from orange peel wastes 2014-10
[16] 웹사이트 Galacturonans http://www.ccrc.uga.[...] Complex Carbohydrate Research Centre, University of Georgia, US 2010-07-23
[17] 서적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of Plants https://archive.org/[...] American Society of Plant Biologists 2010-07-23
[18] 웹사이트 RG-I http://www.ccrc.uga.[...] 2012-07-16
[19] 웹사이트 Rhamnogalacturonan II http://www.ccrc.uga.[...] 2012-07-16
[20] 논문 Review on functionalized pectin films for active food packaging 2024
[21] 논문 Pectin extracted from apple pomace and citrus peel by subcritical water 2014
[22] 논문 Structural, physicochemical and emulsifying properties of sweet potato pectin treated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and/or pectinase: a comparative study 2020
[23] 논문 Extraction, characterization and spontaneous gel-forming property of pectin from creeping fig (Ficus pumila Linn.) seeds 2012-01
[24] 논문 Calcium-induced gelation of low methoxy pectin solutions--thermodynamic and rheological considerations 1990-02
[25] 논문 Compatibility analysis of pectin at different esterification degree from intrinsic viscosity data of diluted ternary solutions
[26] 서적 Food Chemistry Springer 2004-04
[27] 논문 Pectin-cysteine conjugate: synthesis and in-vitro evaluation of its potential for drug delivery 2006-12
[28] 논문 Hydrophobic thiolation of pectin with 4-aminothiophenol: synthesis and in vitro characterization 2010-03
[29] 논문 Compound treatment of thiolated citrus high-methoxyl pectin and sodium phosphate dibasic anhydrous improved gluten network structure 2023-03
[30] 서적 Herbal Drugs and Phytopharmaceuticals: a handbook for practice on a scientific basis Medpharm; CRC Press 2023-03-14
[31] 문서 G. Eisenbrand, P. Schreier; RÖMPP Lexikon Lebensmittelchemie; Thieme, Stuttgart; Mai 2006
[32] 웹사이트 What is Pectin (E440)? Sources, Types, Uses, and Benefits https://foodadditive[...] 2024-04-07
[33] 서적 Sustainable Food Systems (Volume II) 2024
[34] 서적 Pectin: Technolog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2020
[35] 서적 Renewable Resources for Functional Polymers and Biomaterials 2011-08-17
[36] 웹사이트 UniPECTINE https://www.cargill.[...] 2024-04-07
[37] 서적 Pectin: Technolog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2020-10-02
[38] 간행물 Biological Properties and Biomedical Applications of Pectin and Pectin-Based Composites: A Review 2023-12
[39] 간행물 Pectin Hydrogels: Gel-Forming Behaviors, Mechanisms, and Food Applications 2023-09
[40] 간행물 Industrial pectins: Sources, production and applications
[41] 간행물 Chemistry and uses of pectin--a review 1997-02
[42] 간행물 The role of modified citrus pectin as an effective chelator of lead in children hospitalized with toxic lead levels 2008
[43] 간행물 Application of pectin in oral drug delivery 2011-08
[44] 간행물 13. Decorporation of Chernobyl radionuclides https://books.google[...] 2009-11
[45] 웹사이트 history of wwii british cloth escape maps http://www.escape-ma[...] 2019-06-29
[46] 간행물 Chemical Risks in Food http://www.who.int/i[...] 2012-07-16
[47] 웹사이트 Commission Regulation (EU) No 1130/2011 of 11 November 2011 amending Annex III to Regulation (EC) No 1333/2008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n food additives by establishing a Union list of food additives approved for use in food additives, food enzymes, food flavourings and nutrients Text with EEA relevance https://eur-lex.euro[...] 2024-04-07
[48] 간행물 Re-evaluation of pectin (E 440i) and amidated pectin (E 440ii) as food additives https://www.efsa.eur[...] 2017-07-06
[49] 간행물 Opinion on the re-evaluation of pectin (E 440i) and amidated pectin (E 440ii) as food additives in foods for infants below 16 weeks of age and follow-up of their re-evaluation as food additives for uses in foods for all population groups | EFSA https://www.efsa.eur[...] 2021-01-29
[50] 웹사이트 International Pectin Producers Association http://www.ippa.info 2007-06-13
[51] 문서 Braconnot, Henri. Keppler, Frank et al. Methane emissions from terrestrial plants under aerobic conditions. Nature 439, 187-190
[52] 문서 Low esterified pectin accelerates removal of lead ions in rats https://www.research[...]
[53] 문서 Pectin-based adsorbents for heavy metal ions: A review https://www.research[...]
[54] 문서 Powdered pectin solution to ease arthritis pain https://www.seattlet[...] Joe Graedon and Teresa Graedon (2023). Seatle Times.
[55] 서적 Plant Physiology 4th Edition Sinauer Associates 2006-07-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