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푸조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조나무는 일본, 중국, 인도차이나반도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이다. 잎은 톱니가 있고 잎 표면이 거칠며, 가을에 황색으로 단풍이 든다. 높이 20~30m까지 자라며, 4~5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흑자색 열매를 맺는다. 중국 고전 정원의 관상수로 사용되었고, 섬유, 목재, 연마재로 이용되었다. 한국과 일본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푸조나무가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과 -
    홉은 삼과의 덩굴식물로, 맥주 양조에 사용되는 암꽃의 구과에 쓴맛과 향, 풍미를 부여하고 보존성을 높여주는 루풀린을 함유하며, 유럽, 서아시아,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 삼과 - 환삼덩굴속
    환삼덩굴속은 굴대에 속하며 덩굴손 대신 튼튼한 줄기와 털로 기어 올라가는 여러해살이 초본 식물로, 맥주 양조에 사용되는 홉 꽃을 생산하며 쓴맛을 내는 산을 함유하고 약용으로도 사용된다.
  • 1873년 기재된 식물 - 미역
    미역은 동아시아 원산의 갈조류로, 식용 해조류이자 건강 식품으로 이용되지만, 전 세계로 확산되어 침입종 문제도 야기하며, 부착기, 줄기, 잎으로 구성되고, '와카메'에서 유래한 이름과 함께 고대부터 식용 및 의약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 1873년 기재된 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 베트남의 나무 - 매실나무
    매실나무는 중국 남부 원산의 장미과 낙엽 교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여름에 청매와 황매로 나뉘는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재배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베트남의 나무 - 담팔수
    담팔수는 한국 남부 등지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로, 녹백색 꽃과 검보라색 열매를 맺으며 열매는 식용이 가능하고 나무껍질은 염료로 사용되며, 제주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고 방사선 방호 효과가 있는 갈로타닌을 함유하고 있다.
푸조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장미군
장미목
삼과
푸조나무속
푸조나무
학명
학명Aphananthe aspera
명명자(Thunb.) Planch. (1873)
한국어 이름
이름푸조나무
일본어 이름
이름무쿠노키 (椋の木)
기타 이름무쿠 (椋)
무쿠에노키 (椋榎)
영어 이름
이름Muku Tree
이미지
담양 관방제림 안 푸조나무 (2010년 6월)
담양 관방제림 안 푸조나무(2010년 6월)

2. 명칭

'''푸조나무'''의 이칭인 '무쿠노키'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찌르레기가 열매를 좋아해서 무쿠노키가 되었다는 설도 있고, 큰 나무가 되면 수피가 벗겨져 나오는 것에서 껍질을 벗기다(무쿠)에서 무쿠노키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 혹은, 거친 잎을 연마제로 사용한 것에서 "갈다"를 의미하는 고어 "무쿠"에서 "무쿠노키"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椋"을 "무쿠"라고 읽는 것은 국훈으로, 원래 이 글자는 낙엽 활엽수인 "치샤"를 의미한다. 다만, "치샤"의 동정에 대해선 지치과의 치샤노키 또는 사포테과사포테의 두 설이 있으며 (그 외에 국화과상추도 있지만 풀이기 때문에 제외한다), 진정한 椋이 어느 쪽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椋"에는 "쿠라(창고・창고)"의 의미도 있다. 이 의미는 중국 고전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椋" 음으로 그 의미에는 "𢈴"을 사용), 일본 고유의 국훈이 아니라 고대 조선에서 유래했다.

"椋"을 포함한 지명이나 성씨가 많다. "무쿠"라고 읽는 것도 "쿠라"라고 읽는 것도 있으며, "무쿠모토" 등은 어느 쪽으로도 읽는다.

"무쿠"를 훈으로 하는 글자에는 "樸"도 있다[11]。다만 이 글자는 동음인 "朴(팽나무、국훈 목련)"과 통하며[11], 특히 현대 중국의 간체자에서는 "樸"의 자형도 "朴"이어서 구별하지 않는다.

3. 분포 및 생육 환경

일본, 중국, 인도차이나에 분포한다[1]. 일본 국내에서는 관동 이서의 혼슈부터 시코쿠, 규슈에서 매우 흔하게 볼 수 있으며[2], 야쿠시마, 다네가시마에도 분포한다. 류큐 열도에서는 드물지만, 오키나와섬에는 분포한다[2]. 느티나무속에서 유일하게 일본에 생육한다.

주로 산지에서 저지대의 삼림 내, 산야에 생육하며[2][3], 온난한 연안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다[4]. 식재되기도 하며[3], 특히 인가 주변의 신사 등에서 자주 볼 수 있다.

4. 형태 및 생태

낙엽 활엽수의 고목으로, 높이는 20m~30m이며, 줄기 지름은 1m 이상이고, 판근이 발달하는 경우도 있다. 수피는 옅은 회갈색으로, 어린 나무의 표면은 거의 매끄럽지만, 수령에 따라 세로로 그물 모양의 갈라짐이 생겨 얕은 금이 생긴다[1]. 고목에서는 수피가 크게 뒤집히며 벗겨진다[2]. 느티나무처럼 얼룩덜룩해지지는 않는다[2]. 1년생 가지는 털이 없으며 피목이 많다[2]. 생장이 매우 빠르며, 숲의 빈터 등에서 가장 먼저 거목이 된다[3].

은 어긋나기하며, 길이 4cm~10cm의 난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잎 가장자리는 끝까지 날카로운 톱니가 있으며[1], 잎자루는 쐐기 모양, 3행 맥을 가진다. 잎의 모양은 느티나무와 매우 비슷하지만, 느티나무보다 가늘고 크며, 끝 부분의 절반이 가늘고, 톱니가 날카로운 것이 특징이다[3]. 잎의 질은 얇고, 표면에는 미세한 강모가 생겨 사포처럼 거칠다. 가을이 되면 황색으로 단풍이 들며, 붉은빛을 띠는 경우는 거의 없다[3].

개화기는 4~5월경이다[2]. 암수딴그루로, 에는 수꽃과 암꽃이 있다. 잎과 전엽과 함께 잎의 뿌리에 옅은 녹색의 작은 꽃을 피운다[1]. 꽃이 핀 후에 직경 7mm~12mm의 구형으로 녹색의 열매(핵과)를 맺으며, 같은 느릅나무과의 팽나무보다 크다[4]. 결실기는 10월경으로, 익으면 흑자색이 되며, 건조하여 식용이 가능하고, 맛은 매우 달콤하고 맛있다[1][4]. 찌르레기, 검은등할미새, 까치 등의 작은 새들이 즐겨 열매를 먹으러 모여들며[4], 종자 산포에도 관여한다.

겨울눈은 가지 끝에 가짜 정아(頂芽)가 붙고, 측아가 어긋나기로 가지를 따라 붙으며, 옆으로 부아가 생기기도 한다[2]. 겨울눈은 장타원형으로 복모가 생겨 전체적으로 희끄무레하지만, 6~10개 붙는 인편의 가장자리에는 털이 없다[2]. 겨울눈 바로 아래에 있는 엽흔은 반원형이며, 관다발 흔은 3개 있다[2].

비교적 수목의 공동이 형성되기 쉽다.

5. 이용

중국 고전 정원의 관상수로 사용된다. 푸조나무는 섬유와 목재의 원료이며, 종이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가을에 모은 잎은 나무와 유사한 재료를 연마하는 고운 사포로 사용된다.[4][5][6] 잎의 사포로서의 효과가 잎의 거칠기에 기인하는지, 아니면 마모성 식물 규산체를 함유하고 있는지 여부는 언급된 출처에서 명확하지 않다.

목재는 건축재나 기구재로 이용된다. 재질은 약간 단단하고 끈기가 있지만, 내구성은 낮다. 단단한 재료를 이용하여 배트 등의 운동구, 도구재, 악기재 등에도 사용된다.

잎 뒷면은 거친 표면과 규산질 털로 덮여 있어, 칠기의 목재나 각세공, 별갑세공, 상아 등의 표면을 연마하는 데 사용된다.

6. 보존

무쿠모토의 큰 푸조나무

6. 1. 일본의 천연기념물

위치명칭수령지정
미에현 쓰시구라모토의 큰 푸조나무1500년국가지정 천연기념물
나라현 고조시후타미의 큰 푸조나무국가지정 천연기념물
오사카부 오사카시 히라노구아사히 신사의 푸조나무오사카부 지정 천연기념물
오사카부 히라카타시다나카 저택의 푸조나무오사카부 지정 천연기념물
효고현 사요군 사요정미카즈키의 큰 푸조나무800년효고현 지정 천연기념물
가가와현 히가시카가와시요덴지의 푸조나무가가와현 지정 천연기념물
가가와현 사누키시에비스 신사의 푸조나무가가와현 지정 천연기념물
구마모토현 난칸마치오쓰야마 푸조나무500년구마모토현 지정 천연기념물


6. 2. 레드 데이터 북

다음의 지방 자치 단체가 작성한 레드 데이터 북에 게재되어 있다.

지방 자치 단체등급
나가노현멸종 위기 IB류
도야마현희귀종
오키나와현멸종 위기 IB류


참조

[1] GRIN Aphananthe aspera 2017-06-20
[2]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01-25
[3] eFloras Aphananthe aspera 2017-06-20
[4] 간행물 The Forestry Exhibition https://www.nature.c[...] 1884-08-07
[5] 웹사이트 Japan Traditional Crafts Aoyama Square http://kougeihin.jp/[...]
[6] 웹사이트 Aphananthe aspera PFAF Plant Database http://www.pfaf.org/[...]
[7] YList 2023-04-02
[8] 웹사이트 ムクノキ(椋の木)(アサ科ムクノキ属) https://www.city.nod[...] 野田市役所 2023-12-07
[9] 웹사이트 эреция — с китайского на русский https://translate.ac[...] 2019-04-12
[10] 웹사이트 Online Japanese dictionary of Kanji words: translation of '椋' #1 http://www.webdico.c[...] 2019-04-12
[11] 서적 諸橋大漢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