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2월 혁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 2월 혁명은 1848년 2월, 프랑스에서 일어난 혁명으로, 7월 왕정의 제한적인 선거 제도와 사회 개혁의 부재, 경제 위기 등으로 인한 사회적 불만이 폭발하여 발생했다. 이 혁명으로 샤를 10세가 퇴위하고 루이 필리프가 즉위했지만, 루이 필리프의 입헌 군주정은 소수의 부유한 지주층이 권력을 잡은 체제였다. 혁명 이후 제2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보수파의 승리와 6월 봉기의 실패, 그리고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쿠데타로 인해 제2공화정은 붕괴되고 제2제정으로 이어졌다. 프랑스 2월 혁명은 유럽 각국에 혁명의 물결을 확산시키는 등 유럽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8년 2월 - 멕시코 할양지
멕시코 할양지는 1848년 미국-멕시코 전쟁 결과로 멕시코가 미국에 할양한, 현재 미국 서부 여러 주의 일부를 포함하는 멕시코 전체 면적의 약 1/3에 달하는 광대한 영토를 의미하며, 이는 미국의 서부 진출에 기여했으나 멕시코의 국토 손실과 미국 내 노예제 갈등을 심화시켰다. - 1848년 2월 -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은 1848년 미국과 멕시코 간에 체결되어 미-멕시코 전쟁을 종식시키고 멕시코가 현재 미국 서남부의 광대한 영토를 미국에 할양하는 대신 미국이 멕시코에 배상금을 지불하도록 규정했으나, 멕시코에는 치욕으로, 미국에는 영토 확장으로 평가되며 양국 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7월 왕정 - 6월 봉기
1832년 6월 봉기는 프랑스 사회의 정치적 불안, 경제적 어려움, 콜레라 유행 속에 라마르크 장군의 장례식을 계기로 공화주의자들이 주도했으나 정부군의 진압으로 실패했으며, 《레 미제라블》의 배경이자 사회적 부조리에 대한 저항을 담고 민주주의 운동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건이다. - 7월 왕정 - 국민위병
국민위병은 프랑스 혁명 시기에 창설되어 법과 질서 유지, 영토 방어 등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후 변화를 거쳐 2016년 테러 위협 대응을 위해 재창설되어 국가 군사 및 경찰 예비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 1848년 프랑스 - 1848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1848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프랑스 제2공화국에서 처음 실시된 선거로,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당선되어 프랑스 정치 지형 변화와 제2제정 수립의 기반을 마련했다. - 1848년 프랑스 - 1848년 프랑스 총선
1848년 프랑스 총선은 2월 혁명 후 제2공화국 헌법 제정을 위해 직접 선거, 비밀 투표, 남성 보통 선거로 치러져 공화파가 압승하였고, 이는 프랑스 정치 지형 변화와 제2공화국 헌법 제정에 영향을 주었으며 대통령 중심제 채택 후 루이 나폴레옹의 권력 강화로 이어져 쿠데타와 제2제국 수립의 배경이 되었다.
프랑스 2월 혁명 | |
---|---|
구글 지도 | |
혁명 정보 | |
명칭 | 프랑스 2월 혁명 |
다른 명칭 | 1848년 프랑스 혁명 2월 혁명 |
일부 | 1848년 혁명 |
발생 장소 | 프랑스 파리 |
날짜 | 1848년 2월 22일 – 1848년 2월 24일 |
결과 | 루이 필리프 국왕 퇴위 군주제 폐지 임시 정부 아래 공화국 수립 |
혁명 주도 세력 | 시민 시위대 국가방위군 탈영병 |
정부 측 세력 | 프랑스 육군 시립 경비대 |
혁명군 주요 인물 | '비중앙화된 지도부' |
정부군 주요 인물 | 루이 필리프 프랑수아 기조 토마 로베르 뷔조 |
이미지 | |
![]() | |
![]() | |
관련 정보 | |
배경 | 프랑수아 기조 내각의 반동 정치에 대한 반대 선거법 개정 요구 |
결과 (추가) | 사회주의 운동 좌절 보나파르티스트의 대두 |
기간 | 1848년 2월 23일 - 1848년 12월 2일 |
주요 인물 | 루이 블랑 루이 외젠 카베냐크 루이 나폴레옹 |
관련 단체 | (정보 없음) |
관련 사건 | (정보 없음) |
비고 | 1848년 6월 24일 "스플로 바리케이드 전투" 파리 스플로 거리 |
2. 배경
루이 18세는 1814년 헌장에 따라 입헌군주제 하에서 프랑스를 통치했다. 루이 18세가 사망한 후, 그의 동생 아르투아 백작이 샤를 10세로 즉위했다. 극우파의 지지를 받은 샤를 10세는 반동적인 군주였으며, 입헌 군주로 통치할 의향이 없었고, 자신의 권위를 강화하고 하원의 권한을 약화시키려 했다.
1830년, 샤를 10세는 생 클루의 네 칙령을 발표하여 언론의 자유를 폐지하고, 선거인단을 75% 감축했으며, 하원을 해산했다.[1] 이는 시민들의 즉각적인 반발을 불러일으켜 7월 혁명이 발생했고,[2] 샤를 10세는 퇴위하여 영국으로 망명했다. 이후 오를레앙가의 루이 필립이 권력을 잡고 1830년 헌장으로 통치를 시작하면서 7월 왕정이 시작되었다.
루이 필립은 "부르주아 군주"라는 별명을 가졌으며, 온건 자유주의 국가의 수장이었다. 그는 오를레앙파의 지지를 받았으나, 우파의 합법주의자들과 좌파의 공화주의자들의 반대에 직면했다. 루이 필립은 사업을 통해 프랑스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한 명이 되었으며,[3] 자신을 성공적인 "소규모 사업가"(쁘띠 부르주아)로 여겼다. 루이 필립은 대규모 및 소규모 은행가들을 지원했으며, 그의 통치 초기에는 "이제부터 은행가들이 통치할 것입니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4]
루이 필립 통치 기간 동안 특권층인 "금융 귀족"들은 그를 지지했지만, 산업 부르주아 계층은 루이 필립에게 반대하며 대의원 의회에서 중산층 및 노동 계급과 함께 루이 필립에 반대하는 경향을 보였다.[4] 이러한 엘리트주의는 중산층과 노동 계급 대부분을 선거권에서 배제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1848년까지 인구의 약 1%만이 선거권을 가졌으며, 토지 소유자만이 투표할 수 있었다. 이는 소부르주아와 산업 부르주아 계층까지 정부로부터 소외시켰다. 루이 필립은 사회의 필요에 대해 무관심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정치에서 배제된 중산층의 불만이 컸다. 1848년 초, 아돌프 티에르와 같은 오를레앙파 자유주의자들은 의회주의에 대한 루이 필립의 반대에 실망하여 그에게 등을 돌렸다. 영국이 1832년 개혁법을 통해 선거권을 확대한 것처럼, 프랑스에서도 선거권 확대를 요구하는 압력이 거세졌다. 개혁 운동의 급진적인 민주주의자들은 신문 ''라 레폼''을 중심으로,[5] 온건한 공화주의자들과 자유주의 반대파는 ''르 나시오날'' 신문을 중심으로 결집했다.[6] 1847년 7월부터 모든 계층의 개혁가들은 "개혁 연회"를 열어 ''프랑스 공화국''(République française프랑스어), "자유, 평등, 박애프랑스어"(Liberté, égalité, fraternité프랑스어) 등을 외쳤다.[7]
사회적, 정치적 불만은 1830년과 1848년 프랑스에서 혁명을 촉발했고, 이는 유럽 다른 지역의 반란으로 이어졌다.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잃었고, 빵값은 올랐으며, 사람들은 정부를 부패로 비난했다. 알렉시 드 토크빌은 "우리는 화산 위에서 잠을 자고 있다... 혁명의 바람이 불고, 폭풍이 지평선에 있다."라고 말했다. 투표할 재산 자격이 없었던 하층민들은 봉기를 준비했다.[8]
2. 1. 7월 왕정의 한계
1830년 7월 혁명으로 샤를 10세가 물러나고 루이 필리프 1세가 왕위에 올랐지만, 7월 왕정은 소수의 부유한 지주층에게만 권력이 집중된 체제였다.[1] 산업 혁명을 통해 성장한 신흥 부르주아지들은 선거법 개혁을 요구하며 민주적인 헌법과 공화정을 원했다. 또한, 근대 공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한 노동자 계급은 열악한 노동 조건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며 사회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26]루이 필리프는 '부르주아 군주'라는 별명처럼, 교육받은 엘리트 계층이 주도하는 온건한 자유주의 국가를 이끌었다. 그는 오를레앙파의 지지를 받았지만, 우파의 합법주의자들과 좌파의 공화주의자들로부터 반대에 직면했다. 루이 필리프는 사업을 통해 프랑스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한 명이 되었으며,[3] 자신을 '소규모 사업가'(쁘띠 부르주아)의 표본으로 여겼다. 그는 대규모 은행가들을 지원했지만, 대기업(부르주아), 특히 산업 부르주아 계층은 좋게 보지 않았다.[4]
당시 특권층인 '금융 귀족'들은 루이 필리프를 지지했지만, 산업 부르주아 계층은 그에게 반대하는 경향을 보였다.[4] 토지 소유가 선호되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이러한 엘리트주의는 중산층과 노동 계급 대부분을 투표권에서 배제하는 결과를 낳았다.
1848년에는 인구의 약 1%만이 투표권을 가지고 있었다. 프랑스에는 언론의 자유와 배심원 재판이 있었지만, 토지 소유자만이 투표할 수 있었다. 이는 소부르주아와 산업 부르주아 계층까지도 정치에서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루이 필리프는 특히 정치에서 배제된 중산층에게 사회적 요구에 무관심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1848년 초, 아돌프 티에르와 같은 오를레앙파 자유주의자들은 의회주의에 대한 그의 반대에 실망하여 루이 필리프에게 등을 돌렸다. 영국이 1832년 개혁법으로 선거권을 확대한 것처럼, 프랑스에서도 선거권 확대를 요구하는 압력이 거세졌다. 개혁 운동의 급진적인 민주주의자들은 신문 ''라 레폼''을 중심으로,[5] 온건한 공화주의자들과 자유주의 반대파는 ''르 나시오날'' 신문을 중심으로 결집했다.[6] 1847년 7월부터 모든 계층의 개혁가들은 '만찬'을 열어 ''"프랑스 공화국"'', "자유, 평등, 박애프랑스어" 등에 대한 건배를 했다.[7]
총리였던 프랑수아 기조는 선거 제도 개혁에 반대하며 "선거권을 원한다면 부자가 되라"고 말해 국민들의 불만을 외면했다. 프랑스에서는 불만이 고조되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개혁 만찬이라는 집회가 활발하게 열렸다. 개혁 만찬은 선거권 확대와 노동자·농민의 권리 보장을 요구하는 정치 집회였지만, 만찬이라는 명목으로 개최되었으며, 공화파의 르드뤼 롤랭이 릴에서 추진한 것이 유명했다.
2. 2. 경제 위기와 사회 불안
1840년대 중반부터 유럽 전역은 감자 역병으로 인한 대기근을 겪었다. 특히 아일랜드에서는 100만 명에 달하는 희생자가 발생했다.[24] 프랑스에서도 감자 가격이 4배, 밀 가격이 2배로 폭등하는 등 식량 가격이 크게 올랐다.[24] 1847년에는 빵 가격이 폭등하여 시민들의 생활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24]이러한 식량 위기와 함께, 산업 혁명으로 인한 빈곤 확대와 실업 증가도 사회 불안을 심화시켰다. 특히 프랑스의 실업 문제는 숙련 노동자들까지 빈곤층으로 전락시킬 정도였다.[9] 프레데리크 바스티아와 같은 경제학자들은 열악한 철도 시스템과 정부의 경제 정책 실패가 경제 위기를 더욱 악화시켰다고 지적했다.[9] 당시 파리 인구의 3분의 1이 사회복지에 의존할 정도로 경제 상황은 심각했다.[9]
7월 왕정은 1841년에 8세 미만 아동의 노동을 금지하고 13세 미만 아동의 야간 노동을 금지하는 법을 제정했지만, 이 법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9] 정부는 경제 위기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했고, 프랑수아 기조 총리는 "선거권을 원한다면 부자가 되라"는 말로 국민들의 불만을 외면했다.[26] 이는 결국 민심 이반으로 이어졌다.
2. 3. 개혁 요구와 '개혁 연회'
7월 혁명으로 샤를 10세가 물러나고 루이 필리프 1세가 즉위했지만, 입헌 군주정은 소수 부유층에게만 권력이 집중된 체제였다.[26] 산업 혁명으로 성장한 신흥 부르주아지는 선거법 개혁과 민주적 입헌정, 공화정을 요구했다. 노동자 계급 역시 열악한 노동 조건에 불만을 품고 사회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프랑수아 기조 내각이 선거법 개정안을 부결시키자, 개혁파는 '개혁 연회(改革宴會, Campagne des banquets영어)'를 열어 전국적인 개혁 운동을 펼쳤다.[26] 개혁 연회는 정치 집회를 금지하는 정부를 피해, 만찬 형식을 빌려 선거권 확대와 노동자·농민의 권리 보장을 요구하는 모임이었다. 특히 르드뤼 롤랭이 릴에서 추진한 개혁 연회가 유명했다.[26]
1847년의 경제 불황은 프랑스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1846년의 소맥 흉작으로 농민 폭동이 일어났고, 도시에서는 식량 부족과 물가 상승으로 생활고가 심해졌다. 중소기업 도산과 실업 증가까지 겹쳐 사회 불안은 더욱 커졌다. 그러나 정부는 아무런 대책도 내놓지 못했고, 상황은 절망적이었다.
1848년 2월 21일, 『르 나시오날(Le National)』은 샹젤리제에서 개혁 연회를 열어 정권을 비판하고, 파리 시민과 국민군의 참여를 호소했다. 그러나 정부는 이를 반란 선동으로 간주하고 의회를 통해 중단을 명령했다. 하지만 이 소식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고, 많은 군중이 모여들었다.[27]
2월 22일, 비가 내리는 가운데 노동자와 농민, 학생들이 모여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국민군의 저지를 뚫고 센강 다리를 건너 의회로 향했다. 의회에서는 기조 내각 불신임 결의안이 제출되었고, 밖에서는 분노한 군중과 군대가 대치했다. 정부가 개혁 연회 해산 명령을 내리자, 헌병들이 군중을 공격했고, 군중은 “개혁 만세”, “기조를 타도하라”를 외치며 투석으로 맞섰다. 시가 곳곳에 바리케이드가 설치되었고, 총격으로 두 명의 여성 희생자가 발생하면서 분노는 극에 달했다.[27]
3. 혁명의 전개
프랑스 혁명, 7월 혁명과 달리 부르주아 중심의 시민 혁명에서 프롤레타리아 중심의 혁명으로 전환되었다.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등 사회주의자들이 참여했으며, 프랑스 삼색기와 함께 적기도 휘날렸다.
1845년부터 1848년까지 유럽은 빈농들의 주식이었던 감자에 풋마름병이 만연하여 대기근을 겪었다. 민중의 기근 폭동이 빈발했고, 산업혁명으로 인한 빈곤, 기아, 식량 가격 급등으로 사회 불안이 심각했다. 특히 아일랜드에서는 1846년 이후 감자 기근으로 100만 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프랑스에서도 감자 가격이 4배, 밀 가격이 2배로 폭등했다.[24]
1848년 1월, 시칠리아 팔레르모에서 시작된 폭동은 두 시칠리아 왕국으로부터의 분리 독립과 헌법 제정을 요구하며 이탈리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시칠리아 부르봉 가문의 페르디난도 2세는 시칠리아의 자치와 헌법 제정을 수용해야 했다.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혁명의 불길은 프랑스까지 번졌고, 이는 "갈리아의 수탉의 울음소리"와 함께 1848년 혁명이라 불리는 유럽 전체의 격변으로 이어졌다.[25]
3. 1. 2월 22일: 혁명의 시작
1848년 2월 22일, 비가 내리는 날씨에도 불구하고 파리에는 노동자와 학생, 농민들이 모여들어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정부에 의해 금지된 개혁 연회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개혁 만세", "기조 타도"를 외치며 센강 다리를 건너 의회로 행진했다. 국민군의 제지를 무시하고 행진을 계속하던 시위대는 의회 앞에서 기조 내각에 대한 불신임 결의안이 제출되는 것을 지켜보았다.[27]정부가 개혁 만찬 해산 명령을 내리자, 헌병들이 군중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시위대는 투석으로 맞섰고, 시가 곳곳에 바리케이드를 설치하며 저항했다. 이 과정에서 총성이 울리고 두 명의 여성 희생자가 발생하면서, 시민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27]
3. 2. 2월 23일: 기조 내각 사임과 민중 봉기
2월 23일, 국왕 루이 필리프는 민심을 달래기 위해 프랑수아 기조 수상을 해임하고, 3만 명의 정규군과 국민군에 동원령을 내렸다. 기조의 사임에 사람들은 환호했지만,[28] 국왕이 새 수상으로 지명한 루이 마티외 몰레는 보수파였기 때문에 민중은 시위를 계속했다. 결국 24일, 시위는 무장 봉기로 발전했고, 군과의 충돌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28]3. 3. 2월 24일: 루이 필리프 퇴위와 왕정 붕괴

2월 24일, 파리는 바리케이드로 가득 찼고, 루이 필리프 국왕은 정부 구성에 어려움을 겪었다.[13] 국왕은 개혁파 바로에게 정부 구성을 명했지만, 동시에 부제를 파리 주둔군 사령관에 임명하여 강경 진압의 여지를 남겼다.[16][13] 부제는 군대를 투입해 반란군을 진압하려 했으나, 국왕은 유혈 사태를 우려해 협상을 우선시했다.[16]
파리 시내 곳곳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고, 특히 샤토 도 광장에서 큰 전투가 벌어졌다.[13] 샤토 도는 혁명군에게 함락되어 불탔고, 생존 병사들은 항복했다.[16]

반란군이 왕궁에 접근하자, 티에르는 루이 필리프에게 파리를 떠나 외부에서 혁명을 진압할 것을 제안했으나, 이는 거부되었다.[16] 에밀 드 지라르댕은 국왕에게 퇴위를 제안했고, 결국 루이 필리프는 9세 손자 파리 백작 필립에게 양위하고 퇴위했다.[16][13]
루이 필리프와 마리아 아말리아 왕비는 콩코르드 광장에서 마차를 타고 파리를 떠났다.[16] 이후 혁명가들은 튈르리 궁전을 점령했고, 바스티유 광장에서 왕좌를 불태우며 "파리 시민이 온 유럽에 알린다: 자유, 평등, 박애. 1848년 2월 24일"이라고 선언했다.[16] 왕궁과 뇌이 샤토 등 오를레앙 가문의 저택들도 약탈당하고 불탔다.[17][18]
4. 제2공화정의 수립
2월 혁명 직후, 루이 필리프가 퇴위하고 프랑스에는 새로운 정치 체제가 필요하게 되었다. 알퐁스 드 라마르틴을 중심으로 임시 정부가 구성되어 제2공화국이 수립되었다.[34]
혁명 초기에는 사회주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지만, 루이 블랑 등 사회주의자들은 임시 정부 내에서 고립되었다.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후보자들은 농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이듬해 4월 국회의원 선거에서 패배했다. 농민들은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을 거치며 어렵게 얻은 토지를 사회주의자들이 "평등"을 명분으로 빼앗아 갈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새로운 공화국의 국가 이념을 상징하는 깃발을 두고 삼색기와 사회주의를 상징하는 적기를 지지하는 세력 간에 논쟁이 벌어졌다.[36] 알퐁스 드 라마르틴은 자유주의적 입장에서 적기 게양을 반대하며 삼색기를 지지했고, 결국 삼색기가 제2공화국의 상징으로 결정되었다.[38]
임시 정부는 생존권, 노동권, 단결권 등 여러 권리를 보장하고, 언론의 자유와 출판의 자유를 확대했다.[40] 또한 빅토르 슐레르의 노력으로 노예제가 폐지되었다.[40]
라마르틴은 사회 문제 해결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노동자 알베르와 사회주의자 루이 블랑을 임시정부 각료로 임명하고, 국립 작업장을 설치하여 실업자 구제에 힘썼다.[41][42]
루이 블랑은 뤽상부르 궁전에 산업 관련 노동자 위원회(룩셈부르크 위원회)를 설치하여 노동시간 단축, 도급제 폐지 등 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한 활동을 펼쳤다.[51] 그러나 룩셈부르크 위원회는 사회주의에 대한 반대 여론과 권한 부족으로 인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해산되었다.[54]
4. 1. 임시 정부 구성
국왕 루이 필리프 퇴위 후, 혁명은 새로운 체제의 수립을 필요로 했다. 루이 필리프는 손자 파리 백작 필리프에게 왕위를 계승시키고, 섭정으로 어머니 오를레앙 공작 부인이 보좌하기를 기대했다.[30]하지만, 군중의 난입으로 혼란스러워진 의회를 진압하고 정국을 장악한 라마르틴은 왕정을 거부하고 공화정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1] 그는 온건한 공화주의 신봉자였으며, 『지롱드파의 역사』를 저술하여 명성을 얻은 문필가로, 지롱드파의 정치 이념을 계승하여 자유민주주의에 기반한 새로운 국가 건설을 희망했다.[32] 같은 날, 라마르틴의 지휘 아래 오를레앙 좌파, 부르주아 공화파, 자코뱅파 등 좌파가 결집하여 임시 정부를 조직했다.
프랑스 혁명 경험자였던 뒤퐁 드뢰르가 수반이 되었고, 법무장관에는 유대인 변호사 아돌프 크레미외가 취임했으며, 보수파 프랑소와 아라고, 자본가 가르니에 파제스, 자코뱅파 르드뤼 롤랭, 사회주의자 루이 블랑, 기계공 알베르 루브리에, Le National|르 나시오날프랑스어의 편집자 마라스트, La Réforme|라 레폼프랑스어의 편집자 플로콩 등이 잠정 정부의 각료가 되었다.[33] 라마르틴은 외무장관에 취임하여, 과거 프랑스의 우방국이었던 폴란드의 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무시하고, 혁명 전쟁을 거부하며 평화 공조 노선을 채택했다. 이후 라마르틴은 잠정 정부의 정책을 잇달아 발표해 나갔다.
이튿날 25일, 잠정 정부는 라마르틴을 중심으로 파리 시청에서 공화정을 선포했다. “프랑스 국민의 이름으로! 왕정은 어떠한 형태를 띠더라도 프랑스에서는 폐지된다. 공화정을 선포한다.”[34] 이렇게 프랑스는 제2공화국으로 이행했다.
4. 2. 공화정 선포와 국가 이념 논쟁
1848년 2월 25일, 임시 정부는 파리 시청에서 공화정을 선포했다.[35] 그러나 새 공화국의 국가 이념을 상징하는 깃발을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 프랑스 혁명 당시 사용되었던 삼색기와 사회주의를 상징하는 적기를 지지하는 세력 간의 갈등이었다.[36]적기는 원래 정의와 우애를 상징했지만, 계급 투쟁, 프랑스 혁명 전쟁, 자코뱅파의 테러 정치와 같은 부정적인 역사적 사건들을 연상시켰다. 또한, 당시 확산되던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지향하는 노동 계급의 정치적 입장을 대변하는 깃발이기도 했다.[36]
반면, 알퐁스 드 라마르틴은 자유주의적 입장에서 적기 게양을 반대하며 삼색기를 지지했다. 그는 삼색기가 조국의 이름, 영광, 자유를 상징하며 세계를 일주했지만, 적기는 1791년과 1793년에 샹 드 마르스(훈련장)에서 인민의 피로 얼룩졌다고 연설했다.[38] 그의 연설은 군중의 환호를 받았고, 결국 제2공화국의 상징은 삼색기로 결정되었다. 다만, 정부는 깃대에 붉은 리본을 묶는 것을 허용하여 민심을 달래는 조치를 취했다.[39]
4. 3. 임시 정부의 정책
알퐁스 드 라마르틴이 이끈 임시정부는 생존권, 노동권, 단결권 등 여러 권리를 보장하고, 언론의 자유와 출판의 자유를 확대하여 200개가 넘는 신문이 발행되었다.[40] 1848년 4월 27일에는 빅토르 슐레르의 노력으로 이 발표되어, 마르티니크(5월 23일)와 과들루프(5월 27일)에서 노예제가 폐지되었다. 이는 프랑스 제1공화정 시기 자코뱅파에 의해 폐지되었다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부활된 노예제를 다시 없앤 것이다.[40]라마르틴은 노동자들의 지지를 얻고자 사회 문제 해결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노동자 알베르와 사회주의자 루이 블랑을 임시정부 각료로 임명하여 채무탕감령을 시행하는 등 빈민과 실업자 구제책을 폈다.[41] 1848년 2월 26일에는 높은 급여를 약속하며 기동대 신병 모집을 발표했고, 루이 블랑의 제안을 일부 받아들여 8만 명의 실업자를 고용하는 국립 작업장을 설치해 군복 제작과 군수품 조달을 맡겼다.[42] 몽파르나스 역과 주변 노선 개수 공사 등 새로운 공공 사업도 추진하여 실업 문제 해결에 힘썼다.[43]
루이 블랑은 실업의 원인이 시장 경쟁과 자유 교환에 있다고 판단하여, 개인 간 연대와 우애를 바탕으로 한 경제 질서 변혁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44] 그는 정부가 경제에 적극 개입하여 약자를 구제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은행, 보험, 철도 등 국영 기업을 설립하여 민간 기업을 노동자 자주 관리 기업으로 바꾸고, 노동자 처우 개선을 이루고자 했다.[46]
그러나 루이 블랑의 제안은 자유주의를 중시한 라마르틴에 의해 거부되었다. 대신 실업자 고용을 위해 "국립 작업장"이 설치되었지만, 이는 루이 블랑의 구상과는 달랐고, 공공 사업성의 마리가 담당하게 되었다. 이에 루이 블랑은 1848년 2월 28일 사표를 냈으나, 프랑수아 아라고의 중재로 룩셈부르크 궁전에 산업 관련 노동자 위원회(룩셈부르크 위원회)가 설치되어 루이 블랑의 지휘 아래 활동을 시작했다.[49]
4. 4. 룩셈부르크 위원회
루이 블랑은 잠정정부에서 우선 실업 문제 해결에 착수했다. 그는 실업의 원인이 시장 경쟁과 자유 교환에 있다고 보았다.[44] 그는 자신의 인식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시장을 얻기 위한 생산자 상호 간의 투쟁, 고용을 얻기 위한 노동자 상호 간의 투쟁, 임금을 결정하기 위한 제조업자와 노동자 간의 투쟁, 가난한 사람을 대신하여 그를 굶어 죽게 만드는 기계에 대한 가난한 사람의 투쟁, 경쟁이라는 명목 하에 이러한 것들이 산업의 관점에서 관찰되는 상황의 특징적인 사실이다."[45]
루이 블랑은 시장에 방치되는 경제가 아닌, 개인 간의 연대와 사람들의 우애를 기반으로 경제 질서를 변혁함으로써 사회 문제 해결을 도모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경제 위기에 직면한 프랑스에서는 "정부는 생산의 최고 규제자로 여겨지며, 그 일을 수행하기 위해 큰 힘을 부여받는다"고 생각했고, 이러한 입장에서 경제에 대한 정부 간섭을 높여 국가가 약자 구제를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6]
또한, "이 일은 경쟁을 소멸시키기 위해 경쟁의 무기 그 자체를 활용하는 데 있다. 정부는 차관을 빌리지만, 그 결실은 국민 산업 중 가장 중요한 부문에서 '사회 작업장'을 설립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라고 말했다.[47] 이 언급은 은행, 보험, 철도 등의 분야에서 국영 기업을 설립하고, 국영 기업이 민간 기업과 경쟁하는 것을 의미했다.
이를 통해 민간 기업을 자본가에 의한 개인 경영에서 법인 경영으로 이전시키고, 노동자에 의한 자주 관리적인 기업으로의 전환을 촉진하여 노동자의 처우 개선을 추진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또한 민간 기업에 의한 공공성을 무시한 경쟁에 규제를 실시하여 경쟁 자체를 소멸시키고, "노동의 조직" 도입으로 생산성을 조정하거나 향상시키기를 기대했다. 루이 블랑은 경제 구조 개혁 실현으로 노동자의 처우가 향상되고, 생산이 효율화되어 임금이 오르고, 과잉 생산과 상품 부족의 순환에 의한 모순이 해소되어 불황이 극복될 것이라고 생각했다.[48]
그러나 루이 블랑의 제안은 정부에 의해 거절되었다. 라마르틴이 자유주의자로서 경제 활동과 개인 간의 경쟁 자유를 중시했기 때문이지만, 대안으로 실업자를 고용하기 위해 "국립 작업장"이 설치되었다. 이것은 루이 블랑이 제안한 것과는 다른 것이었고, 게다가 관할도 공공 사업성의 마리에게 위탁되었다. 이러한 정부의 방해에 직면하여 2월 28일, 루이 블랑은 정부에 사표를 제출했다. 그러나 정부는 아라고가 중재 역할을 하여 화해안을 제시했다.[49] 잠정 정부는 노동자 대책을 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뤽상부르 궁전에 산업 관련 노동자 위원회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 이렇게 룩셈부르크 위원회가 발족하여 루이 블랑의 관할 하에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50]
동 위원회는 직업별로 노동자와 업자로 구성된 분과위원회를 설치했다. 그리고 생시몽파나 푸리에파 등의 언론인을 고문으로 배치하여, 그들을 각 담당 사안에 배정하고 노동자들의 청원을 들으면서 중요 법안 작성에 착수했다.
그중 위원회는 노동시간 단축(10시간 노동제)과 중간착취의 온상이었던 도급제 폐지를 제안했고, 이 제안을 법제화하는 데 성공했다.[51] 또한, 임금 분쟁이 발생한 경우에는 파업 당사자를 소환하여 노동자와 고용주 양측의 주장을 듣고 임금 개정을 촉구하는 등 중앙평의회와 같은 활동에도 종사했다. 실제로 각지에 노동조합의 중앙 조직을 만들고 자금과 기술 제공, 공제보험 설치를 지원했다. 프랑스 중앙은행을 국유화하여 정부가 금융정책을 장악하고 기업 대출과 노동자 대출을 하는 신용조직으로 할 것을 구상했지만,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52]
룩셈부르크 위원회는 1) 노동부 설치, 2) 철도·광산 국유화, 3) 프랑스 중앙은행 국유화와 보험업 집중, 4) 물자 집적 센터와 중앙 시장 정비, 5) 노동자 협동조합에 대한 융자, 6) 농업 식민지 설립 등의 제안을 포함한 사회 개혁 계획을 정부에 제출했다.[53]
그러나 동 위원회의 활동은 수많은 장애물에 막혔다. 원래 동 위원회는 입법권도 집행권도 없는 조사 연구 기관으로 권한이 부족했고, 헌법 제정 의회 설치 시기에 해산하는 것으로 정해진 기한부 임시 기관이었다. 따라서 위원회의 조사 보고서는 법적 강제력이 없는 참고 자료에 불과했다. 더욱이 사회주의·공산주의에 대한 공포심으로 인해 동 위원회 활동에 대한 반대 여론이 강해졌다. 루이 블랑과 그 일당은 뤽상부르 궁전에서 국고를 지원받아 사치스러운 음식에 빠져 있다거나, 국립 작업장에서 8만 명의 노동자를 국고로 고용하는 것은 루이 블랑의 책임이라거나, 루이 블랑이 권력을 장악하면 농지는 분할되고 처자식을 빼앗긴다는 등의 근거 없는 중상이 지방 도시, 농촌에서 활발하게 유포되었다. 파리에서는 『두 세계 사이』라는 잡지를 중심으로 루이 블랑의 정책론이 사기업과 자유 시장경제를 근절하려고 한다는 논단이 제기되면서 룩셈부르크 위원회는 자유주의적 관점에서 비판받았다.[54]
5. 제2공화정의 위기와 붕괴
1848년 4월 총선거에서 보통선거가 실시되어 많은 남성들이 투표권을 얻었으나, 농민들이 사회주의 정책에 대한 두려움으로 보수파를 지지하면서 온건 공화파와 보수파가 승리하고 사회주의자들은 참패했다.[59][60] 프랑수아 아라고를 중심으로 5인 집행위원회가 구성되었지만, 사회주의 세력은 배제되었다.[61]
5월 15일에는 새 의회 해산을 요구하는 시위대가 의사당을 난입하는 사건(en)이 발생했다.[63] 블랑키는 의회 난입을 지휘하며 연설을 통해 폴란드 지원을 호소하고, 총선 후 루앙에서 발생한 학살 사건을 비난했으나,[63] 블랑키와 루이 블랑을 비롯한 주요 좌익 지도자들이 체포되면서 좌익 세력은 크게 약화되었다.[64]
보수파는 실업자 구제 정책이었던 국립 작업장을 폐쇄하여 노동자들의 불만을 샀다.[66] 이는 결국 6월 봉기로 이어졌다. 6월 23일부터 파리 노동자들은 도시 곳곳에 바리케이드를 설치하고 봉기를 일으켰다.[74]
다음 날 24일, 의회는 카베냐크에게 독재권을 위임하고 계엄령을 선포했다.[75] 알렉시 드 토크빌은 지방 농촌 출신 병사들이 사회주의에 대한 적의만으로 반란을 진압하려 한다고 경고했지만 무시당했다.[77] 카베냐크의 지휘 아래 국민군은 4일간의 유혈 전투 끝에 봉기를 진압했지만,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78]
이 사건으로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관계는 결렬되었다. 부르주아는 사회주의 혁명을 경계하며 보수화되었고, 시민 혁명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
5. 1. 1848년 4월 총선거와 보수파의 승리
1848년 4월 23일에 실시된 제헌 의회 선거에서는 성인 남성 보통 선거가 실시되어, 21세 이상 남성 900만 명이 투표권을 얻게 되었다.[55] 이 선거에서 온건 공화파가 880석 중 600석을 차지했고, 빅토르 위고가 이끄는 보수파 질서당이 200석을 얻었다. 반면, 오귀스트 블랑키를 비롯한 사회주의자들은 80석에 그쳐 참패했다.[60] 농민들이 사회주의 정책에 대한 두려움으로 보수파를 지지했기 때문이다.[59]선거 결과, 프랑수아 아라고를 중심으로 5인 집행위원회가 구성되었으나, 사회주의 세력은 배제되었다.[61] 루이 블랑은 노동부 설치를 제안했지만 의회에서 부결되었고, 정부 내 사회주의의 영향력은 사라졌다.[62]
5. 2. 5월 15일 사건과 좌익 세력 탄압
5월 15일, 내무장관 르쿠르와 파리 시장 마라스트는 새 의회 해산을 요구하는 시위를 촉구했다. 망명 폴란드인 부대를 선두로 국민군 병사들과 "국립 작업장" 노동자들이 바스티유 광장에서 콩코르드 광장으로 행진하여 의사당으로 난입했다. (en)[63] 블랑키는 의회 난입을 지휘하며 연설을 통해 폴란드 지원을 호소하고, 총선 후 루앙에서 발생한 학살 사건을 비난했다. 혼란 속에서 "인민의 이름으로 의회는 해산되었다"라는 플래카드가 들리고, "모두 시청으로 가자"는 외침이 터져 나오며 2월 혁명이 재현될 뻔했다.[63]블랑키는 이 움직임에 의심을 품고 시청으로 가지 않았고, 루이 블랑도 시청행을 거부했다. 군중의 행진은 블랑키파의 en가 이끌었으나, 시청에 도착한 바르베스는 새 임시 정부 구성을 협의하던 중 경찰에 체포되었다. 열흘 후 블랑키도 체포되면서 좌익 지도자들이 일망타진되었다.[64]
새 정부는 좌익 세력을 제거하고 정권 기반을 강화하는 데 성공했다. 5월 21일, 샹 드 마르스(훈련장)에서 "콩코르드 축제"가 열렸고, 라마르틴은 사람들의 환호를 받았다.[65]
5. 3. 6월 봉기
보수파는 루이 블랑의 정책들을 연이어 중단시켰는데, 특히 실업자 고용 계획이었던 국립 작업장이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폐쇄된 것이 큰 충격을 주었다.[66] 보수파는 국립 작업장을 완전히 폐쇄하여 실업자들이 봉기하도록 유도하고 사회주의자들에게 철저히 반격할 기회를 얻고자 했다. 6월 16일 표결에서 폐쇄가 결정되었고, 18세부터 25세까지의 노동자들은 5일 이내에 국립 작업장을 떠나거나 2년간 군 복무를 선택하도록 강요받았다. 여기에 더해 국립 작업장의 모든 노동자들에게 오를레앙 근처 늪지대의 토목 공사에 종사하도록 명령했다. 원래 재단사나 가구 제작자였던 노동자들은 정부의 결정에 반발했다.[69]6월 22일, 1000명이 넘는 노동자들이 팡테옹 광장에 모여 국립 작업장 폐쇄를 철회해 줄 것을 청원했지만 거절당했고,[70] 그날 밤 수천 명의 노동자들이 시위를 벌이며 정부에 항의했다. 정부는 주요 지도자 56명을 체포하려 했으나 실패했다.[71]
정부가 반란을 유도하는 상황에서, 6월 23일부터 노동자들은 파리 북부에서 동부에 걸친 빈민가 60여 곳에 바리케이드를 구축했다.[74] 예상대로 파리 시민들이 대규모 무장 봉기를 일으켰는데, 이것이 6월 봉기이다.
다음 날 24일, 의회는 카베냐크를 행정 장관으로 임명하여 독재권을 위임했다. 카베냐크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노동자들의 봉기에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을 공약하고, 그날 밤 바리케이드 공격 명령을 내렸다. 프랑수아 아라고는 마지막 시도로 바리케이드로 향해 노동자들에게 항복을 호소했지만 거절당했다. 결국 전투가 시작되었다.[75]
알렉시 드 토크빌은 병사 대부분이 파리 노동자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지방 농촌 출신자들이며, 사회주의에 대한 적의만으로 반란을 무력으로 진압하려 하고 있다는 점에 경종을 울렸지만, 그의 목소리는 무시당했다.[77]
바리케이드에 틀어박힌 민중에게 카베냐크의 지휘 아래 국민군은 4일간의 유혈 전투를 벌였다. 그러나 금속공 등 일반 노동자들이 집결하여 봉기했기 때문에, 민중 측에는 지도자가 없었고, 개별적으로 판단을 내려 진압군에 저항하고 있었다. 통일적인 지도부가 부족하고 전략성이 없는 봉기가 오래 지속될 수는 없었다.[78]
6월 26일, en의 바리케이드를 마지막 거점으로 노동자들은 강력한 저항을 계속했다. 그러나 대포의 포격으로 건물 외벽에 구멍을 뚫고 병사들이 침입하여 바리케이드는 결국 무너졌다.
4일간의 유혈 전투를 거쳐 봉기는 진압되었고, 방어에 나섰던 노동자들은 무자비하게 살해되었다. 10만 정의 소총이 압수되었고 2만 5천 명이 체포되어 반란은 종식되었다. 최종적으로 사망자는 정부 측 703명, 노동자 측 3035명에 달했다.[80] 용의자 사냥이 집요하게 행해졌고, 의심스럽다고 여겨진 노동자들은 체포되어 제대로 된 재판도 받지 못하고 알제리로 추방되었다.[81]
이 사건으로 그때까지 공동 투쟁해 온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관계가 결렬되었다. 정부 측을 지지하는 부르주아는 반정부적인 노동자에 의한 사회주의 혁명을 경계하게 되었고, 이전처럼 혁명의 주역이 되지 않았다. 오히려 사회의 안정을 추구하며 보수화된 정부를 지지하게 되었다. 이렇게 시민 혁명의 시대는 종말을 맞이했다.
6. 2월 혁명의 영향
2월 혁명은 7월 혁명보다 유럽 사회의 묵은 풍속, 관습, 조직, 방법을 완벽히 바꾸어 새롭게 하는 변화를 몰고 왔다. 오스트리아와 독일에서는 3월 혁명이 일어나 메테르니히가 쫓겨나고[85] 빈 체제가 무너졌다. 이탈리아와 독일에서는 통일 운동이 일어나 독일 연방이 만들어졌고 독일 자유주의자들은 프랑크푸르트에 모여 통일을 논의하였다. 이탈리아에서는 마치니의 청년 이탈리아당이 등장하였다.
1845년부터 1848년까지 유럽에서는 빈농들의 주식이었던 감자를 괴롭히는 역병인 풋마름병이 만연하여 유럽 전역에 대기근이 발생했다. 민중의 기근 폭동이 빈발했고, 유럽 각국에서는 산업혁명으로 인한 빈곤의 확대와 기아 발생, 식량 가격 급등으로 심각한 사회 불안이 확산되었다. 1846년 이후 아일랜드에서는 엄청난 감자 기근으로 발전하여 정부의 충분한 대책 없이 100만 명에 달하는 희생자를 냈다. 비슷한 현상이 각지에서 발생하여 프랑스에서는 감자 가격이 4배, 밀 가격이 2배가 되었고, 1847년 빵 가격은 폭등하여 시민 생활을 압박했다. 남독일 바덴 지방에서도 밀 가격은 4배, 검은빵 가격은 2배가 되었다. 또한 벨기에에서는 기근에 더해 티푸스 등의 전염병이 만연했고, 이 전염병은 독일로도 확대되어 1만 명이 넘는 노동자와 농민이 목숨을 잃었다.[24]
1848년 1월, 시칠리아의 팔레르모에서 폭동이 일어나 두 시칠리아 왕국으로부터의 분리 독립과 헌법 제정이 요구되었고, 이를 제1파로 하여 혁명이 이탈리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이 소란은 시칠리아 부르봉 가문의 국왕 페르디난도 2세에게 시칠리아의 자치와 헌법 제정을 받아들이게 하여 혁명이 성공했다. 이탈리아 발 혁명의 여파는 프랑스에까지 미쳤다. 남이탈리아의 지역적 소란은 도미노처럼 연쇄적으로 일어나 "갈리아의 수탉의 울음소리"와 함께 1848년 혁명이라 불리는 유럽 동란으로 발전했다.[25]
7. 역사적 평가
2월 혁명 이후, 프랑스 사회는 혼란에 빠졌고, 사람들은 강력한 힘으로 프랑스를 이끌던 나폴레옹에 대한 향수를 느꼈다.[84] 그 결과, 모든 남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하여 농민들이 선거권을 가지게 된 대통령 선거에서 나폴레옹 1세의 조카인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승리하였고 제2공화정이 성립되었다.[84] 농민들은 나폴레옹 1세의 영광을 조카인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다시 재현해 줄 것이라 생각했던 것이다.[84] 그러나 그는 재임 중에 친위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고 제2제정 시대를 열었으며 나폴레옹 3세로 즉위했다.[84]
참조
[1]
서적
France: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59
[2]
서적
King of the French; a portrait of Louis Philippe, 1773-1850
https://archive.org/[...]
Putnam
1958
[3]
서적
France: A Modern History
1959
[4]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https://www.hekmatis[...]
Lawrence & Wishart
[5]
서적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https://www.koorosh-[...]
Lawrence & Wishart
[6]
서적
[7]
서적
Collected Works Volume 10
[8]
서적
Tocqueville et la constitution démocratique: souveraineté du peuple et libertés essai
Mare & Martin
2008
[9]
서적
Economic Sophisms
https://books.google[...]
Jazzybee Verlag
1909
[10]
서적
Frederic Bastiat; a man alone
https://archive.org/[...]
Arlington House Publishers
1971
[11]
서적
Friedrich Engels: A Biography
https://archive.org/[...]
Verlag Zeit im Bild
[12]
서적
Collected Works Volume 6
[13]
서적
[14]
서적
Controlling Paris: armed forces and counter-revolution, 1789-1848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15]
서적
Collected Works Volume 6
[16]
서적
1848: Year Of Revolution
https://books.google[...]
Hachette UK
[17]
웹사이트
Château de Neuilly (couvent des Soeurs de St-Thomas de Villeneuve)
https://www.neuillys[...]
Neuilly-sur-Seine
2023-02-07
[18]
서적
Le Roi Louis-Philippe, vie anecdotique 1773-1850
https://archive.org/[...]
Dentu
[19]
웹사이트
22 février 1848 - Insurrection républicaine à Paris
https://www.herodote[...]
2022-03-13
[20]
서적
Recollections: the French Revolution of 1848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1]
기타
스프로바리케이드의 전투
1848-06-24
[22]
서적
1848: Year of Revolution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9
[23]
그림
[24]
서적
河野(1982)
[25]
서적
ハント(2016)
[26]
서적
河野(1982)
[27]
서적
河野(1982)
[28]
서적
河野(1982)
[29]
서적
河野(1982)
[30]
서적
河野(1982)
[31]
서적
河野(1982)
[32]
서적
河野(1982)
[33]
서적
河野(1982)
[34]
서적
河野(1982)
[35]
서적
河野(1982)
[36]
서적
河野(1982)
[37]
서적
河野(1982)
[38]
서적
河野(1982)
[39]
서적
河野(1982)
[40]
서적
河野(1982)
[41]
서적
河野(1982)
[42]
서적
河野(1982)
[43]
서적
河野(1982)
[44]
서적
河野(1982)
[45]
서적
河野(1982)
[46]
서적
河野(1982)
[47]
서적
河野(1982)
[48]
서적
河野(1982)
[49]
서적
河野(1982)
[50]
서적
河野(1982)
[51]
서적
河野(1982)
[52]
서적
河野(1982)
[53]
서적
河野(1982)
[54]
서적
河野(1982)
[55]
서적
河野(1982)
[56]
서적
河野(1982)
[57]
서적
河野(1982)
[58]
서적
河野(1982)
[59]
서적
河野(1982)
[60]
서적
河野(1982)
[61]
서적
河野(1982)
[62]
서적
河野(1982)
[63]
서적
河野(1982)
[64]
서적
河野(1982)
[65]
서적
河野(1982)
[66]
서적
河野(1982)
[67]
서적
河野(1982)
[68]
서적
河野(1982)
[69]
서적
河野(1982)
[70]
서적
河野(1982)
[71]
서적
河野(1982)
[72]
서적
河野(1982)
[73]
서적
河野(1982)
[74]
서적
河野(1982)
[75]
서적
河野(1982)
[76]
서적
河野(1982)
[77]
서적
河野(1982)
[78]
서적
河野(1982)
[79]
서적
河野(1982)
[80]
서적
河野(1982)
[81]
서적
河野(1982)
[82]
백과사전
2월혁명
pmg 지식엔진연구소
[83]
서적
내 머리로 생각하는 역사이야기
푸른나무
2009
[84]
서적
저널리즘에서 사실성
https://books.google[...]
CommunicationBooks
2013-09-30
[85]
서적
내 머리로 생각하는 역사이야기
푸른나무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