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령 모로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령 모로코는 1912년 페스 조약 체결로 시작되어 1956년 독립할 때까지 프랑스의 보호령으로 존재했던 시기를 의미한다. 19세기 후반 모로코의 약화와 유럽 열강의 개입으로 인해 프랑스는 1904년 영국 및 스페인과의 비밀 협정을 통해 모로코에 대한 보호령 수립을 추진했다. 제1차 모로코 위기, 프랑스의 군사적 침공과 점령, 그리고 하피디야 정권을 거치면서 프랑스의 영향력은 확대되었다. 1912년 페스 조약으로 보호령이 공식화되었고, 위베르 리오테 총독의 지도 아래 경제 개발과 프랑스 문화의 영향이 모로코 사회에 스며들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리프 전쟁, 민족주의 운동의 성장,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독립에 대한 열망이 커졌고, 1956년 프랑스와의 협정을 통해 모로코는 독립을 쟁취했다. 프랑스령 모로코는 통화, 우편, 철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프랑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까지도 모로코의 사회, 문화, 경제에 지속적인 유산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로코의 역사 - 유수프 이븐 타슈핀
유수프 이븐 타슈핀은 11세기 알모라비드 왕조의 창시자이자 베르베르족 군주로서, 마그레브와 알-안달루스를 정복하고 이베리아 반도의 무슬림 왕국들을 통합하여 서구 이슬람 세계의 지배자가 되었다. - 모로코의 역사 - 스페인령 모로코
스페인령 모로코는 20세기 초 스페인이 모로코 북부에 확보한 영향권 지역으로, 1912년 보호령 체제 수립 후 스페인의 보호령으로 관리되다가 1956년 모로코 독립과 함께 스페인이 해당 영토를 반환했으나 일부 지역은 스페인 영토로 남아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다.
프랑스령 모로코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프랑스 보호령 모로코 |
존속 기간 | 1912년 – 1956년 |
국가 | 프랑스 |
수도 | 라바트 |
공용어 | 프랑스어 |
통용 언어 | 모로코 아랍어 하사니야 아랍어 베르베르어 |
종교 | 수니 이슬람 유대교 로마 가톨릭교 |
정치 | |
정치 체제 | 전제군주제 (보호령 하의 식민 통치) |
술탄 | 유세프 (1912년–1927년) 무함마드 5세 (1927년–1953년) 무함마드 5세 (1955년–1956년) |
통감 | 위베르 리오테 (1912년–1925년) 앙드레 루이 뒤부아 (1955년–1956년) |
역사 | |
성립 | 페스 조약 (1912년 3월 30일) |
해체 | 독립 (1956년 4월 7일) |
통화 | |
통화 | 모로코 리알 (1912년–1921년) 모로코 프랑 (1921년–1956년) 프랑스 프랑 (사실상 공식 통화) |
상징 | |
![]() | |
국장 설명 | 모로코의 국장 |
![]() | |
국가 | 라 마르세예즈 (사실상) [[File:La Marseillaise.ogg]] 셰리프 찬가 [[File:National Anthem of Morocco.ogg]] (전통, 기악곡) |
기타 | |
관련 정보 | 모로코 국가 운동 |
2. 역사적 배경 (Prelude)
알라위 왕조는 18세기와 19세기에 프랑스나 영국의 지배를 받는 다른 지역 국가들과 달리 모로코의 독립을 유지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모로코의 약화와 불안정은 유럽의 개입을 초래했다. 1859년부터 1860년까지 스페인-모로코 전쟁에서 승리한 스페인은 세우타, 멜리야, 차파리나스 제도뿐만 아니라 이프니 지역에 대한 영구적인 주권을 모로코로부터 인정받았다. 20세기 초, 북아프리카에서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열강들의 외교적 술수가 난무했다.[13]
19세기 말, 프랑스는 모로코에 보호령을 설립하고자 영국(앙탕트 코르디알 참조) 및 스페인과 비밀 협정을 체결했다. 1904년 프랑스는 탕헤르에 모로코 채무 관리국 설립을 후원했고, 프랑스와 스페인은 모로코를 비밀리에 분할하여 스페인이 북부와 남부 지역을 차지했다.[14]
2. 1. 알라위 왕조와 유럽의 개입
알라위 왕조는 권력이 약했음에도 불구하고, 18세기와 19세기에 모로코의 독립을 유지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모로코의 약화와 불안정은 유럽의 개입을 초래했다. 특히 프랑스와 스페인이 모로코에 관심을 가졌다.[13]19세기 말, 프랑스는 모로코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1904년 프랑스 정부는 모로코에 보호령을 설립하고자 영국(영불협상 참조) 및 스페인과 비밀 협정을 체결했다.[14] 같은 해, 프랑스는 탕헤르에 모로코 채무 관리국 설립을 후원했고, 프랑스와 스페인은 모로코를 분할하여 스페인은 북부와 남부 지역을 차지했다.[14]
2. 2. 프랑스의 모로코 진출
19세기 말, 알라위 왕조가 모로코의 독립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유럽 열강은 모로코의 취약성과 불안정성을 이용하여 투자를 보호하고 경제적 양보를 요구하며 개입하기 시작했다. 이는 1880년 마드리드 조약 체결로 이어졌다.[90]프랑스의 모로코 진출은 19세기 말부터 시작되었다. 1904년 프랑스 정부는 모로코에 보호령을 설립하고자 영불협상을 통해 영국(1904년 4월 8일)과 스페인(1904년 10월 7일)의 지지를 확보하는 비밀 협정을 체결했다. 같은 해, 프랑스는 탕헤르에 Moroccan Debt Administration|모로코 채무 관리국영어 설립을 후원했다. 프랑스와 스페인은 모로코를 분할하여 스페인이 북쪽과 남쪽 지역을 차지하기로 비밀리에 합의했다.[91]
이러한 움직임은 제1차 모로코 사건을 야기했는데, 이는 독일과 프랑스 간의 제국주의적 경쟁에서 비롯되었다. 독일은 1905년 3월 31일 빌헬름 2세가 탕헤르를 방문하여 모로코의 독립을 지지하는 연설을 하는 등 프랑스를 견제했다.[15]
1906년 알헤시라스 회의가 개최되어 분쟁 해결을 시도했다. 독일은 프랑스가 모로코 경찰 통제권을 일부 양보하는 협정을 수락했지만, 프랑스는 모로코의 정치와 재정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권을 유지했다. 이 회의는 일시적으로 사건을 해결했지만, 삼국 동맹과 삼국 협상 간의 국제적 긴장을 악화시켰다.[16]
3. 제1차 모로코 위기 (1905년 3월 - 1906년 5월)
제1차 모로코 위기는 제국주의 열강 간의 대립에서 비롯되었다. 이 사건은 독일과 영국의 지원을 받은 프랑스 간의 대립이었다. 독일은 새로운 협정 발효를 저지하기 위해 즉각적인 외교 조치를 취했다. 1905년 3월 31일, 빌헬름 2세가 직접 탕헤르를 방문했다. 빌헬름 2세는 프랑스와 영국과 전쟁할 경우 모로코의 지지를 얻으려 시도하며 모로코 독립을 지지하는 연설을 했다. 이는 모로코에서 프랑스의 지배에 대한 도발적인 도전이 되었다.[15][92]
1906년, 분쟁 해결을 위해 알헤시라스 회의가 열렸고, 독일은 프랑스가 모로코 경찰 지배권을 독일에 양보하는 대신, Politics of Morocco|모로코 정치영어와 Finance in Morocco|모로코 재정영어에 대한 지배권은 프랑스가 유지하는 데 동의했다. 이 회의를 통해 제1차 모로코 위기는 일시적으로 해결되었지만, 삼국동맹과 삼국협상 간의 국제적 긴장은 악화될 뿐이었다.[16][93]
4. 프랑스의 모로코 침공과 점령
프랑스의 모로코 군사 정복은 1907년 3월 19일 마라케시에서 에밀 모샹이 암살된 직후 시작되었다.[17] 프랑스 언론은 그의 죽음을 "모로코의 야만적인 원주민들로부터의 도발적이고 변명의 여지가 없는 공격"으로 묘사했고,[18] 위베르 리오테는 이 사건을 우이다 침공의 구실로 삼았다.[18]
1907년 여름, 샤우이아 부족은 1906년 알헤시라스 조약 적용에 반발하여 카사블랑카 항구와 로슈 누아르 채석장 사이 철로에서 일하던 유럽 노동자 9명을 살해했다.[19] 이에 프랑스는 8월 5일부터 7일까지 카사블랑카 포격으로 응수했고, 카사블랑카와 샤우이아 평원을 점령하고 "평정"하며 서쪽으로부터 프랑스 침공을 시작했다.[20][21]
4. 1. 프랑스의 침공 (1907년)
프랑스의 모로코 군사 정복은 1907년 3월 19일 마라케시에서 에밀 모샹이 암살된 직후 시작되었다.[17] 프랑스 언론에서는 그의 죽음을 "모로코의 야만적인 원주민들로부터의 도발적이고 변명의 여지가 없는 공격"으로 묘사했다.[18] 위베르 리오테는 그의 죽음을 동쪽의 우이다 침공의 구실로 삼았다.[18]
1907년 여름, 샤우이아 부족은 1906년 알헤시라스 조약의 조항 적용에 반발하여 카사블랑카 항구와 로슈 누아르의 채석장 사이 철로에서 일하던 유럽 노동자 9명을 살해했다.[19] 프랑스는 8월 5일부터 7일까지 해군 카사블랑카 포격으로 응수했고, 카사블랑카와 샤우이아 평원을 점령하고 "평정"하여 서쪽으로부터의 프랑스 침공의 시작을 알렸다.[20][21]
4. 2. 하피디야 (Hafidiya) (1908-1909)
술탄 압델아지즈는 프랑스의 침략과 우지다 및 샤우이아 점령에 대해 사실상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그 결과, 특히 무함마드 알-캇타니와 페스 주민들 사이에서 모로코 방어를 위한 지하드에 대한 압력이 증가했다. 남부 귀족들이 술탄의 형제인 압드 알-하피드를 지지하자 페스 주민들도 전례 없는 조건부 바야를 통해 지지를 약속했다.[22] 프랑스는 압델아지즈를 지지하고 그들의 선전 신문 ''Es-Saada'' (السعادة|에스-사아다ar)에서 그를 홍보했다.[23] 1908년 전투에서 압델아지즈를 물리친 후, 압드 알-하피드는 1909년 모로코의 인정받는 지도자가 되었다.5. 제2차 모로코 위기 (1911년)
1911년, 압드 알-하피드에 대한 반란이 일어났다. 4월 초, 술탄은 페즈 궁전에 포위되었고, 프랑스는 유럽인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한다는 구실로 반란 진압을 돕기 위해 군대를 파병할 준비를 했다. 프랑스는 4월 말에 기동부대를 파견했고, 독일은 도시 점령을 승인했다. 모로코군은 프랑스가 점령한 도시를 포위했다. 약 한 달 후, 프랑스군은 포위를 해제했다. 6월 5일, 스페인은 라라슈와 크사르엘케비르(알카자키비르)를 점령했다. 7월 1일, 독일 군함 판터호가 아가디르 항구에 도착했다. 영국이 지원한 프랑스는 즉각적인 반응을 보였다.[24]
6. 프랑스 보호령 시대 (1912년 - 1956년)
위베르 리오테는 프랑스령 모로코의 초대 총독으로, 왕당파 성향을 가진 인물이었다.[33] 그는 프랑스령 알제리처럼 모로코를 직접 합병하는 대신, 모로코 사회를 개조하고 서구화된 군주제를 통해 프랑스와 협력하도록 하는 비전을 가지고 있었다. 리오테는 모로코 귀족들과 협력하여 지원을 제공하고, 그들의 자녀를 위한 엘리트 사립학교를 설립했으며, 술탄이 명목상, 실질적인 권력을 모두 유지하도록 했다.[33] 그는 리프 공화국의 반란이 한창이던 1925년까지 총독직을 수행했다.
프랑스 정부는 보호령 하에서 경제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특히 모로코의 풍부한 광물 자원 개발, 현대적인 교통 시스템 구축, 그리고 프랑스 시장을 겨냥한 현대 농업 부문 개발에 힘썼다.[104] 수만 명의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이 모로코로 이주하여 비옥한 농지를 대량으로 매입했고,[104] 이들은 프랑스에 모로코에 대한 통제 강화를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주요 이익 집단으로 부상했다. 1920년에는 OCP 그룹(Office Chérifien des Phosphates)이 설립되어 카사블랑카 항구와 철도로 연결된 쿠리브가(Khouribga)에서 인산염 채굴을 시작했으나, 모로코 노동자들은 사회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단결권도 금지되었으며, 소득은 유럽인 노동자 소득의 극히 일부에 불과했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37,300명에서 45,000명에 달하는 모로코인들이 프랑스를 위해 싸웠으며, 모로코 여단을 구성했다.[32][30] 이들은 마른 전투 제1차 전투, 아르투아, 샹파뉴, 베르됭 전투를 포함한 전쟁의 모든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나,[31][32] 역사가들은 이들을 전쟁에서 보여준 용기와 희생에 상응하는 대우를 받지 못한 "영광 없는 영웅"이라고 불렀다.[32]
자이안 연합은 1914년부터 1921년까지 프랑스에 맞서 자이안 전쟁을 벌였다. 프랑스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병력이 부족해졌고, 엘 헤리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독일과의 휴전 이후에도 상당수의 부족민들이 프랑스 지배에 반대하여, 1920년 프랑스는 공세를 재개하고 블록하우스를 구축했다. 모하 우 사이드가 이끄는 일부 부족민들은 높은 아틀라스 산맥으로 도망쳐 1930년대까지 게릴라전을 계속했다.
압드 엘 크림이 이끈 리프 전쟁(1921-1926)은 리프 공화국이 프랑스와 스페인에 맞서 싸운 전쟁으로, 북부 스페인 통제 지역에서 시작되었지만 프랑스 통제 지역까지 확대되었다. 1925년 프랑스와 스페인의 연합군이 반군을 진압했다.
6. 1. 페스 조약과 보호령 수립 (1912년)
프랑스는 페스 조약으로 모로코에 대한 보호령을 공식적으로 수립하여[25] 사실상 독립 상태였던 모로코의 독립을 종식시켰다. 법적 관점에서 이 조약은 프랑스에 군사 방위, 외교 정책 및 사법권 통제와 입법권을 부여했지만, 모로코 정부는 모로코 또는 이슬람 문제에만 권한을 행사했다.[26] 술탄 압델하피드는 조약 체결 후 그의 형제 유세프에게 퇴위했다. 1912년 4월 17일, 모로코 보병들은 1912년 페스 폭동에서 페스에 있는 프랑스 주둔군에 반란을 일으켰으나,[27] 모로코군은 도시를 장악하지 못하고 프랑스 구원군에 패배했다. 1912년 5월 말, 모로코군은 다시 페스에 있는 강화된 프랑스 주둔지를 공격했지만 실패했다.
프랑스는 모로코 대부분 지역에 보호령을 수립하면서 알제리 정복과 튀니지 보호령 경험을 바탕으로 후자를 모로코 정책의 모델로 삼았다. 그러나 중요한 차이점도 있었다. 첫째, 보호령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2년 전에 수립되어 식민 통치에 대한 새로운 태도를 가져왔다. 모로코의 보수적인 프랑스 통치자들은 자유주의적 공상으로 여겨진 전형적인 프랑스 동화주의적 문화 및 교육 접근 방식을 거부하고, 도시 계획과 식민 교육을 통해 문화적 혼합을 방지하고 프랑스가 협력에 의존하는 전통 사회를 유지하고자 했다.[28] 둘째, 모로코는 1000년의 전통을 가진 독립국이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없었지만 무슬림 이베리아 문명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모로코는 대서양 연안을 가지고 있다는 점, 알헤시라스 회의에서 여러 국가가 얻은 권리, 그리고 탕헤르(프랑스 공사관 포함) 외교 사절단의 특권 등에서 북아프리카 국가들 중 독특했다. 따라서 대서양과 지중해 연안을 모두 가진 북부 10분의 1은 프랑스 통제 지역에서 제외되고 스페인 보호령으로 간주되었다.
보호령 하에서도 국제사법재판소 성명에 따르면 모로코는 국제법상 국가로서의 자격을 법적으로 유지하여 식민지 이전과 현대 실체 사이에 단절 없이 주권 국가로 남았다.[29] 그러나 사실상 프랑스는 훨씬 더 큰 권력을 누렸다.
보호령 하에서 프랑스 공무원들은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와 프랑스 내 지지자들과 연합하여 모로코 자치 방향으로의 어떠한 움직임도 막았다. 평정이 진행됨에 따라 프랑스 정부는 모로코 광물 자원 개발, 현대 교통 시스템 구축, 프랑스 시장을 겨냥한 현대 농업 부문 개발을 통해 경제 개발을 촉진했다. 수만 명의 식민지 개척자들이 모로코로 들어와 많은 양의 비옥한 농지를 사들였다. 이러한 요소들 사이에서 형성된 이익 집단들은 프랑스에 모로코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도록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했다.
6. 2. 리오테와 보호령 (1912년 - 1925년)

위베르 리오테는 프랑스령 모로코의 초대 총독으로, 왕당파 성향을 가진 이상주의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지도자였다. 그는 프랑스의 영향 아래 모로코를 발전시키는 것을 자신의 임무로 여겼다. 리오테는 프랑스령 알제리처럼 모로코를 직접 합병하는 대신, 모로코 사회를 개조하고 재교육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약속했다.
리오테의 비전은 프랑스를 지지하는 강력하고 서구화된 군주제를 통해 모로코가 프랑스와 협력하고 문화와 지원을 프랑스에 의존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알제리에서 귀족과 정부 전체가 사라진 것과 달리, 모로코 귀족은 리오테의 계획에 포함되었다. 그는 귀족들과 협력하여 지원을 제공하고, 그들의 자녀를 위한 엘리트 사립학교를 설립했다.
리오테는 술탄이 명목상, 실질적인 권력을 모두 유지하도록 했다. 술탄은 자신의 이름과 인장으로 칙령을 발표하고 모로코의 종교 지도자로 남았으며, 아랍인으로만 구성된 궁정을 유지할 수 있었다. 리오테는 "모로코에는 프랑스의 보호를 받는 정부라는 하나의 정부만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모로코에 대해 광범위하게 저술한 영국 언론인 월터 버튼 해리스는 프랑스가 전통적인 모로코 사회를 보존하는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33]
리오테는 리프 공화국의 반란이 한창이던 1925년까지 총독직을 수행했다.
6. 3. 경제적 개발과 착취
프랑스 정부는 보호령 하에서 경제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특히 모로코의 풍부한 광물 자원 개발, 현대적인 교통 시스템 구축, 그리고 프랑스 시장을 겨냥한 현대 농업 부문 개발에 힘썼다.[104]수만 명의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이 모로코로 이주하여 비옥한 농지를 대량으로 매입했다.[104] 이들은 프랑스에 모로코에 대한 통제 강화를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주요 이익 집단으로 부상했다.
1920년에는 OCP 그룹(Office Chérifien des Phosphates)이 설립되어 카사블랑카 항구와 철도로 연결된 쿠리브가(Khouribga)에서 인산염 채굴을 시작했다. 인산염 채굴량은 1921년 3만 9천 톤에서 1930년에는 200만 톤에 육박할 정도로 급증했다. 그러나 광산에서 일하는 모로코 노동자들은 사회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단결권도 금지되었으며, 소득은 유럽인 노동자 소득의 극히 일부에 불과했다.
6. 4.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프랑스는 다른 아프리카 식민지와 전 세계의 식민지에서처럼 모로코에서도 보병을 모집하여 자국의 ''식민군''에 편입했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총 37,300명에서 45,000명에 달하는 모로코인들이 프랑스를 위해 싸웠으며, 모로코 여단을 구성했다.[32][30] 모로코 식민군은 1914년 9월 마른 전투 제1차 전투에서 처음으로 프랑스를 위해 복무했으며,[30] 아르투아, 샹파뉴, 베르됭 전투를 포함한 전쟁의 모든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31][32] 역사가들은 이 모로코 병사들을 "영광 없는 영웅"이라고 불렀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전쟁에서 보여준 용기와 희생에 상응하는 대우를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32] 브라힘 엘 카디리 부치치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프랑스를 위해 복무한 모로코 병사들의 참여를 "모로코와 프랑스의 공유된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 중 하나"라고 밝혔다.[32]
6. 5. 프랑스 지배에 대한 저항
자이안 연합은 1914년부터 1921년까지 프랑스에 맞서 자이안 전쟁을 벌였다. 뤼오테이 주재 총독은 중부 아틀라스 산맥을 지나 프랑스령 알제리 방향으로 프랑스의 영향력을 동쪽으로 확장하려 했다. 이는 무하 우 함무 자이아니가 이끄는 자이안 부족의 반대에 부딪혔다. 전쟁 초반 프랑스는 타자와 케니프라를 점령하며 우세를 점했지만, 자이안 부족은 프랑스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프랑스는 유럽 전선에 병력을 투입하면서 병력이 부족해졌고, 엘 헤리 전투에서 6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다. 이후 4년 동안 프랑스는 중앙 연합국의 지원과 지속적인 습격에도 불구하고 점령지 대부분을 유지했다.
1918년 11월 독일과의 휴전 이후에도 상당수의 부족민들이 프랑스 지배에 반대했다. 프랑스는 1920년 케니프라 지역에서 공세를 재개하여 자이안 부족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블록하우스를 구축했다. 프랑스는 함무의 아들들과 협상하여 세 명과 그들의 추종자들을 프랑스 지배에 복종시켰다. 자이안 연합 내 분열로 1921년 봄 함무가 사망했다. 프랑스는 중부 아틀라스 산맥으로 강력한 공격을 감행하여 해당 지역을 평정했다. 모하 우 사이드가 이끄는 일부 부족민들은 높은 아틀라스 산맥으로 도망쳐 1930년대까지 게릴라전을 계속했다.
압드 엘 크림이 이끈 리프 전쟁(1921-1926)은 리프 공화국이 프랑스와 스페인에 맞서 싸운 전쟁이다. 이 반란은 북부 스페인 통제 지역에서 시작되었지만 프랑스 통제 지역까지 확대되었다. 1925년 프랑스와 스페인의 연합군이 반군을 진압했다. 프랑스는 안전을 위해 수도를 페스에서 라바트로 옮겼다.[42]
6. 6. 민족주의 운동의 성장
1930년 5월 16일 베르베르 법령에 대한 반발로 시위대가 모였고, 이 법령에 저항하기 위한 전국적인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수전 길슨 밀러 박사는 이를 "태동기 민족주의 운동이 출현한 온상"으로 언급한다.[43] 1934년 12월, 소수의 민족주의자들로 구성된 신생 모로코 행동위원회(CAM)는 페스 조약에서 구상한 간접 통치로의 복귀, 모로코인의 정부 직책 진출, 대표 평의회 설립 등을 포함하는 개혁 계획을 제안했다. CAM은 청원, 신문 사설, 프랑스에 대한 개인적인 호소 등 온건한 전술을 사용했다.[110]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분열되었던 민족주의 운동은 더욱 결속되었고, 모로코인들은 전후 정치적 변화의 가능성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모로코 민족주의 운동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3년 안파 회담에서 루즈벨트와 미국이 전후 모로코 독립을 지지한다는 제안에 고무되었다. 민족주의 정당들은 대서양 헌장과 같은 제2차 세계 대전 선언을 근거로 모로코 독립을 주장했다.[44]
그러나 민족주의자들은 모로코에서 연합국의 승리가 독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믿음에 실망했다. 1944년 1월, 이후 민족주의 운동의 지도부 대부분을 제공한 이스티클랄당은 완전한 독립, 국가 통일, 민주 헌법을 요구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45] 술탄 모하메드 5세는 이 선언문을 프랑스 레지던트 제너럴 가브리엘 푸오에게 제출하기 전에 승인했고, 푸오는 보호령 지위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46]
6. 7. 독립 투쟁 (1947-1956)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 정치적이고 비폭력적인 노력이 무산되면서 모로코의 독립 투쟁은 점점 더 폭력적으로 변했다. 특히 카사블랑카와 같은 도시 및 산업 중심지에서 대량 학살, 폭탄 테러, 폭동 등이 발생했다.[47]1947년, 무함마드 5세는 당시 탕헤르 국제지대에서 식민지배로부터의 독립과 영토 통일을 호소하는 탕헤르 연설을 할 계획이었다.[49] 연설에 앞서 며칠 동안, 카사블랑카에서 프랑스 식민 제국에 복무하던 세네갈 티라유르가 모로코인 노동자 계층을 학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1947년 4월 7일부터 8일까지 약 24시간 동안 지속된 이 학살에서, 티라유르들은 노동자 계층 지역의 주택가에 무차별적으로 발포하여 180명의 모로코 민간인을 살해했다.[50][51] 술탄은 희생자들의 가족들을 위로하기 위해 카사블랑카로 돌아온 후, 4월 9일 멘두비아 궁전 정원에서 역사적인 연설을 하기 위해 탕헤르로 갔다.

프랑스 정보부의 비밀 무장 조직인 라 메인 루주에 의한 튀니지 노동조합 지도자 파르하트 하셰드 암살은 전 세계 도시에서 항의 시위를 촉발시켰고, 1952년 12월 7일부터 8일까지 카사블랑카에서는 폭동을 일으켰다.[52] 약 100명이 사망했다.[53] 폭동 이후 프랑스 당국은 압바스 메사디를 체포했는데, 그는 결국 탈출하여 모로코 해방군을 찾아 리프 산맥에서 무장 저항에 합류했다.[54]
1953년, 타미 엘 글라우이는 프랑스 보호령의 지원을 받아 무함마드 5세에 대한 쿠데타를 기도했다.[55]
무함마드 5세와 그의 가족은 1954년 1월 마다가스카르로 추방되었다. 그의 자리를 대신한 무함마드 벤 아라파는 인기가 없었으며, 그의 통치는 불법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이는 민족주의자들과 술탄을 종교 지도자로 보는 사람들 모두에게 프랑스 보호령에 대한 적극적인 반대를 불러일으켰다.[57] 1955년까지 벤 아라파는 퇴위하라는 압력을 받았다. 결국 그는 탕헤르로 도망쳐 공식적으로 퇴위했다.[58]
1955년 1월 4일, 프랑스는 카사블랑카에서 모로코 민족주의자 6명을 처형했다.[59] 1955년 8월 19일부터 11월 5일까지 식민 주민과 민족주의자들 사이의 공격이 증가하여 약 1,000명이 사망했다.[59]
통합된 모로코의 술탄 귀환 요구, 모로코의 증가하는 폭력, 그리고 알제리의 악화되는 상황에 직면하여, 무함마드 5세는 1955년 11월 16일 망명에서 돌아와 1955년 11월 18일 독립을 선포했다. 1956년 2월 그는 프랑스와 성공적으로 협상하여 모로코의 독립을 확보했고, 1957년에는 국왕이라는 칭호를 취했다.
6. 8. 독립 (1956)
무함마드 5세는 1955년 11월 16일 망명에서 돌아와 1955년 11월 18일 독립을 선포했다.[57] 1956년 2월, 모로코는 프랑스와의 협상을 통해 독립을 쟁취했고, 1957년 무함마드 5세는 국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1956년 3월 2일 파리에서 프랑스와 모로코 간의 협정이 체결되어 완전한 독립을 위한 추가 협상이 마무리되었다.[60][61]1956년 4월 7일, 프랑스는 모로코 보호령을 공식적으로 포기했다. 이후, 국제 도시였던 탕헤르는 1956년 10월 29일 탕헤르 의정서에 서명하면서 모로코에 재통합되었다.[67] 스페인 보호령 폐지 및 모로코 독립 인정은 별도로 협상되어 1956년 4월 공동선언에서 최종 확정되었다.[68] 1956년과 1958년 스페인과의 협정을 통해 모로코는 스페인 통치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회복했지만, 군사 행동을 통한 다른 스페인령 영유권 주장은 성공하지 못했다.
독립 이후 몇 달 동안, 무함마드 5세는 술탄이 정치적으로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입헌군주제 형태의 현대적인 정부 구조를 구축했다. 그는 민족주의 운동 내 급진 세력이 기존 질서를 전복하는 것을 경계했으며, 이스티클랄당의 권력 강화 및 일당 독재 수립을 막고자 했다. 1957년 8월, 무함마드 5세는 공식적으로 국왕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7. 통화 정책
프랑스는 1921년부터 1956년까지 보호령에서 사용할 주화를 주조했으며, 새로운 통화가 도입될 때까지 유통되었다. 프랑스는 100 상팀으로 나뉘는 프랑 단위의 주화를 주조했다. 이는 1960년 디르함이 재도입되면서 대체되었다.[69]
알헤시라스 회의는 새로 설립된 모로코 국립은행부터 금으로 뒷받침되는 지폐 발행까지, 40년 기한을 가진 유럽 은행가들에게 여러 가지 양보를 했다. 새로운 국립은행은 모로코의 중앙은행 역할을 하게 되지만, 대출을 보증한 국립은행들(즉, 독일 제국, 영국, 프랑스, 스페인)이 임명한 관리들에 의해 셰리프 왕조의 지출에 엄격한 상한선이 적용되었다.[126]
8. 탄압
Hubert Lyautey영어는 보호령의 식민 통치를 감독하는 토착 정책 위원회(Conseil de politique indigène)를 설립했다.[70] 보호령 아래에서 모로코인들은 대규모 정치 집회에 참석하는 것이 금지되었다.[71] 이는 식민 통치 세력이 모로코인들이 "자신들의 이해 능력을 넘어서는 것을 듣게 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71][72]
프랑스 당국은 또한 아랍어 신문이 정치를 보도하는 것을 금지하여 검열 주장을 불러일으켰다.[71] 프랑스 보호령 아래에서, 이스티클랄당의 아랍어 신문인 Al-Alam영어의 전체 기사가 검열되었고, 빈 텍스트 블록으로 인쇄되었다.[73]
9. 우편 역사
프랑스 우체국은 1854년 초 탕헤르에서 우편을 보냈다.[74] 그러나 공식적으로는 1892년 모로코 술탄 하산 1세가 샤리판 우체국이라는 국영 우편 서비스를 설립하고 전국에 우체국을 개설하면서 시작되었다.[75] 이는 외국 또는 현지 민간 우편 서비스를 제한하기 위한 조치였다. 1912년 보호령 설립 후, 우체국에서는 프랑스 우표에 프랑스 통화 단위와 1:1 비율의 스페인 페세타와 센티모 단위의 값을 덧찍어 발행했다. 여기에는 세이지 타입 발행물과 1902년 이후 "MAROC"가 새겨진 무플론 발행물(덧찍기 없이 공식 발행된 적은 없음)이 사용되었다. 1911년에는 무플론 디자인에 아랍어로 덧찍기를 했다.
보호령의 첫 우표는 1914년 8월 1일에 등장했으며, 기존 우표에 "프랑스 보호령(PROTECTORAT FRANCAIS)"이라는 추가 덧찍기가 된 것이었다.[76] 최초의 새로운 디자인은 1917년에 발행되었는데, 6가지 디자인의 17개 우표로 구성되었으며 센티모와 프랑 단위로 표기되었고 "MAROC"가 새겨져 있었다.
10. 철도
모로코는 1912년부터 1935년까지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600mm 궤간 철도망 중 하나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총 길이는 1,700km가 넘었다.[77] 알헤시라스 조약 이후, 열강 대표들은 표준궤 탕헤르–페스 철도가 완공될 때까지 모로코에 표준궤 철도를 건설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프랑스는 모로코 지역에 군사용 600mm 궤간 철도를 건설하기 시작했다.[134]
11. 유산
프랑스 식민주의는 모로코의 사회, 경제, 언어, 문화, 교육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신식민주의로 묘사되는 지속적인 연관성도 있다.[78][79] 모로코는 프랑스아프리카(''Françafrique'')와 프랑코포니(''la Francophonie'')에 속한다.[80] 2019년 기준으로 모로코인의 35%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알제리(33%)나 모리타니(13%)보다 높다.[81]
프랑스에는 약 1,514,000명의 모로코인이 거주하며, 이는 모로코를 제외한 지역 중 가장 큰 모로코인 공동체를 형성한다.[82] 프랑스 국립통계경제연구소(INSEE)는 2019년 10월 기준 프랑스에 거주하는 모로코 국적자 수가 약 755,400명으로 프랑스 이민 인구의 20%를 차지한다고 발표했다.[83]
알베르 라프라드가 위베르 리오테를 위해 설계하고 1924년에 완공된 라바트의 전 프랑스 보호령 관저는 현재 모로코 내무부 청사로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Holidays & Religious Holidays
https://web.archive.[...]
2016-06-24
[2]
간행물
Bulletin officiel de l'Empire chérifien
http://81.192.52.100[...]
2014-03-01
[3]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4-15
[4]
문서
Protectorat français au Maroc / الحماية الفرنسية في المغرب
[5]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6]
웹사이트
Indépendance du Maroc, 1956, MJP
https://mjp.univ-per[...]
2020-03-03
[7]
학술지
The Paradox of Independence: The Maintenance of Influence and the French Decision to Transfer Power in Morocco
2007-12
[8]
학술지
Le Maroc entre la France et l'Algérie (1956–1962)
https://www.cairn.in[...]
2011
[9]
서적
Profil démographique et historique de la présence française au Maroc
La Croisée des Chemins
2016
[10]
서적
Following the nationalization decrees
1959, 1963, 1973
[11]
학술지
Le désengagement militaire français au Maroc au lendemain de l'indépendance
https://www.persee.f[...]
2004
[12]
서적
Morocco, a Country Study
Foreign Ara Studies: The American University
[13]
학술지
The French Conquest Of Morocco: The Real Meaning Of The International Trouble
https://books.google[...]
1911-09
[14]
서적
Alliance Israelite Universelle and the Jewish Communities of Morocco, 1862–1962, Th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2-02-01
[15]
서적
The Great Powers, Imperialism, and the German Problem, 1865–1925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4
[1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1
[17]
학술지
The 1907 Mauchamp affair and the French civilising mission in Morocco
http://www.tandfonli[...]
2001-01
[18]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9]
서적
Histoire de Casablanca: des origines à 1914
Ophrys
[20]
학술지
Sur l'action du Galilée à Casablanca en août 1907
1969
[21]
웹사이트
Le Petit journal
https://gallica.bnf.[...]
1907-08-06
[22]
웹사이트
Fikrat al-dustūr fī al-Maghrib: wathāʼiq wa-nuṣūṣ (Buch, 2017) [WorldCat.org]
https://web.archive.[...]
2020-06-22
[23]
웹사이트
جريدة "السعادة" التي كانت لسانا ناطقا باسم الاحتلال الفرنسي في المغرب
http://howiyapress.c[...]
2019-06-24
[24]
서적
Currency and Coercion: The Political Economy of International Monetary Powe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25]
학술지
TRAITÉ conclu entre la France et le Maroc le 30 mars 1912, pour l'Organisation du Protectorat Français dans l'Empire Chérifien
https://web.archive.[...]
[26]
학술지
The Development of Nationalism in French Morocco
https://www.jstor.or[...]
1955
[27]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in North Africa: From the Ottoman conquests to the present time / edited by Eliezer Bashan and Robert Attal
https://books.google[...]
BRILL
[28]
서적
The Moroccan Soul: French Education, Colonial Ethnology, and Muslim Resistance, 1912–1956
Nebraska University Press
[29]
서적
States: The classification of States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22-11-01
[30]
웹사이트
Exhibition of Moroccan Art
https://www.wdl.org/[...]
2020-01-03
[31]
웹사이트
Guerre de 1914–18: les soldats marocains "dans toutes les grandes batailles"
https://www.lexpress[...]
2020-01-03
[32]
웹사이트
الجنود المغاربة في الحرب العالمية الأولى: أبطال بلا مجد
https://www.alaraby.[...]
2020-01-03
[33]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34]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35]
웹사이트
Compagnie franco-espagnole du chemin de fer de Tanger à Fez
https://gallica.bnf.[...]
1914
[36]
웹사이트
La Terre marocaine: revue illustrée...
https://gallica.bnf.[...]
2020-03-23
[37]
논문
Les chemins de fer marocains du protectorat français pendant l'entre-deux-guerres
https://www.persee.f[...]
1987
[38]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4-08
[39]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cosumar.[...]
2020-03-23
[40]
웹사이트
History – GBM
https://www.boissons[...]
2020-03-23
[41]
논문
Les industries de Casablanca
https://www.persee.f[...]
1951
[42]
서적
The French Foreign Legion: An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7-11-27
[43]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44]
서적
Africa Under Colonial Domination, 1880–1935
https://books.google[...]
Currey
1990
[45]
웹사이트
Manifeste de l'indépendance du 11 Janvier 1944
https://www.istiqlal[...]
2020-01-12
[46]
서적
Emergence of Nationalist Politics in Morocco: The Rise of the Independence Party and the Struggle Against Colonialism After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0-09-30
[47]
서적
Globalizing Morocco: Transnational Activism and the Postcolonial Stat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48]
웹사이트
France-soir
https://gallica.bnf.[...]
2023-01-31
[49]
웹사이트
زيارة محمد الخامس لطنجة.. أغضبتفرنسا وأشعلتالمقاومة
https://www.hespress[...]
2019-08-29
[50]
웹사이트
Evènements du 7 avril 1947 à Casablanca, un tournant décisif dans la lutte pour la liberté et l'indépendance
https://www.atlasinf[...]
2019-03-16
[51]
서적
Revisiting the Colonial Past in Morocco
Routledge
2013
[52]
웹사이트
7–8 décembre 1952: Quand les Casablancais se sont soulevés contre l'assassinat de Ferhat Hached
https://www.yabiladi[...]
2019-03-16
[53]
웹사이트
6. French Morocco (1912–1956)
https://uca.edu/poli[...]
2020-03-21
[54]
웹사이트
L'assassinat de Messaâdi
https://zamane.ma/fr[...]
2019-11-07
[55]
웹사이트
التهامي الكلاوي.. صفحة سوداء في تاريخ المغرب الحديث
https://www.aljazeer[...]
2022-09-28
[56]
뉴스
Quatre-vingt-seize Marocains poursuivis pour participation à la « tuerie d'Oujda », qui fit trente morts le 16 août 1953, passent en jugement
https://www.lemonde.[...]
1954-11-30
[57]
서적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s Since 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2-04
[58]
서적
North Africa (RLE Economy of the Middle East): Contemporary Politics and Economic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5-15
[59]
웹사이트
6. French Morocco (1912–1956)
https://uca.edu/poli[...]
2020-03-21
[60]
웹사이트
Déclaration commune
http://www.diplomati[...]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France)
1956-03-02
[61]
논문
French-Moroccan Declaration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State
1956-03-19
[62]
문서
Essemlali p. 2
[63]
문서
Essemlali p. 13, 19-21
[64]
문서
Pellegrini p. 5, 6.
[65]
문서
Pellegrini p. 8.
[66]
문서
Aouchar p. 22.
[67]
웹사이트
Final Declar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in Tangier and annexed Protocol. Signed at Tangier, on 29 October 1956 [1957] UNTSer 130; 263 UNTS 165
http://www.worldlii.[...]
1956
[68]
논문
Spanish-Moroccan Declaration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State
1956-04-23
[69]
서적
Theodore Roosevelt and World Order: Police Power in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Potomac Books, Inc.
2017-05-29
[70]
웹사이트
Les Annales coloniales: organe de la "France coloniale moderne" / directeur: Marcel Ruedel
https://gallica.bnf.[...]
2019-06-25
[71]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72]
학술지
Designing Morocco's future: France and the Native Policy Council, 1921–25
2000-03-01
[73]
서적
Ben Barka l'équation marocaine
http://worldcat.org/[...]
L'Harmattan vidéo
2021-07-06
[74]
서적
The Collectors Club Philatelist
https://books.google[...]
Collectors Club
1948
[75]
서적
The Mellah of Marrakesh: Jewish and Muslim Space in Morocco's Red Cit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7
[76]
서적
The New England Philatelist
https://books.google[...]
Essex Publishing Company
1914
[77]
서적
Marrakesh, Fez, Rabat
https://books.google[...]
New Holland Publishers
2000
[78]
학술지
French neo-colonial influence on Morocc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 study of current status of standard Arabic in science disciplines
2017-02-01
[79]
뉴스
France summons Italian envoy after Di Maio's comments on Africa
https://af.reuters.c[...]
2019-07-17
[80]
웹사이트
50 years later, Françafrique is alive and well
http://en.rfi.fr/afr[...]
2019-10-10
[81]
웹사이트
International Francophonie Day: 35% Moroccans Speak French
https://www.moroccow[...]
2019-10-10
[82]
웹사이트
Fiches thématiques – Population immigrée – Immigrés – Insee Références – Édition 2012
http://www.insee.fr/[...]
2012
[83]
웹사이트
Moroccans Make Up Nearly 20% of France's Immigrant Population
https://www.moroccow[...]
2019-10-10
[84]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4-15
[85]
문서
모하메드 벤 아라파
[86]
웹사이트
National Holidays & Religious Holidays
http://www.maroc.ma/[...]
2020-07
[87]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88]
웹사이트
Indépendance du Maroc, 1956年, MJP
https://mjp.univ-per[...]
2020-03-03
[89]
학술지
The Paradox of Independence: The Maintenance of Influence and the French Decision to Transfer Power in Morocco
2007-12
[90]
학술지
The French Conquest Of Morocco: The Real Meaning Of The International Trouble
https://books.google[...]
2009-07-10
[91]
서적
Alliance Israelite Universelle and the Jewish Communities of Morocco, 1862–1962, Th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2-02-01
[92]
서적
The Great Powers, Imperialism, and the German Problem, 1865–1925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4
[9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1
[94]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95]
서적
Histoire de Casablanca: des origines à 1914
Ophrys
[96]
학술지
Sur l'action du Galilée à Casablanca en août 1907
1969
[97]
웹사이트
Le Petit journal
https://gallica.bnf.[...]
2019-07-19
[98]
서적
Fikrat al-dustūr fī al-Maghrib : wathāʼiq wa-nuṣūṣ (1901–2011)
https://www.worldcat[...]
2020-06-22
[99]
웹사이트
جريدة "السعادة" التي كانت لسانا ناطقا باسم الاحتلال الفرنسي في المغرب
http://howiyapress.c[...]
2019-06-24
[100]
서적
Currency and Coercion: The Political Economy of International Monetary Powe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101]
학술지
TRAITÉ conclu entre la France et le Maroc le 30 mars 1912, pour l'Organisation du Protectorat Français dans l'Empire Chérifien
http://81.192.52.100[...]
2015-03-20
[102]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in North Africa: From the Ottoman conquests to the present time
https://books.google[...]
BRILL
[103]
학술지
Segalla, Spencer 2009,The Moroccan Soul: French Education, Colonial Ethnology, and Muslim Resistance, 1912–1956. Nebraska University Press.
[104]
서적
States : The classification of States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05]
웹사이트
Exhibition of Moroccan Art
https://www.wdl.org/[...]
2020-01-03
[106]
웹사이트
Guerre de 1914–18: les soldats marocains "dans toutes les grandes batailles"
https://www.lexpress[...]
2020-01-03
[107]
웹사이트
الجنود المغاربة في الحرب العالمية الأولى: أبطال بلا مجد
https://www.alaraby.[...]
2020-01-03
[108]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09]
서적
The French Foreign Legion: An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7-11-27
[110]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11]
웹사이트
Manifeste de l'indépendance du 11 Janvier 1944
https://www.istiqlal[...]
2020-01-12
[112]
서적
Emergence of Nationalist Politics in Morocco: The Rise of the Independence Party and the Struggle Against Colonialism After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0-09-30
[113]
웹사이트
زيارة محمد الخامس لطنجة.. أغضبتفرنسا وأشعلتالمقاومة
https://www.hespress[...]
2019-08-29
[114]
웹사이트
Evènements du 7 avril 1947 à Casablanca, un tournant décisif dans la lutte pour la liberté et l'indépendance
https://www.atlasinf[...]
2019-03-16
[115]
서적
Revisiting the colonial past in Morocco
Routledge
2013
[116]
웹사이트
7–8 décembre 1952 : Quand les Casablancais se sont soulevés contre l'assassinat de Ferhat Hached
https://www.yabiladi[...]
2019-03-16
[117]
웹사이트
6. French Morocco (1912–1956)
https://uca.edu/poli[...]
2020-03-21
[118]
웹사이트
L'assassinat de Messaâdi
https://zamane.ma/fr[...]
2019-11-07
[119]
서적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s Since 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2-04
[120]
서적
North Africa (RLE Economy of the Middle East): Contemporary Politics and Economic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5-15
[121]
웹사이트
6. French Morocco (1912–1956)
https://uca.edu/poli[...]
2020-03-21
[122]
웹사이트
Déclaration commune
http://www.diplomati[...]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France)
1956-03-02
[123]
학술지
French-Moroccan Declaration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State
1956-03-19
[124]
웹사이트
Final Declar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in Tangier and annexed Protocol. Signed at Tangier, on 29 October 1956 [1957] UNTSer 130; 263 UNTS 165
http://www.worldlii.[...]
1956
[125]
학술지
Spanish-Moroccan Declaration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State
1956-04-23
[126]
서적
Theodore Roosevelt and World Order: Police Power in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Potomac Books, Inc.
2017-05-29
[127]
웹사이트
Les Annales coloniales : organe de la "France coloniale moderne" / directeur : Marcel Ruedel
https://gallica.bnf.[...]
2019-06-25
[128]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29]
학술지
Designing Morocco's future: France and the Native Policy Council, 1921–25
2000-03-01
[130]
비디오
Ben Barka l'équation marocaine
http://worldcat.org/[...]
L'Harmattan vidéo
2010
[131]
서적
The Collectors Club Philatelist
https://books.google[...]
Collectors Club
1948
[132]
서적
The Mellah of Marrakesh: Jewish and Muslim Space in Morocco's Red Cit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7
[133]
서적
The New England Philatelist
https://books.google[...]
Essex Publishing Company
1914
[134]
서적
Marrakesh, Fez, Rabat
https://books.google[...]
New Holland Publishers
2000
[135]
학술지
French neo-colonial influence on Morocc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 study of current status of standard Arabic in science disciplines
2017-02-01
[136]
뉴스
France summons Italian envoy after Di Maio's comments on Africa
https://af.reuters.c[...]
2019-01-21
[137]
웹사이트
50 years later, Françafrique is alive and well
http://en.rfi.fr/afr[...]
2019-10-10
[138]
웹사이트
International Francophonie Day: 35% Moroccans Speak French
https://www.moroccow[...]
2019-10-10
[139]
웹사이트
Fiches thématiques – Population immigrée – Immigrés – Insee Références – Édition 2012
http://www.insee.fr/[...]
Insee
2012
[140]
웹사이트
Moroccans Make Up Nearly 20% of France's Immigrant Population
https://www.moroccow[...]
2019-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