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 뮌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뮌히는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의학을 공부한 독일 의사로, 나치당과 무장친위대에 가입하여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활동했다. 그는 수감자들의 선별 과정에 참여했으나, 이를 혐오하여 거부했다는 증언과, 반대로 시체의 살을 이용해 배양액을 만들고 류머티즘을 감염시켰다는 상반된 증언이 존재한다. 뮌히는 전후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지만, 말년에 알츠하이머병을 앓으며 나치즘을 옹호하고 홀로코스트를 부정하는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90세에 사망했으며, 그의 행적은 나치 시대의 복잡성과 윤리적 문제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치 의사 - 요제프 멩겔레
요제프 멩겔레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에서 '죽음의 천사'로 불리며 쌍둥이 등을 대상으로 비윤리적인 인체 실험을 자행한 나치 독일 친위대 의사로, 전후 남미로 도피 생활을 하다 브라질에서 사망했다. - 나치 의사 - 한스 아스페르거
한스 아스페르거는 오스트리아의 소아과 의사이자 의학 교수로, 자폐증 증상을 기술한 논문을 통해 아스페르거 증후군 개념의 기초를 다졌으나, 나치 협력 의혹으로 논란이 있다. - 무장친위대원 - 귄터 그라스
1999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귄터 그라스는 『양철북』을 비롯한 단치히 삼부작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즘의 영향을 다룬 독일의 소설가, 시인, 극작가, 조각가이며, 무장친위대 복무 논란에도 불구하고 나치 과거 청산과 사회 정의를 위해 활동하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무장친위대원 - 프리츠 비트
프리츠 비트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SS 소장으로, 제12 SS 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사단장으로 활동하며 폴란드 침공, 프랑스 침공 등 여러 전투에 참전했지만, 노르망디 상륙 작전 중 연합군 포격으로 전사한 독일 군인이다.
한스 뮌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한스 빌헬름 뮌히 |
현지어 표기 | (독일어) |
출생 | 1911년 5월 14일 |
사망 | 2001년 12월 6일 (90세) |
출생지 |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바덴 대공국, 독일 제국 |
사망지 | 퓌센, 바이에른주, 독일 |
군사 복무 | |
소속 | 무장친위대 |
복무 기간 | 1937년–1945년 |
최종 계급 | 소위 |
학력 | |
모교 | 튀빙겐 대학교 뮌헨 대학교 |
2. 생애 초기 및 경력
한스 뮌히는 아우슈비츠에서 대량 학살에 최대한 참여하지 않으려 노력했기 때문에 "아우슈비츠의 선인"이라고 불렸다. 1947년 크라쿠프에서 열린 아우슈비츠 재판에서 아우슈비츠 생존 수감자들의 변호 덕분에 피고인 중 유일하게 전쟁범죄 혐의에 대해 무혐의 판결을 받았다. 재판 후 독일로 돌아가 바이에른 로스하우프텐에서 개업의로 일했다.
2. 1. 교육 및 나치당 가입
김나지움을 졸업한 한스 뮌히는 튀빙겐 대학교와 뮌헨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그는 Reichsstudentenführung|제국 학생 지도부de의 정치부에서 활동했다.[1] 1934년, 그는 Nationalsozialistischer Deutscher Studentenbund|국가 사회주의 독일 학생 연맹de(NSDStB)와 Nationalsozialistisches Kraftfahrerkorps|국가 사회주의 자동차 군단de(NSKK)에 가입했다. 1937년 5월, 그는 나치당에 입당했다. 1939년, 그는 박사 학위를 받았고, 같은 해에 또 다른 의사와 결혼했다.2. 2.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튀빙겐 대학교와 뮌헨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Reichsstudentenführungde(제국 학생 지도부)의 정치부에서 활동했으며,[1] 1934년에는 NSDStB.—Nationalsozialistischer Deutscher Studentenbundde (국가 사회주의 독일 학생 연맹)—와 NSKK—Nationalsozialistisches Kraftfahrerkorpsde (국가 사회주의 자동차 군단)에 가입했다. 1937년 5월, NSDAP에 입당했다. 1939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고, 같은 해에 다른 의사와 결혼했다.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군대에 징집된 바이에른 시골 지역 의사들을 대신하여 진료를 맡았다. 뮌히의 국방군 입대 시도는 의사로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이유로 거부되었다.[2]
3. 아우슈비츠에서의 활동
한스 뮌히는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대량 학살에 최대한 참여하지 않으려고 노력했기 때문에 소위 "아우슈비츠의 선인"이라고 불렸다.[3] 그는 1947년 크라쿠프에서 열린 아우슈비츠 재판에서 아우슈비츠 생존 수감자들의 변호 덕분에 피고인 중 유일하게 전쟁 범죄 혐의에 대해 무혐의 판결을 받았다.[3]
뮌히는 다른 의사들과 함께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수용소에서 "선별"에 참여하여 새로 도착한 사람들 중 누가 일할 수 있고, 누가 실험 대상이 될 것이며, 누가 가스실에서 살해될 것인지를 결정해야 했다.[9] 그는 이것을 혐오스럽게 생각하여 참여를 거부했으며, 이는 재판에서 증인들의 증언으로 확인되었다.[3] 로버트 제이 리프턴은 뮌히를 히포크라테스 선서에 대한 헌신이 강했던 유일한 의사로 언급했다.[4]
뮌히는 생체 실험을 수행했지만, 이는 수감자를 보호하기 위한 속임수인 경우가 많았다. 쓸모 없어진 실험 대상은 보통 살해되었기 때문이다.[5][6] 하지만 이 이야기가 진실인지에 대한 의문도 존재한다. 다른 전 수감자인 임레 궨치는 뮌히가 선별에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죽은 시체의 살을 사용하여 미생물 배양에 사용되는 국물을 요리했으며, 사람들에게 류머티즘을 감염시켰다고 증언했다.[8]
3. 1. 무장친위대 위생 연구소
1943년 6월, 뮌히는 무장친위대(Waffen-SS)의 과학자로 채용되어 아우슈비츠 수용소 본 캠프에서 약 4km 떨어진 라이스코에 있는 무장친위대 위생 연구소로 보내졌다. 뮌히는 같은 나이였고 바이에른 출신인 요제프 멩겔레와 함께 일했다. 뮌히는 전쟁 전부터 알려진 세균학 연구를 계속했으며, 수용소와 수감자들을 가끔씩 감시했다.[9]3. 2. 생체 실험 및 "선별" 참여
뮌히는 다른 의사들과 함께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수용소에서 "선별"에 참여하여 새로 도착한 폴란드인과 유대인 남성, 여성 및 어린이 중에서 누가 일할 수 있는지, 누가 실험 대상이 될 것인지, 누가 가스실에서 살해될 것인지를 결정해야 했다.[9] 그는 이것이 혐오스럽다고 생각하여 참여를 거부했으며, 이는 그의 재판에서 증인들의 증언으로 확인되었다.[3] 로버트 제이 리프턴의 아우슈비츠 친위대 의사들에 관한 책(1986)은 뮌히를 히포크라테스 선서에 대한 헌신이 친위대에 대한 헌신보다 더 강했던 유일한 의사로 언급하고 있다.[4]뮌히는 생체 실험을 수행했지만, 이는 종종 수감자를 보호하기 위한 정교한 속임수였는데, 쓸모 없어진 실험 대상은 보통 살해되었기 때문이다.[5][6]
하지만 이 이야기의 진실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다른 전 수감자인 임레 궨치(별칭 "에머리히")는 뮌히가 선별에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죽은 시체의 살을 사용하여 자신의 미생물 배양에 사용되는 국물을 요리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또한 궨치를 포함한 사람들에게 류머티즘을 감염시켰으며, 궨치는 나중에 인터뷰를 할 때까지 그 후유증으로 고통받았다고 한다. 그들은 뮌히의 죽기 직전에 만났고, 이 만남은 독일 신문 ''디 벨트''의 기자가 취재했다. 이 만남에서 뮌히는 만약 시간을 되돌려 아우슈비츠로 다시 가도록 선택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겠다고 말했다고 한다.[8]
3. 3. 수감자 보호 의혹
뮌히는 아우슈비츠에서 대량 학살에 최대한 참여하지 않으려 노력했기 때문에 "아우슈비츠의 선인"이라고 불렸다. 1947년 크라쿠프에서 열린 아우슈비츠 재판에서 아우슈비츠 생존 수감자들의 변호 덕분에 피고인 중 유일하게 전쟁 범죄 혐의에 대해 무혐의 판결을 받았다.[3]뮌히는 다른 의사들과 함께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수용소에서 "선별"에 참여하여 새로 도착한 사람들 중 누가 일할 수 있고, 누가 실험 대상이 될 것이며, 누가 가스실에서 살해될 것인지를 결정해야 했다.[9] 그는 이것을 혐오스럽게 생각하여 참여를 거부했으며, 이는 재판에서 증인들의 증언으로 확인되었다.[3] 로버트 제이 리프턴은 뮌히를 히포크라테스 선서에 대한 헌신이 강했던 유일한 의사로 언급했다.[4]
뮌히는 생체 실험을 수행했지만, 이는 수감자를 보호하기 위한 속임수인 경우가 많았다. 쓸모 없어진 실험 대상은 보통 살해되었기 때문이다.[5][6] 수감자였던 루이 미셸스 박사의 증언에 따르면, 수용소가 폐쇄되기 전 뮌히의 마지막 행동은 그의 탈출을 돕기 위해 그에게 권총을 제공한 것이었다.[7]
하지만 이 이야기가 진실인지에 대한 의문도 존재한다. 다른 전 수감자인 임레 궨치는 뮌히가 선별에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죽은 시체의 살을 사용하여 미생물 배양에 사용되는 국물을 요리했으며, 사람들에게 류머티즘을 감염시켰다고 증언했다.[8]
4. 전후 활동 및 재판
한스 뮌히는 아우슈비츠에서 대량 학살에 최대한 참여하지 않으려 노력했기 때문에 "아우슈비츠의 선인"이라고 불렸다. 1947년 크라쿠프에서 열린 아우슈비츠 재판에서, 아우슈비츠 생존 수감자들의 변호 덕분에 피고인 중 유일하게 전쟁범죄 혐의에 대해 무혐의 판결을 받았다. 재판 후 독일로 돌아가 바이에른 로스하우프텐에서 개업의로 일했다.
말년에 알츠하이머병에 걸려 나치즘을 지지하고 홀로코스트를 부정하는 발언을 해 여러 번 기소되기도 했다. 하지만 모든 재판부는 뮌히가 심신상실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여 유죄를 선고하지 않았다.
4. 1. 아우슈비츠 재판 (폴란드)
1945년 종전 후, 뮌히는 아우슈비츠 의사로 확인되어 미국 억류 수용소에 체포되었다. 1946년 폴란드로 인도되어 크라쿠프에서 재판을 받았다.[9]그는 특히 수감자들에게 말라리아에 감염된 혈액을 주사하고 혈청으로 류머티즘을 유발한 혐의를 받았다. 그러나 많은 전 수감자들이 증언을 통해 뮌히를 지지했다. 1947년 12월 22일, 법원은 "그가 수용소 수감자들에게 해를 끼치는 범죄를 저지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호의적인 태도를 보였고, 국적, 인종, 종교적 기원 및 정치적 신념과 관계없이 그들을 도왔기 때문이다."라며 무죄를 선고했다.[10] 법원의 무죄 판결은 뮌히가 선별 작업에 참여하는 것을 엄격히 거부한 것에 근거했다.
아우슈비츠 재판에서 크라쿠프에서 재판을 받은 40명의 아우슈비츠 직원 중 뮌히만이 유일하게 무죄 판결을 받았다. 그는 수감자들을 가스실에서 살해되는 것을 막았다는 증언 등에 따라 "아우슈비츠의 선한 사람"으로 불렸다.[11]
4. 2. 독일에서의 생활
1947년 크라쿠프에서 열린 아우슈비츠 재판에서 아우슈비츠 생존 수감자들의 변호에 힘입어 피고인들 중 유일하게 전쟁범죄 혐의에 대해 무혐의 판결을 받았다. 재판 이후 독일로 돌아가 바이에른 로스하우프텐에서 개업의로 일했다. 오스트알고이의 로스하우프텐에서 시골 의사직을 물려받았다.[1] 1964년 첫 번째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에서 증언했고, 이후 재판에서도 그의 전문가 의견을 요청받았다.[1]서독에서 뮌히는 토론회와 기념식에 참여했다.[2] 그는 자신의 생명을 걸고 많은 아우슈비츠 수용자들을 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2] 1995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해방 50주년을 맞아 강제 수용소를 다시 방문했다.[2] 요제프 멩겔레의 쌍둥이 실험 생존자인 에바 모제스 코르의 초대를 받았다.[2] 뮌히와 코르는 그곳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공개 선언문에 서명했으며, 그러한 일이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선언했다.[2]
뮌히는 홀로코스트 부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3] 한 인터뷰에서 아우슈비츠가 사기극이라는 부정론자의 주장에 대해 질문을 받고 다음과 같이 답했다.
"어떤 사람이 아우슈비츠는 거짓이고 사기극이라고 말하면, 나는 그에게 별로 할 말이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는 사실이 너무나 확고하게 정해져서 조금의 의심도 할 수 없다고 말하고, 그 사람과의 대화를 멈춥니다. 왜냐하면 그런 것을 고집하는 사람은 어딘가에 출판된 자료를 가지고 있고, 침묵 속에 묻어버리고 싶어 하는 악의적인 사람이며, 침묵 속에 묻힐 수 없는 일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3]
5. 말년의 논란과 사망
한스 뮌히는 아우슈비츠에서 대량 학살에 최대한 참여하지 않으려고 노력하여 "아우슈비츠의 선인"으로 불렸다. 1947년 크라쿠프에서 열린 아우슈비츠 재판에서 생존 수감자들의 변호 덕분에 피고인 중 유일하게 전쟁범죄 혐의에 대해 무혐의 판결을 받았다.[1] 재판 후 독일로 돌아가 바이에른 로스하우프텐에서 개업의로 활동했다.[1] 말년에 알츠하이머병에 걸려 나치즘을 지지하고 홀로코스트를 부정하는 발언을 하여 여러 차례 기소되었으나, 재판부는 뮌히가 심신상실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여 유죄를 선고하지 않았다.[1]
5. 1. 알츠하이머병과 홀로코스트 부정 발언
1998년 언론인 브루노 쉬라가 1년 전 뮌히와 진행한 인터뷰를 슈피겔에 게재하면서 뮌히는 여러 논란이 되는 발언으로 기소되었다. 쉬라와 뮌히는 영화 쉰들러 리스트를 함께 보았고, 인터뷰는 관람 직후에 진행되었다. 뮌히는 인터뷰에서 "몇몇 다른 사람들을 죽여서 많은 사람들을 구했다", "인도적인 사람으로 평가받았지만, 전범으로 선고받지는 않았다", "토끼로만 가능했던 실험을 인간에게 할 수 있었다" 등의 발언을 했다.[13]며칠 후, 뮌히의 아들 디르크 뮌히는 인터뷰 내용에 대해 아버지가 2년 동안 집중력 저하를 겪고 있었으며, 영화 관람 직후 인터뷰가 진행되어 아버지에게 매우 힘들었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영화를 본 후 아버지가 암고양이와 수고양이를 혼동할 정도였다고 밝혔다. 뮌히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독일 영화 제작자 또한 그가 정신적으로 온전하지 않았다고 진술했다.[15] 뮌히는 나중에 알츠하이머병 진단을 받았다.[16]
바이에른 법무부는 인터뷰에 대한 반작용으로 형사 기소 절차를 시작했고, 나치 사회주의 범죄 조사 중앙 사무소는 예비 절차를 시작했다. 당국은 슈타지 파일을 검토하고 슈피겔에 인터뷰 녹취록을 요구했다. 뮌히에 대한 형사 절차는 2000년 1월 "진행된 치매"로 인해 중단되었다.[21]
1998년, 뮌히는 프랑스 라디오 프로그램 프랑스 앵테르에서 로마인과 신티에 대해 "한심하다"고 말하며 가스실이 유일한 해결책이었을 것이라고 말해 "민족적 또는 인종적 증오 선동" 혐의로 기소되었다. 그는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해 "정신적으로 불안정"하다는 진단을 받았고, 무죄 판결을 받았다. 그러나 2001년 5월, 파리 항소 법원은 무죄 판결을 취소하고 "인종적 증오 선동"과 "반인륜적 범죄 경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내렸다. 검사는 뮌히의 수감을 요구하지 않고 가석방을 요구했으며, 법원은 고령과 정신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형 집행을 유예했다.
2001년 9월, 프랑스 라디오는 1998년 뮌히와의 인터뷰를 재방송했다. 국경 없는 변호사 등이 고발장을 제출했고, 2002년 공법 방송 기관인 프랑스 라디오의 책임자들은 모두 인종 증오 선동에 대한 지원 혐의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법원은 모든 라디오 청취자들이 뮌히의 발언이 나치 선전에서 가져온 것이라는 점을 이해했을 것이라고 판결했다.[23]
5. 2. 사망
1947년 크라쿠프에서 열린 아우슈비츠 재판에서 아우슈비츠 생존 수감자들의 변호에 힘입어 피고인들 중 유일하게 전쟁범죄 혐의에 대해 무혐의 판결을 받았다.[1] 재판 이후 독일로 돌아가 바이에른 로스하우프텐에서 개업의로 일했다.[1] 말년에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걸려 나치즘을 지지하고 홀로코스트를 부정하는 등의 언행을 하다가 여러 번 기소되었으나, 모든 재판부는 뮌히가 망령이 나서 심신상실 상태에 있다고 보고 유죄를 선고하지 않았다.[1]6. 유산 및 평가
한스 뮌히의 행적은 나치 시대의 복잡성과 윤리적 문제를 드러내는 사례로, 역사 및 학술적으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기억, 책임, 미래 재단은 뮌히를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수감자 대상 말라리아 실험 참가자로 등재하고 있다.[24] 그러나 그는 1945년 4월 5일까지 의사 클라우스 쉴링의 지휘 하에 이루어진 다하우 강제 수용소의 말라리아 실험 명단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25]
뮌히는 1999년 미국에서 제작된 다큐멘터리 영화 《더 라스트 데이즈》에 출연하여, 아우슈비츠에서 인간 대상 실험으로 여동생을 잃은 생존자 르네 파이어스톤과 대화를 나누었다. 한 영화 평론은 이 영화의 미국 버전에서 뮌히가 당시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었다는 사실을 명확히 언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22]
프리츠 바우어 연구소는 2002년과 2003년에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1차 재판에 대한 분석과 이 재판이 서독 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춘 공개 회의 및 토론 행사를 개최했다. 2002년 11월 4일, 헬가르트 교수는 SS-Ärzte in Auschwitz und im Ersten Frankfurter Auschwitz-Prozessde (아우슈비츠와 제1차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의 SS 의사)라는 강연을 했다.[26]
홀로코스트 연구의 맥락에서 헬가르트 크라머는 2005년 연구의 세부 사항을 보고했는데, 한스 뮌히는 제1차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에서 증언을 들었고, 1964년 3월 2일과 5일에는 전문가로 소환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Politischer Leiter der Reichsstudentenführung
http://www.nadir.org[...]
2007-09-30
[2]
웹사이트
Jewish Virtual Library Biography
https://www.jewishvi[...]
[3]
웹사이트
Hans Münch
https://www.jewishvi[...]
2020-07-27
[4]
웹사이트
The Nazi Doctors", Chapter 16; The "Ernst B." referred to is apparently Münch
http://www.holocaust[...]
Robert Jay Lifton
2015-05-03
[5]
웹사이트
NOVA Online {{!}} Holocaust on Trial {{!}} The Experiments
https://www.pbs.org/[...]
2020-04-02
[6]
웹사이트
Josef Mengele, the 'Angel of Death' and the Twins of Auschwitz
https://www.thoughtc[...]
2020-04-02
[7]
웹사이트
Hans Münch
https://www.jewishvi[...]
Jewishvirtuallibrary.org
1995-01-27
[8]
뉴스
"Erkennen Sie mich noch, Herr Doktor?"
https://www.welt.de/[...]
2020-11-08
[9]
웹사이트
FU Berlin: SS-Mediziner in Auschwitz (2005; PDF)
http://web.fu-berlin[...]
[10]
웹사이트
Translation of the trial findings
https://www.jewishvi[...]
[11]
웹사이트
"Die Welt': Reportage zu Dr. Hans Münch (January 2005)"
https://www.welt.de/[...]
[12]
서적
Die Begegnung. Auschwitz-Ein Opfer und ein Täter im Gespräch
Verlag für Gesellschaftskritik
1995
[13]
뉴스
Judenvernichtung - Die Erinnerung der Täter
http://www.spiegel.d[...]
1998-09-28
[14]
간행물
Der Spiegel
1998-10-12
[15]
뉴스
Is Dr Munch a confused old man or a defiant Nazi?
https://www.independ[...]
1998-11
[16]
뉴스
Auschwitz doctor escapes trial
http://news.bbc.co.u[...]
BBC News
2000-03-11
[17]
문서
Public prosecutor at the Regional Court of Frankfurt 50 Js 31738.6/98
[18]
문서
Ebd., Bd. II, Bl. 455 ff. former preliminary proceedings against Münch had been dropped due to lack of proof material. Vgl. Einstellungsverfügung vom 25.9.1963, 4Ks 2/63, Bd. 88, Bl. 16674 und vom 13.7.1989 (Js 23281.6/89) 50 Js 31738.6/98, Duplo-Sonderheft A, S.15
[19]
문서
SH-Dokumente, Aussage Radvanský 1999, 50Js 31738.6/98
[20]
문서
Deputy assistant of the camp doctor Heinz Thilo 1943 in the camp Birkenau BIIf
[21]
문서
Sonderband Ärztliche Gutachten,50 Js 31738.6/98
[22]
웹사이트
Filmbesprechung Die letzten Tage
http://www.qualitati[...]
2006-06-16
[23]
웹사이트
Französischer Rundfunk vom Vorwurf der Beihilfe des Aufrufes zum Rassenhass freigesprochen (2002).
http://www.123recht.[...]
[24]
웹사이트
Stiftung 'Erinnerung, Verantwortung und Zukunft'
http://www.stiftung-[...]
2007-03-12
[25]
웹사이트
Versuche von Dr. Schilling
https://web.archive.[...]
2007-05-23
[26]
웹사이트
Fritz Bauer Institut, Veranstaltungsliste zu: Täter- und Opferbiografien im NS-Regime, 2002
https://web.archive.[...]
2007-05-25
[27]
문서
50 Js 31738.6/98, Special expertise Smoleń, Excerpt from the hearing's protocol, p.27
[28]
문서
50 Js 31738.6/98, Special expertise Gutachten Smoleń, Excerpt from the hearing's protocol, p. 132 ff
[29]
문서
Letter of the prosecutor Ursula Solf to Smoleń from 2.12.1999, 50Js 31738.6/98, Bd. I, Bl. 212
[30]
문서
Special expertise Smoleń, pp. 11, 15. Smoleń indicates that the pages of the main book of the SS-Hygiene Institute concerning the end of 1943 are torn out
[31]
서적
Das SS-Hygiene-Institut in Auschwitz, in: Hefte von Auschwitz, Texts of the Polish magazine Przegląd Lekarski about historical, psychic and medical aspects of living and dying in Auschwitz
1987
[32]
문서
comp. also Lifton, Ärzte, p. 378 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