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도(海圖)는 항해의 안전을 위해 해저 지형, 수심, 항해 보조 시설 등의 정보를 그림으로 나타낸 지도로, 오세아니아 원주민의 스틱 차트에서 시작하여 13세기 유럽의 포르툴라노 해도를 거쳐 발전했다. 현대에는 수로 측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되며, 메르카토르 도법을 주로 사용한다. 해도 제작 및 발행은 데이터 수집, 처리, 발행 및 수정 과정을 거치며, 항해용, 수로 특수도, 해양 기본도로 분류된다. 전자 해도와 종이 해도가 있으며, 해도 사용 시에는 최신 수정 사항을 반영해야 한다. 국제수로기구(IHO)를 중심으로 국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IHO 회원국으로서 국제 해도 표준 제정 및 기술 교류에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도 - 웨이즈
웨이즈는 사용자 참여형 실시간 교통 정보 기반 내비게이션 앱으로, 정확한 길 안내와 다양한 기능으로 인기를 얻었지만, 정보 공유 논란, 개인 정보 문제, 보안 취약성 및 국가 안보 우려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지도 - 대한지질도
제공된 본문이 없어 "대한지질도"에 대한 위키백과 개요를 요약할 수 없습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해도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유형 | 항해를 위한 지도 |
목적 | 항해, 수로 측정, 해안선 식별 |
포함 정보 | 수심 해저 지형 등심선 항로 항만 해안선 등대 항로표지 위험물 |
역사 | |
기원 | 고대부터 항해에 사용된 지도 |
초기 형태 | 항해 일지와 해도의 조합 |
발달 | 나침반, 각도기 등 항해 장비 발달과 함께 발전 |
중요한 발달 시기 | 15세기: 탐험 시대와 함께 정확도 향상 18세기: 해군, 상선, 해안 측량 필요에 의해 대량 제작 시작 19세기: 표준화된 해상 지도 제작 시작 |
구성 요소 | |
수심 | 수심을 나타내는 정보. 등심선, 수심점, 음영 등으로 표시 |
해저 지형 | 해저의 모양을 나타내는 정보. 암초, 모래톱, 계곡 등을 표시 |
해안선 | 해안선의 모양과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 절벽, 해변, 항구 등을 표시 |
항로 | 선박의 안전한 항로를 나타내는 정보. 추천 항로, 항만 진입로 등을 표시 |
항만 | 항만 시설 및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정박지, 부두, 선착장 등을 표시 |
항로표지 | 등대, 항로표지 부표 등 항해를 돕는 시설물을 나타내는 정보 |
위험물 | 암초, 난파선, 수중 장애물 등 항해에 위험한 요소를 표시하는 정보 |
나침반 도표 | 나침반 방향을 표시하는 장미 도표 |
축척 | 지도 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 |
기타 정보 | |
사용 언어 | 일반적으로 영어 |
법적 지위 | 선박 항해의 법적 증거로 활용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해양학 수심 측량 항법 해상 교통 지도 제작 |
2. 역사
해도의 역사는 항해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진화해 왔다. 현대의 해도는 13세기 유럽에 중국으로부터 나침반이 도입되면서 발달했다.
2. 1. 고대 및 중세
오세아니아 원주민들은2. 2. 대항해시대
15세기 이후 대항해시대에는 항로 개척과 함께 수심도 점차 해도에 기입되기 시작했다. 1569년, 네덜란드의 지리학자 게랄두스 메르카토르가 메르카토르 도법을 고안하여, 이후 해도 제작에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2. 3. 근대 일본
일본에서는 안토쿠 시대부터 쇄국 이전 에도 시대 초기까지 해도가 사용되었다. 막부의 허가를 받은 무역선(주인선)은 포르툴라노 해도를 사용하여 중국 연안과 동남아시아 각국으로 항해하였다. 그러나 쇄국과 함께 해도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1]에도 시대 후반이 되면서 연안 해운이 활발해지면서 실용적이고 간편한 해도인 「해세주항도」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또한, 개국을 요구하는 각국의 배가 일본 연안에 나타나기 시작했고, 그중에는 항해의 안전을 위해 무단으로 연안을 측량하여 해도를 작성하기 시작한 국가도 있었다. 막부는 이러한 상황이 해방 측면에서나 해상 교통의 안전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보고 해도 작성을 시작하려고 했다. 먼저 연안을 측량하여 1821년(분세이 4년)에는 이노우에 타다타카(이노 다다타카)가 『대일본연해여지전도』(이노우에 지도)를 완성하였다.[1]
개국 후인 1862년(분큐 2년)에는 막부도 일본 근해의 측량을 시작했지만, 본격적인 해도 작성은 메이지 시대 이후였다. 1870년(메이지 3년)에는 영국의 측량선으로부터 지도를 받아 미에현의 마타야만(的矢湾)과 오와시만(尾鷲湾), 시오사키 제도(塩飽諸島)의 측량이 이루어졌다. 1871년(메이지 4년)에는 대일본제국 해군(일본 해군) 수로부(수로청)(수로국)가 설립되어 홋카이도의 여러 항만, 이와테현의 미야코만(宮古湾)과 가마이시만(釜石湾)이 측량되었다. 그리고 1872년(메이지 5년), 일본 해군 수로부는 제1호 해도 「'''리쿠치쿠노쿠니 카마이시코우노즈(陸中國釜石港之圖)'''」를 작성하여 발행하였다.[1]
3. 해도 제작 및 발행
해도는 항해의 편의를 위해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 제작된다. 해도 상의 수심, 해안선, 교량 높이, 등대 및 섬의 높이는 각각 다른 기준면을 사용한다.
- '''수심''': 좌초를 방지하기 위해 각 지역별 조석 관측으로 얻어진 평균최저저조면(최대 간조 시의 수면)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해도에 기재된 수심보다 얕아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 '''해안선 위치''': 평균최고고조면(최대 만조 시의 수면)을 기준으로 하며, 육지와 바다가 접하는 선이다.
- '''교량 높이''': 평균최고고조면을 기준으로 한다.
- '''등대나 섬의 높이''': 해당 지역의 평균 수면을 기준으로 표시한다.
수심이 거의 같은 지점을 연결한 가는 선인 '''등심선'''이 해도에 기재되어 있다. 해도는 주로 정각도법의 일종인 메르카토르 도법으로 그려진다.
해도에는 등대 등의 항로 표지 위치, 정치망 등 어구의 위치, 무선국 위치, 침선 위치, 해류·조류, 항계, 해저 저질 등이 표시된다. 해상 및 해저 상황은 끊임없이 변하므로, 해도는 항상 수로통보 등을 통해 최신 정보가 반영된 것을 사용해야 한다.
3. 1. 데이터 수집 및 처리
해도는 수로 측량과 수심 측량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측량은 힘들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기 때문에, 많은 해역의 수로 데이터는 오래되거나 신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수심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측정되는데, 역사적으로는 연줄이 사용되었다. 현대에는 음향 측심이 외해의 해저 측정에 사용된다. 침몰선과 같이 장애물 전체에 걸쳐 안전한 수심을 측정할 때는 수평으로 늘어뜨린 와이어로 해당 지역을 훑어 최소 수심을 확인한다. 이는 돛대와 같이 찾기 어려운 돌출부가 장애물 위를 항해하는 선박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3. 2. 해도 발행 및 수정
많은 국가의 국립 수로청은 자체적으로 해도를 발행하며, 이는 '공식' 해도로 간주된다. 국제수로기구(IHO)는 전 세계적인 해도 시스템("INT" 해도 시리즈)을 개발하고 있으며, 해도 시스템 통일을 목표로 한다. 상업적으로 출판된 해도는 요트 선장에게 유용한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해도에 표시된 정보는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항해 통보, 지역 항해 통보 등을 통해 최신 수정 사항을 반영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여러 정부 기관이 해도 수정 및 신판 발행 알림을 제공한다. 선원들은 '해도 및 간행물 수정 기록 카드'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정 사항을 추적하고, 해도 사용 전에 해도에 표시된 수정을 한다.
Digitrace, Voyager 또는 ChartCo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 항해 통보 시스템을 통해 선박 관련 수정 사항을 이메일 또는 웹 다운로드를 통해 받을 수 있다. 캐나다 해안 경비대는 항해 통보(NOTMAR) 웹사이트에서 매달 항해 통보 간행물을 발행하여 캐나다 해역의 항해 안전 문제를 알린다.
4. 해도 종류 및 구성 요소
해도는 항해에 필요한 정보를 담은 지도로, 종류와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넓은 의미에서 해도는 항해용 해도와 수로 특수도를 포함하며, 좁은 의미에서는 항해용 해도만을 가리킨다. 해양 개발 등에 사용되는 해양 기본도도 있다.[1]
항해용 해도는 항해 목적에 따라 5가지로 분류된다.[1]
종류 | 설명 | 축척 |
---|---|---|
총도 | 항해 계획에 사용 | 400만분의 1보다 작음 |
항양도 | 대양 항해에 사용 | 400만분의 1 ~ 100만분의 1 |
항해도 | 육지 부근을 항해할 때 사용 | 100만분의 1 ~ 30만분의 1 |
해안도 | 연안, 내해 항해 또는 항만 출입 시 사용 | 30만분의 1 ~ 5만분의 1 |
항만도 | 항만, 묘박지 등 확대된 정밀 해도, 초입항 시 유용 | 5만분의 1보다 큼 |
해도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 수심 정보: 음향 측심 등으로 측정된 수심, 등심선, 얕은 수심 및 위험 지역을 표시한다. 수심은 해도 기준면(일반적으로 최저 천문 조석(LAT))에서 측정한다.[1]
- 해안선 및 육지 정보: 해안선(최고 수면 기준), 육지 및 인공 구조물, 교량 높이(최고 천문 조석(HAT) 기준) 등을 표시한다.[1]
- 항로 표지 및 기타 정보: 부표, 등대, 등화 등 항해 보조 장비, 난파선, 존재가 의심되는 지리 위치(ED), 조류 및 해류, 등대/섬 높이, 어구 위치, 해저 저질 등을 표시한다. 주로 메르카토르 도법을 사용한다.[1]
대부분 국가의 수로국은 해도에 사용되는 기호, 용어, 약어를 설명하는 "해도 1"을 발행하며, 국제 수로 기구(IHO) 표준 INT 1을 기반으로 한다.[1] 선박은 해도와 함께 해도 1 사본을 휴대해야 한다.[1] 해도는 수로통보 등을 통해 최신 정보로 관리해야 한다.[1]
4. 1. 항해용 해도
넓은 의미의 "해도"는 항해에 사용되는 '''항해용 해도'''(Nautical Charts)와 항해 참고용으로 사용되는 '''수로 특수도'''(Miscellaneous Charts)를 가리킨다. 좁은 의미의 "해도"는 전자인 항해용 해도만을 가리킨다. 이 외에도 해양 개발 등에 널리 사용되는 '''해양 기본도'''(Basic Maps of the Sea)도 있다.[1]항해용 해도는 항해 목적에 따라 5가지 종류로 나뉜다.[1]
종류 | 설명 | 축척 |
---|---|---|
총도 (General Chart) | 항해 계획에 사용된다. | 400만분의 1보다 작음 |
항양도 (Sailing Chart) | 대양 항해에 사용된다. | 400만분의 1 ~ 100만분의 1 |
항해도 (General Chart of Coast) | 육지 부근을 나타낸다. | 100만분의 1 ~ 30만분의 1 |
해안도 (Coast Chart) | 연안이나 내해를 항해하거나, 항만 출입을 할 때 사용된다. | 30만분의 1 ~ 5만분의 1 |
항만도 (Harbour Plan) | 항만, 묘박지 등의 제한된 구역을 크게 확대한 정밀 해도이다. 초입항할 때 등에 유용하다. | 5만분의 1보다 큼 |
4. 2. 수로 특수도
수로특수도는 항해 참고용 도면으로, 넓은 의미에서 해도에 포함된다.[1]수로특수도에는 해류도, 조류도, 자침편차도, 대권항해도, 파일럿 차트, 위치기입용도, 천측위치기입용도, 어구정치개소일람도, 측지계변환도, 로케이선 등화표시해역일람도, 해도도식 등이 있다.[1]
4. 3. 해양 기본도
해양 기본도는 해양의 다목적 이용(해양 개발, 환경 보전, 방재 등)을 위해 만들어진 '해양 일반도'이다.해양 기본도에는 '대륙붕 해양 기본도'(축척별로 20만분의 1, 50만분의 1, 100만분의 1의 3종)와 '연안 해양 기본도'(축척별로 1만분의 1, 5만분의 1의 2종)가 있다.
4. 4. 해도 구성 요소
해도는 항해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다.- 수심 정보:
- 음향 측심 등 현대 기술을 사용하여 측정된 수심이 숫자로 표시된다.
- 대부분의 해도에서는 미터(m) 단위를 사용하지만,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피트(ft) 또는 패덤(fathom) 단위를 사용하기도 한다.
- 등심선은 수심이 같은 지점을 연결한 선으로, 해저 지형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 얕은 수심과 위험 지역은 색상으로 강조 표시된다.
- 수심은 지역 해수면과 관련된 해도 기준면(chart datum)에서 측정되며, 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천문 조석(LAT)을 사용한다.
- 해안선 및 육지 정보:
- 해안선 위치는 최고 수면(최대 만조 시의 수면)을 기준으로 표시된다.
- 육지와 인공 구조물은 색상으로 구분된다.
- 교량 높이와 같은 수직 간격은 최고 천문 조석(HAT)을 기준으로 한다.
- 항로 표지 및 기타 정보:
- 부표, 등대, 등화 등 항해 보조 장비의 위치와 특성이 기호로 표시된다.
- 난파선 등 항해 위험 요소도 기호로 표시된다.
- 존재가 의심스러운 지리적 위치는 "ED" 약어로 표시된다.
- 조류와 강한 해류는 조류 마름모 등을 사용하여 표시되며, 조석 주기의 각 시간 동안 조류의 속도와 방향을 나타낸다.
- 등대나 섬의 높이는 평균 수면을 기준으로 표시된다.
- 정치망 등 어구 위치, 무선국 위치, 침선 위치, 해저 저질 등도 표시된다.
- 정각도법의 일종인 메르카토르 도법이 주로 사용된다.
- 해도 1 (Chart 1):
- 많은 국가의 수로국은 해도에 사용되는 기호, 용어, 약어를 설명하는 "해도 1"을 발행한다.
- 각 국가는 국제 수로 기구(IHO) 표준 INT 1을 기반으로 자체적인 기호 체계를 추가할 수 있다.
- 선박은 해도와 함께 해도 1 사본을 휴대해야 한다.
해도는 항상 최신 정보가 반영되어야 하며, 수로통보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된다.
5. 해도 투영법 및 좌표
해도에는 주로 정각도법의 일종인 메르카토르 도법이 사용된다. 메르카토르 도법은 지도상의 방위각이 실제 각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지도에 그린 항로를 조타 장치에서 바로 조종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문 투영법은 대원 항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미국 해양 대기청(NOAA)은 오대호의 해도에 다각뿔 투영법을 사용한다.[5]
해도에 표시된 장소의 위치는 지도 가장자리의 경도와 위도 눈금을 통해 측지 기준면(예: WGS 84)을 기준으로 측정할 수 있다. 방위각은 두 지점을 연결하는 선과 북쪽을 향하는 선 사이의 각도를 의미하며, 해도에서는 진북을 기준으로 표시된다. 대부분의 해도에는 자북과 진북 사이의 편차를 나타내는 나침반 장미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메르카토르 투영법은 고위도에서 동서 거리가 과장되어 나타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위도선 사이의 거리가 비례적으로 증가한다.[6]
일본 해도의 경우, 과거에는 일본 측지계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나 최근에는 세계 측지계를 기준으로 작성된다. 두 측지계 간에는 약 400~500m 정도의 위도 경도 차이가 있어 혼용 시 주의해야 한다. 일본 해도의 위도 경도는 시모사토 수로관측소의 본토 기준점을 기준으로 한다.[8][9]
6. 전자 해도와 종이 해도
종래의 항해용 해도는 다양한 축척의 큰 종이에 인쇄된다. 선원들은 방문해야 할 지역에 대한 충분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해도를 휴대한다. 전자 해도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항해 정보를 제공하며, 종이 해도를 보완하거나 어떤 경우에는 대체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선원들은 전자 해도 시스템이 고장나는 경우를 대비하여 종이 해도를 백업으로 휴대한다.
7. 해도 사용 시 유의 사항
해도에 표시된 수로의 특성은 변할 수 있으며, 인공적인 항해 보조 장치는 짧은 시간 내에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오래되거나 수정되지 않은 해도는 항해에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된다.[1] 모든 해도 제작자는 선원들에게 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 사항을 알리는 시스템을 제공한다.[1] 미국에서는 항해 통보, 지역 항해 통보, 수정 요약, 방송 항해 통보를 통해 여러 정부 기관이 해도 수정 및 신판 발행 알림을 제공한다.[1]
수정 사항을 추적하는 좋은 방법은 '해도 및 간행물 수정 기록 카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2] 이 시스템을 사용하면, 새로운 '항해 통보'가 도착할 때마다 항해사는 보유하고 있는 모든 해도를 즉시 업데이트하지 않고, 각 해도에 대한 카드를 만들고 이 카드에 수정 사항을 적어둔다.[2] 해도를 사용할 때가 되면, 해도와 해도 카드를 꺼내 해도에 표시된 수정을 한다.[2]
캐나다 해안 경비대(Canadian Coast Guard)는 캐나다 해역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항해 안전 문제에 대해 선원들에게 알리는 항해 통보 간행물을 제작한다.[4] 이 전자 간행물은 매달 발행되며 항해 통보(NOTMAR)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4]
해상이나 해저 등의 상황은 끊임없이 변화하므로, 해도는 항상 수로통보 등을 통해 최신 정보가 반영된 것을 사용해야 한다.
8. 국제 협력
전 세계 각국의 해도 제작 기관은 국제수로기구(IHO)에 가입하여 수로 업무 발전과 국제 협력을 수행하고 있다.[1]
9. 한반도 해역 및 해양 관련 분쟁
이전 답변에서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아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따라서 현재 단계에서는 주어진 결과물이 없어 지시사항에 맞게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하고,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하여 최종 결과물을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참조
[1]
서적
How to Read a Navigational Chart: A Complete Guide to the Symbols, Abbreviations, and Data Displayed on Nautical Charts
International Marine/Ragged Mountain Press
2002
[2]
서적
The Mariner's Handbook
British Admiralty
1999
[3]
웹사이트
Maritime Casualties 1999 And Before
https://web.archive.[...]
2018-08-25
[4]
간행물
Report Number 18/2007
Marine Investigation Accident Branch
2007
[5]
문서
NOAA 14860 - Lake Huron 1:500,000 and NOAA 14853 Detroit River 1:15,000
[6]
웹사이트
Nautical charts
http://www.sailingis[...]
[7]
PDF
https://iho.int/uplo[...]
2023-04-00
[8]
웹사이트
日本列島の精密位置
https://www1.kaiho.m[...]
海上保安庁
2024-05-17
[9]
논문
下里水路観測所におけるSLR観測
日本測地学会
2024-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