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르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마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된 조각상으로, 돌무더기나 기둥 형태를 띠며, 주로 도로 교차로나 경계선에 세워졌다. 이는 해악을 막는 부적의 역할을 했으며, 다산, 행운, 도로 및 국경을 관장하는 남근 신으로 숭배되었다. 헤르메스의 머리와 남성 생식기를 표현한 기둥 형태로, 르네상스 시대에는 유명 인사의 흉상으로도 활용되었다. 기원전 415년 아테네의 헤르마이 훼손 사건은 알키비아데스의 재판과 연관되어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한 배경이 되었으며, 플라톤의 저서나 현대의 예술 작품에서도 헤르마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 조각 - 파로스 대리석
    파로스 대리석은 그리스 파로스섬에서 생산되어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 조각 작품 및 건축물에 널리 사용된 대리석이다.
  • 고대 그리스 조각 - 스트랭퍼드 아폴로상
    스트랭퍼드 아폴로상은 역삼각형 얼굴, 아몬드 눈, 얇은 입술, 뭉툭한 코, 그리고 장신구 부착용 구멍이 있는 머리카락을 가진 고대 그리스 조각상으로, 아폴론 신전 잔해에서 발견되어 숭배상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 건축의장 - 계단
    계단은 층간 이동을 위한 구조물로,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지며 디딤판, 챌면, 난간 등으로 구성되고, 건축적 실용성과 더불어 현대에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안전이 중요하며 예술적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건축의장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헤르마

2. 기원

고대 시대에 그리스 신들은 돌무더기나 형태가 없는 돌기둥 또는 나무 형태로 숭배되었다. 그리스의 여러 지역, 특히 도로 교차로와 토지 경계에는 돌무더기가 있었다. 길을 지나는 사람이 각자 돌을 던지거나 기름을 바르는 관습으로 보아, 특히 도로가 만나는 지점에서 그러한 돌무더기에 대한 종교적 존경심을 알 수 있다.[3] 이후에는 기둥에 머리와 남근이 추가되었고, 기둥은 사각형이 되었다(숫자 4는 헤르메스에게 신성한 숫자였다).[4]

3. 용도

고대 그리스 시대의 헤르마 조각상은 해악이나 악을 막는 부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교차로, 국경 및 경계선, 신전 앞, 무덤 근처, 집 밖, 체육관, 팔레스트라, 도서관, 주랑과 공공장소, 거리 모퉁이, 도로 표지판과 같은 곳에 보호를 위해 놓였으며, 거리 표시에는 거리가 새겨졌다.[5] 상인과 여행자의 보호자로서의 역할 이전, 헤르메스는 다산, 행운, 도로 및 국경과 관련된 남근 신이었다. 헤르메스의 머리 흉상은 일반적으로 수염을 가지고 있었으며,[6] 기둥 꼭대기에 놓였고 남성 생식기는 기단을 장식했다.

헤라클레스의 머리가 있는 헤르마(헤르메헤라클레스). 고대 메세네 박물관, 그리스


그러나 머리 위에 놓인 것은 헤르메스에만 국한되지 않았으며, 다른 신과 영웅, 심지어 유명한 인간의 머리도 자주 나타났다. 이 경우 ''헤르마테나''(아테나의 헤르마), ''헤르마레스''(아레스), ''헤르메헤라클레스''(헤라클레스), ''헤르마프로디토스''(아프로디테, 동일한 이름을 가진 헤르메스와 아프로디테의 아들인 ''헤르마프로디토스''와 혼동하지 말 것, 그는 양성의 생식기를 가지고 있었다), ''헤르마누비스'', ''헤르말키비아데스'' 등과 같은 합성어가 형성되었다.[2] 아테네에서는 ''헤르마이''가 가장 많았고 가장 숭배를 받았으며, 행운을 위해 집 밖에 놓였다.[7] 그들은 올리브 오일로 문지르거나 바르고 화환이나 화관으로 장식하곤 했다.[8]

thumb

로마와 르네상스 시대의 버전(''테르미니'')에서는 몸이 종종 허리 위로만 표현되었다. 이 형태는 특히 소크라테스플라톤과 같은 작가와 같은 유명 공인의 초상 흉상에도 사용되었다.

4. 알키비아데스의 재판

기원전 415년,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일환으로 아테네 함대가 시켈리아 원정을 위해 시라쿠사로 출항하기 직전 밤에 아테네의 모든 ''헤르마이''가 훼손되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은 그러한 불경스러운 행위가 원정의 성공을 위협할 것이라고 생각했다.[9]

비록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당시 아테네인들은 시라쿠사스파르타의 동조자들, 또는 아테네 출신의 파괴자들이 저지른 일이라고 믿었다. 한 용의자는 작가 크세노폰이었다.[10] 알키비아데스의 적들은 아테네인들의 분노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훼손 행위를 조사한다는 구실로, 그를 다른 신성한 물건들의 훼손과 종교적 비밀 의식의 조롱 공연을 포함한 다른 불경스러운 행위로 고발했다.[11] 그는 혐의를 부인하고 재판을 받겠다고 제안했지만, 아테네인들은 원정을 더 이상 방해하고 싶어하지 않았고, 그의 반대자들은 그가 자신을 변호할 수 없는 시기에 그의 부재를 이용하여 사람들을 그에게 불리하게 선동하고 싶어했다.

그가 원정을 떠나자, 그의 정치적 적들은 그를 헤르마이 훼손 혐의와 관련된 엘레우시스 비의를 모독한 혐의로 ''부재 시'' 사형을 선고했다.

5. 예술과 대중문화

플라톤의 '''히파르코스'''에서 소크라테스는 이 조각상들이 히파르코스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말한다. 이 조각상들은 아테네 외곽의 시골 사람들을 교육하고, 델포이의 비문들보다 히파르코스의 지혜를 더 존경하게 만들 의도로 세워졌다. 그는 "이것은 히파르코스를 기리는 기념물이다: 올바른 생각을 하며 걸어라"와 "이것은 히파르코스를 기리는 기념물이다: 친구를 속이지 말라"(229a–b)라는 두 개의 비문을 새기도록 명령했다. 소크라테스는 이 이야기를 통해 히파르코스와 그의 대화 상대를 조롱하고 있다.[12]

로스앤젤레스J. 폴 게티 미술관은 로마 시대의 헤르마 경계 표지석을 다수 소장하고 있다.

이솝 우화는 헤르메스 조각상을 조롱한다. 독실한 개가 조각상에 "기름을 바르겠다"고 제안하자, 신은 서둘러 숭배자에게 그럴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13]

호프 미를리스의 판타지 소설 '''안개의 도시 루드'''에서 주인공은 "보루"이자 "헤르마"라고 불리는 물건 아래를 파서 중요한 물건을 찾아낸다. 그것은 "나무이면서 나무가 아니고, 사람이면서 사람이 아닌" 것으로 묘사된다.[14]

고대 그리스의 헤르마(헤르메스 기둥상). 페니스가 훼손되지 않은 것.


헤르마로서의 노인상. 아마 철학자로 생각된다. 아프가니스탄의 아이 하눔에서 출토, 기원전 2세기.

6. 갤러리



크레테 엘레우테르나에서 출토된 디오니소스 헤르마

참조

[1] 서적 Abrégé du dictionnaire Grec-Français https://fr.wikisourc[...] Hachette 1901
[2] 간행물 Hermae EB1911
[3] 문서 Nicand. Ther. 150; Theophrast. Char. 16
[4] 문서 Paus. vii. 22. § 2; Aristoph. Plut. 1121, 1144; Hom. Od. xiv. 435, xix. 397; Athen. i. p. 16
[5] 문서 Brunck, Anal. 3.197, no. 234
[6] 문서 The image of a youthful, beardless Hermes was a development of the 5th century BCE
[7] 문서 Thuc. 6.27; Aelian, Ael. VH 2.41; Suid. s.v. Pollux, 8.72; Athen. 10.437b
[8] 문서 Theophrast. Char. 16; comp. Genesis 28.18, 22, 31.45-48
[9] 문서 Thuc. 6.27, with Grote's remarks, ch. 58, 5.146ff.; Andoc. de Myst.; Aristoph. Lys. 1094
[10] 서적 A History of My Times Penguin Classics 1979-05-31
[11] 서적 The Landmark Thucydides Free Press 2008
[12] 서적 Hipparchus https://www.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Hermes and the Dog http://mythfolklore.[...]
[14] 서적 Lud-in-the-Mist Galle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