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스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스본은 요르단강 동쪽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현재 암만에서 남서쪽으로 약 20km 떨어진 히스반 유적지에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성경에 따르면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갈 때 지나간 곳이며, 아모리인 왕 시혼의 수도였다. 역사적으로는 로마 시대에 에스부스(Esbus)로 알려졌으며, 비잔틴 시대에는 중요한 도시로 성장했다. 1968년부터 텔 헤스반 유적에서 고고학 발굴이 시작되어, 청동기 시대 점거 증거 부족, 비잔틴 시대 교회의 모자이크 유물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아라비아 관구의 명목 교구이자 보스라의 교구로서, 초기 기독교가 뿌리내린 곳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르우벤 지파 - 아비람
  • 르우벤 지파 - 다단
    다단은 랍비 문헌과 영화에 등장하여 모세에게 대항하는 악인으로 묘사되며, 랍비 문헌에서는 고라의 반란에 가담하고 영화에서는 금송아지 숭배를 주도한다.
  • 암몬 - 암만
    암만은 요르단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로, 랍밧 암몬에서 시작된 오랜 역사를 지니며, 헬레니즘 시대에 필라델피아로 개명, 이슬람 시대를 거쳐 요르단의 수도가 되었고, 현재는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서 역사 유적과 현대적 인프라가 공존한다.
  • 암몬 - 롯 (성경 인물)
    롯은 아브라함의 조카로서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 이야기와 관련되어 있으며, 천사들의 도움으로 탈출했으나 아내가 소금 기둥이 되었고, 이후 딸들과의 근친상간을 통해 모압과 암몬 족속의 조상이 되었다고 전해지는 인물이다.
  • 모압 - 마다바
    요르단 중부의 마다바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특히 비잔틴 시대의 모자이크 유적으로 유명하여 "모자이크의 도시"라고도 불리고, 성 조지 교회에 보존된 6세기 마다바 지도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예루살렘 지도로 평가받는 요르단의 주요 관광지이다.
  • 모압 - 카라크
    요르단 암만 남쪽에 위치한 카라크는 철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십자군 시대 카라크 성으로 유명하고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만사프와 지역 스포츠 클럽으로 알려진 도시다.
헤스본
지도
일반 정보
위치요르단
다른 이름아랍어: حشبون (Ḥesbān)
라틴어: Esebus
히브리어: חשבון (Ḥeshbon)
고대 그리스어: Ἐσεβών, Ἐσσεβών, Ἐσβούτα, Ἐσβούς, Ἔσβους, Ἔξβους
역사
중요 사건모압 왕국에 의해 정복됨

2. 위치

헤스본은 요르단의 수도 암만에서 남서쪽으로 약 20km, 마다바에서 북쪽으로 약 9km 떨어진 모압 산맥의 높은 봉우리에 위치한다. 유적 동쪽에는 큰 저수지가 있고, 아래에는 샘이 있다.

3. 성경 속 헤스본

헤스본은 타나크(구약성경)의 민수기신명기아모리인시혼(세혼이라고도 함)의 수도로 등장한다.[4] 이스라엘 백성은 출애굽 여정 중 시혼 왕을 무찌르고 헤스본을 점령했다. 이후 이 도시는 모압암몬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6][7][8] 아가에는 헤스본의 아름다운 연못이 언급된다.[9]

3. 1. 시혼 왕과의 전투

타나크민수기신명기에는 아모리인시혼(세혼이라고도 함)의 수도 헤스본에서 모세의 지도하에 이스라엘 백성이 시혼을 상대로 승리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4] 신명기여호수아기에도 비슷한 내용이 나오는데, 주요 내용은 이스라엘 백성이 헤스본에서 시혼 왕을 상대로 승리했다는 것이다. 모세는 이 승리 직후, 느보산 꼭대기에서 "약속의 땅"을 바라본 후 죽었다.

:"헤스본은 아모리인 왕 시혼의 도시였으니, 그가 전에 모압 왕과 싸워 그의 손에서 그 땅 전부를 빼앗았는데, 아르논 시내까지였다."[5]

3. 2. 지파 분배

고대 헤스본은 요르단강 동쪽에 위치해 있었다.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갈 때 이곳을 지나갔으며, 르우벤 지파에게 할당되었다.[2] 이후 갓 지파에게 주어졌고,[3] 므라리 자손을 위한 레위인 도시가 되었다.[4] 모세가 죽은 후 헤스본은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에게 할당된 땅의 경계에 위치한 도시가 되었다.

3. 3. 모압과 암몬의 지배

모세 사후 헤스본은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에게 할당된 땅의 경계에 위치한 도시가 되었다. 더 나아가 성경에는 이 도시가 나중에 모압의 지배하에 들어갔음을 시사하는데, 이는 이사야서[6]예레미야서[7]에서 모압을 비난하는 내용과 연결된다. 또한 예레미야서 49장 3절은 헤스본이 암몬의 지배를 받았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8]

3. 4. 아가서의 언급

타나크아가에서 시인은 연인의 눈을 헤스본의 아름다운 연못에 비유했다.[9]

4. 역사적 기록

헤스본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다음과 같다.

요세푸스는 헤스본을 '에스보니티스' 또는 '세보니티스'로 자주 언급했다.[10] 마카베오의 알렉산데르 얀나이우스(기원전 106–79년)가 점령하여 유대 도시로 만들었으며,[10] 헤로데 대왕 또한 이 도시를 통치하며 요새를 건설했다고 전해진다.[11] 대반란(서기 68–70년) 이후에는 ''Arabes Esbonitae''(Arabes Esbonitae|에스본의 아랍인la)라는 부족에게 점령되었다.[13] 이후 ''에스보스'' 또는 ''에스보우타''라는 이름으로 복원되었으며, 프톨레마이오스는 이곳을 로마의 아라비아 페트라에아의 도시 중 하나로 언급했다.[14]

유세비우스의 《지명 기원》에 따르면, 비잔틴 시대의 헤스본은 아라비아 속주의 주목할 만한 도시로 성장했다. 키프로스의 게오르기우스는 7세기에 이 도시를 언급했으며, 예리코로 가는 로마 도로의 이정표는 헤스본에서부터 계산되었다. 비잔틴 시대의 이 도시는 서기 3세기의 레호보트 모자이크에 언급되어 있다. 초기 아랍 시대에 헤스본은 시혼의 옛 왕국에 해당하는 벨카의 주요 도시였으며, 십자군에게 점령된 적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4. 1. 헤로데 시대의 에스보니티스/세보니티스

요세푸스는 헤스본을 '에스보니티스' 또는 '세보니티스'로 자주 언급했다.[10] 요세푸스에 따르면 헤스본은 마카베오의 알렉산데르 얀나이우스(기원전 106–79년)가 점령하여 유대 도시로 만들었다.[10] 헤로데 대왕 또한 이 도시를 통치하며 요새를 건설했다고 전해진다.[11] 그러나 이 도시가 텔 헤스반과 동일한지는 불분명하다. 요세푸스는 헤로데 대왕의 동생이자 페레아의 분봉왕인 페로라스가 에세보니티스에 거주했다고 말한다.[12] 요새화된 수비 도시로 묘사되는 이 에세보니티스는 확실하게 확인되지 않았으며, 마케루스, 아마투스(Amathus, Transjordan), 또는 가다라(Gadora) (연구자들에 의해 알-살트 근처의 텔 자두르에 위치) 중 하나일 수 있다.[12]

4. 2. 로마 시대의 에세본/에스보스

대반란(서기 68–70년) 이후, 이 곳은 플리니우스가 ''Arabes Esbonitae''(Arabes Esbonitae|에스본의 아랍인la)라고 부르는 부족에게 점령되었다.[13] 이후 ''에스보스'' 또는 ''에스보우타''라는 이름으로 복원되었으며, 프톨레마이오스는 이곳을 로마의 아라비아 페트라에아의 도시 중 하나로 언급했다.[14]

4. 3. 비잔틴 시대의 헤세본

유세비우스의 《지명 기원》에 따르면, 비잔틴 시대의 헤스본은 아라비아 속주의 주목할 만한 도시로 성장했다. 키프로스의 게오르기우스는 7세기에 이 도시를 언급했으며, 예리코로 가는 로마 도로의 이정표는 헤스본에서부터 계산되었다.

비잔틴 시대의 이 도시는 서기 3세기의 레호보트 모자이크에 언급되어 있다.

4. 4. 초기 아랍 시대

초기 아랍 시대에 헤스본은 시혼의 옛 왕국에 해당하는 벨카의 주요 도시였다. 십자군에게 점령된 적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5. 고고학적 발굴

1968년, '텔 헤스반'('탈 히스반'으로 표기) 유적에서 앤드루스 대학교의 후원과 미국 동양 연구 학교(ASOR)의 감독 하에 "헤스본 원정대"의 고고학적 발굴이 시작되었다. 헤스본 원정대는 1976년까지 발굴을 진행했다. 1996년에는 마다바 평원 프로젝트 컨소시엄을 통해 유적에서의 고고학적 작업이 계속되었다. 이 유적은 2010년대까지 발굴되었으며, 유적 관광을 지원하기 위한 작업도 진행 중이다.

5. 1. 헤스본 원정대

1968년, 텔 헤스반(탈 히스반으로도 표기) 유적에서 헤스본 원정대의 고고학 발굴이 시작되었다. 이 발굴은 앤드루스 대학교의 후원과 미국 동양 연구 학교(ASOR)의 감독 하에 이루어졌다. 헤스본 원정대는 1976년까지 발굴을 이어갔다. 이후 1996년에는 마다바 평원 프로젝트 컨소시엄을 통해 유적에서의 고고학적 작업이 계속되었다. 이 유적은 2010년대까지 발굴되었으며, 유적 관광을 지원하기 위한 작업도 진행 중이다.

5. 2. 발굴 결과

청동기 시대에 점거했다는 증거가 부족했기 때문에 발굴자들은 이곳이 시혼의 헤스본이 아니라고 결론 내렸다.[15] 윌리엄 데버는 다음과 같이 반응했다. "이 유적은 1968년부터 1976년까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학자 그룹이 후원하는 대규모 학제간 프로젝트로 발굴되었는데, 그들은 아마도 이스라엘의 유적 정복에 대한 성경적 전통을 '증명'하려 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당혹감 속에서 그 마을은 철기 II 시대에야 세워졌고, 이는 어떤 정복이라고 여겨지는 것보다 훨씬 후대의 일이었다. 기원전 12~11세기의 유물(도자기, 건축물 없음)은 단 몇 점밖에 없었고, 기원전 13세기의 점거 흔적은 전혀 없었다. 그러나 발굴자들은 굳건히 그들의 결과를 발표했고, 마지못해 헤스본에 대한 성경 이야기에 무언가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16]

Øystein S. LaBianca와 Bethany Walker에 따르면, 발굴 결과 후기 청동기 시대와 초기 철기 시대의 유물이 발견되었지만, 후대 점유자들의 유적 재사용으로 인해 해당 시대의 유물 대부분이 2차 퇴적층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17]

고전 시대의 유적은 로마 시대 도시 에스부스(Esbus)의 지위를 확인시켜 주었다.[15]

비잔틴 시대의 두 개의 교회가 발견되었으며, 두 교회 모두 인상적인 모자이크 바닥 유물을 생산했다.[18] 특히 흥미로운 점은 북쪽 교회의 제단에서 발견된 나일 강 주변에서 유래한 모티프를 사용한 나일강 모자이크로, 모자이크 제작자들이 상상의 꽃으로 만든 둥지에 앉은 비둘기를 묘사했다.[19]

6. 교회사

헤스본은 아라비아 관구의 명목 교구이며, 보스라 교구이다.

초기에 기독교가 그곳에 뿌리내렸다. 미셸 르 키엔과 피우스 보니파키우스 갬스는 4세기에서 7세기 사이의 헤스본 주교 세 명을, 콘라트 오이벨은 15세기 후반의 라틴 명목 주교 두 명을 언급한다.

6. 1. 초기 기독교 주교

미셸 르 키엔(''Oriens christianus'' II, 863–64)과 피우스 보니파키우스 갬스(''Series Episcoporum'', 435)는 4세기에서 7세기 사이에 헤스본의 주교 세 명을 언급한다.

  • 겐나디우스: 니케아 공의회에 참석했다.
  • 에스부사의 조시스: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 서명자이다.
  • 조시우스: 칼케돈 목록에 이름이 나온다.
  • 테오도르: 단성론에 맞서 정통주의를 옹호했으며, 교황 마르티노 1세로부터 (약 649년) 이단에 대한 저항을 축하하고 필라델피아의 요한과 협력하여 투쟁을 계속하도록 권고하는 서한을 받았다. 교황은 요한에게 안티오키아와 예루살렘 총대주교 관할을 위임했다.

6. 2. 라틴 명목 주교

콘라트 오이벨(''Hierarchia Catholica'', II, 168)은 15세기 후반에 헤스본의 두 명의 라틴 명목 주교를 언급한다.

7. 헤스본 가문

헤스본 가문은 헤스본 지역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William Smith, LLD, Ed., Heshbon http://www.perseus.t[...]
[2] 성경 Numbers 32:37
[3] 성경 Joshua 21:37
[4] 성경 Numbers 21:21-35
[5] 성경 Numbers 21:26
[6] 성경 Isaiah 15:4
[7] 성경 Jeremiah 48:2
[8] 웹사이트 Jeremiah 49 Keil and Delitzsch OT Commentary https://biblehub.com[...]
[9] 성경 Song of Sol 7:4
[10] 기타 Antq., XIII, xv, 4., XII, iv, 11; Bell, Jud., II, xviii, 1.
[11] 기타 Josephus, Ant., XV, viii, 5.
[12] 서적 Herod's Judaea: A Mediterranean State in the Classic World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2020-06-05
[13] 기타 Hist. Nat., V, xii, 1.
[14] 기타 Geogr. V, xvi.
[15] 웹사이트 Tall Hisban Excavations https://madabaplains[...]
[16] 서적 Who Were the Early Israelites and Where Did They Come From?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6-03-31
[17] 서적 Crossing Jordan: North American Contributions to the Archaeology of Jordan Routledge
[18] 웹사이트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http://www.madabapla[...] 2008-12-01
[19] 웹사이트 "The River Nile and Egypt in the Mosaics of the Middle East" http://www.christusr[...] christusrex.org 2014-12-21
[20]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William Smith, LLD, Ed., Heshbon http://www.perseu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